KR20010042861A - 용기를 충전하는 방법, 장치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용기를 충전하는 방법, 장치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42861A
KR20010042861A KR1020007011634A KR20007011634A KR20010042861A KR 20010042861 A KR20010042861 A KR 20010042861A KR 1020007011634 A KR1020007011634 A KR 1020007011634A KR 20007011634 A KR20007011634 A KR 20007011634A KR 20010042861 A KR20010042861 A KR 200100428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valve stem
main body
chamber
fil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70116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63768B1 (ko
Inventor
브레난죤
매튜스로저
멧칼프스티븐
Original Assignee
다비드 에 질레스
아스트라제네카 아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비드 에 질레스, 아스트라제네카 아베 filed Critical 다비드 에 질레스
Publication of KR200100428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428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637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63768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9/00Nozzles, funnels or guides for introducing articles or materials into containers or wrap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1/00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der special atmospheric or gaseous conditions; Adding propellants to aerosol containers
    • B65B31/003Adding propellants in fluid form to aerosol contai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Vacuum Packaging (AREA)
  • Basic Packing Technique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 Filling Of Jars Or Cans And Processes For Cleaning And Sealing Jars (AREA)
  • Supplying Of Containers To The Packaging Station (AREA)
  • Supply Of Fluid Materials To The Packaging Loc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의약 물질과 같은 물질을 현탁액 또는 용액으로 함유하는 가압 상태의 추진제를 용기에 도입하는 충전 장치와, 충전 시스템 및 도입 방법을 제공하며, 상기 충전 장치는
사용 시에, 용기(138)의 본체(139)의 헤드(141)로부터 연장하는 밸브 스템(144)과 연통하는 통로(20)가 있는 메인 본체(4)와,
물질을 현탁액 또는 용액으로 함유하는 가압 상태의 추진제를 통로에 선택적으로 도입하도록 통로(20)와 연통하는 충전 밸브 조립체(29)를 포함하는 충전 액츄에이터(7)와,
물질을 함유하는 가압 상태의 추진제를 통로로부터 선택적으로 배출하도록 통로(20)와 연통하는 배출 밸브 조립체(48)를 포함하는 배출 액츄에이터(10)와,
사용 시에, 용기(138)의 본체(139)의 헤드(141)를 수용하도록 통로(20)와 연통하는 용기-결합 본체(16; container-engaging body)
를 구비하며,
상기 용기-결합 본체(16)는 용기(138)의 밸브 스템(144)보다 반경 방향 치수가 큰 챔버(116)를 포함하며, 사용 시에 용기(138)의 밸브 스템(144)과, 챔버(116)와 연통하는 도관(126)이 그 챔버로 연장하여 그곳에 가압 유체를 공급한다.

Description

용기를 충전하는 방법, 장치 및 시스템{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FILLING CONTAINERS}
의약 물질을 현탁액 또는 용액으로 함유하는 추진제를 유지하는 용기는 널리 공지되어 있다. 이러한 공지의 용기 중 하나는 저장 챔버를 형성하는 본체와, 이 본체의 헤드로부터 연장하는 밸브 스템(valve stem)과, 밸브 스템에 의하여 주위 및 저장 챔버와 선택적으로 연통할 수 있는 계량 챔버를 구비하며, 상기 밸브 스템은 그것의 자유단과 측벽 사이에서 연장하는 L형 도관을 매개로, 의약 물질을 함유하는 계량된 양의 추진제가 공급되는 용기의 출구에 마련된다. 밸브 스템은 L형 도관이 전적으로 계량 챔버의 외측에 배치되어 계량 챔버와 용기가 주위와 차단되는 제1의 연장 위치와, 제2의 후퇴 위치 사이에서 축방향으로 변위될 수 있으며, 이 제2의 후퇴 위치에서, 계량 챔버는 밸브 스템의 L형 도관에 의하여 마련된 출구와 연통하며, 이 출구를 통하여 의약 물질을 함유하는 계량된 양의 추진제가 공급된다. 용기는 후퇴 위치에서 밸브 스템으로 채워지고, 의약 물질을 함유하는 추진제는 밸브 스템의 L형 도관과 계량 챔버를 통하여 하방으로, 그리고 용기의 본체에 의하여 형성된 저장 챔버로 강제된다.
EP-A-0419261에는 의약 물질을 현탁액 또는 용액으로 함유하는 가압 상태의 추진제를 용기에 도입하는 충전 시스템이 개시되어 있으며, 이 충전 시스템은 의약 물질이 주위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는 충전 장치를 구비한다. 이 충전 시스템에서, 충전 장치는 소정 용적의 고압 추진제로 채워지고 여전히 컨테이너와 유체 연통되도록 구성되어, 추진제로 용기를 충전한 후에 충전 장치에 남아 있는 의약 물질을 함유하는 가압 상태의 추진제는 충전 장치가 용기로부터 후퇴되기 전에 완전히 용기 내에 쏟아진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는 추진제가 쏟아질 수 있도록 용기에 추가의 추진제가 도입될 것을 요구한다. 또한, 쏟아 붓는 작용에 뒤이어, 밸브 스템에 존재하는 가압 상태의 추진제가 주위로 누설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의약 물질과 같은 물질을 현탁액 또는 용액으로 함유하는 가압 상태의 추진제(propellant)를 용기에 충전하는 충전 장치, 충전 시스템 및 도입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말하자면, 본 발명은 물질을 현탁액 또는 용액으로 함유하는 가압 상태의 추진제가 순환하는 라인에 포함된 충전 헤드에 관한 것으로, 이 충전 헤드는 충전될 용기와 연통되거나 차단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충전 헤드의 일부 부분의 단면을 도시한 측면도.
도 2는 도 1의 A-A를 따라 취한 충전 헤드의 수직 단면도.
도 3은 도 1의 B-B를 따라 취한 충전 헤드의 수평 단면도.
도 4는 도 1의 충전 헤드의 저면도.
도 5는 도 1의 충전 헤드의 단부도로서, 배출 액츄에이터의 하우징의 일부가 제거되어 도시되어 있는 도면.
도 6은 의약 물질을 현탁액 또는 용액으로 함유하는 가압 상태의 추진제를 용기로 도입하며, 도 1의 충전 헤드를 채용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충전 시스템의 개략도.
도 7 내지 도 13은 용기 충전 작업에서 연속적인 작업 순서를 나타내는 일련의 각 위치에 있는 도 1의 충전 헤드의 일부를 확대하여 부분 단면으로 도시한 단면도.
하나 이상의 바람직한 특징에 있어서,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극복하는 개량된 충전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단지 추진제만이, 또는 의약 물질을 함유하는 추진제가 직접적으로 주위로 방출될 것을 요구하지 않고 용기를 충전하도록 구성되는 충전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의약 물질과 같은 물질을 현탁액 또는 용액으로 함유하는 가압 상태의 추진제를 용기에 도입하는 충전 장치를 제공하며, 이 충전 장치는
사용 시에, 용기의 본체의 헤드로부터 연장하는 밸브 스템과 연통하는 통로가 있는 메인 본체와,
물질을 현탁액 또는 용액으로 함유하는 가압 상태의 추진제를 통로에 선택적으로 도입하도록 통로와 연통하는 충전 밸브 조립체를 포함하는 충전 액츄에이터와,
물질을 함유하는 가압 상태의 추진제를 통로로부터 선택적으로 배출하도록 통로와 연통하는 배출 밸브 조립체를 포함하는 배출 액츄에이터와,
사용 시에, 용기의 본체의 헤드를 수용하도록 통로와 연통하는 용기-결합 본체
를 구비하며,
상기 용기-결합 본체는 용기의 밸브 스템보다 반경 방향 치수가 큰 챔버를 포함하며, 사용 시에 용기의 밸브 스템과, 챔버와 연통하는 도관이 그 챔버로 연장하여 그곳에 가압 유체를 공급한다.
바람직하게는, 용기는 밸브 스템에 의하여 본체에 의해 형성된 저장 챔버 및 주위와 선택적으로 연통될 수 있는 계량 챔버를 추가로 구비하며, 메인 본체와 용기-결합 본체는 서로에 대하여 이동 가능하며, 이에 의하여 용기의 밸브 스템은 폐쇄된 연장 위치, 개방된 후퇴 위치, 또는 그 사이의 중간 위치에 선택적으로 위치될 수 있고, 상기 중간 위치에서 용기의 계량 챔버는 주위와 차단된다.
바람직하게는, 용기-결합 본체를 메인 본체로부터 멀어지게 편향시키는 편향 수단을 추가로 구비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편향 수단은 메인 본체와 용기-결합 본체 사이에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압축 스프링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메인 본체는 통로가 연장하는 외측 연장 부분을 포함하며, 이 외측 연장 부분은 용기-결합 본체의 보어 내에 밀봉식으로 수용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메인 본체의 외측 연장 부분의 말단에 배치되는 환형 시일을 추가로 구비하며, 이 시일은 사용 시에 용기의 밸브 스템의 말단과 접한다.
바람직하게는, 용기-결합 본체는 챔버의 하단 둘레에 배치되는 환형 시일을 구비하며, 이 시일은 사용 시에 밸브 스템을 둘러싸는 용기의 본체의 헤드와 접한다. 바람직하게는, 환형 시일(131)은 O-링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메인 본체와 용기-결합 본체의 마주하는 표면에는 하나 이상의 돌기와 하나 이상의 리세스 중 어느 하나 또는 다른 하나가 마련되어, 메인 본체와 용기-결합 본체가 함께 이동할 때, 하나 이상의 돌기는 하나 이상의 리세스 내에 결합된다.
또한, 본 발명은 의약 물질과 같은 물질을 현탁액 또는 용액으로 함유하는 가압 상태의 추진제를 용기로 도입하며, 전술한 충전 장치를 채용하는 충전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의약 물질과 같은 물질을 현탁액 또는 용액으로 함유하는 가압 상태의 추진제를 용기에 도입하는 도입 방법을 제공하며, 이 도입 방법은
저장 챔버를 형성하는 본체와, 이 본체의 헤드로부터 연장하는 밸브 스템을 구비하는 용기를 제공하는 단계로서, 상기 밸브 스템은 배출 개구와 측방향 흡입 개구를 포함하고, 이 스템은 측방향 흡입 개구가 본체의 외측에 위치하는 폐쇄된 연장 위치와 측방향 흡입 개구가 본체 내에 위치되는 개방된 후퇴 위치 사이에서 이동하는 그러한 단계와,
밸브 스템의 배출 개구를 충전 장치의 메인 본체에 있는 통로와 연통시키는 단계로서, 상기 충전 장치는 물질을 현탁액 또는 용액으로 함유하는 가압 상태의 추진제를 통로에 선택적으로 도입하기 위한 충전 밸브 조립체를 포함하는 충전 액츄에이터와, 물질을 함유하는 가압 상태의 추진제를 통로로부터 선택적으로 배출하기 위한 배출 밸브 조립체를 포함하는 배출 액츄에이터를 구비하는 그러한 단계와,
충전 밸브 조립체를 개방하여, 물질을 현탁액 또는 용액으로 함유하는 가압 상태의 추진제로 용기의 저장 챔버를 충전하는 단계와,
충전 밸브 조립체를 폐쇄하는 단계와,
통로와 용기의 밸브 스템에 있는 물질을 함유하는 가압 상태의 추진제가 배출되도록 배출 밸브 조립체를 개방하는 단계와,
통로와 용기의 밸브 스템으로부터 물질을 함유하는 가압 상태의 추진제를 배출하도록 배출 밸브 조립체가 개방될 때, 측방향 흡입 개구를 포함하며 용기의 본체로부터 연장하는 용기의 밸브 스템의 부분을 가압 유체로 둘러싸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충전 장치는 그것의 메인 본체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용기-결합 본체를 추가로 구비하며, 이 용기-결합 본체는 밸브 스템을 포함하는 용기의 헤드를 수용하도록 구성되며, 이 도입 방법은 용기-결합 본체를 충전 장치의 메인 본체로부터 멀리 편향시키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충전 장치의 메인 본체는 통로가 연장하는 외측 연장 부분을 구비하며, 이 외측 연장 부분은 용기-결합 본체의 보어 내에 밀봉식으로 수용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도입 방법은 메인 본체의 외측 연장 부분의 말단을 용기의 밸브 스템의 말단에 대하여 밀봉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용기는 밸브 스템에 의하여 주위 및 본체에 의해 형성되는 저장 챔버와 선택적으로 연통할 수 있는 계량 챔버를 추가로 구비하며, 메인 본체와 용기-결합 본체는 서로에 대하여 이동 가능하며, 이에 의해 용기의 밸브 스템은 폐쇄된 연장 위치, 개방된 후퇴 위치, 또는 그 사이의 중간 위치에 선택적으로 위치될 수 있고, 상기 중간 위치에서 용기의 계량 챔버는 주위와 차단된다.
바람직하게는, 가압 유체는 물질을 함유하는 가압 상태의 추진제의 증기압보다 큰 압력으로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유체는 가스이다. 바람직하게는, 가스는 공기 또는 질소 중 하나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단지 참고한 예에 의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충전 헤드(2)를 도시한다.
충전 헤드(2)는 하면(6)으로부터 연장하는 하향 연장 부분(5)을 포함하는 메인 본체(4)와, 이 메인 본체(4)의 일측면에 배치되는 충전 액츄에이터(7)와, 메인 본체(4)의 반대 측면에 배치되는 배출 액츄에이터(10)를 구비한다. 충전 헤드(2)는 메인 본체(4)의 위에서 그 본체에 배치되는 작동 굴대(14)를 추가로 구비하며, 이 굴대에 의하여 충전 헤드(2)는 수직 방향으로 이동한다. 충전 헤드(2)는 충전될 용기를 수용하기 위한 슬라이드 본체(16)를 추가로 구비하며, 이 슬라이드 본체는 메인 본체에 대하여 수직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메인 본체(4)의 하향 연장 부분(5)에 장착된다.
메인 본체(4)는 실질적으로 그것의 중앙에 위치되는 수직 정향된 통로(20)와, 이 통로의 상단부(24)에서 나란하게 대향된 제1 개구(21) 및 제2 개구(22)와, 통로의 하단부(26)에 제3 개구(25)를 구비하며, 상기 통로는 하향 연장 부분(5)에 위치된다. 제1 개구(21) 및 제2 개구(22)는 충전 액츄에이터(7) 및 배출 액츄에이터(10)와 각각 연통한다.
충전 액츄에이터(7)는 하우징(28)과, 이 하우징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충전 밸브 조립체(29)를 구비한다. 충전 밸브 조립체(29)는 메인 본체(4)의 환형 챔버(31) 내에 활주 가능하게 배치되는 충전 밸브 스템(30)을 구비하며, 이 밸브 스템은 메인 본체(4) 내의 통로(20)의 제1 개구(21)를 형성하는 밸브 시트(33)에 대항하여 밀봉하는 밸브 밀봉 단부(32)를 포함한다. 챔버(31)는 챔버(31)의 양 측면에서 메인 본체(4)에 형성된 흡입 도관(34)과 배출 도관(35)을 구비한다. 충전 밸브 조립체(29)는 충전 밸브 스템(30)에 축방향으로 결합되어 왕복 이동 가능한 충전 밸브 부재(36)를 추가로 구비하며, 이 밸브 부재는 하우징(28)에 형성된 환형 챔버(37) 내에 밀봉식으로 배치된다. 충전 밸브 부재(36)는 환형 챔버(37)를 제1 챔버 부분(39)과 제2 챔버 부분(40)으로 밀봉되게 분리하면서 반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하는 부분(38)을 추가로 구비하며, 제1 챔버 부분(39)은 충전 밸브 스템(30)에 인접하고 제2 챔버 부분(40)은 충전 밸브 스템(30)으로부터 멀리 있다. 하우징(28)은 챔버(37)의 제2 챔버 부분(40)과 연통하는 도관(41)을 구비하며, 이 도관은 가압 유체의 공급원과 연결하기 위한 것이다. 충전 밸브 조립체(29)는 충전 밸브 부재(36)와 그에 따른 충전 밸브 스템(30)을 메인 본체(4)의 챔버(31) 내로 편향시키기 위한 편향 수단(42), 즉 본 실시예에서는 압축 스프링을 추가로 구비한다. 도관(41)을 매개로 하여 유압을 적용 및 제거함으로써, 챔버(37)의 제2 챔버 부분(40)으로부터 유체가 도입 및 제거되고, 그에 의하여 챔버(37) 내에서 충전 밸브 부재(36)의 활주 이동이 야기되고, 그에 의해 챔버(31) 내에서 충전 밸브 스템(30)의 활주 이동이 야기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충전 밸브 스템(30)의 밸브 밀봉 단부(32)는 메인 본체(4)의 통로(20)의 제1 개구(21)와 연통하는 밸브 시트(33)와 결합 및 해제되게 이동할 수 있다. 챔버(31)는 밸브 시트(33)로부터 멀리 있는 그것의 단부에서, 충전 밸브 스템(30)을 둘러싸는 가요성의 환형 시일(43)에 의하여 충전 밸브 스템(30)과 충전 밸브 부재(36)의 연결부에서 밀봉된다.
배출 액츄에이터(10)는 메인 본체(4)의 공동(45)에 배치되는 밸브 블록(44)과, 이 밸브 블록(44)에 연결되는 하우징(46)과, 이 하우징(46) 내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배출 밸브 조립체(48)를 구비한다.
하우징(46)은 환형 지지 슬리브(49)를 구비하고, 배출 밸브 조립체(48)는 밸브 밀봉 단부(51)가 있는 배출 밸브 스템(50)을 구비하며, 이 밸브 스템은 지지 슬리브(49)에 활주 가능하게 배치된다. 배출 밸브 스템(50)은 대략 원뿔형 형상이며, 밸브 밀봉 단부(51)로부터 멀어질수록 직경이 증가한다. 이 실시예에서, 배출 밸브 스템(50)은 그 위에 물질의 체류를 감소시키도록 작용하는 둘레 릿지(52; peripheral ridge)를 포함한다. 배출 밸브 조립체(48)는 배출 밸브 스템(50)에 축방향으로 결합되어 왕복 이동 가능한 배출 밸브 부재(54)를 추가로 구비하며, 이 부재는 지지 슬리브(49)의 환형 챔버(56) 내에 밀봉식으로 배치된다. 배출 밸브 부재(54)는 챔버(56)를 제1 챔버 부분(60)과 제2 챔버 부분(62)으로 밀봉되게 분리하면서 반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하는 중앙 부분(58)을 구비하며, 제1 챔버 부분(60)은 배출 밸브 스템(50)에 인접하고 제2 챔버 부분(62)은 배출 밸브 스템(50)으로부터 멀리 있다. 지지 슬리브(49)는 가압 유체 공급원과의 연결을 위한 제1 도관(64) 및 제2 도관(66)을 포함하며, 각각의 도관(64,66)은 챔버(56)의 제1 챔버 부분(60) 및 제2 챔버 부분(62)과 각각 연통한다. 도관(64,66) 중 하나를 매개로 유압을 가함으로써, 챔버(56)의 제1 챔버 부분(60)과 제2 챔버 부분(62) 중 하나에 유체가 도입되고, 그에 의하여 챔버(56) 내에서 배출 밸브 부재(54)의 활주 이동이 야기되고, 그에 의해 지지 슬리브(49) 내에서 배출 밸브 스템(50)의 활주 이동이 야기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배출 밸브 스템(50)의 밸브 밀봉 단부(51)는 밸브 블록(44)에 의하여 마련되는 배출 밸브 시트(67)와 결합 및 해제되게 이동할 수 있다. 하우징(46)은 지지 슬리브(49)와 배출 밸브 스템(50)이 위치되는 대략 환형의 챔버(70)를 추가로 구비하며, 대략 원뿔형의 배출 밸브 스템(50)을 둘러싸는 챔버(70)의 부분도 또한 대략 원뿔형이다. 하우징(46)은 밸브 블록(44)으로부터 멀리 있는 하우징의 측면에 배치되는 배출 튜브(71)를 추가로 구비하며, 이 배출 튜브는 챔버(70)와 연통한다.
밸브 블록(44)은 하우징(46) 내의 챔버(70)의 연장부에 있는 원뿔형 리세스(72)를 포함하며, 그것의 바닥은 배출 밸브 시트(67)이다. 밸브 블록(44)은 내부에 유체 통로(73)가 있으며, 이 유체 통로는 메인 본체(4)에 있는 통로(20)의 제2 개구(22)와 연통하는 제1의 흡입 개구(74)와, 배출 밸브 시트(67)에 있는 제2의 배출 개구(75)를 추가로 포함한다.
지지 슬리브(49)에 필요한 장착부를 제공하기 위하여, 하우징(46) 내의 챔버(70)는 배출 밸브 조립체(48)의 장착부 근처에 3개의 호형 챔버 부분(78,80,82; 도 5참조)으로 분리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3개의 호형 챔버 부분(78,80,82)은 원주 길이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기본적으로, 챔버(70)는 배출 가스가 밸브 블록(44)을 통과하여 배출되도록 구성된다. 이 실시예에서, 밸브 블록(44)은 배출 밸브 시트(67)에서 배출 개구(75)를 둘러싸는 복수의 제1 배출 가스 흡입 통로(84)를 포함한다. 제1 배출 가스 흡입 통로(84)는 배출 밸브 시트(67) 둘레에 배열되는, 바람직하게는 원형으로 배열되는 각각의 출구(86)를 포함하며, 이러한 배열(array)은 배출 밸브 스템(50), 배출 밸브 시트(67) 및 통로(73)의 공통 축선에 축방향 중심으로 두고 있다. 적어도 출구(86)를 형성하는 제1 배출 가스 흡입 통로(84)의 부분은 통로(73)에 평행하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출구(86)는 밸브 블록(44)의 원뿔형 리세스(72)의 표면에 형성되며, 챔버(70)를 통과하는 흐름 방향을 기준으로 통로(73)의 배출 개구(75)의 하류에 위치된다. 밸브 블록(44)은 그 외면에 환형 챔버(88)를 추가로 구비하며, 이 환형 챔버는 제1 배출 가스 흡입 통로(84)와 일반적으로 연결되고, 배출 가스 공급원을 흡입 통로에 연결하기 위하여 메인 본체(4)의 도관(90)과 연통한다. 이 실시예에서는 도관(90)이 반경 방향으로 환형 챔버(88)를 향하지만, 다른 실시예에서는 접선 방향으로 향할 수 있다.
추가로, 챔버(70)는 배출 가스가 하우징(46)을 통과하여 배출되도록 구성된다. 이 실시예에서, 하우징(46)은 제1 배출 가스 흡입 통로(84)의 하류에 복수의 제2 배출 가스 흡입 통로(92)와 제3 배출 가스 흡입 통로(93)를 포함한다. 제2 배출 가스 흡입 통로(92)와 제3 배출 가스 흡입 통로(93)는 배출 밸브 시트(67) 둘레에 배열되는, 바람직하게는 원형으로 배열되는 각각의 출구(94,95)를 포함하여, 챔버(70)와 연통한다. 적어도 출구(94,95)를 포함하는 제2 배출 가스 흡입 통로(92)와 제3 배출 가스 흡입 통로(93)의 부분은 제1 배출 가스 흡입 통로(84)와 평행하고, 그에 따라 밸브 블록(44)의 통로(73)에도 또한 평행하다. 하우징(46)은 제2 배출 가스 흡입 통로(92) 및 제3 배출 가스 흡입 통로(93)에 일반적으로 연결되는 환형 챔버(96)와, 배출 가스 공급원을 흡입 통로에 연결하기 위하여 챔버(96)와 연통하는 도관(98)을 구비한다.
슬라이드 본체(16)는 그 사이에 간격을 두고 배치된 제1 및 제2 편향 수단(100), 즉 이 실시예에서는 압축 스프링에 의하여 메인 본체(4)에 대해 수직 활주 이동할 수 있게 장착된다. 각각의 편향 요소(100)는 각각의 나사 형성 부재(102)에 장착되고, 이들 나사 형성 부재(102)는 모두 슬라이드 본체(16)를 메인 본체(4)에 결합시킨다. 통상의 상태 또는 정지 상태에서, 슬라이드 본체(16)는 편향 요소(100)에 의하여 메인 본체(4)로부터 멀어지게 하방으로 편향되어 메인 본체(4)로부터 간극(103) 만큼 분리된다.
슬라이드 본체(16)는 메인 본체(4)의 하향 연장 부분(5)을 결합 관계로 활주 가능하게 수용하는 보어(104)를 포함한다. 슬라이드 본체(16)는 그 상면(106)에 돌기(105)를 추가로 포함하며, 이 돌기는 하향 연장 부분(5)의 둘레에서 메인 본체(4)의 하면(6)에 형성된 대응 리세스(107)와 상호 보완적이다. 보어(104)는 하향 연장 부분(5)을 둘러싸는 환형 시일(109)을 포함하여 그 사이에 유체 밀봉 시일을 형성한다. 하향 연장 부분(5)의 하부 말단(110)에는 그 아래에 환형의 밸브 스템 시일(112)이 마련되고, 이 시일은 메인 본체(4)의 통로(20)와 정렬된 중앙 개구(113)를 포함하며, 밸브 스템 시일(112)의 내경 및 외경은 통로(20)의 제3 개구(25)의 내경 및 보어(104)의 내경과 각각 실질적으로 일치한다. 보어(104)는 충전될 용기의 밸브 스템의 외경보다 큰 내경을 갖도록 구성된 챔버(116)를 형성한다. 챔버(116)는 메인 상부 섹션(122)과, 이 상부 섹션(122)보다 약간 작은 직경을 갖는 하부 섹션(123)을 포함하며, 이 하부 섹션은 충전될 용기의 밸브 스템이 연장하는 개구(124)를 형성한다. 슬라이드 본체(16)는 챔버(116)와 연통하는 도관(126)을 추가로 포함한다. 슬라이드 본체(16)는 챔버의 아래에 위치된 환형의 헤드 시일(131)을 추가로 구비하며, 이 시일은 챔버로의 개구(124)를 둘러싼다. 헤드 시일(131)은 슬라이드 본체(16)의 하부에 마련되는 시일 유지 블록(132)의 중앙 개구(133)에 유지된다. 시일 유지 블록(132)은 충전될 용기의 헤드를 수용하도록 그 블록의 하면(135)에 하향 연장 리세스(134)를 포함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실시예에서 충전 헤드(2)에 의하여 충전될 용기(138)는 의약 물질을 현탁액 또는 용액으로 함유하는 가압 상태의 추진제를 유지하는 저장 챔버(140)를 형성하는 본체(139)로 구성된다. 본체(139)는 계량 챔버(143)를 형성하는 둘레 하우징(142)이 있는 헤드(141)와, 하우징(142)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헤드(141)로부터 연장하는 밸브 스템(144)을 구비한다. 밸브 스템(144)은 연장 위치(도 7에 도시)와 후퇴 위치(도 8에 도시)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며, 밸브 스템(144)은 통상적으로 압축 스프링(145)에 의하여 연장 위치로 편향된다. 밸브 스템(144)은 밸브 스템(144)의 말단에 위치된 제1의 배출 개구(147)와 밸브 스템(144)의 측벽에 위치된 제2의 흡입 개구(148) 사이에서 연장하는 L형 도관(146)을 포함한다. 밸브 스템(144)은 항상 용기(138) 내에 배치되는 부분에 U형 도관(151)을 포함한다. U형 도관(151)은 밸브 스템(144)의 측벽에 축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위치된 제1 개구(153) 및 제2 개구(155)를 포함하여, 하우징(142)의 보어(156)를 매개로 용기(138)의 저장 챔버(140) 및 계량 챔버(143) 사이를 연통시킬 수 있다.
밸브 스템(144)이 연장 위치(도 7에 도시)에 있을 때, L형 도관(146)의 흡입 개구(148)는 용기(138)의 본체(139)의 외측에, 특히 용기(138) 내의 계량 챔버(143)로부터 멀리 떨어져 위치된다. 그에 따라, 밸브 스템(144)이 연장 위치에 있을 때, 용기(138)는 폐쇄되는데, 그 이유는 저장 챔버(140)와 밸브 스템(144)의 L형 도관(146) 사이에 연통 경로가 없기 때문이다. 연장 위치에서, U형 도관(151)은 제1 개구(153)와 하우징(142) 내의 보어(156)를 매개로 저장 챔버(140)와 연통하고, 제2 개구(155)를 매개로 계량 챔버(143)와 연통한다. 이 위치에서, 용기(138)가 역전된 상태로, 계량 챔버(143)는 충전된다.
밸브 스템이 후퇴 위치(도 8에 도시), 다시 말하면 충전 위치 또는 방출 위치 중 어느 한 위치에 있을 때, 밸브 스템(144)은 편향 요소(145)의 편향 작용에 대항하여 눌러지며, 그에 의하여 L형 도관(146)의 흡입 개구(148)가 계량 챔버(143)와 연통하게 이동되고, U형 도관(151)이 계량 챔버(143)와는 차단되고 단지 하우징(142)의 보어(156)를 매개로 저장 챔버(140)와만 연통하게 이동된다. 충전 작용에 있어서, 의약 물질을 용액 또는 현탁액으로 함유하는 가압 상태의 추진제는 L형 도관(146)과 계량 챔버(143)를 통해 하방으로 강제되고, 계량 챔버(143)의 바닥에서 밸브 스템(144)을 둘러싸는 환형 시일(166)을 지나가도록 강제되어 용기(138)의 저장 챔버(140)로 유입된다. 용기(138)로부터 의약 물질의 현탁액 또는 용액을 계량된 용적으로 함유하는 추진제를 방출하는 중에, 계량 챔버(143)에 존재하는 계량 용적의 현탁액 또는 용액은 계량 챔버(143)와 L형 도관(146)의 흡입 개구(148) 사이에 연통 경로를 마련함으로써 L형 도관(146)을 통하여 외측으로 흐를 수 있다. 이 방출 작용에 있어서, 시일(166)은 정확한 용적이 방출될 수 있도록 저장 챔버(140) 내의 추가의 현탁액 또는 용액이 계량 챔버(143)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 실시예에서, 충전 헤드(2)의 주요 구성 요소는 통상적으로 스테인리스 강으로 구성되고, 시일은 통상적으로 니트릴 고무로 구성된다. 유일한 예외는 다이어프램 시일 및 추진제와 접촉하는 시일이 통상적으로 PTFE로 구성되고, 밸브 블록(44)과 배출 밸브 스템(50)이 통상적으로 경질 스테인리스 강으로 구성된다는 것이다.
도 6은 의약 물질을 현탁액 또는 용액으로 계량된 용적으로 함유하는 가압 상태의 추진제로 용기(138)를 충전하는 전술한 충전 헤드(2)를 채용하는 충전 시스템을 도시한다.
충전 헤드(2)는 순환 라인(일반적으로 170으로 지시됨)에 포함되며, 여기서 의약 물질을 현탁액 또는 용액으로 함유하는 가압 상태의 추진제가 순환된다. 순환 라인(170)은 의약 물질을 현탁액 또는 용액으로 함유하는 추진제를 유지하는 혼합 용기(172)를 포함한다. 혼합 용기(172)는 순환 라인(170)의 나머지 부분과 마찬가지로 가압되어, 추진제는 가압 상태일 뿐 아니라, 추진제의 끊는 점이 실온보다 낮은 경우 액체로서 유지된다. 라인 176은 혼합 용기(172)의 출구(174)를 펌프(178)에 연결하고, 이 펌프(178)는 순환 라인(170) 둘레의 추진제를 송출하도록 제공된다. 다른 라인 180은 펌프(178)를 흡입 밸브(182)의 입구 측에 연결한다. 다른 라인 183은 흡입 밸브(182)의 출구 측을 계량 챔버(184)에 연결한다. 계량 챔버(184)는 흡입 밸브(182)의 개구에 있는 의약 물질을 현탁액 또는 용액으로 함유하는 계량된 용적의 추진제를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계량 용적은 충전 헤드(2)에 의하여 용기(138)로 도입될 것이 요구되는 용적과 일치한다. 또 다른 라인 186은 계량 챔버(184)를 충전 헤드(2), 구체적으로 충전 헤드(2)의 메인 본체(4)에 있는 흡입 도관(34)에 연결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흡입 도관(34)은 충전 밸브 스템(30)을 둘러싸는 챔버(31)와 연통하고, 그에 따라 배출 도관(35)과 연통한다. 또 다른 라인 188은 충전 헤드(2), 구체적으로 충전 헤드(2)의 메인 본체(4)에 있는 배출 도관(35)을 배출 밸브(190)의 흡입 측에 연결한다. 또 다른 라인 192는 배출 밸브(190)의 배출 측을 혼합 용기(172)의 입구(194)에 연결하고, 그에 의하여 순환 라인(170)을 완성한다. 충전 시스템은 바이패스 밸브(196)를 추가로 구비하며, 이 밸브는 흡입 밸브(182)의 입구 측과 배출 밸브(190)의 출구 측 사이에서 연결된 라인(198)에 마련된다.
의약 물질을 현탁액 또는 용액으로 함유하는 계량된 용적의 가압 상태의 추진제로 용기(138)를 충전하고, 뒤이어 의약 물질을 함유하는 가압 상태의 잔류 추진제를 배출하는 충전 헤드(2)의 작동을 도 6 내지 도 13을 참고로 이하에서 설명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제1 단계에서, 충전될 용기(138)의 헤드(141)는 슬라이드 본체(16)의 시일 유지 블록(132)에 있는 하향 연장 리세스(134) 내에 위치된다. 이 위치에서, 용기(138)의 헤드(141)는 헤드 시일(131)을 지지하고, 용기(138)의 밸브 스템(144)의 말단은 밸브 스템 시일(112)을 지지하며, 밸브 스템(144)은 편향 요소(145)에 의하여 연장 위치로 압박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챔버(116)는 밸브 스템 시일(112)과 헤드 시일(131)에 의하여 밀봉된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용기(138)의 바닥은 상방으로 지지 및 압박된다. 추가로, 이 위치에서, 편향 요소(100)는 슬라이드 본체(16)를 메인 본체(4)로부터 멀어지게 압박하여 그 사이에 간극(103)을 제공하고, 충전 밸브 조립체(19)와 배출 밸브 조립체(48)는 모두 폐쇄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제2 단계에서, 작동 굴대(14)는 메인 본체(4)와, 이 메인 본체에 배치된 충전 액츄에이터(7) 및 배출 액츄에이터(10)를 편향 요소(100)의 편향에 대항하여 슬라이드 본체(16)에 대하여 하방으로 이동시킨다. 이러한 이동으로 인해, 돌기(105)가 리세스(107)를 통과하여 간극(103)이 폐쇄된다. 추가로, 메인 본체(4)의 하향 연장 부분(5)은 밸브 스템 시일(112)을 매개로 용기(138)의 밸브 스템(144)의 말단에 대하여 압박되고, 그에 의하여 밸브 스템(144)을 후퇴된 개방 위치로 하방으로 밀며, 이 위치에서 밸브 스템(144)의 L형 도관(146)의 흡입 개구(148)는 용기(138)의 계량 챔버(143)와 연통하며, 밸브 스템(144)의 U형 도관(151)은 용기(138)의 저장 챔버(140)와만 연통하게 위치되고, 계량 챔버(143)와는 연통하지 않는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제3 단계에서, 충전 밸브 조립체(29)는 충전 밸브 스템(30)의 밸브 밀봉 단부(32)를 밸브 시트(33)로부터 견인함으로써 개방된다. 그 다음에, 계량 챔버(184)에 존재하는 의약 물질을 현탁액 또는 용액으로 함유하는 계량 용적의 추진제가 흡입 도관(34), 환형 챔버(31), 통로(20), 밸브 스템(144)의 L형 도관(146), 용기(138)의 계량 챔버(143), 그리고 시일(166)을 지나서 하우징(42)의 보어(156)를 매개로 용기(138)의 저장 챔버(140)로 유입된다.
충전 밸브 조립체(29)를 개방하기 이전에, 순환 라인(170)의 흡입 밸브(182)와 배출 밸브(190)는 폐쇄된다. 흡입 밸브(182) 및 배출 밸브(190)가 폐쇄된 경우, 흡입 밸브(182)를 계량 챔버(184)에 연결하는 라인 183과, 계량 챔버(184)를 충전 헤드(2)에 연결하는 라인 186과, 충전 헤드(2)를 배출 밸브(190)의 입구 측에 연결하는 라인 188은 의약 물질을 현탁액 또는 용액으로 함유하는 추진제로 가득하다. 계량 챔버(184)가 빈 경우, 계량 챔버(184)에 의하여 계량된 용적과 동일한 의약 물질을 함유하는 가압 상태의 소정 용적의 추진제가 라인(186)을 통과하여, 입구 도관(34)을 통해 충전 헤드(2)로 유입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의약 물질을 현탁액 또는 용액으로 함유하는 정확하게 계량된 용적의 추진제가 용기(138)에 도입된다. 펌프(178)를 연속적으로 작동하고, 그에 의하여 의약 물질을 포함하는 추진제를 순환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흡입 밸브(182)와 배출 밸브(190)가 폐쇄될 때, 바이패스 밸브(196)가 개방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제4 단계에서, 의약 물질을 현탁액 또는 용액으로 함유하는 계량된 용적의 추진제가 용기(138)에 도입된 후에, 충전 밸브 조립체(29)는 충전 밸브 스템(30)의 밸브 밀봉 단부(32)를 밸브 시트(33)에 대하여 편향시킴으로써 폐쇄된다. 그 후에, 충전 작업의 말에 의약 물질을 함유하는 추진제가 주위로 돌발적으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2개의 개별적인 작업이 시작된다.
제1 작업에서, 슬라이드 본체(16)의 도관(126)에 가압 유체가 공급된다. 이 유체는 챔버(116)의 밀봉 재킷과, 헤드 시일(131)의 내측 둘레와 용기(138)의 밸브 스템(144)의 측벽 사이의 공간에 제공된다. 이 유체는 메인 본체(4)의 통로(20)와 용기(138)의 밸브 스템(144)에 남아있는 의약 물질을 함유하는 가압 상태의 추진제의 증기압보다 큰 압력으로 공급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유체는 가스이다. 바람직하게는, 가스는 공기 또는 질소 중 하나이다.
제2 작업에서, 배출 가스, 바람직하게는 공기 또는 질소 중 하나는 제1 배출 가스 흡입 통로(84), 제2 배출 가스 흡입 통로(92), 제3 배출 가스 흡입 통로(93)를 매개로 배출 액츄에이터(10)의 챔버(70)로 가압 상태로 도입된다. 배출 가스는 약 35℃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35℃ 내지 50℃ 사이의 온도로 가열되어, 챔버(70)를 통하여 배출되는 의약 물질을 함유하는 추진제가 그 내부에서 다시 액화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통상적으로, 공기가 배출 가스로서 이용되는 경우, 질량 유량은 0.1 내지 10 g/초, 바람직하게는 2g/초 정도이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제5 단계에서, 작동 굴대(14)는 부분적으로 상승되어, 용기(138)의 밸브 스템(144)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은 연장 위치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은 후퇴 위치 사이의 중간 위치로 부분적으로 해제된다. 이러한 중간 위치에서, 용기(138)의 밸브 스템(144)에 있는 L형 도관(146)의 흡입 개구(148)는 상승되어, 용기(138)의 계량 챔버(143)와 연통하지 않지만, 헤드 시일(131)의 내부 둘레 표면과 용기(138)의 밸브 스템(144)의 측벽 사이에 형성된 공간(167)과 연통하고, 챔버(116)가 이 공간과 연통한다. 밸브 스템(144)의 L형 도관(146)과 메인 본체(4)의 통로(20)에 존재하는 의약 물질을 함유하는 가압 상태의 추진제는 도관(126)을 매개로 공급된 유체의 과압(overpressure)의 결과로서 밸브 스템(144)에 있는 흡입 개구(148)를 매개로 그로부터 배출되는 것이 방지된다. 그에 따라, 충전 작용에 뒤이어, 그리고 용기(138)의 밸브 스템(144)이 충전 헤드(2)와 여전히 연통하는 중에, L형 도관(146)을 포함하는 밸브 스템(144)의 부분 둘레에 가압 유체의 밀봉 재킷을 마련함으로써, 밸브 스템(144)의 L형 도관(146)과 메인 본체(4)의 통로(20)에 남아있는 의약 물질을 함유하는 가압 상태의 추진제가 밸브 스템(144)의 흡입 개구(148)를 통하여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며, 그렇지 않으면 의약 물질을 함유하는 추진제가 충전 헤드(2)로부터 용기(138)를 제거함에 따라 주위로 배출된다.
밸브 스템(144)이 그러한 중간 위치에 있을 때, 용기(138)의 계량 챔버(143)는 주위와 차단되는데, 그 이유는 밸브 스템(144)의 L형 도관(146)이 계량 챔버(143)와 연통하지 않고, 오히려 용기(138)의 외측, 특히 헤드 시일(131)의 내부 둘레 표면과 밸브 스템(144)의 측벽 사이에 형성된 공간(167)과 연통하며, 챔버(116)가 그와 연통하기 때문이다. 이 중간 위치에 밸브 스템(144)을 마련함으로써, 계량 챔버(143)에 존재하는 의약 물질을 함유하는 가압 상태의 추진제는 그 계량 챔버로부터 배출될 수 없으며, 그에 따라 밸브 스템(144)의 L형 도관(146)과 메인 본체(4)의 통로(20)에 존재하는 의약 물질을 함유하는 추진제만이 배출될 필요가 있다. 충전 작업에 뒤이어, 그리고 배출 작업 중에 흡입 개구(148)를 포함하는 밸브 스템(144)의 부분 둘레에 과압 유체의 밀봉 재킷을 마련함으로써, 용기(138)가 충전 헤드(2)로부터 궁극적으로 제거될 때(도 13에 도시된 최종의 단계), 의약 물질을 함유하는 어떠한 잔류의 추진제도 바람직하게도 배출 액츄에이터(10)를 통하여 배출되기 전에는 밸브 스템(144)의 L형 도관(146)과 메인 본체(4)의 통로(20)로부터 배출될 수 없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제6 단계에서, 배출 밸브 조립체(48)는 배출 밸브 스템(50)의 밸브 밀봉 단부(51)를 배출 밸브 시트(67)로부터 견인함으로써 개방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밸브 스템(144)의 L형 도관(146)과, 메인 본체(4)의 통로(20)와 배출 액츄에이터(10)의 챔버(70) 사이에 연통 경로가 마련된다. 배출 밸브 조립체(48)의 개방 시에 의약 물질을 함유하는 추진제로부터 압력을 해제함으로써, 추진제는 기체로서 증발되어 밸브 블록(44)의 통로(73)를 통하여 챔버(70)로 배출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추진제와 그 안에 함유된 의약 물질은 모두 밸브 스템(144)의 L형 도관(146)과 메인 본체(4)의 통로(20)로부터 챔버(70)로 배출된다. 제1 배출 가스 흡입 통로(84), 제2 배출 가스 흡입 통로(92), 제3 배출 가스 흡입 통로(93)를 통한 배출 가스의 흐름은 밸브 블록(44)의 통로(73)로부터 유출되는 가스 흐름에 평행하게 제공된다. 이러한 구조로 인하여, 한편으로 밸브 블록(44)의 통로(73)로부터 배출되는 의약 물질을 수반하는 기상 추진제와 다른 한편으로 그 통로의 하류에서 제1 배출 가스 흡입 통로(84), 제2 배출 가스 흡입 통로(92), 제3 배출 가스 흡입 통로(93)를 통한 배출 가스 흐름 사이에는 실질적으로 정렬된 흐름이 발생된다. 이러한 구조는 메인 본체(4)의 통로(20)와 밸브 스템(144)의 L형 도관(146)으로부터 배출되는 의약 물질과 추진제를 수반하는 챔버(70) 내의 가스의 균일한 흐름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배출 가스의 질량 유량은 추진제가 증발할 때 챔버(70)로 흐르는 기상 추진제의 최대 질량 유량보다 적어도 10배 이상 크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필터를 채용하는 진공 펌프가 배출되는 의약 물질을 포획하도록 배출 튜브(71)에 연결된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제7 단계에서, 배출 밸브 조립체(48)는 배출 밸브 시트(67)에 대하여 배출 밸브 스템(50)의 밸브 밀봉 단부(51)를 압박함으로써 폐쇄되고, 흡입 개구(148)를 포함하는 밸브 스템(144)의 부분 둘레에 밀봉 재킷을 제공하도록 슬라이드 본체(16)의 도관(126)에 공급된 유체는 종결되고, 제1 배출 가스 흡입 통로(84), 제2 배출 가스 흡입 통로(92), 제3 배출 가스 흡입 통로(93)로 공급된 배출 가스는 종결된다. 작동 굴대(14)는 상승되고, 그에 의하여 용기(138)에 대하여 충전 헤드(2)가 다시 상승되어, 슬라이드 본체(16)는 메인 본체(4)로부터 통상의 간극을 두고 배치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밸브 스템(144)은 중간 위치로부터 연장 위치로 상승되고, 그에 의하여 용기(138)의 계량 챔버(143)가 밸브 스템(144)의 U형 도관(151)을 매개로 용기(138)의 저장 챔버(140)와 연통하게 한다.
마지막 단계에서, 용기(138)는 추진제 및 의약 물질이 주위로 돌발적으로 누설되는 것 없이 충전 헤드(2)로부터 제거된다. 그에 따라, 충전 헤드(2)는 다음의 용기에 대한 충전 사이클을 시작할 준비가 된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첨부된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많은 다른 방법으로 변형될 수 있다는 것을 당업자는 이해할 수 있다.

Claims (18)

  1. 의약 물질과 같은 물질을 현탁액 또는 용액으로 함유하는 가압 상태의 추진제를 용기에 도입하는 충전 장치로서,
    사용 시에, 용기(138)의 본체(139)의 헤드(141)로부터 연장하는 밸브 스템(144)과 연통하는 통로(20)가 있는 메인 본체(4)와,
    물질을 현탁액 또는 용액으로 함유하는 가압 상태의 추진제를 통로에 선택적으로 도입하도록 통로(20)와 연통하는 충전 밸브 조립체(29)를 포함하는 충전 액츄에이터(7)와,
    물질을 함유하는 가압 상태의 추진제를 통로로부터 선택적으로 배출하도록 통로(20)와 연통하는 배출 밸브 조립체(48)를 포함하는 배출 액츄에이터(10)와,
    사용 시에, 용기(138)의 본체(139)의 헤드(141)를 수용하도록 통로(20)와 연통하는 용기-결합 본체(16; container-engaging body)
    를 구비하며,
    상기 용기-결합 본체(16)는 용기(138)의 밸브 스템(144)보다 반경 방향 치수가 큰 챔버(116)를 포함하며, 사용 시에 용기(138)의 밸브 스템(144)과, 챔버(116)와 연통하는 도관(126)이 그 챔버로 연장하여 그곳에 가압 유체를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138)는 밸브 스템(144)에 의하여 본체(139)에 의해 형성된 저장 챔버(140) 및 주위와 선택적으로 연통될 수 있는 계량 챔버(143)를 추가로 구비하며, 메인 본체(4)와 용기-결합 본체(16)는 서로에 대하여 이동 가능하며, 이에 의하여 용기(138)의 밸브 스템(144)은 폐쇄된 연장 위치, 개방된 후퇴 위치, 또는 그 사이의 중간 위치에 선택적으로 위치될 수 있고, 상기 중간 위치에서 용기(138)의 계량 챔버(143)는 주위와 차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결합 본체(16)를 메인 본체(4)로부터 멀어지게 편향시키는 편향 수단(100)을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편향 수단(100)은 메인 본체(4)와 용기-결합 본체(16) 사이에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압축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 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본체(4)는 통로(20)가 연장하는 외측 연장 부분(5)을 포함하며, 이 외측 연장 부분은 용기-결합 본체(16)의 보어(104) 내에 밀봉식으로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본체(4)의 외측 연장 부분(5)의 말단에 배치되는 환형 시일(112)을 추가로 구비하며, 이 시일(112)은 사용 시에 용기(138)의 밸브 스템(144)의 말단과 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 장치.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결합 본체(16)는 챔버(116)의 하단 둘레에 배치되는 환형 시일(131)을 구비하며, 이 시일은 사용 시에 밸브 스템(144)을 둘러싸는 용기(138)의 본체(139)의 헤드(141)와 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환형 시일(131)은 O-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 장치.
  9. 제2항 또는 제3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본체(4)와 용기-결합 본체(16)의 마주하는 표면(6,106)에는 하나 이상의 돌기(105)와 하나 이상의 리세스(107) 중 어느 하나 또는 다른 하나가 마련되어, 메인 본체(4)와 용기-결합 본체(16)가 함께 이동할 때, 하나 이상의 돌기(105)는 하나 이상의 리세스(107) 내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 장치.
  10. 의약 물질과 같은 물질을 현탁액 또는 용액으로 함유하는 가압 상태의 추진제를 용기로 도입하며, 제1항 내지 제9항에 따른 충전 장치를 채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 시스템.
  11. 의약 물질과 같은 물질을 현탁액 또는 용액으로 함유하는 가압 상태의 추진제를 용기에 도입하는 도입 방법으로서,
    저장 챔버(140)를 형성하는 본체(139)와, 이 본체(139)의 헤드(141)로부터 연장하는 밸브 스템(144)을 구비하는 용기(138)를 제공하는 단계로서, 상기 밸브 스템(144)은 배출 개구(147)와 측방향 흡입 개구(148)를 포함하고, 이 스템은 측방향 흡입 개구(148)가 본체(139)의 외측에 위치하는 폐쇄된 연장 위치와 측방향 흡입 개구(148)가 본체(139) 내에 위치되는 개방된 후퇴 위치 사이에서 이동하는 그러한 단계와,
    밸브 스템(144)의 배출 개구(147)를 충전 장치(2)의 메인 본체(4)에 있는 통로(20)와 연통시키는 단계로서, 상기 충전 장치(2)는 물질을 현탁액 또는 용액으로 함유하는 가압 상태의 추진제를 통로(20)에 선택적으로 도입하기 위한 충전 밸브 조립체(29)를 포함하는 충전 액츄에이터(7)와, 물질을 함유하는 가압 상태의 추진제를 통로(20)로부터 선택적으로 배출하기 위한 배출 밸브 조립체(29)를 포함하는 배출 액츄에이터(10)를 구비하는 그러한 단계와,
    충전 밸브 조립체(29)를 개방하여, 물질을 현탁액 또는 용액으로 함유하는 가압 상태의 추진제로 용기(138)의 저장 챔버(140)를 충전하는 단계와,
    충전 밸브 조립체(29)를 폐쇄하는 단계와,
    통로(20)와 용기(138)의 밸브 스템(144)에 있는 물질을 함유하는 가압 상태의 추진제가 배출되도록 배출 밸브 조립체(48)를 개방하는 단계와,
    통로(20)와 용기(138)의 밸브 스템(144)으로부터 물질을 함유하는 가압 상태의 추진제를 배출하도록 배출 밸브 조립체(48)가 개방될 때, 측방향 흡입 개구(148)를 포함하며 용기(138)의 본체(139)로부터 연장하는 용기(138)의 밸브 스템(144)의 부분을 가압 유체로 둘러싸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입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장치(2)는 그것의 메인 본체(4)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용기-결합 본체(16)를 추가로 구비하며, 이 용기-결합 본체는 밸브 스템(144)을 포함하는 용기(138)의 헤드(141)를 수용하도록 구성되며, 이 도입 방법은 용기-결합 본체(16)를 충전 장치(2)의 메인 본체(4)로부터 멀리 편향시키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입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충전 장치(2)의 메인 본체(4)는 통로(20)가 연장하는 외측 연장 부분(5)을 구비하며, 이 외측 연장 부분은 용기-결합 본체(16)의 보어(104) 내에 밀봉식으로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입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본체(4)의 외측 연장 부분(5)의 말단을 용기(138)의 밸브 스템(144)의 말단에 대하여 밀봉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입 방법.
  15. 제1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138)는 밸브 스템(144)에 의하여 주위 및 본체(139)에 의해 형성되는 저장 챔버(140)와 선택적으로 연통할 수 있는 계량 챔버(143)를 추가로 구비하며, 메인 본체(4)와 용기-결합 본체(16)는 서로에 대하여 이동 가능하며, 이에 의해 용기(138)의 밸브 스템(144)은 폐쇄된 연장 위치, 개방된 후퇴 위치, 또는 그 사이의 중간 위치에 선택적으로 위치될 수 있고, 상기 중간 위치에서 용기(138)의 계량 챔버(143)는 주위와 차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입 방법.
  16. 제1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 유체는 물질을 함유하는 가압 상태의 추진제의 증기압보다 큰 압력으로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입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는 가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입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는 공기 또는 질소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입 방법.
KR1020007011634A 1998-04-21 1999-04-21 용기를 충전하는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10066376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SE9801400-4 1998-04-21
SE9801400A SE9801400D0 (sv) 1998-04-21 1998-04-21 Method and apparatus for filling container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42861A true KR20010042861A (ko) 2001-05-25
KR100663768B1 KR100663768B1 (ko) 2007-01-03

Family

ID=204110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7011634A KR100663768B1 (ko) 1998-04-21 1999-04-21 용기를 충전하는 방법, 장치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6)

Country Link
US (2) US20010011563A1 (ko)
EP (1) EP1084059B1 (ko)
JP (1) JP4150164B2 (ko)
KR (1) KR100663768B1 (ko)
CN (1) CN1127426C (ko)
AT (1) ATE262450T1 (ko)
AU (1) AU753812B2 (ko)
BR (1) BR9909814A (ko)
CA (1) CA2329026C (ko)
DE (1) DE69915826T2 (ko)
IL (1) IL139192A0 (ko)
NO (1) NO318574B1 (ko)
NZ (1) NZ507702A (ko)
SE (1) SE9801400D0 (ko)
WO (1) WO1999054212A1 (ko)
ZA (1) ZA20000567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E9801398D0 (sv) * 1998-04-21 1998-04-21 Astra Pharma Prod Method and apparatus for filling containers?
SE0101597D0 (sv) * 2001-05-09 2001-05-09 Astrazeneca Ab Apparatus and method of testing pressurised containers by non-invasive means
US8448677B2 (en) * 2009-06-09 2013-05-28 Surface Technologies Ip Ag Apparatus and method for refilling a refillable container
CN102673815A (zh) * 2012-04-26 2012-09-19 太仓市弧螺机电有限公司 一种自动装罐装置
US9248416B2 (en) 2012-09-14 2016-02-02 Marc C. Striebinger Apparatus for the pressurization and evacuation of a container
JP2018536562A (ja) * 2015-12-14 2018-12-13 カーハーエス コーポプラスト ゲーエムベーハー 圧力下でプリフォーム内へ導入される充填物によってプリフォームから液状の充填物で充填された容器を製造するための方法及び装置
US10179690B2 (en) 2016-05-26 2019-01-15 Rai Strategic Holdings, Inc. Aerosol precursor composition mixing system for an aerosol delivery device
FR3062115B1 (fr) * 2017-01-25 2019-03-29 Gb Developpement Procede de fabrication d’un dispositif distributeur de produit
CN109850233B (zh) * 2019-03-18 2024-03-08 扬州美达灌装机械有限公司 一种高精度微量抛射剂充填机及其使用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505799A (en) 1945-06-22 1950-05-02 Jessie F Smith Filler head with fluid pressure operated valve and discharge orifice clear out meanscombined with fluid metering means
US2641399A (en) 1949-12-08 1953-06-09 Carter Prod Inc Method for charging liquid products and volatile propellants into pressure containers
US2746796A (en) 1953-08-05 1956-05-22 Pharma Craft Corp Metering valve aerosol bottle
US2763415A (en) 1955-05-27 1956-09-18 Tully J Bagarozy Filling head
US3013591A (en) 1959-12-04 1961-12-19 Kartridg Pak Co Pressure filler head of pressure-dispensed products and method
US3186451A (en) * 1962-04-06 1965-06-01 Kartridg Pak Co Filling apparatus
DE1924386U (de) 1963-05-29 1965-09-23 Robert Henry Abplanalp Aerosolspender.
US3386479A (en) * 1965-04-09 1968-06-04 Edward H. Green Method of filling aerosol containers and aerosol valve structure adapted for such method
DE1551620C3 (de) 1967-07-05 1975-08-07 Siebel, Carl Gisbert, 4000 Duesseldorf Füllkopf zum Füllen einer Druckentnahmepackung mit einem unter Druck stehenden, vorzugsweise verflüssigten Treibgas
CH469223A (it) 1967-07-29 1969-02-28 Coster Tecnologie Speciali Spa Testa per riempire contenitori, quali contenitori per aerosol, con una quantita prestabilita di un fluido
US3556175A (en) 1968-11-12 1971-01-19 Gould National Batteries Inc Liquid filling apparatus
US3636993A (en) 1968-12-31 1972-01-25 Ciba Geigy Corp Adapter for filling head for filling aerosol dispenser
US3651997A (en) 1970-03-23 1972-03-28 Risdon Mfg Co Combined pressure filling and dispensing control valve for aerosol containers
US3642035A (en) 1970-07-17 1972-02-15 Ciba Geigy Corp Device for the filling of dispersers of the aerosol type having a separate self-contained propulsion unit
US3748818A (en) 1971-08-09 1973-07-31 Kartridg Pak Co Container filling apparatus
US3993111A (en) 1975-05-15 1976-11-23 Horix Manufacturing Company Container-filling machine with level sensing and blowdown
US4084626A (en) 1976-11-24 1978-04-18 King Alfred T Automatically operational net weight filling machine
BR8200115A (pt) * 1981-01-13 1982-11-03 Wrightcel Ltd Aparelho para enchimento de recipientes felxiveis
GB8624670D0 (en) 1986-10-15 1986-11-19 Glaxo Group Ltd Valve for aerosol container
FR2623875B1 (fr) 1987-11-30 1990-04-27 Valois Dispositif pour le remplissage en gaz d'un recipient aerosol au travers d'une pompe sertie sur ce recipient
US4999976A (en) 1989-08-03 1991-03-19 The Kartridg Pak Co. Means and method for ultrasonic gassing of aerosols
US5345980A (en) 1989-09-21 1994-09-13 Glaxo Group Limited Method and apparatus an aerosol container
US5247777A (en) 1991-11-05 1993-09-28 The Kartridg Pak Co. Crimper-propellant fill head
EP0633190A1 (de) 1993-07-07 1995-01-11 Ciba-Geigy A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Befüllen von Aerosolbehältern
US5329975A (en) 1993-09-22 1994-07-19 Heitel Robert G Apparatus for pressurizing containers and carbonating liquids
US5992478A (en) 1996-07-08 1999-11-30 The Boc Group,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filling containers with gas mixtures
US5820102A (en) 1996-10-15 1998-10-13 Superior Valve Company Pressurized fluid storge and transfer system including a sonic nozzle
US6003547A (en) 1997-08-04 1999-12-21 Tippmann Pneumatics, Inc. Valve and filling arrangement
US6135167A (en) 1998-07-14 2000-10-24 Kiholm Industries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a filler valv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150164B2 (ja) 2008-09-17
IL139192A0 (en) 2001-11-25
NO20005283D0 (no) 2000-10-20
NO318574B1 (no) 2005-04-11
CN1127426C (zh) 2003-11-12
JP2002512159A (ja) 2002-04-23
DE69915826T2 (de) 2005-03-17
DE69915826D1 (de) 2004-04-29
NO20005283L (no) 2000-12-20
NZ507702A (en) 2003-07-25
BR9909814A (pt) 2000-12-19
CN1306486A (zh) 2001-08-01
US6691746B2 (en) 2004-02-17
WO1999054212A1 (en) 1999-10-28
CA2329026C (en) 2005-06-07
KR100663768B1 (ko) 2007-01-03
AU4178799A (en) 1999-11-08
CA2329026A1 (en) 1999-10-28
EP1084059B1 (en) 2004-03-24
SE9801400D0 (sv) 1998-04-21
EP1084059A1 (en) 2001-03-21
US20030110740A1 (en) 2003-06-19
US20010011563A1 (en) 2001-08-09
AU753812B2 (en) 2002-10-31
ZA200005673B (en) 2002-01-14
ATE262450T1 (de) 2004-04-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0042861A (ko) 용기를 충전하는 방법, 장치 및 시스템
US4441634A (en) Dispenser adapted for fast pressure filling
KR100574611B1 (ko) 용기를 충전하는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100663767B1 (ko) 용기를 충전하는 방법, 장치 및 시스템
EP1336822A2 (en)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valves for dispensers
MXPA00010189A (e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filling containers
MXPA00010188A (e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filling containers
MXPA00010186A (e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filling containe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