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37540A - 운세정보서비스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운세정보서비스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37540A
KR20010037540A KR1019990045113A KR19990045113A KR20010037540A KR 20010037540 A KR20010037540 A KR 20010037540A KR 1019990045113 A KR1019990045113 A KR 1019990045113A KR 19990045113 A KR19990045113 A KR 19990045113A KR 20010037540 A KR20010037540 A KR 200100375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tune
unit
fortune information
access
menu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451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용태
Original Assignee
홍용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용태 filed Critical 홍용태
Priority to KR10199900451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037540A/ko
Publication of KR200100375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37540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운세정보서비스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운세정보서비스장치는, 소정의 시각별 운세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운세저장부와; 상기 운세저장부에의 액세스를 위한 액세스부와; 상기 운세저장부에 저장된 시각별 운세정보를 외부로 출력하기 위한 운세출력부와; 상기 액세스부를 통한 액세스시각에 대응하는 운세정보를 상기 운세저장부로부터 인출하여 상기 운세출력부를 통해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의뢰자의 요청에 응하여 시각 의존적인 운세를 서비스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운세정보서비스장치 및 그 방법{FORTUNE INFORMATION SERVICE EQUIPMENT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운세정보서비스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운세에 관한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평생운, 일년운, 사업운, 승진운등을 역술인등을 통해 미리 알아보고 그 운세에 따라 일상생활 및 사회활동을 영위하는 경우가 많다.
일반적인 개인운세는 그 개인의 사주 즉, 생년월일에 직접 관련이 있으며, 이러한 사주와 관련된 운세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가 자판기 형태 또는 컴퓨터단말기를 통한 네트워크(Network) 접속형태로 안출되어 서비스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운세서비스장치는 자신의 사주를 입력시켜야 비로소 운세정보서비스를 받을 수 있기 때문에 불편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인간의 시각(時刻) 의존적인 운세는 사주와 관계없이 운세를 알고자 하는 특정시각에서의 보편적 운세로 평가될 수 있다. 즉, 각 시각마다 운세의 기준이 되는 64가지의 정효와 각 정효마다 6개의 동효가 특정될 수 있으며, 이들 동효와 정효를 조합하여 의뢰자의 운세괘를 평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의뢰자의 요청에 응하여 시각 의존적인 운세를 서비스할 수 있는 운세정보서비스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운세정보서비스장치의 기능별 블럭도,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운세정보서비스장치의 기능별 블럭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31 : 제어부 3, 33 : 액세스시각판단부
5, 35 : 정효동효판단부 7 : 조작신호처리부
9, 39 : 운세출력제어부 11, 51 : 액세스부
15 : 조작입력부 17 : 물체접근감지센서
25, 47 : 데이터베이스 27 : 운세정보출력부
29, 45 : 롬 37 : 운세메뉴제어부
53 : 네트워크 55 : 컴퓨터단말기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운세정보서비스장치에 있어서, 소정의 시각별 운세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운세저장부와; 상기 운세저장부에의 액세스를 위한 액세스부와; 상기 운세저장부에 저장된 시각별 운세정보를 외부로 출력하기 위한 운세출력부와; 상기 액세스부를 통한 액세스시각에 대응하는 운세정보를 상기 운세저장부로부터 인출하여 상기 운세출력부를 통해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세정보서비스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상기 목적은, 본 발명의 다른 분야에 따르면, 운세정보서비스방법에 있어서, 소정의 시각별 운세정보를 마련하는 단계와; 상기 시각별 운세정보에 액세스하는 단계와; 상기 시각별 운세정보에의 액세스시각에 대응하는 운세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세정보서비스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운세정보서비스장치의 기능별 블럭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운세정보서비스장치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와, 제어부(1)의 입력측 및 출력측에 각각 연결된 액세스부(11)와 운세정보출력부(27)를 갖고 있다.
액세스부(11)는 의뢰자의 접근을 감지하기 위한 물체접근감지센서(17)와, 의뢰자의 주화투입에 따라 시스템온개시신호가 제어부(1)로 송출되는 주화투입부(13)와, 운세메뉴등을 선택하기 위한 조작입력부(15)를 갖고 있다.
물체접근감지센서(17)는 의뢰자가 접근하기 쉬운 영역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조작입력부(15)는 버튼식, 다이얼식 또는 터치스크린(Touch Screen)방식을 채용하여 구성할 수 있으며, 선택대상 운세메뉴에는 하루운, 승진운, 취직운, 송사운(訟事運)등 시각에 따라 결정되는 운세는 모두 포함될 수 있다.
운세정보출력부(27)는 운세정보를 액정화면(LCD)등을 이용하여 시각적(視覺的)으로 표시하거나 문자화하여 출력할 수도 있다.
제어부(1)는 물체접근감지센서(17)로부터의 검출신호에 기초하여 의뢰자의 액세스(Access) 여부 및 액세스시각을 판단하는 액세스시각판단부(3)와, 액세스시각판단부(3)에서 판단한 액세스시각에 기초하여 정효와 동효를 판단하는 정효동효판단부(5)와, 정효동효판단부(5)에서 판단한 정효와 동효 및 조작입력부(15)에 의해 선택된 운세메뉴에 기초하여 운세정보출력을 제어하는 운세출력제어부(9)를 갖고 있다.
그리고, 제어부(1)에는 데이터베이스(25) 및 롬(29)이 연결되어 있다. 롬(29)에는 시스템 동작프로그램등이 저장되어 있으며, 데이터베이스(25)에는 조작입력부(15)에 의해 선택할 수 있는 운세메뉴별 운세정보가 정효, 동효, 일진(日辰)의 각 조합에 대응하도록 저장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운세정보서비스장치에 의한 운세정보서비스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운세정보서비스는 의뢰자가 물체접근감지센서(17)를 향하여 접근할 때, 소정의 검출신호가 액세스시각판단부(3)로 입력됨으로써 개시된다. 이 때, 액세스시각판단부(3)는 검출신호에 기초하여 액세스시각을 판단한다.
다음에, 의뢰자가 주화투입부(13)를 통하여 주화를 투입하면, 소정의 서비스온개시신호가 조작신호처리부(7)로 입력된다. 이에 따라, 조작신호처리부(7)는 시스템을 서비스온상태로 전환시키고, 소정의 서비스온신호를 액세스시각판단부(3)로 송출한다. 이에 의해, 액세스시각판단부(3)는 물체접근감지센서(17)가 고장등의 원인으로 의뢰자가 접근하는 것을 검출하지 못해 검출신호를 출력하지 않는 경우에도 조작신호처리부(7)로부터의 서비스온신호에 기초하여 의뢰자의 액세스여부 및 액세스시각을 판단할 수 있게 된다.
다음에, 조작입력부(15)를 조작하여 운세메뉴를 선택하면, 소정의 운세메뉴선택신호가 운세출력제어부(39)로 입력된다.
다음에, 정효동효판단부(5)는 액세스시각판단부(3)에서 판단한 액세스시간에 기초하여 정효 및 동효를 판단한다.
마지막으로, 운세출력제어부(9)는 선택된 운세메뉴에 따라 데이터베이스(25)에 저장된 운세정보중 정효동효판단부(5)에서 판단한 정효 및 동효에 대응하는 운세정보를 인출하여 운세정보출력부(27)를 통해 의뢰자에게 제공한다.
상술한 운세정보서비스장치는, 일반적인 자판기와 유사한 형태로 제작하여 일반공중이 자주 왕래하는 장소에 설치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운세정보서비스장치에 의한 운세정보서비스는 원격지에 있는 의뢰자에게도 제공할 수 있는 데, 이러한 운세정보서비스장치가 도 2에 도시되어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운세정보서비스장치의 기능별 블럭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운세정보서비스장치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DB제어부(31)와, DB제어부(31)에 각각 연결된 액세스부(51), 롬(45) 및 데이터베이스(47)를 갖고 있다.
액세스부(51)는 컴퓨터단말기(55)와, 이 컴퓨터단말기(55)와 DB제어부(31)사이에 개재된 네트워크(53)를 갖고 있다. 여기서, 네트워크(53)는 인터넷외 데이터베이스(47)를 접속할 수 있는 공중 또는 사설교환망을 포함하고, 컴퓨터단말기(55)은 네트워크(53)에 연결된 일반 가정용 컴퓨터는 물론 PC방등에 설치된 컴퓨터도 포함한다.
롬(45)에는 시스템 동작프로그램외 컴퓨터단말기(55)로 송출할 운세메뉴가 저장되어 있으며, 데이터베이스(47)에는 운세메뉴별 운세정보가 정효, 동효, 일진(日辰)의 각 조합에 대응하도록 저장되어 있다. 여기서, 선택대상 운세메뉴에는 하루운, 승진운, 취직운, 송사운(訟事運)등 시각에 따라 결정되는 운세는 모두 포함될 수 있다.
DB제어부(31)는 컴퓨터단말기(55)로부터의 접속신호에 기초하여 액세스시각을 판단하는 액세스시각판단부(33)와, 접속한 컴퓨터단말기(55)에 운세메뉴를 송출하는 운세메뉴제어부(37)와, 액세스시각판단부(33)에서 판단한 액세스시각에 기초하여 정효와 동효를 판단하는 정효동효판단부(35)와, 정효동효판단부(35)에서 판단한 정효 와 동효 및 컴퓨터단말기(55)에 의해 선택된 운세메뉴에 기초하여 운세정보출력을 제어하는 운세출력제어부(39)를 갖고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운세정보서비스장치에 의한 운세정보서비스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의뢰자는 컴퓨터단말기(55)를 통해 네트워크(53)에 접속된 DB제어부(31)에 액세스한다. 이 때, 액세스시각판단부(33)는 컴퓨터단말기(55)의 접속신호에 기초하여 액세스시각을 판단한다.
다음에, 운세메뉴제어부(37)는 컴퓨터단말기(55)의 접속신호에 응하여 롬(45)에 저장된 운세메뉴를 롬(45)으로부터 인출하여 네트워크(53)를 통하여 컴퓨터단말기(55)로 송출한다. 이에 의해, 의뢰자는 컴퓨터단말기(55)를 조작하여 운세메뉴를 선택할 수 있게 되며, 그 선택신호는 네트워크(53)를 경유하여 DB제어부(31)로 입력된다.
다음에, 정효동효판단부(35)는 액세스시각판단부(33)에서 판단한 액세스시간에 기초하여 정효 및 동효를 판단한다.
마지막으로, 운세출력제어부(39)는 선택된 운세메뉴에 따라 데이터베이스(47)에 저장된 운세정보중 정효동효판단부(35)에서 판단한 정효 및 동효에 대응하는 운세정보를 인출하여 네트워크(53)를 통해 컴퓨터단말기(55)로 송출한다. 이에 의해, 의뢰자는 컴퓨터단말기(55)를 통해 운세정보를 볼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시각별 운세정보를 마련하고 의뢰자의 액세스시각을 물리적으로 검출하여 정효 및 동효를 판단함으로써, 의뢰자의 요청에 응하여 시각 의존적인 운세를 서비스할 수 있게 된다.

Claims (2)

  1. 운세정보서비스장치에 있어서,
    소정의 시각별 운세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운세저장부와;
    상기 운세저장부에의 액세스를 위한 액세스부와;
    상기 운세저장부에 저장된 시각별 운세정보를 외부로 출력하기 위한 운세출력부와;
    상기 액세스부를 통한 액세스시각에 대응하는 운세정보를 상기 운세저장부로부터 인출하여 상기 운세출력부를 통해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세정보서비스장치.
  2. 운세정보서비스방법에 있어서,
    소정의 시각별 운세정보를 마련하는 단계와;
    상기 시각별 운세정보에 액세스하는 단계와;
    상기 시각별 운세정보에의 액세스시각에 대응하는 운세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세정보서비스방법.
KR1019990045113A 1999-10-18 1999-10-18 운세정보서비스장치 및 그 방법 KR2001003754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45113A KR20010037540A (ko) 1999-10-18 1999-10-18 운세정보서비스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45113A KR20010037540A (ko) 1999-10-18 1999-10-18 운세정보서비스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37540A true KR20010037540A (ko) 2001-05-15

Family

ID=196157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45113A KR20010037540A (ko) 1999-10-18 1999-10-18 운세정보서비스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03754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01166A (ko) * 2001-06-28 2003-01-06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통신 네트워크를 통한 운세 정보 서비스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01166A (ko) * 2001-06-28 2003-01-06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통신 네트워크를 통한 운세 정보 서비스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77632B2 (en) Information flow control for gaming machines requiring server support
CA1261477A (en) Control system for health club facilities and equipment
TW468315B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cross-platform remote control, monitoring, and up-dating of a facility access controller
EP1300786A1 (en) Medical examination network system
US20020111213A1 (en) Method, apparatus and article for wagering and accessing casino services
JP2003187038A (ja) 施設の管理システム及び方法
JP2018005852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140357354A1 (en) Remote Identification for Electronic Gaming Machines
KR20210097004A (ko) 무인 단말기 유지 보수 장치
EP1308907A1 (en) Survey of information about a vote
EP1036368A1 (en) Data network interfacing
AU2002352112A1 (en) Survey of information about a vote
KR20010037540A (ko) 운세정보서비스장치 및 그 방법
CN111506807A (zh) 商家与用户数据处理方法、系统、以及存储介质
KR100334651B1 (ko) 네트워크를 이용한 냉장고 원격제어시스템 및 방법
KR20170111844A (ko) 체온 알람을 위한 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3776054B2 (ja) 装置監視システム及び装置監視方法
WO2023053612A1 (ja) 情報出力方法、情報出力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7012685B2 (ja) 被災度表示システム
KR20010107894A (ko) 온라인 상에서의 역술 정보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0374474B1 (ko) 인터넷을 이용한 게임방 컴퓨터 관리지원 시스템 및 그운영방법
JPH08115339A (ja) データベース管理装置
KR100503854B1 (ko) 유무선 자동판매기를 이용한 정보제공방법 및 시스템
JP5400754B2 (ja) 遊技情報提供システム、遊技情報提供装置および遊技管理端末
JP2023173511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およ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