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25328A - 고객, 사업본점, 사업지점간의 일체화 운영을 위한인터넷·웹db·전화 통합 웹콜 시스템과 이를 이용하는비즈니스 모델 - Google Patents

고객, 사업본점, 사업지점간의 일체화 운영을 위한인터넷·웹db·전화 통합 웹콜 시스템과 이를 이용하는비즈니스 모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25328A
KR20010025328A KR1020000076749A KR20000076749A KR20010025328A KR 20010025328 A KR20010025328 A KR 20010025328A KR 1020000076749 A KR1020000076749 A KR 1020000076749A KR 20000076749 A KR20000076749 A KR 20000076749A KR 20010025328 A KR20010025328 A KR 200100253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b
call
patient
pharmacy
busin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767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윤찬
Original Assignee
정윤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윤찬 filed Critical 정윤찬
Priority to KR10200000767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025328A/ko
Publication of KR200100253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25328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1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drugs or medications, e.g. for ensuring correct administration to pati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02Protocols based on web technology, e.g. hypertext transfer protocol [HTT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Economics (AREA)
  • Epidemi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터넷과 전화망에 가입되어 있는 소형 개인병원에 웹콜서버를 설치하여 환자고객들과 주변 약국들을 웹기반으로 상호 접목시켜 주는 것은 물론 전화기능까지를 웹과 통합 이용할 수 있게 해 주는 웹콜시스템이다.
물론 본 발명시 제시하는 비즈니스 모델은 병원 뿐만 아니라 소형 사업장에 웹콜서버를 설치하고 고객과 지점(병원시스템에서의 약국에 해당)을 인터넷과 전화로 연결하여 일체화 운영하는 서비스/비지니스 모델을 포함한다.
본 발명이 작동하는 환경은 개인 병원내에 특정 인테넷 서비스 제공자(ISP)에 가입된 ADSL선로에 허브에 연결한다. 그리고 특정회사 전산망에 가입된 전화선에 키폰 교환기를 연결하고 사업장내의 모든 전화기와 키폰을 연결한다.
웹콜서버 컴퓨터는 허브와 연결되고 또 키폰과는 모뎀을 통하여 연결한다.
웹콜서버에 장착된 웹콜시스템 프로그램은 고객들로 부터의 예약 접수를 받거나, 웹을 통한 담당자와의 전화 접속처리, 고객관리, 예약 상황관리가 이루어지고 병원내에서도 웹을 통하여 진료자료관리, 처방자료 관리가 이루어지는 곳이다.
또 웹콜시스템에 의하여 직접처방 기록을 남기면 고유번호를 부여한 처방기록을 환자에게 바로 처방전을 발급한다.
웹콜서버에는 병원 인근의 약국 전화번호와 약도가 웹DB 형식으로 저장되어 있어 환자는 처방전을 받는 즉시 자기가 원하는 약국을 클릭하면 바로 약국과 전화가 연결된다.
처방전 고유번호와 이름을 전화로 직접 통보하면 약국은 병원 웹콜서버의 처방기록을 웹기반으로 검색하여 확인한 후에 환자에게 바로 약품 수령시간을 알려주는 시스템이다.
이 발명으로 인해 환자는 병원과 예약이 쉽게 이루어지고 병원은 환자 자료관리나 예약관리가 편리하며 환자가 병원에서 진료를 받고 약국에서 약을 수령하는 과정이 간편해지며, 병원에서는 어떤 약국이 자기 환자의 약품을 조제했는지 또 대체 조제시 어떤 약품으로 바꿨는지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할 수가 있어 환자와 병원 및 약국의 업무가 투명해지고 의약분업에 의한 불편함이 없어지는 고객만족 시스템이다.

Description

고객, 사업본점, 사업지점간의 일체화 운영을 위한 인터넷·웹DB·전화 통합 웹콜시스템과 이를 이용하는 비즈니스 모델 { Internet·Web DB·telephone integration Web-Call system connecting clients, business center and branch sites and its business model}
본 발명은 인터넷 기술, 웹서버 프로그래밍 기술, 웹데이터베이스 처리 기술 및 모뎀을 통한 제3자 (Third Party)호 제어 기술이 복합된 기술로써 고객, 사업장 본점, 지점을 인터넷과 전화로 연결시키는 중추역활을 담당하는 웹콜서버의 구축 방법과 이러한 방식의 웹콜서버를 운영하는 비즈니스모델에 관한 분야이다.
이 분야의 종래 기술로는 중·대형 사업장에 적합한 콜센터 위주의 컴퓨터·전화통합(CTI)시스템 구축기술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 이 중·대형 규모에 맞게 설계된 콜센터는 교환기와의 인터페이스를 위하여 공통채널 시그널링 방식에 의한 CTI 링크 인터페이스를 부착하고 있다. 또 구조면에는 센터 역할을 수행하는 중앙 집중형 메인프레임과 담당자 만이 이용하는 스테이션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구조하에서 수행되는 콜 센터는 인터넷 환경의 웹기반 프로그래밍과 웹DB에 의한 어플리케이션 구현 방식이 아니고 내부 LAN에서 클라이언트/서버 전용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으로 구축되어 있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그러나 2000년경부터 데스크탑형의 어플리케이션이 개발되면서 웹기반 프로그램과 웹기반의 DB로 어플리케이션이 변화되는 추세에 있다. 그렇지만 전체 시스템 기술 가운데 PSTN과 인터넷을 연결하는 기술인 CTI 링크 인터페이스 기술은 그대로 이용되고있어 콜센터의 사용 범위가 중·대형 사이트에서 고가로 구축하여 운영해야 하기 때문에 종래의 기술로는 소형 사업장에서 저가로 시스템을 구축하여 운영하는 해결책은 제공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하는 기술적 과제는 모뎀으로 키폰교환기에 제어 신호를 보내어 Third Party호 제어 에이전트 역할을 수행하는 콜서버와 웹DB를 이용하여 고객에게 웹기반 정보 접근을 허용하는 웹서버를 하나의 시스템으로 한 웹콜시스템이다.
기존에 중·대형 사업장에서 고가의 비용으로 CTI링크 인터페이스를 구비한 콜센터를 구축운용하는데에 비해 이 웹콜 시스템 기술이 적용될 경우에 소형 사업장에서 저가의 비용으로 인터넷과 웹DB와 전화가 고객, 사업장, 사업지점간에 통합된 정보화 환경을 제공하는 능력을 제공해 줄 것이다.
그리고 이 웹콜시스템 기술을 적용하여 개인병원과 같은 소형사업장에서 웹콜시스템 기술을 사용하는 서버를 설치하고, 또 이 서버와 키폰교환기를 모뎀 인터페이스로 연결하여 고객으로 부터의 요청자료(예, 진료 예약자료)를 인터넷의 웹으로 받아서 처리는 물론 고객과의 전화도 원클릭으로 처리되고 또 부재중/통화중 걸려온 전화에 대하여 CALLBACK처리되며, 특히 사업장이 개인 병원일 경우 인근 약국들의 IP 주소를 등록 받아 약국이 병원 웹DB에 접근할 수 있는 범위를 제한하는 보안기술을 사용하는 것과, 환자가 병원에서 처방전을 받는 즉시 웹화면상의 인근 약국을 원클릭하면 그 약국으로 전화가 연결되고, 처방전 고유 번호를 알려주면 약국은 병원 웹콜서버의 처방 자료를 웹으로 검색하여 약품 수령시간을 이야기하는 의약분업에서 환자의 불편함을 줄이고 시간을 절약시킬 수 있는 처리 절차와, 그리고 병원입장에서는 약국이 병원처방 대로 조제했는가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병원과 약국의 관계가 투명한 시스템을 이용하는 비즈니스모델을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이다.
도1은 본 발명에 의한 웹콜서버가 주축이 되는 인터넷·웹DB·전화 통합에 의한 고객·병원·약국 일체화 웹콜시스템 구성도이다.
도2는 웹콜서버를 중심으로 한 기능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웹콜서버 [2] : 모뎀
[3] : 허브 [4] : 키폰교환기
[5] : 사업장(개인병원) [6] : 인터넷
[7] : PSTN공중 전화망
HC1, HC2, HC3,....., HCn : 사업장내 담당자 PC
HT1, HT2, HT3,....., HTn : 사업장내 담당자 전화
CC : 고객 PC , CT : 고객 전화
PhC : 약국 PC , PhT : 약국전화
웹콜서버 : 본 발명의 시스템이 이용하는 모든 DB가 보관되며 고객들이 웹으로 접근할 수 있는 웹서버로 동작하고 또 모뎀으로 키폰제어 신호를 보내어 Third Party 콜제어 에이전트의 콜서버 역할을 수행하는 서버 컴퓨터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도면[도1]의 구성도를 보며 본 발명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참고로 설명을 좀더 현실적으로 하기 위하여 일반 고객은 환자로 표시하고, 사업장 본점은 개인 병원으로 표시하고, 사업지점은 약국으로 표현한다.
먼저 웹콜서버[1]가 위치하는 개인병원의 구성은 인터넷[6]에 연결된 소용량의 허브[3]가 있고 이 허브에서 웹콜서버 및 병원내의 모든 PC들( HC1, HC2, HC3,....., HCn )이 연결된다. 그리고 공중전화망[7]에 연결된 키폰 교환기[4]로는 병원내에서 이용되는 전화기들( HT1, HT2, HT3,...., HTn )이 연결된다. 마찬가지로 키폰의 내선 2회선 이상이 웹콜서버에 각각 모뎀[2]을 통하여 연결된다. 이 내부 PC들과 내부 전화기들은 담당업무별로 구분되어 사용되며 편의상 설명을 위하여 HC1= 예약PC, HT1= 예약전화, HC2= 의사PC, HT2= 의사전화, HCn = 환자PC, HTn = 환자전화로 표시한다.
병원 외부에는 성격에 따라 고객 그룹과 약국 그룹이 각각 인터넷과 공중전화망에 동시에 가입되어 있다. 고객PC(CC)와 고객전화(CT)가 고객의 웹콜시스템 사용 환경이며 약국PC(PhC)와 약국전화(PhT)가 약국에서 웹콜시스템을 이용하기 위한 환경이 된다.
발명의 구성을 고객 이용 기능부터 살펴보자.
고객은 필요시 병원의 웹 화면을 보고 담당자를 클릭하면 웹-인커밍콜로 자동 전화가 연결된다. 웹-인커밍콜은 웹을 통하여 담당자를 찾는 요청을 웹콜서버가 인식하여 모뎀을 통한 Thirdy Party 호 제어 기술에 의해 고객과 담당자의 전화를 연결시켜주는 기술이다. 이 때 PC( HC1)화면에는 고객의 정보가 스크린 팝( Screenpop )된다. 만약 웹-인커밍콜이 걸려왔을 때 담당자가 통화 중이거나 부재중일 때는 기록되었다가 담당자가 자동 CALL BACK 처리할 수 있게된다. 여기서 전화는 병원이 요금을 부담하게되며 병원 등록 고객을 회원관리하며 한정적으로 서비스 한다.
병원의 예약PC에서는 웹-인커밍콜로 걸려오는 전화나 폰-인커밍콜 ( 전화로 직접 병원에 전화하는 콜 ) 이 왔을 때 웹DB로 저장되어있는 현재 고객 정보를 찾아 예약 PC에 스크린 팝 해주고 통화중 메모 또는 거래내역 등의 DB내용을 갱신할 수 있다.
또 예약PC 담당자는 예약 상황이 변경될 경우 해당 고객을 DB에서 찾아 바로 클릭하여 아웃트고잉콜을 연결시킬 수가 있다.
의사 PC에서는 진료예정 자료에 따라 환자의 진료가 의사PC에 스크린 팝 된다. 의사는 직접 진료기록이나 처방기록을 웹 화면에서 저장할 수 있으며 진료중 의사에게 직접오는 전화들은 진료중(busy)콜로 처리되어 진료가 끝났을 때 자동으로 알려지고 또 의사는 필요시마다 진료가 끝난 처방PC 담당자에게로 오면 담당자는 바로 처방전에 처방기록 고유번호를 부여한 프린트 용지를 건네준다. 물론 필요시에는 의사의 진료 차트(paper)와 DB자료의 이중처리를 할 수 있고 방법으로 의사는 종이에 진료 기록과 처방 기록을 남기고 이를 처방 담당자가 웹DB자료로 입력할 수가 있다. 이는 병원 내부의 문제로 완전 전산화 할 것인지 아니면 현재 방법과 웹콜 시스템을 병행할 것인가는 선택 문제이다.
처방전을 받아든 환자는 환자PC에서 병원에 등록된 인근 약국들의 약도와 정보를 확인한다. 환자가 원하는 약국을 클릭하면 먼저 이 약국으로 전화가 연결된다(①).
이 전화 음성으로 환자는 자신의 처방기록 고유 번호를 약국에 알려준다(①). 약국에서는 바로 병원의 웹콜서버에 웹으로 들어와서 처방기록 고유 번호를 입력하면 현재 전화중인 환자의 의사 처방전을 볼 수가 있다(②). 약국 담당자가 판단하여 처방전의 약품을 환자에게 제공할 수 있으면 환자에세 현재 전화로 바로 약품 수령시간을 알려준다(③). 이 경우에 만약 약국이 처방 약품을 환자에게 제공할 형편이 못되면 환자에게 다른 약국을 이용하도록 권유한다(④). 특정 약국이 환자에게 약품제공을 약속했으면 이제 처방전을 먼저 웹 화면에서 프린트 용지로 출력하여 환자와 약속한 약품 수령 시간까지 약품을 준비한다(⑤).
이 약품을 준비하며 의사의 처방을 변경하지 않고 그대로 조제했는지 대체 조제했는지를 구분하여 대체 조제했다면 변경된 약품 항목을 명시하여 약국 웹 화면에서 저장시키면 이 자료는 바로 병원의 웹DB에 기록된다(⑥). 의사는 항상 자기가 진료한 환자의 약품 수령 사실과 대체조제 사실을 투명하게 모니터링 할 수가 있다(⑦). 또 대체 조제시 사전에 의사와 약국담당자 간에 의견 조율을 전화로 바로 할 수도 있다(⑧).
마지막으로 환자는 약국과 약속된 시간까지 약국에 도착하여 프린트 종이 처방전을 약국직원에게 제출하면 준비된 약품을 바로 수령 받을 수가 있다. 이 방식으로 지리적으로 떨어져 있는 의약 분업 상태에서의 병원과 약국이지만 환자에게는 웹콜시스템의 사용으로 병원에서 바로 약을 제공받는 것과 똑같은 시간 절약과 편리성 효과가 있다. 또 의사와 약사의 업무도 분명해지고 투명해지며 대체 조제시의 오해도 그때그때 바로 해소될 수가 있어 환자, 병원, 약국 모두에게 유익한 시스템이다.
본 발명은 웹콜서버가 인터넷을 통하여 3그룹 즉, 고객, 내부담당자, 지점을 하나로 묶어 줄 뿐만아니라 모뎀을 통하여 키폰 교환기를 제어하며 Third Party호 제어 에이전트 역할 까지 수행하기 때문에 소형 사이트에서 경제적으로 웹콜 시스템을 구축하여 웹기반의 3그룹 일체화 정보서비스는 물론 전화 서비스도 통합적으로 컴퓨터를 통하여 제공할 수가 있다.
이 발명의 가장 큰 효과는 고객과 지점을 거느리는 소형의 사업장에서 저비용으로 인터넷과 전화를 통합 이용할 수 있는 인푸라 시설과 웹DB를 구축할 수 있다는 점이다. 현재까지의 다른 기술을 이용하여 동일한 성격의 인푸라 시설을 구축하려면 전화와 인터넷 및 컴퓨터를 통합 이용하기 위하여 CTI 링크 인터페이스가 필요한데 이 CTI 링크 인터페이스가 구성되려면 고가의 교환시설이 필요해지고 또 그에 맞는 CTI 서버가 존재해야 한다. 이 CTI 링크와 CTI 서버는 대형 콜 센터용으로 대부분 만들어져 있기 때문에 고가이며 규모가 커서 소형 사업장에 부적합하다. 또 교환기도 보통 키폰 정도의 소형에는 CTI 링크 인터페이스가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소형 사이트용의 환경을 만들 수도 없다. 이처럼 저비용으로 소형 사이트에서 컴퓨터와 인터넷, 전화를 통합 이용할 수 있게 해주는 기능이 웹콜 시스템의 가장 큰 발명의 효과이다.
두 번째의 효과는 고객과 병원과의 웹 및 전화를 함께 이용하여 예약을 처리하거나 병원에서 고객을 원 클릭으로 아웃바운드 콜 하여 진료 일정을 통보하는 것들이 쉽고 편리하게 인터넷 및 전화의 장점을 동시에 이용할 수 있다는 비즈니스 모델에 있다.
세 번째는 병원 내부에서도 병원에 환자의 고객 정보확인, 진료기록, 처방기록 등이 각각 담당자의 PC에서 웹기반으로 이루어진다는 점이다. 이것을 고객, 병원, 약국이 필요로하는 자료들을 공간적이나 시간적으로 제한을 받지 않고 언제든지 확인하고 수정할 수 있다는 점이다. 그러나 IP주소, 담당자IP, 고객IP, 비밀번호 등을 복합적으로 이용하여 웹DB의 접근 범위를 구분해 주어 고객이 접근할 수 있는 DB의 범위, 약국이 접근할 수 있는 DB의 범위를 사실상 의료 관행에 맞게 제안한다. 이 기술을 결정적으로 IP 주소를 이용하기 때문에 웹DB 접근을 단계별 방화벽 개념으로 프로그램하기 때문에 가능하다.
네 번째로 핵심 비즈니스 모델로써 병원에서 처방 담당자가 처방 고유번호를 환자에게 알려주고 환자는 약국을 병원에서 실시간으로 환자의 처방전을 확인하고 약의 제공 가능 여부를 바로 알려줄 수 있다는 점이다. 이렇게 될 때 의약 분업 때문에 불편했던 환자와 약국과의 관계가 말끔히 해소된다. 이점이 의약분업을 조기에 정착시킬 수 있는 정보화 기술로서의 웹콜 시스템이 갖는 위력이다.
다섯 번째도 비즈니스 모델 측면에서 의사와 약사의 관계가 투명해지는 서비스를 제공한다는 점이다. 약국에서는 웹콜서버에 기록된 환자의 처방전대로 약을 조제하고 이 사실을 역시 웹으로 웹콜서버에 즉시 기록하게 된다. 이 때문에 의사는 언제든지 자기 환자가 어떤 약국에서 원 처방데로 약이 조제되었는지 아니면 변경되어 대체 조제되었는지를 확인해 볼 수가 있고 약국과 처방전 별로 수시로 의견 교환을 할 수도 있게된다. 즉 의사와 약사 사이에 불신이 없어지고 업무 분담이 명확해지게 한다. 이것이 가능한 이유는 웹콜 시스템이 갖는 기술에 의해서 가능한 것이다.

Claims (3)

  1. 고객, 사업본점 담당자, 사업지점의 3그룹을 인터넷을 통하여 하나로 연결해 주면서 아울러 웹콜 서버가 사업 본점의 키폰 교환기 또는 사설 교환기를 Third Party 호 제어 방식으로 제어하는 에이전트 역할을 수행하여 사업 본점을 중심으로 고객과 사업지점 들이 일체화된 정보 서비스는 물론 전화서비스도 통합적으로 제공받을 수 있는 경제적인 소형 사이트용의 웹콜시스템 기술.
    소형 사이트 용이란 사업본점에 웹콜 서버를 설치하여 저비용으로 인터넷과 전화를 통합 사용할 수 있는 허브, 키폰, 웹콜 서버 및 모뎀에 의한 인푸라 시설과 웹DB를 구축한 사이트.
    또 전화를 통합 사용하기 위하여 고가의 CTI 링크 기술을 사용하지 않고 모뎀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여 Third Party 호 제어 기능을 갖춘 사이트.
  2. 고객, 사업본점, 지점간의 예약, 고객정보 관리, 거래기록 관리, 처방기록 관리 등이 웹으로 접근 가능한 웹콜 서버DB에 저장되어 있고, 이 자료들을 이용하는 대상자의 IP 주소와 비밀 번호에 의하여 고객, 지점 담당자, 본점 담당자 등이 접근할 수 있는 DB영역을 제한하는 방화벽 개념의 등급별 웹DB 접근 제한 시스템을 사용하는 웹콜 시스템.
  3. 병원에서 처방 담당자가 웹콜서버에 DB화되어 있는 처방자료와 같은 처방 고유번호를 환자에게 부여하면 환자는 병원에서 약국을 원클릭 전화하여 약국에 처방 고유번호를 알려주고, 약국은 이 번호를 웹에 입력하여 병원 웹콜서버로부터 현 통화고객의 처방기록을 실시간 열람하고 조제 가능 여부를 바로 환자에게 설명하는 웹콜시스템. 또 약국은 환자와 약속한 시간에 약품을 전달하고 난 즉시 병원 웹콜 서버로 조제 약품 사항을 기록하거나 대체 조제 문제에 대하여 웹콜시스템을 사용하여 의사와 즉시 의논하거나 할 수 있고 또 대체 조제에 대해서도 처방전 별로 약사와 의사 사이에 문제 거리를 사전 해결할 수 있게 해주는 웹콜시스템을 이용한 비즈니스 모델.
KR1020000076749A 2000-12-14 2000-12-14 고객, 사업본점, 사업지점간의 일체화 운영을 위한인터넷·웹db·전화 통합 웹콜 시스템과 이를 이용하는비즈니스 모델 KR2001002532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76749A KR20010025328A (ko) 2000-12-14 2000-12-14 고객, 사업본점, 사업지점간의 일체화 운영을 위한인터넷·웹db·전화 통합 웹콜 시스템과 이를 이용하는비즈니스 모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76749A KR20010025328A (ko) 2000-12-14 2000-12-14 고객, 사업본점, 사업지점간의 일체화 운영을 위한인터넷·웹db·전화 통합 웹콜 시스템과 이를 이용하는비즈니스 모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25328A true KR20010025328A (ko) 2001-04-06

Family

ID=197030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76749A KR20010025328A (ko) 2000-12-14 2000-12-14 고객, 사업본점, 사업지점간의 일체화 운영을 위한인터넷·웹db·전화 통합 웹콜 시스템과 이를 이용하는비즈니스 모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025328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88649A (ko) * 2001-08-17 2001-09-28 이광재 병원정보공유를통한 수익창출모델
KR20020060443A (ko) * 2001-01-11 2002-07-18 박광철 자동응답 의료서비스 제공방법 및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60443A (ko) * 2001-01-11 2002-07-18 박광철 자동응답 의료서비스 제공방법 및 시스템
KR20010088649A (ko) * 2001-08-17 2001-09-28 이광재 병원정보공유를통한 수익창출모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88429A (en) Interactive telephony system
US9794408B2 (en) Routing of communications
US6680999B1 (en) Interactive telephony system
US6345260B1 (en) Scheduling interface system and method for medical professionals
US8799010B2 (en) Telehealth scheduling and communications network
US9058410B2 (en) Integrated electronic patient health care data coordination system
US8073712B2 (en) Method for consolidating medical records through the world wide web
US20090125332A1 (en) Automated execution of health care protocols in an integrated communications infrastructure
CA2441035A1 (en) System and method for collecting, disseminating and managing information using a voice and database system
CA2481353A1 (en) System for collecting storing presenting and analyzing immunization data having remote stations in communication with a vaccine and disease database over a network
WO2005038588A2 (en) System and method for remote processing of pharmacy orders
CN104899410A (zh) 一种基于ios的临床药师信息化交互系统
US20070255584A1 (en) Patient Physician Connectivity System and Method
KR20010025328A (ko) 고객, 사업본점, 사업지점간의 일체화 운영을 위한인터넷·웹db·전화 통합 웹콜 시스템과 이를 이용하는비즈니스 모델
US20070143691A1 (en) Method for conducting a clinical study
CN101567031A (zh) 医疗信息系统
JP2013073586A (ja) コンタクトセンターシステム
Kobayashi et al. An integrated program for comprehensive HIV care
KR20010097433A (ko) 인터넷을 통한 의료 서비스 제공 시스템
JP2002157335A (ja) 情報仲介システム、事業者コンピュータ、仲介コンピュータ、携帯情報端末機、及び記録媒体
Beck et al. Development of an interdisciplinary, telephone-based care program
RU108674U1 (ru) Региональная информационная система планирования врачебных приемов
Lee et al. Innovative Applications of the Medical Information
CN116864087A (zh) 一种互联网医院管理方法及平台
CN114005547A (zh) 一种互联网医疗服务系统及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