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41391A - 코드 및 시분할 멀티플렉스를 기초로 하는 tdd 무선통신 시스템 - Google Patents

코드 및 시분할 멀티플렉스를 기초로 하는 tdd 무선통신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41391A
KR20010041391A KR1020007009520A KR20007009520A KR20010041391A KR 20010041391 A KR20010041391 A KR 20010041391A KR 1020007009520 A KR1020007009520 A KR 1020007009520A KR 20007009520 A KR20007009520 A KR 20007009520A KR 20010041391 A KR20010041391 A KR 200100413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me slot
time
communication system
downlink
upli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70095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81932B1 (ko
Inventor
에리히 캄퍼슈뢰어
우베 슈바르크
Original Assignee
칼 하인쯔 호르닝어
지멘스 악티엔게젤샤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칼 하인쯔 호르닝어, 지멘스 악티엔게젤샤프트 filed Critical 칼 하인쯔 호르닝어
Publication of KR200100413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413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819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81932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24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 H04B7/26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at least one of which is mobil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24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 H04B7/26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at least one of which is mobile
    • H04B7/2618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at least one of which is mobile using hybrid code-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TDM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ime-Division Multiplex Systems (AREA)

Abstract

TDD 통신 시스템이 DECT 시스템과 같은 공지된 TDD 시스템에 비해 향상된 성능 및/또는 향상된 스펙트럼 효율을 갖도록 하기 위해, TDD 모드에서 각각의 통신 접속에 대해 타임 슬롯 쌍, 즉 "다운링크" 타임 슬롯(ZS'DOWN) 및 "업링크" 타임 슬롯(ZS'UP)은 동일한 캐리어 주파수(FR1...FR12)에 할당되는 "다운링크" 타임 슬롯(ZS'DOWN) 과 "업링크" 타임 슬롯(ZS'UP) 사이의 간격(AS5)이 시간 멀티플렉스 프레임(ZMR) 길이의 일부이도록 선택되며, 상기 간격은 고정되거나 또는 가변된다.

Description

코드 및 시분할 멀티플렉스를 기초로 하는 TDD 무선 통신 시스템 {TDD TELECOMMUNICATIONS SYSTEMS WITH WIRELESS TELECOMMUNICATION BASED ON CODE AND TIME-DIVISION MULTIPLEX}
이동 및/또는 고정 송수신 장치 간의 무선 통신 시스템은 정보 소오스와 정보 싱크 사이의 정보 전송 구간을 가진 특수한 정보 시스템이다. 여기서는, 예컨대 기지국과 이동 부품이 정보 처리 및 전송을 위해 송수신 장치로서 사용되고,
1) 정보 처리 및 정보 전송이 하나의 바람직한 전송 방향(심플렉스 동작)으로 또는 2개의 전송 방향(듀플렉스 동작)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2) 정보 처리가 바람직하게는 디지탈로 이루어지며,
3) 정보 전송이 원격 전송 구간을 통해 무선으로 정보 전송 구간의 다중 이용을 위한 여러 가지 정보 전송 방법을 기초로 이루어진다. 상기 정보 전송 구간의 다중 이용을 위한 여러가지 방법에는 하기와 같은 것이 있다. FDMA(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및/또는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이 방법들은 예컨대
DECT [Digital Enhanced(이전에는: European) Cordless Telecommunication; 참고 ETSI-Publikation ETS 300175-1, 1992 10월 및 DECT-Publikation des DECT-Forum, 1997 2월, 페이지 1 내지 16과 관련한 Nachrichtentechnik Elektronik 42 (1992), Jan./Feb. No. 1, 베를린, DE; U. Pilger "Struktur des DECT-Standards", 페이지 23 내지 29],
GSM [Group Speciale Mobile oder 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참고 Informatik Spektrum 14 (1991) 6월, No 3, 베를린, DE; Publikation telekom praxis 4/1993, P. Smolka "GSM-Funkschnittstelle - Elemente und Funktionen", 페이지 17 내지 24와 관련해서 A. Mann: "Der GSM-Standard - Grundlage fuer digitale europaeische Mobilfunknetze", 페이지 137 내지 152,
UMTS [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ystem; 참고 (1): Nachrichtentechnik Elektronik, 베를린 45, 1995, 제 1권, 페이지 10 내지 14 및 제 2권, 페이지 24 내지 27; P. Jung, B. Steiner: "Konzept eines CDMA-Mobilfunksystems mit gemeinsamer Detektion fuer die dritte Mobilfunkgeneration"; (2): Nachrichtentechnik Elektronik, 베를린 41, 1991, 제 6권, 페이지 223 내지 227 및 페이지 234; P.W. Baier, P. Jung, A. Klein;:"CDMA -ein guenstiges Vielfachzugriffsverfahren fuer frequenzselektive und zeitvariante Mobilfunkkanaele"; (3): IEICE Tramsactions on Fundamentals of Electronics, Communications and Computer Sciences, Vol. E79-A, No 12, 1996 12월, 페이지 1930 내지 1937; P.W. Baier, P. Jung: "CDMA Myths and Realities Revisited"; (4): IEEE Personal Communications, 1995 2월, 페이지 38 내지 47; A.Urie, M.Streeton, C.Mourot: "An Advanced TDMA Mobile Access System for UMTS"; (5): telekom praxis, 5/1995, 페이지 9 내지 14; P.W. Baier: "Spread-Spectrum-Technik und CDMA - eine urspruenglich militaerische Technik erobert den zivilen Bereich"; (6): IEEE Personal Communications, February 1995, 페이지 48 내지 53; P.G. Andermo, L.M. Ewerbring: "An CDMA-Based Radio Access Design for UMTS"; (7): ITG Fachberichte 124(1993), Berlin, Offenbach: VDE Verlag ISBN 3-8007-1965-7, 페이지 67 내지 75; Dr. T. Zimmermann, Siemens AG: "Anwendung von CDMA in der Mobilkommunikation"; (8): telcom report 16, (1993), 제 1권, 페이지 38 내지 41; Dr. T. Ketseoglou, Siemens AG und Dr, T.Zimmermann, Siemens AG: "Effizienter Teilnehmerzugriff fuer die 3. Generation der Mobilkommunikation -Vielfachzugriffsverfahren CDMA macht Luftschnittstelle flexibler"; (9): Funkschau 6/98: R.Sietmann "Ringen um die UMTS-Schnittstelle", 페이지 76 내지 81] WACS 또는 PACS, IS-54, IS-95, PHS, PDC 등 [ 참고: IEEE Communications Magazine, January 1995, 페이지 50 내지 57; D.D. Falconer 등: "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Methods for Wireless Personal Communications"]
등과 같은 무선 표준에 따른다.
"정보"는 내용 뿐만 아니라 물리적 표시(신호)에 대한 상위 개념이다. 정보의 내용이 동일하다 할지라도 상이한 신호 형태가 나타날 수 있다. 예컨대, 하나의 대상에 관련된 정보는
1) 화상의 형태로
2) 음성 워드로서
3) 문자 워드로서
4) 암호화된 워드 또는 화상으로 전송될 수 있다.
(1)...(3)에 따른 전송 방식은 정상적으로 연속하는(아날로그) 신호로 특성화되는 한편, (4)에 따른 전송 방식에서는 통상의 불연속 신호(예컨대 펄스, 디지탈 신호)가 형성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다운 링크" 에서 WCDMA/FDD 에어 인터페이스의 "3 평면 구조",
도 2는 "업 링크"에서 WCDMA/FDD 에어 인터페이스의 "3 평면 구조",
도 3은 TDCDMA/TDD 에어 인터페이스의 "3 평면 구조",
도 4는 주파수/시간/코드 멀티플렉스에 따른 채널 다중 이용을 갖는 무선 시나리오,
도 5는 송수신 장치로 형성된 기지국의 구성,
도 6은 송수신 장치로 형성된 이동국의 구성,
도 7은 DECT 전송 타임 프레임을 나타낸다.
UMTS-시나리오(제 3 이동 무선 세대 또는 IMT-2000)에는 예컨대 간행물 Funkschau 6/98: R.Sietmann "Ringen um die UMTS-Schnittstelle", 페이지 76 내지 81에 따라 2개의 부분 시나리오가 제공된다. 제 1 시나리오에서는 허가된 좌표 이동 무선이 WCDMA-기술(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을 기초로 하고 GSM에서와 같이 FDD-모드(Frequency Division Duplex)로 동작되는 한편, 제 2 시나리오에서는 허가되지 않은 비좌표 이동 무선이 TD-CDMA-기술(Time Division-Code Division Multiple Access)을 기초로 하고 DECT에서와 같이 TDD-모드(Time Division Duplex)로 동작된다.
유니버셜 이동 통신 시스템의 WCDMA/FDD 동작에서 통신 시스템의 에어 인터페이스는 통신의 상향 및 하향 방향으로 간행물 ETSI STC SMG2 UMTS-L1, Tdoc SMG2 UMTS-L1 163/98: "UTRA Physical Layer Description FDD Parts" Vers. 0.3, 1998-05-29에 따라 다수의 물리적 채널을 포함한다. 상기 채널은 도 1 및 2에 도시된, 720ms 길이의 (TMZR=720ms) 멀티 타임 프레임(수퍼 프레임)(MZR), 10ms 길이의 (TFZR=10ms) 타임 프레임(무선 프레임)(ZR) 및 0.625ms 길이의 (TZS=0.625ms) 타임 슬롯(ZS)으로 이루어진 "3 평면 구조"와 관련해서 제 1 물리적 채널, 소위 전용 물리적 제어 채널(DPCCH), 및 제 2 물리적 채널, 소위 전용 물리적 데이터 채널(DPDCH)을 포함한다. 각각의 멀티 타임 프레임(MZR)은 예컨대 72 타임 프레임(ZR)을 포함하는 한편, 각각의 타임 프레임(ZR)은 예컨대 16 타임 슬롯(ZS1...ZS16)을 포함한다. 개별 타임 슬롯(ZS, ZS1...ZS16)(버스트)은 제 1 물리적 채널(DPCCH)에 대해 버스트 구조로서 채널 평가를 위한 Npilot비트를 가진 파일럿 시퀀스(PS), 파워 제어(Traffic Power Control)를 위한 NTPC비트를 가진 TPC 시퀀스(TPCS) 및 트래픽 포맷 지시(Traffic Format Channel Indication)를 위한 NTFCI비트를 가진 TFCI 시퀀스를, 그리고 제 2 물리적 채널(DPDCH)에 대해 Ndata비트를 가진 유효 데이터 시퀀스(NDS)를 포함한다.
ETSI 또는 ARIB -도 1- 의 WCMDA/FDD 시스템의 "다운 링크"(통신의 하향 방향; 기지국으로부터 이동국으로 무선 접속)에서는 제 1 물리적 채널 ["전용 물리적 제어 채널(DPCCH)"] 및 제 2 물리적 채널["전용 물리적 데이터 채널(DPDCH)"]이 시간적으로 다중화되는 한편, "업 링크"(통신의 상향 방향; 이동국으로부터 기지국으로 무선 접속) -도 2- 에서는 I/Q 멀티플렉스가 이루어진다. 상기 I/Q 멀티플렉스에서는 제 2 물리적 채널(DPDCH)이 I-채널로 그리고 제 2 물리적 채널(DPCCH)은 Q-채널로 전송된다.
유니버셜 이동 통신 시스템의 TDCDMA/TDD 동작에서 통신 시스템의 에어 인터페이스는 통신의 상향 및 하향 방향으로 간행물 TSG RAN WG1(S1.21): "3rd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3GPP)" Vers. 0.0.1, 1991-01에 따라 도 3에 도시된 모든 물리적 채널에 대해 멀티 타임 프레임(MZR), 타임 프레임(ZR) 및 타임 슬롯(ZS)으로 이루어진 "3 평면 구조"를 포함한다. 각각의 멀티 타임 프레임(MZR)은 예컨대 72 타임 프레임(ZR)을 포함하는 한편, 각각의 타임 프레임(ZR)은 예컨대 16 타임 슬롯(ZS1...ZS16)을 포함한다. 개별 타임 슬롯(ZS, ZS1...ZS16)(버스트)은 ARIB 제안에 따라 순서대로 NData1비트를 가진 제 1 유효 데이터 시퀀스(NDS1), 채널 평가를 위한 Npilot비트를 가진 파일럿 시퀀스(PS), 파워 제어를 위한 NTPC비트를 가진 TPC 시퀀스(TPCS), 트래픽 포맷 지시를 위한 NTFCI비트를 가진 TFCI 시퀀스 및 NGuard비트를 가진 보호 시간 구역(SZZ)(가드 주기)로 이루어진 제 1 타임 슬롯 구조(버스트 구조)를, 그리고 ETSI 제안에 따라 순서대로 제 1 유효 데이터 시퀀스(NDS1), 제 1 TFCI 시퀀스(TFCIS1), 채널 평가를 위한 미드앰블(MIS), 제 2 TFCI 시퀀스(TFCIS2), 제 2 유효 데이터 시퀀스(NDS2) 및 보호 시간 구역(SZZ)으로 이루어진 제 2 타임 슬롯 구조(버스트 구조)(ZSS2)를 포함한다.
도 4는 예컨대 2개의 무선 셀 및 그 안에 배치된 기지국(Base Transceiver Station)을 포함하는 GSM-무선 시나리오를 기초로 하며, 제 1 기지국(BTS1)(송수신기)가 제 1 무선 셀(FZ1)을 그리고 제 2 기지국(BTS2)(송수신기)는 제 2 무선 셀(FZ2)을 전방향으로 "비추며", 도 1 및 2로부터 기지국(BTS1),(BTS2)이 무선 시나리오에 대해 설계된 에어 인터페이스를 통해 무선 셀(FZ1), (FZ2)에 있는 이동국(MS1...MS5)(송수신 장치)에 상응하는 전송 채널(TRC)(Transmission Channel)에 대한 무선 단방향 또는 양방향 -상향 방향(UL)(업 링크) 및/또는 하향 방향(DL)(다운 링크)- 통신에 의해 접속되는 주파수/시간/코드 멀티플렉스에 따른 채널 다중 이용을 갖는 무선 시나리오를 도시한다. 기지국(BTS1), (BTS2)은 공지된 방식으로(참고: GSM 통신 시스템) 기지국 제어기(BSC)(Base Station Controller)에 접속되고, 상기 기지국 제어기(BSC)는 기지국의 제어 범주에서 주파수 관리 및 교환 기능을 수행한다. 기지국 제어기(BSC)는 이동 교환국(Mobile Switching Center)을 통해 상위 통신 네트워크, 예컨대 PSTN(Public Switched Telecommunication Network)에 접속된다. 이동 교환국(MSC)은 도시된 통신 시스템용 관리국이다. 상기 이동 교환국은 완전한 호출 관리를 수행하고, 레지스터(도시되지 않은)에 의해 통신 가입자의 인증 및 네트워크에서 위치 모니터링을 수행한다.
도 5는 송수신 장치로 형성된 기지국(BTS1, BTS2)의 구성을 나타내는 한편, 도 6은 송수신 장치로 형성된 이동국(MS1...MS5)의 구성을 나타낸다. 기지국(BTS1, BTS2)는 이동국(MS1...MS5)으로부터 그리고 상기 이동국으로 정보를 송수신하는 한편, 이동국(MS1...MS5)은 기지국(BTS1, BTS2)으로부터 그리고 상기 기지국으로 정보를 송수신한다. 이것을 위해 기지국은 송신 안테나(SAN) 및 수신 안테나(EAN)을 포함하는 한편, 이동국(MS1...MS5)은 안테나 전환 접속(AU)에 의해 제어 가능한, 송수신에 공통인 안테나(ANT)를 포함한다. 기지국(BTS1, BTS2)은 상향 방향으로(수신 경로) 수신 안테나(ANT)를 통해 예컨대 적어도 하나의 이동국(MS1...MS5)의 주파수/시간/코드 콤포넌트를 가진 적어도 하나의 정보(FN)를 수신하는 한편, 이동국(MS1...MS5)은 하향 방향(수신 경로)으로 공통 안테나(ANT)를 통해 예컨대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BTS1, BTS2)의 주파수/시간/코드 콤포넌트를 가진 적어도 하나의 정보(FN)를 수신한다. 정보(FN)는 데이터 심볼로 구성된 변조된 정보를 가진, 광대역으로 확장된 캐리어 신호로 이루어진다.
무선 수신 장치(FEE)(수신기)에서 수신된 캐리어 신호가 필터링되고, 혼합되어 중간 주파수로 된다. 상기 중간 주파수는 샘플링되어 양자화되었다. 아날로그/디지탈 변환 후에, 무선 경로에서 다중 경로 전파에 의해 왜곡된 신호는 이퀄라이저에 공급된다. 이퀄라이저는 왜곡을 대부분 보상한다.
그리고 나서, 채널 평가기(KS)에서, 정보(FN)를 전송하는 전송 채널(TRC)의 전송 특성이 평가된다. 채널의 전송 특성은 시간 범위에서 채널 펄스 응답으로 표시된다. 채널 펄스 응답이 평가되기 위해, 송신측에서(본 경우, 이동국(MS1...MS5) 또는 기지국(BTS1), (BTS2)에 의해) 트레이닝 정보 시퀀스로 형성된 특수한 부가 정보가 소위 미드앰블의 형태로 정보(FN)에 할당된다.
그리고 나서, 수신된 모든 신호에 대해 공통인 하나의 데이터 검출기(DD)에서 공통 신호에 포함된 개별 이동국 고유의 신호 성분이 공지된 방식으로 보정되고 분리된다. 보정 및 분리 후에, 심볼/데이터 변환기(SDW)에서 데이터 심볼이 2진 데이터로 변환된다. 그 다음에, 복조기(DMOD)에서 중간 주파수로부터 원래 비트 스트림이 얻어진 다음, 디멀티플렉서(DMUX)에서 개별 타임 슬롯이 정확한 논리 채널에 그리고 그에 따라 상이한 이동국에 할당된다.
채널 코덱(KC)에서 얻어진 비트 시퀀스가 채널에 따라 디코딩된다. 채널에 따라 비트 정보가 제어 및 시그널링 타임 슬롯 또는 음성 타임 슬롯에 할당되고, -기지국의 경우(도 5)- 제어 및 시그널링 데이터 및 음성 데이터가 기지국 제어기(BSC)로의 전송을 위해 시그널링 및 음성 코딩/디코딩(Sprach-Codec)을 담당하는 하나의 인터페이스(SS)에 제공되는 한편, -이동국(도 6)의 경우에는- 완전한 시그널링 및 이동국의 제어를 담당하는 제어 및 시그널링 유닛(STSE)의 제어 및 시그널링 데이터 및 음성 데이터가 음성 입출력을 위해 설계된 음성 코덱(SPC)에 전달된다.
기지국(BTS1), (BTS2)에서 인터페이스(SS)의 음성 코덱에서 음성 데이터가 예정된 데이터 스트림(예컨대 네트워크 방향으로 64kbit/s 스트림 또는 네트워크 방향으로부터 13kbit/s 스트림)으로 된다.
제어 유닛(STE)에서 기지국(BTS1), (BTS2)의 완전한 제어가 이루어진다.
기지국(BTS1, BTS2)은 하향 방향으로(송신 경로) 송신 안테나(SAN)을 통해 예컨대 적어도 하나의 이동국(MS1...MS5)의 주파수/시간/코드 콤포넌트를 가진 적어도 하나의 정보(FN)를 송신하는 한편, 이동국(MS1...MS5)은 상향 방향(송신 경로)으로 공통 안테나(ANT)를 통해 예컨대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BTS1), (BTS2)의 주파수/시간/코드 콤포넌트를 가진 적어도 하나의 정보(FN)를 송신한다.
송신 경로는 도 5에서 기지국(BTS1, BTS2)에서 시작하므로, 채널 코덱(KC)에서 기지국 제어기(BSC)로부터 인터페이스(SS)를 통해 얻은 제어 및 시그널링 데이터 및 음성 데이터가 제어 및 시그널링 타임 슬롯 또는 음성 타임 슬롯에 할당되고, 이것이 채널에 따라 비트 시퀀스로 코딩된다.
송신 경로는 도 6에서 이동국(MS1...MS5)에서 시작하므로, 채널 코덱(KC)에서 음성 코덱(SPC)으로부터 얻은 음성 데이터 및 제어 및 시그널링 유닛(STSE)으로부터 얻은 제어 및 시그널링 데이터가 제어 및 시그널링 타임 슬롯 또는 음성 타임 슬롯에 할당되고, 이것이 채널에 따라 비트 시퀀스로 코딩된다.
기지국(BTS1, BTS2) 및 이동국(MS1...MS5)에서 얻어진 비트 시퀀스는 데이터/심볼 변환기(DSW)에서 데이터 심볼로 변환된다. 그리고 나서, 각각의 데이터 심볼이 확장 장치(SPE)에서 각각의 가입자 개별 코드에 의해 확장된다. 버스트 합성기(BZS) 및 멀티플렉서(MUX)로 이루어진 버스트 제너레이터(BG)에서, 트레이닝 포맷 시퀀스의 확장된 데이터 심볼이 채널 평가를 위한 미드앰블의 형태로 확장된 데이터 심볼에 부가되고 멀티플렉서(MUX)에서 상기 방식으로 얻어진 버스트 정보가 정확한 타임 슬롯으로 세팅된다. 그리고 나서, 얻어진 버스트가 변조기(MOD)에서 고주파 변조되고 디지탈/아날로그 변환된 다음, 상기 방식으로 얻어진 신호가 정보(FN)로서 무선 송신 장치(FSE)(송신기)를 통해 송신 안테나(SAN) 또는 공통 안테나(ANT)에서 방사된다.
TDD 통신 시스템(Time Division Duplex)은 다수의 타임 슬롯으로 이루어진 전송 타임 프레임이 하향 전송 방향(다운 링크) 및 상향 방향(업 링크)에 대해 바람직하게는 중앙에서 분할되는 통신 시스템이다.
상기 전송 타임 프레임을 포함하는 TDD 통신 시스템으로는 예컨대 공지된 DECT 시스템[Digital Enhanced (이전에는: European) Cordless Telecommunication; 참고 Nachrichtentechnik Elektronik 42 (1992) 1월/2월, 제 1호, 베를린, DE; ETSI-Publikation ETS 300175-1...9, 1992 10월 및 DECT-Publikation des DECT-Forum, 1997 2월, 페이지 1 내지 16과 관련해서 U. Pilger "Struktur des DECT-Standards", 페이지 23 내지 29]이 있다.
도 7은 12개의 "다운 링크" 타임 슬롯 및 12개의 "업 링크" 타임 슬롯으로 이루어진, 10ms의 지속 시간을 가진 DECT 전송 타임 프레임을 도시한다. 하향 전송 방향(다운 링크) 및 상향 전송 방향(업 링크)으로 예정된 주파수에 임의의 양방향성 통신 접속을 위해, DECT-표준에 따라 "다운 링크" 타임 슬롯(ZSDOWN) 및 "업 링크" 타임 슬롯(ZSup)을 가진 하나의 빈 타임 슬롯 쌍이 선택된다. 상기 타임 슬롯 쌍에서 "다운 링크" 타임 슬롯(ZSDOWN)과 "업 링크" 타임 슬롯(ZSUP) 사이의 간격은 DECT-표준에 따라 DECT 전송 타임 프레임의 1/2 길이(5ms)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코드 및 시분할 멀티플렉스를 기초로 하는 이동 및/또는 고정 송수신 장치 간의 TDD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성능 및/또는 스펙트럼 효율을 공지된 TDD 시스템에 비해 개선시키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청구항 제 1항 내지 8항의 특징부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이념은 코드 및 시분할 멀티플렉스를 기초로 하는 이동 및/또는 고정 송수신 장치 간의 TDD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TDD 모드에서 이동 및/또는 고정 송수신 장치(BS) 간의 각각의 통신 접속에 대해 예정된 수의 타임 슬롯의 타임 슬롯 쌍, 즉 "다운링크" 타임 슬롯 및 "업링크" 타임 슬롯은 동일한 또는 상이한 캐리어 주파수에 할당되는 "다운링크" 타임 슬롯과 "업링크" 타임 슬롯 사이의 간격이 시간 멀티플렉스 프레임의 일부이도록 선택되고, 상기 간격이 고정되거나 가변됨으로써, TDD 통신 시스템의 성능 및 스펙트럼 효율이 공지된 TDD 시스템에 비해 부분적으로(청구항 제 1항 및 3항 또는 제 5항 및 7항) 현저히 개선된다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가 도 8 및 9에 의해 설명된다.
도 8은 타임 슬롯 수가 도 1 내지 3의 타임 프레임 및 도 7의 DECT 전송 타임 프레임과는 다른(변형된) TDD 시간 멀티플렉스 프레임,
도 9는 도 8의 시간 멀티플렉스 프레임을 기초로 한, 주파수-, 코드- 및 시간 멀티플렉스 콤포넌트를 갖는 채널들에 대한 채널 할당표를 나타낸다.
도 8은 도 1 내지 3의 타임 프레임 및 도 7의 DECT 전송 타임 프레임으로부터 출발하여, 8개의 타임 슬롯(ZS'1...ZS'8)을 갖는 (변형된) TDD 시간 멀티플렉스 프레임(ZMR)을 도시하며, 제 1의 4 개의 타임 슬롯(ZS'1...ZS'4)은 하향 전송 방향(DL)에 대해, 그리고 제 2의 4 개의 타임 슬롯(ZS'5...ZS'8)은 상향 전송 방향(UL)에 대해 제공된다. 타임 슬롯의 수가 도 1 및 3에 따른 "16" 개로부터 8개로 감소되는데 그 이유는 단지 도 9의 채널 할당표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타임 슬롯의 수는 본 발명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오히려, 타임 슬롯의 수는 -다른 물리적인 리소스(예컨대 코드, 주파수 등)와 같이- 각각의 통신 시스템에 따라서 다소 임의로 변경될 수 있다.
도 9는 도 8에 따른 시간 멀티플렉스 프레임을 기본으로 하여, 주파수-, 코드-, 및 시간 멀티플렉스 콤포넌트를 갖는 채널들에 대한 채널 할당표를 도시한다. 이 표의 시간 멀티플렉스 콤포넌트는 도 8에 따른 TDD 분류를 갖는 타임 슬롯(ZS'1...ZS'8)을 포함한다. 주파수 멀티플렉스 콤포넌트는 12 개의 주파수(FR1...FR12)를 포함하는 한편, 코드 멀티플렉스 콤포넌트는 8 개의 코드(의사 랜덤 신호)(C1...C8)를 포함한다.
도 9에는 상이한 접속 시나리오에서, 즉 제 1 접속 시나리오(VSZ1), 제 2 접속 시나리오(VSZ2)(제 1 실시예), 제 3 접속 시나리오(VSZ3)(제 2 실시예), 제 4 접속 시나리오(VSZ4)(제 3 실시예), 및 제 5 접속 시나리오(VSZ5)(제 4 실시예)에서, 각각의 물리적인 리소스인 "코드, 주파수, 타임"이 하향 및 상향 전송 방향으로 부분적으로는 동일하게 그리고 부분적으로는 동일하지 않게 할당되는 다수의 양방향 TDD 통신 접속이 이루어진다. 이러한 접속 시나리오(VSZ1...VSZ5)에는 예컨대 상승 및 하강하는 빗금으로 표시된 통신 접속의 제 1 그룹(G1), 및 하강하는 빗금으로 표시된 통신 접속의 제 2 그룹(G2)이 속한다. 여기서, 각각의 그룹은 적어도 하나의 양방향 통신 접속을 포함한다.
제 1 접속 시나리오(VSZ1)에서 통신 접속의 제 1 그룹(G1)은 제 2 주파수(FR2)에서 하향 전송 방향으로 제 2 타임 슬롯(ZS'2) 동안 6 개의 코드-제 1 코드(C1), 제 2 코드(C2), 제 3 코드(C3), 제 4 코드(C4), 제 5 코드(C5) 및 제 6 코드(C6)-를 가지며, 상향 전송 방향으로 제 6 타임 슬롯(ZS'6) 동안에는 6 개의 코드(C1...C6)를 갖는 한편, 통신 접속의 제 2 그룹(G2)은 제 2 주파수(FR2)에서 하향 전송 방향으로 제 4 타임 슬롯(ZS'4) 동안 제 1 코드(C1)를, 그리고 상향 방향으로 제 8 타임 슬롯(ZS'8) 동안 제 1 코드(C1)를 갖는다.
제 4 타임 슬롯(ZS'4) 및 제 2 타임 슬롯(ZS'2)은 "다운링크" 타임 슬롯(ZSDOWN)인 반면, 제 6 타임 슬롯(ZS'6) 및 제 8 타임 슬롯(ZS'8)은 "업링크" 타임 슬롯(ZSUP)이다.
그룹(G1, G2)에 있는 각각의 통신 접속에 있어서 "다운링크" 타임 슬롯(ZSDOWN)과 "업링크" 타임 슬롯(ZSUP)-선행 기술에 따르면(도 7 참조)- 간의 제 1 간격(AS1)은 시간 멀티플렉스 프레임(ZMR)의 1/2이다. 따라서, 상기 간격(AS1)은 시간 멀티플렉스 프레임(ZMR) 길이의 일부이며, 상기 일부는 0.5 의 값을 갖는다.
제 2 접속 시나리오(VSZ2)에서 통신 접속의 제 1 그룹(G1)은 제 4 주파수(FR4)에서 하향 전송 방향으로 제 4 타임 슬롯(ZS'4) 동안 6 개의 코드(C1...C6)를, 그리고 상향 전송 방향으로 제 6 타임 슬롯(ZS'6) 동안 6 개의 코드(C1...C6)를 갖는 한편, 통신 접속의 제 2 그룹(G2)은 제 4 주파수(FR4)에서 하향 전송 방향으로 제 2 타임 슬롯(ZS'2) 동안 코드(C1...C4)를, 그리고 상향 전송 방향으로 제 5 타임 슬롯(ZS'5) 동안 제 1 코드(C1) 및 제 2 코드(C2)를 갖는다.
제 4 타임 슬롯(ZS'4) 및 제 2 타임 슬롯(ZS'2)은 -제 1 접속 시나리오(VSZ1)에서와 같이- "다운링크" 타임 슬롯(ZSDOWN)인 반면, 제 7 타임 슬롯(ZS'7) 및 제 5 타임 슬롯(ZS'5)은 "업링크" 타임 슬롯(ZSUP)이다.
그룹(G1, G2)의 각각의 통신 접속에 있어서 "다운링크" 타임 슬롯(ZSDOWN)과 "업링크" 타임 슬롯(ZSUP) 간의 제 2 간격(AS2)은 시간 멀티플렉스 프레임(ZMR) 길이의 일부이며, 상기 일부는 제 2 간격(AS2)이 고정되도록 측정되고 값이 0.5 보다 크거나 작다.
제 3 접속 시나리오(VSZ3)에서 통신 접속의 제 1 그룹(G1)은 하향 전송 방향으로 제 6 주파수(FR6)에서 제 2 타임 슬롯(ZS'2) 동안 4 개의 코드(C1...C4)를, 상향 전송 방향으로 제 5 주파수(FR5)에서 제 8 타임 슬롯(ZS'8) 동안 6 개의 코드(C1...C6) 및 제 7 코드(C7)와 제 8 코드(C8)를 갖는 한편, 통신 접속의 제 2 그룹(G2)은 하향 전송 방향으로 제 6 주파수(FR6)에서 제 3 타임 슬롯(ZS'3) 동안 코드(C1...C3)를, 그리고 상향 전송 방향으로 제 5 주파수(FR5)에서 제 5 타임 슬롯(ZS'5) 동안 코드(C1...C4)를 갖는다.
제 2 타임 슬롯(ZS'2) 및 제 3 타임 슬롯(ZS'3)은 "다운링크" 타임 슬롯(ZSDOWN)인 반면, 제 8 타임 슬롯(ZS'8) 및 제 5 타임 슬롯(ZS'5)은 "업링크" 타임 슬롯(ZSUP)이다.
그룹(G1, G2)의 각각의 통신 접속에 있어서 "다운링크" 타임 슬롯(ZSDOWN)과 "업링크" 타임 슬롯(ZSUP) 간의 제 3 간격(AS3)은 시간 멀티플렉스 프레임(ZMR) 길이의 일부이며, 상기 일부는 제 3 간격(AS3)이 가변되도록 측정된다.
제 4 접속 시나리오(VSZ4)에서 통신 접속의 제 1 그룹(G1)은 하향 전송 방향으로 제 8 주파수(FR8)에서 제 4 타임 슬롯(ZS'4) 동안 제 1 코드(C1)를, 상향 전송 방향으로 제 9 주파수(FR5)에서 제 8 타임 슬롯(ZS'8) 동안 7 개의 코드(C1...C7)를 갖는 한편, 통신 접속의 제 2 그룹(G2)은 하향 전송 방향으로 제 8 주파수(FR8)에서 제 3 타임 슬롯(ZS'3) 동안 제 1 코드(C1)를, 그리고 상향 전송 방향으로 제 9 주파수(FR9)에서 제 5 타임 슬롯(ZS'5) 동안 제 1 코드(C1)를 갖는다.
제 4 타임 슬롯(ZS'4) 및 제 3 타임 슬롯(ZS'3)은 "다운링크" 타임 슬롯(ZSDOWN)인 반면, 제 6 타임 슬롯(ZS'6) 및 제 5 타임 슬롯(ZS'5)은 "업링크" 타임 슬롯(ZSUP)이다.
그룹(G1, G2)의 각각의 통신 접속에 있어서 "다운링크" 타임 슬롯(ZSDOWN)과 "업링크" 타임 슬롯(ZSUP) 간의 제 4 간격(AS4)은 시간 멀티플렉스 프레임(ZMR) 길이의 일부이며, 상기 일부는 제 4 간격(AS4)이 고정되도록 측정된다.
제 5 접속 시나리오(VSZ5)에서 통신 접속의 제 1 그룹(G1)은 제 11 주파수(FR11)에서 하향 전송 방향으로 제 4 타임 슬롯(ZS'4) 동안 제 1 코드(C1) 및 제 2 코드(C2)를, 상향 전송 방향으로 제 5 타임 슬롯(ZS'5) 동안 제 1 코드(C1) 및 제 2 코드(C2)를 갖는 한편, 통신 접속의 제 2 그룹(G2)은 제 11 주파수(FR11)에서 하향 전송 방향으로 제 1 타임 슬롯(ZS'1) 동안 코드(C1...C5)를, 그리고 상향 전송 방향으로 제 8 타임 슬롯(ZS'8) 동안 코드(C1...C3)를 갖는다.
제 4 타임 슬롯(ZS'4) 및 제 1 타임 슬롯(ZS'1)은 "다운링크" 타임 슬롯(ZSDOWN)인 반면, 제 5 타임 슬롯(ZS'5) 및 제 8 타임 슬롯(ZS'8)은 "업링크" 타임 슬롯(ZSUP)이다.
그룹(G1, G2)의 각각의 통신 접속에 있어서 "다운링크" 타임 슬롯(ZSDOWN)과 "업링크" 타임 슬롯(ZSUP) 간의 제 5 간격(AS5)은 시간 멀티플렉스 프레임(ZMR) 길이의 일부이며, 상기 일부는 제 2 간격(AS2)이 가변되도록 측정된다.

Claims (8)

  1. 코드 및 시분할 멀티플렉스를 기초로 하는, 이동 및/또는 고정 송수신 장치 간의 TDD 무선 통신 시스템용 에어 인터페이스에 있어서,
    a) 통신 시스템에 대해 예정된 캐리어 주파수(FR1...FR12)가 예정된 타임 슬롯 지속시간(TZS)을 가진 다수의 타임 슬롯(ZS'1...ZS"8)으로 세분됨으로써, 통신 시스템이 TDD 모드로 동작될 수 있고, 상기 타임 슬롯(ZS'1...ZS'8)이 캐리어 주파수(FR1...FR12) 마다 각각 하나의 시간 멀티플렉스 프레임(ZMR)을 형성하고,
    b) 통신 시스템의 타임 슬롯(ZS'1...ZS'8) 또는 주파수 범위에서 최대로 예정된 수의 양방향성 통신 접속이 상향 및 하향 방향으로 통신 시스템의 이동 송수신 장치(MS1...M5) 및/또는 고정 송수신 장치(BTS1, BTS2)의 통신 가입자들 간에 동시에 형성될 수 있고, 전송된 가입자 신호가 가입자에게 개별적으로 할당된 의사 랜덤 신호(C1...C8)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c) TDD 모드에서 각각의 통신 접속에 대해 타임 슬롯 쌍, 즉 "다운링크" 타임 슬롯(ZS'DOWN) 및 "업링크" 타임 슬롯(ZS'UP)은 동일한 캐리어 주파수(FR1...FR12)에 할당되는 "다운링크" 타임 슬롯(ZS'DOWN) 과 "업링크" 타임 슬롯(ZS'UP) 사이의 간격(AS5)이 시간 멀티플렉스 프레임(ZMR) 길이의 일부이며 가변되도록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인터페이스.
  2. 코드 및 시분할 멀티플렉스를 기초로 하는, 이동 및/또는 고정 송수신 장치 간의 TDD 무선 통신 시스템용 에어 인터페이스에 있어서,
    a) 통신 시스템에 대해 예정된 캐리어 주파수(FR1...FR12)가 예정된 타임 슬롯 지속시간(TZS)을 가진 다수의 타임 슬롯(ZS'1...ZS"8)으로 세분됨으로써, 통신 시스템이 TDD 모드로 동작될 수 있고, 상기 타임 슬롯(ZS'1...ZS'8)이 캐리어 주파수(FR1...FR12) 마다 각각 하나의 시간 멀티플렉스 프레임(ZMR)을 형성하고,
    b) 통신 시스템의 타임 슬롯(ZS'1...ZS'8) 또는 주파수 범위에서 최대로 예정된 수의 양방향성 통신 접속이 상향 및 하향 방향으로 통신 시스템의 이동 송수신 장치(MS1...M5) 및/또는 고정 송수신 장치(BTS1, BTS2)의 통신 가입자들 간에 동시에 형성될 수 있고, 전송된 가입자 신호가 가입자에게 개별적으로 할당된 의사 랜덤 신호(C1...C8)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c) TDD 모드에서 각각의 통신 접속에 대해 타임 슬롯 쌍, 즉 "다운링크" 타임 슬롯(ZS'DOWN) 및 "업링크" 타임 슬롯(ZS'UP)은 상이한 캐리어 주파수(FR1...FR12)에 할당되는 "다운링크" 타임 슬롯(ZS'DOWN) 과 "업링크" 타임 슬롯(ZS'UP) 사이의 간격(AS4)이 시간 멀티플렉스 프레임(ZMR) 길이의 일부이며 고정되도록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인터페이스.
  3. 코드 및 시분할 멀티플렉스를 기초로 하는, 이동 및/또는 고정 송수신 장치 간의 TDD 무선 통신 시스템용 에어 인터페이스에 있어서,
    a) 통신 시스템에 대해 예정된 캐리어 주파수(FR1...FR12)가 예정된 타임 슬롯 지속시간(TZS)을 가진 다수의 타임 슬롯(ZS'1...ZS"8)으로 세분됨으로써, 통신 시스템이 TDD 모드로 동작될 수 있고, 상기 타임 슬롯(ZS'1...ZS'8)이 캐리어 주파수(FR1...FR12) 마다 각각 하나의 시간 멀티플렉스 프레임(ZMR)을 형성하고,
    b) 통신 시스템의 타임 슬롯(ZS'1...ZS'8) 또는 주파수 범위에서 최대로 예정된 수의 양방향성 통신 접속이 상향 및 하향 방향으로 통신 시스템의 이동 송수신 장치(MS1...M5) 및/또는 고정 송수신 장치(BTS1, BTS2)의 통신 가입자들 간에 동시에 형성될 수 있고, 전송된 가입자 신호가 가입자에게 개별적으로 할당된 의사 랜덤 신호(C1...C8)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c) TDD 모드에서 각각의 통신 접속에 대해 타임 슬롯 쌍, 즉 "다운링크" 타임 슬롯(ZS'DOWN) 및 "업링크" 타임 슬롯(ZS'UP)은 상이한 캐리어 주파수(FR1...FR12)에 할당되는 "다운링크" 타임 슬롯(ZS'DOWN) 과 "업링크" 타임 슬롯(ZS'UP) 사이의 간격(AS3)이 시간 멀티플렉스 프레임(ZMR) 길이의 일부이며 가변되도록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인터페이스.
  4. 코드 및 시분할 멀티플렉스를 기초로 하는, 이동 및/또는 고정 송수신 장치 간의 TDD 무선 통신 시스템용 에어 인터페이스에 있어서,
    a) 통신 시스템에 대해 예정된 캐리어 주파수(FR1...FR12)가 예정된 타임 슬롯 지속시간(TZS)을 가진 다수의 타임 슬롯(ZS'1...ZS"8)으로 세분됨으로써, 통신 시스템이 TDD 모드로 동작될 수 있고, 상기 타임 슬롯(ZS'1...ZS'8)이 캐리어 주파수(FR1...FR12) 마다 각각 하나의 시간 멀티플렉스 프레임(ZMR)을 형성하고,
    b) 통신 시스템의 타임 슬롯(ZS'1...ZS'8) 또는 주파수 범위에서 최대로 예정된 수의 양방향성 통신 접속이 상향 및 하향 방향으로 통신 시스템의 이동 송수신 장치(MS1...M5) 및/또는 고정 송수신 장치(BTS1, BTS2)의 통신 가입자들 간에 동시에 형성될 수 있고, 전송된 가입자 신호가 가입자에게 개별적으로 할당된 의사 랜덤 신호(C1...C8)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c) TDD 모드에서 각각의 통신 접속에 대해 타임 슬롯 쌍, 즉 "다운링크" 타임 슬롯(ZS'DOWN) 및 "업링크" 타임 슬롯(ZS'UP)은 동일한 캐리어 주파수(FR1...FR12)에 할당되는 "다운링크" 타임 슬롯(ZS'DOWN) 과 "업링크" 타임 슬롯(ZS'UP) 사이의 간격(AS2)이 시간 멀티플렉스 프레임(ZMR) 길이의 일부이며 고정되도록 선택되고, 상기 일부는 값 "0.5" 보다 크거나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인터페이스.
  5. a) 통신 시스템에 대해 예정된 캐리어 주파수(FR1...FR12)가 예정된 타임 슬롯 지속시간(TZS)을 가진 다수의 타임 슬롯(ZS'1...ZS"8)으로 세분됨으로써, 통신 시스템이 TDD 모드로 동작될 수 있고, 상기 타임 슬롯(ZS'1...ZS'8)이 캐리어 주파수(FR1...FR12) 마다 각각 하나의 시간 멀티플렉스 프레임(ZMR)을 형성하고,
    b) 통신 시스템의 타임 슬롯(ZS'1...ZS'8) 또는 주파수 범위에서 최대로 예정된 수의 양방향성 통신 접속이 상향 및 하향 방향으로 통신 시스템의 이동 송수신 장치(MS1...M5) 및/또는 고정 송수신 장치(BTS1, BTS2)의 통신 가입자들 간에 동시에 형성될 수 있고, 전송된 가입자 신호가 가입자에게 개별적으로 할당된 의사 랜덤 신호(C1...C8)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코드 및 시분할 멀티플렉스를 기초로 하는, 이동 및/또는 고정 송수신 장치 간의 TDD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통신 접속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TDD 모드에서 각각의 통신 접속에 대해 타임 슬롯 쌍, 즉 "다운링크" 타임 슬롯(ZS'DOWN) 및 "업링크" 타임 슬롯(ZS'UP)은 동일한 캐리어 주파수(FR1...FR12)에 할당되는 "다운링크" 타임 슬롯(ZS'DOWN) 과 "업링크" 타임 슬롯(ZS'UP) 사이의 간격(AS5)이 시간 멀티플렉스 프레임(ZMR) 길이의 일부이며 가변되도록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a) 통신 시스템에 대해 예정된 캐리어 주파수(FR1...FR12)가 예정된 타임 슬롯 지속시간(TZS)을 가진 다수의 타임 슬롯(ZS'1...ZS"8)으로 세분됨으로써, 통신 시스템이 TDD 모드로 동작될 수 있고, 상기 타임 슬롯(ZS'1...ZS'8)이 캐리어 주파수(FR1...FR12) 마다 각각 하나의 시간 멀티플렉스 프레임(ZMR)을 형성하고,
    b) 통신 시스템의 타임 슬롯(ZS'1...ZS'8) 또는 주파수 범위에서 최대로 예정된 수의 양방향성 통신 접속이 상향 및 하향 방향으로 통신 시스템의 이동 송수신 장치(MS1...M5) 및/또는 고정 송수신 장치(BTS1, BTS2)의 통신 가입자들 간에 동시에 형성될 수 있고, 전송된 가입자 신호가 가입자에게 개별적으로 할당된 의사 랜덤 신호(C1...C8)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코드 및 시분할 멀티플렉스를 기초로 하는, 이동 및/또는 고정 송수신 장치 간의 TDD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통신 접속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TDD 모드에서 각각의 통신 접속에 대해 타임 슬롯 쌍, 즉 "다운링크" 타임 슬롯(ZS'DOWN) 및 "업링크" 타임 슬롯(ZS'UP)은 상이한 캐리어 주파수(FR1...FR12)에 할당되는 "다운링크" 타임 슬롯(ZS'DOWN) 과 "업링크" 타임 슬롯(ZS'UP) 사이의 간격(AS4)이 시간 멀티플렉스 프레임(ZMR) 길이의 일부이며 고정되도록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a) 통신 시스템에 대해 예정된 캐리어 주파수(FR1...FR12)가 예정된 타임 슬롯 지속시간(TZS)을 가진 다수의 타임 슬롯(ZS'1...ZS"8)으로 세분됨으로써, 통신 시스템이 TDD 모드로 동작될 수 있고, 상기 타임 슬롯(ZS'1...ZS'8)이 캐리어 주파수(FR1...FR12) 마다 각각 하나의 시간 멀티플렉스 프레임(ZMR)을 형성하고,
    b) 통신 시스템의 타임 슬롯(ZS'1...ZS'8) 또는 주파수 범위에서 최대로 예정된 수의 양방향성 통신 접속이 상향 및 하향 방향으로 통신 시스템의 이동 송수신 장치(MS1...M5) 및/또는 고정 송수신 장치(BTS1, BTS2)의 통신 가입자들 간에 동시에 형성될 수 있고, 전송된 가입자 신호가 가입자에게 개별적으로 할당된 의사 랜덤 신호(C1...C8)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코드 및 시분할 멀티플렉스를 기초로 하는, 이동 및/또는 고정 송수신 장치 간의 TDD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통신 접속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TDD 모드에서 각각의 통신 접속에 대해 타임 슬롯 쌍, 즉 "다운링크" 타임 슬롯(ZS'DOWN) 및 "업링크" 타임 슬롯(ZS'UP)은 상이한 캐리어 주파수(FR1...FR12)에 할당되는 "다운링크" 타임 슬롯(ZS'DOWN) 과 "업링크" 타임 슬롯(ZS'UP) 사이의 간격(AS3)이 시간 멀티플렉스 프레임(ZMR) 길이의 일부이며 가변되도록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a) 통신 시스템에 대해 예정된 캐리어 주파수(FR1...FR12)가 예정된 타임 슬롯 지속시간(TZS)을 가진 다수의 타임 슬롯(ZS'1...ZS"8)으로 세분됨으로써, 통신 시스템이 TDD 모드로 동작될 수 있고, 상기 타임 슬롯(ZS'1...ZS'8)이 캐리어 주파수(FR1...FR12) 마다 각각 하나의 시간 멀티플렉스 프레임(ZMR)을 형성하고,
    b) 통신 시스템의 타임 슬롯(ZS'1...ZS'8) 또는 주파수 범위에서 최대로 예정된 수의 양방향성 통신 접속이 상향 및 하향 방향으로 통신 시스템의 이동 송수신 장치(MS1...M5) 및/또는 고정 송수신 장치(BTS1, BTS2)의 통신 가입자들 간에 동시에 형성될 수 있고, 전송된 가입자 신호가 가입자에게 개별적으로 할당된 의사 랜덤 신호(C1...C8)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코드 및 시분할 멀티플렉스를 기초로 하는, 이동 및/또는 고정 송수신 장치 간의 TDD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통신 접속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TDD 모드에서 각각의 통신 접속에 대해 타임 슬롯 쌍, 즉 "다운링크" 타임 슬롯(ZS'DOWN) 및 "업링크" 타임 슬롯(ZS'UP)은 동일한 캐리어 주파수(FR1...FR12)에 할당되는 "다운링크" 타임 슬롯(ZS'DOWN) 과 "업링크" 타임 슬롯(ZS'UP) 사이의 간격(AS2)이 시간 멀티플렉스 프레임(ZMR) 길이의 일부이며 고정되도록 선택되고, 상기 일부는 값 "0.5" 보다 크거나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00-7009520A 1998-02-27 1999-03-01 코드 및 시분할 멀티플렉스를 기초로 하는 tdd 무선통신 시스템 KR10038193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98103521 1998-02-27
EP98103521.5 1998-02-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41391A true KR20010041391A (ko) 2001-05-15
KR100381932B1 KR100381932B1 (ko) 2003-04-26

Family

ID=82315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7009520A KR100381932B1 (ko) 1998-02-27 1999-03-01 코드 및 시분할 멀티플렉스를 기초로 하는 tdd 무선통신 시스템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EP (1) EP1058975B1 (ko)
JP (1) JP2002505545A (ko)
KR (1) KR100381932B1 (ko)
CN (1) CN1179503C (ko)
AU (1) AU2931299A (ko)
DE (1) DE59906681D1 (ko)
RU (1) RU2193280C2 (ko)
WO (1) WO1999044315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8811B1 (ko) * 2006-04-19 2013-11-13 모토로라 모빌리티 엘엘씨 멀티슬롯 패킷 데이터 전송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376602B (en) * 2001-06-15 2003-06-18 Motorola Inc A method for providing a communication channel in time division duplexing (TDD) mode between a TDD mobile and a TDD base station
JP4311100B2 (ja) * 2003-07-10 2009-08-12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スロットダイバシティ対応無線通信装置
CN1716816B (zh) * 2004-06-30 2011-04-20 诺基亚西门子通信系统技术(北京)有限公司 一种多载波时分-同步码分多址接入系统中的物理信道分配方法
CN1764093B (zh) * 2004-10-20 2010-09-01 展讯通信(上海)有限公司 Td-scdma射频系统发射部分性能监测方法
US7701922B2 (en) 2005-04-29 2010-04-20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MAC multiplexing and TFC selection procedure for enhanced uplink
US8116292B2 (en) * 2005-04-29 2012-02-14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MAC multiplexing and TFC selection procedure for enhanced uplink
US7957327B2 (en) 2005-05-18 2011-06-07 Qualcomm Incorporated Efficient support for TDD beamforming via constrained hopping and on-demand pilot
ES2356692T3 (es) 2006-07-06 2011-04-12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Método de comunicación inalámbrica para seleccionar una combinación de formatos de transporte de enlace ascendente mejorado ajustando una carga de información útil de concesión de programación temporal en la carga de información útil más alta que puede ser transmitida.
CN101159472B (zh) * 2007-11-16 2012-10-03 北京北方烽火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td-scdma精确时隙功率测量的方法及直放系统
RU2477921C1 (ru) * 2011-06-29 2013-03-20 Открытое акционерное общество "Концерн "Созвездие" Способ синхронизации в многоуровневой сети связи, сеть связи и узел сети
WO2017120803A1 (en) * 2016-01-13 2017-07-20 Lenovo Innovations Limited (Hong Kong) Bidirectional subframe communicatio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8811B1 (ko) * 2006-04-19 2013-11-13 모토로라 모빌리티 엘엘씨 멀티슬롯 패킷 데이터 전송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298578A (zh) 2001-06-06
JP2002505545A (ja) 2002-02-19
AU2931299A (en) 1999-09-15
EP1058975A1 (de) 2000-12-13
CN1179503C (zh) 2004-12-08
RU2193280C2 (ru) 2002-11-20
WO1999044315A1 (de) 1999-09-02
EP1058975B1 (de) 2003-08-20
DE59906681D1 (de) 2003-09-25
KR100381932B1 (ko) 2003-04-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81933B1 (ko) 코드 및 시분할 멀티플렉스를 기초로 하는 통신 시스템
KR100377661B1 (ko) 코드 및 시분할 멀티플렉스를 기초로 하는 이동 및/또는고정 송수신 장치간의 무선 통신 시스템
RU2198473C2 (ru) Воздушный интерфейс для систем телекоммуникации с беспроводной связью между мобильными и/или стационарными приемопередающими устройствами
KR100377660B1 (ko) 코드 및 시분할 멀티플렉스를 기초로 하는 통신 시스템의 릴레이 제어 방법
US6795427B1 (en) Estimation of transmission channels in communication systems for wireless telecommunication
KR100381932B1 (ko) 코드 및 시분할 멀티플렉스를 기초로 하는 tdd 무선통신 시스템
US6741583B1 (en) Telecommunication system for wireless telecommunication with a CDMA, FDMA, and TDMA multiple access component
KR100377659B1 (ko) 코드 및 시분할 멀티플렉스를 기초로 하는, 이동 및/또는고정 송수신 장치간의 무선 통신 시스템
JP3795756B2 (ja) 移動局及び/又は固定送信局/受信局間でワイヤレス電気通信を行う電気通信システム、”アーリー/レートトラッキング”を有する”rake”−受信機でのメモリアクセスの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