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37533A - 회로 차단기의 경보 스위치 구동장치 - Google Patents

회로 차단기의 경보 스위치 구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37533A
KR20010037533A KR1019990045104A KR19990045104A KR20010037533A KR 20010037533 A KR20010037533 A KR 20010037533A KR 1019990045104 A KR1019990045104 A KR 1019990045104A KR 19990045104 A KR19990045104 A KR 19990045104A KR 20010037533 A KR20010037533 A KR 200100375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tch
breaker
latch holder
circuit breaker
circu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451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57202B1 (ko
Inventor
박재원
Original Assignee
이종수
엘지산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종수, 엘지산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종수
Priority to KR10199900451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57202B1/ko
Publication of KR200100375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375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572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57202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00Mechanisms for operating contacts
    • H01H3/02Operating parts, i.e. for operating driving mechanism by a mechanical force external to the switch
    • H01H3/022Emergency operating parts, e.g. for stop-switch in dangerous condi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1/00Details of the protective switches or relays covered by groups H01H73/00 - H01H83/00
    • H01H71/10Operating or release mechanisms
    • H01H71/50Manual reset mechanisms which may be also used for manual release
    • H01H71/505Latching devices between operating and release mechanis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1/00Details of the protective switches or relays covered by groups H01H73/00 - H01H83/00
    • H01H71/10Operating or release mechanisms
    • H01H71/50Manual reset mechanisms which may be also used for manual release
    • H01H71/52Manual reset mechanisms which may be also used for manual release actuated by lev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00Mechanisms for operating contacts
    • H01H3/02Operating parts, i.e. for operating driving mechanism by a mechanical force external to the switch
    • H01H3/022Emergency operating parts, e.g. for stop-switch in dangerous conditions
    • H01H2003/0233Emergency operating parts, e.g. for stop-switch in dangerous conditions for alarm triggering, e.g. fire alarm, emergency off switches operated by breaking a glass

Landscapes

  • Brea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회로 차단기내에 설치되어 차단기가 트립동작을 수행할 때 외부에 경보신호를 보내는 역할을 하는 경보 스위치의 구동장치에 관한 것으로, 경보 스위치인 마이크로 스위치가 래치홀더에 고정된 동작봉의 회전에 따라 구동되게 함으로서 차단기내의 복수개의 경보 스위치를 설치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상간 절연이 용이해 지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은 래치(8) 및 래치홀더(14)와, 기구부의 개폐시 래치홀더의 회전을 방지하고 과전류나 단락전류 발생시 아마튜어(12)나 바이메탈(13)에 의해 회전하는 크로스바(15)를 구비한 회로 차단기에 있어서, 차단기 내에 복수개의 마이크로 스위치(3)와 상기 마이크로 스위치를 제어하는 동작레버(20)를 설치하고 래치홀더(14)에는 동작레버에 접속하는 동작봉(23)을 고정하여 래치홀더의 회전에 따라 동작레버가 회전될 수 있게 한 회로차단기의 경보스위치 구동 장치이다.

Description

회로 차단기의 경보 스위치 구동장치{device for actuating alarm switch in MCCB}
본 발명은 배선용 회로 차단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단기 내에 설치되어 차단기가 트립(Trip) 동작을 수행할 때 외부에 경보신호를 보내는 역할을 하는 경보 스위치의 구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배선용 회로 차단기는 단락사고 등으로 인해 선로상에 전기적 과부하 상태가 발생하는 경우 회로를 자동적으로 차단하여 선로 및 부하기기를 보호하는 전기기기로서, 이러한 배선용 회로 차단기내에는 차단기의 온/오프 상태를 표시하는 기능과 차단기의 정상작동/트립 상태를 표시하는 경보기능 및 원방조작 장치 등 다양한 부속장치들이 부착되어 사용의 편리성을 배가 시키고 있다.
상기한 부속장치들 중 경보 스위치는 차단기가 패널 내부에 설치되는 경우에도 패널 외부에서 차단기가 정상적으로 작동하는지 또는 트립되었는지를 알 수 있도록 표시하여 주는 기능을 가진다.
도 1과 도 2는 상기와 같은 경보 스위치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회로 차단기의 일부 단면도로서, 회로 차단기의 외형은 케이스(1)와 커버(2)로 이루어져 있고 경보 스위치인 마이크로 스위치(3)는 그 내부에 설치되어 있다.
상기 마이크로 스위치(3)의 일측에는 마이크로 스위치의 제어를 위한 동작 레버(4)와 상기 동작 레버(4)에 복원력을 부여하는 스프링(6)이 핀(5)에 의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마이크로 스위치(3)와 동작레버(4) 및 스프링(6)은 베이스(7)에 지지되어 있다.
또한 상기 마이크로 스위치(3)를 제어하는 동작레버(4)는 차단기 개폐기구부의 부품중 하나인 중앙극 부분 래치(8)에 직접 접촉하거나 또는 래치(8)에 접속된 조작봉(도시는 생략함)과 접촉하여 있다.
따라서 차단기가 투입된 상태에서는 도 1과 같이 래치(8)가 동작레버(4)와 핀(5)을 중심으로 도면상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된 상태로 있게되며, 차단기가 트립되면 도 2와 같이 개폐기구부의 래치(8)가 회전하여 동작레버(4)와의 접촉상태로부터 벗어남과 동시에 동작레버(4)가 스프링(6)의 복원력에 의해 도면상 시계방향의 회전을 하여 마이크로 스위치(3)의 접점 위치를 변화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마이크로 스위치(3)의 접점위치 변화는 리드선(도시는 생략함)을 통해 외부로 전달되어 사용자에게 회로 차단기가 트립되었음을 알려주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장치는 동작레버(4)를 직접 래치(8)에 접촉시키는 구조이어서 소형의 래치(8)에 2개의 경보스위치를 동시에 접촉시킬 수가 없다.
따라서 경보 스위치를 차단기의 좌측극과 우측극중 어느 한쪽에만 설치가 가능하고 양측극에 모두 설치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또한 경보 스위치인 마이크로 스위치(3)의 동작레버(4)가 래치(8)와 연계하여 동작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케이스(1)의 좌,우측 격벽 사이에는 커다란 창이 존재하여야 하고 이러한 창으로 인해 상간 사이의 절연이 어려워지는 문제도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경보 스위치를 차단기의 좌,우측극에 모두 설치할 수 있고 좌,우측 격벽 사이의 공간을 작게하여 절연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회로 차단기의 경보 스위치 구동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래치 및 래치홀더와, 기구부의 개폐시 래치홀더의 회전을 방지하고 과전류 또는 단락전류 발생시 아마튜어나 바이메탈에 의해 회전하는 크로스바를 구비한 회로 차단기에 있어서, 차단기내에 복수개의 마이크로 스위치와 상기 마이크로 스위치를 제어하는 동작레버를 설치하고 래치홀더에는 동작레버에 접속하는 동작봉을 고정하여 래치홀더의 회전에 따라 동작레버가 회전될 수 있게 한 회로 차단기의 경보 스위치 구동장치가 제공된다.
도 1과 도 2는 종래 장치를 나타낸 회로 차단기의 일부 단면도로서,
도 1은 차단기가 투입된 상태도
도 2는 차단기가 트립된 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회로 차단기의 단면도
도 4와 도 5는 본 발명 장치를 나타낸 도 3의 일부 확대도로서,
도 4는 차단기가 투입된 상태도
도 5는 차단기가 트립된 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의 기구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 : 마이크로 스위치 8 : 래치
12 : 아마튜어 13 : 바이메탈
14 : 래치홀더 15 : 크로스바
20 : 동작레버 23 : 동작봉
도 3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회로 차단기의 단면도로서 회로 차단기는 크게 나누어 외형을 이루면서 모든 부품을 수납하는 케이스(1) 및 커버(2)와, 선로상에 과전류나 단락전류 발생시 이를 검출하는 검출 기구부와, 상기 검출 기구부와 연계하여 작동하면서 접점을 개리시키고 차단기의 투입시 접점을 접속시키는 개폐기구부로 구성되어 있다.
검출기구부는 회로 차단기에 단락전류가 발생할 때 전자력이 생기는 요크(11)와, 상기 요크에 흡인되는 아마튜어(12)와, 회로 차단기에 과전류 발생시 형상 변화를 일으키는 바이메탈(13)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개폐 기구부는 래치(8)와, 상기 래치의 움직임을 제어하는 래치홀더(14)와, 기구부의 개폐시 래치홀더의 회전을 방지하고 과전류나 단락전류의 발생시 아마튜어나 바이메탈에 의해 회전되는 크로스바(15)와, 상기 래치홀더(14)에 복원력을 제공하는 래치홀더 스프링(16)과, 개폐동작시 기구부를 구동시키는 개폐 스프링(17)과, 상기 개폐 스프링의 힘을 샤프트(18)에 전달하는 링크(19)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마이크로 스위치(3)는 상기 래치홀더(14)의 일측에 복수개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마이크로 스위치에 인접한 위치에는 축(21)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마이크로 스위치(3)를 제어하는 동작레버(20)와 상기 동작레버(20)에 복원력을 제공하는 스프링(22)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래치홀더(14)에는 동작봉(23)이 E링(24)에 의해 고정되어 있고 상기 동작봉(23)은 마이크로 스위치(3)를 제어하는 동작레버(20)와 접속하여 상기 마이크로 스위치(3)가 래치홀더(14)의 동작에 연계하여 구동할 수 있도록 하여 준다.
상기와 같이 된 회로 차단기는 차단기가 온 또는 오프 상태일때에는 도 3 및 도 4와 같이 크로스바(15)에 의해 래치홀더(14)가 케이스(1)의 밑면에 대해 수직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래치홀더(14)에 E링(24)으로 고정된 동작봉(23)은 동작레버(20)를 축(21)을 중심으로하여 도면상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켜 동작레버(20)와 마이크로 스위치(3)의 접촉을 띄어 놓게 된다.
따라서 경보신호는 외부로 전달되지 않는 상태로 유지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차단기에 단락전류가 발생하면 전류가 아마튜어(12)를 통과할 때 전류에 의해 요크(11)에 전자력이 생겨 아마튜어(12)가 요크(11)에 흡인되고 흡인시 일어나는 아마튜어(12)의 각도변화에 의해 크로스바(15)는 도 5와 같이 도면상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을 하게 된다.
한편 차단기에 과전류가 흐를때에는 바이메탈(13)이 형상변화를 일으키고 이러한 바이메탈(13)의 형상변화에 의해 크로스바(15)가 도면상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크로스바(15)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크로스바(15)에 의해 고정되어 있던 래치홀더(14)는 개폐 스프링(17)의 힘을 받으면서 래치홀더(14)에 고정되어 있던 래치(8)에 의해 도 5와 같이 도면상 시계방향의 회전을 하게 되고 래치(8)와의 접촉 각도를 지나면 래치홀더 스프링(16)의 복원력에 의해 회전하여 일정한 회전각을 유지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래치홀더(14)가 회전하면 래치홀더(14)에 고정된 동작봉(23)이 래치홀더(14)와 함께 회전하게 되고 이때 동작레버(20)는 동작봉(23)으로 부터의 구속상태에서 벗어남과 동시에 스프링(22)의 복원력에 의해 축(21)을 중심으로 도면상 시계방향으로 회전을 하여 마이크로 스위치(3)와 접촉을 하게 된다.
따라서 경보 스위치는 외부에 경보신호를 보내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회로 차단기의 경보 스위치 구동장치는 마이크로 스위치의 동작레버가 래치와 직접 접촉하여 구동하는 종래 장치와는 달리 래치홀더에 고정된 동작봉에 의해 마이크로 스위치의 동작레버가 회전하여 스위치를 구동시키는 구조이어서, 회로 차단기내에 복수개의 경보 스위치를 설치하여 사용자의 요구를 만족시킬 수 있고 상간 절연이 용이하여 단락 차단시험시 절연에 대한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다.

Claims (1)

  1. 래치(8) 및 래치홀더(14)와, 기구부의 개폐시 래치홀더의 회전을 방지하고 과전류나 단락전류 발생시 아마튜어(12)나 바이메탈(13)에 의해 회전하는 크로스바(15)를 구비한 회로 차단기에 있어서, 차단기내에 복수개의 마이크로 스위치(3)와 상기 마이크로 스위치를 제어하는 동작레버(20)를 설치하고 래치홀더(14)에는 동작레버에 접속하는 동작봉(23)을 고정하여 래치홀더의 회전에 따라 동작레버가 회전될 수 있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 차단기의 경보 스위치 구동장치.
KR1019990045104A 1999-10-18 1999-10-18 회로 차단기의 경보 스위치 구동장치 KR1003572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45104A KR100357202B1 (ko) 1999-10-18 1999-10-18 회로 차단기의 경보 스위치 구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45104A KR100357202B1 (ko) 1999-10-18 1999-10-18 회로 차단기의 경보 스위치 구동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37533A true KR20010037533A (ko) 2001-05-15
KR100357202B1 KR100357202B1 (ko) 2002-10-19

Family

ID=196157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45104A KR100357202B1 (ko) 1999-10-18 1999-10-18 회로 차단기의 경보 스위치 구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5720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9724B1 (ko) 2017-01-05 2018-06-21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회로차단기의 전자 트립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57202B1 (ko) 2002-10-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259769B1 (en) Electrical switching apparatus, and interface assembly and display apparatus therefor
KR920003958B1 (ko) 원격조작식 회로차단기
US7227279B2 (en) Phase deficiency display device for thermal magnetic type molded case circuit breaker
US6724284B2 (en) Circuit breaker
EP3319103B1 (en) Integrated interlock device of air circuit breaker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KR100357202B1 (ko) 회로 차단기의 경보 스위치 구동장치
KR200382140Y1 (ko) 배선용차단기의 경보스위치장치
KR200253163Y1 (ko) 회로차단기의경보스위치장치
CA2037046A1 (en) Self-coordinated device for the control and protection of electrical equipment
CN208298775U (zh) 漏电保护断路器
CA2255391C (en) Disconnect feature for interrupter
JP3985423B2 (ja) 回路しゃ断器
KR20120077142A (ko) 전자석 엑츄레이터를 탑재한 전자식 배선용 차단기
KR100493401B1 (ko) 회로차단기용 부속장치의 트립기구 구동장치
JPH0197341A (ja) 回路遮断器
KR100263698B1 (ko) 배선용 차단기의 보조스위치
KR20020037143A (ko) 누전차단기의 누전 표시장치
KR100492753B1 (ko) 진공차단기의 영구자석형 조작기
KR200208218Y1 (ko) 배선용 차단기의 경보겸용 보조스위치
KR100268013B1 (ko) 배선용 차단기의 보조스위치
KR200208214Y1 (ko) 배선용 차단기의 개폐상태 표시레버
CN217239371U (zh) 分合闸机构和微型断路器
JP2005197250A (ja) モータ保護遮断器用先行始動型不足電圧トリップ装置の連動装置
KR200311946Y1 (ko) 차단기의 시그널 레버 연동장치
JPH0142276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1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16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1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2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1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1

Year of fee payment: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