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38000A - 냉온수기 겸용 자판기 - Google Patents

냉온수기 겸용 자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38000A
KR20010038000A KR1019990045795A KR19990045795A KR20010038000A KR 20010038000 A KR20010038000 A KR 20010038000A KR 1019990045795 A KR1019990045795 A KR 1019990045795A KR 19990045795 A KR19990045795 A KR 19990045795A KR 20010038000 A KR20010038000 A KR 200100380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nking water
water
vending machine
cold
coo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457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42992B1 (ko
Inventor
백명기
Original Assignee
백명기
주식회사 미주전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백명기, 주식회사 미주전자 filed Critical 백명기
Priority to KR10199900457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42992B1/ko
Priority to AU79686/00A priority patent/AU7968600A/en
Priority to PCT/KR2000/001185 priority patent/WO2001029793A1/en
Publication of KR200100380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380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429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42992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3/00Coin-freed apparatus for controlling dispensing or fluids, semiliquids or granular material from reservoirs
    • G07F13/06Coin-freed apparatus for controlling dispensing or fluids, semiliquids or granular material from reservoirs with selective dispensing of different fluids or materials or mixtures thereof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3/00Coin-freed apparatus for controlling dispensing or fluids, semiliquids or granular material from reservoi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trol Of Vending Devices And Auxiliary Devices For Vending Devices (AREA)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숙박업소의 객실용으로 사용되도록 한 냉온수기 겸용 자판기에 관한 것이다. 본 자판기는 사각모양을 갖는 캐비넷형상의 본체와, 상기 본체 내에 설치되고 판매용 음료와 주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순차적으로 수용하여 소정의 인출조건에서 상기 하나를 인출시키는 비교적 저온의 자판저장부와, 상기 자판저장부에 비교적 저온의 냉기를 공급하기 위하여 압축기와 응축기와 팽창변과 증발기를 갖는 냉각시스템과, 상기 본체 내에 설치되어 상기 식수를 상기 냉각시스템 중 팽창변의 저온 냉매로 열교환하여 기준온도이하로 냉각시키는 냉각수단과, 상기 냉각수단과 인접하게 설치되어 상기 여과수단의 식수를 상기 냉각시스템 중 압축기의 고온 냉매로 열교환하여 기준온도이상으로 히팅시키는 히터수단과, 상기 냉각수단과 상기 히터수단의 식수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노즐을 포함한다. 이에 따라, 객실의 손님에게 서어비스용으로 여과부로부터의 식수를 제공함과 동시에 자판저장고를 통하여 손님이 원하는 음료와 주류를 소정의 교환조건에 따라 간편하게 공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냉온수기 겸용 자판기{vending machine having a coldness and a warmth water supply system}
본 발명은 냉온수기 겸용 자판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주로 숙박업소의 객실용으로 사용되도록 한 냉온수기 겸용 자판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숙박업소에는 손님들에게 음료 및 주류 등을 유료로 제공하기 위하여 객실 내에 냉장고가 비치되어 있으며, 냉장고는 상기 음료 및 주류를 장시간동안 보관할 수 있기에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현상이다.
이와 같은 냉장고를 숙박업소에 비치하여 사용하는 경우는 다양한 손님의 취향을 수용할 수 있는 주류나 음료수를 냉장고 내에 준비하여 손님의 선택에 따라 주류나 음료수를 자유롭게 꺼내어 마시고, 퇴실시 지불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런데, 이와 같은 냉장고는 대부분 디스플레이기능이 없는 밀폐형으로서, 냉장고 도어를 개방하여야 그의 내용물을 알 수 있으므로 시각적 구매를 유도하는 구매력향상의 기능이 떨어져 그의 판매가 저조하여지며, 다목적, 다기능의 가정용으로 제작되어 있어 숙박업소에서 손님에게 제공하는 음료를 적재하기에 부적합하다.
또한, 숙박업소에서 상기 냉장고를 관리하는 종업원은 손님이 퇴실할 경우 반드시 손님의 객실까지 들어가서 냉장고의 재고상태를 파악한 후에 요금을 받아야하는 어려움이 있으며, 만약 냉장고 내에 다양한 종류의 음료를 적재하였을 경우에 음료에 따라서 적용되는 요금이 다르기 때문에 요금산정이 어려워지거나 또는 요금산정이 잘못되어 그 요금을 못 받음에 따른 금전적인 손실이 크다. 그래서 냉장고에 의한 물품판매의 일정비율을 결손율로 처리하면서까지 운영하고 있는 실정이다. 일부의 숙박업소에서는 손님이 입실할 때, 일정액의 냉장고 이용요금을 현금으로 선납 예치한 후에 손님이 퇴실할 때, 냉장고의 사용요금을 정산하고 나머지를 돌려주는 방식을 취하기도 한다.
또한, 냉장고 내의 음료를 마신 손님은 퇴실시에 손님이 마신 음료를 정확하게 기억하지 못하거나, 기억한다해도 불확실할 경우 종업원이 재확인할 때까지 기다려야하는 시간적인 손실이 따르며, 경우에 따라서는 손님의 기억이 잘못되어 파악된 숫자가 차이가 날 경우 망신스러움을 느낄 수가 있다. 이와 같은 폐단으로 해서 많은 업소에서는 미니바운영을 포기하고 있는 실정이며, 이로인해 이런 숙박업소에 투숙한 손님은 음, 주류를 마시고자할 때, 음,주류를 주문하기 위해서 종업원을 불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으며, 실제로 손님들은 자신의 프라이버시를 중요시하기 때문에 거의 일부만이 종업원을 불러 음,주류를 주문하므로 냉장고가 거의 무용지물이 되기도 한다.
한편, 극히 일부의 숙박업소에서는 단말기 관리시스템을 사용하여 손님이 마신 음, 주류가 자동으로 체크되도록 설치한 곳도 있다. 그러나 이는 설치비가 많이 들며, 손님의 사용 미숙으로 인하여 물건을 조금만 이동시켜도 프론트에서 요금이 카운트되어 손님과 종업원 간의 마찰이 종종 일어나며, 물건의 규격사이즈 이외의 것은 비치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주로 호텔 등의 숙박업소의 객실에 비치하여 즉석에서 손님들에게 위생적이며, 시원하고 따뜻한 식수를 계절에 관계없이 서어비스로 제공하면서 손님들 스스로가 맥주 등의 주류와 안주 및 각종음료를 간편하게 구매할 수 있도록 한 냉온수기 겸용 자판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냉온수기 겸용 자판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냉온수기 겸용 자판기를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냉온수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냉온수기의 열변환부를 나타낸 부분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본체 5 ; 출입개구
7 ; 수납도어 9 ; 자판저장부
11 ; 자판도어 13 ; 교환권제공부
15 ; 투명창 17 ; 선택버튼
19 ; 인출구 21 ; 여과부
23 ; 배출노즐 25 ; 식수인출공간
27 ; 여과도어 29 ; 계수표시부
31 ; 래크유니트 33 ; 제어부
35 ; 인출조건설정부 37 ; 래크센서
39 ; 매진센서 41 ; 투출센서
43 ; 인출구개폐구동부 45 ; 통화화폐인식부
47 ; 카드인식부 49 ; 냉각시스템
51 ; 증발기 53 ; 압축기
55 ; 응축기 56 ; 팽창변
57 ; 송풍팬 59 ; 온도조절센서
61 ; 물탱크 63 ; 모터펌프
65 ; 세드먼트필터부 67 ; 프리카본필터부
69 ; 멤브레인필터부 71 ; 카본필터부
73 ; 자외선램프 75 ; 열변환부
76 ; 솔레노이드밸브 77 ; 온수통
78 ; 고온변환부 79 ; 냉수통
80 ; 저온변환부 81 ; 냉각부
83 ; 히터부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식수를 공급하는 냉온수기 겸용 자판기에 있어서, 사각모양을 갖는 캐비넷형상의 본체와, 상기 본체 내에 설치되고 판매용 음료와 주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순차적으로 수용하여 소정의 인출조건에서 상기 하나를 인출시키는 비교적 저온의 자판저장부와, 상기 자판저장부에 비교적 저온의 냉기를 공급하기 위하여 압축기와 응축기와 팽창변과 증발기를 갖는 냉각시스템과, 상기 본체 내에 설치되어 상기 식수를 상기 냉각시스템 중 팽창변의 저온 냉매로 열교환하여 기준온도이하로 냉각시키는 냉각수단과, 상기 냉각수단과 인접하게 설치되어 상기 여과수단의 식수를 상기 냉각시스템 중 압축기의 고온 냉매로 열교환하여 기준온도이상으로 히팅시키는 히터수단과, 상기 냉각수단과 상기 히터수단의 식수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노즐을 포함하는 냉온수기 겸용 자판기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상기 본체내에 수용되어 있으며 상기 식수로부터 이물질을 걸러내어 그 식수를 상기 냉각수단과 히터수단에게 제공하는 여과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여과수단은 하부에 위치한 물탱크와, 상기 물탱크에 저장되어 있는 식수를 펌핑시키는 모터펌프와, 상기 모터펌프로부터 펌핑되는 식수로부터 비교적 큰 덩어리의 이물질 및 부유물질을 제거하는 전처리용 세드먼트필터부와, 상기 세드먼트필터부로부터 제거된 식수에 포함된 염소성분 트리할로메탄, 유기화학물질을 제거하는 프리카본필터부와, 상기 프리카본필터부에서 제거된 식수로부터 미세 이물질인 각종 중금속 및 발암물질을 제거하는 멤브레인필터부와, 상기 멤브레인필터부로부터 배출되는 식수에 스며든 가스성분을 제거하는 후처리용 카본필터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냉각수단은 상기 카본필터부로부터 정화된 식수를 수용하고, 그 바닥면에 상기 팽창변의 저온 냉매가 관통되는 저온변환관이 배치되어 기준온도이하로 냉각시키는 냉수통과, 상기 냉수통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카본필터부로부터 정화된 식수를 자외선살균하여 미생물을 제거하는 자외선램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히터수단은 상기 카본필터부로부터 정화된 식수를 수용하고, 그 바닥면에 상기 압축기의 고온 냉매가 관통되는 고온변환관이 배치되어 기준온도이하로 히팅시키는 온수통과, 상기 온수통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카본필터부로부터 정화된 식수를 자외선살균하여 미생물을 제거하는 자외선램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첨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냉온수기 겸용 자판기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냉온수기 겸용 자판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냉온수기 겸용 자판기를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냉온수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냉온수기의 저장고를 나타낸 부분투시도이다.
본 냉온수기 겸용 자판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교적 저온공간이 상,하로 구분되어 형성되고 그 저온공간 각각의 일측에 형성된 상,하부 출입개구를 갖는 캐비넷형상의 본체(1)를 가지고 있다. 상부 출입개부의 내부에는 비교적 저온으로 보관되는 음식물을 수용하는 수납저장부(미도시)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부 출입개구(5)에는 그 개구연부에 힌지핀(미도시)으로 결합되어 있는 개폐용 수납도어(7)가 마련되어 있다. 하부 출입개구(5)에는 판매용 음료 및 주류 등을 저장하고 있는 자판저장부(9)가 형성되어 있으며, 하부 출입개구(5)에는 그 개구연부에 힌지핀(미도시)으로 결합되어 있는 개폐용 자판도어(11)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수납저장부(미도시)와 인접한 우측영역에는 판매용 음료 및 주류를 인출하기 위한 교환조건을 제공하는 교환권제공부(13)가 형성되어 있다.
개폐용 자판도어(11)에는 상기 음료와 주류가 저장된 상기 저온공간의 소정영역이 외부를 향하여 시각적으로 노출되도록 투명창(15)이 결합되어 있다. 상기 투명창(15)의 상단에는 사용자가 원하는 판매용 음료 및 주류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한 선택버튼(17)이 마련되어 있다. 상기 투명창(15)의 하단에는 선택된 상기 음료 및 주류의 인출을 위한 인출구(19)가 외부와 관통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 인출구(19)에는 슬라이드도어(미도시)가 설치되어 있으며, 제어부에 의해 자동으로 개폐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자판도어(11)와 인접한 나머지 여유공간에는 외부의 수도전이나 이동용 물탱크로부터 식수를 공급받아 제공하는 식수공급부와 연결되어 상기 식수로부터 이물질을 걸러내어 사용자에게 여과된 식수를 제공하는 여과부(21)가 본체(1) 내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여과부(21)에는 사용자의 컵으로 식수를 인출할 수 있는 배출노즐(23)이 설치되어 있으며, 그 배출노즐(23)은 상기 여과부(21)의 정면 상단에 형성된 식수인출공간(25) 내에 마련되어 있고, 상기 식수인출공간(25) 내의 개구는 장시간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 이물질이 침입되지 않도록 개폐하는 여과도어(27)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배출노즐(23)은 사용자가 원하는 온도의 식수에 따라서 온수와 냉수를 공급할 수 있는 한쌍의 배출노즐(23)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온수와 냉수는 소정의 기준온도범위를 중심으로 분류된다. 개폐용 자판도어(11)의 접촉부위에는 도어의 개폐를 감지하는 도어센서(미도시)가 설치되어 있으며, 그 도어센서는 이상신호를 발생한다.
교환권제공부(13)와 인접한 영역에는 상기 교환조건의 종류와 인출 가능한 상태를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표시함은 물론이고, 상기 하나가 인출된 갯수를 카운트하여 그 값을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계수표시부(19)가 마련되어 있다. 이 때, 계수표시부(29)는 상기 본체(1) 내에 설치된 제어부에 의해서 상기 카운트값과 상기 교환조건의 종류와 상기 인출가능상태를 표시한다. 즉, 상기 투명창(15)을 통한 본체의 내측에 수용된 판매용 음료와 주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소정의 인출조건에 따라 순차적으로 인출된다.
이상에서와 같은 냉온수기 겸용 자판기의 블록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다. 먼저, 자판저장부(9)에는 상기 음료와 주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낙하방향으로 수용하고, 상기 인출신호에 따라 상기 음료와 주류 중 어느 하나가 외부로 인출되도록 하는 래크유니트(31)가 설치되어 있으며, 소정의 인출조건에 따라 래크유니트(31)를 향하여 인출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33)가 마련되어 있다. 이 때, 상기 제어부(33)는 시스템의 전체를 제어하고, 상기 음료와 주류의 인출조건을 임의대로 설정하는 인출조건설정부(35)가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래크유니트(31) 내에는 캔의 수용여부 및 투출을 감지하는 래크센서(37)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래크센서(37)는 매진센서(39)와 투출센서(41)를 가지고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33)에서는 상기 인출구(19)의 개구를 개폐시키는 인출구개폐구동부(43)가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인출구개폐구동부(43)는 모터와, 열림리미터센서와, 닫힘리미터센서 그리고 슬라이드도어(미도시)로 구성되어 있다.
교환권제공부(13)는 상기 음료와 주류의 캔 중 어느 하나를 인출하기 위한 교환조건으로서, 상기 음료와 주류 중 적어도 하나의 금액에 상응하는 주화 또는 지폐를 인식하여 상기 제어부(33)에 인출조건을 제공하는 통화화폐인식부(45)와, 소정의 금액이 저장된 마그네틱카드와 IC카드와 레이져카드를 인식하여 그에 저장된 금액이 상기 음료와 주류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금액을 초과할 경우 즉 상기 인출조건설정부(35)의 인출조건에 해당하는 사용자의 인출조건을 상기 제어부(33)에 제공하는 카드인식부(47)를 갖는다. 마그네틱카드와 IC카드와 레이져카드는 사용자가 원하는 소정의 금액을 입력(충전)하여 그 금액으로부터 상기 음료와 주류 중 어느 하나가 인출된 만큼의 금액이 감산되고, 필요시 종업원에게 그 카드의 금액에 대한 정산을 요구하여 환불받을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자판저장부(9)와 상기 수납저장부에는 저온의 냉기를 공급하기 위한 냉각시스템(49)이 마련되어 있다. 냉각시스템(49)은 비교적 고온의 온기를 저온의 냉기로 열 변환하는 내측 열교환기인 증발기(51)와, 상기 증발기(51)에서 고온으로 열교환되도록 저온의 냉매를 압축 및 이송하는 압축기(53)와, 상기 증발기(51)에서 고온으로 열교환된 기체의 냉매를 액체로 변환하여 저온으로 열 변환하는 외측 열교환기인 응축기(55)와, 상기 응축기(55)에서 저온으로 열교환된 고압의 냉매를 저압으로 변환하는 팽창변(56)을 가지고 있다. 상기 증발기(51)와 응축기(55)의 각각에는 냉매의 온도를 변환시키기 위해 송풍하는 송풍팬(57)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기기 간에는 상기 냉매를 이송하는 냉매관(미도시)이 설치되어 상기 냉매의 흐름을 인도한다. 이 때, 상기 자판저장부(9)의 온도를 조절하기 위한 온도조절센서(59)는 상기 수납저장부와 자판저장부(9) 중 어느 하나의 내측에 설치되어 있다. 이 때, 상기 압축기(53)로부터 압축된 고온 고압의 냉매는 상기 여과부(21)의 온수통(77) 바닥면에 설치된 고온변환관(78)으로 유입되어 상기 온수통(77)에 수용되어 있는 여과식수를 소정의 온도로 열복사시키고, 그리고, 상기 팽창변(56)의 저온저압의 냉매는 상기 여과부(21)의 냉수통(79) 바닥면에 설치된 저온변환관(80)으로 유입되어 상기 냉수통에 수용되어 있는 여과식수를 소정의 온도로 냉각시킨다.
여과부(21)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에 위치한 물탱크(61)에 저장되어 있는 식수를 펌핑시키는 모터펌프(63)와, 상기 모터펌프(63)로부터 펌핑되는 식수로부터 비교적 큰 덩어리 즉 5 미트론 마이크로의 이물질 및 부유물질을 완벽하게 제거하는 전처리용 세드먼트필터부(65)와, 상기 세드먼트필터부(65)로부터 제거된 식수에 포함된 염소성분 트리할로메탄, 유기화학물질을 흡착하여 제거하는 프리카본필터부(67)와, 상기 프리카본필터부(67)에서 제거된 식수로부터 미세 이물질 즉 각종 중금속 및 발암물질을 제거하는 멤브레인필터부(69)와, 상기 멤브레인필터부(69)로부터 배출되는 식수에 스며든 가스성분을 제거하여 독특한 자연의 물맛을 재연하는 후처리용 카본필터부(71)를 가지고 있다. 상기 카본필터부(71)에는 정화된 식수를 자외선살균하여 미생물을 제거하는 자외선램프(73)가 바로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자외선램프(73)의 인접한 하단에는 상기 식수를 비교적 시원하게 열변환하는 열변환부(75)가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열변환부(75)는 상기 냉각시스템(49)의 냉기를 사용한다. 또한, 상기 모터펌프(63)와 물탱크(61) 사이에는 외부로부터 직수를 선택적으로 받을 수 있도록 한 솔레노이드밸브(76)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솔레노이드밸브(76)는 상기 제어부(33)에 의해서 개폐된다.
상기 열변환부(75)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각부(81)와 히터부(83)로 나누어지고, 냉각부(81)는 상기 물탱크(61)에 수용된 식수가 상기 세드먼트필터부(65)와 프리카본필터부(67)와 멤브레인필터부(69)와 카본필터부(71)에 의해서 각종 세균과 미세이물질이 제거되어 수용되는 냉수통(79)과, 상기 냉수통(79)의 바닥면에 설치되어 상기 냉각시스템(49)의 팽창변(56)으로부터 발생하는 냉매에 의해서 상기 냉수통(79)의 식수를 소정의 온도이하로 냉각시키는 저온변환관(80)을 가지고 있다. 히터부(83)는 상기 물탱크(61)에 수용된 식수가 상기 세드먼트필터부(65)와 프리카본필터부(67)와 멤브레인필터부(69)와 카본필터부(71)에 의해서 각종 세균과 미세이물질이 제거되어 수용되는 온수통(77)과, 상기 온수통(77)의 바닥면에 설치되어 상기 냉각시스템(49)의 압축기(53)로부터 발생하는 냉매에 의해서 상기 온수통(77)의 식수를 소정의 온도이상으로 히팅시키는 고온변환관(78)을 가지고 있다. 상기 히터부(83)와 냉각부(81) 각각의 상부에는 상기 온수통(77)과 냉수통(79)의 식수에 있을 수 있는 미생물을 살균시키는 자외선살균등(73)이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정수기 겸용 자판기는 숙박업소와 같은 객실 내에 비치되는 것으로서, 객실을 사용하는 손님이 프론트의 종업원을 부르지 않더라도 그 객실 내에 비치된 자판저장부(9)에 직접 통화화폐 즉 주화 및 지폐와 소정의 금액이 저장된 마그네틱카드와 IC카드와 레이져카드를 투입하여 그 자판저장부(9)의 래크유니트(31)에 수용된 음료와 주류의 캔을 인출할 수 있다. 이 때, 마그네틱카드와 IC카드와 레이져카드는 프론트에서 미리 구입할 수 있는 것이다.
예를 들어, 손님이 주화 및 지폐를 상기 자판저장부(9)의 교환권제공부(13)에 투입하면 제어부(33)는 투입된 금액을 산출하여 인출조건 여부를 판단한 후에 선택버튼(17)에 인출 가능한 캔에 대한 승인표시가 되도록 한다. 그러면 손님은 승인표시된 선택버튼(17)과 원하는 음료를 고려하여 인출명령을 자판저장부(90)의 제어부(33)에 입력한다. 이어, 제어부(33)는 인출명령을 인식하여 음료와 주류의 캔이 저장된 래크유니트(31)를 제어하여 선택된 래크에 수용된 캔이 인출되도록 한다.
예를들어, 손님이 소정의 금액이 저장된 마그네틱카드와 IC카드와 레이져카드 중 마그네틱카드를 카드인식부(47)에 삽입하면, 카드인식부(47)는 상기 카드의 마그네트를 읽어들여 그 값을 제어부(33)에 전달한다. 제어부(33)는 곧 바로 마그네틱카드의 금액을 산출하여 인출조건 여부를 판단한 후에 선택버튼(33)에 인출을 위한 승인표시를 하고, 손님의 선택에 따른 버튼입력에서 상기 래크유니트(31)를 제어하여 선택된 래크에 수용된 캔이 인출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마그네틱카드 뿐만이 아니라 IC카드와 레이져카드에도 마찬가지로 소정의 잔액이 남아있을 경우에는 프론트에서 그 잔액을 환불받을 수 있다.
그리고, 손님은 여과부(21)의 열변환부(75)인 냉각부(81)와 히터부(83)를 통하여 객실 사용에 따라서 기본적으로 제공되는 필수적인 냉온 식수를 공급받을 수 있다.
한편, 제어부(33)는 상기 래크유니트(31)의 래크에 수용된 캔이 없을 경우 매진센서(39)로 캔의 유무를 확인 한 다음 상기 선택버튼(17)에 매진표시하고, 선택버튼(17)의 선택입력을 제한한다. 또한, 제어부(33)는 상기 개폐용 자판도어(11)의 개방 유무를 확인하여 승인되지 않는 개방동작 시에 도난방지를 위한 싸이렌 또는 알람이 발생되도록 한다.
본 발명은 객실의 손님에게 서어비스용으로 여과부의 냉각부와 히터부로부터의 냉,온식수를 제공함과 동시에 자판저장고를 통하여 손님이 원하는 시원한 음료와 주류를 소정의 교환조건에 따라 간편하게 공급할 수 있으며, 자판저장고에 저장된 음, 주류가 시각적으로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손님의 구매력을 극대화할 수 있으며, 손님 퇴실시에 손님이 이용한 물품확인을 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불필요한 인력을 줄여 경제적인 부담을 경감시키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손님의 구매력을 향상시키므로 업주의 경영상태를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자체적인 계산기능을 가지고 있으므로 운영관리 및 결산을 쉽게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식수를 공급하는 냉온수기 겸용 자판기에 있어서;
    사각모양을 갖는 캐비넷형상의 본체와;
    상기 본체 내에 설치되고 판매용 음료와 주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순차적으로 수용하여 소정의 인출조건에서 상기 하나를 인출시키는 비교적 저온의 자판저장부와;
    상기 자판저장부에 비교적 저온의 냉기를 공급하기 위하여 압축기와 응축기와 팽창변과 증발기를 갖는 냉각시스템과;
    상기 본체 내에 설치되어 상기 식수를 상기 냉각시스템 중 팽창변의 저온 냉매로 열교환하여 기준온도이하로 냉각시키는 냉각수단과;
    상기 냉각수단과 인접하게 설치되어 상기 여과수단의 식수를 상기 냉각시스템 중 압축기의 고온 냉매로 열교환하여 기준온도이상으로 히팅시키는 히터수단과;
    상기 냉각수단과 상기 히터수단의 식수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노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온수기 겸용 자판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내에 수용되어 있으며 상기 식수로부터 이물질을 걸러내어 그 식수를 상기 냉각수단과 히터수단에게 제공하는 여과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온수기 겸용 자판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수단은,
    하부에 위치한 물탱크와;
    상기 물탱크에 저장되어 있는 식수를 펌핑시키는 모터펌프와;
    상기 모터펌프로부터 펌핑되는 식수로부터 비교적 큰 덩어리의 이물질 및 부유물질을 제거하는 전처리용 세드먼트필터부와;
    상기 세드먼트필터부로부터 제거된 식수에 포함된 염소성분 트리할로메탄, 유기화학물질을 제거하는 프리카본필터부와;
    상기 프리카본필터부에서 제거된 식수로부터 미세 이물질인 각종 중금속 및 발암물질을 제거하는 멤브레인필터부와;
    상기 멤브레인필터부로부터 배출되는 식수에 스며든 가스성분을 제거하는 후처리용 카본필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온수기 겸용 자판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수단은,
    상기 카본필터부로부터 정화된 식수를 수용하고, 그 바닥면에 상기 팽창변의 저온 냉매가 관통되는 저온변환관이 배치되어 기준온도이하로 냉각시키는 냉수통과;
    상기 냉수통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카본필터부로부터 정화된 식수를 자외선살균하여 미생물을 제거하는 자외선램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온수기 겸용 자판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히터수단은,
    상기 카본필터부로부터 정화된 식수를 수용하고, 그 바닥면에 상기 압축기의 고온 냉매가 관통되는 고온변환관이 배치되어 기준온도이하로 히팅시키는 온수통과;
    상기 온수통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카본필터부로부터 정화된 식수를 자외선살균하여 미생물을 제거하는 자외선램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온수기 겸용 자판기.
KR1019990045795A 1999-10-21 1999-10-21 냉온수기 겸용 자판기 KR1003429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45795A KR100342992B1 (ko) 1999-10-21 1999-10-21 냉온수기 겸용 자판기
AU79686/00A AU7968600A (en) 1999-10-21 2000-10-20 Vending machine having hot/cold water dispenser incorporated thereto
PCT/KR2000/001185 WO2001029793A1 (en) 1999-10-21 2000-10-20 Vending machine having hot/cold water dispenser incorporated theret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45795A KR100342992B1 (ko) 1999-10-21 1999-10-21 냉온수기 겸용 자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38000A true KR20010038000A (ko) 2001-05-15
KR100342992B1 KR100342992B1 (ko) 2002-07-05

Family

ID=196163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45795A KR100342992B1 (ko) 1999-10-21 1999-10-21 냉온수기 겸용 자판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0342992B1 (ko)
AU (1) AU7968600A (ko)
WO (1) WO200102979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2296482B1 (es) * 2005-11-17 2009-03-16 Empresarios Independientes, S.L. Fuente de agua fria y caliente con sistema de tratamiento de agua incorporado.
KR100722922B1 (ko) 2006-01-21 2007-05-30 백명기 냉온정수기 겸용 객실용 자동판매기 및 그 조명, 소음제어방법
TWI382362B (zh) * 2009-04-15 2013-01-11 Univ Nat Yunlin Sci & Tech Drinking water sale device
WO2012032543A1 (en) * 2010-09-07 2012-03-15 M Haridas Automated purified drinking water vending machine with container dispenser
ITVI20110110A1 (it) * 2011-04-29 2012-10-30 Fas Internat S P A Distributore automatico di bevande
CN108272343A (zh) * 2018-01-22 2018-07-13 深圳智励达医疗设备有限公司 智能饮水机
CN109336321A (zh) * 2018-10-19 2019-02-15 湖南理工学院 一种自动售水机的废水回收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89240B2 (ja) * 1991-10-30 1997-03-12 三洋電機株式会社 飲料供給装置
KR950006370Y1 (ko) * 1993-11-26 1995-08-08 박상현 워터제트직기의 위사감지장치
US5556006A (en) * 1994-04-05 1996-09-17 Fuji Electric Co., Ltd. Drink supply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7968600A (en) 2001-04-30
KR100342992B1 (ko) 2002-07-05
WO2001029793A1 (en) 2001-04-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56172B1 (ko) 숙박업소용자판기
US4962866A (en) Non-attended, self-service cup vender
US20100152892A1 (en) Device for displaying articles for sale, particularly flowers
US7681605B2 (en) Vending machine for dispensing potable liquid
US7108180B2 (en) Vending machine with electronic payment media
AU2006285512B2 (en)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dispensing apparatus
US20110238209A1 (en) Vending Systems and Methods
KR100342992B1 (ko) 냉온수기 겸용 자판기
AU2013206425A1 (en) Method and system for chilling and dispensing beverage
US5918773A (en) Combined water purifier/dispenser and walk-in cooler
KR20010029300A (ko) 정수기 겸용 자판기
KR200165474Y1 (ko) 자판기겸용 냉장고
JP3068066U (ja) 自動販売機兼用冷蔵庫
RU85079U1 (ru) Торговый автомат для цветов (варианты)
KR20020089140A (ko) 정수 자동판매기
JP6855871B2 (ja) 自動販売機
IT202000012583A1 (it) Distributore automatico di bevande sfuse
KR100420721B1 (ko) 숙박업소용 자동판매기 및 그의 제어방법
JP7151800B2 (ja) 自動販売機
CN213123172U (zh) 一种恒温智能无人售货机
KR200282563Y1 (ko) 정수 자동판매기
KR100386480B1 (ko) 개별 냉장기능을 갖는 숙박업소용 자동판매기 및 그의제어방법
KR200311870Y1 (ko) 셀프 맥주 공급기
WO2000026871A1 (en) Vending machine and concurrently ice-box
KR20060027386A (ko) 경품권투출기를 갖는 자동판매기와 그 제어시스템 및 그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619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