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28279A - 피씨 통신 또는 인터넷 사용 중 통화중대기 신호 인식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피씨 통신 또는 인터넷 사용 중 통화중대기 신호 인식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28279A
KR20010028279A KR1019990040455A KR19990040455A KR20010028279A KR 20010028279 A KR20010028279 A KR 20010028279A KR 1019990040455 A KR1019990040455 A KR 1019990040455A KR 19990040455 A KR19990040455 A KR 19990040455A KR 20010028279 A KR20010028279 A KR 200100282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telephone
call waiting
filte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404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창섭
홍성희
Original Assignee
오창섭
홍성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창섭, 홍성희 filed Critical 오창섭
Priority to KR10199900404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028279A/ko
Publication of KR200100282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28279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428Arrangements for placing incoming calls on hol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2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with means for interrupting existing connections; with means for breaking-in on convers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10Logic 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18Comparat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sensor for measuring a physical value, e.g. temperature or mo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통화중대기 서비스를 신청한 가입자가 컴퓨터를 통해 PC 통신 또는 인터넷을 사용하고 있는 중에 외부로부터 전화통화 요청이 있을 때 교환기에서 전달해주는 통화중대기 신호를 검출하여 그 신호를 가입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표시해 주는 PC 통신 또는 인터넷 사용 중 통화중대기 신호 인식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과전압/과전류 보호회로, 전화기 연결 릴레이, 링 검출부, 가청신호 필터, 톤 검출부, 중앙 제어부, 안내방송 송출부, 상태표시 제어부, 표시부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LED를 점멸하거나 부저를 통해 신호음을 출력하거나 스피커를 통해 안내방송을 송출하여 가입자가 외부로부터의 전화통화 요청신호를 쉽게 인식할 수 있다.

Description

피씨 통신 또는 인터넷 사용 중 통화중대기 신호 인식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detecting call waiting tone using internet or PC communication}
본 발명은 PC통신 또는 인터넷 사용 중 통화중대기 신호 인식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통화중대기 서비스를 신청한 가입자가 컴퓨터를 통해 인터넷을 사용하고 있는 중에 외부로부터 전화통화 요청이 있을 때 교환기에서 전달해주는 통화중대기 신호를 검출하여 그 신호를 가입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표시해 주는 PC통신 또는 인터넷 사용 중 통화중대기 신호 인식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화를 통해 공중회선 교환 전화망(PSTN: 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에 연결하거나 컴퓨터를 통해 데이터 통신망에 연결하기 위하여 교환기를 사용하고 있다.
이하, 종래의 교환기에 대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종래의 교환기의 내부구조를 보여주는 블록도이며, 종래의 교환기는 가입자 정합장치(1), 스위치 장치(2), 중계선 정합장치(3), 호출신호 공급장치(6), 신호음 공급장치(7), 제어장치(8)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가입자 정합장치(1)는 고전압 보호회로(1a), 링 릴레이(1b), 가입자 정합회로(1c), PCM(펄스 부호 변조)(1d) 변환회로로 구성되어 있다.
가입자 정합장치(1)는 일반 전화 가입자의 전화기 또는 컴퓨터에 접속되며, 가입자 전화기의 상태를 감지하고 통화시 필요한 통화 전류를 공급한다. 또한, 아날로그 신호를 PCM 신호로 부호화 또는 역부호화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신호 착신시 전화기의 벨을 울려주기 위한 호출신호를 공급하는 경로를 제공한다. 가입자 정합장치(1)의 세부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스위치 장치(2)는 가입자 정합장치(1)와 상호 연결되며, 가입자간의 통화로를 연결시켜 주는 기능을 수행하며 통화시 필요한 각종 톤(Tone)을 가입자에게 전달하는 경로를 제공한다.
중계선 정합장치(3)는 스위치 장치(2)와 상호 연결되며, 다른 교환기와 연결하여 필요한 정보를 교환한다. PSTN 망(4)은 중계선 정합장치(3)와 상호 연결되며, 일반 유선 또는 이동 통신 전화기를 사용하는 가입자와 교환설비 및 전송설비 등으로 이루어진다. 데이터 통신망(5)은 중계선 정합장치(3)와 상호 연결되며, 컴퓨터 통신 및 인터넷 등을 수행하기 위한 망을 구축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호출신호 공급장치(6)는 후술하는 가입자 정합장치(1)내의 링 릴레이(1b)에 연결하며, 신호 착신시 전화기의 벨을 울려주기 위한 호출신호를 공급한다. 신호음 공급장치(7)는 스위치 장치(2)와 상호 연결되며, 가입자에게 교환기의 상태, 착신 가입자의 전화상태, 신호의 진행상태 등을 알려주기 위한 각종 톤을 만들어 공급한다.
가입자 정합장치(1)내의 고전압 보호회로(1)는 일반 전화 가입자의 전화기 또는 컴퓨터에 접속되며, 가입자 전송회로에 유기되는 고전압으로부터 교환기를 보호한다. 또한, 고전압 발생 시 자동으로 전화선이 자동으로 절연되도록 동작한다. 링 릴레이(1b)는 고전압 보호회로(1a)와 상호 연결되고 호출신호 공급장치(6)에 연결되며, 착신가입자 호출 시 호출신호 공급 장치(6)로부터 출력되는 링 신호를 링 릴레이 제어신호에 따라 가입자에 공급하는 경로를 제공한다. 가입자 정합회로(1c)는 링 릴레이(1b) 및 후술하는 제어장치(8)와 상호 연결되며, 가입자 전화선의 상태를 확인하여 훅 온/오프의 상태여부를 검출하고 가입자 전화선에 통화전류를 공급한다. PCM 변환회로(1d)는 가입자 정합회로(1c)와 상호 연결되고 스위치 장치(2)에 상호연결하며, 가입자로부터 수신되는 아날로그 신호를 PCM 신호로 부호화하여 스위치 장치(2)로 공급한다. 반대로, 스위치 장치(2)로부터 입력되는 PCM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역부호화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제어장치(8)는 가입자 정합장치(1)내의 가입자 정합회로(1c) 및 중계선 정합장치(3)와 상호 연결되고 링 릴레이(1b), 가입자 정합회로(1c), PCM 변환회로(1d)에 연결하여 제어신호를 전송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링 릴레이(1b)에 연결하여 링 릴레이 제어신호를 전송하도록 제어한다.
하지만, 상기한 종래의 교환기를 이용하여 PC 통신 또는 인터넷을 수행할 경우에 한 개의 전화선만을 이용하는 가정에서는 PC 통신 또는 인터넷 사용 중에 외부로부터 전화가 걸려와도 가입자는 전화신호를 알지 못하기 때문에 전화통화를 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PC 통신 또는 인터넷을 원하는 가정은 추가의 전화선을 신청하거나 초고속 통신망 서비스(예를 들면, 종합정보 통신망(ISDN), ADSL, 광통신, 케이블 모뎀)로 전환하여야 한다.
그러나, 한 개 이상의 전화선 사용은 비용적인 부담이 있으며, 초고속 통신망으로의 서비스는 아직까지 통신망에서 광범위하게 제공하고 있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 특허공개 제 97-64443 호는 통화중 대기 신호를 검출하여 사용중인 PC통신을 통화중 대기 모드로 전환하고 전화통화를 완료한 후 다시 PC통신을 사용하는 방법을 제안하고 있다. 그러나, 이 방법은 입력되는 통화중 대기 신호가 모뎀에 의해 잡음으로 인식되어 모두 에러 처리되므로, 실제로 컴퓨터 사용자가 통화중 대기 신호가 도달하였음을 알 수 없기 때문에 실현 가능성에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또한, 한국 특허공개 제 1998-77185 호는 인터넷 텔레비전 수상기를 사용하는 도중에 외부 전화가 걸려온 경우에 통화중 대기 신호를 검출하여 전화를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을 설명하고 있으나, 상기 특허문헌과 마찬가지로 모뎀에 의해 통화중 대기 신호가 모두 소실되므로 실제로 이를 검출할 방법이 없기 때문에, 발명의 목적이 달성될 수 없는 것으로 인식되고 있다.
이와는 달리 미국 특허 제 4,852,151 호는 통화중 대기 신호의 입력이 있을 때 반송파(carrier)의 손실이 있으므로, 이를 검출하여 알람 신호를 발생시키는 방법을 기재하고 있다. 이 방법은 기술적으로 구현이 가능하지만 반송파의 손실은 통화중 대기 신호 이외에도 잡음에 의해서도 발생하므로, 통화중 대기 신호가 아닌 경우에도 알람이 발생하는 경우가 빈발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미국 특허 제 5,287,401 호는 반송파의 손실(carrier loss)과 Call Progress 필터를 한 270 내지 670㎐의 신호 및 통화중 대기 신호의 타이밍을 검출하여 통화중 대기 신호를 검출하는 모뎀을 설명한다. 그러나, 이 기술은 모뎀에 구현되어 모뎀의 작동 모드를 변환시키는 것으로, 기존의 사용자들은 새로움 모뎀으로 교환하여야 하고, 특히 이 방법에 의해서도 통화중 대기 신호 이외의 잡음에 의해서도 알람이 발생할 가능성이 지적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통화중대기(CWT:Call Waiting Tone)라는 부가서비스를 활용하여 PC 통신 또는 인터넷 사용 중에도 전화통화 요청신호를 인식하여 상대방과 전화 통화할 수 있는 PC 통신 또는 인터넷 사용 중 통화중 대기 신호 인식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PC 통신 또는 인터넷을 사용하고 있는 도중에 상대방이 전송한 전화통화 요청신호를 LED, 부저 및 스피커로 출력되는 안내방송을 통해 인식할 수 있는 PC 통신 또는 인터넷 사용 중 통화중 대기 신호 인식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PC 통신 또는 인터넷 사용 중에 전화선을 추가하지 않고 또한, 별도의 장치 변환없이 전화통화를 하기 위해 모뎀 카드 앞단에 본 발명에 따른 인식장치를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는 PC 통신 또는 인터넷 사용 중 통화중대기 신호 인식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종래의 교환기의 내부구조를 보여주는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외부 구성을 보여주는 사용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의 내부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
도 4는 톤 검출부의 세부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
도 5는 통화중대기 신호 및 타이밍 비교 신호의 파형도.
도 6A는 본 발명의 동작 상태를 보여주는 흐름도.
도 6B는 도 6A의 통화중대기 신호 유무 확인단계의 상세 흐름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31: 전화선 접속단자 32: 과전압/과전류 보호회로
33: 릴레이 제어회로 34: 전화기 접속단자
35: 전화기 연결 릴레이 36: 링 검출부
37: 가청신호 필터 38: 톤 검출부
39: 중앙 제어부 40: 안내방송 송출부
41: 상태표시 제어부 42: 표시부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교환기와 모뎀 카드사이의 전화선로 상에 접속되어 교환기에서 전송되는 통화중대기 신호를 인식하는 통화중대기 신호 인식장치에 있어서, 릴레이 제어회로에 의해 외부 전화신호를 전화기 접속단자를 통해 전화기 및 컴퓨터 등에 연결하는 전화기 연결 릴레이와; 전화선로상의 링신호를 검출하는 링 검출부와; 전화선로상의 신호중 음성대역 신호만을 통과시키는 가청신호 필터와; 가청신호 필터를 통과한 가청신호중의 통화중대기 신호를 검출하는 톤 검출부와; 상기 톤 검출부가 통화중대기 신호를 검출하였을 때 그 신호에 따라 경보를 발생하는 표시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톤 검출부는 가청신호 필터를 통과한 신호중 350 Hz인 주파수를 필터링하는 350 Hz 필터와, 440 Hz인 주파수를 필터링하는 440 Hz 필터로 구성된 필터부와; 기설정된 규정 레벨 주파수와 필터부를 통과한 주파수를 비교하는 레벨 비교부와; 레벨 비교부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논리합하는 OR 게이트와; OR 게이트에서 출력되는 신호가 0.25초 이상 로우신호가 유지된 후, 0.25초 이상 하이신호가 유지되고, 0.25초 이상 로우신호가 유지되고, 3.25초 이상 하이신호가 유지되는가를 비교하는 타이밍 비교부와; 타이밍 비교부의 조건을 만족하면 로우신호를 출력하고, 조건을 만족하지 않으면 하이신호를 출력하는 톤 검출 신호를 생성하는 상태 표시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교환기와 모뎀 카드사이의 전화선로 상에 접속되어 교환기에서 전송되는 통화중대기 신호를 인식하는 통화중대기 신호 인식방법에 있어서, 외부 전화선을 통해 입력되는 통화중대기 신호의 유무를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확인단계에서 통화 중 대기신호가 입력되면 상태표시 제어부의 제어하에 LED 또는 부저 또는 스피커를 가동시키는 경보출력 단계와; 중앙 제어부에 의해 링 검출부로부터 전송되는 훅 온/오프 검출신호에 의해 PC 통신 또는 인터넷의 오프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판단단계에서 PC 통신 또는 인터넷이 오프되면, 중앙 제어부에 의해 릴레이 제어회로를 가동시켜 전화기 접속단자를 컴퓨터 단자에서 전화기 단자로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PC 통신 또는 인터넷 사용 중 통화중대기 신호 인식장치 및 방법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외부 구성을 보여주는 사용상태도이고, 본 발명에 따른 인식장치 및 방법의 입력단은 외부 전화선에 연결되며, 출력단은 컴퓨터에 내장된 모뎀 카드의 앞단에 접속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내부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며, 전화선 접속단자(31)의 양 단자는 외부 전화선과 상호 연결되고, 다른 양 단자는 과전압/과전류 보호회로(32)의 양 단자와 상호 연결된다.
과전압/과전류 보호회로(32)의 다른 양 단자는 전화기 연결 릴레이(35)의 양 단자와 상호 연결된다. 또한, 과전압/과전류 보호회로(32)의 일 단자는 링 검출부(36)의 일 입력단과 가청신호 필터(37)의 일 입력단에 연결되고, 다른 일 단자는 링 검출부(36)의 다른 입력단과 가청신호 필터(37)의 다른 입력단에 연결된다. 과전압/과전류 보호회로(32)는 교환기로부터 가입자의 전화기까지의 전화선로 상에 유기되는 과전압, 과전류로부터 전화선로에 접속되어 있는 전화기 및 컴퓨터 등의 장치를 보호한다.
전화기 연결 릴레이(35)의 입력단은 릴레이 제어회로(33)가 연결되고, 다른 양 단자는 전화기 접속단자(34)의 양 단자에 상호 연결된다. 전화기 연결 릴레이(35)는 릴레이 제어회로(33)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의해 전화기 또는 컴퓨터에 연결하도록 스위칭한다. 전화기 접속단자(34)의 일 단자는 가입자의 전화기와 상호 연결되고, 다른 일 단자는 가입자의 컴퓨터와 상호 연결된다.
링 검출부(36)의 일 출력단은 중앙 제어부(39)의 단자(P1) 및 상태표시 제어부(41)의 단자(P8) 및 에 연결하고, 다른 출력단은 중앙 제어부(39)의 단자(P2) 및 상태표시 제어부(41)의 단자(P9)에 연결한다. 링 검출부(36)는 전화선로상의 링 신호(75 Vrms, 20 Hz, 1초속 2초단)를 검출하여 링 검출신호와 훅 온/오프 검출신호를 중앙 제어부(39) 및 상태표시 제어부(41)에 전송한다.
가청신호 필터(37)의 출력단은 상태표시 제어부(41)의 단자(P10)에 연결하고, 톤 검출부(38)의 일 입력단에 연결한다. 가청신호 필터(37)는 전화선로상의 신호중 음성 대역 신호(340-4000 Hz)를 필터링하여 톤 검출부(38) 및 상태표시 제어부(41)로 전송한다.
톤 검출부(38)의 다른 입력단에는 중앙 제어부(39)의 단자(P7)와 연결하고, 출력단은 상태표시 제어부(41)의 단자(P11)에 연결한다. 톤 검출부(38)는 가청신호 필터(37)를 통과한 가청신호중의 통화중대기 신호를 검출한다. 톤 검출부(38)의 세부 구성은 후술한다.
중앙 제어부(39)의 단자(P1)는 링 검출부(36)의 일 출력단에 연결되고, 단자(P2)는 링 검출부(36)의 다른 출력단에 연결되며, 단자(P3)는 톤 검출부(38)의 출력단에 연결된다. 단자(P4)는 안내방송 송출부(40)의 입력단에 연결하고, 단자(P5)는 릴레이 제어회로(33)의 입력단에 연결하고, 단자(P6)는 상태표시 제어부(41)의 단자(P13)에 연결하며, 단자(P7)는 톤 검출부(38)의 다른 입력단에 연결한다. 중앙 제어부(39)는 링 검출부(36)에서 출력되는 링 검출 신호, 훅 온/오프 검출 신호와 톤 검출부(38)에서 출력되는 톤 검출 신호를 입력받아 안내방송 제어신호, 릴레이 제어신호, 상태표시 제어신호, 톤 검출 제어신호를 출력하도록 제어한다.
안내방송 송출부(40)의 입력단은 중앙 제어부(39)의 단자(P4)에 연결되고, 출력단은 상태표시 제어부(41)의 단자(P12)에 연결한다. 안내방송 송출부(40)는 중앙 제어부(39)의 단자(P4)에서 출력되는 안내방송 제어신호에 의해 기설정된 안내방송을 출력하도록 상태표시 제어부(41)로 안내방송 신호를 전송한다.
상태표시 제어부(41)의 단자(P8)는 링 검출부(36)의 일출력단에 연결되고, 단자(P9)는 링 검출부(36)의 다른 출력단에 연결되고, 단자(P10)는 가청신호 필터(37)의 출력단에 연결되고, 단자(P11)는 톤 검출부(38)의 출력단에 연결되고, 단자(P12)는 안내방송 송출부(40)의 출력단에 연결되며, 단자(P13)는 중앙 제어부(39)의 단자(P6)에 연결된다. 또한, 단자(P14)는 표시부(42)의 LED(42a)에 연결하고, 단자(P15)는 부저(42b)에 연결하며, 단자(P16)는 출력레벨 제어기(42d)의 입력단에 연결한다. 출력레벨 제어기(42d)의 다른 입력단은 레벨 조절부(42c)와 연결되고, 출력단은 스피커(42e)에 연결한다.
표시부(42)는 상태표시 제어부(41)의 출력신호에 의해 필요한 정보를 가시적으로 표시하기 위한 LED(42a)와, 상태표시 제어부(41)의 출력신호에 의해 필요한 정보를 가청하기 위한 부저(42b)와, 레벨 조절부(42c)에서 입력되는 레벨신호를 제어하는 출력레벨 제어기(42d)에 의해 안내방송 송출부(40)에서 출력되는 안내방송 신호를 청취할 수 있는 음성신호로 출력하기 위한 스피커(42e)로 이루어져 있다.
도 4는 톤 검출부의 세부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이고, 가청신호 필터(37)를 통과한 가청신호는 필터부(43)의 350 Hz 필터(43a)와 440 Hz 필터(43b)에 동시에 연결한다. 350 Hz 필터(43a)는 가청신호중 주파수가 350 Hz인 것만을 통과시키고, 440 Hz 필터(43b)는 가청신호중 주파수가 440 Hz인 것만을 통과시킨다.
필터부(43)의 350 Hz 필터(43a)와 440 Hz 필터(43b)는 각각의 레벨 비교부(44,45)에 연결한다. 레벨 비교부(44,45)는 기설정된 규정 레벨과 필터부(43)를 통과한 레벨을 비교한다. 각각의 레벨 비교부(44,45)는 OR 게이트(46)의 각각의 입력단에 연결된다. OR 게이트(46)는 레벨 비교부(44,45)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논리합시킨다. OR 게이트(46)의 출력단은 타이밍 비교부(47)의 입력단에 연결한다.
교환기로부터 입력되는 통화중 대기 신호는 이와 같이 350㎐ 및 440㎐의 두가지 주파수를 동시에 가지고 있으므로, 이를 필터링하여 신호를 검출함으로써 통화중 대기 신호를 검출할 수 있다. 다만, 이와 같은 주파수는 교환기에서 설정한 값이므로, 교환기에서 이와 다른 주파수로 통화중 대기 신호를 제공하는 경우에는 그 주파수에 맞는 필터를 사용하여야 한다.
상술한 두가지 주파수를 검출하는 경우에 대부분은 통화중 대기 신호가 검출되지만 각종 잡음이나 선로 상의 에러로 인해 통화중 대기 신호가 아닌 경우에도 이 두가지 주파수의 필터를 모두 통과하는 잡음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교환기에서 입력되는 통화중 대기 신호에 대해 이미 설정된 규정 레벨 주파수와 필터부(43)를 통과한 레벨 비교부(44,45)에서 비교한다. 규정 레벨 주파수도 교환기마다 다른 값을 가질 수 있으므로, 규격에 맞게 설정할 수 있다.
통화중 대기 신호는 또한 일정한 주기로 도 5와 같은 타이밍을 가지므로, 이를 타이밍 비교부(47)를 통해 검출한다. 따라서, 타이밍 비교부(47)는 OR 게이트(46)의 논리값이 교환기에서 전송되는 통화중 대기 신호의 논리값과 일치하는가를 비교한다. 타이밍 비교부(47)의 출력단은 상태 표시부(48)의 입력단에 연결한다. 상태 표시부(48)는 OR 게이트(46)의 논리값과 통화중 대기 신호의 논리값이 일치하는가의 여부를 표시한다.
이와 같이 통화중 대기 신호를 주파수, 레벨 및 타이밍 체크하여 모두 통화중 대기 신호로 검출된 경우에 한해서 본 발명의 장치에서 경보를 발생하므로, 통화중 대기 신호 이외의 잡음에 의해 경보가 발생할 가능성이 거의 없다. 그러므로, 통화중 대기 신호가 입력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잡음에 의해 경보가 발생하여 사용중인 인터넷을 종료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도 5는 통화중대기 신호 및 타이밍 비교 신호의 파형도이고, 통화중대기 신호는 0.25초 동안 톤 온(TONE ON) 파형이 전송되고, 다시 0.25초 동안 톤 오프(TONE OFF) 파형이 전송되고, 또다시 0.25초 동안 톤 온 파형이 전송되고, 또다시 3.25초 동안 톤 오프 파형이 전송된다. 이 때, 타이밍 비교 신호는 톤 온 파형일 때는 로우신호가 출력되고, 톤 오프 파형일 때는 하이신호가 출력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PC 통신 또는 인터넷 사용 중 통화중대기 신호 인식장치 및 방법에 대한 동작 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6A는 본 발명의 동작 상태를 보여주는 흐름도이고, 전화 가입자는 통화중대기라는 부가서비스를 신청한 상태에서 PC 통신 또는 인터넷을 사용하고 있다고 가정한다.
먼저, 중앙 제어부는 가입자가 PC 통신 또는 인터넷을 사용하고 있는 도중에 외부 전화선을 통해 입력되는 통화 중 대기신호의 유무를 판단한다(S601). 전화선 접속단자(31)를 통해 입력되는 통화중대기 신호는 과전압/과전류 보호회로(32)에 의해 교환기로부터 가입자 전화기까지의 전화선로 상에 유기되는 과전압/과전류로부터 보호되고, 전화선로 상에 접속된 전화기 및 컴퓨터 등을 보호한다. 과전압/과전류 보호회로(32)에 의해 보호된 통화중대기 신호는 링 검출부(36)에 입력되며, 링 검출부(36)에 의해 통화중대기 신호중의 링신호(75 Vrms, 20 Hz, 1초속 2초단)가 검출된다.
판단결과, 통화 중 대기신호가 입력되지 않으면 단계(S601)를 반복수행하고, 통화 중 대기신호가 입력되면 중앙 제어부는 로우신호를 출력하여 상태표시 제어부(41)의 제어하에 LED(42a) 또는 부저(42b) 또는 스피커(42e)를 가동시켜 LED(42a)를 점멸하거나 부저(42b)를 통해 신호음을 출력하거나 스피커(42e)를 통해 안내방송을 송출시킨다(S602). 또한, 링 검출부에서 검출되는 링 검출신호는 중앙 제어부(39) 및 상태표시 제어부(41)에 전달되고, 중앙 제어부(39)는 링 검출신호가 로우신호이면 안내방송 송출부(40)를 제어하며 상태표시 제어부(41)의 제어신호에 의해 기설정된 안내방송을 스피커(42e)를 통해 송출시킨다. 상태표시 제어부(41)는 링 검출신호가 로우신호이면 LED(42a) 또는 부저(42b)를 가동시켜 링 검출 상태를 가청(부저, 스피커) 또는 가시(LED)신호로 표시할 수 있다.
중앙 제어부는 링 검출부(36)로부터 전송되는 훅 온/오프 검출신호에 의해 PC 통신 또는 인터넷의 오프여부를 판단한다(S603). 링 검출부는 가입자 전화선로상의 전류의 흐름을 검출하여 PC 통신 또는 인터넷의 사용 상태를 식별할 수 있다. 여기서, PC 통신 또는 인터넷을 사용중인 경우에는 훅 온/오프 신호가 로우신호로 검출되며, 미사용인 경우에는 훅 온/오프 신호가 하이신호로 검출된다.
판단결과, PC 통신 또는 인터넷이 오프되지 않으면 즉, 훅 온/오프 신호가 하이신호로 검출되면 상기 단계(S601)를 반복수행하고, PC 통신 또는 인터넷이 오프되면 즉, 훅 온/오프 신호가 로우신호로 검출되면 중앙 제어부(39)는 단자(P5)를 통해 릴레이 제어신호를 릴레이 제어회로(33)에 전송하여 전화기 연결 릴레이(35)를 가동시키고, 이 전화기 연결 릴레이(35)에 의해 전화기 접속단자(34)가 컴퓨터 단자에서 전화기 단자로 연결되도록 제어한다(S604).
그 후, 전화기 접속단자가 전화기 단자로 연결되면 PC 통신 또는 인터넷 사용자는 상대방과 전화 통화하고, 동작을 종료한다(S605).
도 6B는 도 6A의 통화중대기 신호 유무 확인단계의 상세 흐름도이다.
먼저, 톤 검출부에서 톤 검출신호가 검출되지 않으면, 하이신호를 출력한다(S606). 참고로, 톤 검출부에서 톤 검출신호가 검출되면, 로우신호를 출력한다.
톤 검출부(38)는 가청신호를 필터부(43)의 350 Hz 필터(43a)와 440 Hz 필터(43b)로 대역 필터링한다(S607). 350 Hz 필터(43a)는 가청신호중 주파수가 350 Hz인 것만을 통과시키고, 440 Hz 필터(43b)는 가청신호중 주파수가 440 Hz인 것만을 통과시킨다. 필터부(43)의 350 Hz 필터(43a)와 440 Hz 필터(43b)는 각각의 레벨 비교부(44,45)에 연결되어 있으므로, 대역 필터링된 레벨은 각각의 레벨 비교부(44,45)로 전송된다.
레벨 비교부(44)는 350 Hz 필터(43b)의 규정 레벨을 만족하는지를 판단하고(S608), 규정 레벨을 만족하지 않으면 상기 단계(S608)를 반복수행하고, 규정 레벨을 만족하면 로우신호를 출력한다(S609).
레벨 비교부(45)는 440 Hz 필터(43b)의 규정 레벨을 만족하는지를 판단하고(S610), 규정 레벨을 만족하지 않으면 상기 단계(S610)를 반복수행하고, 규정레벨을 만족하면 로우신호를 출력한다(S611).
각각의 레벨 비교부(44,45)는 OR 게이트(46)와 연결되어 있으므로 OR 게이트(46)에 의해 레벨 비교부(44,45)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논리합하고, 각각의 레벨 비교부에서 출력된 논리값이 모두 로우신호인가를 판단한다(S612).
판단결과, 각각의 레벨 비교부에서 출력된 논리값이 모두 로우신호가 아니면 상기 단계(S607)를 반복수행하고, 각각의 레벨 비교부(44,45)에서 출력된 논리값이 모두 로우신호이면 타이밍 비교부(47)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OR 게이트(46)에서 출력되는 출력신호가 0.25초 이상 로우신호가 유지되는가를 판단한다(S613).
판단결과, 0.25초 이상 로우신호가 유지되지 않으면 상기 단계(S607)를 반복수행하고, 0.25초 이상 로우신호가 유지되면 타이밍 비교부(47)는 0.25초 이상 하이신호가 유지되는가를 판단한다(S614).
판단결과, 0.25초 이상 하이신호가 유지되지 않으면 상기 단계(S607)를 반복수행하고, 0.25초 이상 하이신호가 유지되면 타이밍 비교부(47)는 0.25초 이상 로우신호가 유지되는가를 판단한다(S615).
판단결과, 0.25초 이상 로우신호가 유지되지 않으면 상기 단계(S607)를 반복수행하고, 0.25초 이상 로우신호가 유지되면 타이밍 비교부(47)는 3.25초 이상 하이신호가 유지되는가를 판단한다(S616).
판단결과, 3.25초 이상 하이신호가 유지되지 않으면 상기 단계(S607)를 반복수행하고, 3.25초 이상 하이신호가 유지되면 상태 표시부(48)는 로우신호를 출력하고 동작을 종료한다(S617).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외에 본 발명에 따른 인식장치 및 방법을 컴퓨터의 모뎀 카드(Modem Card)내에 내장하거나 마우스 폰(Mouse Phone)내에 내장하여 본 발명을 구현할 수도 있다. 통화중대기를 신청한 가입자가 통화중대기 신호를 검출할 수 있는 모뎀 카드를 컴퓨터에 장착하거나 컴퓨터의 마우스대신 마우스 폰을 컴퓨터에 연결하여 PC 통신 또는 인터넷 사용 중에도 통화중대기 신호를 검출한 후 가청(부저, 스피커) 또는 가시(LED)할 수 있거나 가입자의 선택에 의해 통화중대기 신호를 컴퓨터 화면상에 출력할 수 있다.
상기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 것이고, 이 분야의 전문가에게 자명한 변형, 변경 또는 치환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PC 통신 또는 인터넷 사용 중 통화중대기 신호 인식장치 및 방법에 의하면, PC 통신 또는 인터넷을 사용하고 있는 도중에 통화중대기 신호를 LED 또는 부저 또는 스피커를 가동시킴으로써, LED를 점멸하거나 부저를 통해 신호음을 출력하거나 스피커를 통해 안내방송을 송출하여 가입자가 외부로부터의 전화통화 요청을 쉽게 인식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전화선을 추가하지 않고 또한, 별도의 장치 변환없이 PC 통신 또는 인터넷 사용 중 상대방과 전화통화를 할 수 있으므로 전화선의 활용도를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6)

  1. 교환기와 모뎀 카드사이의 전화선로 상에 접속되어 교환기에서 전송되는 통화중대기 신호를 인식하는 통화중대기 신호 인식장치에 있어서,
    릴레이 제어회로(33)에 의해 외부 전화신호를 전화기 접속단자(34)를 통해 전화기 및 컴퓨터 등에 연결하는 전화기 연결 릴레이(35)와;
    전화선로상의 링신호를 검출하는 링 검출부(36)와;
    전화선로상의 신호중 음성대역 신호만을 통과시키는 가청신호 필터(37)와;
    가청신호 필터(37)를 통과한 가청신호중의 통화중대기 신호를 검출하는 톤 검출부(38)와;
    상기 톤 검출부(38)가 통화중대기 신호를 검출하였을 때 그 신호에 따라 경보를 발생하는 표시부(42);를 포함하는 PC 통신 또는 인터넷 사용 중 통화중대기 신호 인식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링 검출부(36)에서 출력되는 링 검출 신호, 훅 온/오프 검출 신호와 톤 검출부(38)에서 출력되는 톤 검출 신호를 입력받아 안내방송 제어신호, 릴레이 제어신호, 상태표시 제어신호, 톤 검출 제어신호를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중앙 제어부(39)와;
    상기 링 검출 신호, 훅 온/오프 검출 신호, 톤 검출 신호, 안내방송 신호를 입력받고, 중앙 제어부(39)에서 출력되는 상태표시 제어신호에 의해 상기 신호에 해당하는 상태를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상태표시 제어부(41)를 더 포함하고, 상기 상태표시 제어부(41)의 출력신호에 의해 상기 표시부(42)가 해당 신호 및 경보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C 통신 또는 인터넷 사용 중 통화중대기 신호 인식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톤 검출부(38)는
    가청신호 필터(37)를 통과한 신호중 350 Hz인 주파수를 필터링하는 350 Hz 필터(43a)와, 440 Hz인 주파수를 필터링하는 440 Hz 필터(43b)로 구성된 필터부(43)와;
    기설정된 규정 레벨 주파수와 필터부(43)를 통과한 주파수를 비교하는 레벨 비교부(44,45)와;
    레벨 비교부(44,45)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논리합하는 OR 게이트(46)와;
    OR 게이트(46)에서 출력되는 신호가 0.25초 이상 로우신호가 유지된 후, 0.25초 이상 하이신호가 유지되고, 0.25초 이상 로우신호가 유지되고, 3.25초 이상 하이신호가 유지되는가를 비교하는 타이밍 비교부(47)와;
    타이밍 비교부(47)의 조건을 만족하면 로우신호를 출력하고, 조건을 만족하지 않으면 하이신호를 출력하는 톤 검출 신호를 생성하는 상태 표시부(48);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PC 통신 또는 인터넷 사용 중 통화중대기 신호 인식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제어부(39)는
    톤 검출부(38)에 의해 통화중대기 신호가 검출되면, 릴레이 제어신호를 릴레이 제어회로(33)에 인가하여 전화기 연결 릴레이(35)를 가동시켜 전화기 접속단자(34)를 컴퓨터에서 전화기로 연결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C 통신 또는 인터넷 사용 중 통화중대기 신호 인식장치.
  5. 교환기와 모뎀 카드사이의 전화선로 상에 접속되어 교환기에서 전송되는 통화중대기 신호를 인식하는 통화중대기 신호 인식방법에 있어서,
    외부 전화선을 통해 입력되는 통화중대기 신호의 유무를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확인단계에서 통화 중 대기신호가 입력되면 상태표시 제어부(41)의 제어하에 LED(42a) 또는 부저(42b) 또는 스피커(42e)를 가동시키는 경보출력 단계와;
    중앙 제어부(39)에 의해 링 검출부(36)로부터 전송되는 훅 온/오프 검출신호에 의해 PC 통신 또는 인터넷의 오프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판단단계에서 PC 통신 또는 인터넷이 오프되면, 중앙 제어부(39)에 의해 릴레이 제어회로(33)를 가동시켜 전화기 접속단자(34)를 컴퓨터 단자에서 전화기 단자로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PC 통신 또는 인터넷 사용 중 통화중대기 신호 인식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통화중대기 신호의 유무를 확인하는 단계는
    가청신호 필터를 통해 전송되는 가청신호를 필터부(43)의 350 Hz 필터(43a)와 440 Hz 필터(43b)로 대역 필터링하는 단계와;
    상기 대역 필터링 단계를 통과한 신호가 각각의 레벨 비교부(44,45)의 규정 레벨을 만족하는지를 판단하고, 규정레벨을 만족하면 로우신호를 출력하는 단계와;
    상기 각각의 레벨 비교부(44,45)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논리합하여 모두 로우신호인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판단단계에서 출력되는 신호가 0.25초 이상 로우신호가 유지된 후, 0.25초 이상 하이신호가 유지되고, 0.25초 이상 로우신호가 유지되고, 3.25초 이상 하이신호가 유지되는가를 비교하는 단계와;
    상기 비교단계의 모든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로우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C 통신 또는 인터넷 사용 중 통화중대기 신호 인식방법.
KR1019990040455A 1999-09-20 1999-09-20 피씨 통신 또는 인터넷 사용 중 통화중대기 신호 인식장치 및 방법 KR2001002827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40455A KR20010028279A (ko) 1999-09-20 1999-09-20 피씨 통신 또는 인터넷 사용 중 통화중대기 신호 인식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40455A KR20010028279A (ko) 1999-09-20 1999-09-20 피씨 통신 또는 인터넷 사용 중 통화중대기 신호 인식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28279A true KR20010028279A (ko) 2001-04-06

Family

ID=196122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40455A KR20010028279A (ko) 1999-09-20 1999-09-20 피씨 통신 또는 인터넷 사용 중 통화중대기 신호 인식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02827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2096B1 (ko) * 2002-06-29 2010-12-16 주식회사 케이티 교환기 대기음의 선택적 제거 기능을 보유한 전화기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15244A (ko) * 1994-10-20 1996-05-22 박춘식 통화중 대기 서비스 수용이 가능한 컴퓨터 통신 장치 및 그 운용방법
KR970049701A (ko) * 1995-12-29 1997-07-29 배순훈 컴퓨터 통신의 전화 통신제어 처리방법
KR970064443U (ko) * 1996-05-22 1997-12-11 조규호 공중 교환 전화회선의 통화중 대기 기능을 이용한 pc 통신 접속 회선 전환 장치
KR19990034833A (ko) * 1997-10-30 1999-05-15 윤종용 통화중 대기 표시장치
KR19990074000A (ko) * 1998-03-05 1999-10-05 윤종용 컴퓨터 통신 장치 및 통신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15244A (ko) * 1994-10-20 1996-05-22 박춘식 통화중 대기 서비스 수용이 가능한 컴퓨터 통신 장치 및 그 운용방법
KR970049701A (ko) * 1995-12-29 1997-07-29 배순훈 컴퓨터 통신의 전화 통신제어 처리방법
KR970064443U (ko) * 1996-05-22 1997-12-11 조규호 공중 교환 전화회선의 통화중 대기 기능을 이용한 pc 통신 접속 회선 전환 장치
KR19990034833A (ko) * 1997-10-30 1999-05-15 윤종용 통화중 대기 표시장치
KR19990074000A (ko) * 1998-03-05 1999-10-05 윤종용 컴퓨터 통신 장치 및 통신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2096B1 (ko) * 2002-06-29 2010-12-16 주식회사 케이티 교환기 대기음의 선택적 제거 기능을 보유한 전화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04642B1 (en) Peer-to-peer data transfer using pre-existing caller ID CLASS FSK signaling infrastructure
US7016481B2 (en) Remote internet telephony device
US5905786A (en) Console and extension telephone system
US5737400A (en) Telecommunications system for accessing subscriber premises equipment using ring suppression
JP2004064790A (ja) 電話及びインターネットホン機能を提供するデュアルモードホンとデュアルモードホンにおける通話処理方法とデュアルモード通話処理機能を実現できる記録媒体及びデュアルモード通話処理システム
US5796815A (en) Communications device with improved ring signal detection
JP2001257797A (ja) 通話装置アダプタ
US6219411B1 (en) Personal computer assisted multiple line access
KR20010028279A (ko) 피씨 통신 또는 인터넷 사용 중 통화중대기 신호 인식장치 및 방법
JPH11234764A (ja) オーディオ信号接続方法及び装置
US5991397A (en) Voice paging service control method in a switching system
EP0606744B1 (en) Call management in a telecommunication system
US6980630B1 (en) Self contained voice and internet device with telephone keypad controls
JP3036944B2 (ja) 帯域内信号装置
KR100255928B1 (ko) 온훅상태에서 발신자 확인기능을 갖는 통신단말기
KR100385705B1 (ko) 인터넷 전화기용 어댑터장치
KR100397330B1 (ko) 씨아이디 전화시스템의 씨아이디 데이터 최적 검출장치
KR20010001043A (ko) 발신 전화번호 확인시스템 및 그에 따른 호 처리방법
EP0848530A2 (en) Speech recognition function
KR930002039Y1 (ko) 전화수신 표시장치
KR100684154B1 (ko) 교환기의 안내대 장치
KR100498913B1 (ko) 키폰시스템에서 다이얼톤 안내 방법
KR100397681B1 (ko) 전화기 인식을 위한 저주파 신호 발생장치 및 방법
US20070041510A1 (en) Telephone apparatus, telephone switchboard, and telephone line connection method
JPH07110025B2 (ja) 多数共同加入電話機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