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26912A - 휴대폰의 착신 전화번호 입력 방법 - Google Patents

휴대폰의 착신 전화번호 입력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26912A
KR20010026912A KR1019990038419A KR19990038419A KR20010026912A KR 20010026912 A KR20010026912 A KR 20010026912A KR 1019990038419 A KR1019990038419 A KR 1019990038419A KR 19990038419 A KR19990038419 A KR 19990038419A KR 20010026912 A KR20010026912 A KR 200100269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phone
password
user
called party
ph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384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현승진
Original Assignee
서평원
엘지정보통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평원, 엘지정보통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서평원
Priority to KR10199900384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026912A/ko
Publication of KR200100269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26912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6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with means for preventing unauthorised or fraudulent calling
    • H04M1/667Preventing unauthorised calls from a telephone set
    • H04M1/67Preventing unauthorised calls from a telephone set by electronic means
    • H04M1/673Preventing unauthorised calls from a telephone set by electronic means the user being required to key in a cod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폰 착신 전화번호 입력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타인의 휴대폰 사용을 방지하기 위한 휴대폰의 비밀번호 확인을 착신측 전화번호를 입력하기 전에 입력하도록 함으로써 통화 불편을 방지할 수 있는 휴대폰 착신 전화번호 입력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휴대폰 착신 전화번호 입력 방법은 휴대폰 사용자가 상기 휴대폰의 비밀번호와 착신측 전화번호를 연속해서 상기 휴대폰에 입력하는 단계, 상기 입력한 착신측 전화번호로 통화를 시도하는 단계, 상기 휴대폰에서 상기 설정된 비밀번호와 상기 사용자가 입력한 비밀번호가 일치하는가를 비교하는 단계, 상기 비밀번호가 일치하면 착신측으로 발신 절차를 수행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잠금기능이 설정된 휴대폰을 이용한 통화절차가 단순해지므로 사용자의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휴대폰의 착신 전화번호 입력 방법{Telephone number input method for mobile terminal}
본 발명은 휴대폰 착신 전화번호 입력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타인의 휴대폰 사용을 방지하기 위한 휴대폰의 비밀번호 확인을 착신측 전화번호를 입력하기 전에 입력하도록 함으로써 통화 불편을 방지할 수 있는 휴대폰 착신 전화번호 입력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동통신 시스템은 디지털 셀룰러 네트웍(DCN : Digital Cellular Network)과 개인 휴대 통신(PCS : Personal Communication Network)으로 나눌 수 있다. 이와 같은 이동 통신 시스템의 가장 큰 장점은 언제, 어디서든 통화가 가능하다는데 있을 것이다.
이동통신 시스템이 처음에 개발되었을 때만 하더라도 개인들이 휴대하는 휴대폰은 기본적으로 통화를 위한 것이었지만 최근에는 단순한 통화보다는 다양한 기능들이 추가되고 있다.
즉, 휴대폰 사용자간 메시지를 주고받는다든지, 사업자가 휴대폰에 각종 정보를 메시지 형태로 브로드캐스팅하는 것들이 추가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휴대폰을 이용한 인터넷이나 PC 통신 및 주식거래 등이 가능한 인터넷 폰과 라디오를 수신할 수 있는 휴대폰까지 등장하고 있다.
그와 같은 다양한 기능들이 추가되는 것은 무엇보다도 사용자의 편의를 위한 것인데 최근의 사용자들의 구매추세가 같은 가격이라면 단순한 통화를 위한 휴대폰보다는 다양한 기능이 있는 휴대폰을 선호하기 때문이다. 뿐만 아니라 다양한 기능이 있음에도 소프트웨어의 부실로 인한 휴대폰 사용방법이 불편한 경우에는 사용자로부터 외면당하기 쉽기 때문에 다양한 기능이 있음에도 휴대폰 사용 방법은 단순한 것이 선호되고 있다.
이와 같은 다양한 기능들 중에는 휴대폰을 분실하였을 경우나 타인이 임의로 자신의 휴대폰 사용을 방지하기 위한 비밀기능이 부가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비밀번호는 휴대폰을 최초에 생산할 때에는 동일한 모델이거나 동일한 회사의 경우에는 일정한 비밀번호가 설정되어 있고, 사용자는 휴대폰 구입후 통상적으로 비밀번호를 자신만이 암기하기 쉬운 번호를 지정하여 사용한다. 또한 휴대폰의 모델에 따라서는 플립이 없는 휴대폰인 바(bar) 형 휴대폰의 경우와 같이 휴대폰의 통화(또는 SEND) 버튼이 자동으로 눌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무조건적인 비밀번호를 확인을 실시하는 휴대폰이 있다. 그밖에 폴더형 휴대폰의 경우에는 플립형 휴대폰과 비밀번호 기능이 동일하다. 즉, 사용자가 비밀번호를 설정하여 사용하거나 비밀번호를 해제하여 사용하는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은 플립형 또는 바형이나 폴더형 휴대폰을 이용한 통화를 시도하기 위해서 사용자는 휴대폰의 키패드를 이용하여 착신측 전화번호를 누르면 휴대폰의 표시부(LCD : Liquid Crystal Display)에 착신측 전화번호가 표시되고 사용자가 표시부의 전화번호에 이상이 없을 경우 통화 키(또는 SEND Key)를 누르면 휴대폰에서는 휴대폰 사용자에게 비밀번호를 입력할 것을 요청하고, 사용자는 키패드를 이용하여 휴대폰에 자신이 설정한 비밀번호를 입력시키고 비밀번호가 동일할 경우 휴대폰은 착신측으로 호를 발신하기 위한 동작을 진행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종래 휴대폰의 착신측 전화번호 입력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종래 휴대폰에서의 착신측 전화번호 입력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종래 휴대폰에서의 착신측 전화번호 입력 방법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휴대폰 사용자가 착신측(수신자) 전화번호를 입력한다(S1). 그러면 휴대폰 사용자가 입력한 착신측 전화번호는 휴대폰의 표시부에 표시되고 사용자는 이를 확인한다.
그 다음 착신측 전화번호가 맞으면 사용자는 통화(SEND) 키를 누르고, 휴대폰 제어부(Mobile Station Modem : 이하 MSM이라 약칭 함)에서는 휴대폰(단말기)에 잠금기능이 설정되었는가를 판단한다(S2). 이와 같은 잠금기능의 확인은 휴대폰 사용자가 휴대폰을 분실했을 경우나 타인의 휴대폰 사용자의 허락 없이 임의로 사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자가 설정해 놓는다.
MSM의 판단결과 휴대폰에 잠금기능이 설정되어 있지 않다면(정확하게는 사용자에 의해 비밀번호가 해제된 경우라면) MSM은 사용자가 입력한 착신측 전화번호에 따라 발신 절차를 진행한다(S6).
그러나, 판단결과(S2) 휴대폰이 휴대폰 사용자에 의해 잠금기능이 설정되어 있다면 휴대폰의 MSM에서는 휴대폰의 표시부에 비밀번호를 입력하라는 메시지를 출력한다(S3).
휴대폰 사용자는 비밀번호를 입력하라는 메시지를 확인하고 자신이 설정한 비밀번호를 휴대폰의 키패드를 이용하여 휴대폰에 입력시킨다(S4). 일반적으로 휴대폰의 비밀번호는 임의의 4자리 숫자로 이루어진다.
이어서, 사용자가 휴대폰의 키패드를 이용해 자신이 설정했던 비밀번호를 입력시키면 MSM은 사용자가 키패드를 이용해 입력한 번호와 휴대폰에 설정된 비밀번호가 일치하는가를 판단한다(S5).
판단결과(S5) 비밀번호가 일치하지 않으면 MSM은 휴대폰의 표시부로 비밀번호를 입력하라는 메시지를 다시 출력시킨다(S3). 왜냐하면 비밀번호가 일치하는 경우는 휴대폰 소유자가 아닌 타인이 휴대폰을 사용하였기 때문인 경우도 있지만 사용자가 비밀번호를 착각하여 누르는 경우도 있고, 휴대폰이 경박단소화하면서 키패드간의 간격이 좁은 경우에 다른 키패드를 누를 수도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판단결과(S5) 비밀번호가 일치하면 MSM은 휴대폰의 발신을 제한하던 잠금기능을 해제하고, 사용자가 입력한 착신측 전화번호를 참조하여 발신 절차를 진행한다(S6).
이와 같은 종래 휴대폰에 있어서의 전화번호 입력 방법에 있어서는 잠금기능이 설정된 휴대폰을 이용하여 통화를 시도할 때 사용자는 착신측 전화번호를 입력한 후 통화키를 누르면 휴대폰에서 다시 비밀번호를 입력하는 메시지가 발생되고 그에 따라 비밀번호를 입력하여야 휴대폰이 발신 절차를 수행함으로써 통화시도를 위한 흐름이 끊기게 되고, 비밀번호를 확인하는 작업은 통화를 시도할 때마다 반복해야 하므로 사용자의 편리성이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잠금기능이 설정된 휴대폰을 이용하여 통화를 시도할 때 착신측 전화번호를 입력하기에 앞서 잠금기능을 해제하기 위한 비밀번호를 입력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편리성을 향상시킨 휴대폰 착신 전화번호 입력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상과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특징에 따르면, 휴대폰 사용자가 상기 휴대폰의 비밀번호와 착신측 전화번호를 연속해서 상기 휴대폰에 입력하는 단계, 상기 입력한 착신측 전화번호로 통화를 시도하는 단계, 상기 휴대폰에서 상기 설정된 비밀번호와 상기 사용자가 입력한 비밀번호가 일치하는가를 비교하는 단계, 상기 비밀번호가 일치하면 착신측으로 발신 절차를 수행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잠금기능이 설정된 휴대폰을 이용한 통화시 사용자의 편리성을 향상시킨다.
도 1은 종래 휴대폰의 착신측 전화번호 입력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의 착신측 전화번호 입력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구성 및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에서의 착신측 전화번호 입력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에서의 착신측 전화번호 입력 방법은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잠금기능이 설정된 휴대폰에 있어서 휴대폰 사용자가 임의의 착신측 사용자와 통화를 하기 위한 통화시도시 착신측(수신자) 전화번호를 입력하기에 앞서 비밀번호를 입력하고 연속해서 착신측 전화번호를 입력한다(S11). 그러면 휴대폰 사용자가 입력한 비밀번호와 착신측 전화번호는 휴대폰의 표시부에 표시되고 사용자는 이를 확인한다. 참고적으로 비밀번호는 통상 4자리의 아라비아 숫자로 설정된다.
그 다음 착신측 전화번호가 맞는 것을 휴대폰 사용자가 확인하면 휴대폰 사용자는 통화(SEND) 키를 누르고, 휴대폰 제어부(Mobile Station Modem : 이하 MSM이라 약칭 함)에서는 휴대폰(단말기)에 잠금기능이 설정되었는가를 판단한다(S12). 이와 같은 잠금기능의 확인은 휴대폰 사용자가 휴대폰을 분실했을 경우나 타인의 휴대폰 사용자의 허락 없이 임의로 사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자가 설정해 놓는다.
MSM의 판단결과 휴대폰에 잠금기능이 설정되어 있지 않다면(정확하게는 사용자에 의해 잠금기능이 해제된 경우라면) MSM은 사용자가 입력한 착신측 전화번호에 따라 발신 절차를 진행한다(S17). 이때에는 최초에 착신측 전화번호를 휴대폰에 입력하는 단계(S11)에서 비밀번호를 입력하지 않고 곧바로 착신측으로 전화번호를 입력하는 경우이다.
그러나, 판단결과(S12) 휴대폰에 휴대폰 사용자에 의해 잠금기능이 설정되어 있다면 휴대폰의 MSM에서는 휴대폰에 설정된 비밀번호와 최초에 사용자가 착신측 전화번호를 입력하기에 앞서 입력한 비밀번호가 일치하는가를 판단한다(S13).
판단결과(S13) 휴대폰 사용자가 입력한 비밀번호와 설정된 비밀번호가 일치하면 MSM은 최초에 휴대폰에 입력된 비밀번호를 제외한 나머지 숫자를 참조하여 발신 절차를 진행한다(S17).
그러나, 비밀번호가 일치하지 않을 경우 휴대폰의 MSM에서는 휴대폰의 표시부에 비밀번호를 입력하라는 메시지를 출력한다(S14).
휴대폰 사용자는 비밀번호를 입력하라는 메시지를 확인하고 자신이 설정한 비밀번호를 휴대폰의 키패드를 이용하여 휴대폰에 입력시킨다(S15).
이어서, 사용자가 휴대폰의 키패드를 이용해 자신이 설정했던 비밀번호를 입력시키면 MSM은 사용자가 키패드를 이용해 입력한 번호와 휴대폰에 설정된 비밀번호가 일치하는가를 판단한다(S16).
판단결과(S16) 비밀번호가 일치하지 않으면 MSM은 휴대폰의 표시부로 비밀번호를 입력하라는 메시지를 다시 출력시킨다(S14). 왜냐하면 비밀번호가 일치하는 경우는 휴대폰 소유자가 아닌 타인이 휴대폰을 사용하였기 때문인 경우도 있지만 사용자가 비밀번호를 착각하여 누르는 경우도 있고, 휴대폰이 경박단소화하면서 키패드간의 간격이 좁은 경우에 다른 키패드를 누를 수도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판단결과(S16) 비밀번호가 일치하면 MSM은 휴대폰의 발신을 제한하던 잠금기능을 해제하고, 사용자가 입력한 착신측 전화번호를 참조하여 발신 절차를 진행한다(S17).
이상의 설명에서와 같은 본 발명 휴대폰의 착신 전화번호 입력 방법은 잠금기능이 설정된 단말기에서 사용자가 번호입력을 완료하고 통화버튼을 눌렀을 때 사용자가 입력한 번호중 처음에 입력한 비밀번호와 사용자가 설정해놓은 비밀번호를 비교한후 서로 일치하면 곧바로 착신측으로 발신절차를 수행함으로써 사용자의 편리성을 향상시키고 특히 잠금기능이 필수인 바형 휴대폰에서 사용자의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휴대폰 사용자가 상기 휴대폰의 비밀번호와 착신측 전화번호를 연속해서 상기 휴대폰에 입력하는 단계;
    상기 입력한 착신측 전화번호로 통화를 시도하는 단계;
    상기 휴대폰에서 상기 설정된 비밀번호와 상기 사용자가 입력한 비밀번호가 일치하는가를 비교하는 단계;
    상기 비밀번호가 일치하면 착신측으로 발신 절차를 수행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의 착신 전화번호 입력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폰은 잠금기능이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의 착신 전화번호 입력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폰에서 상기 착신측으로 발신 절차를 수행할 때 상기 비밀번호를 제외한 나머지 숫자를 이용하여 상기 발신 절차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의 착신 전화번호 입력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비밀번호가 일치하지 않으면 상기 휴대폰은 상기 휴대폰의 표시부에 상기 비밀번호를 재입력할 것을 요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의 착신 전화번호 입력 방법.
KR1019990038419A 1999-09-09 1999-09-09 휴대폰의 착신 전화번호 입력 방법 KR2001002691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8419A KR20010026912A (ko) 1999-09-09 1999-09-09 휴대폰의 착신 전화번호 입력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8419A KR20010026912A (ko) 1999-09-09 1999-09-09 휴대폰의 착신 전화번호 입력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26912A true KR20010026912A (ko) 2001-04-06

Family

ID=196107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38419A KR20010026912A (ko) 1999-09-09 1999-09-09 휴대폰의 착신 전화번호 입력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026912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01765B1 (en) Locking and unlocking method in mobile telephone
US5983093A (en) Wireless terminal and wireless telecommunications system adapted to prevent the theft of wireless service
KR20020087665A (ko) 개인휴대용 통신단말기의 분실모드에 따른 동작방법
KR20080060870A (ko) 음성인증을 통한 이동단말기의 기능 제한 방법 및 시스템
JP2000002029A (ja) 電子ロックシステム
KR20030030516A (ko) 휴대정보 단말기의 수신 거부방법
KR20010045885A (ko) Sms를 이용한 단말기의 원격 제어 방법
JPH0984124A (ja) パーソナル通信端末の不正使用防止方法
US20030129997A1 (en) Conference feature for cordless telephone systems
KR100618267B1 (ko) 잠금 해제를 위한 비밀번호 생성 기능을 가지는무선통신단말기 및 그 방법
KR20010026912A (ko) 휴대폰의 착신 전화번호 입력 방법
JP3313662B2 (ja) 携帯端末
KR100484438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원격 잠금 설정 방법
JP4454795B2 (ja) 移動無線端末
KR100276812B1 (ko) 통신 단말기에서 라스트콜 차단방법
KR20060121024A (ko) 음성인식을 이용한 송수신 잠금 이동통신단말기
KR100606774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발신 제한 설정 방법
KR100583463B1 (ko) 휴대 통신기기의 보안방법
JPH11215553A (ja) 移動通信用端末及びその不正使用規制方法
JPH05292180A (ja) 移動体通信システムの移動機
JPH02270424A (ja) ページング電話システム
KR20050091472A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호 접속 제어방법
KR100259053B1 (ko) 디지탈 무선전화시스템의 가정용 기지국에서 무선단말기 등록및 인증 방법
JP2651936B2 (ja) 発信規制機能を備えた通信端末機器
KR100717498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메시지 공유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