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29485A - 구강 세척 장치 - Google Patents

구강 세척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29485A
KR20010029485A KR1019997001891A KR19997001891A KR20010029485A KR 20010029485 A KR20010029485 A KR 20010029485A KR 1019997001891 A KR1019997001891 A KR 1019997001891A KR 19997001891 A KR19997001891 A KR 19997001891A KR 20010029485 A KR20010029485 A KR 200100294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eaning
handle
bristles
bow
tongu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70018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올라브 몰스터
Original Assignee
올라브 몰스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올라브 몰스터 filed Critical 올라브 몰스터
Publication of KR200100294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29485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2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use in the oral cavity, larynx, bronchial passages or nose; Tongue scrapers
    • A61B17/24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use in the oral cavity, larynx, bronchial passages or nose; Tongue scrapers for cleaning of the tongue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9/00Arrangements of the bristles in the brush body
    • A46B9/02Position or arrangement of bristles in relation to surface of the brush body, e.g. inclined, in rows, in groups
    • A46B9/04Arranged like in or for toothbrush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7/00Devices for cleaning, polishing, rinsing or drying teeth, teeth cavities or prostheses; Saliva removers; Dental appliances for receiving spittl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Dentist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lmonology (AREA)
  • Otolaryng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Epidemiology (AREA)
  • Brushes (AREA)
  • Saccharide Compounds (AREA)
  • Compounds Of Unknown Constitu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강 내 세척을 위한 장치에 관련되는데, 손잡이(16)와 이 손잡이의 한쪽 단부에서 구강 세척 수단으로 이루어진다. 이 장치의 특징에 따르면 장치(12)는 위로 돌출한 강모(26)를 갖춘 제 1 측면(28)과, 스크래핑 가장자리를 한정하는 제 2 측면으로 이루어진다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르면 벨리 표면(32)과 제 2 측면(30) 사이에 한정된 장방형 가장자리(36)가 기구의 스크래핑 가장자리(36)를 형성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스크래핑 가장자리는 제 2 측면(30)에 형성된 융기부(37)에 의해 한정되고, 이 융기부는 표면(30)으로부터 위로 상승한다.

Description

구강 세척 장치{DEVICE FOR CLEANING WITHIN THE ORAL CAVITY}
구강은 치아, 볼, 혀, 입 바닥부분, 주름 부분 및 볼 점액막 부분으로 이루어진다. 이 모든 부분은 박테리아/프라그, 음식 잔여물과 죽은 피부 세포를 가지고 있을 수 있다. 치아가 없는 사람들에게서 아래 턱을 포함한 입 바닥부와 입 천장부에 이물질이 쌓여있을 수 있다. 다양한 조사 결과에 따르면 혀와 혀 뒷부분의 철저한 세척 과정은 구취를 상당히 줄일 수 있고, 미각을 높이며 구강을 청결하게 하는 효과를 가진다. 치아를 철저히 칫솔질하는 것은 현재 대중화되었지만, 큰 지리학적 사회적 변화가 존재한다. 구강의 세척에 대해 서구에서는 이 사이를 깨끗이 하는 실과 이쑤시개로 청결하게 하는 것과 칫솔질 이외에는 거의 관심을 기울이지 않고 있다.
구취현상은 전술한 상태에서 생겨날 수 있지만, 많은 연구원들은 혀 뒤쪽에 문제가 있는 경우에 대해 조사, 발표하였다. 죽은 피부세포가 치아에 쌓이지 않은 사람들에 대해서, 세균 및 박테리아가 보철자체에 나타날 뿐만 아니라 입천장과 볼에서도 나타난다. 점액막에서 죽은 피부세포는 숨을 내쉴 때 공기의 방향(芳香)에 영향을 끼칠 수 있다는 것이 알려져 있다.
혀에서 악취를 품길 수 있는 물질이 쌓이는 것에 대해 여러 조사가 실시되었고 GB-특허 2,027,347, 2,234,903, 2,260,905 및 2,265,831을 참조할 수 있다. 이 특허명세서는 U형 보우(bow)에 대해 기술하는데 이 보우는 스크래핑 가장자리와 사용자가 쥘 수 있는 두 개의 손잡이로 이루어지고, 사용자는 보우의 스크래핑 가장자리로 혀를 문지를 수 있다. 그러나 이 스크래핑은 혀를 충분히 깨끗하게 할 수 없고 전술한 대로 구강의 어떤 부분을 깨끗하게 했는지 알 수 없다. 또 US 특허 1,891,864 에서도 세척 기구가 발표되었는데 이 특허에 따른 기구는 강모와 스크래핑 가장자리로 이루어진다. 이 기구는 크고 넓고 길며 6열의 강모로 이루어진다. 그러므로 구강 내에서 비교적 큰 공간을 차지하므로 사용자가 토할 것같은 기분을 느끼게 할 수도 있다. 이 특허에서 4로 나타낸 스크래핑 가장자리는 분리된 금속판으로 이루어지고, 날카로운 가장자리를 가지는데 이것은 혀에 상처를 입힐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청구항 1항의 도입부에 분명히 나타낸 것처럼 구강 세척 장치에 관련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스크래핑 가장자리와 강모 부분으로 이루어지고 손잡이 부분과 이 손잡이 부분에 연결된 세척 부재로 구성된 세척 기구에 관련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구취를 풍기는 많은 사람들의 어려움을 해결하는 것이다.
도 1 과 2 는 본 발명에 따른 선호되는 구조를 가지는 기구의 투시도 및 평면도.
도 3 은 본원에 따른 기구의 강모-지탱부의 횡단면도.
도 3a 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강모-지탱부를 가지는 스크래핑 가장자리의 횡단면도.
도 4 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세척 기구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5 와 6 은 두 개의 다리가 있는 손잡이를 포함한 선호되는 구조의 기구를 나타낸 도면.
도 7 내지 15 는 1개의 다리가 있는 손잡이를 포함한 본 발명의 다른 선호되는 실시예에 따른 세척 기구를 나타낸 도면.
도 16 은 본 발명의 선호되는 실시예에 따른 헤드 부분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17 은 도 16 의 기구의 헤드부분의 측면도.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구강을 청결하게 하기 위한 개선된 기구를 제공하는 것인데 이것은 공지된 세척 기구가 안고있는 전술한 문제점들을 극복했다.
구강 내를 청결하게 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기구의 특징은 청구항 1항의 특징부분에서 명확히 알 수 있다. 선호되는 구조는 종속항에서 기술되낟.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혀, 점액막과필요하다면 구강 내 구개부를 청결하게 하는데 사용된다. 강모에 배치하기 위해서 풀, 젤 및 구강헹굼제와 같은 세정제와 함께 본 발명에 따른 장치를 사용하는 것이 선호된다.
세정 부재는 직선형 또는 약간 구부려진 형이나, U형의 활 모양으로 형성되고 이 세정 부재의 제 1 측면은 1, 2열의 위로 튀어나온 강모를 가지도록 만들어지며 제 2 측면은 스크래핑 가장자리를 가진다.
본 발명에 따른 기구에 대한 장점과 상세한 설명은 첨부도면을 참고로 기술된다.
구강의 여러부분을 세척하기 위해 본 발명의 따른 기구는 도 1 과 2 에 10으로 나타내었다. 이 기구는 세 개의 주요 부분, 전방 세척 부재(12), 중간 부분(14) 및 후방 세척 부재(16)로 이루어진다. 이 중간 부분(14)은 세척 부재와 핸들(16)을 연결한다.
기구(10)의 세척 부재(12)는 활 모양의 U형 형태로 이루어지고, 여기에서 U형의 각 레그는 중간 부분(14)을 경유해, 각각의 장방형 손잡이(18,20)에 연결된다. 이 손잡이(18,20)는, 손잡이의 한쪽 레그(18) 둘레에서 사용자의 엄지손가락으로 기구를 쥐고, 다른 손가락은 다른 손잡이(20) 둘레에 놓이도록 만들어진다.
U형 활 모양의 세척 부재(12)는 제 1 측면(22)과 제 2 측면(24)으로 이루어진다. 이 제 1, 제 2 측면(22,24)은 도 1에 따른 벨리 부분 또는 U형 활 모양의 뒷부분을 향하여 볼 때 반대로 배치되고, 손잡이(18,20)의 방향으로 평행하게 놓인 평면을 형성한다. 강모(26)는 측면에 형성되고, 활 모양 부재의 측면에서 뚫린 구멍으로 눌러진다.
로드(rod)/활 모양 부분의 횡단면은 사각형 또는 둥근 모서리를 가지는 직사각형이거나, 원형, 타원형이고, 상기 로드는 이 형태를 가지는 복합 횡단면을 취한다.
도 3에서, 활 모양의 부재는 제 1 측면(28)과, 제 2 측면(30)으로 이루어지고, 이 측면은 서로 반대로 향하고 있다. U형 활 모양 부분의 내부를 향하고 있는 벽면(벨리 측면)(32)과, U형 부분의 바깥쪽으로 향하고 있는 벽면(34)은 두 측면(28,30)과 각각 연결된다. 이 측면(28,30)은 벨리 측면 및 배면과 직각을 이루지만, 이 표면 사이의 장방형 가장자리는 둥글게 형성된다. 벨리 표면(32)과 제 2 측면(30) 사이에 한정된 장방형 가장자리는 기구의 스크래핑 가장자리(36)를 형성한다. 두 스크래핑 가장자리-형성 표면, 즉 벨리 표면(32)과 제 2 표면(30)은 서로에 대해 상이한 각을 이루고, 그 사이에 형성된 장방형 가장자리(36)는, 표면(30,32) 사이의 각도에 따라 다른 기울기를 가진다. 이 기울기는 가장자리(36)의 둥글기에 따라 조절된다. 이 가장자리(36)는 아주 둥글게 형성되어서, 스크래핑 하도록 혀에 대해 사용자가 기구를 정상적으로 당길 때 혀, 피부 또는 점액막에서 찰과상을 입히지 않는다. 도 3은 세척 부재(12)를 형성하는 로드의 선호되는 횡단면을 보여준다. 배면(34)과 제 2 측면(30)은 아치형과 함께, 원형의 횡단면을 형성한다.
본 발명의 다른 선호되는 실시예에 따른 장치에 의하면-도 3a에 도시됨- 스크래핑 가장자리는 벨리 표면(32)의 연장부와 제 2 측면(30)에 형성된 융기부에 의해 한정되고, 이 융기부는 측면(30)으로부터 위로 상승하고 활 모양의 아치형을 따라 뻗어있다. 상기 융기부는 약 1-3mm 범위 내에서 표면(30)으로부터 솟아 있다. 상기 융기부의 상부 가장자리는 둥글게 형성되어서 혀에 사용할 때 절단되지 않도록 한다.
강모(26)는 제 1 측면(28)에서 열을 이루어 배치된다. 이 강모 열은 다수의 강모 묶음으로 이루어지고 이것은 활 모양 부분의 구멍에 심겨져 있다. 이 강모(26)는 8mm의 높이를 가지지만, 3mm가 선호되며, 다른 경도를 가지는 강모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 내지 3a에서는 1열의 강모를 가지는 세척 기구가 나타나 있지만 2열의 강모도 사용될 수 있다.
전방 세척 부재(12)의 바깥쪽 가장자리 사이의 거리 또는 너비는 도 2에서 A로 나타내었다. 본 발명에 따른 기구는 어른용 또는 어린이용에 적합하게 너비 A를 조절할 수 있다. 어른용으로는 세척 부재(12)가 약 2.5-4cm의 너비로 만들어지고, 이것은 일반 어른의 혀 뿌리에서 혀의 너비와 일치한다. 어린이용으로는 너비 A를 2-2.5cm로 만드는 것이 적합하다. 어른과 어린이 모두에게 보편적으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2-3cm의 너비A가 적절하다.
도 4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세척 기구가 도시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 따르면 세척 기구는 단 하나의 손잡이(40)-종래의 칫솔 형태임-만 가진다. 이 손잡이(40)의 한쪽 단부는 세척 부재(12)를 구성하는 횡단 헤드 부분(42)에 연결된다. 이 세척 부재는 강모(26), 스크래핑 가장자리(36), 횡단면 및 너지에 대해 도 1 내지 3에 나타낸 것과 동일한 형태를 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헤드 부분은 도 4에 나타낸 것처럼 전체적으로 직선형이다. 손잡이는 헤드 부분(42)의 바깥쪽 단부 사이의 중간에 고정된다.
본 발명의 다른 구조에 따르면 양 측면(42,28)은 1열f의 강모를 구비한다. 하나의 가장자리가 스크래핑 가장자리로서 사용되도록 설치된 강모의 유형은 반대쪽 가장자리에서 열을 이룬 강모(26)보다 다소 단단해야 한다. 이것은, 본 발명에 따른 기구가 다른 경도를 가지는 분리된 열의 강모를 구비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따른 세척 기구가 어떻게 사용되는지 대략적으로 기술된다.
사용자의 손으로 이 기구(10)를 잡고 이 기구는 혀의 뒷부분을 향해 뒤쪽으로 안내되고 강모(26)는 혀의 뒷부분을 향하고 있다. 혀의 표면으로부터 깊게 침투해 있는 물질들을 제거하기 쉽게 느슨하게 하도록 혀의 길이 방향으로 상기 스크러빙 운동이 앞뒤로 이루어진다. 만족스러운 스크러빙 운동을 달성하기 위해서 이 기구는 주어진 힘으로 혀에 대해 아래로 눌러야 한다.
그 후에 이 기구는 혀 밖으로 끌어내고, 스크러빙 가장자리가 혀의 표면을 향하도록 한다. 다시 이 기구는 혀의 뒷부분을 향해 뒤로 안내된다. 주어진 압력으로 혀의 뒷부분으로부터 기구를 당기고 앞부분을 향하도록 함으로써 혀의 스크러빙이 이루어진다. 이런 조작은 4-5회 반복되고, 플라그/박테리어는 혀의 앞부분에 모이게 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 물질은 물을 이용해 가볍게 두드림으로써 입에서 제거된다.
그 후에 이 기구는 다시 입 안으로 안내되고 볼의 점액막에 대해 우측과 좌측면에서 강모를 작용한다. 이 작동 가장자리는 사랑니 부분의 뒤쪽으로부터 입의 모서리를 향해 3-4회 끌어당겨진다. 이런 조작은 반대쪽 면에서 반복된다.
스크러빙하는 동안 세척제를 사용하는 것이 선호된다. 이것은 강모로 스크러빙을 시작하기 전에 혀에 바를 수도 있다. 또는 열을 이룬 강모에 세척제를 발라서 혀의 표면 밖으로 문지를 수도 있다. 이 세척제는 페이스트, 젤, 가루로 이루어지거나 다른 적절한 물질로 이루어진다. 페이스트는 튜브로부터 짜서 사용하는 치약을 포함하는데 이것은 밖으로 짜서 강모의 위아래로 문질러 바른다. 그 후에 혀에 충분히 페이스트를 바른다.
치아가 없는 사람들에게서 구개 부분을 청결하게 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기구를 사용할 수도 있다. 강모는 경구개와 연구개 사이로 왔다갔다 하도록 뒤로 안내되고, 강모는 스크러빙 운동으로 측면 앞뒤로 움직인다.
도 5a-b, 5c-d와 6은 세 가지 구조를 보여주는데 여기에서 세척 헤드 부분은 도 1-2에 도시된 것과 거의 동일하고, 다른 점은 손잡이(16)의 형태에서 찾아볼 수 있다.
도 5a-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구의 평면도 및 측면도이고, 도 5c-d는 기구의 위아래에서 본 투시도이다.
도 5a-b, 5c-d의 구조에 따르면 손잡이 다리(18,20) 부분은 중간 부분(14)과 헤드 부재(12)보다 평면이 넓다. 또 손잡이 다리(18,20)는 횡방향으로 향하고 있는 오목한 부분(50-52)으로 이루어지고, 여기에서 사용자는 기구를 사용하는 동안 엄지손가락과 집게손가락으로 쥔다. 도 5a-b와 5c-d는 헤드 부분에서 다른 점이 있는, 두 가지 변형예를 보여준다. 도 5a-b에 따른 구조에서 보다 짧은 강모-지탱 부분은 직사각형이고, 도 5c-d에 따른 구조에서 헤드 부분은 반원형을 이룬다.
도 6에 따르면 우측 손잡이 다리 부분(20)은 사용자의 집게, 중지 및 약지로 쥐기에 적합한 오목 부분(54,56,58)을 가지는 파형 형태를 취한다. 이것은 기구를 사용할 때 쉽게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도 7내지 12는 하나의 다리가 있는 손잡이를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른 세척 기구를 도시하는데, 여기에서 중간 피이스(14)와 세척 헤드(12)는 도 1 내지 2에 다른 예시와 동일한 형태를 취한다. 이 중간 피이스(14)와 세척 헤드는 활 모양의 타원형 폐쇄 고리(60)를 형성하는데 이 고리의 한쪽 단부는 헤드 부재(12)로 이루어지고, 다른 쪽 단부는 전이 영역(62)에서 손잡이(40)로 뻗어있다.
중간 부재(60)와 손잡이 부재 사이의 전이 영역(62)은 평면도에서 오목한 면으로 형성되므로, 이 전이 부분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고리형 목 부분-형성 요홈이 형성된다. 전체 또는 일부 요홈은 거친 면을 가지도록 만들어진다. 사용자가 거친 표면에 대해, 목 부분의 각 면에서 엄지 손가락과 집게손가락으로 손잡이를 쥘 때, 이것은 보다 쉽게 쥘 수 있도록 한다. 이 손잡이에서 표면에 다수의 작은 함몰부 또는 다수의 작은 융기부를 형성하여서 손잡이의 파지 능력을 개선시킨다.
도 7은 중간 피이스(60)의 레그가 헤드 부분을 향해 점점 가늘어지는 구조를 나타내는데, 목 부분의 외주 둘레에 다수의 거친 면이 형성된다.
도 8은 중간 피이스(60)의 레그가 아치형 헤드 부분(12)을 향해 직선으로 뻗어있는 실시예를 도시하는데, 목 부분의 외주 둘레에 다수의 거친 면으로 형성된 목 부분은 도 7에 따른 실시예보다 종방향 길이가 길다.
도 9는, 중간 피이스(60)의 레그가 아치형 헤드(12)를 향해 직선으로 뻗어있고, 가늘어지는 목부분(62) 전체가 목 부분 외주 둘레에 거친 부분으로서 형성되며, 도 8에 따른 실시예와 동일한 길이를 가지는 구조를 도시한다.
도 10에 따른 실시예는 전술한 실시예에서처럼, 손잡이 부재(40)와 중간 부분 사이의 전이 부분에 가늘어지는 목 부분을 포함하지 않는다. 대신에 이 실시예는 상측면과 하측면 사이에, 즉 엄지손가락과 집게손가락이 놓이는 영역을 한정하는 중심 부분에 다수의 요홈(61)을 포함한다. 이 구조에서 중간 피이스(60)의 레그는 아치형 헤드 부분(12)을 향해 직선으로 뻗어있다.
도 11은 도 10에 다른 세척 기구의 변형예의 두 투시도를 도시하는데, 이 요홈(61)은 손잡이(40)의 일부 또는 전체를 따라 뻗어있다. 또 손잡이(40)는 도 10의 구조에서보다 좁다.
도 12는 도 10과 대응하는 세척 기구를 도시하는데 전술한 실시예에서처럼 점점 좁아지는 목 부분을 포함한다. 이 구조에서 손잡이(40)는 도 11에 따른 구조에서보다 가늘다.
도 13에서는 헤드 부분을 향해 점차 넓어지는 중간 부분(60)을 향해 보다 긴 너비를 가지며 손잡이가 뻗어있는 구조를 도시한다. 열을 이룬 강모(26)를 가지는 아치형 헤드 부분(12)은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하게 만들어진다.
도 14와 15는, 중간 부분(60)이 손잡이(40)와 바로 연결되고, 이것은 동일한 너비를 가지며, 즉 기구의 측가장자리가 평행하게 뻗어있는 두 가지 구조를 보여준다. 도 14의 실시예에 따르면 손잡이(40)는 중간 부분(60)으로 전이부에서 관통 둥근 구멍(64)을 포함하고 사용자가 이 기구를 사용할 때 손잡이를 쥔다. 도 15의 실시예에서 상기 구멍(64)은 손잡이(40)의 뒤쪽 단부에 배치된다.
도 16과 17은, 각각의 측면(28,30)이 볼록한 표면을 형성하는 두 개의 다리가 있는 손잡이를 갖춘 기구를 도시한다. 이 헤드 부분은 도 17에 나타난 것처럼, 시가 모양을 취할 수도 있다.
하나의 다리가 있는 손잡이를 갖춘 세척 기구는, 도 7 내지 15에 나타난 것처럼 손잡이의 앞부분에 의해 에워싸인 보다 긴 전방 열린 부분(66), 중간 부분 및 여기에서 앞쪽으로 튀어나온 헤드 부재(12)로 이루어진다. 이 점에서 세척 기구는 두 개의 다리를 가지는 구조와 유사하다. 큰 오우프닝(66)은, 사용자가 혀 뿌리를 향해 뒤쪽으로 기구를 배치할 때, 혀의 앞쪽 부분이 오우프닝(66)을 관통해 연장되도록 할 수 있다. 만일 오우프닝(66)이 판재에 의해 "닫혀진다면", 본 발명에 따른 기구는 사용할 수 없게 된다.
도면에 도시되고 상세한 설명에서 기술된 세척 기구는 적절한 플라스틱재, 즉 칫솔 및 유사 기구를 제작하는데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플라스틱재로 만들어질 수 있다.
구강 내 영역을 세척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기구의 구조에 의하면, 구강의 여러 부분에 쌓이고 악취를 발생시키는 물질을 떨어지기 쉽도록 느슨하게 하여서 긁어낸다. 따라서, 이것은 공지된 기구에 비해 크게 개선된 것이다.

Claims (18)

  1. 손잡이(12)와 이 손잡이에 연결되고 스크래핑 가장자리(36,37)와 강모(26)로 이루어진 세척 부재(14)로 구성된, 구강 내부를 청결하게 하기 위한 기구에 있어서, 세척 부재(14)는 직선형, 아치형, U형의 화살 모양으로 형성되고, 세척 부재의 제 1 측면은 1열 또는 2열의 위로 뻗어있는 강모(26)를 가지고 제 2 측면(30)은 스크래핑 가장자리(36,37)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 내 세척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세척 보우(bow)(14)는 사각형의 횡단면과, 둥근 종방향 가장자리 부분을 가지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가장자리 부분은 스크래핑 가장자리를 형성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강모는 보우의 한쪽 측면으로부터 위로 뻗어있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 제 1항과 2항에 있어서, 세척 보우(14)는 위로 뻗어있는 강모(26)를 갖춘 제 1 측면(28)과, 스크래핑 가장자리(36)로서 형성된 가장자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세척 보우는 원형 또는 타원형의 횡단면을 가지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종방향 측면을 가지는데 인접한 표면은 서로 90。의 각을 이루도록 스크래핑 가장자리를 형성하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열로 이루어진 강모는 보우의 표면 중 하나로부터 위로 뻗어있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5. 상기 청구항 중 한 항에 있어서, 측면(28)은 강모(26) 없는 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6. 상기 청구항 중 한 항에 있어서, 단일 손잡이 부재(40)를 가지고 이 손잡이의 한쪽 단부는 횡방향으로 배치된 헤드 부재(42)에 연결되는데 상기 헤드 부재는 세척 부재를 형성하고 서로 대향하여 배치된 강모(26) 및 스크래핑 가장자리(36)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U형 헤드 부재(12)의 다리까지 뻗어있는 연장부는 중간 부분(60)으로 통과하고, 단일 손잡이 부재(40)를 형성하도록 뻗어있으므로, 헤드 부재(12) 및 중간 부분(60)과 함께 손잡이(40)는 타원형 오우프닝(66)을 한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중간 부분(60)에서 다리는 손잡이(40)를 향해 평행하게(도 8,9,10,12,14,15) 뻗어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9. 제 7 항에 있어서, 중간 부분(60)에서 다리는 손잡이(40)를 향해 모이도록(도 13) 뻗어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0. 제 7 항에 있어서, 중간 부분에서 다리는 손잡이(40)를 향해 벌어지는(도 7)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1. 상기 청구항 중 한 항에 있어서, 세척 기구를 쉽게 조절할 수 있고 사용자가 쉽게 쥘 수 있도록, 사용자의 손가락에 적합한, 쥐기 편한 부분과 볼록한 표면 부분으로 이루어진 손잡이 부재를 특징으로 하는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파지를 용이하게 하는 수단은, 거친 영역, 요홈을 가지는 부분, 다수의 함몰부, 다수의 융기부 및 손잡이(40)를 통과하는 관통 오우프닝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3. 제 1 항에 있어서, 헤드 부분(12)의 측면(28,30)은 볼록한 표면, 예를 들어 도 17에 나타낸 것과 같은 시가 모양의 헤드 부분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4. 제 1 항에 있어서, 강모(26)는 8mm, 선호적으로 3mm의 높이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이한 경도를 가지는 강모 묶음이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6. 구강 내부를 세척하기 위한 세척 기구에 있어서, 첨부 도면에 나타낸 바에 따른 장치.
  17. 제 1항 내지 6항에 있어서, 구강 내의 혀, 볼 점액막, 구개부를 세척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 세척 장치의 용도.
  18. 제 17 항에 있어서, 구강 세척 장치는 강모에 바르기 위해서 페이스트, 젤 또는 구강 청결제와 같은, 세척제와 함께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 세척 장치의 용도.
KR1019997001891A 1996-09-05 1997-09-04 구강 세척 장치 KR2001002948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NO963699 1996-09-05
NO963699A NO301575B1 (no) 1996-09-05 1996-09-05 Anordning ved instrument for rengjöring i munnhulen samt anvendelse derav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29485A true KR20010029485A (ko) 2001-04-06

Family

ID=198997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7001891A KR20010029485A (ko) 1996-09-05 1997-09-04 구강 세척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6289545B1 (ko)
KR (1) KR20010029485A (ko)
AT (1) ATE232062T1 (ko)
AU (2) AU3559197A (ko)
DK (1) DK1009299T3 (ko)
NO (1) NO301575B1 (ko)
WO (1) WO1998009572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44239B1 (ko) * 2000-01-24 2002-07-24 윌리암 찬섭 박 혀클리너가 구비된 칫솔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143462B2 (en) 2002-09-20 2006-12-05 Colgate-Palmolive Company Oral care implement
US7908699B2 (en) 2001-07-03 2011-03-22 Colgate-Palmolive Company Oral care implement
GB2386557A (en) * 2002-03-19 2003-09-24 Peri Dent Ltd Tongue Scraper
US7614111B2 (en) 2002-08-09 2009-11-10 Colgate-Palmolive Company Oral care implement
US20060026784A1 (en) 2002-08-09 2006-02-09 Colgate-Palmolive Company Oral care implement
US7836539B2 (en) 2002-08-09 2010-11-23 Colgate-Palmolive Company Oral care implement
US7845042B2 (en) 2002-08-09 2010-12-07 Colgate-Palmolive Company Oral care implement
US8876221B2 (en) 2002-08-09 2014-11-04 Colgate-Palmolive Company Oral care implement
US8990996B2 (en) 2002-08-09 2015-03-31 Colgate-Palmolive Company Toothbrush
US8151397B2 (en) 2002-08-09 2012-04-10 Colgate-Palmolive Company Oral care implement having flexibly supported cleaning elements extending in opposite directions
US7841041B2 (en) 2002-08-09 2010-11-30 Colgate-Palmolive Company Oral care implement
US7721376B2 (en) 2002-09-20 2010-05-25 Colgate-Palmolive Company Oral care implement
US8806695B2 (en) 2002-08-09 2014-08-19 Colgate-Palmolive Company Oral care implement having flexibly supported cleaning elements extending in opposite directions
US7975343B2 (en) 2002-09-20 2011-07-12 Colgate-Palmolive Company Toothbrush
US7725980B2 (en) 2004-12-15 2010-06-01 Colgate-Palmolive Company Oral care implement
US7089621B2 (en) 2002-09-20 2006-08-15 Colgate-Palmolive Company Toothbrush
US7594293B2 (en) 2002-09-20 2009-09-29 Colgate-Palmolive Co. Oral care implement
ES2390337T3 (es) 2002-09-27 2012-11-12 Colgate-Palmolive Company Cepillo de dientes
US7273327B2 (en) 2003-06-20 2007-09-25 Colgate-Palmolive Company Oral care implement
US20060058821A1 (en) * 2004-09-15 2006-03-16 Jansheski John M Tongue scraper
GB0500575D0 (en) * 2005-01-12 2005-02-16 Glaxosmithkline Consumer Healt Novel device
US8281448B2 (en) 2005-10-24 2012-10-09 Colgate-Palmolive Company Oral care implement having one or more moving sections
US8523888B2 (en) 2006-12-18 2013-09-03 Colgate-Palmolive Company Oral care implement
US8201298B2 (en) 2007-02-09 2012-06-19 Colgate-Palmolive Company Toothbrush with low profile head
US8851779B2 (en) 2009-12-23 2014-10-07 Colgate-Palmolive Company Oral care system, kit and method
CN102655786B (zh) 2009-12-23 2014-11-19 高露洁-棕榄公司 口腔护理系统
KR101453633B1 (ko) 2009-12-23 2014-10-22 콜게이트-파아므올리브캄파니 구강 관리 시스템
EP2515700B1 (en) 2009-12-23 2017-06-28 Colgate-Palmolive Company Oral care system
CN101803939B (zh) * 2010-04-27 2011-11-23 白春生 刮舌板
AU2014265065B2 (en) * 2010-12-13 2015-11-12 Colgate-Palmolive Company Oral care implement
AU2010365420B2 (en) * 2010-12-13 2014-12-04 Colgate-Palmolive Company Oral care implement
JP6240461B2 (ja) * 2013-10-07 2017-11-29 Shikien株式会社 口腔内清掃具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6309A (en) * 1862-08-26 Improved scrubbing-brush
GB189416979A (en) * 1894-09-06 1894-10-06 Ludwig Ehrlich Improvements in Tooth Brushes.
GB189421620A (en) * 1894-11-09 1894-12-15 Ludwig Ehrlich Improvements in Tooth-brushes.
US697336A (en) * 1901-06-20 1902-04-08 Ida Hagerty Tongue-scraper.
GB179950A (en) * 1921-05-12 1923-03-29 Herman Taub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tooth-brushes
US1658706A (en) * 1924-05-28 1928-02-07 Carrott William Frederick Cleaning tool
US1891864A (en) * 1931-10-14 1932-12-20 Cornelius P Barrett Tongue brush and scraper
GB449836A (en) * 1935-03-25 1936-07-06 Samuel Alexander Richards An improved dental brush
GB773038A (en) * 1954-09-25 1957-04-17 Samuel Vasconcelos Calderon Tongue cleaning device
US4455704A (en) * 1982-07-30 1984-06-26 Williams Robert L Toothbrush and tongue cleaner
DE8811633U1 (ko) * 1988-09-14 1988-11-10 Lesniak, Udo, 4600 Dortmund, De
US5067195A (en) * 1989-01-25 1991-11-26 Sussman Harold I Device for cleaning dental implant posts
GB2234903A (en) * 1989-08-18 1991-02-20 Karprin International Limited Tongue cleaning apparatus
US5048143A (en) * 1990-10-23 1991-09-17 Carroll David T Teething brush
US5175901A (en) * 1991-05-01 1993-01-05 Rabinowitz Gary A Apparatus and method for brushing teeth
GB2260905A (en) * 1991-10-22 1993-05-05 Rita Pranjivan Patel Tongue cleaning instrument
IT1278733B1 (it) * 1995-07-20 1997-11-27 Guido Paduano Spazzolino da denti con manico formante strumento per la pulizia della lingua
US5511273A (en) * 1995-08-22 1996-04-30 Preventive Dental Specialties, Inc. Variable engagement toothbrush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44239B1 (ko) * 2000-01-24 2002-07-24 윌리암 찬섭 박 혀클리너가 구비된 칫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3559197A (en) 1998-03-26
WO1998009572A1 (en) 1998-03-12
AU4139597A (en) 1998-03-26
DK1009299T3 (da) 2003-05-19
NO963699A (no) 1997-11-17
NO963699D0 (no) 1996-09-05
US6289545B1 (en) 2001-09-18
ATE232062T1 (de) 2003-02-15
NO301575B1 (no) 1997-1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0029485A (ko) 구강 세척 장치
US5792159A (en) Tongue cleaner
US4356585A (en) Hygienic dental appliance
US6131228A (en) Brush for cleaning the tongue root
US4679274A (en) Finger manipulated oral hygiene device
US5628082A (en) Toothbrush with improved efficacy
US5544383A (en) Toothbrush
US8281446B2 (en) Oral care implement
US1657450A (en) Toothbrush
US20060052805A1 (en) Tongue scraper and brush
US4913176A (en) Dental pick
KR100602964B1 (ko) 종방향 강모 보강재를 갖는 칫솔
JP2004500140A (ja) 舌側歯ブラシおよびそれを作成する方法
US4625357A (en) Toothbrush
JP4027986B2 (ja) 口腔洗浄装置
KR101008829B1 (ko) 다용도 칫솔
US5704379A (en) Disposable flossing and debrider device
US5121520A (en) Twin-headed toothbrush
MXPA01009771A (es) Cepillo dental.
US5682912A (en) Oral hygiene and lingual stimulation device
US20010044981A1 (en) Oral brush
JPS5937965B2 (ja) 歯ブラシ
US6219875B1 (en) Toothbrush for cleaning teeth with assistance from opposed teeth
JP3079573U (ja) 舌苔除去機能付歯ブラシ
KR200171271Y1 (ko) 칫솔용 본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