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26457A - 식품용기 - Google Patents

식품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26457A
KR20010026457A KR1019990037788A KR19990037788A KR20010026457A KR 20010026457 A KR20010026457 A KR 20010026457A KR 1019990037788 A KR1019990037788 A KR 1019990037788A KR 19990037788 A KR19990037788 A KR 19990037788A KR 20010026457 A KR20010026457 A KR 200100264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od
container
injected
lid
auxiliary materia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377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협
Original Assignee
이상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상협 filed Critical 이상협
Priority to KR10199900377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026457A/ko
Publication of KR200100264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26457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24Adaptations for preventing deterioration or decay of contents; Applications to the container or packaging material of food preservatives, fungicides, pesticides or animal repellants
    • B65D81/28Applications of food preservatives, fungicides, pesticides or animal repella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with thermal insulation
    • B65D81/3865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with thermal insulation drinking cups or like containers
    • B65D81/3874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with thermal insulation drinking cups or like containers formed of different materials, e.g. laminated or foam filling between walls

Abstract

본 발명은 식품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용기와 뚜껑의 외주벽을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된 이중벽으로 형성하여, 그 공간부 내에 식품보존 및 인체에 유익한 것으로 알려진 물질을 방출하는 보조물질을 하나 이상 선택적으로 혼합 주입시켜 식품용기를 구성함으로써, 상기 공간부 내에 주입된 보조물질에서 방출되는 원적외선이나 살균작용을 갖는 물질 또는 자력선 등에 의하여 용기 내부에 담겨진 식품이 보온 보냉작용과 함께, 그 맛과 신선도가 원래 상태로 장시간 유지될 수 있게 하여 식품보관 및 건강에 많은 도움을 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식품용기{Food container}
본 발명은 식품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용기와 뚜껑의 외주벽을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된 이중벽으로 형성하여, 그 공간부 내에 식품보존 및 인체에 유익한 것으로 알려진 물질을 방출하는 보조물질을 하나 이상 선택적으로 혼합 주입시켜 식품용기를 구성함으로써, 상기 공간부 내에 주입된 보조물질에서 방출되는 원적외선이나 살균작용을 갖는 물질 또는 자력선 등에 의하여 용기 내부에 담겨진 식품이 보온 보냉작용과 함께, 그 맛과 신선도가 원래 상태로 장시간 유지될 수 있게 하여 식품보관 및 건강에 많은 도움을 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래의 식품용기는 단순히 식품을 담기 위한 단순 구조로 되어 있는 것이 대부분이었고, 단열을 목적으로 용기를 이중벽으로 구성하여 내부를 진공상태로 유지하여 열을 차단할 수 있게 하는 기술이 공지되어 있으나, 이는 단순히 일시적으로 열을 차단하는 역할만을 하게 되어 그 용도가 보온병이나 보온도시락 정도로 한정되어 있고 그 기능 역시 미약할 뿐만 아니라, 단열을 위하여 진공벽을 사용함으로 인하여 용기에 비하여 벽이 매우 두껍고 무거워 사용에 많은 불편이 따르는 실정에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식품용기가 갖고 있는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연구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식품을 보다 신선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별도의 냉장고나 보온수단이 없는 실내 또는 실외에서도 식품을 냉장 또는 보온상태로 장시간 신선하게 유지 및 보관할 수 있는 식품용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그 기능이 보다 우수하고, 용도가 광범위하게 적용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보다 가볍고, 가공성이 용이한 높은 품질의 식품용기를 대량 생산하여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용기와 뚜껑의 외주벽을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된 이중벽으로 형성하고, 그 공간부 내에 식품보존 및 인체에 유익한 것으로 알려진 물질을 방출하는 보조물질을 하나 이상 선택적으로 혼합 주입시켜 식품용기를 구성함으로써, 상기 공간부 내에 주입된 보조물질에서 방출되는 원적외선이나 살균작용을 갖는 물질 또는 자력선 등에 의하여 용기 내부에 담겨진 식품이 보온 보냉작용과 함께, 그 맛과 신선도가 원래 상태로 장시간 유지될 수 있게 함과 동시에, 별도의 냉장고나 보온수단이 없는 실내 또는 실외에서도 식품을 냉장 또는 보온상태로 장시간 신선하게 유지 및 보관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외형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종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외형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종단면도로서, 본 발명은 크게 용기(1)와 뚜껑(2)으로 구성되고, 상기 용기(1)와 뚜껑(2)은 외주벽(3)(4)이 내부에 공간부(5)(6)가 형성된 이중벽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용기(1)와 뚜껑(2)의 외주벽(3)(4)은 스텐레스나 알루미늄등의 금속판을 프레스 가공하여 제작될 수 있고, 용도에 따라 유리 등으로도 제작될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는 가공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2개의 합성수지 사출물을 접착 밀봉시켜 가공하는 형태가 가장 바람직하며, 상기 외주벽(3)(4)의 눈에 잘 띄지 않는 바닥면 등의 부위에는 주입구(8)와 밀봉캡(9)이 형성되어 있고, 뚜껑(2)의 주위에는 고무패킹(10)이 끼워져 있다.
한편, 상기 용기(1)와 뚜껑(2)의 공간부(5)(6)내에는 보온 보냉과 식품보존 및 인체에 유익한 것으로 알려진 물질을 방출하는 보조물질(7)이 하나 이상 선택적으로 혼합되어 상기 주입구(8)를 통하여 주입되어 밀봉캡(9)으로 밀봉되어 진다.
이러한 보조 물질(7)로는 보온 보냉성과 함께, 원적외선을 방출하거나 살균작용을 갖고 있는 물질로서, 예컨대, 황토나 옥 또는 숯, 바이오 세라믹, 게르마늄, 맥반석 및 자성물질 등이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으며, 이들 보조 물질(7)은 단독으로 또는 두 가지 이상의 물질이 선택적으로 혼합되어 주입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식품용기는 어떠한 용도의 용기에도 모두 적용될 수 있으나, 냉장이나 보온을 필요로 하는 식품의 용기에 보다 바람직하게 적용될 수 있으며, 특히 반찬통이나 김치통, 찬합, 보온도시락 및 음료수통이나 용기 등에 보다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식품용기는 사용시, 용기(1)내에 식품을 넣고 뚜껑을 덮어 두면, 상기 용기(1)와 뚜껑(2)의 공간부(5)(6) 내에 보온 보냉과 식품보존 및 인체에 유익한 것으로 알려진 물질을 방출하는 보조물질(7)이 하나 이상 선택적으로 혼합되어 주입되어 있기 때문에, 이들 보조물질(7)에서 방출되는 원적외선이나 살균작용을 갖는 물질 또는 자력선 등에 의하여 용기(1)내부에 담겨진 식품이 보온 보냉 작용과 함께, 식품이 지니고 있는 원래의 맛과 신선도를 원래 상태 그대로 장시간 유지할 수 있게 되어 식품보관과 건강에 많은 도움을 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이와 같은 본 발명은 다른 사용예로서, 보조물질(7)로서 겔타입의 발포단열재를 상기 공간부(5)(6)내에 주입한 경우, 용기(1)와 뚜껑(2)을 냉장고나 전자렌지 등에 넣고 냉장 또는 가열시키면, 용기(1)와 뚜껑(2)의 공간부(5)(6) 내에 주입된 겔타입의 발포단열재가 냉장 또는 가열된 상태를 상당시간 유지하게 된다.
이렇게 냉장 또는 가열된 상태의 용기(1)내에 식품을 넣어 대기중에 장시간 놓아 두어도 상기 냉장 또는 가열된 발포단열재에 의하여 식품이 냉장 또는 보온상태를 아주 오랜 시간 유지하게 됨으로써, 별도의 냉장고나 보온수단이 없는 실내 또는 실외에서 식품을 냉장 또는 보온상태로 장시간 유지 및 보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식품용기에 의하면, 용기(1)와 뚜껑(2)의 외주벽(3)(4)이 내부에 공간부(5)(6)가 형성된 이중벽으로 형성되어 그 공간부(5)(6) 내에 식품보존 및 인체에 유익한 것으로 알려진 물질을 방출하는 보조물질(7)이 하나 이상 선택적으로 혼합 주입되어 식품용기를 구성하고 있기 때문에, 보조물질(7)에서 방출되는 원적외선이나 살균작용을 갖는 물질 또는 자력선 등에 의하여 용기(1) 내부에 담겨진 식품이 보온 보냉과 함께, 그 맛과 신선도가 원래 상태로 장시간 유지될 수 있게 되어 식품보관 및 건강에 많은 도움을 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예에 의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 내에서 많은 변형예가 가능하다. 즉 일예를 들면, 상기 용기(1)와 뚜껑(2)의 외주벽(3)(4)의 바깥면에 단열층을 형성하여 보조물질(7)의 온도를 보다 오랜 시간 유지할 수 있게 하는 방법 등을 쉽게 생각할 수 있다.

Claims (1)

  1. 용기(1)와 뚜껑(2)의 외주벽(3)(4)이 내부에 공간부(5)(6)가 형성된 이중벽으로 형성되어 그 공간부(5)(6) 내에 식품보존 및 인체에 유익한 것으로 알려진 물질을 방출하는 보조물질(7)이 하나 이상 선택적으로 혼합되어 주입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용기.
KR1019990037788A 1999-09-07 1999-09-07 식품용기 KR2001002645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7788A KR20010026457A (ko) 1999-09-07 1999-09-07 식품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7788A KR20010026457A (ko) 1999-09-07 1999-09-07 식품용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18676U Division KR200169100Y1 (ko) 1999-09-03 1999-09-03 식품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26457A true KR20010026457A (ko) 2001-04-06

Family

ID=196103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37788A KR20010026457A (ko) 1999-09-07 1999-09-07 식품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026457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61266A (ko) * 2002-01-11 2003-07-18 허균 냉음료와 간식을 보관할 수 있는 휴대용 간식 용기 세트
KR100485963B1 (ko) * 2002-03-15 2005-05-03 주식회사 현동 식품 보관 용기의 제조 방법
KR102198194B1 (ko) * 2019-07-26 2021-01-04 김현진 호두를 이용한 기능성 용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61266A (ko) * 2002-01-11 2003-07-18 허균 냉음료와 간식을 보관할 수 있는 휴대용 간식 용기 세트
KR100485963B1 (ko) * 2002-03-15 2005-05-03 주식회사 현동 식품 보관 용기의 제조 방법
KR102198194B1 (ko) * 2019-07-26 2021-01-04 김현진 호두를 이용한 기능성 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82670A (en) Dual hot-cold maintenance container
US4830190A (en) Heating and cooling lunch box with intake air opening
US20160031630A1 (en) Insulating Vessel
US3859819A (en) Refrigerant containing sandwich storage device
US20050056226A1 (en) Thermally assisted pet dish
KR200169100Y1 (ko) 식품용기
KR20010026457A (ko) 식품용기
CN204096323U (zh) 一种预装胰岛素注射器保存杯
KR102012196B1 (ko) 음료 살균 텀블러
WO2006018456A1 (es) Producto refrigerante para bolsas isotermicas
KR200392192Y1 (ko) 보온, 보냉기능을 갖는 접시의 실링구조
KR101540785B1 (ko) 자가 온열, 냉각 용기
KR19990013111U (ko) 접시
KR900001695Y1 (ko) 휴대용 보온백
KR101778933B1 (ko) 저장용기 및 이를 구비한 김치저장고
KR200258681Y1 (ko) 보냉 및 냉각능을 갖는 컵
CN210810331U (zh) 可控温混合水保温杯
KR200329950Y1 (ko) 김치냉장고
KR960010147Y1 (ko) 식품보온, 보냉밀폐용기
KR200401762Y1 (ko) 테이블용 김치냉장고
KR200247313Y1 (ko) 식당용 식품 저장용기
KR20020078644A (ko) 김치저장용기
KR100353677B1 (ko) 얼음접시
KR20060054537A (ko) 이중 구조를 가지는 밀폐용기
KR930016022A (ko) 김치 저장 전용 냉장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8 Du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