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41021A - Contact strip for connecting two circuit boards and a process for producing the contact strip - Google Patents

Contact strip for connecting two circuit boards and a process for producing the contact strip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41021A
KR20010041021A KR1020007009053A KR20007009053A KR20010041021A KR 20010041021 A KR20010041021 A KR 20010041021A KR 1020007009053 A KR1020007009053 A KR 1020007009053A KR 20007009053 A KR20007009053 A KR 20007009053A KR 20010041021 A KR20010041021 A KR 200100410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strip
circuit boards
contact strip
circuit bo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700905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게라드두스 마리아 반알스트
마르쿠스 마이브랜드 윌헬무스 고스에링크
루카스 소에스
Original Assignee
세이취크 제이 엘.
더 휘태커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이취크 제이 엘., 더 휘태커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세이취크 제이 엘.
Publication of KR200100410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41021A/en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36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other printed circuits
    • H05K3/366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other printed circuits substantially perpendicularly to each oth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1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52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othe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16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manufacturing contact members, e.g. by punching and by bending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10Details of components or other objects attached to or integrated in a printed circuit board
    • H05K2201/10227Other objects, e.g. metallic pieces
    • H05K2201/10424Frame holde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10Details of components or other objects attached to or integrated in a printed circuit board
    • H05K2201/10613Details of electrical connections of non-printed components, e.g. special leads
    • H05K2201/10742Details of leads
    • H05K2201/1075Shape details
    • H05K2201/10878Means for retention of a lead in a hol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30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electric components, e.g. with resistor
    • H05K3/32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electric components, e.g. with resistor electrically connecting electric components or wires to printed circuits
    • H05K3/34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electric components, e.g. with resistor electrically connecting electric components or wires to printed circuits by soldering
    • H05K3/3447Lead-in-hole compon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Multi-Conductor Connections (AREA)
  • Combinations Of Printed Boards (AREA)

Abstract

두개의 상호 수직인 회로기판(1, 2)의 전기적 및 기계적 접속에 적합한 콘택트 스트립은 스트립(3)의 형태인 절연성 수용부재와 스트립(3)에서 연장하는 개별적인 전이구역(9)을 갖는 다수의 콘택트 요소(8)로 구성된다. 두개의 콘택트 구역(10, 10')은 제1 및 제2회로기판(1, 2)에 대한 전기적 접속에 적합한 전이구역(9)에 인접한다. 스트립(3)은 캐리어 웹(7)과 두개의 동일한 횡단아암(5, 6)을 갖는 T자형 단면을 구비한 긴 플라스틱 부재(4)이다. 플라스틱 부재(4)는 서로에 대해 수직으로 연장하는 회로기판(1, 2) 사이의 각도를 분할하는 각도로 T로서 배열된다.Contact strips suitable for the electrical and mechanical connection of two mutually perpendicular circuit boards 1 and 2 have a plurality of insulating receptacles in the form of strips 3 and a plurality of individual transition zones 9 extending from the strips 3. It consists of a contact element 8. The two contact zones 10, 10 ′ are adjacent to the transition zone 9 suitable for electrical connection to the first and second circuit boards 1, 2. The strip 3 is an elongated plastic member 4 having a T-shaped cross section with a carrier web 7 and two identical transverse arms 5, 6. The plastic members 4 are arranged as T at an angle dividing the angle between the circuit boards 1 and 2 extending perpendicular to each other.

Description

두개의 회로기판을 연결하기 위한 콘택트 스트립 및 상기 콘택트 스트립을 생산하기 위한 방법{Contact strip for connecting two circuit boards and a process for producing the contact strip}Contact strip for connecting two circuit boards and a process for producing the contact strip}

이러한 형태의 콘택트 스트립은, 예를 들어 DE-OS 14 90 440호에 공지되어 있다. 이러한 콘택트 스트립은 다수의 상이한 형태의 콘택트 요소가 배열된 긴 플라스틱 블록(elongate plastic element)으로 구성된다. 각각의 콘택트 요소는 플라스틱 블록 내의 전이구역(transition zone)에 삽입된다. 콘택트 요소 각각은 플라스틱 블록의 하나의 세로측면으로부터 돌출하고 제1회로기판의 도전성 트랙과 접촉하는 제1탄성 콘택트 구역을 갖는다. 제2콘택트 구역은 수직으로 연장하는 플라스틱 블록의 제2종방향 측면으로부터 돌출하고 홀(hole)을 톨해 제1회로기판에 수직으로 배열된 제2회로기판의 도전성 트랙에 연결된다. 그러므로, 다양한 콘택트 요소 및 플라스틱 블록 뿐만 아니라 콘택트 스트립 어셈블리의 제작은 복잡하다.Contact strips of this type are known, for example, from DE-OS 14 90 440. Such contact strips consist of elongate plastic elements in which a number of different types of contact elements are arranged. Each contact element is inserted into a transition zone in the plastic block. Each of the contact elements has a first elastic contact zone that protrudes from one longitudinal side of the plastic block and contacts the conductive track of the first circuit board. The second contact zone protrudes from the second longitudinal side of the vertically extending plastic block and connects a hole to the conductive track of the second circuit board arranged perpendicular to the first circuit board. Therefore, the fabrication of various contact elements and plastic blocks as well as contact strip assemblies is complex.

기술분야의 이러한 상태로부터 개시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두개의 상호 수직인 회로기판의 전기적 기계적 접속에 적합한 콘택트 스트립을 제공하는 것이고, 상기 콘택트 스트립은 가능한 한 소수의 상이한 부품으로 구성되고 상기 콘택트 스트립은 가능한 한 다용도이다.Disclosed from this state of the art,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ontact strip suitable for the electrical and mechanical connection of two mutually perpendicular circuit boards, the contact strip being composed of as few different parts as possible and said contact strip Is as versatile as possible.

콘택트 스트립에 관하여, 이러한 목적은 청구항의 특징을 갖는 콘택트 스트립에 의해 달성된다.With regard to contact strips, this object is achieved by a contact strip having the features of the claims.

본 발명은 두개의 상호 수직인 회로기판의 전기적 및 기계적 연결을 위한 콘택트 스트립(contact strip) 및 상기 콘택트 스트립을 생산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tact strip for electrical and mechanical connection of two mutually perpendicular circuit boards and a method for producing the contact strip.

본 발명의 실시예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며,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두개의 상호 수직인 회로기판에 접속된 콘택트 스트립의 사시도이고,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ntact strip connected to two mutually perpendicular circuit boards,

도 2는 도 1의 콘택트 스트립의 도시한 도면이고,FIG. 2 is a view of the contact strip of FIG. 1;

도 3은 도 1의 어셈블리의 단면도이고,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assembly of FIG. 1,

도 4는 도 2의 콘택트 스트립의 저면도이고,4 is a bottom view of the contact strip of FIG. 2,

도 5는 도 4의 선 A-A를 따르는 콘택트 스트립의 단면도이고,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contact strip along line A-A of FIG. 4,

도 6은 도 4의 선 B-B를 따르는 콘택트 스트립의 단면도이고,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contact strip along line B-B of FIG. 4,

도 7은 제2실시예에 따른 두개의 상호 수직인 회로기판에 접속된 콘택트 스트립의 도면이고,7 is a view of a contact strip connected to two mutually perpendicular circuit boards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콘택트 스트립의 도면이고,8 is a view of the contact strip shown in FIG. 7,

도 9는 도 7에 도시된 어셈블리의 단면도이고,9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assembly shown in FIG. 7,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콘택트 스트립의 저면도이고,FIG. 10 is a bottom view of the contact strip shown in FIG. 9,

도 11은 도 10의 선 C-C를 따르는 콘택트 스트립의 단면도이고,1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contact strip along line C-C of FIG. 10,

도 12는 도 10의 선 D-D를 따르는 콘택트 스트립의 단면도이고,1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contact strip along line D-D of FIG. 10,

도 13은 두개 콘택트 스트립의 확대 사시도 및 회로기판의 상세도이고,13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the two contact strips and a detailed view of the circuit board,

도 14는 콘택트 스트립의 확대 사시도 및 회로기판의 상세도이고,14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a contact strip and a detailed view of a circuit board,

도 15는 다른 콘택트 스트립 및 회로기판의 확대 사시도이고,15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another contact strip and a circuit board,

도 16은 다른 콘택트 스트립 및 다른 회로기판의 확대 사시도이고,16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another contact strip and another circuit board;

도 17은 제작 공정의 연속단계에서 본 발명에 따른 콘택트 스트립의 사시도이다.17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ntact strip according to the invention in a continuous step of the fabrication process.

콘택트 스트립은 상호 수직인 회로기판 사이의 각도를 분할하는 각도를 따라 T자 형으로서 배열된다. 콘택트 요소는 콘택트 스트립의 T자 형 플라스틱 부재의 가로지른 아암 내의 분할각도에 대칭적으로 중심 전이구역으로 배열된다. 대칭 배열은 생산하기에 단순하고 높은 안정성을 갖는 형태를 구비한 콘택트 스트립을 파생시킨다. 대부분의 콘택트 요소 모두가 회로기판에 대해 45°의 각도로 전이구역에서 측면으로 나란하게 연장하는 상태에서, 콘택트 스트립은 회로기판들 사이에서 가장 짧은 접속을 나타낸다. 콘택트 요소의 전이구역과 콘택트 구역 사이의 만곡 지점의 위치를 자유롭게 선택함으로써, 콘택트 스트립은 다른 회로기판 상의 콘택트 지점의 횡열들 사이의 간격으로 채택될 수 있다. 콘택트 스트립에서 홀수의 콘택트 요소의 배열은 180°정도의 모든 제2콘택트 스트립의 회전 후에, 소정 길이의 콘택트 스트립을 형성하도록 배열될 수 있는 형상을 형성하고, 회로기판 상의 콘택트 지점의 규격 구조 치수는 무용공간(wasting space)없이 사용된다.The contact strips are arranged in a T-shape along the angle dividing the angle between the circuit boards which are perpendicular to each other. The contact elements are arranged in the center transition zone symmetrically at the angle of division in the transverse arm of the T-shaped plastic member of the contact strip. Symmetrical arrangements result in contact strips having a shape that is simple to produce and has high stability. With most of the contact elements all extending side by side in the transition zone at an angle of 45 ° to the circuit board, the contact strip represents the shortest connection between the circuit boards. By freely selecting the position of the bending point between the transition region and the contact region of the contact element, the contact strip can be adopted as the spacing between the rows of contact points on the other circuit board. The arrangement of the odd number of contact elements in the contact strip forms a shape that can be arranged to form a contact strip of a predetermined length after rotation of all second contact strips of about 180 °, and the specification structural dimensions of the contact points on the circuit board are Used without wasting space.

바람직하게, 콘택트 스트립은 최소공간을 요구한다. 이것은 스트립이 두개의 동일한 횡단아암이 연장되는 캐리어 웹을 갖고 단부에서 관찰할 때 T자형 단면을 구비할 때 달성되어, 콘택트의 전이구역은 횡단아암을 따라 연장하고 캐리어 웹은 교차하는 회로기판 사이의 각도를 분할하는 각도로 배열된다.Preferably, the contact strips require minimal space. This is achieved when the strip has a carrier web extending two identical cross arms and has a T-shaped cross section when viewed from the end, so that the transition zone of the contact extends along the cross arm and the carrier web intersects between the circuit boards. The angles are arranged in degrees.

다른 장점은 콘택트 스트립이 매우 높게 안정화된다는 것이다. 이것은 콘택트 요소의 모든 전이구역이 스트립의 T자형 단면의 횡단아암에 평행하게 연장하기 때문에 달성된다. 이것은 또한 횡단아암의 단부 및 T자형 스트립의 캐리어 아암의 단부가 회로기판을 지지하기 위한 경사진 지지면을 갖는다는 점에서 달성된다.Another advantage is that the contact strips stabilize very high. This is achieved because all the transition zones of the contact elements extend parallel to the cross arms of the T-shaped cross section of the strip. This is also achieved in that the end of the transverse arm and the end of the carrier arm of the T-shaped strip have an inclined support surface for supporting the circuit board.

다른 장점은 콘택트 스트립의 콘택트 요소가 단순하게 제작된다는 것이다. 이것은 모든 콘택트 요소가 동일 전기적 도전 길이를 구비하여 달성된다.Another advantage is that the contact elements of the contact strips are simply manufactured. This is achieved with all contact elements having the same electrical conductive length.

콘택트 스트립이 다양한 형상의 회로기판에 적합하게 사용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이것은 콘택트 요소의 모든 콘택트 구역이 동일하거나 또는 교번하는 방식으로 배열되는 만곡 지점을 갖도록 스트립의 하나의 종방향 측면 상에서 측면으로 나란하게 배열될 수 있기 때문이다.The contact strip has the advantage that it can be suitably used for circuit boards of various shapes. This is because all the contact regions of the contact elements can be arranged side by side on one longitudinal side of the strip such that they have curved points arranged in the same or alternating manner.

또한, 콘택트 스트립은 스트립이 홀수의 콘택트 요소를 수용하고 콘택트 요소들 사이의 간격의 배수에 대응하는 길이를 갖는 점에서 설계시 규격 구조화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In addition, contact strips have the advantage that they can be sized and structured at design time in that the strips receive an odd number of contact elements and have a length corresponding to a multiple of the spacing between the contact element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콘택트 스트립(3)에 의해 기계적 및 전기적으로 접속된 두개의 상호 수직인 회로기판(1, 2)을 나타낸다. 콘택트 스트립(3)은 T자형 단면을 갖는 긴 플라스틱 부재(4)로 구성된다. 플라스틱 부재(4)는 캐리어 웹(7; carrier web)과 교번하는 횡단 아암(5, 6; transverse arm)으로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5개의 동일 콘택트 요소(8)는 긴 플라스틱 부재(4)에서 측면으로 나란히 배열된다. 콘택트 요소(8) 각각은 횡단아암(5, 6)에 배치된 전이구역(9)과, 45°의 각도로 떨어져 만곡된 두개의 콘택트 구역(10, 10')으로 구성된다. 콘택트 구역(10, 10')은 각 회로기판(1, 2)에 있는 홀(11, 11')에 삽입된다. 콘택트는 홀(11, 11')을 통해 판금된 상태로 제작된다. 콘택트 구역(10, 10')은 적어도 홀(11, 11')의 구역에 설계되어, 양호한 전기적 및 기계적 접속이 콘택트 스트립(3)과 회로기판(1, 2) 사이에 형성된다. 전기적 콘택트 특성을 개선시키기 위하여, 콘택트 구역(10, 10')은 주석 또는 은합금으로 피복될 수 있다. 콘택트 구역(10, 10')과 회로기판(1, 2) 사이의 접속은 계면끼워맞춤(interference fit) 또는 납땜 접속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콘택트 구역(10, 10')이 회로 기판(1, 2) 상의 납땜 패드에 직접 납땜될 수 있다.1 shows two mutually perpendicular circuit boards 1, 2 which are mechanically and electrically connected by a contact strip 3 according to the invention. The contact strip 3 consists of an elongate plastic member 4 having a T-shaped cross section. The plastic member 4 consists of transverse arms 5, 6 which alternate with the carrier web 7. In the present embodiment, five identical contact elements 8 are arranged side by side in the elongated plastic member 4. Each of the contact elements 8 consists of a transition zone 9 arranged on the cross arms 5, 6 and two contact zones 10, 10 ′ which are curved at an angle of 45 °. The contact zones 10, 10 ′ are inserted into the holes 11, 11 ′ in each circuit board 1, 2. The contact is fabricated in a sheet metal state through the holes 11 and 11 '. The contact zones 10, 10 ′ are designed at least in the zones of the holes 11, 11 ′ so that good electrical and mechanical connections are formed between the contact strip 3 and the circuit boards 1, 2. In order to improve the electrical contact properties, the contact regions 10, 10 ′ may be coated with tin or silver alloy. The connection between the contact regions 10, 10 ′ and the circuit boards 1, 2 can be formed by an interference fit or a soldered connection. In addition, contact regions 10, 10 ′ can be soldered directly to solder pads on circuit boards 1, 2.

도 2는 다른 콘택트 스트립(3)을 도시하고 있지만, 회로기판(1, 2)은 도시되어 있지 않는다. 콘택트 구역(10, 10')이 특정 형상, 예를 들어 회로기판(1, 2)에 결합하기 위한 부가적인 만곡점을 어떻게 갖는가를 나타낼 수 있다.2 shows another contact strip 3, but circuit boards 1 and 2 are not shown. It can be shown how the contact regions 10, 10 'have additional curvature points for coupling to a particular shape, for example the circuit board 1, 2.

도 3은 도 1의 어셈블리의 단면도이다. 횡단아암(5, 6)과 캐리어 웹(7)은 그들 각각의 단부에서 경사지는 지지면(12, 12')을 포함한다. 지지면(12, 12')들은 상호 수직인 회로기판(1, 2)이 여러 지점에서 서로 지지되도록 배열된다. 이것은 어셈블리의 기계적 안정성을 증가시킨다. 각각의 회로기판(1, 2)은 콘택트 스트립(3)의 종방향에서 세개의 상이한 구역, 즉 첫째로 콘택트 구역, 둘째로 횡단아암(5, 6)의 개별적인 단부 위치에 있는 지지면(12)의 구역, 세째로 캐리어 웹(7)의 단부에 있는 지지면(12')의 구역에서 콘택트 스트립(3)과 협력한다.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assembly of FIG. 1. The transverse arms 5, 6 and the carrier web 7 comprise support surfaces 12, 12 ′ which are inclined at their respective ends. The support surfaces 12, 12 'are arranged such that mutually perpendicular circuit boards 1, 2 are supported at each other at various points. This increases the mechanical stability of the assembly. Each circuit board 1, 2 has a support surface 12 in three different zon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ntact strip 3, namely first the contact zone, secondly the individual end positions of the transverse arms 5, 6. Cooperate with the contact strip 3 in the region of, thirdly in the region of the support surface 12 ′ at the end of the carrier web 7.

도 4는 바닥면에서 관찰된 도 2의 콘택트 스트립(3)을 예시한다. 경사진 지지면(12, 12')이 횡단아암(5, 6)의 단부 및 캐리어 웹(7)의 단부의 어떤 지역에서 어떻게 형성되는 지를 알 수 있다. 캐리어 웹(7)은 탄성 방식으로 연장하지는 않지만 콘택트 스트립(3)의 종방향에서 지그재그 라인으로 연장한다. 재료의 소량을 통한 최대 안정성은 지그재그 배열 및 캐리어 웹(7)의 단부에서 지지면(12')의 배열에 의해 달성된다. 캐리어 웹(7)에는 지지 작용이 회로기판(1)에 요구되는 지점에서만 지지면(12')이 제공된다. 콘택트 요소(8)는 두개의 개별적인 콘택트 구역(10, 10')과 전이구역(9)으로 구성된다. 전이구역(9)은 예를 들어, 콘택트 요소(8) 주위에서 플라스틱 사출 성형에 의해 형성된 횡단아암(5, 6)을 통해 어떤 구역에서 연장한다. 이 후에, 콘택트 요소(8)는 스탬핑(stamping) 작업에 이ㅡ해 서로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4 illustrates the contact strip 3 of FIG. 2 observed from the bottom side. It can be seen how the inclined support surfaces 12, 12 ′ are formed in which region of the end of the transverse arms 5, 6 and the end of the carrier web 7. The carrier web 7 does not extend in an elastic manner but extends in a zigzag lin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ntact strip 3. Maximum stability through small amounts of material is achieved by a zigzag arrangement and an arrangement of the support surface 12 'at the end of the carrier web 7. The carrier web 7 is provided with a support surface 12 ′ only at the point where a supporting action is required of the circuit board 1. The contact element 8 consists of two separate contact zones 10, 10 ′ and a transition zone 9. The transition zone 9 extends in some zone, for example through the transverse arms 5, 6 formed by plastic injection molding around the contact element 8. After this, the contact elements 8 can be separated from each other by means of a stamping operation.

도 5는 도 4의 선 A-A를 따라 도시된 콘택트 스트립(3)의 단면도이다. 콘택트 스트립(3)이 T자형 단면을 갖는 플라스틱 부재(4)와 평면에 배열된 다수의 콘택트 요소(8)로 구성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FIG. 5 is a sectional view of the contact strip 3 shown along the line A-A of FIG. 4. It can be seen that the contact strip 3 consists of a plastic member 4 having a T-shaped cross section and a plurality of contact elements 8 arranged in a plane.

도 6은 도 4의 선 B-B를 따라 도시된 콘택트 스트립(3)의 단면도이다. 콘택트 요소(8)는 전이구역(9)과 두개의 콘택트 구역(10, 10')으로 구성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콘택트 구역(10, 10')은 횡단아암(5, 6)의 평면으로부터 45°의 각도로 떨어져 만곡된다. 이것은 콘택트 스트립(3)의 상호 대향된 종방향 측면 상의 콘택트 구역(10, 10')이 서로에 대해 90°의 각도로 연장하도록 야기시킨다. 플라스틱 부재(4)는 두개 회로기판(1, 2) 사이의 각도를 분할시키는 각도를 따르는 캐리어 웹(7)과 콘택트 구역(10, 10')이 각각의 회로기판(1, 2)에 대해 수직으로 배향되도록 배열된다.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contact strip 3 shown along the line B-B in FIG. 4. It can be seen that the contact element 8 consists of a transition zone 9 and two contact zones 10, 10 ′. The contact zones 10, 10 ′ are curved away at an angle of 45 ° from the plane of the transverse arms 5, 6. This causes the contact regions 10, 10 ′ on the mutually opposite longitudinal sides of the contact strip 3 to extend at an angle of 90 ° with respect to each other. The plastic member 4 has a carrier web 7 and contact regions 10, 10 ′ along the angle dividing the angle between the two circuit boards 1, 2 perpendicular to the respective circuit boards 1, 2. Arranged to be oriented.

도 7 내지 도 12는 콘택트 스트립(3)의 제2실시예를 예시한다. 동일 참조번호는 어셈블리의 동일 요소에 관한 것이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콘택트 스트립(3)과 도 7 내지 도 12에 도시된 콘택트 스트립(3) 사이의 차이점은 콘택트 구역(10, 10')이 횡단아암(5, 6)의 평면으로부터 상이한 방식으로 만곡된다는 것이다. 그러나, 플라스틱 부재(4)는 두개 실시예에서 동일하다. 콘택트 요소(8)를 상이한 방식으로 만곡시킴으로써, 동일 콘택트 요소(8)는 회로기판(1, 2)의 다른 형상에 적합하게 사용될 수 있는 반면 여전히 동일 전선 길이를 유지한다. 도 7 및 도 9는 회로기판(1, 2) 내의 홀(11, 11')이 두개의 상호 이격 분리된 횡열로 배열되는 방식을 나타낸다. 이것은 또한 홀(11, 11')의 횡열의 간격이 제2회로기판(2)보다 제1회로기판(1)에서 더 작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7 내지 도 12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콘택트 스트립(3)은 도 1 내지 도 6의 실시예에서와 동일한 재료 및 공구를 사용하여 제작된다. 제작동안 공정 단계도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단지, 콘택트 구역(10, 10')을 만곡시키기 위해 요구된 공구는 변경되어야 한다. 전이구역(9)과 콘택트 구역(10, 10') 사이의 만곡 지점의 위치를 선택함으로써, 콘택트 스트립(3)은 회로기판(1, 2)의 개별적인 형상으로 채택될 수 있다.7 to 12 illustrate a second embodiment of the contact strip 3. The sam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the same element of the assembly. The difference between the contact strip 3 shown in FIGS. 1 to 6 and the contact strip 3 shown in FIGS. 7 to 12 is that the contact zones 10, 10 ′ are separated from the plane of the transverse arms 5, 6. Bent in different ways. However, the plastic member 4 is the same in both embodiments. By bending the contact elements 8 in different ways, the same contact elements 8 can be used suitably for different shapes of the circuit boards 1 and 2 while still maintaining the same wire length. 7 and 9 show how the holes 11 and 11 'in the circuit boards 1 and 2 are arranged in two mutually spaced apart rows. It can also be seen that the spacing of the rows of holes 11, 11 ′ is smaller in the first circuit board 1 than in the second circuit board 2. 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S. 7 to 12 the contact strip 3 is made using the same materials and tools as in the embodiment of FIGS. 1 to 6. The process steps during manufacture are substantially the same. Only the tools required to bend the contact zones 10, 10 ′ have to be changed. By selecting the position of the bending point between the transition zone 9 and the contact zones 10, 10 ′, the contact strip 3 can be adopted in the individual shape of the circuit boards 1, 2.

도 13 내지 도 16은 콘택트 스트립(3)이 회로기판(1, 2)의 당야한 형상에 적합하게 사용될 수 있는 방식을 나타낸다. 도 13은 측면으로 나란하게 직접 배열된 5개의 콘택트 요소(8)를 각각 갖는 두개의 콘택트 스트립(3, 3')을 나타낸다. 홀(11, 11')은 회로기판(2)에 두개 횡열로 도시되고, 각각은 5개의 홀(11, 11')로 구성된다. 이것은 콘택트 스트립(3, 3')이 회로기판(1, 2)에서 홀(11, 11')의 가능한 한 조밀한 배열을 갖는 콘택트를 형성할 수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13 to 16 show how the contact strip 3 can be suitably used for the unusual shape of the circuit boards 1, 2. FIG. 13 shows two contact strips 3, 3 ′ each having five contact elements 8 arranged directly side by side. The holes 11, 11 ′ are shown in two rows on the circuit board 2, each consisting of five holes 11, 11 ′. This indicates that the contact strips 3, 3 ′ can form contacts with as dense arrangement of holes 11, 11 ′ in the circuit boards 1, 2.

도 14는 5개의 홀(11, 11')을 갖는 다른 회로기판에 대해 미리 배향된 5개의 콘택트 요소(8)를 갖는 콘택트 스트립(3)을 나타낸다. 도 14의 도면은 제2콘택트 스트립(3')과 5개의 관련된 홀(11, 11')을 생략함으로써, 도 13에 도시된 도면으로부터 유추될 수 있따.FIG. 14 shows a contact strip 3 with five contact elements 8 previously oriented relative to another circuit board with five holes 11, 11 ′. The figure of FIG. 14 can be deduced from the figure shown in FIG. 13 by omitting the second contact strip 3 ′ and the five associated holes 11, 11 ′.

도 15는 도 13의 제2콘택트 스트립(3')이 도 14의 동일 회로기판(2')에 대해 사용될 수 있는 방식을 나타낸다. 도 15에 도시된 콘택트 스트립(3')은 도 13에 도시된 콘택트 스트립(3')과 동일하지만, 180°정도 회전되었다. 180°정도의 회전 후에, 제2콘택트 스트립(3)의 플라스틱 부재(4)의 형상과 콘택트 요소(8)의 배열은 제1콘택트 스트립(3)의 형상과 완전히 동일하다.FIG. 15 shows how the second contact strip 3 ′ of FIG. 13 can be used for the same circuit board 2 ′ of FIG. 14. The contact strip 3 'shown in FIG. 15 is the same as the contact strip 3' shown in FIG. 13 but rotated by 180 °. After a rotation of about 180 °, the shape of the plastic member 4 of the second contact strip 3 and the arrangement of the contact elements 8 are exactly the same as the shape of the first contact strip 3.

도 16은 다른 회로기판(2")에 대해 미리 배향된 제2콘택트 스트립(3')을 예시한다. 도 13 내지 도 16에서 콘택트 스트립(3, 3')은 무용공간(wasting space)없이 다수의 다른 회로기판(2, 2', 2")에 적합하게 사용될 수 있는 예시를 나타낸다.Figure 16 illustrates a second contact strip 3 'previously oriented with respect to another circuit board 2 ". In Figures 13-16 the contact strips 3, 3' have a large number without wasting space. An example that can be suitably used for other circuit boards 2, 2 ', and 2 "of FIG.

콘택트 스트립(3, 3') 각각은 홀수, 예를 들어 5개의 콘택트 요소(8)로 구성된다. 콘택트 요소(8) 각각은 제1콘택트 구역(10) 및 제2콘택트 구역(10')에서 상이하게 만곡된다. 각 콘택트 요소(8)의 제1 및 제2콘택트 구역(10, 10')에서 만곡 지점의 상이한 위치 및 인접하는 콘택트 요소(8)의 교번 배열때문에, 제1 및 제2콘택트 구역(10, 10')은 콘택트 스트립(3, 3')의 각 종방향 측면 상에 두개의 횡열을 형성한다. 콘택트 스트립(3)의 제1종방향 측면 상의 5개중 3개의 콘택트 요소(8)의 제1콘택트 구역(10)은 제1횡열 예를 들어, 내적 횡열(internal row) 상태로 위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만곡 지점은 콘택트 스트립(3)의 플라스틱 부재(4)의 중심라인을 향하여 계속 내부적으로 위치된다. 콘택트 스트립(3)의 제2 대향하는 종방향 측면 상에서, 이들 세개의 콘택트 요소(8)의 대향하는 만곡지점은 플라스틱 부재(4)의 중심라인으로부터 계속 외부로 향하여 위치된다.Each of the contact strips 3, 3 ′ consists of an odd number, for example five contact elements 8. Each of the contact elements 8 bends differently in the first contact zone 10 and the second contact zone 10 ′. Due to the different positions of the bending points in the first and second contact zones 10, 10 ′ of each contact element 8 and the alternating arrangement of adjacent contact elements 8, the first and second contact zones 10, 10. ') Forms two rows on each longitudinal side of the contact strips 3, 3'. The first contact zone 10 of three of the five contact elements 8 on the first longitudinal side of the contact strip 3 is located in a first row, for example in an internal row state. In this embodiment, the bending point continues to be positioned internally towards the centerline of the plastic member 4 of the contact strip 3. On the second opposing longitudinal side of the contact strip 3, the opposing curvature points of these three contact elements 8 are located outward from the centerline of the plastic member 4.

두개의 추가 콘택트 요소(8)는 세개의 제1콘택트 요소(8) 사이에서 교번적으로 배열된다. 이들 두개의 콘택트 요소(8)의 제2콘택트 구역(10')은 콘택트 스트립(3)의 제1종방향 측면 상에 제2 외부횡열 상태로 배치된다. 이들 두개의 콘택트 요소(8)의 대향하는 만곡지점은 콘택트 스트립(3)의 대향하는 제2종방향 측면 상에서 플라스틱 부재(4)를 향해 계속 내부로 위치된다. 횡열들 사이의 간격은 콘택트 스트립(3)의 두개 종방향 측면 상에서 동일하도록 선택되고, 5개의 콘택트 요소(8)를 갖는 다른 콘택트 스트립(3)은 180°회전한 후에 회로기판의 콘택트 지점에 제1콘택트 스트립(3)에 이어서 직접 연결될 수 있다. 회로기판의 접속에 적합한 소정길이를 갖는 상부 콘택트 스트립은 콘택트 지점의 규격 구조 치수에서 무용공간없이 콘택트 스트립(3)의 단일 형상을 갖는 방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Two further contact elements 8 are alternately arranged between the three first contact elements 8. The second contact zone 10 ′ of these two contact elements 8 is arranged in a second outer row state on the first longitudinal side of the contact strip 3. Opposite curvature points of these two contact elements 8 continue to be positioned inward toward the plastic member 4 on the opposing second longitudinal side of the contact strip 3. The spacing between the rows is chosen to be the same on the two longitudinal sides of the contact strip 3, and the other contact strip 3 with the five contact elements 8 is rotated 180 ° and then placed at the contact point of the circuit board. One contact strip 3 can then be connected directly. The upper contact strip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suitable for the connection of the circuit board can be manufactured in such a way as to have a single shape of the contact strip 3 without using space in the standard structural dimension of the contact point.

두개의 상호 수직인 회로기판을 접속하기 위한 콘택트 스트립을 제작하기 위한 공정이 도 17을 참조하여 이제 설명될 것이다. 먼저, 캐리어 레일(32)과 스트립 방향에 대해 가로질러 위치된 다수의 콘택트 요소(8)를 갖는 금속 그리드(31; metal grid)는 금속 스트립(30)으로부터 펀칭된다. 캐리어 레일(32)은 금속 스트립(30)의 종방향으로 연장하고 스트립(30)의 중심으로부터 등거리로 배열된다.A process for manufacturing a contact strip for connecting two mutually perpendicular circuit boards will now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First, a metal grid 31 having a plurality of contact elements 8 positioned across the carrier rail 32 and the strip direction is punched out of the metal strip 30. The carrier rail 32 ext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etal strip 30 and is arranged equidistant from the center of the strip 30.

공정의 다음 단계에서, 금속 그리드(31)는 콘택트 구역(10, 10')에서 전기분해 방식으로 도금될 수 있다. 전해도금은 예를 들어, 주석, 은 또는 금으로 구성된 금속의 하나 이상의 층의 증착으로 유도된다. 도금 공정 후에, 금속 그리드(31)에는 캐리어 레일(32) 사이의 전이구역(9)에서 스트립(30)의 양측면 상에 비도전성 플라스틱 재료로 사출성형된다. 캐리어 레일(32)은 사출성형 공정동안 부분적으로 사출성형 기구를 은폐하도록 사용될 수 있다. 긴 스트립(33)은 플라스틱 사출성형에 의해 제작되고 콘택트 요소(8)의 전이구역(9)을 수용하는 두개의 횡단아암(5, 6) 및 T자 형태로서 횡단아암(5, 6)에 대해 수직으로 연장하는 캐리어 웹(7)을 구성하는 실질적인 T자 형상 단면을 갖는다.In the next step of the process, the metal grid 31 may be plated electrolytically in the contact zones 10, 10 ′. Electroplating is led to the deposition of one or more layers of metal, for example composed of tin, silver or gold. After the plating process, the metal grid 31 is injection molded of non-conductive plastic material on both sides of the strip 30 in the transition zone 9 between the carrier rails 32. The carrier rail 32 may be used to partially hide the injection molding tool during the injection molding process. The long strip 33 is made by plastic injection molding and has two transverse arms 5, 6 for receiving the transition zone 9 of the contact element 8 and for the transverse arms 5, 6 in the form of a T. It has a substantially T-shaped cross section constituting the carrier web 7 extending vertically.

캐리어 레일(32) 및 어떤 구역에서 플라스틱 재료는 공정의 다른 단계에서 스트립(33)으로부터 제거된다. 결과적으로, 개별적으로 전기적으로 분리된 콘택트 요소(8)는 금속 그리드(32)로부터 형성되고, 갭(34)은 모든 제2콘택트 요소(8)의 만곡에 적합한 스트립(33)의 종방향 측면에 형성된다.The plastic material in the carrier rail 32 and in some areas is removed from the strip 33 at other stages of the process. As a result, the individually electrically isolated contact elements 8 are formed from the metal grid 32, and the gaps 34 are on the longitudinal side of the strip 33 suitable for the curvature of all the second contact elements 8. Is formed.

이 후에, 콘택트 구역(10, 10')은 T자형 스트립(33)의 횡단아암(5, 6)의 평면으로부터 45°의 각도로 떨어져 만곡된다. 각각의 개별적인 콘택트 요소(8)의 콘택트 구역(10, 10')은 콘택트 구역(10, 10')이 회로기판에 수직으로 배향되도록 서로 수직을 형성한다. 만곡 기구에서, 전이구역(9)과 콘택트 구역(10, 10') 사이의 만곡 지점의 위치는 개별적인 회로기판의 형상에 따라 다르게 선택될 수 있다.After this, the contact zones 10, 10 ′ are curved at an angle of 45 ° from the plane of the transverse arms 5, 6 of the T-shaped strip 33. The contact regions 10, 10 ′ of each individual contact element 8 form perpendicular to each other such that the contact regions 10, 10 ′ are oriented perpendicular to the circuit board. In the bending mechanism, the position of the bending point between the transition zone 9 and the contact zones 10, 10 'can be selected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shape of the individual circuit board.

T자형 스트립(33)은 공정의 마지막 단계로서 종방향에서 개별적인 콘택트 스트립 부분(35, 35', 35")으로 분리된다. 콘택트 스트립 부분(35, 35', 35")은 홀수의 콘택트 요소(8)로 구성되고 요소(8)들 사이의 간격의 배수인 길이를 갖는다.The T-shaped strip 33 is separated into individual contact strip portions 35, 35 ', 35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s the last step of the process. The contact strip portions 35, 35', 35" are formed of an odd number of contact elements ( 8) and has a length that is a multiple of the spacing between the elements 8.

콘택트 스트립은 두개의 상호 수직인 회로기판의 전기적 및 기계적 접속, 예를 들어 전기 또는 전자 장치에서 소위 "도터 기판"(daughter board)을 소위 "머더 기판"(mother board)에 접속하기 위해 사용된다.Contact strips are used to connect the so-called "daughter board" to the so-called "mother board" in electrical and mechanical connection of two mutually perpendicular circuit boards, for example in electrical or electronic devices.

Claims (9)

긴 스트립(3) 형태인 절연성 수용부재가 제공되고;An insulating receiving member in the form of an elongated strip 3 is provided; 상기 스트립(3) 내에서 연장하는 전이구역(9)과, 제1회로기판에 대한 전기적 접속에 적합한 제1콘택트 구역(10) 및 제2회로기판에 대한 전기적 접속에 적합한 제2콘택트 구역(10')을 갖는 콘택트 요소(8)로 구성되고, 상기 제1콘택트 구역(10) 및 제2콘택트 구역(10')은 개별적인 회로기판의 방향으로 상기 스트립(3)으로부터 돌출하고 있는 제1 및 제2 상호 수직인 회로기판의 전기적 접속에 적합한 콘택트 스트립에 있어서,A transition region 9 extending in the strip 3 and a first contact region 10 suitable for electrical connection to the first circuit board and a second contact region 10 suitable for electrical connection to the second circuit board. And a first and second contact zone 10 'protruding from the strip 3 in the direction of a separate circuit board. 2 Contact strips suitable for electrical connection of mutually perpendicular circuit boards, 상기 절연성 수용부재는 캐리어 웹(7)과 두개의 횡단아암(5, 6)을 구비하여 상기 전이구역(9)이 상기 횡단아암(5, 6)을 따라 연장하고 상기 캐리어 웹(7)이 상기 회로기판들 사이의 각도를 분할하는 각도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택트 스트립.The insulating receiving member has a carrier web 7 and two transverse arms 5, 6 such that the transition zone 9 extends along the transverse arms 5, 6 and the carrier web 7 is the A contact strip arranged at an angle dividing an angle between circuit boards.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횡단아암(5, 6) 및 캐리어 웹(7)은 상기 회로기판들에 대응하는 지지면(12, 12')을 형성하도록 경사진 단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택트 스트립.The transverse arm (5, 6) and the carrier web (7) are characterized in that they have inclined ends to form support surfaces (12, 12 ') corresponding to the circuit boards.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상기 횡단아암(5, 6) 및 캐리어 웹(7)은 T자형 단면을 한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택트 스트립.The transverse arm (5, 6) and the carrier web (7) are characterized in that they define a T-shaped cross section. 제1항 내지 제3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상기 콘택트 스트립은 다수의 콘택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택트 스트립.And wherein said contact strip comprises a plurality of contacts. 제4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콘택트 스트립의 길이를 따라 교번하는 횡단아암은 인쇄회로기판의 교번하는 표면에 대응하는 지지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택트 스트립.And the transverse arms alternating along the length of the contact strip comprise support surfaces corresponding to the alternating surfaces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제4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스트립(3)은 콘택트 요소(8)들 사이의 간격의 배수에 대응하는 길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택트 스트립.Contact strip, characterized in that the strip (3) has a length corresponding to a multiple of the spacing between the contact elements (8). 두개의 상호 수직인 회로기판을 접속하기 위한 콘택트 스트립을 제작하는 방법에 있어서,In the method for manufacturing a contact strip for connecting two mutually perpendicular circuit boards, 캐리어 레일(32)과, 인접하는 콘택트 요소(8)가 두개의 캐리어 레일(32)에 의한 그리드로서 서로에 대해 접속된 상태로 유지하도록 스트립 방향에 대해 가로질러 위치된 다수의 콘택트 요소(8)를 갖는 금속 그리드(31)를 형성하는 단계와,Multiple contact elements 8 positioned across the strip direction such that the carrier rail 32 and adjacent contact elements 8 remain connected to each other as a grid by two carrier rails 32. Forming a metal grid 31 having: 실질적으로 T자형 단면 및 두개의 종방향 측면을 갖는 긴 스트립(33)이 형성되는 방식으로 상기 금속 그리드(31) 주위 및 상기 캐리어 레일(32) 사이에 플라스틱 재료를 성형하는 단계와,Molding a plastic material around the metal grid 31 and between the carrier rail 32 in such a way that an elongated strip 33 having a substantially T-shaped cross section and two longitudinal sides is formed; 전기적으로 분리된 개별적인 콘택트 요소(8)가 상기 금속 그리드(31)로부터 형성되고, 갭이 교번하는 방식으로 각각의 제2콘택트 요소(8)에 적합하게 상기 스트립(33)의 종방향 측면 상의 플라스틱 재료에 형성되도록 하는 방식으로 소정 구역에서 상기 스트립(33)으로부터 상기 캐리어 레일(32)과 상기 플라스틱 재료를 제거하는 단계와,Electrically separated individual contact elements 8 are formed from the metal grid 31 and the plastic on the longitudinal side of the strip 33 suitable for each second contact element 8 in an alternating manner of gaps. Removing the carrier rail 32 and the plastic material from the strip 33 in a predetermined region in such a way as to be formed in the material; 각각의 개별적인 콘택트 요소(8)가 실질적으로 서로에 대해 직각을 형성하도록 상기 종방향 측면 상에서 T자형 스트립(33)의 평면으로부터 45°의 각도로 상기 콘택트 요소의 콘택트 구역(10, 10')을 만곡하는 단계와,The contact regions 10, 10 ′ of the contact elements are angled at an angle of 45 ° from the plane of the T-shaped strip 33 on the longitudinal side such that each individual contact element 8 is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each other. Curved step, 홀수의 콘택트 요소(8)를 갖는 개별적인 콘택트 스트립 부분(35, 35', 35")이 콘택트 요소(8)들 사이 간격의 배수에 대응하는 길이를 갖도록 형성하는 방식으로 상기 T자형 스트립(33)을 종방향으로 분리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The T-shaped strip 33 in such a way that the individual contact strip portions 35, 35 ′, 35 ″ with odd number of contact elements 8 are formed to have a length corresponding to a multiple of the spacing between the contact elements 8. Separat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제7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금속 그리드(31)는 펀칭 후에 상기 콘택트 구역(10, 10')에서 전해방식으로 도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The metal grid (31) is electrolytically plated in the contact zone (10, 10 ') after punching.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7 or 8, 상기 콘택트 요소(8)는 만곡 지점의 위치가 상기 전이구역(9)과 상기 콘택트 구역(10, 10') 사이에서 자유롭게 선택될 수 있도록 떨어져 만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The contact element (8) is characterized in that it bends away so that the position of the point of curvature can be freely chosen between the transition zone (9) and the contact zone (10, 10 ').
KR1020007009053A 1998-02-25 1999-02-23 Contact strip for connecting two circuit boards and a process for producing the contact strip KR20010041021A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98103307 1998-02-25
EP98103307.9 1998-02-25
PCT/IB1999/000324 WO1999044260A1 (en) 1998-02-25 1999-02-23 Contact strip for connecting two circuit boards and a process for producing the contact strip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41021A true KR20010041021A (en) 2001-05-15

Family

ID=82314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7009053A KR20010041021A (en) 1998-02-25 1999-02-23 Contact strip for connecting two circuit boards and a process for producing the contact strip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2002505513A (en)
KR (1) KR20010041021A (en)
AU (1) AU2296199A (en)
WO (1) WO1999044260A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972143B2 (en) 2009-02-02 2011-07-05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Printed circuit assembly
JP5571034B2 (en) * 2011-05-27 2014-08-13 豊田鉄工株式会社 Press-fit terminal
JP5984526B2 (en) 2012-06-20 2016-09-06 日本電波工業株式会社 Surface mount device
JP2014167931A (en) * 2014-05-12 2014-09-11 Toyoda Iron Works Co Ltd Press-fit terminal
JP2016027536A (en) * 2014-06-27 2016-02-18 住友電装株式会社 Printed board with terminal
JP6899496B2 (en) * 2018-04-09 2021-07-07 シグニファイ ホールディング ビー ヴィSignify Holding B.V. Multi-board power connector
JP7029643B2 (en) * 2018-09-03 2022-03-04 住友電装株式会社 Terminals, board connectors, and boards with connectors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490440A1 (en) * 1963-08-06 1969-11-13 Siemens Ag Contact strip for the electrical connection of at least two vertically stacked plates carrying printed conductor paths
IT958626B (en) * 1971-10-06 1973-10-30 Teledyne Inc CONNECTOR FOR CIRCUIT PANEL AND RELATIVE MANUFACTURING METHOD
EP0303542A3 (en) * 1987-08-11 1990-01-31 Societe Francaise Metallo (Sa) Holder for the connection of two rectangularly placed printed circuits and production method theref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1999044260A1 (en) 1999-09-02
JP2002505513A (en) 2002-02-19
AU2296199A (en) 1999-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30144A (en) Solder-bearing lead
EP0146242B1 (en) An electrical connector for a chip carrier
US5957739A (en) Continuous electronic stamping with offset carrier
US8367942B2 (en) Low profile electrical interposer of woven structure and method of making same
US4602834A (en) Electrical jumper
US4191445A (en) Louvered electrical connector
KR101001816B1 (en) Hybrid integrated circuit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US4428642A (en) Body-carry electrical contact strips
KR20010041021A (en) Contact strip for connecting two circuit boards and a process for producing the contact strip
US3444617A (en) Self-positioning and collapsing standoff for a printed circuit connection and method of achieving the same
US5518426A (en) Electrical connector and method of assembling an electrical connector with rows of interspaced contacts
JP2004505471A (en) Device having at least two printed circuit boards
US6443737B2 (en) Circuit board, electrical connection box having the circuit board and method of making the circuit board
US4750266A (en) Flat cable connector assembly
EP1394903B1 (en) Arrangement for the electrical connection of a component to the upper face of a printed circuit board
US6093031A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different interface matrices
JP3323507B2 (en) High-density electrical interconnect system
US7059867B1 (en) High density multi-lead surface mount interconnect and devices including same
JPS592384A (en) Light-emitting diode lamp
KR790001632B1 (en)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components for distributor elements of telecommunication systems
JPH07120538B2 (en) Board-to-board connecto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2001156420A (en) Printed-circuit board
SU1412014A1 (en) Connector for printed circuit-boards
JPH0345870B2 (en)
JP2000100527A (en) Connector and its manufac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