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26436A - 수전금구 연결 플라스틱 t자 관이음쇠 - Google Patents

수전금구 연결 플라스틱 t자 관이음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26436A
KR20010026436A KR1019990037751A KR19990037751A KR20010026436A KR 20010026436 A KR20010026436 A KR 20010026436A KR 1019990037751 A KR1019990037751 A KR 1019990037751A KR 19990037751 A KR19990037751 A KR 19990037751A KR 20010026436 A KR20010026436 A KR 200100264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plastic
water supply
faucet
fitting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377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철
Original Assignee
강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철 filed Critical 강철
Priority to KR10199900377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026436A/ko
Priority to KR2019990019001U priority patent/KR200176621Y1/ko
Publication of KR200100264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26436A/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04Devices damping pulsations or vibrations in fluids
    • F16L55/045Devices damping pulsations or vibrations in fluids specially adapted to prevent or minimise the effects of water hammer
    • F16L55/05Buffer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ipe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수전금구(수도꼭지)와 연결되어 배관하는 T자 관이음쇠에 수도꼭지가 개폐할 때 발생하는 수격작용을 흡수·완화하는 장치와 유량이 조절되는 장치를 내장한 3가지 목적의 기능을 가진 것과 수격작용을 흡수·완화하는 장치만 가진 수전금구 연결 플라스틱 T자 관이음쇠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일체화한 플라스틱 T자 관이음쇠의 상향 몸체부에는 고무재의 후렉시블 튜브와 압축스프링으로 구성된 기계적인 충격흡수장치가 내장이 되고 하향 몸체부에는 급수압력인 전단력에 의해 급수관로가 가변적으로 변하면서 유량이 조절되는 유량 조절장치가 내장한 것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는 수전금구연결 플라스틱 T자 관이음쇠 제조 방법이다.
또한 상기의 장치에 더하여 유량의 역류를 방지하는 장치가 내장한 것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는 수전금구 연결 플라스틱 T자 관이음쇠 제조 방법이다.

Description

수전금구 연결 플라스틱 T자 관이음쇠{The Plastic T-form Joint Connected to Faucet}
사람이 생활하는 건물내 수도꼭지(수전금구)나 기기류에서는 사용목적에 따라 그 기능이 충분히 발휘하도록 적당한 수압과 유량의 물이 항상 공급되어야 하고 이와같은 배관 시스템을 위해 설계자나 시공자는 항상 노력을 하게 된다.
수도꼭지나 기기류는 개폐밸브를 조작하여 물을 공급받고 차단하게 되는데 사용하고 난후 수도꼭지의 밸브를 닫게되면 관속에 충만하게 흐르고 있던 물은 갑작스럽게 막힌 벽으로 인하여 심한 압력변화가 발생하게 된다. 이와같은 물의 압력파는 수도꼭지나 기기류 및 그 주위의 배관벽으로 전달되면서 큰소리의 소음과 진동을 유발한다.
이것을 수격작용이라고 하는 데, 유체의 운동에너지가 압력에너지로 변화하면서 차단점으로부터 높은 압력파가 발생하여 관경이 큰 주관이나 입상관까지 충돌되는 지점간을 압력 충격파가 소멸 될 때까지 왕복운동을 하게 된다.
이로 인해 소음과 진동을 일으키고 높은 압력파에 의해 배관과 접합부 파손, 행거나 써포트지지를 이완시키며 밸브, 계량기, 기기류 등을 조기에 파손시키므로 막대한 경제적 손실을 주게된다.
1898년의 Joukowsky식에 의하면 길이 L인 관로 끝에 설치된 위생기구 폐쇄 시간이초인 경우 Pr =로 유체속도에 약 14배에 해당하는 압력이 발생하는 데 유속이 1.5㎧∼3.0㎧ 시 20kg/㎠∼40kg/㎠의 압력으로 상승되며 압력파 전파속도는 1,200∼1,500㎧ 정도이다.
과학적으로는 이미 수격작용 발생원인이 규명되고 방지방법 또한 이론화 되어있으나 점점 건축물이 고층화, 대형화되고 있고 근래의 급수방식중 펌프가압식이나 압력탱크식 등은 높은 급수압력과 속도를 의미하며 새로운 급폐쇄 수도꼭지와 전기적인 솔로노이드 밸브 등으로 인하여 훨씬 격심한 수격작용현상을 일으키고 있다.
수격작용에 대한 근본적으로 완전한 대처방안은 없지만 과거부터 이러한 현상을 인식하여 몇 가지 충격흡수 방식을 해결책으로 사용하고 있는 데 첫번째로 수도꼭지나 기기류를 연결하는 수전 관이음쇠 상향방향으로 동일한 구경이든가 보다 큰 구경의 관을 30cm∼60cm 정도 연장하여 윗부분을 막아서 공기주머니를 만드는 방법이 있다.
이것은 기체의 압축성을 이용한 것으로 충격압력의 물이 공기주머니의 공기층을 밀면 압축되면서 충격완충역할을 하게 되는 데 이 방법의 단점은 계속되는 충격압이 발생하면서 오래지 않아 공기주머니에 물이 흡수되면서 원래의 능력을 잃어버린다는 것이다.
이 방식에서 계속 능력을 발휘하려면 공기를 자주 충전하여야 하고 이를 위해 공기주머니가 있는 관끝단 등에 공기를 재충전할수 있는 밸브콕등이 설치되어야 하지만 수도꼭지와 연결하는 관이음쇠 규격이 15A, 20A, 25A 이고 건축공학상 수도꼭지는 콘크리트나 몰타르에 의해 벽속에 묻히게 되므로 밸브콕의 설치가 불가능하다.
두 번째로 공학적으로 제조된 흡수기로는 물이 접촉되는 부분과 공기 또는 질소등 가스실이 고무막으로 분리되어 있던가 내부 공간부에 공기나 개스가 충전된 밸로즈가 내장된 것으로 이것은 보일의 법칙 즉, P1·V1= P2·V2= 일정식 에 의해 충격압력을 흡수하는 방식이다.
이러한 형태의 흡수기는 고무막의 제한적인 유연성과 짧은 수명으로 자주 보수가 요구되는 단점과 몸체부가 금속체이고 여러단계의 가공공정으로 제조되어 높은 생산단가에 의한 경제성과 흡수기의 용기가 버티컬식 탱크로 되어있어 흡수기는 설치공간이 있는 별도의 커다란 장소나 공간이 있는 급수 관로 중간에 설치할 수 밖에 없다는 것이다.
근래에 더욱 발전된 충격흡수기로는 높은 압력의 공기 또는 압력 가스실과 물이 접촉되는 실을 완전히 피스톤으로 분리시킨 흡수기가 있다.
이러한 흡수기는 수명과 기능이 다소 우수하지만 이것또한 몸체가 금속체로 제조공정상 높은 가격에 의한 경제성과 수도꼭지와 접속하는 수전 이음쇠의 지름보다 큰 지름의 관체로 되어 있어 상기 흡수기와 같이 별도의 설치공간이 필요한 것이다.
상기의 모든 공학적 충격흡수장치나 충격흡수기는 충격흡수기능만 가진 일자형 관체형상으로 제조가 된 독립된 충격흡수기기이므로 배관을 하는 현장에서 설치작업을 하게 되면서 충격흡수기기의 접속하는 방식에 따라 별도의 관이음쇠나 부속류가 필요하고, 이에 따르는 시공비가 추가되는 등의 단점이 있다.
건물내 급수방식으로는 수도직결식, 고가수조식, 압력탱크 또는 펌프에 의한 가압방식이 있으며, 건물의 규모나, 구조, 용도에 따라서 급수 방식을 선택하여 이후로 관을 나누고 분기하면서 필요한 곳으로 물을 보내게 된다.
적정한 급수량과 관경을 얻기 위하여 기구급수부하단위, 기구이용예측방법, 동시 사용율, 배관 마찰저항선도, 관균등표 등의 방법을 이용하게 되는 데 이같은 자료는 배관 설비 기술책이나 자료로 정리되어 있으며 모든 국가의 기술자가 거의 통일되게 이용하고 있다.
하지만 이렇게 하여 배관이 되었더라도 각각의 수도꼭지나 기기류에서는 수압과 유량차이가 나게된다.
건물높이 즉 저층부와 고층부 각각에서는 중력에 의한 정압차나 마찰저항에 의한 압력손실차등으로 급수 압력과 유량은 차이가 나게 된다.
급수설비에서는 이같은 여러 가지 변수를 감안하여 일반수도꼭지는 0.3kg/㎠, 혼합수도꼭지는 0.5kg/㎠, 대변기는 0.7kg/㎠, 샤워기는 0.8kg/㎠ 등으로 최소급수압력을 유지하게 하고 최대급수압력은 단독주택은 2kg/㎠, 공동주택이나 병원·호텔은 3∼4kg/㎠, 일반건물은 4∼5kg/㎠ 이하로 제한하여 설계와 시공을 하고 있어 각각의 수도꼭지는 불균형한 유량시스템으로 운영되고 있다.
이로인해, 급수압력이 어느 범위이상을 초과하는 수도꼭지부터는 물의 낭비가 발생하게 되고, 높은 급수압력일수록 수도꼭지 동시 사용여부에 따라 압력 변동 범위가 커서 유량 또한 가변적으로 변화된다.
본 건을 위해 15A 규격의 수도꼭지에서 급수압력파 평균 토출유량(ℓ/min)을 실험한 결과 아래표와 같이 나타내고 있다.
건물내 대다수의 수도꼭지는 적정수압을 1.5~2.0 kg/㎠ 로 볼 때 그 이상의 급수압력인 수도꼭지에서는 10∼40% 정도의 물이 낭비요인이 발생할 수 있으며 높은 급수압력의 수도꼭지일수록 수전금구나 기기류를 동시 사용여부에 따라 압력변동 범위가 커서 유량이 가변적으로 변화되며 특히 온수(급탕)와 냉수를 혼합하여 사용하는 샤워기 등에서는 유량이 일정하지 않기 때문에 온도변화가 심해 불편을 초래하게 된다.
급수량을 조절하는 방법으로는 사용자가 수도꼭지의 개폐기를 조작해야 하지만 용이하지 않고 특히 근래에 공급되는 터치식이나 자동식 수도꼭지에서는 유량 조절을 거의 할 수 없다.
급수관의 압력과 유속을 조정하는 방법으로는 감압 밸브를 설치하든가 유량조절밸브가 있지만 이같은 조절 밸브는 수도꼭지등이 관말에 장치하는 것이 아니고 보수점검이나 교체를 위해 배관의 어느 층 구역을 통괄하는 분기점이나 보다 큰 배관줄기등의 지역으로 구분하여 장치하게 되므로 각각의 수도꼭지의 토출 유량은 일정할 수 없다.
상기 배관시스템에 의하여 발생되는 문제점과는 달리 수전금구, 기기류의 구조와 기능에 의해 발생되는 문제, 즉 냉수와 온수가 혼합되면서 일정한 온도의 물이 공급되는 자동온도 조절식의 수전금구 구조는 물이 개폐하는 밸브콕과 밸브콕과 일체식 또는 분리식으로 구성한 온도 조절콕으로 구성을 하기 때문에 냉수만 사용하는 위치에 온도 조절콕이 조절되면 상대측 관로가 폐쇄되는 구조가 되지만 일정한 온도로 조정이 된 위치로 온도 조절콕을 조절하게되면 냉수관로와 온수관로는 관통되며 양측물이 서로 맞닿는 구조로 변화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수전금구 사용자는 필요한 온도의 물을 사용하고 난 후 차단 밸브콕을 조작하게 되지만 습관상 또는 기기류의 구조에 대해 모르기 때문에 사용시 조정한 온도 조절콕은 조작하지 않기때문에 밸브콕에 의해 물은 차단되었으나 관통하고 있는 판로에서 맞닿어 있는 냉수와 온수는 온수의 열영향이 냉수방향으로 열전도가 되면서 냉수관 물을 상승하게 하며 특히 부근에 설치되어있는 기기류나 수도꼭지를 사용하면서 수압차이가 발생하게 되면 냉수관 방향이나 또는 온수관 방향으로 물이 역류하게 된다.
상기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인은 수도꼭지 접속 "T" 자 관이음쇠를 발명특허 제 14605호(98.04.24)로, 수도꼭지 "ㄱ" 자 관이음쇠를 실용신안등록 제 11925호(98.07.01)로, 수도꼭지 체결 T자 관이음쇠를 실용신안등록 제 17574호(98.09.16)로 출원한바가 있다.
그러나 상기로 제안이 된 특허와 실용신안등을 연구개발하며 실용화하는 과정에서 제품의 경제성·내구성과 성능, 기능, 구조등에서 요소별로 미비한 부분이 나타나 개량, 보완이 필요하게 되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그의 목적하는 바는 기기류나 수전금구의 수도꼭지와 접속하여 체결하는 플라스틱 T자 관이음쇠에 충격흡수장치와 유량조절장치를 병행하여 가지게 하여 수도꼭지의 개폐시에 발생하는 수격작용을 흡수·완하하고 급수유량을 조절하여 절수를 하는 등 3가지의 기능을 가진 수전금구 연결 플라스틱 T자 관이음쇠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안 발명의 청구범위
제 1항 기재에 의하면,
플라스틱 T자 관이음쇠와;
상기 플라스틱 T자 관이음쇠의 중간위치는 하우징; 과 결합하며 선단에는 테이퍼 암나사 : 가 형성하고 후관체부; 에는 끝단부에서 시작하여 축방향으로 절개부 : 를 형성하며 외경에 다수개의 요철부; 가 형성이 된 구성의 금속소켓; 이 조합 성형되어서 수전금구와 체결하도록 형성이 된 돌출몸체부와;
상기 플라스틱 T자 관이음쇠는 길이가 5∼15cm 정도로 내측에는 끝단이 붓싱; 으로 막힌 금속관; 이 조합·성형하였고, 붓싱 상단부가 플라스틱으로 다시 막혀 있으며 내측 하단부에 내경보다 적게 형성하는 환턱구; 와 공기실; 이 형성한 충격흡수장치를 수용하는 상향 몸체부와;
상기 플라스틱 T자 관이음쇠는 유량조절장치를 수용하는 내측 공간부를 형성하고 끝단부에 급수관체와 체결하는 급수관 연결구; 가 형성된 하향 몸체부와;
상기 플라스틱 T자 관이음쇠의 상향몸체부 내측 공간부에 수용되는
고무재로 ㄷ자 형상으로 길이방향으로는 다수개의 V홈; 이 내경과 외경에 교차하여 형성되고 끝단 원주살 중심부에 환형요함; 이 형성된 후렉시블 튜브와;
상기의 후렉시블 튜브 내측 공간에는 하단이 와셔; 에 지지되고 상단은 U컵; 에 지지되어 수용이 된 압축 스프링과;
상기의 후렉시블 튜브 상단부에 접착밀봉 조합하는 환형돌출부; 가 형성한 고무재인 마개; 로 조립되어서 상향몸체부에 수용하는 충격흡수장치 조립체와;
상기의 T자 관이음쇠 하향몸체부 내측으로 수용되는
관체 축방향으로 하단부에 시작하여 임의의 지점까지 대칭하여 형성한 2개의 직사각형구와; 스프링지지 수단으로 관체 외주면에 돌출하여 고정한 지지링; 과 리베트가 관통하는 대칭한 2개의 리베트 구와; 관체 하단부에 고정하여 유체가 통과하는 다수개의 수납구;를 가진 하단플랜지와 : 로 구성되어 있는 급수튜브와;
상기 급수튜브 외측에 수용하는 유량조절 비율을 정하는 조절스프링; 과 상기 조절 스프링에 지지되어서 수용하는 핀구; 가 형성한 스프링 지지면; 과 급수압수납면; 이 구성을 한 H형 형상으로 중간원주 몸체에는 대칭한 2개의 고리연결구; 와로 구성되어 있는 후레임 튜브와;
상기 급수튜브 내측에는 급수튜브 내경 곡률과 같은 곡률이고 하단부의 반원길이가 급수튜브 원주둘레 길이의 반정도이며 상단부로 가면서 원주둘레 길이가 적어지는 사다리꼴 반원통 형상으로, 하단부에는 중심에 외측방향으로 90°각도로 절곡되었고 핀구; 가 형성한 연결고리와; 사다리꼴 반원통 상단부는 내측이며 중심부 위치에 상단부에서 시작한형상으로 돌출하였고 하단부로 가면서 돌출부 깊이가 적어지는 형상의 테이퍼 요함면과; 테이퍼 요함면 중앙에 형성된 직사각형 리베트구; 로 구성하는 반원통 사다리꼴 날개와;
상기의 급수튜브와 반원통 사다리꼴 날개를 연결 고정하는 빠짐방지턱; 과 요홈; 과 돌출스톱퍼; 와 스냅링 요홈; 으로 구성되어 있는 리베트와;
상기의 리베트를 고정하는 스냅링과;
상기의 구성체들을 급수튜브 외측으로 지지링에 지지하여 조절스프링을 끼우고 조절 스프링에 지지하여 후레임 튜브를 삽입하며 급수튜브 내측에는 2개의 반원통 사다리꼴 날개를 삽입하여 하단부의 연결고리가 급수튜브 직사각형구를 관통하여 후레임튜브의 고리연결구에 삽입되어서 핀구에는 핀; 으로 고정되고 반원통 사다리꼴 날개의 상단부 직사각형 리베트구에는 리베트의 요홈에 끼워지고 리베트는 돌출 스톱퍼 끝단이 급수튜브 내측에 지지되어 리베트구를 관통한 후 스냅링 요홈에 스냅링이 체결 고정하는 조립체와
상기 조립체인 상기 유량조절장치 조립체가 하향 몸체부 내측에 삽입·내장된 것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충격흡수장치와 유량조절 장치를 가진 수전금구 연결 플라스틱 T자 관이음쇠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동상 실시예에 사용하는 금속소켓 사시도
도 3은 동상 실시예에 사용되는 금속소켓 결합 단면도
도 4는 동상 실시예에 사용되는 후렉시블 튜브 단면도
도 5는 동상 실시예에 사용되는 충격흡수장치 조립체 단면도
도 6은 동상 실시예에 사용되는 급수튜브 사시도
도 7은 동상 실시예에 사용되는 후레임 튜브 사시도
도 8는 동상 실시예에 사용되는 반원통 사다리꼴 날개 사시도
도 9은 동상 실시예에 사용되는 리베트 단면도
도 10은 동상 실시예에 사용되는 유량조절장치 조립체 단면도
도 11는 본 발명에 의한 충격흡수장치만 가진 수전금구 연결 플라스틱 T자 관이음쇠의 다른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12는 본 발명에 의해 상향 몸체부에 수용하는 충격흡수장치로 사용하는 밀봉 튜브의 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에 의해 사용되는 일편 막힘 관체의 단면도
도 14는 본 발명에 의해 사용되는 플라스틱으로만 형성한 상향 몸체부 단면도
도 15은 본 발명에 의해 사용되는 역류 방지판의 사시도
도 16은 본 발명에 의한 역류방지판을 가진 플라스틱 T자 관이음쇠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17는 본 발명에 의해 변형이 된 다른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플라스틱 T자 관이음쇠
도 18는 본 발명에 의해 유량조절 장치만 가진 다른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일자형 관이음쇠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플라스틱 T자 관이음쇠 2 : 하우징
3 : 테이퍼 암나사 4 : 후관체부
5 : 절개부 6 : 요철부
7 : 금속 소켓 8 : 돌출 몸체부
9 : 붓싱 10 : 금속관
11 : 환턱구 12 : 공기실
13 : 상향 몸체부 14 : 급수관 연결구
15 : 하향 몸체부 16 : V홈
17 : 환형요함 18 : 후렉시블 튜브
19 : 와셔 20 : U컵
21 : 압축스프링 22 : 환형 돌출부
23 : 마개 24 : 기체(공기, 개스)
25 : 직사각형 구 26 : 지지링
27 : 리베트 구 28 : 수납구
29 : 하단 플랜지 30 : 급수튜브
31 : 조절 스프링 32 : 핀구
33 : 스프링 지지면 34 : 급수압 수납면
35 : 고리 연결구 36 : 후레임 튜브
37 : 연결고리 38 : 테이퍼 요함면
39 : 직사각형 리베트 구 40 : 반원통 사다리꼴 날개
41 : 빠짐 방지턱 42 : 요홈
43 : 돌출 스톱퍼 44 : 스냅링 요홈
45 : 리베트 46 : 스냅링
47 : 핀 48 : 아답터
49 : 밀봉 튜브 50 : 일편 막힘관체
51 : 역류 방지판 52 : 고정대
53 : 볼트구 54 : 볼트·너트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충격흡수장치와 유량조절장치를 병행하여 가진 일체형의 수전금구 연결 플라스틱T자관이음쇠의(이하 T자관이음쇠로 표기)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도면에 있어서 부호 1은 수도꼭지나 기기류등의 수전금구를 연결하는데 사용하는 T자관이음쇠(1)이다.
상기의 T자관이음쇠(1)는 몸체부를 고분자 물질인 플라스틱을 사출성형하여 제조하는데 이는, 대량생산이 가능하고, 원자재비가 저렴하며, 성형품의 사후 가공이 없어, 경제성이 우수하며 중량이 가벼워서 건물의 부하 하중을 경감시키는 등의 장점이 있기 때문이다.
상기의 T자관이음쇠에서 중간위치의 돌출몸체부(8)는 수전금구와 체결되는 접속구로 사용을 하는데 거의 모든 수전금구가 금속체이고 금속으로 된 숫나사식 접속구를 가지고 있어 T자관이음쇠(1)의 돌출몸체부(8) 내주에는 하우징(2)과 결합된 금속소켓(7)을 조합, 성형하여 금속소켓(7)에 형성되어 있는 관용의 테이퍼암나사(3)와 수도꼭지의 숫나사부가 접속, 체결된다.
상기의 금속소켓(7)을 T자관이음쇠(1)의 돌출몸체부(8)에 조합, 성형하여 사용하는 것은 금속나사와 플라스틱 나사가 직접 체결하게 되면 두 물질의 열팽창계수 차이로 인해(금속 열팽창계수 > 16.5mm/mm℃×10-6, 플라스틱 열팽창계수 <40.0mm/mm℃×10-6) 온수에서 사용시 결합된 나사부에 누수가 발생하게 되며, 금속나사와 플라스틱 나사가 체결할 때 강도와 경도가 낮은 플라스틱 나사체가 마모등을 일으키기 때문이다.
수전금구의 숫나사와 T자관이음쇠(1)에 성형조합된 금속소켓(7)의 테이퍼암나사(3)가 접속체결하게되면 양측은 회전 토르크에 의한 응력이 발생하고 특히 테이퍼암나사(3)는 외측·외경방향으로 확관·변형을 일으키게 되며, 테이퍼암나사(3)가 확관변형을 하게 되면 플라스틱 몸체도 따라서 변형을 일으키게 되며 금속소켓(7)과 플라스틱은 성형조합이 화학적 결합이 아닌 두 물질이 밀착·압압되어 결합된 상태이어서 변형이 된 플라스틱 몸체와 금속소켓(7) 외측 사이에 미세한 틈새를 형성하게 되어 누수의 발생원인이 된다.
이에 본 발명은 금속소켓(7)과 하우징(2)으로 구성이 된 결합체를 플라스틱의 돌출몸체부에 조합·성형하는 방법으로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는데, 도 2에서와 같은 금속소켓(7)은 관용규격(PT나사)의 길이를 가진 테이퍼암나사(3)부와 후관체부(4)로 구성이 되고 테이퍼암나사(3)부 외경에는 다수개의 요철부가 형성하고 있으며, 후관체부(4)에는 후단부에서 시작하는 축방향으로 +자 형상의 절개부(5)가 형성하게 되며 하우징(2)은 도 3에서와 같이 금속소켓(7)의 후관체부(4) 외측으로 삽입되어서 고정, 결합되어 후관체부(4)의 절개부(5) 외측 원주둘레를 막게 한다.
상기의 금속소켓(7)의 요철부(6)로 인해 플라스틱 몸체 살부분과는 맞닿는 표면적이 크게 되어서 조합, 성형된 금속소켓(7) 결합체와 플라스틱 몸체간의 파지강도를 높일수 있으며, 플라스틱을 성형시 후관체부(4)의 +자 형상의 절개부(5)에 충진된 플라스틱 살로 인해 나사배관시 발생하는 토르크 응력에서 금속소켓(7)의 회전등 움직임을 방지할수 있으며, 테이퍼암나사(3)부가 외측으로 확관 변형이 되더라도 후관체부(4)에는 영향이 미치지 않지만 금속소켓(7)은 테이퍼암나사(3)부와 후관체부(4)가 한 몸체로 되어있기 때문에 확관변형시 후관체부(4)에 극소한 영향을 미치더라도, 후관체부(4)에 미세한 틈새를 가지고 결합한 하우징(2)에는 영향을 받지 않게되어 성형조합이 된 금속소켓(7) 결합체와 플라스틱 내측살은 초기의 밀착압압 상태를 유지하게 되어 누수를 방지하게 된다.
상기의 T자관이음쇠(1) 상향몸체부(13)로는 충격흡수장치가 수용하게 되는데 수도꼭지의 밸브를 닫게되면 발생하는 높은 압력이 상향 몸체부로 밀려올라 가면서 하기에는 설명하는 충격흡수장치가 작동하게 되지만 이와함께 상향몸체부(13)의 내측에도 높은 인장 응력이 발생하게 된다.
이에 본 발명은 플라스틱 상향 몸체부(13) 내측에 길이가 5∼15cm정도이고 플라스틱보다 높은 강도를 가진 금속관을 조합하여 사출성형하고, 금속관(10) 끝단을 금속체 붓싱(9)으로 밀봉하여, 붓싱(9)의 상단부를 플라스틱으로 막는 형상을 가진 2중살 구조로 제조를 하여 상방향몸체부(13)의 강도를 높이게 된다.
상기의 상향몸체부(13)는 내측 하단에 금속관(10) 내경보다 적은 환턱구(11)를 형성하며, 환턱구(11)와 돌출몸체부(8) 사이는 일정길이의 공간인 공기실(12)이 형성하는 식의 형상으로 구성을 한다.
상기의 T자관이음쇠(1) 상향몸체부(13)의 금속관(10) 내측 공간부에는 환턱구(11)에 지지되어서 도 5에서와 같은 충격흡수장치 조립체가 수용한다.
상기의 구성체인 도 4에서와 같은 후렉시블튜브(18)는 고무재로 ㄷ자 형상이며 외경이 상향몸체부(13) 내경보다 0.3∼2.0mm 적고 길이는 상향몸체부(13) 내측길이와 같거나 +20% 정도의 길이를 가지게 되며, 길이방향으로 다수개이며 50∼80°각도의 V홈(16)이 내경과 외경에 교차하는 주름 형상으로 되어있으며, V홈(16)의 깊이는 후렉시블튜브(18) 살두께를 기준하여 내외부가 각각 살두께의 반보다 깊은 형상이고, 다수개의 V홈(16) 간격 사이마다 형성하는 후렉시블튜브(18) 내외경의 일직선인 살부분은 상향몸체부(13) 내측에서 압축복원이 될 때, 상향몸체부(13) 벽과 마찰이 되면서 마모나 변질이 발생할 때 내력을 가지어서 후렉시블튜브(13)의 수명을 연장할 수가 있기 때문이다.
상기의 ㄷ자형 후렉시블튜브(18)의 상단부는 원주살 중심부에 환형요함(17)이 형성되어 고무재인 마개(23)에 형성되어 있는 환형돌출부(22)와 끼워져서 조합이 될 때 접착 및 밀봉제의 도포면적을 크게 하므로, 접착성능을 높이게 한다.
이와같은 형상의 후렉시블튜브(18)에 힘을 가하여 압축하면 V홈(18)부가 서로 맞닿기 때문에 압축길이를 최소화 할 수가 있다.
상기의 후렉시블튜브(18) 내측 공간부에는 압축스프링(21)을 내장하여 수도꼭지를 개폐하면서 순간적으로 발생하는 압력파를 스프링의 고유기능인 반발탄성에 의한 완충역활이 후렉시블튜브(18)가 마개(23)에 의해 밀봉되면 후렉시블튜브(18) 내측 공간부에 자연적으로 충진된 기체(24)와 함께 압축하면서 압력파의 에너지를 상쇄하여 감소시키는 식으로 충격을 흡수·완화하는 일을 담당하게 된다.
건물에서 시공되는 급수압력이 4.0∼5.0kg/cm2이하이므로 상기의 후렉시블튜브(18) 내측에 수용하는 압축스프링(21)은 초기의 장력을 4.0∼5.0kg/cm2로 규정시킨후 다시 하중의 규정을 가지고 내장이 된다.
상기의 압축스프링(21)의 일측 선단은 금속와셔(19)로 지지하여 후렉시블튜브(18) 내측으로 수용하는데 이것은 고무재인 후렉시블튜브(18) 내측 하단면과 압축스프링(21) 사이를 와셔(19)가 분리시켜 후렉시블튜브(18)의 내구성을 증대시키는 수단이다.
상기의 압축스프링(21)은 반대방향 선단에도 U컵(20)에 지지되어 내장하므로서 후렉시블튜브(18)의 상단부를 접착 밀봉하는 고무재인 마개(23)를 보호하는 목적과 후렉시블튜브(18) 내주면과 U컵(20) 외주면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압축스프링(21)을 내장하게 되면 일차로 U컵(20)과 후렉시블튜브(18) 내주면이 접착, 밀봉이 되고
이차로 마개(23)에 의해 후렉시블튜브(18) 상단부가 접착, 밀봉하게 되는 이중식 접착 밀봉식이 되어 반복하는 압축 복원운동에서 후렉시블튜브(18)의 밀봉구조를 견고하게 하여 내구성을 증대시키게 한다.
상기의 구성체로 조립이 된 도 5에서와 같은 충격흡수장치 조립체는 T자관이음쇠(1) 상향몸체부(13)의 내측 공간부 하단의 환턱구(11)에 지지되어 수용이 된다.
상기의 환형 환턱구(11)의 내경은 파스칼의 원리에 따라 내경 단면적을 통과하는 압력파인 물의 힘을 규정하게 되어, 충격흡수장치에 내장이 된 압축스프링(21)이 비례하는 하중의 규정조정을 가지도록 하는 역할도 함께 수행한다.
상기의 충격흡수장치의 조립체 작용을 설명하면
1. 수도꼭지를 사용할 때
토리체리의 정리에 따라 물은 정압과 동압으로 개방이 된 수도꼭지를 유출하게 되지만, 상향몸체부(13)에 수용된 충격흡수장치는 초기의 장력이 4.0∼5.0kg/cm2로 규정되어 있어 압축운동을 하지 않고 초기현상을 유지하고 있다.
2. 수도꼭지를 닫게되면
갑자기 막힌 벽으로 인해 흐르고 있던 물은 운동에너지가 압력에너지로 변하면서 차단점으로부터 높은 충격파와 압력에너지를 발생하면서 상향몸체부(13)에 내장된 충격흡수장치에 전단의 힘으로 작용을 한다. 충격파와 압력에너지로 생긴 전단의 힘으로 압축스프링(21)과 기체(24)가 내장이 된 후렉시블튜브(18) 조립체는 압축하면서 충격파와 압력에너지를 흡수·완화하는 일을 하게되고, 이와함께 압축하는 후렉시블튜브(18)로 인해 생긴 상향몸체부(13) 내측 공간부는 순간적으로 높아진 압력유체인 비압축성인 물이 유입하므로서 급수관체의 압력에너지를 흡수하게 된다.
3. 임의의 시간이 경과되면
상향몸체부(13) 내측 공간부에 유입하였던 물은 시간이 경과하면서 급수관체내 물이 정상적인 평시의 정압으로 돌아가면 압축스프링(21)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후렉시블튜브(18) 조립체는 원래상태로 복원이 되고 상향몸체부(13) 내측 공간부에 유입한 물이 밀리면서 급수관체내로 돌려보내지게 되고, 이와같은 일은 수도꼭지를 사용할 때마다 반복하면서 시행하게 된다.
통상 물에 포함이 된 소량의 기체는 물보다 가볍기 때문에 배관 어느구역 제일 높은곳으로 집합하게되며, 배관의 말단이며 배관구조상 높은위치에 해당하는 수도꼭지나 기기류에 집합된 기체는 수도꼭지를 열었을 때, 물과 기체가 혼합되어 흐르게 되면서 소음을 유발하게 되어 사용인에게 불편을 초래하게 된다.
상기의 상향몸체부(13)에 내측의 환턱구(11) 하측이며, 돌출관체부(8) 상측사이 공간인 공기실(12)은 물에서 발생하는 기체가 집합하는 공간으로 사용하므로서 갑자기 기체가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서서히 물과 혼합되어 유출하기 위함이다.
상기의 T자관이음쇠(1) 하향몸체부(15) 끝단부에는 배관으로 이어진 급수관체와 연결하기 위해 급수관연결구(14)가 형성하는데 급수관체 접속방식에 따라 숫나사가 형성하든가 암나사 또는 용접식 구 등의 여러 가지 형상으로 급수관연결구(14)를 가지게 된다.
상기의 하향몸체부(15)는 급수관연결구(14) 상향 내측공간부에 급수압력의 강약에 의한 전단력에 의해 유량이 조절되는 도 10에서와 같은 유량조절장치 조립체가 수용이 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하기에서 설명하는 급수튜브(30)와 후레임튜브(36), 조절스프링(31), 반원통사다리꼴날개(40), 리베트(45) 등으로 구성하는 유량조절장치 조립체를 사용하는데 도 6에서와 같은 급수튜브(30)는 관체 내경이 배관되는 급수관의 내경과는 같거나 유사한 내경이고, 축방향으로는 하단부 임의의 지점에서 관체 중앙부까지 대칭하여 2개의 직사각형구(25)가 형성하고 직사각형구(25) 상부로는 조절스프링(31)을 지지하기 위해 관체 외경에 고정된 지지링(26)이 구성하게 되며 다시 지지링(26) 상부방향에 대칭하여 2개의 리베트구(27)가 형성하며 급수튜브(30) 하단의 끝단에 도 6에서와 같이 다수개의 수납구(28)를 형성한 하단플랜지(29)가 고정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구성을 하게된다.
상기의 조절스프링(31)은 급수압력의 전단력인 하중에 의해 압축운동을 하도록 하중의 규정 조정이 되어서, 내식성 자재인 스테인레스 자재로 제조되어 수용을 게 된다.
도 7에서와 같은 H형상의 후레임튜브(36)는 중간부 원주내경이 급수튜브의 외경보다 0.05∼0.15mm 큰 내경으로 되었고, 하향몸체부(15) 내경보다는 0.05∼0.15mm 적은 외경이어서 급수튜브(30)에 끼워지면 상하로 자유롭게 왕복할 수가 있으며, 중간부 원주둘레에는 임의의 지점에 대칭한 2개의 고리연결구(35)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의 후레임튜브(36)를 조립할 때 일단면을 급수압수납면(34)으로 사용하게 되며 나머지 일단면은 조절스프링(31)을 지지하는 스프링지지면(33)으로 사용을 하며 급수압수납면(34)과 스프링지지면(33)에는 반원통사다리꼴날개(40)의 연결고리(37)와 체결하는 핀구(32)를 형성하는 구성을 하게 된다.
도 8에서와 같은 반원통사다리꼴날개(40)는 원주곡률이 급수튜브 내주면 곡률과 같으며 하단부의 반원통 길이는 급수튜브(30)의 원주둘레 길이의 반정도이고 상단부 방향으로 가면서 반원통 길이가 적어지는 사다리꼴 반원통 형상이며 하단부의 끝단에는 중심부 위치에 외측으로 90℃ 각도로 절곡되었으며 중심부에 타원형의 핀구(32)를 가진 연결고리(37)가 형성하고, 다시 반원통사다리꼴날개(40)는 상단부 끝단에서 시작하고 중심부 위치의 내측 방향으로형상으로 돌출하여 하단 방향으로 가면서 돌출하는 깊이가 적어지는 테이퍼 형상의 테이퍼요함면(38)이 형성을 하며 테이퍼요함면(38) 중앙에는 직사각형리베트구(39)가 형성하는 식으로 구성되어 있다.
도 9에서와 같은 리베트(45)는 반원통사다리꼴날개(40)의 직사각형리베트구(39)에 끼워지는 요홈(42)과 이탈하거나 빠지지 못하게 하는 선단의 빠짐방지턱(41)과, 급수튜브(30) 내경에 밀착되어서 반원통사다리꼴날개(40)의 상단부 끝 테이퍼요함면(38) 깊이만큼의 길이를 가진 돌출스톱퍼(43)와 급수튜브(30)의 리베트구(27)를 관통하여 스냅링(46)으로 고정되는 스냅링요홈(44) 등으로 구성이 된다.
상기의 구성체들을 급수튜브(30)를 가운데로 하고 외측으로 지지링(26)에 지지하여 조절스프링(31)을 끼우고 후레임튜브(36)는 스프링지지면(33)이 조절스프링(31)에 접촉하도록 급수튜브(30)에 삽입을 한다.
또한, 상기의 리베트(45)는 돌출스톱퍼(43)부가 급수튜브(30)의 내경에 밀착하여 리베트구(27)로 관통시킨후 급수튜브(30) 외측에서 스냅링요홈(44)에 스냅링(46)으로 체결 고정하는 조립을 하고 급수튜브(30) 내측으로 반원통사다리꼴날개(40)를 삽입하여 연결고리(37)가 급수튜브(30)의 직사각형구(25)를 관통하여 후레임튜브(36)의 고리연결구(35)에 끼워서 연결고리(37)에 형성된 핀구(32)에 핀(47)을 삽입하여서 고정을 하고 반원통사다리꼴날개(40) 상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직사각형리베트구(39)에는 급수튜브(30)에 고정되어 있는 리베트(45)의 요홈(42)에 끼워지도록 조립을 하며, 이와같은 방식으로 급수튜브(30)에는 대칭하여 반원통사다리꼴날개(40)를 2개 수용하게 된다.
상기의 반원통사다리꼴날개(40)를 급수튜브(30)내에 2개로 수용하게 하는 것은 추가장치 없이 2개의 반원통사다리꼴날개(40)를 조절할 수가 있고 관로를 효율적으로 줄일수 있으며 급수되는 물을 급수튜브(30) 내경 가운데로 통과하도록 하므로서 소음과 마찰등을 감소하고 이물질이 누적되지 않도록 하기위한 수단이다.
상기로 조립후 급수튜브(30)의 하단부를 하단플랜지(29)로 체결하여 고정하면 급수튜브(30)의 내·외측에 수용이된 조절스프링(31)과 반원통사다리꼴날개(40)등은 급수튜브(30) 관체 밖으로 이탈하지 못하게 수용을 할 수가 있다.
이와같은 조립으로 급수튜브(30) 내주면에 수용이 된 반원통사다리꼴날개(40)는 급수튜브(30) 내측에서 수직면을 하면서 급수튜브(30) 내경에 밀착을 한 형상으로 수용을 할 수가 있다.
도 10에서와 같은 조립체에서 후레임튜브(36)의 급수압수납면(34)에 힘을 가하게 되면 조절스프링(31)이 압축을 하며 후레임튜브(36)도 급수튜브(30) 축방향으로 움직이게 되며 후레임튜브(36)가 움직이면 반원통사다리꼴날개(40)의 연결고리(37)가 후레임튜브(36)의 고리연결구(35)에 끼워져서 고정하고 있으므로 급수튜브(30)의 직사각형구(25)를 따라서 반원통사다리꼴날개(40)도 리베트(45)의 요홈(42)에 끼워져있는 직사각형리베트구(39)를 따라서 급수튜브(30) 내측에서 축방향으로 움직이게 된다.
이때 리베트(45)의 돌출스톱퍼(43)가 지지되어 있는형상의 테이퍼요함면(38)은 반원통사다리꼴날개(40)가 움직이는 길이에 비례하여 테이퍼에 의해 줄어드는 테이퍼요함면(38) 깊이만큼을 리베트(45)의 돌출스톱퍼(43)가 반원통사다리꼴날개(40) 상단부를 미는 결과를 얻게 되므로 반원통사다리꼴날개(40)의 상단부가 급수튜브(30) 내경 중심부로 벌어지게 된다.
이로인해 2개의 반원통사다리꼴날개(40)가 급수튜브(30) 내측에서 경사각에 의한 경사면으로 변하면서 급수튜브(30)의 관로 즉 관경을 가변적으로 줄이도록 하는 결과를 가지게 된다.
상기의 유량조절장치 조립체는 T자관이음쇠(1) 하향몸체부(15) 내측 중심부로 고정하며 수용이 된다.
상기의 유량조절장치 조립체의 작용을 설명하면
급수관과 연결한 T자관이음쇠(1)는 각각 설치한 위치에서 공급되는 급수압력의 물로 채워지게 되고, 하단플랜지(29)와 다수개의 수납구(28)를 통과하여 후레임튜브(36) 급수압수납면(34)으로 급수압의 전단력이 전달하게 된다.
1. 제어범위 이하시
조절스프링(31)에 지지되어서 수용된 후레임튜브(36)를 구동시키지 못하는 급수전단압력에서는 급수튜브(30) 내주면에 수직면으로 밀착하고 있는 반원통사다리꼴날개(40)로 인하여 급수관체의 유량과 급수튜브(30)의 유량이 동일하게 흐르게 된다.
2. 제어범위 초과시
후레임튜브(36)가 구동하는 급수 전단압력에서는 반원통사다리꼴날개(40)가 상향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단부가 벌어지는데 급수압력의 강약에 비례하여 후레임튜브(30)도 이동거리가 달라지게 되므로 2개의 반원통사다리꼴날개(40)의 상단부도 경사면 각도가 비례하여 오므라지면서 가변적으로 급수튜브(30)의 관경(오리피스)을 달리하면서 유량을 조절하게 한다.
상기의 유량조절장치는 입구측 급수압력 전단력이 크거나 압력변동의 발생에 관계없이 통상 1.5kg/cm2에서의 급수압 토출량으로 물이 흐르도록 정유량식 유량조절 방법으로 제조를 하며 1.8kg/cm2, 2.0kg/cm2등으로 구분하여 형식에 따라 각각 규정한 압력에서 정유량식 유량조절을 하도록 제조가 되며, 이와같은 유량조절은 조절스프링(31)의 규정하중을 달리하든가 반원통사다리꼴날개(40)의 테이퍼요함면(38), 테이퍼 각도등을 달리하는 방식으로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게 된다.
통상 건물내에서 사용되는 물은 1.5∼1.8kg/cm2정도의 급수압력에서 수도꼭지로 토출하는 유량이면 특수한 용도의 기구를 제외한 씽크나 샤워, 세면기등에서는 생활거주인이 불편함이 없이 쾌적하게 물을 사용을 할 수가 있으므로,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하향몸체부(15)의 유량조절 장치는 상기의 급수 압력범위 또는 보다 낮은 급수압력에서는 제어범위 이하, 즉 후레임튜브(36)와 조절스프링(31) 반원통사다리꼴날개(40)가 운동을 할 수가 없기 때문에 하향몸체부(15)의 유량조절장치는 불필요하며 비경제적인 장치가 될 수밖에 없다.
이에 본 발명은 유량조절장치를 생략하고 상향몸체부(13)에 충격흡수장치만 수용이 된 도 11에서와 같은 수전금구 연결 T자관이음쇠(1)로 제작하므로서 상기의 급수압력범위이거나 그 이하의 낮은 급수압으로 설계와 시공이 되는 건물과 최고급수압력(중력차로 상층부, 하층부는 수압차가 발생)으로 시공된 건물이더라도 상기의 급수압력범위나 그 이하의 급수압으로 수도꼭지가 설치된 상층부에 해당하는 층수에 구분되어서 사용하므로서 경제성있는 제조원가로 공사비와 시공비를 절감하도록 한다.
급수관으로 사용되는 일반적인 파이프 재료로는 물에서 녹발생이 없는 내식성 자재로 동관이나 스테인리스 강관 또는 근래에 사용되는 여러 가지 플라스틱 소재의 관들이 있으며 상기의 관들과 관이음쇠는 제조메이커의 접속방식에 따라 관과 관 또는 관과 관이음쇠등을 접속배관하는 방식이 서로 상이하다.
이에 본 발명은 T자 관이음쇠(1)의 하향몸체부(15) 끝단부에 형성하고 있는 숫나사나 암나사, 용접식등의 급수관연결구(22)와 다른 접속방식의 관체 연결 형상에는 이것들과 호환성있는 배관접속을 위하여 일편이 숫나사나 암나사 형상의 접속구를 가지고 다른 일편에 여러 가지 형상의 배관접속구 형상으로 구성한 별도의 아답터(48)를 T자관이음쇠(1)의 급수관연결구(22)인 숫나사나 암나사와 체결고정하여 사용하게 된다.
상기 T자관이음쇠(1) 상향몸체부(13)에 수용하는 다른 방식의 충격흡수장치로는 후렉시블튜브(18)와 마개(23), U컵(20)으로 구성한 밀봉체에 내측 공간부에 수용하고 있는 압축스프링(21)과 와셔(19)를 생략하고 고압의 (4kg/cm2± 10%) 기체(24)로만 충진한 것이던가, 도 12에서와 같이 고압의 기체(24)가 충진이 된 고무제의 공모양인 밀봉튜브(49)식으로 상향몸체부(13)에 수용하여 충격흡수장치로 사용할 수가 있으며, 상기의 후렉시블튜브(18) 조립체와 밀봉튜브(49)는 1개의 몸체로 구성하였든가 다수개로 독립되어 구성한 형상으로 상향몸체부(13)에 수용하게 된다.
상기의 상향몸체부(13)에 조합 성형체인 금속관(10)과 붓싱(9)을 대신하여 플라스틱 상향몸체부(13) 내측으로 도 13에서와 같은 상향몸체부(13) 플라스틱 관체 내경에 비해 0.03∼0.2mm 적은 외경을 가진 일편막힘관체(50)를 삽입하여 접착제로 접합고정하게 되면 금속관(10)과 붓싱(9)이 가지는 기능과 강도를 보지할 수가 있게 되며 금속관(10)과 붓싱(9)의 구성체나 일편막힘 관체(50)가 없이 도 14에서와 같은 플라스틱 몸체로만 형성하여 구성하는 상향몸체부(13)를 가지는 플라스틱 T자 관이음쇠로 제조를 할 수가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T자관이음쇠(1) 하향몸체부(15)의 급수관연결구(14) 상향으로 구성하게 되는 도 15에서와 같은 일정 무게의 중량을 가진 역류방지판(51)을 도 16에서와 같이 하향몸체부(15)에 형성한 고정대(52)에 역류방지판(51)의 볼트구(53)와 고정대(52)의 볼트구(53)에 느슨한 볼트(54)와 너트 체결식으로 고정되어서 원주방향 수평으로 수용이 되며, 고정대(52)에 지지되어 반대방향이 상향 방향으로만 90°각도로 열리는 구조가 된다.
상기의 역류방지판(51) 작동원리는
1. 수도꼭지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
역류방지판(51)은 하향몸체부(15) 원주방향 수평위치에서 급수관로를 막고 있기 때문에 반대방향의 유체에 의한 열영향에 의한 열전도와 역류를 방지하게 된다.
2. 수도꼭지를 사용할 때
급수압의 전단력에 의해 부력이 발생하여 역류방지판(51)이 90°각도로 들어올려지면서 급수관로가 열리게 된다.
3. 수도꼭지를 닫게되면
자체무제로 역류방지판(51)은 원주방향 수평위치로 환원하면서 다시 급수관로를 차단한다.
이상의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수전금구 연결 플라스틱 T자 관이음쇠가 충격 흡수장치와 유량조절장치를 병행하게 되면
1. 후가공이 없는 플라스틱 성형품으로 경제성을 높히게 되고
2. 수도꼭지가 개폐하는 밸브 바로 위에 충격흡수 완화장치가 수용되어 충격흡수 능력이 극대화되고
3. 워터해머를 흡수하여 소음과 진동을 방지하거나 줄이게 되며
4. 수격작용으로부터 관과 그 부속류를 보호하여 배관 수명을 증대시키고
5. 관이음쇠와 충격흡수장치가 일체화 되어있어 배관의 공기가 단축되고, 접합 및 관부속이 필요하지 않으며 별도의 공사비가 필요하지 않게되어 공사비를 절감할 수 있으며
6. 필요이상의 급수량을 조절하게 되어 절수를 하며
7. 건물의 고층부와 저층부는 급수량이 밸런스를 가지므로 설비기술에 대한 차원 높은 서비스를 제공하며
8. 고도의 기술과 복잡한 설계계산을 단순화하게 되어 맨 파워를 감소할수 있고
9. 급수압력을 줄이기 위한 수단으로 장치하는 감압밸브와 이와함께 시설되는 급수배관을 생략할 수 있고
10. 별도의 설치공간이 필요없다는 등이 있다.

Claims (12)

  1. 플라스틱 T자 관이음쇠(1)와,
    상기 플라스틱 T자 관이음쇠의 중간위치는 하우징(2), 과 결합하며 선단에는 테이퍼 암나사(3), 가 형성하고 후관체부(4), 에는 끝단부에서 시작하여 축방향으로 절개부(5), 를 형성하며 외경에 다수개의 요철부(6), 가 형성이 된 구성의 금속소켓(7), 이 조합성형되어서 수전금구와 체결하도록 형성이 된 돌출몸체부(8)와,
    상기 플라스틱 T자 관이음쇠는 길이가 5∼15cm 정도로 내측에는 끝단이 붓싱(9), 으로 막힌 금속관(10), 이 조합·성형하였고, 붓싱 상단부가 플라스틱으로 다시 막혀 있으며 내측 하단부에 내경보다 적게 형성하는 환턱구(11), 와 공기실(12), 이 형성한 충격흡수장치를 수용하는 상향 몸체부(13)와,
    상기 플라스틱 T자 관이음쇠는 유량조절장치를 수용하는 내측 공간부를 형성하고 끝단부에 급수관체와 체결하는 급수관 연결구(14), 가 형성된 하향 몸체부(15)와,
    상기 플라스틱 T자 관이음쇠의 상향몸체부 내측 공간부에 수용되는 고무재로 ㄷ자 형상으로 길이방향으로는 다수개의 V홈(16), 이 내경과 외경에 교차하여 형성되고 끝단 원주살 중심부에 환형요함(17), 이 형성된 후렉시블 튜브(18)와,
    상기의 후렉시블 튜브 내측 공간에는 하단이 와셔(19), 에 지지되고 상단은 U컵(20), 에 지지되어 수용이 된 압축 스프링(21)과,
    상기의 후렉시블 튜브 상단부에 접착밀봉 조합하는 환형돌출부(22), 가 형성한 고무재인 마개(23), 로 조립되어서 상향몸체부에 수용하는 충격흡수장치 조립체와,
    상기의 T자 관이음쇠 하향몸체부 내측으로 수용되는 관체 축방향으로 하단부에 시작하여 임의의 지점까지 대칭하여 형성한 2개의 직사각형구(25)와, 스프링지지 수단으로 관체 외주면에 돌출하여 고정한 지지링(26), 과 리베트가 관통하는 대칭한 2개의 리베트 구(27)와, 관체 하단부에 고정하여 유체가 통과하는 다수개의 수납구(28), 를 가진 하단플랜지(29)와, 로 구성되어 있는 급수튜브(30)와,
    상기 급수튜브 외측에 수용하는 유량조절 비율을 정하는 조절스프링(31), 과 상기 조절 스프링에 지지되어서 수용하는 핀구(32), 가 형성한 스프링 지지면(33), 과 급수압 수납면(34), 이 구성을 한 H형 형상으로 중간원주 몸체에는 대칭한 2개의 고리연결구(35), 와로 구성되어 있는 후레임 튜브(36)와,
    상기 급수튜브 내측에는 급수튜브 내경 곡률과 같은 곡률이고 하단부의 반원길이가 급수튜브 원주둘레 길이의 반정도이며 상단부로 가면서 원주둘레 길이가 적어지는 사다리꼴 반원통 형상으로, 하단부에는 중심에 외측방향으로 90°각도로 절곡되었고 핀구(32), 가 형성한 연결고리(37)와, 사다리꼴 반원통 상단부는 내측이며 중심부 위치에 상단부에서 시작한형상으로 돌출하였고 하단부로 가면서 돌출부 깊이가 적어지는 형상의 테이퍼 요함면(38)과, 테이퍼 요함면 중앙에 형성된 직사각형 리베트구(39), 로 구성하는 반원통 사다리꼴 날개(40)와,
    상기의 급수튜브와 반원통 사다리꼴 날개를 연결 고정하는 빠짐방지턱(41), 과 요홈(42), 과 돌출스톱퍼(43), 와 스냅링 요홈(44), 으로 구성되어 있는 리베트(45)와,
    상기의 리베트를 고정하는 스냅링(46)과,
    상기의 구성체들을 급수튜브 외측으로 지지링에 지지하여 조절스프링을 끼우고 조절 스프링에 지지하여 후레임 튜브를 삽입하며 급수튜브 내측에는 2개의 반원통 사다리꼴 날개를 삽입하여 하단부의 연결고리가 급수튜브 직사각형구를 관통하여 후레임튜브의 고리연결구에 삽입되어서 핀구에는 핀(47), 으로 고정되고 반원통 사다리꼴 날개의 상단부 직사각형 리베트구에는 리베트의 요홈에 끼워지고 리베트는 돌출 스톱퍼 끝단이 급수튜브 내측에 지지되어 리베트구를 관통한 후 스냅링 요홈에 스냅링이 체결 고정하는 조립체와
    상기 조립체인 상기 유량조절장치 조립체가 하향 몸체부 내측에 삽입·내장된 것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수전금구 연결 플라스틱 T자 관이음쇠
  2. 제1항의 방법으로 제조된 물건을 이용하여 플라스틱T자관이음쇠의 상향몸체부에 충격흡수장치 조립체만 수용하여 형성되어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전금구 연결 플라스틱T자관이음쇠(도 11)
  3. 제2항의 방법으로 제조된 물건을 이용하여 관이음쇠의 상향몸체부(13)와 하향몸체부(15)에는 급수관연결구(14)가 형성하고 돌출몸체부(8)에 충격흡수장치가 수용하여 형성되어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전금구 연결 플라스틱T자관이음쇠(도 17)
  4. 제1항 또는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의 플라스틱T자관이음쇠는 별도의 급수관연결구(14)에 아답터가 체결하여 형성되어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전금구 연결 플라스틱T자관이음쇠
  5. 제1항 또는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수도꼭지 연결구에 금속소켓(7)으로만 조합성형하여 형성되어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전금구 연결 플라스틱T자관이음쇠
  6. 제1항 또는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충격흡수장치가 수용하는 몸체부는 내측에 일편 막힘관체(50)가 삽입고정되어 형성되어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전금구 연결 플라스틱T자관이음쇠
  7. 제1항 또는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충격흡수장치가 수용하는 몸체부는 플라스틱 몸체로만 형성되어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전금구 연결 플라스틱T자관이음쇠
  8. 제1항 또는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충격흡수장치는 후렉시블튜브(18)와 마개(23), U컵(20)으로 구성하고 내부공간부에 고압의 기체(24)로만 충진되어 1개 또는 다수개로 분활하여 수용되어 형성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전금구 연결 플라스틱T자관이음쇠
  9. 제1항 또는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충격흡수장치는 고압의 기체(24)가 충진이 된 밀봉튜브(49)가 1개 또는 다수개로 분활하여 수용되어 형성되어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전금구 연결 플라스틱T자관이음쇠
  10. 제1항 또는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충격흡수장치는 탄성체인 고무와 압축스프링이 조합된 형상으로 1개 또는 다수개로 분활하여 수용되어 형성되어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전금구 연결 플라스틱T자관이음쇠
  11. 제1항에 있어서, 하향몸체부(15)에 유량의 역류방지판(51)이 형성되어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전금구 연결 플라스틱T자관이음쇠
  12. 제1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유량조절장치로만 형성하여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자형 관이음쇠(도 18)
KR1019990037751A 1999-09-06 1999-09-06 수전금구 연결 플라스틱 t자 관이음쇠 KR20010026436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7751A KR20010026436A (ko) 1999-09-06 1999-09-06 수전금구 연결 플라스틱 t자 관이음쇠
KR2019990019001U KR200176621Y1 (ko) 1999-09-06 1999-09-07 수전금구 연결 플라스틱 t자 관이음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7751A KR20010026436A (ko) 1999-09-06 1999-09-06 수전금구 연결 플라스틱 t자 관이음쇠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19001U Division KR200176621Y1 (ko) 1999-09-06 1999-09-07 수전금구 연결 플라스틱 t자 관이음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26436A true KR20010026436A (ko) 2001-04-06

Family

ID=196102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37751A KR20010026436A (ko) 1999-09-06 1999-09-06 수전금구 연결 플라스틱 t자 관이음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026436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375139A (zh) * 2019-07-19 2019-10-25 余果 一种液压管线接头
CN111306393A (zh) * 2019-11-26 2020-06-19 烟台大学 用于降低水击作用的管道辅助装置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17800A (en) * 1978-07-22 1980-02-07 Bosch Gmbh Robert Noise absorbing device for pressure vibration of carrying medium
JPS5911959U (ja) * 1982-07-16 1984-01-25 株式会社丸山製作所 往復動ポンプの脈動吸収装置
JPS61193288U (ko) * 1985-05-23 1986-12-01
JPH043194U (ko) * 1990-04-23 1992-01-13
KR19990080978A (ko) * 1998-04-24 1999-11-15 강철 수도꼭지 접속 티자 관이음쇠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17800A (en) * 1978-07-22 1980-02-07 Bosch Gmbh Robert Noise absorbing device for pressure vibration of carrying medium
JPS5911959U (ja) * 1982-07-16 1984-01-25 株式会社丸山製作所 往復動ポンプの脈動吸収装置
JPS61193288U (ko) * 1985-05-23 1986-12-01
JPH043194U (ko) * 1990-04-23 1992-01-13
KR19990080978A (ko) * 1998-04-24 1999-11-15 강철 수도꼭지 접속 티자 관이음쇠 제조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375139A (zh) * 2019-07-19 2019-10-25 余果 一种液压管线接头
CN110375139B (zh) * 2019-07-19 2021-08-17 宁波兴明液压器材有限公司 一种液压管线接头
CN111306393A (zh) * 2019-11-26 2020-06-19 烟台大学 用于降低水击作用的管道辅助装置
CN111306393B (zh) * 2019-11-26 2021-07-23 烟台大学 用于降低水击作用的管道辅助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122223B2 (ja) 配管直列型液撃防止器
RU2401361C2 (ru) Сантехнический водослив
JP2011153684A (ja) 水撃緩衝器
JP3707295B2 (ja) 自閉水栓装置を用いた便器
KR200176621Y1 (ko) 수전금구 연결 플라스틱 t자 관이음쇠
KR20010026436A (ko) 수전금구 연결 플라스틱 t자 관이음쇠
KR101791816B1 (ko) 수전금구 조립용 고정샤워기의 연결관
KR200184207Y1 (ko) 수전금구 연결 플라스틱 t자 관이음쇠
KR20000006445U (ko) 수도꼭지 체결 티자 관이음쇠 제조방법
CN109853708B (zh) 集成组合式管道
RU2465625C1 (ru) Регулятор давления
KR19990080978A (ko) 수도꼭지 접속 티자 관이음쇠 제조 방법
KR100647525B1 (ko) 하수관 연결용 엘보
KR20000002241U (ko) 수도 꼭지 접속 기역자 관이음쇠 제조방법
KR200261554Y1 (ko) 수전금구용 t자 관이음쇠
KR200227509Y1 (ko) 수격작용을 억제하고 유수음을 방지하는 폴리부틸렌 관용수전이음쇠
TW200535072A (en) Drop tube segments adapted for use with a liquid recervoir and methods
KR101135466B1 (ko) 정유량 절수기가 내장된 포말기
CN211624302U (zh) 一种带伸缩防震功能的球形止回阀
CN218992752U (zh) 一种限流密封圈
RU2171412C2 (ru) Редукционный клапан
JP2006523293A (ja) シャトル弁
KR20020005279A (ko) 수격흡수장치가 내장한 수전금구용 수전이음쇠
JPH0421884Y2 (ko)
CN210088262U (zh) 一种输油管道水击控制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