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28408A - 차량용 허브 및 허브 베어링 탈착 방법 및 이때 사용하는 공구 - Google Patents

차량용 허브 및 허브 베어링 탈착 방법 및 이때 사용하는 공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28408A
KR20010028408A KR1019990040633A KR19990040633A KR20010028408A KR 20010028408 A KR20010028408 A KR 20010028408A KR 1019990040633 A KR1019990040633 A KR 1019990040633A KR 19990040633 A KR19990040633 A KR 19990040633A KR 20010028408 A KR20010028408 A KR 200100284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ub
bearing
cap
screw
hub bea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406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52932B1 (ko
Inventor
김이호
Original Assignee
김이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이호 filed Critical 김이호
Priority to KR10199900406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52932B1/ko
Publication of KR200100284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284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529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52932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2320/00Manufacturing or maintenance operations
    • B60B2320/10Assembling; disassemb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2900/00Purpose of invention
    • B60B2900/20Avoidance of
    • B60B2900/212Dam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2900/00Purpose of invention
    • B60B2900/50Improvement of
    • B60B2900/541Servicing

Landscapes

  • Mounting Of Bearings Or Others (AREA)
  • Rolling Contact Bear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허브 및 허브 베어링 탈착 방법 및 이때 사용하는 공구에 관한 것으로서, 허브 및 허브 베어링의 중심선상을 따라 일체식으로 조합되는 소정의 공구를 이용하여 그 장착 및 탈거 진행방향으로 균일한 작업력을 가하면서 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하고, 스크류 이송력을 이용하여 허브 및 허브 베어링을 직선상으로 슬라이드 시키는 방식으로 장착 및 탈거할 수 있도록 하는 허브 및 허브 베어링 장착·탈거 방법과 이때 사용하는 공구를 제공함으로써, 허브나 허브 베어링은 물론 그 주변 부품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또 신속하고 안전한 작업진행과 작업자에게 가중되는 수고를 덜어줄 수 있도록 하고자 한 것이다.

Description

차량용 허브 및 허브 베어링 탈착 방법 및 이때 사용하는 공구{Remove and install method of hub and hub bearing for automobile and its special tools}
본 발명은 차량의 구동계통에 있는 허브 및 너클 어셈블리를 분해하거나 조립할 때 허브 및 허브 베어링을 장착·탈거하는 방법과 이때 사용하는 공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허브 및 허브 베어링의 장착 및 탈거 진행방향으로 균일한 작업력이 가해질 수 있도록 그 중심을 정확히 일치시킬 수 있고, 또 스크류 이송력을 장착 및 탈거작업시의 작업력으로 이용함으로써, 허브 및 허브 베어링의 손상을 막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 장착 및 탈거작업을 힘들이지 않고 신속하고 용이하며 안전하게 작업할 수 있도록 한 허브 및 허브 베어링 장착 및 탈거방법과 이때 사용하는 공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허브 및 너클은 차량의 구동계통에서 드라이브 샤프트와 바퀴 사이에 배치되는 부품으로서, 조향 등의 역할을 하는 너클의 내측에 허브 베어링을 매개로 허브가 조합되고 드라이브 샤프트와 허브가 스플라인 결합되는 구조에 의해 엔진의 회전력이 바퀴까지 전달된다.
상기 허브는 지속적인 운동부품이므로 균열이나 스플라인의 마모상태, 허브 베어링의 손상 등을 정기적으로 점검해야 하며, 허브 베어링의 각 레이스와 너클 및 허브와의 접촉상태가 느슨해지는 등의 이상이 있는 경우에는 허브 베어링이나 손상된 부품을 교환해야 한다.
허브나 허브 베어링을 점검하여 이상 발생시 탈.장착하는 경우, 종래에는 허브 및 너클을 해머로 쳐서 작업하거나 유압식프레스를 이용하여 분해하는 방법으로 시행되었으나 이러한 방법에 의한 경우에는 베어링이나 너클이 쉽게 손상되고 또 작업능률이 떨어질뿐만 아니라 작업자의 안전을 위협하는 비효율적인 면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허브 및 허브 베어링의 중심선상을 따라 일체식으로 조합되는 소정의 공구를 이용하여 그 장착 및 탈거 진행방향으로 균일한 작업력을 가하면서 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하고, 스크류 이송력을 이용하여 허브 및 허브 베어링을 직선상으로 슬라이드 시키는 방식으로 장착 및 탈거할 수 있도록 하는 허브 및 허브 베어링 장착·탈거 방법과 이때 사용하는 공구를 제공함으로써, 허브나 허브 베어링은 물론 그 주변 부품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또 신속하고 안전한 작업진행과 작업자에게 가중되는 수고를 덜어줄 수 있도록 하는데 그 안출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
도 1a 내지 1e는 본 발명에 따른 허브 및 허브 베어링 탈착용 공구와 스탠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2a 및 2b는 본 발명에 따른 허브 탈거방법을 보여주는 단면사시도
도 3a 및 3b는 본 발명에 따른 허브 베어링 탈거방법을 보여주는 단면사시도
도 4a 및 4b는 본 발명에 따른 허브 베어링 장착방법을 보여주는 단면사시도
도 5a 및 5b는 본 발명에 따른 허브 장착방법을 보여주는 단면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조정 스크류 11 : 허브 캡
12 : 베어링 캡 13 : 베어링 인풋 좌측 캡
14 : 베어링 인풋 우측 캡 15 : 너트
16 : 스탠드 17 : 관통구멍
18 : 받침면 19 : 브리지
20 : 포스트 21 : 가이드
22 : 스톱 플레이트 23 : V 표시부
24 : 스페이서 25 : 킹핀 베어링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장착 및 탈거 대상 부품의 그 장착 및 탈거 진행방향으로 가압할 수 있는 캡 수단과 조작 수단인 너트에 의해 스크류 이송가능한 스크류 수단을 상호 연동가능하도록 조합하는 동시에 장착 및 탈거 대상 부품의 동심원상으로 상기 캡 수단과 스크류 수단을 밀착 설치하고, 스크류 수단의 스크류 이송력과 캡 수단의 가압력을 이용하여 장착 및 탈거 대상 부품을 그 중심축선을 따라 삽입/인출하는 방법으로 장착 및 탈거 대상 부품을 장착하거나 탈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캡 수단 및 스크류 수단을 장착 및 탈거 대상 부품에 밀착 설치할 때, 캡 수단은 그 일부를 장착 및 탈거 대상 부품의 내경에 형합가능하도록 하여 서로 간의 중심이 자연스럽게 일치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장착 및 탈거 대상 부품을 가압하는 수단인 캡 수단은 1개로 장착 및 탈거 대상 부품의 한쪽면에 밀착 설치할 수 있거나 서로 체결 가능한 2개로 장착 및 탈거 대상 부품의 양쪽면에 동시에 밀착 설치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조작 수단인 너트를 조작할 때 그 지지 수단으로 스크류 수단의 관통이 가능한 스탠드상의 소정의 브리지 수단을 이용하거나 또는 별도의 캡 수단 및 스페이서를 장착 및 탈거 대상 부품에 직접 지지하는 방식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조작 수단인 너트를 브리지 수단 등에 지지할 때 베어링 수단을 사용하여 간접적으로 밀착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허브(100)의 내경에 삽입가능한 동시에 한쪽면을 밀착 가압할 수 있으며, 그 중심으로 조정 스크류(10)가 관통 결합되는 원통형의 허브 캡(11)과, 중심에는 조정 스크류(10)가 관통 결합되고, 허브 베어링(110)의 한쪽면을 밀착 가압하거나 밀착 지지할 수 있는 적어도 2개의 원판형의 베어링 캡(12)과, 허브 베어링(110)을 사이에 두고 서로 체결 결합되면서 허브 베어링(110)의 양쪽면에 동시에 밀착될 수 있으며, 그 중심을 따라 조정 스크류(10)가 관통 결합되고, 허브 베어링(110)의 한쪽면을 밀착 가압할 수 있는 베어링 인풋 좌측 캡(13) 및 허브 베어링(110)의 다른 한쪽면을 밀착 지지하는 베어링 인풋 우측 캡(14)과, 상기 캡 수단들과 그 중심축선상으로 조합되며, 조작 수단인 너트(15)와의 스크류 전동에 의해 스크류 이송되면서 캡 수단들을 실질적으로 당겨주는 소정 길이의 조정 스크류(10)와, 하단 걸림수단을 이용하여 스탠드(16)상에 착탈 가능한 구조로 고정되는 동시에 상단 끝은 너클(120)을 지지하게 되며, 소정의 높이에는 조정 스크류(10)가 관통될 수 있는 관통구멍(17)과 조작 수단인 너트(15) 등이 받쳐지는 받침면(18)을 갖춘 지지대 역할의 브리지(19)와, 너클(120)을 세운 상태로 체결 고정시킬 수 있는 좌우 2개의 포스트(20) 및 그 사이의 나란한 판형 가이드(21)와 상기 브리지(19)를 고정시키기 위해 각각 선택적으로 사용하는 전후측 2개의 스톱 플레이트(22)를 포함하는 작업대 역할의 스탠드(16)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베어링 인풋 좌측 캡(13)은 허브 베어링(110)의 한쪽면을 밀착 가압가능하면서 일부가 내경에 삽입가능한 2단 원통형으로 되어 있고, 그 선단의 나사부를 이용하여 허브 베어링(110)의 다른 한쪽면을 밀착 지지하는 베어링 인풋 우측 캡(14)과 허브 베어링(110)을 사이에 두고 체결 결합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베어링 인풋 우측 캡(14)의 바깥면 둘레에는 허브 베어링(110)의 완전 장착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해주는 V 표시부(23)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2개의 베어링 캡(12) 중에서 적어도 어느 1개를 이용하여 허브(100)를 장착하는 경우 허브 베어링(110)에 밀착 지지되는 베어링 캡(12)과 너트(15) 등과의 사이에 삽입되는 스페이서(2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한 도 1a는 본 발명에 따른 허브 및 허브 베어링 탈착 공구중에서 허브 탈거시 사용하는 공구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허브(100)를 탈거하는 경우에는 허브(100)의 한쪽면을 밀착 가압할 수 있는 허브 캡(11)과, 이 허브 캡(11)과 조합되어 스크류 이송력을 발휘하는 조정 스크류(10)와, 지지 수단인 브리지(19)와, 조작 수단인 너트(15) 및 킹핀 베어링(25)이 사용된다.
상기 허브 캡(11)은 허브(100)의 내경에 일부 삽입되면서 그 한쪽면을 밀착 가압할 수 있는 2단 원통형으로 되어 있으며, 상기 조정 스크류(10)는 소정의 길이를 가지면서 허브 캡(11)의 중심을 관통하는 상태로 조합된다.
이때의 허브 캡(11)은 그 일부가 허브(100)의 내경에 삽입됨에 따라 자연스럽게 그 중심이 일치하게 되고, 이에 따라 허브(100)의 중심을 정확하게 가압할 수 있게 된다.
첨부한 도 2a 및 2b에서는 허브(100)를 탈거하는 방법을 보여주고 있다.
스탠드(16)상의 가이드(21)에 보울트로 너클(120)을 고정시키고 허브(100)가 위치되는 쪽에 있는 스톱 플레이트(22)에 브리지(19)의 하단을 삽입하는 방법으로 안착시킨다.
이렇게 안착되는 브리지(19)의 상단 끝은 너클(120)의 전면에 지지될 수 있게 된다.
도 2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정 스크류(10)에 허브 캡(11)을 끼워서 결합한 다음, 조정 스크류(10)의 선단을 앞쪽으로 하여 허브(100), 브리지(19)를 차례로 통과시키고, 브리지(19)의 앞쪽으로 연장되는 조정 스크류(10)의 선단에 너트(15)를 체결한 후, 스패너나 전동공구 등으로 너트(15)를 시계방향으로 돌리면 조정 스크류(10)의 스크류 이송에 따라 허브 캡(11)을 포함하는 허브(100) 전체를 도 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너클(120)로부터 탈거할 수 있다.
이때, 브리지(19)의 받침면(18)과 너트(15) 사이에 마찰 등을 고려하여 방향을 맞춘 킹핀 베어링(25)을 삽입한 상태로 너트(15)를 조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소정의 길이를 갖는 상기 너트(15)는 내경 한쪽 일부 구간에만 나사부가 형성되어 있는 구조로 되어 있으며, 조정 스크류(10)와의 체결시 나사부가 조정 스크류(10)의 진행방향에 대해 앞쪽으로 오도록 방향을 맞추어 체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첨부한 도 1b는 본 발명에 따른 허브 및 허브 베어링 탈착 공구중에서 허브 베어링 탈거시 사용하는 공구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허브 베어링(110)을 탈거하는 경우에는 허브 베어링(110)의 한쪽면을 밀착 가압할 수 있는 베어링 캡(12)과, 이 베어링 캡(12)과 조합되어 스크류 이송력을 발휘하는 조정 스크류(10)와, 지지 수단인 브리지(19)와, 조작 수단인 너트(15) 및 킹핀 베어링(25)이 사용된다.
상기 베어링 캡(12)은 허브 베어링(110)의 한쪽면을 밀착 가압할 수 있는 원판형으로 되어 있으며, 상기 조정 스크류(10)는 소정의 길이를 가지면서 베어링 캡(12)의 중심을 관통하는 상태로 조합된다.
이때의 베어링 캡(12)은 그 직경이 너클(120)에 있는 허브 베어링 안착턱의 내경과 거의 일치하는 크기로 되어 있으므로 허브 베어링(110)의 한쪽면에 밀착시킴과 동시에 그 중심이 일치하게 되고, 이에 따라 허브 베어링(110)의 중심을 정확하게 가압할 수 있게 된다.
첨부한 도 3a 및 3b에서는 허브 베어링(110)을 탈거하는 방법을 보여주고 있다.
스탠드(16)상의 가이드(21)에 보울트로 너클(120)을 고정시키고 위의 허브 탈거시와는 반대로 너클(120)의 뒷쪽에 있는 스톱 플레이트(22)에 브리지(19)의 하단을 삽입하는 방법으로 안착시킨다.
이렇게 안착되는 브리지(19)의 상단 끝은 너클(120)의 후면에 지지될 수 있게 된다.
도 3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정 스크류(10)에 베어링 캡(12)을 끼워서 결합한 다음, 조정 스크류(10)의 선단을 앞쪽으로 하여 너클(120)의 앞쪽에서부터 뒷쪽으로 허브 베어링(110), 브리지(19)를 차례로 통과시키고, 브리지(19)의 앞쪽으로 연장되는 조정 스크류(10)의 선단에 너트(15)를 체결한 후, 스패너나 전동공구 등으로 너트(15)를 시계방향으로 돌리면 조정 스크류(10)의 스크류 이송에 따라 베어링 캡(11)을 포함하는 허브 베어링(110) 전체를 도 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너클(120)로부터 탈거할 수 있다.
이때에도 위의 허브 탈거시와 마찬가지로 브리지(19)의 받침면(18)과 너트(15) 사이에 마찰 등을 고려하여 방향을 맞춘 킹핀 베어링(25)을 삽입한 상태로 너트(15)를 조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이때의 너트(15)는 조정 스크류(10)와의 체결시 그 나사부가 조정 스크류(10)의 진행방향에 대해 뒷쪽으로 오도록 방향을 맞추어 체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첨부한 도 1c는 본 발명에 따른 허브 및 허브 베어링 탈착 공구중에서 허브 베어링 장착시 사용하는 공구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허브 베어링(110)을 장착하는 경우에는 허브 베어링(110)의 한쪽면을 밀착 가압할 수 있는 베어링 인풋 좌측 캡(13) 및 허브 베어링(110)의 다른 한쪽면을 밀착 지지할 수 있는 베어링 인풋 우측 캡(14)과, 상기 베어링 인풋 좌우측 캡(13),(14)과 조합되어 스크류 이송력을 발휘하는 조정 스크류(10)와, 지지 수단인 브리지(19)와, 조작 수단인 너트(15) 및 킹핀 베어링(25)이 사용된다.
상기 베어링 인풋 좌측 캡(13)은 허브 베어링(110)의 내경에 일부 삽입되면서 그 한쪽면을 밀착 가압할 수 있는 2단 원통형으로 되어 있고, 상기 베어링 인풋 우측 캡(14)은 그 반대쪽면을 밀착 지지할 수 있는 원통형으로 되어 있으며, 상기 조정 스크류(10)는 소정의 길이를 가지면서 베어링 인풋 좌우측 캡(13),(14)의 중심을 동시에 관통하는 상태로 조합된다.
특히, 상기 베어링 인풋 좌측 캡(13)과 베어링 인풋 우측 캡(13)에는 각각 암수 나사부가 갖추어져 있어서, 허브 베어링(110)을 가운데 두고 서로 체결 결합되며, 이때의 체결시에는 각각의 한쪽면에 융착 고정되어 있는 너트 수단을 이용하여 견고하게 체결한다.
이때의 베어링 인풋 좌측 캡(13)은 그 일부가 허브 베어링(110)의 내경에 삽입되고 여기에 베어링 인풋 우측 캡(14)도 체결됨에 따라 자연스럽게 허브 베어링(110)의 중심과 일치하게 되고, 이에 따라 허브 베어링(110)의 중심을 정확하게 밀착 안내 지지하면서 균일하게 가압할 수 있게 된다.
첨부한 도 4a 및 4b에서는 허브 베어링(110)을 장착하는 방법을 보여주고 있다.
스탠드(16)상의 가이드(21)에 보울트로 너클(120)을 고정시키고 너클(120)의 앞쪽으로 위치되는 스톱 플레이트(22)에 브리지(19)의 하단을 삽입하는 방법으로 안착시킨다.
이렇게 안착되는 브리지(19)의 상단 끝은 너클(120)의 전면에 지지될 수 있게 된다.
도 4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베어링 인풋 좌측 캡(13)에 허브 베어링(110)을 끼우고 베어링 인풋 우측 캡(14)을 체결한 다음, 여기에 조정 스크류(10)를 끼워서 결합한다.
계속해서, 조정 스크류(10)의 선단을 앞쪽으로 하여 너클(120)의 뒷쪽에서부터 브리지(19)까지 차례로 통과시키고, 브리지(19)의 앞쪽으로 연장되는 조정 스크류(10)의 선단에 너트(15)를 체결한 후, 스패너나 전동공구 등으로 너트(15)를 시계방향으로 돌려서 도 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베어링 인풋 우측 캡(14)에 있는 V 표시부(23)가 너클(120) 외부로 보이게 되면 허브 베어링(110)의 장착이 완료된다.
이때에도 위에서 설명한 탈거작업과 마찬가지로 브리지(19)의 받침면(18)과 너트(15) 사이에 마찰 등을 고려하여 방향을 맞춘 킹핀 베어링(25)을 삽입한 상태로 너트(15)를 조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의 상기 너트(15)는 조정 스크류(10)와의 체결시 그 나사부가 조정 스크류(10)의 진행방향에 대해 뒷쪽, 즉 킹핀 베어링(25)이 있는 쪽으로 오도록 방향을 맞추어 체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허브 베어링(110) 장착시에는 베어링 인풋 우측 캡(14)이 너클(120)에 있는 허브 베어링 안착턱의 내경에 가이드되면서 장착시 허브 베어링(110)의 정확한 중심역할을 하게 되므로 장착이 쉽고 안전하게 할 수 있다.
첨부한 도 1d는 본 발명에 따른 허브 및 허브 베어링 탈착 공구중에서 허브 장착시 사용하는 공구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허브(100)를 장착하는 경우에는 허브(100)의 한쪽면을 밀착 가압할 수 있는 허브 캡(11)과, 이 허브 캡(11)과 조합되어 스크류 이송력을 발휘하는 조정 스크류(10)와, 조작 수단인 너트(15) 및 킹핀 베어링(25)과, 너트(15) 조작시 지지 및 너클(120)로부터 기 장착된 허브 베어링(110)의 이탈방지수단의 역활을 하는 베어링 캡(12) 및 간격 유지용 스페이서(24)가 사용된다.
상기 허브 캡(11)은 허브(100)의 내경에 일부 삽입되면서 그 한쪽면을 밀착 가압할 수 있는 2단 원통형으로 되어 있다.
즉, 탈거시 사용되었던 것을 그대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베어링 캡(12)은 허브 베어링(110)의 한쪽면에 밀착되는 원판형이며, 상기 스페이서(24)는 너트(15) 및 킹핀 베어링(25)과 베어링 캡(12) 사이에 삽입 설치되면서 너트(15)를 너클(120)로부터 일정거리 떨어뜨려 줌으로써 너트(15) 조작 작업의 단축과 간섭을 없애주는 역할을 한다.
상기 조정 스크류(10)는 소정의 길이를 가지면서 허브 캡(11), 베어링 캡(12), 스페이서(24)의 중심을 차례로 관통하는 상태로 조합된다.
이때의 허브 캡(11)은 그 일부가 허브(100)의 내경에 삽입됨에 따라 자연스럽게 그 중심이 일치하게 되고, 이에 따라 허브(100)의 중심을 정확하게 가압할 수 있게 된다.
첨부한 도 5a 및 5b에서는 허브(100)를 장착하는 방법을 보여주고 있다.
스탠드(16)상의 가이드(21)에 보울트로 너클(120)을 고정시킨다.
도 5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정 스크류(10)에 허브 캡(11)과 허브(100)를 끼워서 결합한 다음, 조정 스크류(10)의 선단을 앞쪽으로 하여 너클(120)의 앞쪽에서 뒷쪽으로 통과시키고, 조정 스크류(10)의 선단을 통해 베어링 캡(12), 스페이서(24), 킹핀 베어링(25), 너트(15)를 차례로 체결한 후, 스패너나 전동공구 등으로 너트(15)를 시계방향으로 돌리면 조정 스크류(10)의 스크류 이송에 따라 허브 캡(11)을 포함하는 허브(100) 전체가 함께 진행되면서 허브(100)의 선단이 베어링 캡(12)의 안쪽면에 닿음과 동시에 도 5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너클(120) 및 허브 베어링(110)내에 허브(100)를 장착할 수 있다.
이때에도 너트(15) 조작시의 마찰 저감 수단으로 방향을 맞춘 킹핀 베어링(25)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너트(15)는 조정 스크류(10)와의 체결시 그 나사부가 조정 스크류(10)의 진행방향에 대해 뒷쪽으로 오도록 방향을 맞추어 체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첨부한 도 1e는 본 발명에 따른 허브 및 허브 베어링 탈착 작업시 작업대로 사용되는 스탠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상기 스탠드(16)는 일정한 높이의 다리를 갖춘 사각판체로 되어 있으며, 여기에는 너클(120)과 필요에 따라서는 브리지(19)를 고정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스탠드(16)의 윗면 중앙에는 너클(120)의 하단을 체결할 수 있는 2개의 나란한 판형 가이드(21)가 설치되고, 그 양옆에 타이로드 엔드 볼 조인트 등의 연결부위를 갖는 너클(120)을 체결할 수 있는 포스트(20)가 각각 세워지며, 앞뒤로는 허브(100) 및 허브 베어링(110)의 장착 및 탈거방향에 따라 브리지(19)를 선택적으로 삽입 고정시킬 수 있는 2개의 스톱 플레이트(22)가 구비된다.
따라서,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허브 및 허브 베어링 탈착 방법에서는 허브 및 허브 베어링의 중심축선상에서 균일한 가압력을 정확하게 가할 수 있는 각각의 적합한 여러 캡 수단을 채용하고, 너트 조작에 따른 조정 스크류의 스크류 이송력을 이용하여 허브 및 허브 베어링을 일직선상으로 장착 및 탈거 함으로써, 허브 및 허브 베어링 장착 및 탈거작업을 간편하고 손쉽게 할 수 있으며, 작업자의 작업편의에 적합하게 제작된 스탠드나 브리지 등의 고정수단 및 지지수단을 제공함에 따라 안전하고 신속한 작업이 진행될 수 있는 것이다.
특히, 허브 및 허브 베어링 장착 및 탈거시 조정 스크류의 스크류 이송진행에 비례한 정도로 그 중심축선상을 따라 정확하게 삽입 및 인출이 진행될 수 있게 되므로 허브 및 허브 베어링의 손상 우려를 완전히 배제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위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 구현예와 같은 허브 및 허브 베어링 장착 및 탈거 방법 및 공구는 각종 베어링을 포함하는 차량용 부품의 장착 및 탈거 작업시에도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으며, 이때에는 캡 수단의 크기나 브리지의 형상 등을 장착 및 탈거 대상 부품에 적합하도록 약간 변경하는 것으로 이를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허브 및 허브 베어링을 중심축선상으로 가압할 수 있는 캡 수단과 허브 및 허브 베어링을 포함하는 캡 수단 전체를 한쪽으로 당겨줄 수 있는 스크류 이송 수단을 이용한 허브 및 허브 베어링 탈착 방법 및 공구를 제공함으로써, 허브 및 허브 베어링 탈착작업시 작업의 편의성과 안전성을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허브 및 허브 베어링이나 그 주변 부품이 손상될 우려를 말끔히 배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Claims (9)

  1. 장착 및 탈거 대상 부품의 그 장착 및 탈거 진행방향으로 가압할 수 있는 캡 수단과 조작 수단인 너트에 의해 스크류 이송가능한 스크류 수단을 상호 연동가능하도록 조합하는 동시에 장착 및 탈거 대상 부품의 동심원상으로 상기 캡 수단과 스크류 수단을 밀착 설치하고, 스크류 수단의 스크류 이송력과 캡 수단의 가압력을 이용하여 장착 및 탈거 대상 부품을 그 중심축선을 따라 삽입/인출하는 방법으로 장착 및 탈거 대상 부품을 장착하거나 탈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허브 및 허브 베어링 탈착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캡 수단 및 스크류 수단을 장착 및 탈거 대상 부품에 밀착 설치할 때, 캡 수단은 그 일부를 장착 및 탈거 대상 부품의 내경에 형합가능하도록 하여 서로 간의 중심이 자연스럽게 일치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허브 및 허브 베어링 탈착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 및 탈거 대상 부품을 가압하는 수단인 캡 수단은 1개로 장착 및 탈거 대상 부품의 한쪽면에 밀착 설치할 수 있거나 서로 체결 가능한 2개로 장착 및 탈거 대상 부품의 양쪽면에 동시에 밀착 설치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허브 및 허브 베어링 탈착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수단인 너트를 조작할 때 그 지지 수단으로 스크류 수단의 관통이 가능한 스탠드상의 소정의 브리지 수단을 이용하거나 또는 별도의 캡 수단 및 스페이서를 장착 및 탈거 대상 부품에 직접 지지하는 방식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허브 및 허브 베어링 탈착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수단인 너트를 브리지 수단 등에 지지할 때 베어링 수단을 사용하여 간접적으로 밀착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허브 및 허브 베어링 탈착 방법.
  6. 허브(100)의 내경에 삽입가능한 동시에 한쪽면을 밀착 가압할 수 있으며, 그 중심으로 조정 스크류(10)가 관통 결합되는 원통형의 허브 캡(11)과,
    중심에는 조정 스크류(10)가 관통 결합되고, 허브 베어링(110)의 한쪽면을 밀착 가압하거나 밀착 지지할 수 있는 적어도 2개의 원판형의 베어링 캡(12)과,
    허브 베어링(110)을 사이에 두고 서로 체결 결합되면서 허브 베어링(110)의 양쪽면에 동시에 밀착될 수 있으며, 그 중심을 따라 조정 스크류(10)가 관통 결합되고, 허브 베어링(110)의 한쪽면을 밀착 가압할 수 있는 베어링 인풋 좌측 캡(13) 및 허브 베어링(110)의 다른 한쪽면을 밀착 지지하는 베어링 인풋 우측 캡(14)과,
    상기 캡 수단들과 그 중심축선상으로 조합되며, 조작 수단인 너트(15)와의 스크류 전동에 의해 스크류 이송되면서 캡 수단들을 실질적으로 당겨주는 소정 길이의 조정 스크류(10)와,
    하단 걸림수단을 이용하여 스탠드(16)상에 착탈 가능한 구조로 고정되는 동시에 상단 끝은 너클(120)을 지지하게 되며, 소정의 높이에는 조정 스크류(10)가 관통될 수 있는 관통구멍(17)과 조작 수단인 너트(15) 등이 받쳐지는 받침면(18)을 갖춘 지지대 역할의 브리지(19)와,
    너클(120)을 세운 상태로 체결 고정시킬 수 있는 좌우 2개의 포스트(20) 및 그 사이의 나란한 판형 가이드(21)와 상기 브리지(19)를 고정시키기 위해 각각 선택적으로 사용하는 전후측 2개의 스톱 플레이트(22)를 포함하는 작업대 역할의 스탠드(16)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허브 및 허브 베어링 탈착 공구.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 인풋 좌측 캡(13)은 허브 베어링(110)의 한쪽면을 밀착 가압가능하면서 일부가 내경에 삽입가능한 2단 원통형으로 되어 있고, 그 선단의 나사부를 이용하여 허브 베어링(110)의 다른 한쪽면을 밀착 지지하는 베어링 인풋 우측 캡(14)과 허브 베어링(110)을 사이에 두고 체결 결합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허브 및 허브 베어링 탈착 공구.
  8. 제 6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 인풋 우측 캡(14)의 바깥면 둘레에는 허브 베어링(110)의 완전 장착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해주는 V 표시부(23)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허브 및 허브 베어링 탈착 공구.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2개의 베어링 캡(12) 중에서 적어도 어느 1개를 이용하여 허브(100)를 장착하는 경우 허브 베어링(110)에 밀착 지지되는 베어링 캡(12)과 너트(15) 등과의 사이에 삽입되는 스페이서(2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허브 및 허브 베어링 탈착 공구.
KR1019990040633A 1999-09-21 1999-09-21 차량용 허브 및 허브 베어링 탈착 방법 및 이때 사용하는 공구 KR1003529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40633A KR100352932B1 (ko) 1999-09-21 1999-09-21 차량용 허브 및 허브 베어링 탈착 방법 및 이때 사용하는 공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40633A KR100352932B1 (ko) 1999-09-21 1999-09-21 차량용 허브 및 허브 베어링 탈착 방법 및 이때 사용하는 공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28408A true KR20010028408A (ko) 2001-04-06
KR100352932B1 KR100352932B1 (ko) 2002-09-16

Family

ID=196124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40633A KR100352932B1 (ko) 1999-09-21 1999-09-21 차량용 허브 및 허브 베어링 탈착 방법 및 이때 사용하는 공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5293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849587A (zh) * 2019-01-08 2019-06-07 湖南御途汽车科技发展有限公司 爆胎应急安全装置手动压胎工具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849587A (zh) * 2019-01-08 2019-06-07 湖南御途汽车科技发展有限公司 爆胎应急安全装置手动压胎工具
CN109849587B (zh) * 2019-01-08 2024-02-13 湖南御途汽车科技发展有限公司 爆胎应急安全装置手动压胎工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52932B1 (ko) 2002-09-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49615A (en) Complete puller tool
US4642866A (en) Hub removing device and method
US4685188A (en) Method of coupling two flanged shaft ends
CA3081519C (en) Wheel hub bearing extraction tool
US4120082A (en) Universal drive shaft service kit
US4343075A (en) Tool for disassembly of automotive universal joints
US8739376B1 (en) CV joint removal tool
KR100352932B1 (ko) 차량용 허브 및 허브 베어링 탈착 방법 및 이때 사용하는 공구
KR200173372Y1 (ko) 차량용 허브 및 허브 베어링 탈착 공구
JP4565615B2 (ja) ブッシュ脱着装置
KR20200139519A (ko) 주변부품손상이 없는 허브 및 베어링 전문 탈작업공구
US5067220A (en) Front wheel drive hub puller
US4761868A (en) Tool for bearing removal
US3060559A (en) Bearing remover having axle holding reaction member
CN219426670U (zh) 一种传动轮用锁紧螺母扭紧工装
CN218137670U (zh) 一种用于汽车转向轴的拆装维修装置
CN219426125U (zh) 一种附件传动装置用主动齿轮锁紧螺母扭紧工装
US5074020A (en) Vehicular tool
KR940001986B1 (ko) 두개의 플랜지 샤프트 단부의 연결 방법 및 연결 장치
US5507334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ounting tires on split wheels
US5983475A (en) Apparatus for repairing and assembling of a vehicle transmission
CN219582035U (zh) 一种驱动桥气室支架垫块焊接工装
CN220331157U (zh) 一种便于更换工作头的电动扭矩扳手
CA2530553A1 (en) Collision repair process
CN219703935U (zh) 用于辅助滚轮踏面堆焊加工的夹具及装置和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905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