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38959A - 스프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스프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38959A
KR20010038959A KR1019990047161A KR19990047161A KR20010038959A KR 20010038959 A KR20010038959 A KR 20010038959A KR 1019990047161 A KR1019990047161 A KR 1019990047161A KR 19990047161 A KR19990047161 A KR 19990047161A KR 20010038959 A KR20010038959 A KR 200100389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int
air
supply
spray
injection pass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471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영후
Original Assignee
안영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영후 filed Critical 안영후
Priority to KR10199900471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038959A/ko
Publication of KR200100389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38959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9/00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out essentially mixing with gas or vapour
    • B05B9/03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out essentially mixing with gas or vapour characterised by means for su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Landscapes

  • Nozz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페인트 등의 도료(塗料)를 분사방식으로 도장(塗裝)하기 위한 스프레이 장치에 있어서, 장치내의 분사통로를 통하여 분사되는 도료를 압축공기에 의하여 송출하도록 하되, 상기 분사통로의 공급부에서 상기 압축공기의 공급력에 의한 진공력이 발생되도록 하고 이 진공력에 의하여 상기 도료의 송출이 원활하도록 하며 상기 분사통로내에 도료의 잔량이 쌓이지 않도록 한 스프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기기 본체(1)에 콘트롤러(2)를 설치하고 이 콘트롤러(2)의 공급장치(3)에는 스프레이 장치의 몸체(4)를 설치하며 이의 손잡이(5)에 도료와 압력공기를 공급하는 공급부(6)(7)를 형성하고 이들의 상단 중앙부에는 분사통로(8)를 형성하며 이 분사통로(8)의 전방에는 분사노즐(9)을 설치하여 구성되고, 상기 분사통로(8)의 후방에는 공기분출공(10)을 형성하고 이 공기분출공(10)은 상기 압력공기 공급부(7)의 상부와 연결시켜 압력공기가 상기 공기분출공(10)으로 토출되도록 구성한 것이다.

Description

스프레이 장치 {Spray apparatus}
본 발명은 페인트 등의 도료(塗料)를 분사방식으로 도장(塗裝)하기 위한 스프레이 장치에 있어서, 장치내의 분사통로를 통하여 분사되는 도료를 압축공기에 의하여 송출하도록 하되, 상기 분사통로의 공급부에서 상기 압축공기의 공급력에 의한 진공력이 발생되도록 하고 이 진공력에 의하여 상기 도료의 송출이 원활하도록 하며 상기 분사통로내에 도료의 잔량이 쌓이지 않도록 한 스프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장용 스프레이 장치는 압축공기를 공급하는 공기 유입구와, 페인트 등의 도료를 공급하는 도료 공급부를 각각 스프레이 장치의 본체내에 형성하고, 이들 공기 유입구와 도료 공급부의 일측 출구를 통합하며 이 통합된 부위의 선단에 분사용 노즐을 설치하고 이 노즐을 통해서 상기 페인트 등의 도료가 분사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와 같이 구성된 스프레이 장치는 피도물(被塗物)에 도장작업을 하기 위하여 공기 유입구와 도료 공급부에 각각 압축공기 콘트롤러의 공기관과 도료 공급용 공급관을 각각 연결시키고, 상기 압축공기 콘트롤러로부터 공급되는 압축공기에 의하여 액체 또는 고체분말로 된 도료를 노즐로 압송하게 되면, 상기 도료가 분사통로를 따라 압송되면서 도료가 노즐을 통하여 분사되고 분사된 도료가 상기 피도물에 피착되어 도장(塗裝)이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작동으로 도장작업을 하는 종래의 스프레이 장치는 도료가 분사통로를 따라 분사될 때 분사통로의 초기부분에서 공기의 압력을 받지 못하는 부분이 발생되고 이 공기압을 받지 못하는 부분이 그대로 상기 분사통로에 남아 있게 되어 분사통로를 막는 작용을 하게 되므로서 상기 도료의 분사작용이 원활하게 되지 못하는 폐단이 있었으며, 또 상기 분사통로로 도료를 공급하는 공급부에서는 상기 도료를 공급하는 공급장치의 공급력에 의존하도록 되어 있었기 때문에 상기 도료가 공급부에서 분사통로로 원활하게 공급되지 못하는 결점이 있었고, 상기 공급부의 공급력을 극대화시켜야만 상기 도료의 송출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상기 공급장치의 용량을 크게해야 하는 점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본 발명은 페인트 등의 도료를 분사방식으로 도장하기 위한 스프레이 장치에 있어서, 장치내의 분사통로를 통하여 분사되는 도료를 압축공기에 의하여 송출하도록 하되, 상기 분사통로의 공급부에서 상기 압축공기의 공급력에 의한 진공력이 발생되도록 하고 이 진공력에 의하여 상기 도료의 송출이 원활하도록 하며 상기 분사통로내에 도료의 잔량이 쌓이지 않도록 한 스프레이 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인 바, 이를 이하에서 첨부한 도면과 실시예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스프레이 장치가 설치되는 스프레이기의 구성도
도 2는 도 1의 일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스프레이 장치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면의주요부분에대한부호설명>
1 : 기기 본체
2 : 콘트롤러
3 : 공급장치
4 : 스프레이 장치의 몸체
5 : 손잡이
6,7 : 공급부
8 : 분사통로
9 : 분사노즐
10 : 공기분출공
실시예
본 발명 실시예의 스프레이 장치는, 기기 본체(1)에 콘트롤러(2)를 설치하고 이 콘트롤러(2)의 공급장치(3)에는 스프레이 장치의 몸체(4)를 설치하며 이의 손잡이(5)에 도료와 압력공기를 공급하는 공급부(6)(7)를 형성하고 이들의 상단 중앙부에는 분사통로(8)를 형성하며 이 분사통로(8)의 전방에는 분사노즐(9)을 설치하여 구성되어 있다.
상기 분사통로(8)의 후방에는 공기분출공(10)을 형성하고 이 공기분출공(10)은 상기 압력공기 공급부(7)의 상부와 연결시켜 압력공기가 상기 공기분출공(10)으로 토출되도록 구성한 것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 실시예의 작용 및 효과를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 실시예의 스프레이 장치는, 기기 본체(1)에 콘트롤러(2)를 설치하고 이 콘트롤러(2)의 공급장치(3)에는 스프레이 장치의 몸체(4)를 설치하며 이의 손잡이(5)에 도료와 압력공기를 공급하는 공급부(6)(7)를 형성하고 이들의 상단 중앙부에는 분사통로(8)를 형성하며 이 분사통로(8)의 전방에는 분사노즐(9)을 설치하여 구성하고, 상기 분사통로(8)의 후방에는 공기분출공(10)을 형성하고 이 공기분출공(10)은 상기 압력공기 공급부(7)의 상부와 연결시켜 압력공기가 상기 공기분출공(10)으로 토출되도록 구성한 것으로 상기 기기 본체(1)의 콘트롤러(2)를 작동시켜 이의 공급장치(3)를 가동시키게 되면, 이 공급장치(3)에 의하여 도료가 공급부(6)를 따라 공급되고 이와 동시에 상기 공급부(6)를 통하여 압력공기가 공급되면서 이 압력공기의 분출력에 의하여 상기 도료가 분사통로(8)를 따라 송출되면서 분사노즐(9)에 의하여 분사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도료가 분사될 때 상기 공급부(7)를 통하여 공급되는 일부 압력공기가 공기분출공(10)으로 공급되면, 이 공기분출공(10)을 통하여 분출되는 압력공기가 상기 분사통로(8)의 초입인 공급부(6)의 상단부에서 도료를 불어주는 상태가 되며 상기 공급부(6)에서는 상기 압력공기의 분출력에 의하여 공기가 차단되는 현상이 발생되면서 진공력을 갖게 된다.
상기와 같이 발생되는 진공력은 상기 공급부(6)를 통하여 공급되는 도료를 분사통로(8)로 인출하는 작용을 하게 되고 이 인출력에 의하여 상기 도료가 원활하게 공급장치(3)로부터 공급되며 상기 공기분출공(10)으로 분출되는 압력공기에 의하여 스프레이 장치의 분사노즐(9)을 통한 송출력이 크게 향상되고 상기 공급부(6)의 상단과 분사통로(8)의 초입에서 도료가 몰려 있거나, 쌓이게 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분사되는 도료를 보조 분출수단인 공기분출공(10)을 통하여 분출시키도록 하고 상기 공기분출공(10)을 통하여 분사되는 도료가 상기 공급부(6)에서 발생되는 진공력에 의하여 인출되는 상태로 공급되도록 하므로서 상기 공급장치(3)의 용량을 작게 하더라도 그 공급력과 분사력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게 되며, 상기 공기분출공(10)의 작용에 따라 분사통로(8)와 공급부(6)의 상단에 도료나 분체가 몰려 있거나, 쌓이지 않게 되므로 상기 분사통로(8)의 분사 단면적을 정상적인 상태로 조성할 수 있게 되고 상기 도료의 분사를 원활하게 하므로서, 상기 분사되는 도료의 피착상태를 안정적이며 일정하고 고루게 할 수 있게 되며 도장작업을 원활하고 안정적으로 할 수 있게 되는 등의 특징을 지닌 것이다.

Claims (1)

  1. 기기 본체(1)에 콘트롤러(2)를 설치하고 이 콘트롤러(2)의 공급장치(3)에는 스프레이 장치의 몸체(4)를 설치하며 이의 손잡이(5)에 도료와 압력공기를 공급하는 공급부(6)(7)를 형성하고 이들의 상단 중앙부에는 분사통로(8)를 형성하며 이 분사통로(8)의 전방에는 분사노즐(9)을 설치하여 구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 분사통로(8)의 후방에는 공기분출공(10)을 형성하고 이 공기분출공(10)은 상기 압력공기 공급부(7)의 상부와 연결시켜 압력공기가 상기 공기분출공(10)으로 토출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레이 장치.
KR1019990047161A 1999-10-28 1999-10-28 스프레이 장치 KR2001003895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47161A KR20010038959A (ko) 1999-10-28 1999-10-28 스프레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47161A KR20010038959A (ko) 1999-10-28 1999-10-28 스프레이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38959A true KR20010038959A (ko) 2001-05-15

Family

ID=196173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47161A KR20010038959A (ko) 1999-10-28 1999-10-28 스프레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038959A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3261U (ja) * 1983-07-06 1985-01-29 渡辺 孟 空気支管つきエヤ−スプレ−
JPH067856U (ja) * 1992-06-30 1994-02-01 大日本塗料株式会社 スプレー装置
JPH0624766U (ja) * 1992-09-02 1994-04-05 ダイハツ工業株式会社 塗装装置
KR19980065354U (ko) * 1998-08-17 1998-11-25 노범섭 휴지걸이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3261U (ja) * 1983-07-06 1985-01-29 渡辺 孟 空気支管つきエヤ−スプレ−
JPH067856U (ja) * 1992-06-30 1994-02-01 大日本塗料株式会社 スプレー装置
JPH0624766U (ja) * 1992-09-02 1994-04-05 ダイハツ工業株式会社 塗装装置
KR19980065354U (ko) * 1998-08-17 1998-11-25 노범섭 휴지걸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89809B1 (en) Multi-feed spray gun
JP3908285B2 (ja) 低空気圧作動スプレイノズル
SG91271A1 (en) Cleaning apparatus
CA2061069A1 (en) Method of electrostatically spray-coating a workpiece with paint
EP0855224A3 (en) Atomizer
US20150352569A1 (en) Supersonic injection nozzle with integrated spray width control device
EP0137765B1 (en) Spraying gun
CA2252142A1 (en) Reactive hot-melt adhesive coating machine
CA1247358A (en) Lance extension venturi sleeve
KR101311200B1 (ko) 분체 정전 도장용 스프레이 건
KR200177374Y1 (ko) 스프레이 장치
KR20010038959A (ko) 스프레이 장치
JP5010111B2 (ja) 粉体塗装用スプレーガン
US8973523B2 (en) Device for creating and conveying a gas-powder mixture
EP0544087B1 (en) Low pressure fumeless spray gun
CA2325021A1 (en) Powder injection system for a detonation spray gun
JP2604085B2 (ja) 乾式コンクリート吹付装置
JP3833999B2 (ja) スラリー混入方法
KR20110000125U (ko) 도료 분사 기능이 구비된 붓 도장용 브러시
US11679473B2 (en) Dry wet blast media blasting system
ES2051216A2 (es) Aparato con culata para aplicar cinta y adhesivo a juntas a tableros para paredes.
KR200168407Y1 (ko) 도장용 스프레이 장치
SU762991A1 (ru) · распылитель
KR0173073B1 (ko) 도장용 스프레이 장치
JP3101569B2 (ja) 湿潤材料吹き付け装置及び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