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35006A - 신상정보 관리 방법 - Google Patents

신상정보 관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35006A
KR20010035006A KR1020000051575A KR20000051575A KR20010035006A KR 20010035006 A KR20010035006 A KR 20010035006A KR 1020000051575 A KR1020000051575 A KR 1020000051575A KR 20000051575 A KR20000051575 A KR 20000051575A KR 20010035006 A KR20010035006 A KR 200100350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rsonal information
user
personal
database
portable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515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준식
Original Assignee
김준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준식 filed Critical 김준식
Priority to KR10200000515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035006A/ko
Publication of KR200100350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35006A/ko

Links

Abstract

블루투스(bluetooth) 모듈을 탑재한 휴대용 사용자 장치에서 블루투스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여 명함정보를 서로 교환하고, 교환되는 명함정보는 휴대용 사용자 장치, 사용자의 개인용 컴퓨터 및 신상정보 관리 서버에 각각 저장된다. 휴대용 사용자 장치, 사용자의 개인용 컴퓨터 및 신상정보 관리 서버는 서로 통신하여 가장 최근에 갱신된 정보로 각 데이터베이스를 동기시킨다. 신상정보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명함정보를 갖고 있는 다른 사용자에 대한 상세정보를 열람할 수 있고, 사용자의 신상정보가 갱신된 경우 자동 통보 기능을 이용하여 자신의 명함정보를 갖고 있는 다른 사용자의 명함정보를 자동으로 갱신하여 최신 신상정보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개인용 컴퓨터와 블루투스 장치를 함께 사용함으로써 무선 접속에 따르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Description

신상정보 관리 방법{method of managing personal information}
본 발명은 신상정보 관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블루투스 모듈을 탑재한 개인용 휴대 단말 사이에서 신상정보를 교환하고, 교환된 신상정보를 휴대용 단말, 개인용 컴퓨터, 신상정보 관리 서버를 통해 관리하는 신상정보 관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개인의 신상정보를 서로 교환하는 것은 통상 오프라인으로 명함을 주고받는 것으로 이루어지며, 이와 같이 얻어진 신상정보를 데이터베이스로 관리하기 위해서는 개별 명함에 기록된 신상정보를 다시 입력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또한, 전화번호나 주소 등의 신상정보가 변경될 경우, 그 신상정보를 가진 모든 사람에게 새로운 정보를 알려주어야 하며, 새로운 정보를 알게 된 사람들은 데이터베이스에 입력된 기존의 정보를 새로운 정보로 갱신하여야 한다. 이러한 과정은 매우 귀찮고 번거로운 작업이고, 데이터의 입력에 많은 시간을 요하며, 명함 분실 등으로 인해 정보의 누락이 빈번히 발생하는 등 여러가지로 불편한 점이 많다.
한편, 이동전화나 휴대형 PC,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 기타 주변 장치들 사이의 작은 구역(10-100m) 내의 무선연결을 위한 기술규격으로 블루투스(bluetooth) 규격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블루투스는 무선 면허가 필요없는 ISM 개방 주파수 대역인 2.4GHz를 사용하고 있고, 크기가 작고 가격이 저렴할 뿐 아니라 전력소모가 적어 많은 휴대용 기기들에 근거리 무선 통신용으로 블루투스 모듈이 탑재되고 있다.
이와 같은 블루투스 기술을 사용할 경우 블루투스 모듈을 탑재한 각종 휴대용 기기들 간의 데이터 교환이 쉽게 이루어질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는 블루투스 모듈을 탑재한 휴대형 단말 사이의 신상정보를 교환하고, 이 신상정보를 통합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신상정보 관리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특정 개인의 신상정보가 변동될 경우, 해당 개인의 신상정보를 가진 다른 이용자들의 신상정보를 함께 갱신함으로써 신상정보의 자동 갱신 및 동기화를 이룰 수 있는 신상정보 관리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신상정보 관리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명함정보 교환 기능을 탑재한 휴대용 단말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명함정보 교환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4a, 4b, 4c는 각각 본 발명에 따라 휴대용 단말, 개인용 컴퓨터, 신상정보 관리 서버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는 명함정보 데이터베이스의 구조를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라 개인용 컴퓨터와 신상정보 관리 서버의 데이터베이스를 동기화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라 휴대용 단말, 개인용 컴퓨터, 신상 정보 서버의 3자를 동기화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 내지 도 9은 본 발명의 상세 정보 검색 과정의 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신상정보 변경시의 자동 통보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1은 도 10에 나타난 과정에 따라 데이터베이스의 내용이 변경되는 과정을 예시하고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블루투스(bluetooth) 모듈을 탑재한 휴대용 단말간에서 블루투스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여 명함정보를 서로 교환하고, 교환되는 명함정보는 휴대용 단말, 개인용 컴퓨터 및 신상정보 관리 서버에 각각 저장한다. 휴대용 단말, 개인용 컴퓨터 및 신상정보 관리 서버는 서로 접속하여 가장 최근에 갱신된 정보로 각 데이터베이스를 동기시키고(synchronize), 사용자의 신상정보가 갱신된 경우에는 그 신상정보를 갖고 있는 다른 사용자의 데이터베이스를 자동으로 갱신한다. 또한, 신상정보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신상정보를 갖고 있는 다른 사용자에 대한 상세정보를 열람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신상정보 관리 방법은, 블루투스 모듈을 탑재한 휴대용 단말, 개인용 컴퓨터 및 다수의 사용자의 신상정보를 관리하는 신상정보 관리 서버를 이용하며, 휴대용 단말은 자신의 신상정보와 다수의 다른 사용자의 신상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필드를 갖는 제 1 신상정보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고, 개인용 컴퓨터는 적어도 제 1 신상정보 데이터베이스와 동일한 필드를 갖고 있는 제 2 신상정보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며, 신상정보 관리 서버는 적어도 제 1 신상정보 데이터베이스와 동일한 필드를 갖고 있는, 다수의 사용자의 제 3 신상정보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고, 사용자가 휴대용 단말의 제 1 신상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자신의 신상정보를 저장하는 제 1 단계, 사용자가 휴대용 단말의 블루투스 모듈을 이용하여 다른 사용자의 휴대용 단말과 신상정보를 교환하는 제 2 단계, 제 2 단계에서 수신된 다른 사용자의 신상정보를 사용자의 제 1 신상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제 3 단계, 제 1, 제 2 및 제 3 신상정보 데이터베이스의 내용을 동기화하는 제 4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데이터베이스의 내용을 동기화하는 제 4 단계는, 휴대용 단말과 개인용 컴퓨터가 블루투스 또는 유선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여 서로 접속하여 제 1 및 제 2 신상정보 데이터베이스를 동기화하는 제 4-1 단계, 개인용 컴퓨터가 컴퓨터 통신망을 통하여 신상정보 관리 서버에 접속하여 제 2 및 제 3 신상정보 데이터베이스를 동기화하는 제 4-2 단계, 개인용 컴퓨터가 제 4-2 단계에서 변경된 제 2 신상정보 데이터베이스의 내용을 제 1 신상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업데이트하는 제 4-3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 1 단계에서 자신의 신상정보는 사용자가 휴대용 단말에 자신의 신상정보를 입력함으로써 제 1 신상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거나, 사용자가 개인용 컴퓨터에 자신의 신상정보를 입력하고, 개인용 컴퓨터로부터 휴대용 단말로 자신의 신상정보를 전송함으로써 상기 제 1 신상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신상정보 관리 방법은, 사용자가 제 1 또는 제 2 신상정보 데이터베이스의 자신의 신상정보의 내용을 변경하는 제 1 단계, 변경 내용을 사용자의 제 3 신상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업데이트하는 제 2 단계, 신상정보 관리 서버에서, 사용자의 제 3 신상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업데이트된 변경 내용을 다른 사용자의 제 3 신상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업데이트하는 제 3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제 3 단계 이후에, 다른 사용자의 제 3 신상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업데이트된 변경 내용을 다른 사용자의 제 1 또는 제 2 신상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업데이트하는 제 4 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제 3 단계에서는, 변경 내용을 상기 사용자의 신상정보를 가진 모든 제 3 신상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업데이트하거나, 상기 사용자의 제 3 데이터베이스에 신상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다른 사용자의 제 3 신상정보 데이터베이스에만 업데이트할 수 있으며, 후자의 경우, 상기 사용자의 신상정보를 가지고 있지만 변경 내용이 업데이트되지 않은 다른 사용자의 제 3 신상정보 데이터베이스에는 상기 사용자의 신상정보가 더 이상 유효하지 않음을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또다른 신상정보 관리 방법은, 신상정보 관리 서버를 이용하여 각각 블루투스 모듈을 탑재한 휴대용 단말과 개인용 컴퓨터를 갖고 있는 다수의 사용자 사이의 신상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각 휴대용 단말은 자신의 신상정보와 다수의 다른 사용자의 신상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필드를 갖는 제 1 신상정보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고, 각 개인용 컴퓨터는 적어도 제 1 신상정보 데이터베이스와 동일한 필드를 갖고 있는 제 2 신상정보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며, 신상정보 관리 서버는 적어도 제 1 신상정보 데이터베이스와 동일한 필드를 갖고 있는, 다수의 사용자의 제 3 신상정보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고, 각 사용자가 자신의 휴대용 단말의 제 1 신상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자신의 신상정보를 저장하는 제 1 단계, 다수의 사용자 중 적어도 하나가 자신의 휴대용 단말의 블루투스 모듈을 이용하여 다른 사용자의 휴대용 단말과 신상정보를 교환하는 제 2 단계, 각 사용자의 휴대용 단말이 제 2 단계에서 교환된 다른 사용자의 신상정보를 각 휴대용 단말의 제 1 신상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제 3 단계, 다수의 사용자 중 적어도 하나가 자신의 제 1 또는 제 2 신상정보 데이터베이스 내의 자신의 신상정보의 내용을 변경하는 제 4 단계, 변경 내용을 자신의 제 3 신상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업데이트하는 제 5 단계, 신상정보 관리 서버에서, 업데이트된 제 3 신상정보 데이터베이스의 변경 내용을 다른 사용자의 제 3 신상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업데이트하는 제 6 단계, 각 사용자가 자신의 제 1, 제 2 및 제 3 신상정보 데이터베이스의 내용을 동기화하는 제 7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또다른 신상정보 관리 방법은, 휴대용 단말, 개인용 컴퓨터 및 다수의 사용자의 신상정보를 관리하는 신상정보 관리 서버를 이용하며, 휴대용 단말은 자신의 신상정보와 다수의 다른 사용자의 신상정보를 갖고 있는 제 1 신상정보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고, 개인용 컴퓨터는 적어도 제 1 신상정보 데이터베이스와 동일한 필드를 갖고 있는 제 2 신상정보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며, 신상정보 관리 서버는 적어도 제 1 신상정보 데이터베이스와 동일한 필드를 갖고 있으며 사용자의 상세 신상정보를 더 포함하는, 다수의 사용자의 제 3 신상정보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고, 사용자가 휴대용 단말 또는 개인용 컴퓨터를 이용하여 신상정보 관리 서버에 접속하는 제 1 단계, 사용자가 제 1 또는 제 2 신상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다른 사용자의 신상정보를 신상정보 관리 서버로 전송함으로써 다른 사용자의 상세 신상정보를 요청하는 제 2 단계, 신상정보 관리 서버가 다른 사용자의 제 3 신상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다른 사용자의 상세 신상정보를 상기 사용자의 휴대용 단말 또는 개인용 컴퓨터로 전송하는 제 3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다른 신상정보 관리 방법은, 사용자가 휴대용 단말 또는 개인용 컴퓨터를 이용하여 신상정보 관리 서버에 접속하는 제 1 단계, 사용자가 자신의 제 3 신상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다른 사용자의 신상정보를 선택함으로써 다른 사용자의 상세 신상정보를 요청하는 제 2 단계, 신상정보 관리 서버가 다른 사용자의 제 3 신상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다른 사용자의 상세 신상정보를 상기 사용자의 휴대용 단말 또는 개인용 컴퓨터로 전송하는 제 3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다른 신상정보 관리 방법은, 사용자가 휴대용 단말 또는 개인용 컴퓨터를 이용하여 신상정보 관리 서버에 접속하는 제 1 단계, 사용자가 휴대용 단말 또는 개인용 컴퓨터에 다른 사용자의 이름, 휴대전화 번호, 유선전화 번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다른 사용자의 정보를 입력하여 신상정보 관리 서버로 전송함으로써 다른 사용자의 상세 신상정보를 요청하는 제 2 단계, 신상정보 관리 서버가 다른 사용자의 제 3 신상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다른 사용자의 신상정보와 상세 신상정보를 상기 사용자의 휴대용 단말 또는 개인용 컴퓨터로 전송하는 제 3 단계, 전송된 다른 사용자의 신상정보를 상기 사용자의 제 1 또는 제 2 신상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제 4 단계를 포함한다.
이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시스템의 구성〉
도 1은 본 발명의 신상정보 관리 시스템의 전체 네트워크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블루투스 모듈을 탑재한 휴대용 사용자 장치(110, 120, 130)들 상호간에는 블루투스 인터페이스를 사용한 명함 교환이 가능하다. 신상정보 관리 서버(160)는 각 사용자의 명함정보 데이터베이스를 유지, 관리하고 있으며, 각 휴대용 사용자 장치(110, 120, 130)는 무선 네트워크(190)를 경유하여 인터넷(150)에 접속하여 신상정보 관리 서버(160)로 접근할 수 있다. 무선 네트워크(190)는 기지국(170)과 무선 통신용 신호를 인터넷 접속 가능한 HTML 포맷으로 바꾸어주는 WAP 게이트웨이(180)로 이루어져 있다.
한편, 각 휴대용 사용자 장치(110)는 자신의 개인용 컴퓨터(140)와 블루투스 또는 유선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여 접속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개인용 컴퓨터(140)는 인터넷(150)을 통하여 신상정보 관리 서버(160)로 접속할 수 있다.
이제 이와 같은 시스템을 이용해 구현되는 신상정보 관리 방법에 대해 항목별로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명함 교환의 기초 정보가 되는 자신의 신상정보를 입력하는 방법과 양식에 대해 설명한다.
〈자신의 신상정보 입력〉
블루투스 모듈을 탑재한 개인용 휴대 단말은 통상 전자 명함 교환 기능을 갖고 있다. 이 경우 휴대용 단말에서는 문자, 특히 한글의 입력 방법과 명함 교환에 필요한 신상정보 양식을 갖고 있다. 이와 같은 입력 방법과 신상정보 양식에 맞추어 사용자는 자신의 신상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입력되는 신상정보는 필수적으로 사용자의 성명을 포함하며, 그밖에 집이나 사무실의 유선전화번호, 주소 등의 정보가 있을 수 있다. 통상 사용되는 개인용 휴대 단말은 휴대 전화 기능을 갖고 있으므로 휴대 전화의 번호는 별도로 입력하지 않아도 휴대용 단말에 이미 저장되어 있는 정보를 이용할 수 있다. 성명이나 전화번호 등을 포함하는 전체 신상정보의 길이는 단말기의 메모리 용량이나 블루투스 전송 속도 등을 고려하여 248 바이트 이내로 규정되어 있다. 따라서, 휴대용 단말에 입력될 수 있는 신상정보는 248 바이트 이내로 되어야 한다.
입력된 신상정보는 미리 지정한 형식에 맞추어 휴대용 단말의 기억 장치에 저장된다. 예를 들면 다음의 표와 같은 형식으로 개인의 신상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필드명 필드 길이 필드 내용 및 구성
신상정보 길이 필드 1 바이트 - 신상정보의 총 길이 표시(길이 필드 길이 포함)- 최대값은 248
전화번호 필드 15 바이트 - 사용자 전화번호
구분 코드 필드 7 바이트 - 구분 코드, DB 접속시에 입력된다- 멀티 DB 관리, 기본 보안 기능에 사용됨
성명 필드 20 바이트 - 사용자의 성명
프로필 필드 0-205 바이트 - 사용자 프로필 기록
이 중 구분 코드는 휴대용 단말을 통해 직접 입력하지 않고, 사용자의 개인용 컴퓨터를 사용하여 입력한 후, 개인용 컴퓨터나 신상정보 관리 서버와의 통신을 통해 휴대용 단말의 정보를 동기화할 때 구분 코드를 휴대용 단말에 입력하게 된다. 구분 코드는 하나의 휴대용 단말 번호에 대해 둘 이상의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 각 데이터베이스를 구분하기 위해 사용하거나, 자신의 정보를 타인이 검색하는 것을 허용하는 정도를 표시하기 위한 보안의 용도, 자신의 신상정보가 변경되었을 때 변경된 내용을 통보하는 범위를 표시하기 위한 용도 등으로 사용된다.
한편, 신상정보가 저장될 때에는 그 정보를 작성한 일시가 함께 저장된다. 이와 같은 작성 일시 정보를 이용하여 휴대용 단말, 개인용 컴퓨터, 신상정보 관리 서버 간의 신상정보 데이터의 동기화를 달성할 수 있으며, 자신의 신상정보를 항상 최신의 것으로 유지할 수 있다.
신상정보를 휴대용 단말을 통해 입력하지 않고, 개인용 컴퓨터에 입력한 후 이를 휴대용 단말로 전송할 수도 있다. 개인용 컴퓨터에 신상정보를 입력할 때에는 휴대용 단말과는 달리 그 크기에 제한을 받지 않으므로 휴대용 단말에 입력하는 정보 이외의 자세한 신상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자세한 신상정보로는 자신의 사진, 동영상, 상세 프로필 등이 있을 수 있고, 상세 프로필에는 사용자의 음성 데이터, 문자 데이터, 이미지 데이터 등이 있을 수 있다. 이외에도 개인용 컴퓨터에서 허용되는 모든 종류의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다. 개인용 컴퓨터에 기억되는 신상정보 데이터베이스의 구조는 휴대용 단말에 기억되는 신상정보 데이터 부분은 휴대용 단말에 기억되는 신상정보 데이터베이스와 동일하다. 다만, 개인용 컴퓨터에 기억된 신상정보와 휴대용 단말에 기억된 신상정보를 동기화할 때에는 휴대용 단말의 신상정보 기억 용량에 한계가 있으므로 휴대용 단말에 입력하도록 허용된 크기 만큼의 데이터만 동기화될 수 있다. 한편, 휴대용 단말을 통해 신상정보를 입력한 후에도, 이를 개인용 컴퓨터와 연결하여 개인용 컴퓨터에 동기화한 후 개인용 컴퓨터를 이용해 추가적인 신상정보를 입력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휴대용 단말 또는 개인용 컴퓨터에 입력된 개인 신상정보는 도 1을 참고로 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유선 인터페이스나 블루투스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여 두 장치를 연결한 후 동기화한다. 다음, 개인용 컴퓨터를 이용하여 인터넷을 통해 신상정보 관리 서버에 접속한 후 개인용 컴퓨터와 신상정보 관리 서버 사이의 데이터의 동기화를 수행한다.
휴대용 단말을 이용해 직접 신상정보 관리 서버에 접속하지 않고, 개인용 컴퓨터를 이용하는 이유는 휴대용 단말과 신상정보 관리 서버 간의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한 검색이나 정보 동기화의 경우 통화료가 비싸기 때문이다. 사용자는 자신의 가정이나 사무실에서 휴대용 단말과 개인용 컴퓨터를 동기화시킨 후 상대적으로 요금이 저렴한 유선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여 개인용 컴퓨터와 신상정보 관리 서버를 동기화시키면 비용 부담을 줄이면서 효율적으로 정보 관리를 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물론 휴대용 단말을 통해 직접 신상정보 관리 서버에 접속하여 동기화를 하는 것도 가능하다.
세 개의 데이터베이스 간의 동기화는 최종 업데이트 일시와 최종 접속 일시를 기준으로 이루어진다. 동기화에 대해서는 이후에 상세히 설명한다.
한편, 하나의 휴대용 단말에 여러 개의 신상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경우, 명함 교환시에 교환할 대표 명함을 지정해둘 수도 있다. 그러나, 필요에 따라서는 명함 교환시마다 교환할 명함을 먼저 선택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제 자신의 신상정보가 휴대용 단말에 저장되었으므로 다른 사용자의 휴대용 단말과 명함정보를 교환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이하에서는 명함 교환의 과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명함 교환〉
휴대용 단말간 명함 교환을 위해서는 두 단말이 모두 명함 교환 기능을 제공하여야 한다. 도 2에 명함 교환 기능을 제공하는 휴대용 단말의 예가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휴대용 단말(200)에는 통상의 장치와 같이 입력 키(240)와 표시부(230)가 마련되어 있고, 명함 교환 기능을 제공하는 경우, 휴대용 단말에 명함 교환 버튼(210)이 제공된다. 이 명함 교환 버튼(210)을 눌러 명함을 상대방과 교환하거나 상대방의 명함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휴대용 단말(200)에는 명함 수신 상태를 확인하기 위하여 수신 확인 램프(220)가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휴대용 단말(200)의 내부에는 명함 교환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블루투스 애플리케이션이 내장되어 있다.
도 3은 명함 교환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먼저, 명함 교환을 하기 위해서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자신의 신상정보가 휴대용 단말에 저장되어 있어야 한다(S310). 그리고, 자신의 신상정보가 두 개 이상 저장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 중 하나의 대표 명함을 지정하여 특별한 선택이 없을 경우 대표 명함이 교환(S320)되도록 하는 점도 앞서 설명한 바와 같다. 한편, 교환할 신상정보가 꼭 휴대용 단말의 사용자 자신의 신상정보이어야 할 필요는 없으며, 휴대용 단말 내에 기억된 다른 신상정보를 이용하여 명함 교환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제 사용자(A)는 명함 교환 버튼을 누른다(S330). 명함 교환 버튼을 짧게 누르면 상대방과 명함을 교환하겠다는 의미이고, 버튼을 1초 이상 길게 누르면 상대방의 명함을 수신하기만 하겠다는 의미이다.
명함을 교환하고자 하는 상대방(사용자 B)도 마찬가지로 자신의 휴대용 단말의 명함 교환 버튼을 누른다. 이 버튼을 누르면 휴대용 단말은 블루투스 표준에 따라 일정 시간 동안 상대 단말과의 송수신을 시도하게 된다. 따라서, 명함을 교환하고자 하는 두 사용자 A와 B는 이 버튼을 누른 후 서로의 단말을 0 - 50 cm 이내의 거리에 일정시간(약 2초간) 위치시킨다. 단말이 일정 거리 내에서 마주보고 위치하는 동안 단말이 움직이지 않아야 할 필요는 없으며 제한 거리 이내에만 있으면 된다. 블루투스 표준을 이용하는 무선 통신 방식은 통신을 하는 단말 사이에 장애물이 있더라도 상관없으며, 제한 거리는 출력 앰프가 있을 경우에는 더 늘어날 수도 있지만, 명함 교환은 근거리에 있는 특정 사용자 사이에서만 이루어지는 것이므로 이에 맞도록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사용자 A와 B 모두가 긴 버튼 입력(수신 전용 모드)을 하면 명함 교환이 이루어질 수 없으므로, 두 사용자 중 하나라도 상대 명함을 수신만 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이와 같은 의사를 상대방에게 표시하고 긴 버튼 입력을 수행하도록 한다.
사용자 A를 기준으로 하여 짧은 버튼 입력과 긴 버튼 입력을 한 경우로 나누어 버튼을 누른 후의 단말의 동작을 설명한다.
1) 사용자 A가 짧은 버튼을 입력했을 때(S340)
S340 단계에서 사용자 A가 짧은 버튼을 입력하면(상호 교환) 사용자 A의 단말은 A가 지정한 신상정보를 블루투스 애플리케이션에 전달하면서 블루투스 애플리케이션에게 A의 신상정보를 전달하면서 명함 교환 명령을 내린다. 블루투스 애플리케이션은 전달받은 신상정보를 Device Name 필드에 저장한다(S360).
명함 교환 명령이 전달되면 블루투스 애플리케이션은 가장 가까운 단말과의 접속을 시도한다. 접속 시도 절차는 블루투스 프로파일 표준 상의 포괄적 접근 프로파일(Generic Access Profile) 과정에 준하며, 자신의 신상정보가 기록된 Device Name 필드를 송신하고(S370), 상대방의 Device Name 필드를 수신한다(S380).
이 때 블루투스 규격상의 Transmitter Characteristic의 Power Class는 3으로 하며 50cm 이하의 근거리 인터페이스만 가능하도록 Transmitter Power를 조정한다. 이는 명함을 상호교환하기로 한 상대방(B)의 단말과만 통신이 가능하도록 제한하기 위한 것이다.
A 단말의 블루투스 애플리케이션 상의 신상정보 교환이 완료되는 것은 A 단말과 B 단말 사이에서 Device Name 필드의 송수신이 완료되었을 때이다.
블루투스 애플리케이션은 수신된 B의 명함을 A 단말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S390)하고 단말 내의 명함 데이터베이스에 일정한 양식으로 B의 명함을 추가한다. 이 때, 명함과 함께 명함을 받은 일시를 함께 기록하고, 단말 데이터베이스의 최종 업데이트 일시도 명함을 받은 일시로 기록한다.
명함 교환이 완료되면 단말은 비프음과 같은 효과음이나 램프의 깜박거림으로 교환이 완료되었다는 것을 A에게 알린다.
2)A가 긴 버튼을 입력했을 때(S340)
S340 단계에서 사용자 A가 긴 버튼을 입력하면(수신 전용), 단말은 블루투스 애플리케이션에게 Device Name 필드를 Null, 즉 정보가 들어있지 않은 상태로 기록하도록 한다(S350). 이외의 과정은 A가 짧은 버튼을 입력했을 때와 동일하다(S370-S390).
〈명함정보 데이터베이스의 구조〉
이제 명함정보가 휴대용 단말, 개인용 컴퓨터, 신상정보 관리 서버에 각각 저장되는 데이터베이스의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도 4a 내지 도 4c는 각각 휴대용 단말, 개인용 컴퓨터 및 신상정보 관리 서버에 저장되는 명함정보 데이터베이스의 구조를 나타내고 있다. 기본적인 데이터베이스의 구조는 3자가 모두 동일하지만 약간의 차이를 갖고 있다.
먼저, 휴대용 단말의 데이터베이스의 맨 앞에는 도 4a에 나타난 바와 같이, 휴대용 단말 소유자의 명함정보(신상정보)가 저장된다. 저장되는 정보의 내용은 앞서 신상정보의 입력 항목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즉, 휴대용 단말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는 명함정보는 248 바이트 이내의 간략 정보이다. 명함정보와 함께 명함정보가 작성된 작성 일시가 함께 기록된다. 작성 일시는 신상정보의 동기화 과정에서 필요하다.
단말 소유자의 명함정보는 하나 이상 저장될 수 있으며, 그 중 하나가 대표 명함으로 지정되고, 대표 명함임을 나타내는 플래그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단말 소유자의 명함정보 다음에는 최종 업데이트 일시가 저장된다. 최종 업데이트 일시는 단말의 명함정보가 최종적으로 업데이트된 일시를 말한다. 최종 업데이트 일시는 휴대용 단말을 통해 다른 사람과의 명함 교환이 있었을 경우 명함 교환 일시가 되고, 이후에 설명할 바와 같이 상대방의 명함정보가 변경된 사실이 신상정보 관리 서버에 의해 통보되어 신상정보 관리 서버의 데이터베이스에 변경 내용이 반영되고 이후 휴대용 단말이 신상정보 관리 서버에 접속하여 휴대용 단말과 신상정보 관리 서버의 데이터베이스와의 동기화가 이루어졌을 경우 상대방의 명함정보 변경 사실이 통보된 시점이 최종 업데이트 일시가 된다.
최종 업데이트 일시 다음에는 개인용 컴퓨터 및 신상정보 관리 서버와의 최종 접속 일시가 저장된다. 최종 접속 일시는 휴대용 단말이 개인용 컴퓨터 또는 신상정보 관리 서버와 최종적으로 접속한 일시를 말하며, 이를 이용하여 휴대용 단말과 개인용 컴퓨터 또는 신상정보 관리 서버 간의 동기화를 달성할 수 있다.
다음으로 다수의 받은 명함이 차례로 저장된다. 받은 명함의 데이터 구조 역시 휴대용 단말 소유자의 명함정보와 동일한 구조로 저장된다. 동일한 사람의 명함이 두 개 이상 저장될 수도 있으며, 명함정보를 업데이트할 때 이전 명함을 보관할 수도 있다. 받은 명함의 정보와 함께 명함을 받은 일시가 함께 저장된다. 이 때 명함을 받은 일시는 휴대용 단말을 통해 다른 사람의 명함을 받은 일시 또는 신상정보 관리 서버의 데이터베이스가 명함정보의 변경을 통보받은 일시가 된다.
다음, 도 4b는 개인용 컴퓨터의 데이터베이스 구조를 나타낸다. 기본적인 데이터베이스 구조는 도 4a에 나타난 휴대용 단말의 구조와 유사하다. 다만, 개인용 컴퓨터의 데이터베이스는 휴대용 단말에 비해 큰 기억 용량을 가지고 있으므로 단말 소유자의 간략한 신상정보 외에 상세정보를 부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개인용 컴퓨터의 데이터베이스에도 최종 업데이트 일시와 최종 접속 일시가 저장된다. 최종 업데이트 일시는 명함정보가 최종적으로 업데이트된 시간을 의미하고, 최종 접속 일시는 개인용 컴퓨터와 휴대용 단말 또는 신상정보 관리 서버 사이의 최종 접속 일시를 의미한다.
마지막으로 도 4c에 신상정보 관리 서버의 데이터베이스 구조가 나타나 있다. 신상정보 관리 서버에 저장되어 있는 신상정보 데이터베이스의 구조는 개인용 컴퓨터의 데이터베이스 구조와 거의 동일하며, 휴대용 단말과의 최종 접속 일시와 개인용 컴퓨터와의 최종 접속 일시가 저장되어 있다.
신상정보 관리 서버는 이와 같은 개인 신상정보 데이터베이스를 사용자 수만큼 가지고 있다.
〈신상정보 및 명함정보의 동기화〉
이제 휴대용 단말, 개인용 컴퓨터 및 신상정보 관리 서버의 데이터베이스에 각각 저장되어 있는 명함정보를 동기화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1) 휴대용 단말과 개인용 컴퓨터의 동기화
휴대용 단말과 개인용 컴퓨터는 블루투스 또는 유선으로 접속한 후 서로의 명함 데이터베이스를 모두 검색하여 동기화한다. 휴대용 단말에 저장된 명함정보가 개인용 컴퓨터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는 이를 개인용 컴퓨터의 데이터베이스에 업데이트하고, 같은 휴대용 단말의 전화번호와 구분 정보를 가진 명함정보의 일시가 휴대용 단말과 개인용 컴퓨터 간에 서로 다른 경우에는 나중 일시의 정보로 통일하여 한쪽을 업데이트한다. 정보를 업데이트한 후에는 최종 업데이트 일시를 휴대용 단말과 개인용 컴퓨터에 기록된 것 중 늦은 것으로 맞추어 준다.
또한, 휴대용 단말에서는 개인용 컴퓨터에 저장된 명함정보 데이터베이스의 특정 데이터를 불러오는 명령을 사용할 수 있다. 휴대용 단말의 기억 용량은 통상 개인용 컴퓨터에 비해 작으므로 개인용 컴퓨터에 저장된 명함정보 중 일정한 명함정보만을 휴대용 단말에 저장하고자 할 경우 이러한 명령이 유효하다.
짧은 시간 내에 동기화를 마치는 것이 바람직한 경우에는 전체 데이터베이스를 모두 검색하여 동기화하지 않고, 휴대용 단말과 개인용 컴퓨터에 저장된 최종 업데이트 일시와 최종 접속 일시 필드를 이용하여 이후에 상세히 설명할 개인용 컴퓨터와 신상정보 관리 서버의 데이터베이스를 동기화하는 것과 유사한 방식으로 동기화할 수도 있다.
(2) 개인용 컴퓨터와 신상정보 관리 서버의 동기화
사용자는 자신의 개인용 컴퓨터에서 인터넷을 통하여 신상정보 관리 서버에 접속한 후 개인용 컴퓨터의 데이터베이스와 신상정보 관리 서버 상의 자신의 데이터베이스를 동기화할 수 있다. 이 과정을 도 5를 참고로 하여 설명한다.
먼저 개인용 컴퓨터는 자신의 신상정보, 즉 휴대용 단말 번호와 구분 코드를 이용하여 신상정보 관리 서버에 접속한다(S510). 자신의 신상정보가 하나만 저장되어 있는 경우는 자동으로 그 신상정보를 이용하여 접속할 수 있고, 두 개 이상의 신상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경우에는 신상정보 중 하나를 선택하여 접속한다.
개인용 컴퓨터와 신상정보 관리 서버가 접속되면 먼저 개인용 컴퓨터의 데이터베이스의 최종 업데이트 일시 필드와 신상정보 관리 서버 데이터베이스의 최종 접속 일시(개인용 컴퓨터) 필드가 비교된다(S520). 개인용 컴퓨터 데이터베이스의 최종 업데이트 일시가 신상정보 관리 서버 데이터베이스의 최종 접속 일시(개인용 컴퓨터)보다 나중이면, 이는 개인용 컴퓨터가 신상정보 관리 서버에 최종적으로 접속한 시간 이후에 개인용 컴퓨터에 새로 저장된 명함이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개인용 컴퓨터는 받은 날짜가 최종 접속 일시 이후인 개인용 컴퓨터의 데이터베이스 상의 명함을 검색하여 이를 신상정보 관리 서버 데이터베이스에 업데이트한다(S530). 이 때, 같은 전화번호와 구분코드를 가진 정보가 이미 존재할 경우,양자의 받은 일시를 비교하여 나중의 정보로 기록한다. 다만, 이 때 사용자에게 기존 명함의 삭제 여부를 확인한 후 기존 명함을 별도로 보관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신상정보 관리 서버의 데이터베이스의 최종 업데이트 일시 필드와 최종 접속 일시(개인용 컴퓨터) 필드를 비교한다(S540). 신상정보 관리 서버의 데이터베이스의 최종 업데이트 일시가 최종 접속 일시(개인용 컴퓨터)보다 나중이면, 이는 개인용 컴퓨터가 신상정보 관리 서버에 최종적으로 접속한 시간 이후에 신상정보 관리 서버의 데이터베이스가 변경되었다는 것, 즉 신상정보 관리 서버 데이터베이스에 포함된 명함정보 중 일부가 그 내용변경을 통보받았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이번에는 신상정보 관리 서버의 데이터베이스에서 받은 날짜가 최종 접속 일시 이후인 명함을 검색하여 이를 개인용 컴퓨터의 데이터베이스에 업데이트한다(S550). 이 때, 앞서 신상정보 관리 서버 데이터베이스를 업데이트할 때와 유사하게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변경되기 이전의 정보를 함께 보관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업데이트 작업이 끝나면, 두 데이터베이스의 최종 업데이트 일시 필드를 비교하여 접속 당시의 두 데이터베이스의 최종 업데이트 일시 필드 중 늦은 쪽으로 맞추고(S560), 신상정보 관리 서버의 최종 접속 일시(개인용 컴퓨터) 필드와 개인용 컴퓨터의 최종 접속 일시(서버) 필드는 현재 접속 일시로 맞춘다(S570). 이와 같이, 동기화가 종료된 후에는 개인용 컴퓨터의 데이터베이스와 신상정보 관리 서버의 데이터베이스의 최종 업데이트 일시 필드와 최종 접속 일시 필드의 값은 서로 일치하게 된다.
(3) 휴대용 단말과 신상정보 관리 서버의 동기화
휴대용 단말과 신상정보 관리 서버 사이의 동기화는 앞서 설명한 개인용 컴퓨터와 신상정보 관리 서버의 경우와 유사하다. 동기화를 하기 위해서는 휴대용 단말이 기지국과 WAP 게이트웨이를 경유하여 신상정보 관리 서버에 접속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무선 접속의 경우는 접속 비용이 많이 들게 되므로 휴대용 단말과 신상정보 관리 서버끼리 직접 동기화를 하는 경우는 별로 없을 것이다.
이 때에는 휴대용 단말의 최종 접속 일시와 신상정보 관리 서버의 휴대용 단말과의 최종 접속 일시를 맞추어 주는 점만이 개인용 컴퓨터와의 경우와 다르다.
(4) 휴대용 단말, 개인용 컴퓨터, 신상정보 관리 서버 3자의 동기화
이제, 휴대용 단말, 개인용 컴퓨터와 신상정보 관리 서버의 3자를 동기하는 과정에 대해 도 6을 참고로 하여 설명한다. 앞서 휴대용 단말 또는 개인용 컴퓨터가 각각 신상정보 관리 서버와 접속하여 동기화하는 방법을 설명하였으나, 통상은 명함 교환을 통해 휴대용 단말에 저장된 정보를 개인용 컴퓨터와 신상정보 관리 서버에 동시에 업데이트하는 일이 많을 것이다.
이 경우는 먼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휴대용 단말과 개인용 컴퓨터의 동기화를 먼저 수행하고(①), 다시 개인용 컴퓨터와 신상정보 관리 서버를 동기화한다(②). 개인용 컴퓨터와 신상정보 관리 서버를 동기화하는 과정에서는 휴대용 단말과 개인용 컴퓨터 사이에서는 개인용 컴퓨터가 마스터로 휴대용 단말이 슬레이브로 되어 개인용 컴퓨터가 신상정보 관리 서버와 자신과의 동기화를 수행하면서 동시에 휴대용 단말에도 자신의 데이터베이스의 변경 내용을 반영한다(③).
이와 같이 휴대용 단말, 개인용 컴퓨터, 신상정보 관리 서버의 3자를 함께 동기화하면, 세 데이터베이스의 최종 업데이트 일시 및 최종 접속 일시는 모두 일치하게 된다.
한편, 휴대용 단말과 개인용 컴퓨터 사이의 동기화를 제외하고 단말과 서버와의 동기화의 경우에는 전체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 동기화하지 않고, 최종 업데이트 일시와 최종 접속 일시를 비교하여 변경 사항이 있는 경우에만 업데이트를 하는 방식으로 동기화를 하게 된다. 그러나, 정보의 정확성을 위해서는 단말과 서버 상호간에도 주기적으로 전체 데이터베이스를 동기화해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타인의 상세정보 검색〉
신상정보 관리 서버에서 제공하는 신상정보 관리 서비스의 회원은 자신이 소지하고 있는 명함정보 또는 타인의 신상정보를 이용하여 타인의 상세정보를 검색할 수 있다. 이제 이 방법에 대해 자세히 설명한다.
(1) 자신의 데이터베이스에 보관된 명함을 이용한 검색
첫번째 방법은 자신의 데이터베이스에 보관된 명함을 이용하여 타인의 상세정보를 검색하는 것이다. 자신의 데이터베이스에 보관된 명함을 이용하는 방법도 두 가지로 나누어볼 수 있다. 하나는 자신의 휴대용 단말 또는 개인용 컴퓨터(이하 '단말'이라 총칭한다)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명함정보를 이용하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신상정보 관리 서버에 접속한 후 신상정보 관리 서버에 저장된 자신의 데이터베이스의 명함정보를 이용하는 것이다. 각각의 방법의 흐름도가 도 7과 도 8에 나타나 있다.
첫번째 경우에는 먼저 자신의 단말(A)에서 상세정보를 검색하고자 하는 명함(B)을 선택한다(S710). 다음, 선택한 B의 명함정보를 신상정보 관리 서버로 송신하면서 B의 상세정보를 요청한다(S720). 신상정보 관리 서버에서는 B의 명함정보를 수신하고 먼저 이 정보를 송신한 A의 신원을 확인한다(S730). A의 신원이 확인되면, 신상정보 관리 서버에서는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 B의 정보를 찾아낸 후, B의 정보가 변경되었는지를 확인한다(S740). S740 단계에서 B의 명함정보가 변경되지 않았으면, A에게로 B의 상세정보를 전송하고(S760), B의 정보가 변경되었으면, 먼저 변경된 B의 명함정보로 A 단말의 데이터베이스를 업데이트(S750)한 후, B의 상세정보를 A에게 전송한다(S760). 다만, 변경된 B의 명함정보로 A 단말의 데이터베이스를 업데이트하는 것은 B의 변경된 정보가 A에게로 통보되도록 구분 코드가 설정된 경우이고, 그렇지 않은 경우는 B의 변경 정보를 A 데이터베이스로 업데이트하지 않고 단지 기존의 B의 정보가 더 이상 유효하지 않음을 표시할 뿐이므로 B의 변경 정보가 A의 데이터베이스로 업데이트되지는 않는다. 변경된 정보를 업데이트하는 과정은 앞서 동기화 과정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두번째로 먼저 신상정보 관리 서버에 접속한 후 상세정보를 검색하는 경우를 설명한다. 도 8에 나타난 바와 같이, 이 경우에는 자신의 단말(A)을 이용하여 신상정보 관리 서버 상의 자신의 데이터베이스(A)로 일단 접속한다(S810). 다음, 신상정보 관리 서버의 데이터베이스 상에서 검색하고자 하는 명함(B)을 선택한다(S820). 이후의 단계는 신상정보 관리 서버에서 B의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고 A에게 상세정보를 전송하는 것으로(S830-S850) 도 7을 참고로 설명한 첫번째 방법의 경우와 유사하다.
(2) 검색하고자 하는 상대방의 신상정보를 이용한 검색
두번째 방법은 상대방의 명함정보를 자신의 데이터베이스에서 갖고 있지 않은 경우, 검색하고자 하는 상대방의 신상정보(이름, 휴대전화 번호 유선전화 번호 등)를 이용하여 상대방의 상세정보를 검색하는 것이다.
신상정보를 이용한 검색의 과정이 도 9에 나타나 있다.
검색하고자 하는 사용자는 먼저 자신의 단말(A)을 이용하여 검색하고자 하는 사람(B)의 신상정보를 입력하여 이를 신상정보 관리 서버로 전송한다(S910). 다음, 신상정보 관리 서버에서는 신상정보를 전송한 A의 신원을 먼저 확인(S920)한 후, 전송된 신상정보를 이용하여 B의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한다. 검색된 결과가 있으면 A의 단말로 B의 명함정보와 상세정보를 모두 전송한다(S930). A의 단말은 신상정보 관리 서버로부터 전송된 명함정보를 단말 데이터베이스에 업데이트하고, 전송된 상세정보를 볼 수 있다(S940). 다만, 이와 같이 명함정보를 전송하여 단말의 데이터베이스를 업데이트하는 것은 다른 방법으로 상세정보를 요청할 때와 마찬가지로 구분 코드에서 A에게 B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설정된 경우에 한한다.
〈신상정보 변경시 자동 통보〉
마지막으로 본 발명의 신상정보 변경시의 자동 통보 기능을 설명한다. 신상정보 변경시의 자동 통보 기능을 이용하면 자신의 명함정보 데이터베이스의 내용을 항상 최신 정보로 관리할 수 있다.
도 10은 신상정보 변경시의 자동통보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고, 도 11은 도 10에 나타난 과정에 따라 데이터베이스의 내용이 변경되는 과정을 예시하고 있다. 도 10과 도 11에서는 A가 자신의 신상정보를 변경하고 B가 A의 명함정보를 가지고 있는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먼저, A가 자신의 신상정보를 변경하고, 이를 신상정보 관리 서버의 데이터베이스에 업데이트한다(S1010). 도 11에 나타난 바와 같이, A가 단말에서 자신의 신상정보를 변경하면, 변경된 A의 명함정보가 단말에 저장되고, 명함정보의 작성일시는 A가 자신의 정보를 변경한 시점(000803 21:00)이 된다. 단말과 신상정보 관리 서버의 최종 접속 일시는 000802 12:00이다. 따라서, 변경된 A의 정보는 아직 신상정보 관리 서버의 A의 신상정보 데이터베이스에는 반영되지 않은 상태이다. 이제, A는 신상정보 관리 서버에 접속하여 변경 내용으로 자신의 신상정보를 업데이트한다. A가 신상정보 관리 서버에 접속할 당시(000803 21:00) 신상정보 관리 서버의 A의 신상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A의 정보는 000601 00:00에 기록된 정보이다. 이 정보를 변경 내용으로 업데이트하면 A의 신상정보의 작성 일시가 변경 내용의 작성 일시인 000803 21:00으로 기록되고, 최종 접속 일시도 현재 단말이 신상정보 관리 서버에 접속한 일시인 000803 21:00으로 기록된다.
A의 신상정보가 변경되면 신상정보 관리 서버는 이를 누구에게 통보하여야 할 것인지를 결정한다. 통보 대상을 결정하는 것은 A의 신상정보에 포함되어 있는 구분 코드를 이용하게 되는데, 예를 들면 0과 1의 구분 코드를 사용할 수 있다. 구분 코드가 0으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A의 명함정보를 가지고 있는 모든 상대방에게 A의 신상정보 변경 사실을 통보하고, 구분 코드가 1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A의 명함정보 데이터베이스에 명함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상대방에게만 A의 신상정보 변경 사실을 통보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분 코드를 이용하여 신상정보 변경을 통보할 대상을 결정한다.
이와 같이 하여, S1020 단계에서 A의 정보 변경을 B에게 통보해야 하는 경우이면, B의 데이터베이스에 있는 A의 명함정보를 변경된 정보로 업데이트한다 (S1040). 신상정보 관리 서버의 B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A의 명함정보는 받은 일시가 000703 13:00으로 되어 있으므로, 내용이 변경되어야 하는 것임을 알 수 있다. 업데이트 과정에서는 변경된 A의 명함정보를 B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명함의 받은 일시는 변경 내용으로 명함정보를 업데이트하는 일시(000803 21:00)로 기록한다. 기존의 명함은 삭제하거나,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서는 구분 코드를 달리 하여 보관할 수도 있다. 명함정보가 업데이트된 후에는 신상정보 관리 서버의 B의 데이터베이스의 최종 업데이트 일시 필드를 변경 내용으로 명함정보를 업데이트하는 일시(000803 21:00)로 기록한다.
B가 변경 내용의 자동 통보 대상이 아닌 경우, 신상정보 관리 서버는 B의 데이터베이스에 있는 A의 명함정보 필드에 A의 명함정보가 더 이상 유효하지 않음을 표시하고, 변경된 일시를 받은 일시에 기록한다(S1030). 이 경우에도 신상정보 관리 서버의 B의 데이터베이스의 최종 업데이트 일시 필드는 변경된 일시로 기록한다.
이와 같이 신상정보 관리 서버에서의 자동 통보에 의한 명함정보의 변경은 신상정보 관리 서버의 데이터베이스에 대해서만 이루어진 것이므로, 신상정보 관리 서버 상의 B의 데이터베이스의 내용과 B의 단말의 데이터베이스의 내용 사이에는 일시적으로 불일치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정보의 변경이 있은 후에 최초로 단말이 신상정보 관리 서버에 접속(S1050)하였을 때(000803 22:00) B 단말의 데이터베이스를 변경된 내용으로 업데이트한다(S1060). 업데이트의 방법은 앞서 동기화 과정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변경된 정보가 업데이트되면 B는 A의 최신 신상정보를 유지할 수 있으며, B가 통보 대상이 아닌 경우라도, A의 신상정보가 변경되어 더 이상 유효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이 때에는 더 이상 유효하지 않은 A의 명함정보를 단말의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삭제하거나, B에게 변경된 새로운 명함을 요구하여 변경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반영하는 등의 작업을 할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으나, 이 실시예는 본 발명을 이해하기 위한 설명을 위해 제시된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 실시예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기술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전문가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도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신상정보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명함정보를 갖고 있는 다른 사용자에 대한 상세정보를 열람할 수 있고, 사용자의 신상정보가 갱신된 경우 자동 통보 기능을 이용하여 자신의 명함정보를 갖고 있는 다른 사용자의 명함정보를 자동으로 갱신하여 최신 신상정보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개인용 컴퓨터와 블루투스 장치를 함께 사용함으로써 무선 접속에 따르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Claims (17)

  1. 블루투스 모듈을 탑재한 휴대용 단말, 개인용 컴퓨터 및 다수의 사용자의 신상정보를 관리하는 신상정보 관리 서버를 이용한 신상정보 관리 방법으로서,
    상기 휴대용 단말은 자신의 신상정보와 다수의 다른 사용자의 신상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필드를 갖는 제 1 신상정보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개인용 컴퓨터는 적어도 상기 제 1 신상정보 데이터베이스와 동일한 필드를 갖고 있는 제 2 신상정보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신상정보 관리 서버는 적어도 상기 제 1 신상정보 데이터베이스와 동일한 필드를 갖고 있는, 다수의 사용자의 제 3 신상정보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신상정보 관리 방법은,
    사용자가 휴대용 단말의 상기 제 1 신상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자신의 신상정보를 저장하는 제 1 단계,
    상기 사용자가 휴대용 단말의 블루투스 모듈을 이용하여 다른 사용자의 휴대용 단말과 신상정보를 교환하는 제 2 단계,
    상기 제 2 단계에서 수신된 상기 다른 사용자의 신상정보를 상기 사용자의 제 1 신상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제 3 단계,
    상기 제 1, 제 2 및 제 3 신상정보 데이터베이스의 내용을 동기화하는 제 4 단계를 포함하는 신상정보 관리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4 단계는,
    상기 휴대용 단말과 상기 개인용 컴퓨터가 블루투스 또는 유선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여 서로 접속하여 상기 제 1 및 제 2 신상정보 데이터베이스를 동기화하는 제 4-1 단계,
    상기 개인용 컴퓨터가 컴퓨터 통신망을 통하여 상기 신상정보 관리 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제 2 및 제 3 신상정보 데이터베이스를 동기화하는 제 4-2 단계,
    상기 개인용 컴퓨터가 상기 제 4-2 단계에서 변경된 상기 제 2 신상정보 데이터베이스의 내용을 상기 제 1 신상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업데이트하는 제 4-3 단계를 포함하는 신상정보 관리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계에서,
    상기 자신의 신상정보는 사용자가 휴대용 단말에 자신의 신상정보를 입력함으로써 상기 제 1 신상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는 신상정보 관리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계에서,
    상기 자신의 신상정보는 사용자가 개인용 컴퓨터에 자신의 신상정보를 입력하고, 개인용 컴퓨터로부터 휴대용 단말로 자신의 신상정보를 전송함으로써 상기 제 1 신상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는 신상정보 관리 방법.
  5. 휴대용 단말, 개인용 컴퓨터 및 다수의 사용자의 신상정보를 관리하는 신상정보 관리 서버를 이용한 신상정보 관리 방법으로서,
    상기 휴대용 단말은 자신의 신상정보와 다수의 다른 사용자의 신상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필드를 갖는 제 1 신상정보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개인용 컴퓨터는 적어도 상기 제 1 신상정보 데이터베이스와 동일한 필드를 갖고 있는 제 2 신상정보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신상정보 관리 서버는 적어도 상기 제 1 신상정보 데이터베이스와 동일한 필드를 갖고 있는, 다수의 사용자의 제 3 신상정보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신상정보 관리 방법은,
    사용자가 상기 제 1 또는 제 2 신상정보 데이터베이스의 자신의 신상정보의 내용을 변경하는 제 1 단계,
    상기 변경 내용을 상기 사용자의 상기 제 3 신상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업데이트하는 제 2 단계,
    상기 신상정보 관리 서버에서, 상기 사용자의 상기 제 3 신상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업데이트된 상기 변경 내용을 다른 사용자의 상기 제 3 신상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업데이트하는 제 3 단계를 포함하는 신상정보 관리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단계 이후에,
    상기 다른 사용자의 상기 제 3 신상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업데이트된 상기 변경 내용을 상기 다른 사용자의 상기 제 1 또는 제 2 신상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업데이트하는 제 4 단계를 더 포함하는 신상정보 관리 방법.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단계에서,
    상기 변경 내용을 상기 사용자의 신상정보를 가진 모든 제 3 신상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업데이트하는 신상정보 관리 방법.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단계에서,
    상기 변경 내용을 상기 사용자의 제 3 데이터베이스에 신상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다른 사용자의 제 3 신상정보 데이터베이스에만 업데이트하는 신상정보 관리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단계에서,
    상기 사용자의 신상정보를 가지고 있지만, 상기 변경 내용이 업데이트되지 않은 다른 사용자의 제 3 신상정보 데이터베이스에는 상기 사용자의 신상정보가 더 이상 유효하지 않음을 표시하는 신상정보 관리 방법.
  10. 신상정보 관리 서버를 이용하여 각각 블루투스 모듈을 탑재한 휴대용 단말과 개인용 컴퓨터를 갖고 있는 다수의 사용자 사이의 신상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상기 각 휴대용 단말은 자신의 신상정보와 다수의 다른 사용자의 신상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필드를 갖는 제 1 신상정보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각 개인용 컴퓨터는 적어도 상기 제 1 신상정보 데이터베이스와 동일한 필드를 갖고 있는 제 2 신상정보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신상정보 관리 서버는 적어도 상기 제 1 신상정보 데이터베이스와 동일한 필드를 갖고 있는, 상기 다수의 사용자의 제 3 신상정보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신상정보 관리 방법은,
    상기 각 사용자가 자신의 휴대용 단말의 제 1 신상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자신의 신상정보를 저장하는 제 1 단계,
    상기 다수의 사용자 중 적어도 하나가 자신의 휴대용 단말의 블루투스 모듈을 이용하여 다른 사용자의 휴대용 단말과 신상정보를 교환하는 제 2 단계,
    상기 각 사용자의 휴대용 단말이 상기 제 2 단계에서 교환된 다른 사용자의 신상정보를 상기 각 휴대용 단말의 제 1 신상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제 3 단계,
    상기 다수의 사용자 중 적어도 하나가 자신의 제 1 또는 제 2 신상정보 데이터베이스 내의 자신의 신상정보의 내용을 변경하는 제 4 단계,
    상기 변경 내용을 자신의 제 3 신상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업데이트하는 제 5 단계,
    상기 신상정보 관리 서버에서, 업데이트된 상기 제 3 신상정보 데이터베이스의 변경 내용을 다른 사용자의 제 3 신상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업데이트하는 제 6 단계,
    상기 각 사용자가 자신의 제 1, 제 2 및 제 3 신상정보 데이터베이스의 내용을 동기화하는 제 7 단계를 포함하는 신상정보 관리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7 단계는,
    상기 각 사용자의 휴대용 단말과 개인용 컴퓨터가 블루투스 또는 유선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여 서로 접속하여 상기 제 1 및 제 2 신상정보 데이터베이스를 동기화하는 제 7-1 단계,
    상기 개인용 컴퓨터가 컴퓨터 통신망을 통하여 상기 신상정보 관리 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제 2 및 제 3 신상정보 데이터베이스를 동기화하는 제 7-2 단계,
    상기 개인용 컴퓨터가 상기 제 7-2 단계에서 변경된 상기 제 2 신상정보 데이터베이스의 내용을 상기 제 1 신상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업데이트하는 제 7-3 단계를 포함하는 신상정보 관리 방법.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6 단계에서,
    상기 변경 내용을 상기 사용자의 신상정보를 가진 모든 제 3 신상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업데이트하는 신상정보 관리 방법.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6 단계에서,
    상기 변경 내용을 상기 사용자의 제 3 데이터베이스에 신상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다른 사용자의 제 3 신상정보 데이터베이스에만 업데이트하는 신상정보 관리 방법.
  14.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6 단계에서,
    상기 사용자의 신상정보를 가지고 있지만, 상기 변경 내용이 업데이트되지 않은 다른 사용자의 제 3 신상정보 데이터베이스에는 상기 사용자의 신상정보가 더 이상 유효하지 않음을 표시하는 신상정보 관리 방법.
  15. 휴대용 단말, 개인용 컴퓨터 및 다수의 사용자의 신상정보를 관리하는 신상정보 관리 서버를 이용한 신상정보 관리 방법으로서,
    상기 휴대용 단말은 자신의 신상정보와 다수의 다른 사용자의 신상정보를 갖고 있는 제 1 신상정보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개인용 컴퓨터는 적어도 상기 제 1 신상정보 데이터베이스와 동일한 필드를 갖고 있는 제 2 신상정보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신상정보 관리 서버는 적어도 상기 제 1 신상정보 데이터베이스와 동일한 필드를 갖고 있으며 사용자의 상세 신상정보를 더 포함하는, 다수의 사용자의 제 3 신상정보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신상정보 관리 방법은,
    사용자가 상기 휴대용 단말 또는 개인용 컴퓨터를 이용하여 상기 신상정보 관리 서버에 접속하는 제 1 단계,
    사용자가 상기 제 1 또는 제 2 신상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다른 사용자의 신상정보를 상기 신상정보 관리 서버로 전송함으로써 상기 다른 사용자의 상세 신상정보를 요청하는 제 2 단계,
    상기 신상정보 관리 서버가 상기 다른 사용자의 상기 제 3 신상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상기 다른 사용자의 상세 신상정보를 상기 사용자의 상기 휴대용 단말 또는 개인용 컴퓨터로 전송하는 제 3 단계를 포함하는 신상정보 관리 방법.
  16. 휴대용 단말, 개인용 컴퓨터 및 다수의 사용자의 신상정보를 관리하는 신상정보 관리 서버를 이용한 신상정보 관리 방법으로서,
    상기 휴대용 단말은 자신의 신상정보와 다수의 다른 사용자의 신상정보를 갖고 있는 제 1 신상정보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개인용 컴퓨터는 적어도 상기 제 1 신상정보 데이터베이스와 동일한 필드를 갖고 있는 제 2 신상정보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신상정보 관리 서버는 적어도 상기 제 1 신상정보 데이터베이스와 동일한 필드를 갖고 있으며 사용자의 상세 신상정보를 더 포함하는, 다수의 사용자의 제 3 신상정보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신상정보 관리 방법은,
    사용자가 상기 휴대용 단말 또는 개인용 컴퓨터를 이용하여 상기 신상정보 관리 서버에 접속하는 제 1 단계,
    사용자가 자신의 상기 제 3 신상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다른 사용자의 신상정보를 선택함으로써 상기 다른 사용자의 상세 신상정보를 요청하는 제 2 단계,
    상기 신상정보 관리 서버가 상기 다른 사용자의 상기 제 3 신상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상기 다른 사용자의 상세 신상정보를 상기 사용자의 상기 휴대용 단말 또는 개인용 컴퓨터로 전송하는 제 3 단계를 포함하는 신상정보 관리 방법.
  17. 휴대용 단말, 개인용 컴퓨터 및 다수의 사용자의 신상정보를 관리하는 신상정보 관리 서버를 이용한 신상정보 관리 방법으로서,
    상기 휴대용 단말은 자신의 신상정보와 다수의 다른 사용자의 신상정보를 갖고 있는 제 1 신상정보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개인용 컴퓨터는 적어도 상기 제 1 신상정보 데이터베이스와 동일한 필드를 갖고 있는 제 2 신상정보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신상정보 관리 서버는 적어도 상기 제 1 신상정보 데이터베이스와 동일한 필드를 갖고 있으며 사용자의 상세 신상정보를 더 포함하는, 다수의 사용자의 제 3 신상정보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신상정보 관리 방법은,
    사용자가 상기 휴대용 단말 또는 개인용 컴퓨터를 이용하여 상기 신상정보 관리 서버에 접속하는 제 1 단계,
    사용자가 상기 휴대용 단말 또는 개인용 컴퓨터에 다른 사용자의 이름, 휴대전화 번호, 유선전화 번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다른 사용자의 정보를 입력하여 상기 신상정보 관리 서버로 전송함으로써 상기 다른 사용자의 상세 신상정보를 요청하는 제 2 단계,
    상기 신상정보 관리 서버가 상기 다른 사용자의 상기 제 3 신상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상기 다른 사용자의 신상정보와 상세 신상정보를 상기 사용자의 상기 휴대용 단말 또는 개인용 컴퓨터로 전송하는 제 3 단계,
    전송된 상기 다른 사용자의 신상정보를 상기 사용자의 상기 제 1 또는 제 2 신상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제 4 단계를 포함하는 신상정보 관리 방법.
KR1020000051575A 2000-09-01 2000-09-01 신상정보 관리 방법 KR2001003500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51575A KR20010035006A (ko) 2000-09-01 2000-09-01 신상정보 관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51575A KR20010035006A (ko) 2000-09-01 2000-09-01 신상정보 관리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35006A true KR20010035006A (ko) 2001-05-07

Family

ID=196867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51575A KR20010035006A (ko) 2000-09-01 2000-09-01 신상정보 관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035006A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43527A (ko) * 2002-05-16 2002-06-10 (주)엠텔레텍 이동통신용 명함 서비스
KR20030063822A (ko) * 2002-01-24 2003-07-31 황우 블루투스를 이용한 명함 컨텐츠 제공방법
KR100420771B1 (ko) * 2001-07-25 2004-03-02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블루투스를 이용한 무선 결제 방법
KR20040034060A (ko) * 2002-10-21 2004-04-28 주식회사 마이굿피플 개인정보관리시스템 및 개인정보관리방법
KR20040049972A (ko) * 2002-12-06 2004-06-14 채화용 인터넷을 이용한 평생주소 서비스방법
KR100700559B1 (ko) * 2001-06-15 2007-03-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소프트웨어를 다운로드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시스템] 및 그 방법
WO2023043143A1 (ko) * 2021-09-16 2023-03-23 주식회사 카카오 디지털 명함 서비스 제공 방법, 이를 구현한 시스템, 사용자 단말 및 어플리케이션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0559B1 (ko) * 2001-06-15 2007-03-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소프트웨어를 다운로드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420771B1 (ko) * 2001-07-25 2004-03-02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블루투스를 이용한 무선 결제 방법
KR20030063822A (ko) * 2002-01-24 2003-07-31 황우 블루투스를 이용한 명함 컨텐츠 제공방법
KR20020043527A (ko) * 2002-05-16 2002-06-10 (주)엠텔레텍 이동통신용 명함 서비스
KR20040034060A (ko) * 2002-10-21 2004-04-28 주식회사 마이굿피플 개인정보관리시스템 및 개인정보관리방법
KR20040049972A (ko) * 2002-12-06 2004-06-14 채화용 인터넷을 이용한 평생주소 서비스방법
WO2023043143A1 (ko) * 2021-09-16 2023-03-23 주식회사 카카오 디지털 명함 서비스 제공 방법, 이를 구현한 시스템, 사용자 단말 및 어플리케이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382010C (zh) 回想过去事件的细节的方法和系统
US6876661B2 (en) Information processing terminal and content data acquiring system using the same
JPH10210556A (ja) 電話システム
CN101461221A (zh) 使用联系人信息得到改善的短距离连接可用性
CN101853253A (zh) 在移动终端中管理多媒体内容的设备和方法
KR20000054371A (ko) 개인휴대통신 및 유무선 인터넷 그리고 데이터 베이스관리시스템을 이용한 정보관리시스템
KR100314175B1 (ko) 에스엠에스 전화번호부를 구비한 이동 통신 단말기 및운용 방법
US6978148B2 (en) Communication system, terminal, communication method, and recording medium recording communication method program for selecting terminal of communication party
KR20010072523A (ko) 휴대통신기구 및 유무선 인터넷을 이용한 정보관리시스템및 그 방법
JP2002099475A (ja) 無線装置、データ管理システム及びデータ管理方法
KR20010035006A (ko) 신상정보 관리 방법
JP2002058069A (ja) 携帯端末、個人情報交換システムおよび個人情報交換方法
CN101826077A (zh) 关系联系人记录获取方法及装置
KR20030061505A (ko) 발신자정보를 전송하는 장치 및 방법
KR20040102614A (ko) 유저 단말에서 생성된 정보를 개인화된 가상 공간과동기화하는 시스템 및 방법
KR100382623B1 (ko) 무선 개인정보 서비스 시스템
KR20000037013A (ko) 유/무선 네트워크 상에서 바코드 명함을 이용한 명함정보관리 방법 및 시스템
JP2002094687A (ja) 携帯情報端末および情報提供システム
KR100764828B1 (ko) 모바일 홈페이지 제공 및 조회 서비스 시스템
KR20020008606A (ko) 전자명함 교환 서비스 방법
KR100434647B1 (ko) 네트워크 상에서의 연락처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
KR200235698Y1 (ko) 발신자 전화번호를 이용한 맞춤정보제공 시스템
KR100494004B1 (ko) 위치정보를 이용한 미팅서비스의 운영방법 및 그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GB2373679A (en) Accessing bookmarks on a mobile communications device
CN201150074Y (zh) 用户电子资讯交换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