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25177A - Method for Embodying Moving Image Using Travel Speeds of Rail Cars - Google Patents

Method for Embodying Moving Image Using Travel Speeds of Rail Car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25177A
KR20010025177A KR1020000048172A KR20000048172A KR20010025177A KR 20010025177 A KR20010025177 A KR 20010025177A KR 1020000048172 A KR1020000048172 A KR 1020000048172A KR 20000048172 A KR20000048172 A KR 20000048172A KR 20010025177 A KR20010025177 A KR 200100251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eed
vehicle
frame
controller
light sour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4817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0360020B1 (en
Inventor
임홍
Original Assignee
임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홍 filed Critical 임홍
Priority to KR10200000481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60020B1/en
Priority to JP2000357811A priority patent/JP2002132197A/en
Publication of KR200100251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2517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600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60020B1/en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9/00Advertising or display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9F19/22Advertising or display means on roads, walls or similar surfaces, e.g. illuminated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27/00Combined visual and audible advertising or displaying, e.g. for public address
    • G09F27/005Signs associated with a senso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7/00Signs, name or number plates, letters, numerals, or symbols; Panels or board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7/00Signs, name or number plates, letters, numerals, or symbols; Panels or boards
    • G09F2007/005Signs associated with a senso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9/00Advertising or display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9F19/22Advertising or display means on roads, walls or similar surfaces, e.g. illuminated
    • G09F2019/221Advertising or display means on roads, walls or similar surfaces, e.g. illuminated on tunnel walls for underground trai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Marketing (AREA)
  • Closed-Circuit Television Systems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Abstract

PURPOSE: A dynamic image generating apparatus using an optical illusion phenomenon of a moving orbit vehicle and a passenger is provided which improves the advertisement effect of the apparatus by causing passengers who take the moving orbit vehicle to have an illusion that they see a dynamic image without fixed advertising boards. CONSTITUTION: In realizing a system in which a plurality of frames are continuously installed in a specified space of the inner part of a tunnel where an orbit vehicle is on the move and pictures of successive motions generate each freezing frames such that passengers who take the moving orbit vehicle can recognize the freezing frames as a dynamic image, the realization of the dynamic image satisfies the following conditions that the number (fn) of the freezing frames of the successive motions is 46±4 based on the moving distance of the orbit vehicle for 1 sec and the dynamic image is realized only at a specified position such as windows and entrance and exit doors.

Description

궤도차의 주행속도를 이용한 동영상 구현방법{Method for Embodying Moving Image Using Travel Speeds of Rail Cars}Method for Embodying Moving Image Using Travel Speeds of Rail Cars}

본 발명은 주행하는 궤도 열차 내에서의 궤도차의 주행속도를 이용한 광고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궤도차량나 기차가 주행하는 터널의 중앙기둥 혹은 내벽이나 레일궤도 근처의 시설물 등에 광고판을 설치하여, 주행하는 상기 교통수단내의 승객의 눈을 통해 광고판이 동영상적으로 보이게 함으로써 광고효과를 높이도록 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dvertising apparatus using the traveling speed of a tracked vehicle in a traveling track train, and in particular, a billboard is installed in a center column of a tracked vehicle or a tunnel in which a train runs, or in facilities near an inner wall or a rail track. Through the eyes of the passengers in the means of transportation to make the billboard looks video to enhance the advertising effect.

지금까지 광고판 등은 고정된 화면부를 확보하여 영상을 방영하거나 옥 내외에 고정 화면부를 설치하여 광고를 시행하는 것이 대부분이고, 전동차나 기차가 지나가는 터널 같은 장소나 주행하는 궤도열차의 근접거리의 실질적인 시네마성 동영상은 존재하지 않는다. 다시 말하면, 궤도차량등이 주행중 외부가 어두운 장소나 근접거리에는 광고판을 설치 할 수도 없었지만 이 공간을 이용하고자 하는 노력이 전무한 상태이다.Up to now, billboards are mostly used to secure a fixed screen and to broadcast images or to install a fixed screen inside and outside the room, and to advertise them. Sex videos do not exist. In other words, billboards could not be installed in dark places or near distances while the tracked vehicle was driving, but no effort was made to use this space.

본 발명이 실질적으로 시행될 경우 지하터널공간의 유휴시설 활용 외에 일반 대중에게 정보를 전달하는 새로운 매체나 시장의 창출로 해석될 수 있으며, 특히 본 발명이 시행될 경우 TV, 영화 등과는 다른 새로운 영상이미지를 경험하게 됨으로서 특색 있는 영상기술사업분야의 창출이 가능해 다양한 영상매체창출과 기술적 영상제작분야가 새로운 개기를 맞게 될 것이다.When the present invention is actually implemented, it can be interpreted as the creation of a new medium or market that delivers information to the general public in addition to the use of idle facilities in underground tunnel spaces. By experiencing the image, it is possible to create a unique image technology business field, so that the creation of various video media and the technical image production field will take a new stage.

본 발명은 새로운 타입으로 동영상 광고장치를 제공하는 것으로서, 일반적 영사기는 필름이 1초 당 프레임 수에 해당하는 만큼의 정지 횟수가 필수 적이고, 필름이 정지된 순간에 광원을 2∼3회 주사하여 동영상이 이루어지도록 개발된 것이 대부분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video advertising device as a new type, the general projector is required to stop the film as many times the frame number per second, the moment when the film is stopped by scanning the light source 2-3 times the video Most have been developed to make this happen.

본 고안의 경우 일반적인 영사기처럼 프레임의 횟수만큼 혹은 프레임수의 2∼3배의 횟수만큼, 순간적인 정지를 수행하기가 불가능하다. 따라서 주행하는 열차의 근접거리에 영상이 발생할 수 있도록 하려면 본 발명에 적절한 방안을 개발해야 한다. 일반적인 영사기의 원리를 유추하여 본 고안을 설명한다면, 영사기의 필름을 연속으로 이동시키는 필름 연속운동방식이라고 명하는 것이 적절할 것이다.In the cas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impossible to perform a momentary stop as many times as the number of frames or as many as two to three times the number of frames as a general projector. Therefore, in order to generate an image at a close distance of a running train, a method suitable for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veloped. If the present invention is explained by inferring the principle of a general projector, it would be appropriate to name it a film continuous motion method that moves the film of the projector continuously.

본 발명은 외부의 정보를 정밀한 화면으로 실시간으로 중계하는데 있어서, 현재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LED, LCD 등 보다 폭넓은 시야각과 정밀도가 요구되는 새로운 개념의 화면부 및 제어시스템 개발을 목표로 삼는다.The present invention aims to develop a new concept screen unit and control system that require a wider viewing angle and precision, such as LEDs and LCDs, which are currently commonly used in relaying external information in real time on a precise screen.

본 발명의 장치 중 화면부의 동영상 표현수단 방법이나 형식에 구애됨이 없이 효율적으로 원거리에서 모든 관리작업이 가능하도록 하며, 특히 컴퓨터를 이용한 원거리 화면관리 장치 및 인터넷 통신 인공위성 수신시스템 등을 개발해야 한다.Among the devices of the present invention, regardless of the method or format of the video display means of the screen portion, it is possible to efficiently manage all the operations from a long distance, and in particular,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remote screen management apparatus using a computer and an internet communication satellite receiving system.

본 발명품이 설치될 경우, 궤도차량의 주행특성 중 급가속이나 급감속 시에도 본 발명품과의 전자기파적 전도성 영향이나 방사성 영향이 일체 발생하지 않도록 효율적 차폐기술개발이 요구된다.When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t is required to develop an effective shielding technology so as not to cause any electromagnetic or conductive effects or radioactive effects with the present invention even during rapid acceleration or rapid deceleration among the running characteristics of the tracked vehicle.

본 발명이 실질적으로 시행될 경우 지하터널공간의 유휴시설 활용 외에 일반 대중에게 정보를 전달하는 새로운 매체나 시장의 창출로 해석될 수 있으며, 특히 본 발명이 시행될 경우 TV, 영화 등과는 다른 새로운 영상이미지를 경험하게 됨으로서 특색 있는 영상기술사업분야의 창출과 다양한 영상매체창출과 기술적 영상제작분야, 그리고 영상예술분야가 새로운 개기를 맞게 되도록 소프트웨어개발이 뒤따라야 할 것이다.When the present invention is actually implemented, it can be interpreted as the creation of a new medium or market that delivers information to the general public in addition to the use of idle facilities in underground tunnel spaces. By experiencing the image, software development must be followed to create a unique image technology business field, create various image media, technical image production field, and image art field.

도 1은 종합도1 is a comprehensive view

도 2는 종합 단면도2 is a cross-sectional view

도 3은 프레임 길이와 광원지속시간3 is the frame length and light source duration

도 4는 속도/위치측정기의 운용배치 시스템4 is an operation arrangement system of the speed / position measuring instrument

도 5는 투과형 위치센서를 이용한 열차의 속도검출5 is a speed detection of a train using a transmission type position sensor

도 6은 반사형 위치센서를 이용한 속도측정 센서의 구성6 is a configuration of a speed measurement sensor using a reflective position sensor

도 6-1 혼합형 센서시스템6-1 Hybrid Sensor System

도 7은 구간제어기와 통합시스템 블록 선도7 is a block diagram of the controller and the integrated system

도 8은 지하철 차량외벽에 부착될 반사판의 설치위치8 is an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reflector to be attached to the outer wall of the subway vehicle

도 9는 속도 측정용 센서의 프로그램 흐름도9 is a program flow diagram of a sensor for speed measurement

도 10은 통합운영체계의 단구간 제어시스템의 구성도10 is a block diagram of a short-term control system of the integrated operating system

도 11은 그림 10의 설명도11 is an explanatory diagram of FIG. 10.

도 12는 프레임, 반사판, 센서의 설치위치12 shows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frame, reflector, sensor

도 13은 구간제어기의 설계도13 is a schematic diagram of the interval controller

도 14는 구간제어기의 운영 알고리즘14 is an operation algorithm of the interval controller

도 15는 장구간 구간제어시스템의 센서배치 및 연결방법15 is a sensor arrangement and connection method of the long-term section control system

도 16은 장구간 구간제어시스템의 프레임배치 및 연결도16 is a frame arrangement and connection diagram of the long-term section control system

도 17은 그림 15, 16의 설명도17 is an explanatory diagram of Figs. 15 and 16;

도 18은 궤도차량의 굴곡구간 운행 시 제어시스템의 보정을 위한 도형도FIG. 18 is a diagram for correction of a control system when operating a bend section of a tracked vehicle

도 19는 궤도차량의 굴곡구간 진입 시 제어시스템의 보정과19 is a correction of the control system when entering the bend section of the tracked vehicle;

프레임하우징 설치기준 설명도Frame Housing Installation Criteria Diagram

도 20은 객차의 진동이나 흔들림 발생 시 제어시스템 보정을 위한 기본 도형도20 is a basic diagram for correcting the control system when the vibration or shaking of the car

도 21은 궤도차량의 굴곡구간 운행 시 프레임 화면부와 Cant값 보정을 위한 도형도FIG. 21 is a diagram for correcting a frame screen unit and a Cant value when a curved section of a tracked vehicle is operated; FIG.

도 22은 프레임하우징의 설계를 위한 장치 배치도22 is a device layout diagram for the design of the frame housing;

도 23은 조광장치의 구성도23 is a block diagram of a dimmer

도 24는 프레임하우징 설치를 위한 시공도24 is a construction diagram for the frame housing installation

도 25는 궤도차량 승무원의 안전운행을 위한 도형도25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safe operation of the track crew member

1. 전체설명1. Overall description

본 발명은 어떤 속도 이상으로 주행하는 교통수단 내부에서 외부의 고정물에 부착된The present invention is attached to the external fixture inside the vehicle traveling at a certain speed or more

프레임 화면부를 통하여 동화상을 볼 수 있도록 고안된 것이다.It is designed to view moving images through the frame screen unit.

본 고안이 보다 효율적인 동영상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궤도차량이거나 주위환경이 어두울수록 효과적이다.In order for the present invention to perform a more efficient video, the more effective the track vehicle or the darker the environment is, the more effective it is.

이에 따라 본 고안에서는 궤도차량 중 교통량과 승차인원이 많은 지하철을 위주로 검토하겠다.Accordingly, in the present invention, we will focus on the subway with a lot of traffic and passengers.

지하철 터널 내에 궤도차량의 주행공간 중 중앙분리 기둥(1-7)이나 지하 벽체(1-8) 쪽에 동화상을 위한 연속적 그림의 화면부(1-2)를 장치할 수 있는 복수의 프레임하우징(1-1)을 연속적으로 일정한 거리이상 설치하되, 설치물의 높이는 주행중인 교통수단 내의 승객이 쉽게 주시할 수 있는 높이로 한다. ( 그림 1, 그림 2 )A plurality of frame housings (1) in which a continuous picture screen (1-2) for moving picture can be installed on the side of the central separation column (1-7) or the underground wall (1-8) of the traveling space of the track vehicle in the subway tunnel (1). -1) shall be installed continuously over a certain distance, and the height of the installation shall be such that the passengers in the means of transport are easily able to observe. (Figure 1, Figure 2)

프레임하우징내의 화면부의 크기는 주행중인 궤도차량의 속도와 연관하여 일정한 크기(가로 세로 각 50cm 내외 정도)로 하고 화면부에 광고나 정보를 개시할 수 있는 필름 혹은 그림을 표현할 수 있는 각종 표현수단장치를 부착한다.The display unit in the frame housing has a certain size (about 50 cm in width and width) in relation to the speed of the running track vehicle, and various expression means for displaying a film or a picture for displaying advertisement or information on the display unit. Attach.

화면부의 동영상이 비디오적으로 표현되기 위해서는 먼저 궤도차량의 속도를 정밀하고 연속적으로 측정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In order for video on the screen to be displayed in video, it is most important to measure the speed of the tracked vehicle accurately and continuously.

따라서 이에 합당한 궤도차량 속도측정시스템(1-3)을 부착하고, 측정된 속도를 기초로 프레임 화면부의 표현수단이 궤도차량 내의 각각의 창문이나 출입문에서Therefore, a track vehicle speed measurement system 1-3 fitted accordingly is attached, and the display means of the frame screen unit is displayed at each window or door in the track vehicle based on the measured speed.

승객이 손쉽게 주시할 수 있도록 정확히 동기화 할 수 있는 각종 제어장치(1-6, 1-5)를 부착한다.Attach various control devices (1-6, 1-5) that can be synchronized exactly so passengers can easily watch.

그리고 본 고안의 시스템을 적절히 관리할 수 있는 각종 감시관리체계 프로그램을 설정하여 기능의 안정성과 지속성, 그리고 효율성을 높인다.In addition, by setting up various surveillance management system programs that can properly manage the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ability, persistence, and efficiency of functions are enhanced.

상기와 같이 각종 장치를 부착한 시스템의 길이가 400m 이고,The length of the system with various devices as described above is 400m,

이때 주행하는 궤도차량의 속도를 72km/h 초속 20m라 했을 때, 동영상은 약 20초간 방영 가능하다.At this time, if the speed of the tracked vehicle traveling at 72km / h 20m per second, the video can be broadcast for about 20 seconds.

그리고 이때 1프레임의 크기를 가로 세로 약 45cm로 하면 1초에 약 44.44프레임의 동영상이 된다.At this time, if the size of one frame is about 45cm in width and height, the video is about 44.44 frames in one second.

2. 본 발명구현을 위한 동영상의 기초이론2. Basic theory of moving picture for implementing the present invention

상기와 같은 조건에서 고속으로 움직이는 차량과 착시현상을 이용한 동영상의 구현에는 궤도차량의 속도, 프레임의 크기에 따른 1초당 프레임 수 그리고 각각 1프레임별 램프의 광원지속시간 등이 변수로 작용하여 함수관계를 갖는다.Under the above conditions, the fast moving vehicle and the optical illusion are used to implement the video. The speed of the track vehicle, the number of frames per second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frame, and the light source duration of the lamp for each frame act as variables. Has

동영상 구현의 기초는 정지화면의 발생이다. 정지화면 발생을 위해서는 상기 변수들이 함수관계를 갖으며, 이들 매개변수들의 정확한 함수관계설정이 동영상 구현에 기초를 이룬다.The basis of the video implementation is the generation of still images. For still image generation, these variables have a function relationship, and the exact function relationship setting of these parameters is based on the video implementation.

본 발명에서는 상기의 매개변수들을 몇 가지로 나누어 논해본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above parameters are divided and discussed.

(1). 정지화면발생의 기초, 공식개발 및 광원지속시간(One). Basis of Still Image Generation, Official Development and Light Source Duration

첫째, 동영상이라는 것은 가현운동현상(시네마성 운동) 즉, 착시현상을 이른다.First of all, moving picture leads to the phenomenon of motion of movement (cinema movement), that is, optical illusion.

동영상에 있어 가현운동현상을 유발하기 위해서는 일정한 단위시간당 연속적인 그림이 필요로 한데 그 각각 1장씩의 그림은 정지현상이 나타나야한다.In order to induce the pseudo movement phenomenon in moving images, continuous pictures are required per unit time, and each one picture must show a static phenomenon.

기존의 동영상장치인 영사기는 필름을 순간적으로 정지시켜 광원을 주사하고 다시 이동시키는 간헐운동방식이다.Projector, a conventional video device, is an intermittent motion method that scans the light source and moves it again by stopping the film momentarily.

그러나 본 고안의 목적상 주행중인 교통수단이 매초마다 수십 회 이상 순간적인 정지동작을 한다거나 프레임이 기계적인 방법으로 순간이동 후 정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다.However, for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lmost impossible for the vehicle in motion to make a momentary stop motion of more than a few times every second or to make the frame stop after the momentary movement in a mechanical manner.

따라서 주행중인 궤도차량 내에서 승객이 외부를 주시할 때 기존의 영사방식과 다른 방법으로 화면부 그림 각각의 1장들에 정지화면현상을 발생시키면, 동영상을 위한 기초가 마련된다. 동영상은 정지화면발생이 근본이 되기 때문이다.Therefore, when a passenger looks at the outside in a running track vehicle and generates a still picture phenomenon on each of the pictures of the screen part in a manner different from the conventional projection method, the basis for the video is prepared. This is because still image generation is fundamental to moving images.

그런데 본 발명에서는 연속적으로 이동 중에 정지화면을 발생시켜야 하므로 정지화면을 발생시키기 위해서 다음과 같이 접근하겠다.However,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a still image should be generated during continuous movement, the following approach is made to generate a still image.

우리는 생활 경험속에서 빠르게 움직이는 물체가 시야로부터 멀리 있으면In our life experience, if a fast moving object is far from sight

우리의 시야는 무리없이 빠르게 움직이는 물체를 인식한다.Our vision recognizes fast moving objects without difficulty.

그러나 빠르게 움직이는 물체가 매우 가까운 거리에 있게 되면, 혹은 우리자신이 빠르게 움직이는 교통수단을 이용할 때 창가의 매우 가까운 물체를 인식하기는 쉽지 않다.However, when fast moving objects are in close proximity, or when we use fast moving vehicles, it is not easy to recognize very close objects by the window.

이는 우리가 어떤 물체를 인식하는 시간보다 더욱 빠르게 이동하여 물체의 형상을 분별하여 인식할 수 없는 상황이 계속 겹치기 때문이다.This is due to the fact that we can move faster than the time we recognize an object, so we can't discern the shape of the object and continue to overlap.

즉, 물체에 닿는 시야점이 물체를 인식하기 이전에 끌림이 계속 발생하기 때문이다.That is, the drag continues before the point of view that touches the object recognizes the object.

본 발명에서는 이를 끌림현상이라 칭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is is called attraction phenomenon.

널 내에서도 마찬가지로 고속 주행하는 궤도차량에 탑승하여 가까운 거리의 어떤 표현수단에 의한 그림을 시청한다면 그림은 거의 알아볼 수 없을 정도로 심한 끌림현상이 나타날 것이다.Likewise, if you watch a picture by some means of expression in close proximity while riding in a high-speed tracked vehicle, the picture will be hardly noticeable.

그러면 고속으로 주행하는 궤도차량 내부에서 외부에 연속동작으로 장착된 그림을 응시했을 때 나타나는 끌림현상을 제거하기 위한 방법으로 주행하는 궤도차량의 속도보다 궤도차량외부에 설치된 화면부의 그림1장이 상대적으로 매우 짧은 시간에 순간적으로 나타났다 사라지게 한다면, 즉 주행하는 궤도차량 속도보다 화면부 그림의 이미지가 훨씬 짧은 시간에 나타났다.Then, as shown in Fig. 1, the picture on the outside of the tracked vehicle is much less than the speed of the tracked vehicle. If it appears and disappears momentarily in a short time, that is, the image of the picture on the screen appears in a much shorter time than the speed of the running track vehicle.

완전히 사라지게 하고 명과 암을 확연히 구별하여 준다면, 정확한 정지화면을 만들 수 있다.If you make them disappear completely and make a clear distinction between light and dark, you can create an accurate still image.

그럼, 여기서 첫 번째로 동영상의 기초인 정지화면 구현의 기초가 되는 궤도차량이 1프레임의 길이를 이동하는데 걸리는 시간(t1)산정과 이에 연관된 화면부의 광원지속시간(t2)의 결정, 그리고 t1, t2의 비율관계(n1)의 설정하면 정지화면을 발생시킬 수 있다.Then, first, the time t1 calculation of the trajectory vehicle, which is the basis of the still image, which is the basis of the moving image, to move the length of one frame, and the determination of the light source duration t2 of the associated screen portion, and t1, If the ratio relationship n1 of t2 is set, a still picture can be generated.

먼저 정지화면의 구현을 위해 다음 그림 3에서 몇 가지의 매개변수를 고려하면 아래와 같다.First, considering several parameters in the following figure 3 to implement still image, it is as follows.

L₁= 1 프레임 화면부의 길이 [mm]L₁ = 1 frame screen length [mm]

L₂= 1 프레임 화면부 내 끌림잔상의 길이 [mm]L₂ = length of trailing image in 1-frame display [mm]

t₁= 시야(궤도차량)가 1프레임 화면부의 길이 L₁을 이동하는데 걸리는 시간 [sec]t₁ = time taken for the field of view (orbital vehicle) to move the length L₁ of the frame area of one frame [sec]

t₂= 궤도차량이 1프레임의 화면을 지나가는 시간동안(즉, t1의 시간동안)t₂ = During the time when the track vehicle passes the screen of 1 frame (that is, during the time of t1)

1 회의 순간 섬광펄스가 지속되는 시간[mm]Duration of one instant flash pulse [mm]

t1/t2 = n1 ....................(1)t1 / t2 = n1 ..... (1)

위 식에서 t2는 궤도차량(승객의 시야)이 1프레임을 지나가는 동안 발생하는 1회의 섬광 펄스 폭을 시간으로 치환한 값이다.In the above formula, t2 is a value obtained by substituting the flash width of one flash pulse generated while the track vehicle (passenger's field of view) passes one frame.

본 발명에서는 이를 간략히 광원의 지속시간(flash duration)이라 하겠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is will be briefly referred to as a flash duration of the light source.

n1은 궤도차량이 1프레임이 진행하는 속도(t1)보다, 그림이 순간적으로 나타났다 사라지는 광원 지속시간(t2)이 얼마나 빠른가하는 배수이다.n1 is a multiple of how fast the light source duration t2 that the picture appears and disappears instantaneously than the speed t1 at which the track vehicle progresses by one frame.

일반적으로 n1의 값이 25 이상이면 화면부 이미지상의 끌림현상이 실질적으로 나타나지 않게 되어 정지화면이 나타나기 시작한다.In general, when the value of n1 is 25 or more, the drag phenomenon on the screen image does not appear substantially and the still image starts to appear.

그리고 t1의 값보다 t2의 값이 더욱 작아지면 작아질수록 즉, 두 매개변수의 지속시간편차가 커지면 커질수록 그림의 끌림부분의 길이는 더욱 작아져 승객의 눈에는 그림의 끌림현상이 나타나지 않게 된다.And as the value of t2 becomes smaller than the value of t1, the smaller the value, the larger the duration deviation of the two parameters, the smaller the length of the drag portion of the figure becomes, and the drag phenomenon does not appear in the passenger's eyes. .

본 발명에서는 주행차량이 1프레임을 이동할 때 화면부내 그림의 끌림 즉, 흐림을 방지하기 위해, 프레임의 진행시간(t1)과 광원 지속시간(t2)의 비율을 상대적으로 조정하여 화상의 끌림을 방지하는 방법을 채택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prevent dragging of the picture on the screen, i.e., blur, when the traveling vehicle moves one frame, the drag between the advancing time t1 and the light source duration t2 of the frame is relatively adjusted to prevent the dragging of the image. Adopt the way.

이와 같이 t1의 시간보다 t2의 시간이 25배 이상 100배 1000배 짧아 지면 짧아 질 수록, 화면의 끌림이 더욱 작아져 결국에는 없어져 보이는 상태는 상태로 진행된다.Thus, as the time t2 becomes shorter than 25 times and 100 times 1000 times shorter than the time of t1, the drag of the screen becomes smaller and eventually disappears.

이러한 상태가 승객이 궤도차량을 탑승하고 빠른 속도로 이동 중에 그림이 정지현상을 나타내는 것과 같다.This is the same as the picture showing the stoppage while the passenger is riding the tracked vehicle and moving at high speed.

그리고 위 (1)식과 L1과 L2에서 전동차의 속도(v) = L1/t1 = L2/t2 가 됨으로 t1과 t2의 시간비율을 화면부의 길이와 끌림상의 비율로 나타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above formula (1) and L1 and L2, the speed (v) = L1 / t1 = L2 / t2 of the electric vehicle can be represented by the ratio of the length of the screen and the drag on the screen.

즉, L1 : t1 = L2 : t2 와 같은 의미를 갖음으로 시간을 길이로 치환하여 다음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In other words, L1: t1 = L2: t2 has the same meaning and can be expressed as follows by substituting time for a length.

L₁×(t₂/t₁) = L₂L₁ × (t₂ / t₁) = L₂

L₁/n1 = L₂...................(2)L₁ / n1 = L₂ ................... (2)

여기서 L₂는 궤도차량이 1프레임의 길이 L₁을 이동하는 중에 나타나는Where L₂ appears while the tracked vehicle moves the length L₁ of 1 frame

화면부 그림의 끌림 상의 길이이다.The length of the drag on the screen picture.

t2의 시간이 짧아지면 짧아질수록 L2의 값도 매우 짧아질 것이다.The shorter the time of t2, the shorter the value of L2 will be.

예를 들어 가로 약 450mm의 화면부를 정지화면으로 만들기 위해 t₂의 섬광지속시간을 25배 빠르게 처리한다면 흐림 상의 길이는 18mm 가 된다.For example, if the flash duration of t₂ is processed 25 times faster to make the screen part about 450mm wide, the blur length is 18mm.

즉, 식(2)에서 n1의 값으로 L1을 나누면 끌림상의 길이가 나타나므로 n1의 값이 늘어남에 따라 L2의 값은 최소화되므로 n1 = 100일 때, L2 = 4.5mm n1 = 500일 때는 0.9mm로 값이 더욱 낮아진다.In other words, dividing L1 by the value of n1 in Eq. (2) shows the length of the drag phase. As the value of n1 increases, the value of L2 is minimized, so when n1 = 100, L2 = 4.5mm and 0.9mm when n1 = 500. Lower the value.

그러나 인간의 눈은 일반적으로 n1의 값이 25배 이상일 때부터 정지화면이 나타나게 되며, 특히, n1의 값이 50 이상되면 끌림상은 거의 사라지게 된다.However, the human eye generally shows a still picture when the value of n1 is 25 times or more. In particular, when the value of n1 is 50 or more, the drag image almost disappears.

본 발명에서는 n1의 값의 범위를 50??n1??100로 설정하여 사용할 것이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range of the value of n1 will be set to 50 ?? n1 ?? 100.

E = I T²의 식에서 E=광량, I=전류, T=t2 이다.Where E = light quantity, I = current, and T = t2.

본 식에서 E의 값을 어떤 광량 이상 일정하게 하기 위해서는 t2의 값이 변함에 따라In this equation, in order to make the value of E constant over a certain amount of light, as the value of t2 changes,

전류I의 소모량이 급격히 변동한다.The consumption of current I fluctuates rapidly.

즉, t2 = 1/3000초일 경우와 t2=1/30000초의 경우 T의 값은 10배의 차이가 나지만, 본 공식에 의하면 E의 값은 100배의 차이가 남으로 전류I의 양이 약 100배가 더 필요로 하다.That is, in the case of t2 = 1/3000 second and in the case of t2 = 1/30000 second, the value of T is 10 times different, but according to this formula, the value of E is 100 times different, so the amount of current I is about 100 I need more boat.

따라서 이에 적절한 W수의 광원이 필요로 하여 전류소비 뿐만 아니라 이에 적절한 광원의 가격도 대폭 증가하게 된다.Therefore, an appropriate number of W light sources are required, so that not only the current consumption but also the cost of the light sources appropriately increases significantly.

6W의 크세논(Xe)방전램프를 사용할 경우 본 발명에서는 71≤n1≤230 범위에서 사용 가능하다. 이때, (1/3,000초)≤t2≤(1/10,000초)의 범위를 갖는다.When using a 6W xenon (Xe) discharge lamp in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in the range 71≤n1≤230. At this time, it has a range of (1 / 3,000 second) ≤ t2 ≤ (1 / 10,000 second).

n1≤70 일 경우, 콘덴서와 저항 및 인가전압의 매개변수를 회로상에서 구현하기 힘들고, n1≥230 일 때는 아래의 설명과 같이 전류값이 급격히 증가하므로 큰 용량의In case of n1≤70, it is difficult to realize the parameters of capacitor, resistance and applied voltage on the circuit.In case of n1≥230, the current value increases rapidly as described below.

새로운 램프를 다시 선택해야 한다.You must select a new lamp again.

16W의 크센논(Xe) 방전램프를 사용할 경우 본 발명에서는 50≤n1≤150 범위에서 사용 가능하다. 이때, (1/2,000초)≤t2≤(1/6500초)의 범위를 갖는다.When using a 16W xenon discharge lamp,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in the range of 50≤n1≤150. At this time, it has a range of (1 / 2,000 second) ≤ t2 ≤ (1/6500 second).

그리고, n1은 t2의 값과 연관됨으로 n1 즉, t2의 범위값은 이후에 설명할 임계융합빈도를 낮추기 위해 그 범위는 더욱 좁게 결정될 것이다.And, since n1 is associated with the value of t2, the range of n1, that is, the range of t2, will be narrower in order to lower the critical fusion frequency,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그리고 t1은 1프레임의 화면부 길이대 열차가 1초간 움직인 거리의 비율로 시야가 1프레임을 이동하는데 걸리는 시간과 같다. 이를 비율로 나타내면And t1 is the ratio of the distance that the train travels for one second by the length of the display unit of one frame, and the time it takes for the field of view to move one frame. If this is expressed as a ratio

Ln : t = L1 : t1 이 되므로, t1 = (L1/Ln)t 가 된다.Since Ln: t = L1: t1, t1 = (L1 / Ln) t.

t1 = (L1/Ln)t = L1(t/Ln) = L1(1/v) 로 표현 가능하다.t1 = (L1 / Ln) t = L1 (t / Ln) = L1 (1 / v).

따라서 이를 식(2)에 대입하면 t2 = t1(L2/L1) = {(1/v)L1}·(L2/L1)이 되고 t2 = L2/v = L2(t1/L1) .....................(3)라는 표현도 가능하다.Therefore, substituting it in equation (2) yields t2 = t1 (L2 / L1) = {(1 / v) L1} · (L2 / L1) and t2 = L2 / v = L2 (t1 / L1) .... The expression (3) is also possible.

식(4)는 목적시설구간의 일반적 주행속도범위에서 적절한 t2값을 결정하기 위해 사용하는 공식이다. 궤도차량의 주행속도는 운행구간의 지형적 토목적 특징을 종합한 합리적인 운행계획에 의해 결정된다.Equation (4) is a formula used to determine the appropriate t2 value in the general speed range of the target facility section. The running speed of the tracked vehicle is determined by a reasonable driving plan that combines the topographic and civil features of the driving section.

궤도차량이 정류장에서 출발하여 가속한 후 주행속도에 이르면 일정한 시간동안 궤도차량의 관성에 의해 주행되도록 동력모타를 off시키고 주행하게 된다.When the tracked vehicle starts from the stop and accelerates and reaches the driving speed, the power motor is turned off and driven so that the tracked vehicle is driven by the inertia of the tracked vehicle for a predetermined time.

본 관성에 의한 주행을 타력운전이라 하며, 타력운전구간의 속도변화는 매우 미미하다.Running by this inertia is called inertia driving, and the speed change of inertia driving section is very small.

즉, 타력운전의 초속도에서 타력운전을 마치고 정지시스템을 작동시키는 타력운전의 종속도까지 속도변화는 매우 미미하고 본 발명에서는 이렇게 미약한 속도변화율에서 까지 정밀한 속도를 측정해서 동영상을 구현해야한다.That is, the speed change is very small from the initial speed of the inertia operation to the independence of the inertia operation in which the stop system is operated after the inertia opera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video must be measured by measuring the precise speed up to such a slight speed change rate.

특정설치목적의 구간의 이러한 타력운전의 주행구간의 속도는 일정한 목적속도 범위 내에 포함되게 되고 타력운전의 초속도도 운전자나 상황에 따라 약간씩은 다르나 대부분의 경우 운행계획의 속도범위에 속하게 된다.The speed of the driving section of the inertia driving in the section of the specific installation purpose is included in a certain target speed range, and the initial speed of the inertia driving is slightly different depending on the driver or the situation, but in most cases, it belongs to the speed range of the driving plan.

따라서 설치목적 구간에 본 발명품을 설치할 경우 적절한 t2의 값의 결정과 관리가 편리하다.Therefore, when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the installation purpose section, it is convenient to determine and manage the appropriate value of t2.

특히, 타력운전구간에 본 발명품을 설치할 경우, 본 발명품과 궤도차량간의 전자기파적 감응현상을 최소화하여 쌍방간의 시스템운영에 안전성 유지에 더욱 효과적이다.In particular, when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the inertia driving section, the electromagnetic response between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tracked vehicle is minimized, which is more effective in maintaining safety in operating the system between the two.

어떤 터널 구간의 타력운전구간에서 궤도차량이 속도가 70∼80km/h 일 경우 본 속도의 범위에서 t2값을 약 (1/3000)초≤t2≤(1/5000)초 범위로 결정하고, 궤도차량의 속도가 60∼70km/h 일 경우 t2값을 약 (1/2000)초≤t2≤(1/4000)초 범위로결정한다.If the tracked vehicle has a speed of 70 to 80km / h in the inertia driving section of a tunnel section, the t2 value is determined to be in the range of about (1/3000) seconds ≤ t2 ≤ (1/5000) seconds in the range of this speed. If the vehicle speed is 60 to 70 km / h, determine the t2 value in the range of about (1/2000) seconds ≤ t2 ≤ (1/4000) seconds.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광원의 지속시간(t2)을 (1/2000)초≤t2≤(1/5000)초로 결정한다.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duration t2 of the light source is determined to be (1/2000) seconds ≤ t2 ≤ (1/5000) seconds.

그리고 다른 속도의 범위도 상기와 같은 비율로 t2의 값을 결정한다.The other speed range also determines the value of t2 at the same ratio.

위의 t2값의 결정은 1/10,000초 내외도 가능하나 1프레임당 1개의 광원(램프)을 가장 경제적으로 활용하고, 임계융합빈도를 낮추어 껌벅임 현상을 낮추기 위함이다.The above t2 value can be determined within 1 / 10,000 seconds, but it is for the most economical use of one light source (lamp) per frame, and to reduce the frequency of chewing gum by lowering the critical fusion frequency.

위에서 동영상의 기초인 정지화면에 대해 기술했다.In the above, the still image, which is the basis of the moving picture, is described.

본 설명에서는 정지화면을 활용한 동영상에 대해 설명한다.In this description, a video using a still image will be described.

동영상은 연속적이고 순차적 변화를 보이는 정지화면이 단위시간당(1초 기준) 몇 매가 보이느냐가 중요하다.It is important to see how many still images shows continuous and sequential changes per unit time (1 second).

이를 프레임 수라하며 궤도차량이 1초 동안 이동하는 거리의 시간동안 즉, 승객이 서서 주시하는 일정한 위치지점에 몇 번의 광원이 점등되느냐에 따라 껌벅임이 지각되지 않고(임계융합빈도) 부드러운 동영상의 실현이 가능하냐가 결정된다.This is referred to as the number of frames and the smooth motion of the gum is not perceived (critical fusion frequency) during the time that the track vehicle moves for 1 second, that is, how many light sources are turned on at a certain position where the passenger stands and watches. Is it possible?

이는 궤도차량이 1초 이동하는 거리(Ln)에 몇 개의 프레임을 설치하는 가에 의해 1프레임의 길이(L1)가 결정되고, 이것이 화면부의 최대크기가 된다.The length L1 of one frame is determined by how many frames are installed at the distance Ln at which the track vehicle moves for one second, which is the maximum size of the screen portion.

따라서 t₁은 궤도차량이 1프레임의 길이(L1)를 주행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이 된다.Therefore, t 'is the time taken for the tracked vehicle to travel the length L1 of one frame.

본 발명에서는 조광장치의 광원의 작동으로 나타나는 껌벅임 현상을 방지하고 자연스러운 동영상을 구현하기 위해 1초 동안 궤도차량이 진행하는 거리에In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prevent the chewing gum phenomena caused by the operation of the light source of the dimmer and to realize a natural video at a distance that the track vehicle proceeds for 1 second

46±4개의 화면부를 설치한다.Install 46 ± 4 screen sections.

Ln = (46±4)L1, t1 = 1/(46±4)초 = (46±4)Hz가 된다.Ln = (46 ± 4) L1, t1 = 1 / (46 ± 4) seconds = (46 ± 4) Hz.

화면부가 포함된 프레임하우징은 1번의 설치공사로 거의 고정되고, 열차의 속도는 몇 가지의 매개변수에 의해 열차가 설치구간을 지나갈 때마다, 그리고 주행하는 매순간마다 미약하나마 속도변화를 일으킴으로 껌벅임 현상과 발생하는 모든 변수를 소화할 수 있는 프레임 수를 확보하여 설치해야 하는데, 본 발명에서는 이 수를 46±4로 보는 것이다.The frame housing with the screen part is almost fixed by one installation work, and the speed of the train is chewing because of the slight change of speed every time the train passes the installation section and every moment it is driven by several parameters. It is necessary to secure and install the number of frames capable of extinguishing the phenomenon and all the variables that occur,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number is 46 ± 4.

물론 1초에 50, 60Hz등 그 이상도 가능하나 이는 어떤 궤도차량의 속도에서 광원의 껌벅임이 지각되지 않고 설치 가능한 L1의 최대 길이 (같은 조건 내에서 될 수 있는 한 큰 면적의 화면부를 설치하기 위해)를 고려한 값이다.Of course, more than 50, 60Hz, etc. is possible in one second, but this is the maximum length of the L1 that can be installed without any perception of the gum light of the light source at the speed of any track vehicle (to install the screen area as large as possible within the same conditions) ).

위와 같이 동영상의 껌벅임(플리커현상)을 방지하고 터널 내부의 토목적 특성과 궤도차량의 운행패턴 등에 의한 궤도차량의 속도변화나 진동 및 흔들림 등을 화면부에서 흡수하기 위해 어떠한 범위의 속도에서도 t1을 상수의 값으로서 고정할 필요가 있다.T1 at any range of speeds to prevent gum bumps (flicker) in the video and to absorb the speed changes, vibrations, and shakes of the tracked vehicle by the civil engineering characteristics of the tunnel and the driving pattern of the tracked vehicle. Needs to be fixed as the value of the constant.

그리고 적절한 L1을 결정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다음과 같이 범위를 결정한다.And in order to determine the appropriate L1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range is determined as follows.

t=궤도차량이 Ln의 거리를 이동하는데 걸리는 시간(1초)t = Time taken for the trajectory vehicle to travel the distance Ln (1 second)

Ln = 궤도차량이 1초 동안 이동하는 거리Ln = distance the tracked vehicle travels for 1 second

fn = Ln의 거리에 설치된 프레임하우징의 개수fn = the number of frame housings installed at the distance Ln

v = 궤도차량의 속도v = speed of tracked vehicle

t = Ln/v에서 t1= (1/46)t, L1 = (1/46)Ln을 대입하면 t1 = L1/v가 된다.Substituting t1 = (1/46) t and L1 = (1/46) Ln at t = Ln / v results in t1 = L1 / v.

여기서 궤도차량의 속도에 관계없이 궤도차량이 1초 동안에 이동하는 거리(Ln) 내에 설치된 프레임의 개수(fn)를 42≤fn≤50 으로 설치한다면 궤도차량이 L1을 지나가데 소요된 시간은Regardless of the speed of the tracked vehicle, if the number fn of frames installed within the distance Ln traveled for 1 second is set to 42 ≦ fn ≦ 50, the time taken for the tracked vehicle to pass L1 is

{42??fn??50} = {(1/42)초??t1??(1/50)초}.....................(4)이 된다.{42 ?? fn ?? 50} = {(1/42) seconds ?? t1 ?? (1/50) seconds} ..................... (4).

궤도차량의 주행속도가 주로 70km/h∼80km/h 인 구간에서 어떤 궤도차량의 주행속도가 75km/h이었을 때, 20833mm/sec가 된다.When the running speed of a tracked vehicle is 75 km / h in a section where the running speed of the tracked vehicle is mainly 70 km / h to 80 km / h, it becomes 20833 mm / sec.

즉, Ln = 20833mm이다. Ln을 46프레임으로 나누면 L1은 452.9mm가 되므로 본 구간에서 프레임하우징의 가로길이(L1)을 452.9mm로 제작 설치한다면 70km/h 에서 t1 = (1/42.9)sec, fn = 42.9프레임이 되고, 80km/h 일 때 t1 = (1/49.07)sec, fn = 49.07프레임이 된다.That is, Ln = 20833 mm. If Ln is divided into 46 frames, L1 becomes 452.9mm, so if the width and length of frame housing (L1) is set to 452.9mm in this section, it will be t1 = (1 / 42.9) sec, fn = 42.9 frames at 70km / h, At 80km / h, t1 = (1 / 49.07) sec and fn = 49.07 frames.

본 구간의 대부분 주행 속도인 70km/h∼80km/h 범위에서는 L1의 길이를 452.9mm로 프레임하우징을 제작하여 설치하면 t1이 식 (4)의 상수범위에 포함되어 껌벅임이 발생하지 않고 자연스러운 동영상을 감상하게 된다.In the range of 70km / h to 80km / h, which is the driving speed of most of this section, when the frame housing is made and installed with the length of L1 as 452.9mm, t1 is included in the constant range of Eq. You will appreciate it.

즉, t1을 결정한 후 가장 경제적이고 큰 화면을 만들기 위해 어떤 목적구간의 속도범위와 연관하여 상기와 같이 L1을 결정한다.That is, after determining t1, in order to make the most economical and large screen, L1 is determined as described above in relation to the speed range of a certain section.

가현운동현상(시네마성 운동)의 기본은 인간 눈의 착시 현상을 이용하여 동영상이 보이게 하는 기술이다.The basis of the phenomena of motion (cinema motion) is the technology that makes the video visible by using the optical illusion of the human eye.

이러한 동영상을 맺게 하기 위해서는 인간의 눈에 정확한 위치의 정확한 시간에 정지화면이 보이도록 하는 착시기술이 동영상의 기본이 된다.In order to form such a video, the optical illusion technology that allows a still image to be shown at a precise time at a precise position in the human eye is the basis of the video.

각각의 정지 화면이 1초에 수십 장이 연속적으로 지나가되 각각의 프레임에 순서에 따라 순차적인 변화의 연속동작의 표현수단을 설치하면 인간의 눈이 착시되어 동영상을 느끼게 된다.Dozens of images are continuously passed in each second, but each frame is provided with a means of expressing a continuous motion of sequential changes according to the order, and the human eye is visualized to feel a moving image.

이러한 가현운동현상을 맺게 하기 위한 기술의 기본이 광원지속시간이다.The basis of the technology to achieve this type of phenomena is the light source duration.

즉, 동영상의 가장 근본인 정지화면현상을 연출하기 위해서 궤도차량이 1프레임을 지나가는 속도보다 광원의 지속시간(flash duration = t₂)을 t1보다 극히 짧게 하여 구현하는 것이다.In other words, in order to produce the still image phenomenon, which is the most fundamental of moving images, the duration of the light source (flash duration = t₂) is shorter than t1 than the speed at which the track vehicle passes one frame.

다음 표는 상기의 (1)식과 (2), 식을 정리하여 광원의 속도와 흐림 상의 길이를 검출한 것으로 t1 = 1/fn = 1/46, L1 = 450mm 로 설정한 값이다.The following table summarizes the above equations (1) and (2), and detects the speed of the light source and the length of the blur, and sets t1 = 1 / fn = 1/46 and L1 = 450mm.

다음 표2는 궤도차량의 속도범위와 이에 따른 L1의 효율적 길이와 t2의 값을 나타낸 것이다.Table 2 below shows the speed range of tracked vehicles, the effective length of L1, and the value of t2.

위 표2 에서 t1을 상수범위로 고정시키면, t2도 상수범위로 고정이 가능하고, 이에 따라 n1도 상수범위로 설정이 가능하다.In table 2 above, if t1 is fixed to a constant range, t2 can also be fixed to a constant range, and accordingly n1 can be set to a constant range.

이때, 이들t1, t2, n1을 상수범위로 고정할 경우, L2값만 v의 변화에 따라 변화하나 L2값도 n1이 50이상의 값을 가지면 화면의 끌림현상이 발생하지 않아 의미가 없음으로 t2의 값을 n1??50이상에서만 결정하면 정지화면을 발생시키는데 무리가 없음으로 위 표2에서 처럼 속도범위 별로 t2값을 결정하는 것이 편리하다.At this time, when fixing t1, t2, and n1 to a constant range, only L2 value changes according to the change of v, but L2 value also has no meaning because n1 has a value of 50 or more. It is convenient to determine the t2 value for each speed range as shown in Table 2 because there is no problem in generating a still picture if it is determined only at n1 ?? 50 or more.

본 발명에서는 t2값은 (1/2000)≤t2≤(1/5000)의 범위로 결정하며, 이 범위는 적절한 임계융합빈도를 만들기 위한 광원의 지속시간의 결정에도 활용될 것이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t2 value is determined in a range of (1/2000) ≤ t2 ≤ (1/5000), which will also be used to determine the duration of the light source to create an appropriate critical fusion frequency.

지금까지 논한 내용 중 결정값이나 범위값을 재정리하면 다음과 같다.In the above discussion, the decision or range values are rearranged as follows.

t1 = 46±4, 50≤n1≤120, (1/2000초)≤t2≤(1/5000초)t1 = 46 ± 4, 50≤n1≤120, (1 / 2000sec) ≤t2≤ (1 / 5000sec)

(2). 임계융합빈도(C.F.F)(2). Critical fusion frequency (C.F.F)

둘 째, 위 첫 번째 항에서 동영상의 구현에 기초인 정지화면발생을 위한 값과 궤도차량이 1초 주행하는 동안의 프레임 수의 범위를 설정했다.Second, in the first term above, the range for the number of frames for one second running and the value for the still image generation based on the implementation of the moving picture are set.

부드러운 동영상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밝음과 암흑의 분명한 구분되어야 가능하다.In order to realize smooth video, it is possible to clearly distinguish between bright and dark.

이런 암흑과 밝음의 주기적인 교차의 횟수가 적을 때는 밝음과 어두움의 교차로 껌벅임이 인간의 눈에 지각된다.When the number of periodic intersections between darkness and light is small, the gums are perceived by the human eye at the intersection of light and darkness.

이 껌벅임 현상의 횟수가 많아져서 지각되지 않는 지점, 즉 명멸하는 주파수를 인식하지 못하는 지점을 임계융합빈도라 한다.The point where the number of times of the chewing phenomena increases is not perceived, that is, the point where the frequency of flickering is not recognized is called a critical fusion frequency.

이 임계융합빈도도 광원의 밝기 및 화면 부분별 광도에 따라 변화하나 1초간 거의 50회(50Hz)가 되면 대부분 임계융합빈도에 다다른다.The critical fusion frequency varies depending on the brightness of the light source and the brightness of each screen portion, but most of the critical fusion frequencies are reached when the temperature reaches almost 50 times (50 Hz) per second.

연속동작의 정지화면을 순차적으로 처리하면서 자연스러운 동영상의 구현하기 위해서는 이론적인 임계융합빈도인 1초 동안의 50회 정도의 껌벅임이 발생하도록 해야한다.In order to realize a natural video while sequentially processing a still image of a continuous motion, it is necessary to cause about 50 times of gum buckling during one second, which is a theoretical critical fusion frequency.

즉, 궤도차량이 1초 주행하는 동안 50프레임이 설치되면 가능하다.That is, it is possible if 50 frames are installed while the track vehicle runs for 1 second.

그러나, 본 발명품에서는 1초 동안 fn = 46±4 매의 정지화면이 연속적으로 처리되도록 임계융합빈도의 범위를 설정했는데, 물론 fn=50인 경우에는 궤도차량에 승차한 승객이 껌벅임을 지각하지 못하나 fn = 42인 경우에는 궤도차량의 승객 누구나 껌벅임을 지각한다.However,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range of critical fusion frequency is set so that fn = 46 ± 4 still images are processed continuously for one second. If fn = 42, all passengers of the track vehicle perceive that they are gumballs.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fn = 42인 상황에서도 껌벅거림을 느끼지 않고 완벽한 동영상 구현을 위한 프레임의 설치가 매우 중요하다.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even when fn = 42, it is very important to install a frame for perfect video without feeling chewing gum.

즉, 궤도차량이 1초간 이동하는 거리 내에서 프레임 수를 최대한 줄이고 프레임의 가로길이를 최대한 늘리면서도 임계융합빈도에 다다를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That is, it is important to reach the critical fusion frequency while reducing the number of frames as much as possible and increasing the horizontal length of the frame within the distance that the track vehicle moves for 1 second.

그리고 주행하는 궤도차량의 속도가 정확하게 일정하지 않고 운행의 여건이나 승무원의 운전특성에 따라 일반적 평균속도보다 낮은 속도에서 타력운전(일정속도이상에서 관성으로 주행)으로 진입할 경우 등을 대비하여, 효율적으로 임계융합빈도에 가깝게 하기 위해 광원의 밝기, 그리고 광원의 지속시간(t2), 빔 산란 등 몇 개의 매개변수를 조정하여 부드러운 동영상을 구현한다.In addition, the speed of the tracked vehicle is not exactly constant, and it is effective in case of entering the inertia driving (driving inertia at a certain speed or higher) at a speed lower than the normal average speed depending on the driving conditions or the driving characteristics of the crew. In order to achieve the closeness of the critical fusion, several parameters such as the brightness of the light source, the light source's duration (t2), and the beam scattering are adjusted to produce a smooth video.

지형이나 토목공사의 특성, 1구간의 길이에 따라 궤도차량의 속도는 약간씩 다르나 궤도차량의 일반적 주행속도는 55km/h ∼ 80km/h가 대부분인데, 궤도차량의 타운전구간이 평균 70km/h∼78km/h인 구간에서 궤도차량은 19.44m/s ∼ 21.67m/s 정도의 속도가 된다.The speed of the tracked vehicle varies slightly depend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terrain, civil engineering, and length of one section, but the general driving speed of the tracked vehicle is generally 55km / h to 80km / h. In the section of 78 km / h, the tracked vehicle will be between 19.44 m / s and 21.67 m / s.

이때 화면부가 포함되는 1프레임의 가로길이를 45cm로 했을 경우, 궤도차량의 속도변화에 따른 1초당 프레임 수는 43.2프레임에서 48.2프레임까지 된다.In this case, when the horizontal length of one frame including the screen portion is 45 cm, the number of frames per second according to the speed change of the tracked vehicle is from 43.2 frames to 48.2 frames.

따라서 정지화면의 발생부분에서 논한 궤도차량이 1초 동안 이동한 거리 내에서 적절한 프레임수의 상수범위인 {42프레임≤fn≤50프레임}에 포함됨으로 본 속도에서 1프레임의 가로길이(L1)를 450mm로 설정하는 것은 임계융합빈도에 가까우므로 적정하다.Therefore, the track length L1 of one frame at this speed is included because the tracked vehicle discussed in the generated part of the still image is included in the constant range of {42 frames≤fn≤50 frames} within the distance traveled for one second. Setting to 450mm is appropriate because it is close to the critical fusion frequency.

그런데 궤도차량은 출발 후 정상속도에 다다르면 관성운동에 의한 주행을 하게 된다.By the way, when the tracked vehicle reaches its normal speed after departure, the tracked vehicle is driven by inertial motion.

이를 타력운전이라 하는데, 동력모타를 off 시킨 상태에서 약 30초 내외(주행구간의 거리에 따라 다름)동안 관성운동 주행을 하므로 대개의 속도변화는 매우 미약하다.This is called inertia driving, and the speed change is very small because the inertia movement is performed for about 30 seconds (depending on the distance of the driving section) with the power motor off.

약 30초 내외로 관성주행(타력운전)할 경우를 산정하면 이때의 속도변화는 3.3km/h이하가 대부분이므로 0.11km/h/s 이하가 된다.When the inertia driving (power operation) is estimated in about 30 seconds, the speed change at this time is less than 0.11 km / h / s because most of the speed change is less than 3.3 km / h.

이를 가속도(감속도)값으로 환산하면 30.82mm/sec²이 됨으로 1초 동안 30.82mm를 더 진행하거나 덜 진행하는 값이 된다.When converted into acceleration (deceleration) value, it becomes 30.82mm / sec², which is the value of progressing 30.82mm more or less for 1 second.

더욱이 객차 1량 길이가 20m인 경우, 본 발명에서는 6개의 속도/위치 측정시스템을 설치할 것이므로 본 발명에서는 1/6초 동안 속도 변화값 만을 산정하여 구간제어기가 연산하므로 이 시간동안 5.11mm의 프레임이 이동하는 변화를 느끼며, 각각의 프레임마다 길이변화 오차값은 0.667mm로 승차한 승객의 눈으로는 거의 구분이 불가능하다.Furthermore, if the length of one carriage is 20m, the present invention will install six speed / position measuring systems.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section controller calculates only the speed change value for 1/6 second, the frame of 5.11mm is calculated during this time. Feeling the change in movement, the error value of length change in each frame is 0.667mm, which is almost indistinguishable from the passenger's eyes.

그리고 이 때의 프레임 화면부의 연속동작의 오차시간은 0.07frame/sec 변화가 있을 정도로 미약해 궤도차량의 승객은 동영상 그림이 빨라지거나 늦어지는 경험은 거의 못하게 된다.At this time, the error time of continuous operation of the frame screen part is so small that there is a change of 0.07 frame / sec, so that the passenger of the track vehicle has little experience of speeding up or slowing down the moving picture.

물론 프레임의 크기를 더 작게 제작하여 설치할 경우 초당 프레임 수는 증가되고 임계융합빈도에 쉽게 다다르게 된다.Of course, if the frame size is made smaller and installed, the number of frames per second increases and the frequency of critical fusion is easily reached.

이론적인 껌벅거림의 임계융합빈도 50Hz정도이나, 일반적으로 1초당 45∼46H z정도의 껌벅거림에서도 이를 거의 인지하지 못한다.In theory, the critical fusion frequency of chewing gum is about 50Hz, but it is hardly recognized even in the chewing gum of 45 ~ 46Hz per second.

따라서 어떤 설치목적 구간에서 궤도차량의 일반적인 최저속도에 1초당 45∼46프레임의 그림이 순차적으로 보일 수 있도록 프레임의 가로 크기를 결정하여 설치 시공하면 동영상을 시청하는데 큰 무리는 없다. 그리고 이때는 동영상에 필요한 최소 프레임 수 인 16프레임을 충분히 초과하므로 동영상 구현은 가능하다.Therefore, it is not too much to watch a video when the installation is decided by the horizontal size of the frame so that the picture of 45 to 46 frames per second can be seen sequentially at the general minimum speed of the tracked vehicle in a certain installation purpose section. In this case, the video can be implemented because it exceeds 16 frames, the minimum number of frames required for the video.

그러나 궤도차량이 구간의 평균속도보다 저속으로 운행할 경우, 즉 1초당 42∼45회의 껌벅거림에서도 승객의 시야가 이를 감지하지 못하도록 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몇 가지의 기술적 방법을 사용한다.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uses several technical methods in order to prevent the passenger's vision from detecting it even when the tracked vehicle runs at a lower speed than the average speed of the section, that is, 42 to 45 times of chewing gum per second.

즉 광원의 지속시간 조정, 반사갓 및 광산란판 활용, 광도조절필름 등의 매개변수로서 1초당 42∼44의 낮은 수의 껌벅거림에서도 효율적으로 임계융합빈도에 다다를 수 있도록 기술적으로 조정할 필요가 있다.In other words, the parameters such as the adjustment of the duration of the light source, the use of the reflector and the light scattering plate, and the brightness control film need to be technically adjusted to efficiently reach the critical fusion frequency even at a low number of chewing gums of 42 to 44 per second.

먼저 위 표 1.에서 나타낸 것처럼 광원의 지속시간에 따라 광원은 다양한 생산이 가능하다. 따라서 1회 섬광 시 1/1000초에서 1/10000초의 광원지속시간 범위를 갖기 위해 조광장치의 콘데서 및 저항값을 조절하여 펄스 폭 조정을 조정하면 광원의 지속시간 t2값이 변함에 따라 임계융합빈도를 낮출 수 있다.First, as shown in Table 1 above, a variety of light sources can be produced depending on the duration of the light source. Therefore, if the flash width is adjusted by adjusting the condenser and the resistance value of the dimmer in order to have the light source duration time range of 1/1000 to 1/10000 second during one flash, the threshold fusion frequency is changed as the duration t2 value of the light source is changed. Can be lowered.

위에서 언급한 것처럼 광원의 섬광지속시간이 t2=1/30,000초의 제품으로 껌벅임을 발생시켜 실험해본 결과 (2945∼2985)/rpm, 즉 (49.42/sec)에서 임계융합빈도가 나타났으며, 광원의 지속시간을 t2=1/7,000초로 제작하여 실험해본 결과(290 0∼2940)/rpm 즉, (48.67/sec)에서 임계융합빈도가 나타나기 시작했다.As mentioned above, the results showed that the flash duration of the light source was a product of t2 = 1 / 30,000 seconds, resulting in gum bucking. As a result of experimenting with t2 = 1 / 7,000 sec, the critical fusion frequency began to appear at (290 0 to 2940) / rpm, that is, (48.67 / sec).

특히, t2=1/3,000초의 램프로는 (2860∼2900)/rpm, 즉 (48/sec)껌벅임부터 임계융합빈도의 현상이 나타나기 시작했다. 즉, t2의 변화를 주어 임계융합빈도를 1.42/sec까지 낮출 수 있다.In particular, with a ramp of t2 = 1 / 3,000 sec, the phenomenon of critical fusion frequency began to appear from (2860-2900) / rpm, that is, (48 / sec) gum buckling. That is, the critical fusion frequency can be lowered to 1.42 / sec by changing t2.

이는 광원의 지속시간이 짧을 수록 빛의 강도가 약해지고 이때 빔에서 나타나는 동심원이 축소되면서 불규칙한 동심원이 형성되어 껌벅거림 현상이 더욱 두드러지기 때문이다.This is because the shorter the duration of the light source is, the weaker the intensity of light is, and the concentric circles appearing in the beam are reduced, and irregular concentric circles are formed, making the gumball phenomenon more prominent.

따라서 광원의 지속시간을 늘려주면 광량이 증가하여 낮은 수의 껌벅임에서도 임계융합빈도현상이 나타난다. 본 발명에서는 위 표1에서 나타난 정지화면 도출을 위한 t2값, 즉 1/1000∼1/10000초 범위의 시간 중 1/3000초와 1/4000초를 자연스러운 동영상을 구현하는 값으로 결론을 내린 것은 이러한 임계융합빈도에 따른 것이다.Therefore, increasing the duration of the light source increases the amount of light, the critical fusion frequency appears even in a low number of gum buckles.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concluded that the t2 value for deriving the still image shown in Table 1 above, that is, 1/3000 second and 1/4000 second of the time in the range of 1/1000 to 1/10000 second as a value for implementing a natural video. This is due to the critical fusion frequency.

그리고 광원에서 나오는 빔이 화면부인 표현수단에 다다를 때 빔을 고르게 잘 분산시겨 줄 수 있는 반사갓과 반사경의 설치도 임계융합빈도를 낮추는데 기여를 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In addition, the installation of reflector and reflector that can distribute the beam evenly when the beam from the light source reaches the display means, which is the screen part, has been investigated to contribute to lowering the critical fusion frequency.

특히, 잘 분산된 빔은 화면부 밖으로 돌출되어 나타나는 것이 아니라 화면부의 그림을 잘 돋아나도록 하여 시청자에게 부드러운 영상을 제공하고 이와 동시에 임계융합빈도를 낮추는 역할도 함께 수행한다.In particular, the well-dispersed beams do not appear to protrude out of the screen portion, but protrude a picture of the screen portion to provide a smooth image to the viewer and at the same time serves to lower the critical fusion frequency.

화면부의 광량을 조사해본 결과 중심부의 광량과 동심원을 이루는 주변부의 광량의 비율이 1 : 0.85의 비율일 때 임계융합빈도가 (20∼30)/rpm 즉 0.42/sec가 낮아지며, 1 : 0.95일 비율일 때 임계융합빈도가 (67∼77)/rpm 즉, 1.2/sec가 낮아진다.As a result of investigating the amount of light on the screen, when the ratio of the amount of light in the periphery that forms the concentric circles with the amount of light in the center is 1: 0.85, the critical fusion frequency is lowered (20-30) / rpm, or 0.42 / sec, and the ratio is 1: 0.95 days. In this case, the critical fusion frequency (67-77) / rpm, that is, 1.2 / sec is lowered.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중심부와 주변부의 광량차를 1 : 0.9이하로 낮추어 임계융합빈도가 (44∼54)/min 즉, 0.82/sec 이상 낮아질 수 있도록 광산란을 할 것이다.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light quantity difference between the central portion and the periphery will be lowered to 1: 0.9 or less so that the critical fusion frequency can be lowered (44 to 54) / min, that is, 0.82 / sec or more.

이렇게 부드러운 동영상과 임계융합빈도를 낮추기 위해 본 고안에서는 필름과 광원사이에 빔을 분산시켜주는 반사경이나 반사경을 사용이 어려울 정도로 광원과 화면부의 거리가 짧을 경우 여러 개의 광원을 사용하여 보정하며, 분산된 빛을 미세하게 산란시켜주는 광원 산란판을 설치한다.In order to reduce the smooth video and critical fusion frequency, the present design compensates using multiple light sources when the distance between the light source and the screen is too short to use a reflector or a reflector that distributes the beam between the film and the light source. Install a light source scattering plate to finely scatter light.

광원산란판을 설치할 경우 임계융합빈도는 (78∼98)/rpm 즉, 1.47/sec가 감소한다.When the light source scattering plate is installed, the critical fusion frequency is reduced from (78 to 98) / rpm, that is, 1.47 / sec.

또, 임계융합빈도에 영향을 주는 것은 프레임 화면부의 밝기이다.In addition, it is the brightness of the frame screen portion that affects the critical fusion frequency.

본 고안에서는 필름을 보호하고 광원의 빔 및 광량을 조절하기 위해 광도조절필름을 사용한다. 실질적으로 광도조절필름을 채용하여 실험해본 결과 투과율이 (70±5) %인 광도 조절필름 1장을 사용할 경우 (220∼250)/rpm으로 임계융합빈도가 3.92/sec가 감소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a light control film is used to protect the film and to adjust the beam and light amount of the light source. As a result of experiments using the light control film, the critical fusion frequency is reduced by 3.92 / sec to (220 ~ 250) / rpm when using one light control film with transmittance of (70 ± 5)%.

광도조절필름을 채택할 경우 광원의 밝기가 약해지는 단점은 있으나, 화면부의 빔이 광도조절필름을 통과하면서 미세한 산란을 일으켜 임계융합빈도가 더욱 많이 떨어진다.If the brightness control film is adopted, there is a disadvantage in that the brightness of the light source is weakened, but the beam of the screen portion passes through the light adjustment film, causing fine scattering, so that the critical fusion frequency is further lowered.

특히, 램프가 점멸(소등)되면서 암흑현상을 유발하여 동영상 효과가 더욱 증대됨으로 광도조절필름은 매우 중요하다.In particular, the brightness control film is very important because the lamp flickers (lights out), causing a dark phenomenon to further increase the video effect.

따라서 실질적으로 사용 가능한 임계융합빈도와 1회 섬광 시 광원의 지속시간의 조절, 광원반사갓 및 광원산란판의 채택, 화면부의 밝기를 조절하는 광도조절필름을 부착하면 상기의 내용처럼 임계융합빈도를 (7.48∼8.5)/sec 가량 낮출 수 있다.Therefore, the practical use of the critical fusion frequency and the adjustment of the duration of the light source during a single flash, the adoption of the light source reflector and the light source scattering plate, the light intensity control film to adjust the brightness of the screen portion attached to the critical fusion frequency as described above ( 7.48 ~ 8.5) / sec can be lowered.

여기에 화면표현수단이 영상필름이 빔을 산란(채색의 정도에 따라 다르다)하므로 1/sec까지 더욱 낮아진다.Here, the screen display means is further lowered to 1 / sec because the image film scatters the beam (depending on the degree of coloring).

따라서 상기와 같이 광원의 지속시간, 광원반사경, 반사갓, 광원산란판, 광도조절필름을 활용하면 임계융합빈도는 (8.48∼9.5)/sec가 낮아지며, 이는 최소 41.52Hz에서 40.5Hz에서도 임계융합빈도의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Therefore, when the duration of the light source, the light reflector, the reflector, the light source scattering plate, and the light control film as described above, the critical fusion frequency is lowered (8.48 to 9.5) / sec, which is at least 41.52 Hz to 40.5 Hz. Can be effective.

즉, 본 발명에서는 단위시간당 적은 프레임 수를 가지고서 동영상의 껌벅임 현상이 발생치 않도록 상기와 같은 역할을 수행하는 각종 장치를 부착한다.That is, in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devices for performing the above-described role are attached so that the gum lump phenomenon of the video does not occur with a small number of frames per unit time.

아래 표 3 는 궤도차량의 속도와 1프레임의 가로 길이를 상황조건에 맞춘 후 임계융합빈도를 측정한 값이다.Table 3 below shows the critical fusion frequency after adjusting the speed of the track vehicle and the horizontal length of one frame according to the condition.

L₁(cm)LnL₁ (cm) Ln 3535 37.537.5 4040 42.542.5 4545 47.547.5 5050 52.552.5 1400cm <50.4km>1400cm < 50.4km > 40.0040.00 37.3337.33 35.0035.00 1500cm <54.0km>1500cm < 54.0km > 42.8642.86 40.0040.00 37.5037.50 35.2935.29 1600cm <57.6km>1600cm < 57.6km > 45.7145.71 42.6742.67 40.0040.00 37.6537.65 35.5635.56 1700cm <61.2km>1700cm < 61.2km > 48.5748.57 45.3345.33 42.5042.50 40.0040.00 37.7837.78 35.7935.79 34.0034.00 1800cm <64.8km>1800cm < 64.8km > 51.4351.43 48.0048.00 45.0045.00 42.3542.35 40.0040.00 37.8937.89 36.0036.00 1900cm <68.4km>1900cm < 68.4km > 50.6750.67 47.5047.50 44.7144.71 42.2242.22 40.0040.00 38.0038.00 2000cm <72.0km>2000cm <72.0km> 50.0050.00 47.0647.06 44.4444.44 42.1142.11 40.0040.00 2100cm <75.6km>2100cm < 75.6km > 52.5052.50 49.4149.41 46.6746.67 44.2144.21 42.0042.00 2200cm <79.2km>2200cm <79.2km> 51.7651.76 48.8948.89 46.3246.32 44.0044.00 2300cm <82.8km>2300cm < 82.8km > 51.1151.11 48.4248.42 46.0046.00 프레임 크기 별적절한 궤도차량의 속도(km/h)Appropriate track vehicle speed (km / h) by frame size 50-6050-60 60-7060-70 60-7060-70 65-7565-75 70-8070-80

(3). 명과 암(3). Glia and cancer

셋 째, 동영상을 구현하기 위한 기초로서 프레임 화면부에서 광원이 1회의 섬광을 지속하는 시간과 적정한 프레임 수 및 임계융합빈도에 대해 논했다.Third, as a basis for implementing a moving picture, we discussed the time for which the light source lasts one flash in the frame screen unit, the appropriate number of frames, and the critical fusion frequency.

여기에 중요한 또 다른 동영상 구현을 위한 기초를 첨가한다면 이는 명과 암이다.If you add the basis for another important video implementation here, it is light and dark.

화면부의 밝음 다음에 곧 바로 어둠이 존재해야 인간의 눈에는 정지화면이 연결되어 연속동작으로 느끼는 가현운동현상이 발생한다.Darkness must be present immediately after the brightness of the screen, and the human eye is connected to a still image, which causes the movement of the movement of the movement that feels as a continuous motion.

본 발명에서는 프레임 수의 확보 및 임계융합빈도를 맞추기 위해 프레임 하우징 화면부의 사이를 떨어뜨리지 않고 3∼5mm간격으로 거의 연결하다시피 각각의 프레임을 설치하며, 프레임 설치 후 제어시스템이나 속도/위치측정 시스템의 오차 등이 발생할 경우를 대비하여 프레임하우징 간의 오차보정 간격으로 이를 활용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secure the number of frames and to match the critical fusion frequency, each frame is installed at almost 3 to 5 mm intervals without dropping between the frame housing screens, and after the frame is installed, a control system or a speed / position measuring system is installed. This function is used as an error correction interval between frame housings in case an error occurs.

그리고 프레임 전면의 화면부를 가로의 방향으로 보았을 때 프레임 하우징의 벽체를 제외한 대부분을 화면부로 구성한다.In addition, when the screen part of the front surface of the frame is view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most of the screen housing except the wall is configured as the screen part.

그리고 더욱 중요한 것은 어떤 하나의 프레임이 작동할 때 좌우의 다른 화면부로 빛이 세어나가지 않도록 프레임을 제작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And more importantly, it is very important to make a frame so that when one frame operates, the light does not count toward the other screens.

그리고 터널과 같은 어두운 지하구간 공간뿐만 아니라 지상구간의 일광지역에서도 각각의 프레임에 명과 암의 뚜렷이 구분만 준다면 동영상을 구현에는 큰 어려움이 없다.In addition, in the daylight region of the ground section as well as the dark underground section such as the tunnel, if there is a clear distinction between light and dark in each frame, there is no great difficulty in implementing the video.

즉, 본 발명에서는 프레임 화면부 바같쪽에 필름보호 겸 광도조절을 위한 필름을 장착하게 되는데, 광원이 작동되기 전까지 화면부는 어둡게 보이므로 명과 암을 뚜렷이 구분할 수 있어 야외에 설치할 경우, 어두운 터널과 비슷한 효과를 볼 수 있다.That is,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ilm for the film protection and brightness control is mounted on the same bar of the frame screen, the screen is dark until the light source is activated, so the light and dark can be clearly distinguished. Can be seen.

단, 지상구간 주간 점등 시 태양광에 그림이 사라지는 것과 같은 현상이 발생하지 않도록 광원의 광도를 높여 줄 필요는 있다.However, it is necessary to increase the light intensity of the light source so that the picture does not disappear in the sunlight during the daytime lighting of the ground section.

3. 본 발명의 동영상 구현을 위한 실질적인 검토3. Substantial review for video implement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위에서 동영상을 위한 기초를 크게 3가지로 분류하여 설명하였다.The basics for moving pictures are classified into three categories.

이를 기초로 지하 터널에서 궤도차량이 주행할 때를 가정하여 본 발명의 구현을 위한 실질적 접근을 하겠다.On the basis of this, it is assumed that the track vehicle runs in the underground tunnel, and a practical approach for the implement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made.

본 발명의 동영상 구현을 위한 각부분별 중요한 시스템은 속도/위치측정 시스템, 제어시스템, 프레임하우징시스템 및 화면표현수단, 관리프로그램으로 구성되어 있고 이를 운영하기 위한 운영체계는 분리운영체계와 통합운영체계 그리고 분리운영체계와 통합운영체계의 특징을 복합구성한 혼합운영체계로 나눌 수 있으며, 궤도차량이 운행되는 터널의 환경과 구간별 운행특성에 따라 운영체계를 선택하여 설치 관리할 수 있다. 먼저 속도/위치측정 시스템의 설치에 관해서 설명한다.An important system for each part of the video implement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osed of a speed / position measurement system, a control system, a frame housing system, a screen display means, and a management program. It can be divided into a mixed operating system that combin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separate operating system and the integrated operating system, and the operating system can be selected and managed according to the environment of the tunnel in which the tracked vehicle operates and the operation characteristics of each section. First, the installation of the speed / position measurement system will be described.

여러 위치에 센서를 설치하여 속도/위치를 측정하고 이를 통합제어기와 구간제어기 등 각종제어기에 전송하여 통합적으로 신호명령을 하는 체계를 통합운영체계라 칭하고, 각 프레임과 주행차량 시청승객에 위치의 차량 외장에 광주사 및 검출기와 반사판을 따로 나누어 설치는데, 센서 광원의 주사기 및 검출장치는 터널 내 프레임 근처에 분리 설치한다. 이 운영방식은 구간제어기 등의 명령신호 등이 없이 프레임마다 곧바로 작동하는 운영체계인데, 본 발명에서는 이를 분리운영체계라 칭한다.A system that installs sensors at various locations to measure speed / position and transmits them to various controllers such as integrated controllers and section controllers to provide integrated signal commands is called an integrated operating system. The optical scanning, the detector and the reflector are separately installed on the exterior, and the syringe and the detector of the sensor light source are separately installed near the frame in the tunnel. This operating method is an operating system that operates directly every frame without a command signal such as a section controller, and in the present invention, this operation is called a separate operating system.

그리고 통합운영체계와 분리운영체계의 특징이나 장점을 복합 구성한 시스템을 혼합운영체계라 칭한다.In addition, a system that combines the characteristics or advantages of the integrated operating system and the separated operating system is called a mixed operating system.

먼저 통합운영체계를 중심으로 설명한다.First, the integrated operating system will be described.

(1). 통합운영체계(One). Integrated operating system

1). 속도/위치 측정시스템One). Velocity / Position Measurement System

첫째, 궤도열차의 속도는 승무원의 운전성향과 터널 내의 토목공사의 특성 때문에 주행 중 등속운동은 실질적으로 시행키 어렵다.First, it is difficult to carry out constant velocity movement during driving because of the speed of the train and the characteristics of civil engineering work in the tunnel.

따라서 열차의 속도측정에는 특별한 방법을 고안해야 한다.Therefore, special methods must be devised for speed measurement of trains.

특히, 열차의 주행 중 감속이나 가속에 의한 객차별 속도변화의 차이,In particular, the difference in the speed change for each passenger vehicle by deceleration or acceleration while the train is running

열차의 진동, 좌우, 상하의 흔들림 등 다양한 주행 중의 변화를 연속적으로 정밀하게 측정하여 속도의 값으로 치환할 필요가 있다.It is necessary to continuously measure precisely the change during various driving such as vibration of the train, left and right, up and down, and replace it with the value of speed.

이와 같이 여러 가지 변수를 고려해보면 단위 객차 1량 당 속도/위치측정을원칙으로 해야한다.Considering these various variables, it is necessary to measure the velocity / position per unit carriage.

본 고안에서는 궤도차량의 속도변화율이나 흔들림 등을 보정하고, 이러한 돌발상황을 화면에 흡수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정밀도로서 속도를 측정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peed change rate or shaking of the tracked vehicle is corrected, and the speed is measured with the precision as follows to absorb the unexpected situation on the screen.

궤도차량이 어떤 1프레임의 중심을 주행할 때 조광장치(광원을 작동시키는 장치)가 제어기시스템의 명령신호에 의해 작동하고 다음 1프레임의 중심을 주행할 때 조광장치가 다시 작동하여 궤도차량 진행 중 조광장치는 제어시스템에 의해 연속적으로 작동한다.When the track vehicle travels in the center of one frame, the dimmer (the device for operating the light source) is operated by the command signal of the controller system, and when the track vehicle travels in the center of the next frame, the dimmer is operated again and the track vehicle is in progress. The dimmer is continuously operated by the control system.

이때 먼저 프레임과 차후 프레임의 조광장치 작동의 오차 (즉, 궤도차량의 승객이 화면부의 순차적인 정지화상 발생 겹침을 기준으로 보았을 때)가 0.667mm이하가 되도록 정밀하게 속도/위치를 측정하여 제어기가 명령한다.In this case, the controller measures the speed / position precisely so that the error of the dimmer operation of the frame and the subsequent frame (that is, when the passenger of the track vehicle is viewed based on the sequential overlapping of sequential still images on the display unit) is 0.667 mm or less. Order.

사람이 보통 1.5내지 3m범위에서 동영상 화면을 시청할 때, 약 0.667mm 이하의 오차가 발생하면 인식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1프레임 주행 중 연속적으로 광원이 작동할 시 0.667mm 이하의 변화 값으로 조광장치가 작동하면 1시간 주행 중 속도변화의 오차값은 0.110km/h가 된다.This is because it is difficult to recognize when an error of about 0.667mm or less occurs when a person normally watches a video screen in the range of 1.5 to 3m. If the dimmer is operated with a change value less than 0.667mm when the light source is operated continuously during one frame driving, the error value of the speed change during driving for 1 hour becomes 0.110km / h.

즉, 가속도나 감속도 0.11km/h/sec 속도 변화 값을 측정할 수 있도록 속도/위치측정 시스템을 구축하여 1프레임 당 0.667mm의 오차한계 이내에서 조광장치가 작동하도록 한다.That is, a speed / position measurement system is constructed to measure the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0.11km / h / sec speed change value so that the dimmer operates within an error limit of 0.667mm per frame.

또, 궤도차량이 진행하는 동안의 속도변화가 0.489km/h/s의 가속도변화가 발생할 때, 1프레임 이동중의 화면의 오차는 약 2.95mm가 발생하게 되는데 이는 1초 46프레임 진행하는 동안 승객이 응시하는 유리창 중심부에서 136mm의 오차가 발생하므로 화면 주시 승객은 빠른 속도로 화면이 한 측면으로 흐르는 느낌을 받게 된다.In addition, when the velocity change during the track vehicle is 0.489km / h / s, the error of the screen during the movement of one frame is about 2.95mm. An error of 136mm occurs in the center of the staring glass window, so the passengers watching the screen feel the screen flowing to one side at high speed.

따라서 본 고안에서는 0.486km/h/s이상의 속도변화가 발생하면 시스템전체를 일시 중단해야 한다.Therefore, in this design, if the speed change of more than 0.486km / h / s occurs, the whole system should be suspended.

단, 속도측정을 1초에 몇 번 시행하느냐에 따라 그 흐름은 제어가 가능하며, 또 속도의 변화값이 크게되면 연산프로그램에 의해서 속도값을 보정 해서 시야의 부담을 줄여야 한다.However, the flow can be controlled depending on how many times the speed measurement is performed per second, and if the speed change is large, the speed value must be corrected by a calculation program to reduce the burden on the field of view.

1초당 궤도차량의 속도측정의 횟수는 궤도차량 1량의 길이, 궤도차량 1량의 외장제원(창문의 가로길이 및 개수, 창문과 창문사이의 간격길이 등), 이에 따른 구간제어기 연산프로그램의 형식 및 방법, 1개의 구간제어기가 통제하는 프레임의 개수, 궤도차량의 평균속도, 터널의 토목적 환경 등을 매개변수를 고려하여 결정하여야 하며, 본 발명에서는 0.4m∼10m의 간격 중 현장여건에 맞추어 시스템을 구축한다.The number of speed measurement of the tracked vehicle per second is the length of the tracked vehicle, the exterior specification of the tracked vehicle (the length and number of windows, the distance between the windows, etc.), and the type of the section controller calculation program accordingly. And the method, the number of frames controlled by one section controller, the average speed of the tracked vehicle, the civil environment of the tunnel, etc. should be determined in consideration of parameters, and in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the site conditions among the intervals of 0.4m to 10m. Build the system.

즉, 본 발명에서 궤도차량이 1초동안 진행하는 동안 평균 46±4프레임의 램프가 작동되도록 기준을 정하였음으로 0.05초 ∼ 0.5초에 1회 정도의 속도/위치 측정시스템이 신호를 측정하여 조광장치가 작동한다면 동영상을 구현함에 있어 프레임간의 오차에는 큰 무리가 발생치 않을 것이다.That is,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tandard was set so that an average of 46 ± 4 frames of lamps were operated while the tracked vehicle was running for 1 second, and the speed / position measuring system measured the signal once every 0.05 seconds to 0.5 seconds to illuminate the signal. If the device works, there won't be a lot of error in the frame when it comes to video.

객차의 진동이나 흔들림을 어떻게 하면 화면으로 무리 없이 흡수하여 자연스러운 동영상을 구현할 것인가 상기에서 임계융합빈도 때문에 1초간의 프레임평균수를 46프레임으로 한다고 했다.How do you absorb the vibration and shaking of the car on the screen without difficulty? Realize the natural video. Because of the critical fusion frequency, the average frame rate for one second is 46 frames.

런데 임계융합빈도 뿐만 아니라 열차의 객차별 진동이나 흔들림을 영상의 화면부에 흡수하기 위해서도 프레임 수를 늘려야 한다.In addition, the number of frames must be increased to absorb not only the critical fusion frequency but also the vibration or shaking of the train cars.

기에서 궤도차량이 1초동안 진행하는 동안에 약 46프레임의 영상을 구현한다고 했는데, 궤도차량이 좌우, 상하진동을 할 경우 대부분은 0.8내지 1.2초를 주기로 진동한다.It is said that while the track vehicle implements about 46 frames of video during one second, most of the track vehicles oscillate at 0.8 to 1.2 seconds when the vehicle is oscillated from side to side and up and down.

는 궤도레일의 연결부위와 관련되어 있으며, 현재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궤도레일의 길이는 구간특성이나 시설여건에 따라 약간의 차이가 있으나 약 20m정도이기 때문이다.Is related to the connection part of the track rail, and the length of track rails generally used is about 20m although there are some differences depending on the section characteristics and facility conditions.

차가 진동하는 과정 중 1/6초에 1회씩 속도를 측정한다면, 1회의 속도측정 마다 약 7.666프레임의 화면을 보여주므로 1회 주기의 진동이나 흔들림의 경우 약 6개의 순간으로 나누어 속도/위치측정기가 작동하고 1회의 속도/위치측정기의 작동마다 약 7.6회의 조광장치가 작동하므로 1/6초당 최대 5.11mm정도로 화면부가 물 흐르듯이 자연스러운 느낌을 주거나 거의 제자리에 있는 것으로 느껴져 시청자의 눈에 전혀 부담을 주지 않는다.If the speed is measured once per 1/6 second of the vehicle vibrating process, the screen shows about 7.666 frames per speed measurement, so in case of vibration or shaking of one cycle, the speed / position meter is divided into about 6 moments. And about 7.6 dimming devices per operation of the speed / position meter, so that the screen part feels as natural as water flows up to 5.11mm per 1/6 seconds or feels almost in place, which does not burden the viewer's eyes at all. Do not.

둘 째, 다음은 속도/위치 측정 시스템의 설치 및 운용에 관해서 설명한다.Second, the following describes the installation and operation of the speed / position measurement system.

지하철의 주행속도를 이용해 동화상을 구현하는 본 과제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은 정확한 속도의 측정과 프레임 점등 즉, 조광장치의 작동을 위한 기준위치의 정확한 검출에 있다.The most important part of the task of realizing moving pictures using the speed of the subway is the accurate measurement of the speed and the frame lighting, that is, the accurate detection of the reference position for the operation of the dimmer.

속도센서를 부착한 본 발명의 시스템의 전체 구성도는 그림 4와 같다.The overall configuration of the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a speed sensor is shown in Figure 4.

먼저 투과형 위치검출센서를 이용한 속도검출은 그림 5와 같이 구성된다.First, speed detection using the transmission type position detection sensor is composed as shown in Fig. 5.

그림 5에서 속도는 투과형 위치센서의 광 주사기에서 주사된 광을 광 검출기에서 검출한 시간을 측정하여 속도를 구한다.In Figure 5, the velocity is obtained by measuring the time when the photodetector detects the light injected from the optical syringe of the transmissive position sensor.

차량의 바퀴는 운행에 의해 크기가 점차 감소되어 약 86cm인 바퀴의 지름이 약 76cm정도까지 감소하므로 차량 바퀴의 지름 폭을 기준 거리로 사용할 수 없다.The wheel size of the vehicle is gradually reduced in size by driving, so the diameter of the wheel, which is about 86 cm, decreases to about 76 cm, so the diameter width of the vehicle wheel cannot be used as a reference distance.

그러나 차량바퀴의 간격은 항상 일정하므로 이를 기준거리(L)로 사용한다.However, the distance between the wheels is always constant, so use it as the reference distance (L).

바퀴의 지름이 감소하더라도 그 중심에 대한 감소정도가 일정하므로 시간 t0과 t1의 중심값과 t2 와 t3의 중심값의 견격에 대한 시간간격을 측정하면 속도를 측정할 수 있다. 이를 식으로 나타내면 열차의 속도 = L /{(t3-t2)/2-(t1-t0)/2}Even if the diameter of the wheel decreases, the degree of reduction of the center is constant, so the speed can be measured by measuring the time interval between the center values of the times t0 and t1 and the center values of t2 and t3. Expressed in this equation, the speed of the train = L / {(t3-t2) / 2- (t1-t0) / 2}

반사형 위치 검출센서를 이용하여 시스템을 구성할 경우 그림 6과 같이 구성된다.When the system is configured using the reflective position detection sensor, it is composed as shown in Figure 6.

첫 번째 반사판에 의해 검출된 위치신호의 측정시간을 t1이라 하고 두 번째 반사판에 의한 위치신호 측정시간을 t2라 하면 열차속도는 다음 식과 같다.If the measurement time of the position signal detected by the first reflector is t1 and the measurement time of the position signal by the second reflector is t2, the train speed is as follows.

열차의 속도 = L1 / (t2-t1)Speed of train = L1 / (t2-t1)

이 때 반사판의 폭은 신호 검출을 위한 최소의 폭이면 되고 반사판의 길이는 신호 검출이 가능한 폭에 열차의 진동에 의한 변동폭을 감안하여 충분히 길게 설계한다.At this time, the width of the reflector should be the minimum width for signal detection, and the length of the reflector should be designed to be sufficiently long in consideration of the fluctuation of the train due to the width of the signal detection.

세 번째 반사판은 속도측정 이외에 점멸 시간 계획을 위한 차량의 기준위치를 설정하는데 사용된다.The third reflector is used to set the vehicle's reference position for flashing time planning in addition to speed measurement.

구간제어기와 속도측정 시스템과의 통합운영체계의 시스템 구성은 그림 7과 같다.The system configuration of the integrated operating system between the section controller and the speed measurement system is shown in Figure 7.

각 구간제어기는 하나의 속도측정 시스템을 가지고 있으며, 하나의 속도 측정 시스템은 일정간격으로 배치된 위치센서로부터 신호를 순차적으로 받아들여 최대한 정확한 속도를 측정한다.Each section controller has one speed measurement system, and one speed measurement system sequentially receives signals from position sensors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and measures the most accurate speed.

반사형센서 시스템의 반사판의 위치와 센서간의 간격은 먼저 다음과 같은 조건아래서 결정한다.The position of the reflector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sensors of the reflective sensor system are first determined under the following conditions.

궤도차량 1량의 길이, 제어시스템의 연산프로그램의 방식과 속도, 1개 구간제어기의 통제 프레임 수, 궤도차량의 속도, 반사판 간섭의 영향 폭, 차량 외벽면의 유리창 혹은 창문의 간격, 가로길이 등을 고려하여 결정한다.The length of one tracked vehicle, the method and speed of the calculation program of the control system, the number of control frames of one section controller, the speed of the tracked vehicle, the width of the influence of reflector interference, the distance between the windows or windows on the outer wall of the vehicle, the horizontal length, etc. Decide by considering.

일정간격마다 설치된 위치센서는 반사형 센서로서 지하철 차량의 외벽에 일정 간격으로 부착된 반사판을 이용한다. 지하철 외벽에 부착될 반사판의 설치규격은 그림 8과 같다.Position sensors installed at regular intervals are reflective sensors that use reflective plates attached to the outer walls of subway cars at regular intervals. The installation specifications of the reflector to be attached to the outer wall of the subway are shown in Figure 8.

속도/위치 측정시스템은 구간제어기로부터 직렬통신을 이용하여 통과할 열차의 차량 대수에 관한 정보를 받고, 또한 측정한 속도를 구간제어기에 제공한다.The speed / position measurement system receives information about the number of vehicles of the train to pass through the serial communication from the section controller, and provides the section controller with the measured speed.

하나의 위치측정 센서로부터 3개의 신호가 차례대로 속도측정 C P U 에 입력된다.Three signals from one position measuring sensor are sequentially input to the speed measurement C P U.

첫 위치 측정신호가 입력되었을 때 C P U 내의 타이머를 구동시켜서When the first position measurement signal is input, start the timer in C P U

두 번째 위치측정신호가 입력될 때까지 구동시킨다.Drive until the second position measurement signal is input.

이로부터 두 반사판 사이의 시간간격을 측정하고 이 값으로부터 속도를 계산해 낸다.From this, the time interval between the two reflectors is measured and the speed is calculated from this value.

계산된 속도 값은 특정 주파수로 구동되는 구간 제어기의 타이머 구동주기에 맞게 센티미터 당의 타이머 구동 주기수로 두 바이트 크기의 데이터로 변환하여 구간제어기에 전송한다. 세 번째 위치입력신호가 들어오면 구간제어기가 시간 계획을 수립할 수 있도록 위치신호를 구간제어기의 외부 인터럽터 신호로 보내는 역할을 한다.The calculated speed value is converted into two bytes of data and transmitted to the section controller according to the timer driving period per centimeter according to the timer driving period of the section controller driven at a specific frequency. When the third position input signal comes in, it plays the role of sending the position signal to the external interrupter signal of the section controller so that the section controller can set the time plan.

상기와 같은 프로그램 흐름도는 그림 9와 같다.The above program flow diagram is shown in Figure 9.

그림 6-①은 투과형센서와 반사형센서를 혼합한 형태로서 혼합센서 시스템이다.Figure 6-① is a mixed sensor system in which a transmissive sensor and a reflective sensor are mixed.

본 방법은 3개의 센서를 1단위센서로 하여 단위센서의 거리를 일정이상 유지하며 반복한다.This method repeats keeping the distance of unit sensor more than a certain length with 3 sensors as 1 unit sensor.

단, 1단위센서간의 거리는 궤도차량 1량의 길이와 제어시스템의 연산프로그램의 속도와 그 방식,However, the distance between 1 unit sensor means the length of 1 track vehicle, the speed and method of operation program of control system,

1개 구간제어기의 통제 프레임수(통제의 범위), 궤도차량의 규격 즉, 궤도차량의 외벽에 설치된 유리창(혹은 출입문의 창)의 가로길이, 유리창과 유리창사이의 간격의 거리, 궤도차량의 속도 등에 의하여 결정된다.The number of control frames (range of control) of one section controller, the standard of track vehicle, that is, the width of the window (or the window of door) installed on the outer wall of track vehicle, the distance between the window and the window, the speed of track vehicle And so on.

궤도차량의 길이를 20m라 한다면 단위센서간의 거리는 0.4m∼10m의 거리에서If the length of track vehicle is 20m, the distance between unit sensors is 0.4m ~ 10m

다양하게 결정될 수 있다.Various decisions can be made.

또, 단위센서 내에 서로 근접한 3개의 센서거리 간격도 궤도차량 1량의 길이, 제어시스템 연산프로그램형식과 속도, 1개구간제어기의 통제 프레임수, 궤도차량의 속도, 센서간 간섭의 영향 등에 의해서 결정되고 각 센서들은 반사형센서의 반사판과 같은 역할을 하게된다.In addition, the distance between three sensor distances close to each other in the unit sensor is also determined by the length of one tracked vehicle, the type and speed of a control system calculation program, the number of frames controlled by a single section controller, the speed of tracked vehicles, and the influence of interference between sensors. Each sensor acts like a reflector of the reflective sensor.

혼합센서 시스템의 경우 반사형 센서에서처럼 궤도차량에 반사판을 부착하지 않고도 객차별 정밀한 속도를 측정 점이 큰장점이나 그림에서처럼 반사형센서 시스템에서보다 센서의 수량이 3배로 대폭 증가한다.In the case of the mixed sensor system, as in the reflective sensor, the number of sensors can be measured three times faster than in the reflective sensor system.

그림 6-①에서 센서 6-①-6과 6-①-6'의 센서는 6-①-8의 객차B가 통과하는 동안은 반응이 없다가 객차가 객차와 객차사이의 주름통로6-①-7과 6-①-10의 빈 공간이 발생하는 순간 6-①-6의 센서가 먼저 ON상태로 작동하고 다음 6-①-6'의 상하로 배치된 센서 2개(혹은 1개의 센서)가 ON상태로 작동한다.In Figure 6-①, sensors 6-①-6 and 6-①-6 'do not react while Passenger B of 6-①-8 passes. When the empty space of -7 and 6-①-10 occurs, the sensor of 6-①-6 operates ON first and then two sensors (or one sensor) arranged up and down of 6-①-6 ' Operates in the ON state.

두 개의 센서 중 6-①-6과 나란한 높이로 배치된 6-①-6'의 센서 중 1개는 궤도차량의 속도를 측정하는 센서이고 6-??-6'의 나머지 하나는 객차의 위치의 기준을 제시하는 위치센서로서 역할을 한다.Of the two sensors, one of the 6-①-6 'sensors arranged at the same level as 6-①-6 is a sensor to measure the speed of the tracked vehicle, and the other of 6-??-6' is the position of the passenger car. It serves as a position sensor that presents the criteria of

여기서 6-①-6과 6-①-6'의 센서배치 길이는 최소한 객차별 간격(6-①-7)의 길이보다는 길어야 센서간의 간섭을 차단하면서 정확한 신호를 감지할 수 있다.(단, 서로 다른 주파수를 활용하면 관계없음) 그리고 객차B는 객차 1량의 길이에 배치된 센서의 배치단위(6-①-9)의 개수만큼 속도를 연속적으로 측정한다.Here, the length of the sensor arrangement of 6-①-6 and 6-①-6 'must be at least longer than the length of the passenger compartment (6-①-7) to detect the correct signal while blocking the interference between the sensors. It is irrelevant if different frequencies are used) and carriage B continuously measures the speed by the number of arrangement units (6-①-9) of the sensors arranged in the length of one carriage.

본 센서(6-①-6)에 객차 C가 진입하는 순간부터 센서는 ON에서 OFF로 다시 반응하면서 객차 C의 속도 및 위치를 측정하여 속도 CPU에 전송하게 된다.From the moment the carriage C enters the sensor (6-①-6), the sensor reacts from ON to OFF again and measures the speed and position of the carriage C and transmits it to the speed CPU.

객차 B와 C의 속도 및 위치 측정은 OFF-ON의 변화와 ON-OFF의 변화에서 각 1회씩 측정하게 된다.The speed and position measurements of the carriages B and C are measured once for each change of OFF-ON and ON-OFF.

이렇게 객차의 양 끝단에서 모두 센서로 신호를 받는 경우는 제어시스템 중 구간제어기의 통제 범위가 객차2량의 범위에 미치지 못할 경우의 운용방법에서 구간제어기의 연산 시 페이지를 변경하여 원할 하게 운용하기 위함이다.In this case, when both ends of the car receive signals from the sensor, the operation method when the control range of the section controller in the control system does not reach the range of two cars is to change the page when calculating the section controller. to be.

즉, 1개의 구간제어기의 통제 범위에 2개의 객차가 동시에 진행할 때 원활한 제어를 하기 위해서다.In other words, when two passenger cars proceed simultaneously in the control range of one section controller, smooth control is performed.

여기서 센서 6-①-6'의 2개의 센서는 서로간 주파수가 다르면 서로간의 간섭 등 특별히 문제는 발생치 아니할 것이다.Here, if the two sensors of sensor 6-①-6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there will be no problem such as interference between each other.

그리고 이렇게 주파수가 다르면 센서를 상하로 배치하지 아니하고 약간의 간격, 즉 6-①-7의 간격보다 좁게 나란히 배치하여도 무방하다.And if the frequency is different in this way, the sensor may not be arranged up and down, but a little space, that is, may be arranged side by side narrower than the interval of 6-①-7.

속도의 계산은 객차별 간격 즉, 주름통로의 길이, 객차의 길이, 그리고 단위센서의 배치단위 내의 센서의 간격 등을 신호의 반응 시간으로 나누면 가능하다.The speed can be calculated by dividing the interval of the carriage by the signal response time by the length of the corrugation path, the length of the carriage, and the distance of the sensor in the unit of the unit sensor.

셋 째, 센서의 감지능력을 최대한 높이기 위해서는 센서의 선택과 센서투사광원의 빔 농도조정과 농도설정, 그리고 최대의 효율을 나타내는 센서의 설치방법 등을 궤도열차의 구조와 터널의 토목공사의 특징에서 찾아내야 한다.Third, in order to maximize the detection capability of the sensor, the selection of the sensor, adjustment of the beam density and concentration of the projected light source, and the installation method of the sensor showing the maximum efficiency are described in terms of the structure of the track train and civil engineering of the tunnel. You must find it.

대부분 궤도차량의 순간 최대가속도 3km/h/s 이고 순간 최대 감속도(비상시제외) 3.5km/h/s 이다. 그러나 구간 최대속도를 유지하는 구역에서 속도변화는 대부분 평이하고 굴곡이나 심한 구배의 구간 이외의 지역의 속도변화는 특별히 심하지 않다.Most of the tracked vehicle has an instantaneous maximum acceleration of 3km / h / s and an instantaneous maximum deceleration (excluding emergency) of 3.5km / h / s. However, the speed change is mostly flat in the zone that maintains the maximum speed of the section, and the speed change is not particularly severe in areas other than the curved or severe gradient section.

본 발명에서는 각종자료와 본 발명의 여건으로 보아 약 2m∼4m 내외의 길이구역마다 단위 센서(3개의 센서 혹은 센서1개에 반사판 3개)를 설치하면 주행차량의 속도변화율을 0.11km/h/s이하로 측정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in view of the various data and the condi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if a unit sensor (three sensors or three reflectors in one sensor) is installed in each length section of about 2 m to 4 m, the speed change rate of the traveling vehicle is 0.11 km / h / It can measure below s.

임계융합빈도 외에 1초당 프레임 수가 증가하면 객차별 속도의 변화율뿐만 아니라 주행열차가 이동하는 레일궤도의 굴곡율, 기울기, 굴곡율 에 따른 열차1량의 흔들림 각도의 변화, 열차 1량의 무게와 속도의 매개변수에 따른 화면의 높낮이의 변화 등으로 나타나는 승객의 시야 각도변화와 차량의 미세한 떨림을 화면부에서 어느 정도 소화가 가능하며 더욱이 이에 대한 보정값을 구간제어기에 심어 프로그램화하면 더욱 정밀한 화면을 얻을 수 있다. 이 모든 변수는 1초당 프레임 수가 증가하면 보정하기가 더욱 쉬어 진다.In addition to the critical fusion frequency, if the number of frames per second increases, not only the rate of change of the vehicle speed but also the change of the swing angle of the train 1 according to the bending rate, inclination, and the bending rate of the rail track that the traveling train moves, the weight and speed of the train 1 It is possible to extinguish passenger's viewing angle and vehicle's small tremors caused by the change of height of the screen according to the parameters of the screen on the screen part. You can get it. All these variables are easier to correct as the number of frames per second increases.

히, 궤도차량 1량의 길이를 기준으로 하여 열차의 진동이나 흔들림을 추적하는 센서를 설치하는 방법도 고려할 수 있는데, 궤도차량 1량의 길이가 20m일 경우, 20m 내의 거리를 기준으로 센서를 설치하여 궤도차량 객차 1량의 흔들림이나 진동을 감지 할 수 있다.In addition, a method of installing a sensor for tracking vibration or shaking of a train based on the length of one tracked vehicle may be considered. If the length of one tracked vehicle is 20m, the sensor is installed based on a distance within 20m. It can detect the shaking or vibration of one passenger car.

도차량의 바닥면의 흔들림 폭은 약 42mm이나 궤도차량의 지붕과 외벽체가 연결된 모서리 부분의 진동이나 흔들림은 더욱 커지기 때문에 궤도차량 객차의 모서리 부분을 측정하는 것이 편리하다.The swing width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wagon is about 42mm, but since the vibration or shaking of the corner portion where the roof and the outer wall of the track vehicle are connected is greater, it is convenient to measure the corner portion of the passenger car.

궤도차량의 모서리 높이 보다 낮은 지점에서 모서리를 향해 감지센서의 빔을 주사하거나, 혹은 모서리 보다 낮은 지점에서 감지 센서의 빔을 주사하여 주사된 빔과 궤도차량의 본체간의 접촉관계를 활용하여 진동을 감지하는 방법이다.Vibration is detected using the contact relationship between the scanned beam and the main body of the tracked vehicle by scanning the beam of the sensor toward the corner at a point lower than the corner height of the tracked vehicle or by scanning the beam of the sensor at a point lower than the corner. That's how.

동일한 종류의 객차만이 존재하는 구간이거나, 또는 제어시스템에서 궤도차량의 종류를 구분한다면, 객차의 외장의 부위별 채색을 활용하여 진동이나 흔들림을 감지할 수 있다.If only the same kind of carriage exists, or if the control system classifies the type of the tracked vehicle, the vibration or shaking can be detected by using the coloring of each part of the exterior of the carriage.

2). 제어 시스템 개괄2). Control system overview

다음은 제어장치 시스템에 대해 설명한다.The following describes the control system.

위에서 설명한 차량운행 중의 여러 변수를 적절히 분석 통합하고, 적절한 신호명령체계를 수립하기 위해서는 속도/위치측정시스템과 통합제어기, 구간제어기, 분배기 등 각 종 제어기를 효율적이고 정확히 연결해야한다.In order to properly analyze and integrate various variables in the vehicle operation and to establish an appropriate signal command system, various controllers such as speed / position measurement system, integrated controller, section controller, and distributor must be efficiently and accurately connected.

제어기는 시스템 전체의 여건변화 및 돌발상황, 구간별 환경변화 등 여러 상황에서 안전성을 확보하는 통합제어기와 통합제어기 아래 연결되면서 전 구간을 일정한 거리의 소구간 20여개 내외로 나누어 객차 1량 별 속도측정 및 위치 파악과 진동 및 흔들림 등의 각 종 매개변수들을 연산화하여 적절한 점등명령신호를 내리는 구간제어기로 구성되어 있다.The controller is connected under the integrated controller and the integrated controller to ensure safety in various situations such as changes in the overall system environment, sudden situation, and environment changes by section, and the entire section is divided into about 20 small sections of a certain distance and the speed is measured by one passenger car. And a section controller that calculates various parameters such as positioning, vibration, and shaking to give an appropriate lighting command signal.

그리고 구간제어기로부터의 신호를 적절히 분배하는 분배기로 구성된다.And a divider for appropriately distributing the signal from the section controller.

본 발명에서는 구간제어기를 중심으로 시스템이 구성되며, 구간제어기 운용 및 설치 방법은 두 가지가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ystem is configured around the section controller, and there are two methods of operating and installing the section controller.

그림 10, 그림 11과 같이 객차 1량의 길이보다 약간 길거나 짧은 즉, 객차 1량의 길이와 비슷하나 객차 1량의 길이와 일치하지 않는 통제구역을 갖는 구간제어기시스템이 있는데, 본 발명에서는 이를 단구간제어시스템이라 칭한다.As shown in Fig. 10 and Fig. 11, there is a section controller system having a control area that is slightly longer or shorter than the length of one carriage, that is, the length of the carriage is similar to the length of the carriage, but does not match the length of the carriage. It is called a section control system.

그림 12, 그림 13, 그림 14와 같이 객차1량의 길이의 2배에 해당하는 통제구역을 갖는 구간제어기의 운용체계, 본 발명에서는 이를 장구간제어시스템이라 칭한다.As shown in Fig. 12, Fig. 13, and Fig. 14, the operating system of a section controller having a control area corresponding to twice the length of one passenger car, in the present invention, this is called a long-term control system.

본 발명에서는 상기의 구간제어기의 운용방법 2가지를 설명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operation method of the above section controller will be described.

먼저 구간제어기의 통제구간이 궤도차량 1량보다 짧은 단구간제어시스템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한다. 이를 위해 그림 11을 참고한다.First, an example of a short section control system in which the control section of the section controller is shorter than one track vehicle will be described. See Figure 11 for this.

먼저 객차 1이 구간제어기1의 구역에 진입하기 전 단계에서 속도/위치 측정시스템에 의해 통합제어기에 속도/위치가 1차적으로 전송되어 연산된다.First, before the carriage 1 enters the zone of the section controller 1, the speed / position is first transmitted to the integrated controller by the speed / position measurement system and calculated.

본 측정에서는 전체 구간제어기의 작동의 개시나 중단을 미리 판단하여 예시하고, 승무원의 운전방해나 차장의 업무방해를 일으키지 않도록 미리 설정한 프로그램에 의해 각각의 구간제어기가 작동될 수 있도록 조정한다.In this measurement, the start and stop of the operation of the entire section controller is judged and illustrated in advance, and each section controller is operated to be operated by a preset program so as not to cause crew operation or disruption of the vehicle manager.

이에 대한 설명은 후반부에 가서 자세히 언급하기로 한다.This will be explained later in detail.

그리고 본 발명품이 설치되는 구간은 타력운전구간이므로 궤도차량의 관성주행 순간의 초기 상황을 미리 통합제어기가 입력을 해두었다가 궤도차량이 타력 주행 중 일정이상의 가속도나 감속도가 발생하면 곧바로 시스템작동이 중단 될 수 있도록 프로그램을 운용한다.In addition, since the section where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s the inertia driving section, the integrated controller inputs the initial situation at the moment of inertia driving of the tracked vehicle in advance. Operate the program to be interrupted.

이는 궤도차량의 급속한 감속 과정에서 전자기파가 다량 발생하여 할 수 있는데, 본 발명품과 궤도차량의 발전기 상호간의 전자기파가 전도 및 복사 감응이 발생하여 서로간의 기기에 영향을 줄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This may be caused by a large amount of electromagnetic waves generated during the rapid deceleration of the tracked vehicle, because electromagnetic waves between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generator of the tracked vehicle may have conduction and radiation response and thus affect the devices.

가속도의 현상에서도 비슷한 프로그램의 운용체계를 갖추어야 한다.In the phenomenon of acceleration, a similar program operating system should be provided.

즉, 궤도차량이 급 발진하거나 어느 이상의 가속을 가하게 되면, 동력모타가 r p m이 상승하게 되고 이 과정에서 전자기파가 급속히 증가하여 서로간의 전자기파 감응 가능성이 있음으로 전체시스템을 정지시킬 필요가 있다.In other words, if the orbiting vehicle suddenly starts or accelerates more than a certain amount, the power motor rp m rises, and in this process, the electromagnetic waves increase rapidly.

이러한 가속도나 감속도의 기준속도를 제시하기 위해 통합제어기에 의해 미리서 궤도차량의 속도를 측정할 필요가 있다.In order to suggest the reference speed of the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it is necessary to measure the speed of the track vehicle in advance by the integrated controller.

그리고 궤도차량 주행 중 궤도차량 각각의 객차 전체의 속도가 연속적으로 측정되므로 주행 중에도 연속적인 감시가 계속됨은 물론이다.In addition, since the speed of the entire carriage of each track vehicle is continuously measured while the track vehicle is running, the continuous monitoring is continued while driving.

따라서 통합제어기에는 궤도차량 전량의 상황을 파악할 기본적인 저장값이 필요로하다.Therefore, the integrated controller needs a basic storage value to grasp the situation of the entire track vehicle.

객차 1의 속도/위치측정기 반사판 1이 구간제어기 통제범위1에 포함된 속도/위치 측정시스템①의 광원주사를 받아 이를 다시 광원검출기로 전송하게 되고,The speed / position measuring instrument 1 of the carriage 1 receives the light source scan of the speed / position measuring system ① included in the control range 1 of the section controller, and transmits it to the light source detector again.

또 연속적으로 20cm 후방의 반사판2의 신호를 받은 속도연산장치는 이 신호를 체킹하여 궤도차량의 속도를 연산하게 된다.In addition, the speed calculating device which receives the signal of the reflector 2 behind 20 cm continuously checks this signal and calculates the speed of the track vehicle.

이때 이 속도값은 구간제어기1에 포함되어 있는 프레임하우징의 화면부(표현수단), 1, 2, 3, 4에 구간제어기1이 연속적인 점등신호를 주어 광원이 점등한다.At this time, the speed value is supplied to the display unit (expression means), 1, 2, 3, and 4 of the frame housing included in the section controller 1 so that the section controller 1 continuously turns on the light source.

구간제어기의 역할은 시청 가능한 적절한 목적창문이 지나가는 부분에서만 연속적이고 순차적인 점등이 되도록 조정하는 것이다.The role of the section controller is to adjust the lighting to be continuous and sequential only in the part where the appropriate object window for viewing is passed.

그런데, 속도/위치 측정장치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궤도차량 1량당 반사판은 2조가 부착되어 있으며, 반사판 1조당 3개의 반사판이 설치되어 있다. 반사판 1과 반사판 2는 속도 측정을 위해 설치된 것이며, 세 번째 반사판은 궤도차량 차체의 외벽과 유리창 및 출입문 등의 위치를 파악하여 연속적인 점등을 시행하되 몇 번째의 프레임 간격으로 점등을 명령할 것인가를 결정하는데 활용된다.However, as described in the speed / position measuring device, two sets of reflecting plates per track vehicle are attached, and three reflecting plates are provided per pair of reflecting plates. Reflector 1 and Reflector 2 are installed to measure the speed. The third reflector detects the position of the outer wall of the vehicle body, the windows and doors, and performs continuous lighting. It is used to decide.

따라서 구간제어기에는 각 궤도차량 차체의 외벽, 유리창, 출입문에 대한 기본적인 정보가 수록되어 있어야 할 것이다.Therefore, the section controller should have basic information about the outer wall, the window and the door of each track vehicle body.

보수록의 길이 단위는 구간제어기의 기억장치나 연산능력의 용량에 따라 결정할 사항이다.The length unit of the report is determined by the capacity of the memory controller and the computing power of the section controller.

그런데 그림에서 객차 1은 속도/위치측정기①을 지나면서 속도를 측정하여 궤도차량 창문 a 에 탑승한 승객의 시야 일부분에 연속 동영상이 발생하도록 프레임 1, 2, 3번까지 연속적으로 점등을 시행했으며, 그림의 상황은 이미 속도/위치 측정시스템 ②의 지점에 도달하였음으로 이때 측정된 속도/위치 측정값은 같은 창문 승객의 시야에 프레임 4, 5, 6, 7, 8이 연속적으로 광원이 점등되어 동영상이 보이도록 구간제어기 1이 점등 명령신호를 연산한다.However, in the figure, the passenger car 1 continuously measured the speed while passing through the speed / position measuring machine ① and continuously lit up to frames 1, 2, and 3 so that a continuous video occurred in the part of the passenger's field of view on the tracked vehicle window a. The situation in the figure has already reached the point of the speed / position measurement system ②. The measured speed / position measurement value is that the light source is continuously turned on in frames 4, 5, 6, 7, and 8 in the field of view of the same window passenger. Section controller 1 calculates the lighting command signal so that it can be seen.

객차2가 그림과 같은 상황에 주행하는 순간을 본다면, 객차 2는 창문 a가 구간제어기 1에 포함되어 있고 창문 b, c, d, e, f, g, h는 구간제어기2의 구역에 속해 있다.If you look at the moment when carriage 2 travels in the situation shown in the figure, carriage 2 has window a included in section controller 1 and windows b, c, d, e, f, g and h belong to the section of section controller 2. .

그리고 창문 i 는 구간제어기 3에 포함되어 있다.And window i is included in section controller 3.

창문 a는 구간제어기 1에 포함된 속도/위치 측정기⑥의 신호를 받은 구간제어기 1의 점등 신호를 받아 점등을 실시하며, 창문 b, c, d, e, f, g, h는 구간제어기 2에 포함된 선행속도 측정값 즉, 속도/위치측정기⑥⑤.....의 속도값으로 측정된 신호에 의해 구간제어기2의 신호에 의한 점등을 시행하던 프레임들이 연속하여 객차 2의 후방에 설치된 속도/위치 측정기 ①의 신호를 받은 구간제어기 1의 신호명령을 받아 점등을 시행하려는 순간에 있다.Window a turns on in response to the lighting signal of section controller 1 receiving the signal of speed / position measuring unit ⑥ included in section controller 1, and windows b, c, d, e, f, g, h are connected to section controller 2 Frames that were lit by the signal of section controller 2 by the signal measured by the included velocity measurement value, that is, the velocity value of velocity / position measuring machine ⑥⑤ ..... It is at the moment that it wants to turn on by receiving the signal command of section controller 1 which received the signal of position measuring machine ①.

또한 다음 순간 연속적으로 객차2의 후방의 속도/위치측정기 반사판이 속도/위치측정기②의 신호를 받는 경우 객차 2의 후방은 구간제어기2에 포함되므로 본 구역에 포함된 창문 a ,b, c, d, e, f, g의 위치에서 연속적인 동영상 시청이 가능하도록 구간제어기 2는 프레임간의 위치간격을 조정하여 즉, 창문과 동기화된 프레임의 조광장치가 연속적으로 점등되도록 명령하게 된다.In addition, if the speed / position measuring instrument reflector on the rear of the carriage 2 receives the signal of the speed / position measuring unit ② continuously in the next moment, the rear of the carriage 2 is included in the section controller 2, so that the windows a, b, c, and d included in this zone are included. In order to enable continuous video viewing at positions e, f, and g, the section controller 2 adjusts the position interval between the frames, that is, commands the dimmer of the frame synchronized with the window to be turned on continuously.

한편, 창문 i 는 그림과 같은 상황의 주행의 경우 구간제어기 3에 포함된 속도/위치 측정기 ①의 신호를 받은 구간제어기 3의 명령을 받아 점등신호를 발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the window i emits a light signal in response to the command of the section controller 3 receiving the signal of the speed / position measuring unit ① included in the section controller 3 when driving in the situation shown in the figure.

다음은 객차가 연속적으로 설치된 실질적인 상황을 고려한 객차 3-1, 객차 3-2의 주행 상황에 대해서 설명한다.The following describes the driving situation of carriages 3-1 and 3-2 in consideration of the actual situation in which the carriages are installed continuously.

림에서처럼 주행 중 대부분의 경우 객차는 최소한 2개의 구간제어기 구역에In most cases, as in the rim, the car is located in at least two zone controller zones.

포함되어 운행된다. 따라서 다른 구간제어기에 포함된 상황설정은 매우 중요하다.It is included and operates. Therefore, the situation setting included in the other section controller is very important.

차 3-1은 구간제어기 1에 창문 a, b, c, d, e가 포함되어 있고, 문 f, g, h, i는 구간제어기 2에 포함되어 있다.Vehicle 3-1 includes window controllers a, b, c, d and e in section controller 1 and doors f, g, h and i are included in section controller 2.

간제어기1의 속도/위치측정기④에 의해 측정된 속도값은 객차 3-1의 창문 a, b, c, d, e에 구간제어기 1이 점등신호명령을 준다.The speed value measured by the speed / position measuring device ④ of the inter-controller 1 gives a light signal command to the section controller 1 on the windows a, b, c, d and e of the carriage 3-1.

리고 같은 객차 창문 f, g, h, i 는 구간제어기 2에 포함된 속도/위치측정기③의 신호에 따라 구간제어기 2의 점등신호명령을 받는다.In addition, the same passenger car windows f, g, h, and i receive a light signal command of the controller 2 according to the signal of the speed / position measuring machine ③ included in the controller 2.

론 구간제어기 1의 속도/위치측정기④의 속도값과 구간제어기 2의 속도/위치 측정기 ③의 속도값은 같은 객차 3-1을 측정하였음으로 동일하다.The speed value of the speed / position measuring unit ④ of the section controller 1 and the speed value of the speed / position measuring unit ③ of the section controller 2 are the same because they measured the same carriage 3-1.

그러나 위치 반사판에 의한 창문위치의 저장값이 다르게 기억되어 있음으로 각자 구간제어기의 저장값에 의한 위치 연산 신호명령은 달라진다.However, since the stored value of the window position by the position reflector is stored differently, the position calculation signal command by the stored value of the section controller is different.

여기서 중요한 점은 어떤 창문이 터널에 설치된 연속화면을 지나갈 때, 객차별 2조가 설치된 속도/위치측정기에서 새로운 신호명령을 준다하더라도 궤도차량 주행 중 해당 창문과 마주치는 프레임은 모두다 순차적이고 연속적으로 점등을 한다는 것이다.The important point here is that when a window passes through a continuous screen installed in a tunnel, even if the vehicle has two new sets of speed / position meters, the frames encountered by the window while driving the track are lit sequentially and continuously. Is to do.

즉, 프레임 하우징에 포함된 조광장치는 창문과 위치가 동기화 되었을 때마다That is, the dimmer included in the frame housing is used whenever the window and the position are synchronized.

연속으로 점등하되 궤도차량 차체에 창문이 없는 외벽의 구간이 나타나는 프레임은 외벽이 지나갈 때마다 연속적으로 점등을 하지 못하도록 한다.The frame, which is lit continuously but the section of the outer wall without windows on the track car body, is not allowed to continuously light every time the outer wall passes.

이는 광원의 점멸횟수를 줄여 수명을 연장하기 위함이기도 하고, 불필요한 점등을 자제하여 보이지 않는 부분에 점등을 못하게 하기 위해서이다.This is to extend the life by reducing the number of flashes of the light source, and to prevent unnecessary lighting to prevent the lighting invisible.

특히, 조광장치 발진부의 점등 횟수가 줄어 듬으로서 1초간 점등횟수를 줄여 광원의 지속시간을 효율적으로 늘려주어 임계융합빈도와 프레임 수를 낮추기 위한 목적도 있다.In particular, the number of lighting of the dimmer oscillator is reduced, thereby reducing the number of lighting for 1 second to effectively increase the duration of the light source, thereby reducing the critical fusion frequency and the number of frames.

즉, 매순간 객차별 속도로 인해서 구간제어기에 포함된 프레임하우징과 객차의 창문의 위치가 매순간 연속적으로 변화하므로 위치측정기는 매순간 연산해서,That is, because the position of the frame housing included in the section controller and the window of the carriage change continuously every moment due to the speed of the vehicle for each moment, the position measuring device calculates every moment,

주행하는 객차의 창문과 위치가 동기화된 프레임하우징은 연속적으로 광원이 점등 되도록 해야 한다.Frame housings in which the windows of the passenger car and the location are synchronized should ensure that the light source is turned on continuously.

따라서 본 발명의 위치측정기 반사판의 역할은 매우 중요하다.Therefore, the role of the position sensor reflecto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very important.

객차 3-2도 객차 3-1과 운용방법은 동일하다.Car 3-3 is identical to Car 3-1.

그러면 구간제어기 2에 포함된 객차 3-1, 3-2의 2량의 운용에 대해 설명한다.Next, operation of two vehicles of the passenger cars 3-1 and 3-2 included in the segment controller 2 will be described.

본 발명에서는 객차 별 속도 측정과 구간제어기별 신호명령이 프로그램의 운용기초를 이룬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peed measurement for each passenger vehicle and the signal command for each section controller form the basis of the operation of the program.

따라서 본 발명의 관점에서 본다면 객차 3-1과 객차 3-2는 궤도 토목 특징에 따른 진동, 객차별 연결부위에 의한 속도의 편차 등 미세하나마 객차별 다른 움직임 특성이 나타난다.Therefore, from the point of view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arriages 3-1 and 3-2 exhibit different movement characteristics for each carriage, such as vibration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track civil engineering and deviation of speed due to connection portions for each carriage.

따라서 구간제어기2는 속도/위치측정기③에 의한 객차 3-1의 창문에 적절한 신호점등명령을 주고, 속도/위치측정기⑥에 의한 객차 3-2의 창문에 적절한 신호점등명령은 구간제어기 2의 다른 페이지로 연산하여 점등신호명령을 내려야한다.Therefore, section controller 2 gives the appropriate signal lighting command to the window of the carriage 3-1 by the speed / position measuring machine ③, and the appropriate signal lighting command to the window of the carriage 3-2 by the speed / position measuring machine ⑥ is different from that of the section controller 2. It should be calculated as a page and give a lighting signal command.

그림 14는 구간제어기 운영알고리즘을 그려 놓았다.Figure 14 depicts the segment controller operating algorithm.

지금까지 객차 1량의 길이보다 약간 짧은 구간제어기의 운용에 관해서 설명했다.So far, operation of the section controller that is slightly shorter than the length of one passenger car has been described.

그리고 센서의 설치방법 중 투과형과 반사판 형식을 혼합한 혼합센서 시스템의 경우는 반사형 센서시스템의 반사판 대신 객차의 양 끝단에서 센서가 반응하므로 반응방법만 다를 뿐이지 운용의 형태는 반사형 센서 시스템과 모든 방법은 동일하다.In the case of the sensor installation method, the mixed sensor system that combines the transmissive type and the reflective plate type is different from the reflective method because the sensor reacts at both ends of the car instead of the reflective plate of the reflective sensor system. The method is the same.

그림 6-①을 참고하기 바란다.Please refer to Figure 6-①.

둘 째 다음은 구간제어기의 통제 폭이 객차 2량의 길이와 같은 구간제어기,Secondly, the next section controller has a control width equal to the length of two cars.

즉, 장구간제어시스템에 대해 설명한다.That is, the long-term control system will be described.

그림 15는 센서와 각종 제어기간의 연결도이고Figure 15 is a connection diagram between sensors and various controllers.

그림 16은 각종 제어기와 프레임간의 연결도를 간략하게 그린 것으로Figure 16 is a simplified diagram of the connection between various controllers and frames.

그림 15와 그림 16을 통합 참고해서보면 차량운행 중의 속도/위치 측정시스템로부터 받은 여러 신호 변수와 각종 제어장치 자체 내 저장되어 있는 보정 값들의 매개변수를 적절히 분석하고 연산한 후 프레임 조광장치에 정확한 신호명령이 구현되게 하기 위해서 객차 1량이 어느 위치에서 주행하고 있는 순간이라도 객차 1량마다 1개의 구간제어기가 항상 관리되도록 하는 운영 체계 시스템이다.Integrating Fig. 15 and Fig. 16 shows the correct signal to the frame dimmer after analyzing and calculating the parameters of the various signal parameters received from the speed / position measurement system during operation and the correction values stored in the various control devices themselves. In order to implement the command, it is an operating system system that ensures that one section controller is always managed for each vehicle, even when one vehicle is traveling at any position.

먼저 그림 17은 한 구간제어기의 통제구간이 객차2량의 길이에 해당 한 경우로서 구간제어기 2의 통제구역 프레임 수는 48프레임으로 설정하였다.First, in Figure 17, the control section of one section controller corresponds to the length of two cars, and the number of frames in the section 2 controller is set to 48 frames.

48프레임 중 전면의 24프레임은 구간제어기 1의 통제구역에 같이 포함되어 있고, 후면 24프레임은 구간제어기 3통제구역에 같이 포함되어 있다. 즉, 같은 프레임을 2개의 구간제어기가 동시에 체결하고 있으며, 통합제어기의 신호명령에 따라 어느 때라도 한 구간제어기의 통제 범위에 선택되면 해당 구간제어기의 신호명령을 인가하도록 한다.Of the 48 frames, the front 24 frames are included in the control section of section controller 1, and the rear 24 frames are included in the section control section 3 control section. That is, when two section controllers are fastening the same frame at the same time, and if the control range of one section controller is selected at any time according to the signal command of the integrated controller, the section command is applied.

속도/위치 측정시스템도 같은 방법으로 체결되어 있으며, 속도/위치 측정기의 간격은 그림에서처럼 4프레임 당 1개씩 설치한다.The speed / position measurement system is also connected in the same way, and the interval of the speed / position measuring instrument is installed one per four frames as shown in the figure.

그림에서는 이해를 돕기위해 해당 구간제어기의 통제범위 중 주 통제범위를 임의로 설정하여 속도/위치 측정기의 번호를 ①번부터 ⑥번까지 지정하였다.In the figure, for the sake of understanding, the main control range is arbitrarily set among the control ranges of the section controller, and the number of speed / position measuring device is designated from ① to ⑥.

그림에서 구간제어기1의 통제범위①의 센서는 궤도차량이 화면부의 프레임에 도착하기 이전에 궤도차량의 속도 및 변동상황을 미리 통합제어기 즉, 중앙 감시장치에 전송하여 현 상황에서의 본 발명품의 시스템 작동 여부나 방식을 결정하기 위해 설치한 것이다. 즉, 1초당 적절한 프레임 수의 속도에 도달하였는가, 임계융합빈도에 편차가 얼마나 발생할 것인가, 열차의 진행 중 가속도나 감속도 변화의 기준점을 설정하기 위해 미리 속도값을 측정하는 것이다.In the figure, the sensor of the control range ① of the section controller 1 transmits the speed and fluctuation of the tracked vehicle to the integrated controller, that is, the central monitoring device, before the tracked vehicle reaches the frame of the display unit. It was installed to determine how or if it worked. That is, the speed value is measured in advance in order to set the speed of the appropriate frame rate per second, how much deviation occurs in the critical fusion frequency, and the reference point of the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change during the train.

그림에서는 구간제어기 1에 포함된 속도/위치 측정기①로서 객차 1의 선두부분에 설치된 속도/위치 측정기 반사판(▣) 1, 2, 3이 순차적으로 광원을 반사하여 본 신호를 구간제어기 1로 송신하게 되면 구간제어기 1은 연산을 통하여 객차 1의 창문a의 중앙지점에 프레임 1, 2, 3, 4 중심 지점과 연속적으로 일치했을 때, 순차적으로 점등 점멸이 일어난다.In the figure, the speed / position measuring unit ① included in the section controller 1 is a speed / position measuring unit (1), 2, and 3 reflecting the light source sequentially and transmitted to the section controller 1. Then, the section controller 1 sequentially turns on and blinks when the frame 1, 2, 3, and 4 center points coincide with the center point of the window a of the carriage 1 through the calculation.

그리고 그림의 객차이동상황 1의 객차 1은 현재 구간제어기 1의 속도/위치측정기②의 지점을 지나가고 있다. 이때 측정된 속도값은 프레임 5, 6, 7, 8의 작동 시 속도의 기준이 된다.And the carriage 1 of the carriage movement situation 1 of the figure passes the point of the speed / position measuring machine ② of the section controller 1 currently. At this time, the measured speed value is a standard of speed during operation of frames 5, 6, 7, 8.

객차이동상황2의 객차 2의 상황은 현재 구간제어기 2의 통제구역에서 구간제어기 2의 신호를 받고 있다. 구간제어기 2에서는 객차 2를 속도/위치 측정기 ④가 측정한 이후부터 현 상황까지 계속 신호를 명령하며 통제하고 있는 중이다.The situation of carriage 2 of the carriage movement situation 2 is currently receiving the signal of the controller 2 in the control zone of the controller 2. In section controller 2, the vehicle 2 is being commanded and controlled from the speed / position measuring device ④ to the present situation.

그런데 그림에서 객차 2는 구간제어기 3의 속도/위치 측정기 ①의 신호를 받고 있는 상황이나 동시에 객차 후부에 있는 속도/위치 측정기 반사판(▣)이 구간제어기 2의 속도/위치 측정기 ①과 ②의 중간부분을 통과하고 있음으로 연속적으로 구간제어기 2의 통제구역 내에 포함된다. 그림에서 객차 4-3과 같은 상황이 된다.However, in the figure, the carriage 2 is receiving the signal of the speed / position measuring unit ① of the section controller 3, but at the same time, the speed / position measuring unit reflector (▣) at the rear of the vehicle is the middle part of the speed / position measuring units ① and ② of the section controller 2. It passes through and is continuously included in the control area of section controller 2. In the figure, the situation is like carriage 4-3.

그리고 객차 2가 더 진행하여 객차 3-2의 상황과 일치할 경우, 후부의 속도/위치 측정기 반사판은 구간제어기 2의 속도/위치 측정기④를 통과하여 속도/위치 측정기 ⑤의 지점으로 진행하고 있다.When the carriage 2 further progresses and coincides with the situation in carriage 3-2, the rear speed / position measuring instrument reflector passes through the speed / position measuring instrument ④ of the section controller 2 to the point of the speed / position measuring instrument ⑤.

이는 객차 2가 구간제어기 2에 포함되어 있지만 동시에 구간제어기 3에 포함되기 시작한 상황이기도 하다.This is a situation in which the carriage 2 is included in the segment controller 2 but at the same time it is started to be included in the segment controller 3.

그리고 동 객차의 선두부분은 구간제어기 2를 나와서 구간제어기 4의 시작부분에 들어가고 있다.The head of the passenger car exits section controller 2 and enters the beginning of section controller 4.

바로 이 시점에서부터 객차 2는 구간제어기 3의 통제를 받게 된다.At this point, carriage 2 is under the control of segment controller 3.

즉, 속도/위치 측정시스템 반사판을 객차의 차량에 설치할 경우, 선두부분의 반사판위치와 선두까지의 거리, 그리고 선미부분의 반사판위치와 선미까지의 거리를 1프레임 이상 다르게 조정함으로서 그 객차의 통제구역 변경의 판별위치판별에 도움을 받는다.In other words, when the speed / position measuring system reflector is installed in a vehicle, the control area of the carriage is adjusted by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reflector at the head and the distance to the head and the position of the reflector at the stern and the stern more than one frame. Assist in determining the location of the change.

이러한 객차 1량의 선미 부분과 선두부분이 각각 다른 시간차를 두면서The stern part and the head part of such a passenger car have different time difference,

어떤 구간제어기의 통제구역을 벗어나거나 새로운 구간제어기의 통제구역으로 들어갈 때 시차를 둠으로서 통합제어기가 각 객차별 정확한 위치를 감지하여 적절한 구간제어기의 통제구역을 선정하여 주게 된다.By leaving a time difference when leaving a control section of a section controller or entering a control section of a new section controller, the integrated controller detects the exact position of each passenger car and selects the appropriate section controller section.

따라서 그림의 속도/위치 측정기 ④는 속도측정과 동시에 객차의 이동상황을 파악하는 객차별 위치신호로 활용된다.Therefore, the speed / position measuring device ④ in the figure is used as the position signal for each carriage to grasp the moving situation of the vehicle simultaneously with the speed measurement.

그리고 통합제어기의 객차별 위치의 판별이나 구간제어기 선정 등에 있어 객차가 1프레임을 이동하는데 걸리는 시간을 활용해 연산하므로, 언제든지 객차가 1프레임 이상을 이동하는 시간동안 통합제어기는 연산과 신호처리가 가능하다.In addition, the operation is performed by using the time required for the carriage to move one frame in determining the position of each controller of the integrated controller or selecting the section controller. Therefore, the integrated controller can perform calculation and signal processing during the time when the carriage moves more than one frame. Do.

그림 15, 그림 16는 그림 17을 쉽게 표현하기 위해 프레임과 속도/위치 측정시스템을 분리하여 그려놓은 것으로서 통합하여 이해해야 한다.Figures 15 and 16 should be understood as a separate drawing of the frame and velocity / position measurement system for easy representation of Figure 17.

그림 13에 나타낸바와 같이 객차 1량의 길이에 속도/위치측정기가 4개인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면, 구간제어기-A에 통제되는 속도/위치측정기 즉, 객차 1량의 길이에 포함되는 속도/위치측정기는 ③④⑤⑥이다.As shown in Fig. 13, for example, when the length of one carriage is four speed / position measuring instruments, the speed / position measuring device controlled by the section controller-A, that is, the speed / included in the length of one carriage The position measuring device is ③④⑤⑥.

이때 객차가 조금 더 이동하여 ④⑤⑥⑦의 속도/위치측정기의 구간에 들어설 때에도 신호를 연산수행하는 제어기는 구간제어기-A가 된다.At this time, even when the passenger car moves a little more and enters the speed / position measuring section of ④⑤⑥⑦, the controller that performs the signal operation becomes the section controller-A.

그러나 열차의 객차가 더욱 이동하여 ⑤⑥⑦⑧속도감지기구간에 들어 있을 때는 통합제어기의 전체의 조정이나 구간제어기-A와 구간제어기-B의 연계프로그램에 따라 해당 객차는 구간제어기-B에 포함되어 시스템이 작동된다.However, when the passenger carriage of the train moves further and is in the ⑤⑥⑦⑧ speed sensing mechanism, the corresponding vehicle is included in the segment controller-B according to the overall adjustment of the integrated controller or the linkage program of the segment controller-A and the segment controller-B. do.

이와 같은 제어기 작동시스템으로 구간제어기에 전송되는 속도/위치측정기 신호는 열차 1량의 2배의 거리까지 설치하고 어느 일정구역의 구간제어기의 좌우에 위치한 다른 구간제어기에 교차하여 속도/위치측정기의 신호를 전송한다.The speed / position meter signal transmitted to the section controller by the controller operation system is installed up to twice the distance of one train, and the signal of the speed / position meter intersects with the other section controllers located to the left and right of the section controller in a certain area. Send it.

라서 1개의 속도/위치측정기는 2 개구간의 구간제어기에 신호를 전송하고 동시에 통합제어기에 신호를 전송하여 모두 3곳의 제어기에 신호를 전송한다.Therefore, one speed / position measuring device transmits a signal to the section controller between two openings, and simultaneously to the integrated controller, and transmits the signal to all three controllers.

리고 이 신호를 밭는 제어기는 통합제어기의 연산명령에 맞추어 구간별로 자신의 구간에 들어온 열차 중 1량이 선택되었을 때 구간제어기가 작동되어 명령한다.In addition, the controller, which generates this signal, commands the section controller to operate when one of the trains entering its section is selected according to the operation command of the integrated controller.

라서 객차 각각의 량의 어느 지점에 위치에 있더라도 객차 1량의 모든 변화는 한 구간제어기에 감지되고 연산되어, 신호명령이 각 프레임의 조광장치에 내려가게 된다.Therefore, at any point of each of the carriages, all changes of the carriage 1 are sensed and computed by one section controller, and a signal command is sent to the dimmer of each frame.

그림 16은 그림 15의 속도/위치측정기에서 인지된 속도신호를 구간제어기가 연산하여 각각의 적절한 위치의 프레임에 신호를 분배하기 위한 개괄도이다.Fig. 16 is a schematic diagram for distributing the signal to the frame of each proper position by calculating the speed signal recognized by the speed / position measuring device of Fig. 15.

그림 16에서 구간제어기가 각 프레임의 조광장치에 분배하는 신호명령 체계으로서 그림 15에서 설명한 속도/위치측정기와 같은 운영체계로 각각의 객차가 어느 위치에서 운행이 되든 그 객차 1량은 언제나 가장 적절한 구간제어기 1대가 각각의 프레임 조광장치에 신호명령을 하달하여 광원이 점등되게 한다.In Fig. 16, the signal control system distributed by the section controller to the dimmer of each frame. It is the same operating system as the speed / position measuring device described in Fig. 15. One controller issues a signal command to each frame dimmer so that the light source is turned on.

객차 1량이 어떤 위치에서 주행을 하고 있는 순간이라도 속도/위치의 측정을 구간제어기에 적절히 분배하고 또, 구간제어기는 각 프레임의 조광장치에 신호명령을 적절히 하달하기 위해 각각의 구간제어기와 통합제어기에 정밀하고 적절한 유기적 연산프로그램이 설치되어 작동되어야 한다.The speed / position measurement is appropriately distributed to the section controller at the moment when one passenger car is traveling at any position, and the section controller is provided to each section controller and the integrated controller in order to properly transmit a signal command to the dimmer of each frame. Precise and proper organic operation program should be installed and operated.

3). 동영상 구현에 있어 각종 변수의 고려3). Considering Variables in Implementing Videos

구간제어기의 제어방식이 단구간 제어시스템 혹은 장구간 제어시스템이든지 다음 아래의 여러 변수들이 통합제어기나 구간제어기의 프로그램에 심은 후 구간제어기의 프로그램 연산 시 매개변수로 활용해야한다.Whether the section controller's control method is short-range or long-range control system, the following variables should be planted in the integrated controller or section controller program and used as parameters when calculating the section program.

주행구간 운행 시 레일궤도의 곡선주행상황, 구간의 구배, 객차의 기울림 각도인 Ccant의 변동(그림 21), 부적절한 레일의 이음매 등에서 발생하는 객차별 진동이나 흔들림, 벽면과의 시야각도의 변화 등을 고려하여 제어기에서 좌우, 상하, 전후의 6방향에 대한 여러 변수를 축척한 후 연산해야 한다.Curved driving conditions of rail tracks during operation, gradients of sections, variation of the cantilever angle, Ccant (Fig. 21), vibrations or shakes of passengers caused by improper rail joints, changes in viewing angles with walls, etc. In consideration of this, the controller must scale after calculating various variables for six directions of left, right, up and down, front and rear.

먼저, 직선구간 진행 후 곡선구간으로 접어들 때, 객차 1량 차체의 각도변화와 바퀴의 각도변화로 인해서 설치된 프레임과 승객과의 시청거리가 매순간 변화를 맞기 때문에 설치공사 때만이 아니라, 설치 후에도 주행하는 객차내부를 기준으로 하여 다양한 경우를 미리 측정하고 자료화한 후, 통합제어기 및 구간제어기 작동 시 연산 매개 변수로 활용화해야 한다.First of all, when entering a curved section after a straight section, the viewing distance between the installed frame and passengers changes every minute due to the change of the angle of the car body and the angle of the wheels. After measuring and documenting various cases based on the inside of the passenger car, it should be utilized as operation parameter when operating the integrated controller and section controller.

그림 18은 궤도열차가 굴곡구간 운행 시를 나타낸 그림으로 객차 1량을 각각 A,B,C,D,E로 나타냈고, 객차 A내의 승객의 가상위치에 따라 a, a', a"로 표시하였다.Fig. 18 is a diagram showing when the track train is operating in a curved section, and the number of passenger cars is represented as A, B, C, D, and E, respectively, and is represented by a, a ', and a "according to the passenger's virtual position in the passenger car A. It was.

a는 객차 앞부분, a'는 객차 중간부분, a"는 객차의 뒷부분에 승차한 승객의 시야점이다. 그리고 마찬가지로 객차 B에 있어서 b는 객차의 앞부분, b'는 객차의 중간부분, b"는 객차의 뒷부분이며 나머지 C, D, E도 마찬가지이다. 여기서 객차의 앞부분인 b, c, d 와 객차의 뒷부분에 승차한 b", c", d"승객은 객차의 중간부분에 승차한 b', c', d' 승객보다 프레임까지의 길이가 멀어 프레임이 더 작은 크기로 보이나, 완전한 굴곡구간으로 들어서 진행할 때는 각 승차지점과 프레임의 거리가 일정하게 유지되기 때문에 프레임크기의 변화는 나타나지 않는다.a is the front of the carriage, a 'is the middle of the carriage, a "is the passenger's field of view on the rear of the carriage. Similarly, for carriage B, b is the front of the carriage, b' is the middle of the carriage, b" It's the back of the carriage, and so on with the rest of C, D, and E. The passengers b, c and d in the front of the carriage and the b ", c" and d "passengers in the rear of the carriage are farther to the frame than the passengers b ', c' and d 'in the middle of the carriage. The frame looks smaller, but there is no change in frame size as the distance between each ride point and frame remains constant when proceeding into a complete bend.

그러나 객차 A와 객차E의 경우는 굴곡구간을 진입하고 있거나 나가고 있는 단계에 있음으로 본 구간을 진행하는 승객의 시야에는 일부 직선구간일 때의 프레임까지 거리와 일부곡선구간일 때의 프레임까지 거리가 변하므로 프레임과 승객시야와의 거리에 변화가 나타난다.However, in the case of carriage A and carriage E, the vehicle is entering or exiting a curved section, so the distance to the frame in some straight sections and the frame in some curved sections are different in the passenger's field of view. As the frame changes, the distance between the frame and the passenger's field of view changes.

그림 19는 직선구간을 주행하는 객차가 곡선구간으로 진입 시 설치된 프레임과 승객의 시야 사이의 시거리변화를 나타내고 있다.Figure 19 shows the change in viewing distance between the frame installed and the passenger's field of view when a passenger car traveling in a straight section enters a curved section.

그림 19에서 a b c d ...... l m n은 설치된 프레임의 위치를 나타낸 것이며 가, 나, 다, 라는 객차 차량바퀴를 나타낸 것이다.In Figure 19, a b c d ...... l m n represents the location of the installed frame and the carriage wheels a, b, c.

가, 나의 바퀴는 직선구간에, 다, 라의 바퀴는 곡선구간에 맞물려 있는 상태이다.(A) My wheels are in a straight section, and (c) Ra's wheels are in a curved section.

이 그림에서 승객이 1번의 위치에 있을 때와 2번의 위치에 있을 때, 그리고 3번의 위치에 있을 때를 가정하여 보기로 한다.In this figure, assume that the passenger is in position 1, in position 2, and in position 3.

객차가 직선선로에서 A구간을 통과할 때, B구간을 통과할 때, 그리고 C구간을 통과할 때 승객의 위치 1, 2, 3과 서로 연동되어 프레임의 크기가 점점 커져 보이며, 객차가 C구간을 완전히 통과하여 굴곡구간에 들어서 진행하게 되면, 즉 도 18의 객차 B, C, D의 경우와 같은 굴곡구간을 진행하게 되면 그림 19의 1, 2, 3의 승객위치에서의 프레임그림의 크기는 고정된 크기로 일정하게 보인다.When the carriage passes section A on the straight line, passes section B, and passes section C, the size of the frame increases gradually in conjunction with the passengers' positions 1, 2, and 3. If you proceed completely through the bend section, that is, proceed to the bend section as in the case of the carriages B, C, D of Figure 18, the size of the frame picture at the passenger position of 1, 2, 3 of Figure 19 It looks constant with a fixed size.

그림 19에서 중요한 점은 객차 1량이 굴곡구간을 완전히 들어서기 전까지 일정 길이의 프레임의 설치는 레일과 무조건 평행하게 설치할 것이 아니라 레일상의 바퀴의 위치와 객차와 레일의 각도 변화에 따라 터널 벽면에 설치된 프레임도 동기화된 편차가 발생하도록 설치해야 한다.The important point in Fig. 19 is that the installation of a frame of a certain length is not installed parallel to the rail unconditionally until one carriage enters the bend section, but the frame is installed on the tunnel wall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wheel on the rail and the angle of the carriage and the rail. It should also be installed so that synchronized deviations occur.

이때, 객차의 바퀴(가,나,다,라)와 레일간의 맞물림 폭의 변화, 객차의 무게와 속도에 따른 좌우의 흔들림 등의 변수를 그림 18에 나타낸 통합제어기, 구간제어기 등에 미리 연산화 할 수 있도록 프로그램을 작성해야 하며, 프레임이 설치된 지하터널의 벽면의 프레임하우징의 고정틀의 프레임 지지레일(그림 22의 22-7'와 그림 24의 24-3')도 프레임의 미세 조정이 가능하도록 장치를 설치한다.At this time, variables such as the change of the engagement width between the wheels of the carriage (a, b, d) and the rail and the left and right swing according to the weight and speed of the carriage can be pre-calculated to the integrated controller, the section controller, and the like. The program should be prepared to make the program, and the frame support rails (22-7 'in Fig. 22 and 24-3' in Fig. 24) of the frame housing of the frame housing of the underground tunnel where the frame is installed can be finely adjusted. Install it.

그림 20은 레일의 불규칙성이나, 객차속도와 무게의 변수에 의해 나타나는 각 종 흔들림 현상을 도형화하기 위한 기초적 도면으로서 20는 가상적인 승객의 정 위치이고, 20-1, 20-2는 객차가 좌우로 흔들렸을 때 승객 20의 이동 위치점이다. 이때, 20위치의 승객 시야는 점 B'에 맺혀야 하나 승객의 위치가 20-1에 있을 때는 E'지점에 맺히고, 승객의 위치가 20-2지점에 있을 때는 C'지점에 맺히게 되어 제어기가 명령하는 신호에 의해 점등하는 프레임 화면부 그림의 상맺힘 위치와 다른 지점에 상이 맺히게 된다.Fig. 20 is a basic diagram for various kinds of shaking phenomena caused by the irregularities of the rails or the variables of the carriage speed and weight, where 20 is the virtual passenger's position and 20-1 and 20-2 are left and right cars. Is the position of the passenger's 20 movement when shaken. At this time, the passenger's field of view at position 20 should be at point B ', but when the passenger's position is at 20-1, it will be at point E', and when the passenger's position is at point 20-2, it will be at point C '. The image is formed at a point different from the image formation position of the picture of the frame screen which is lit by the command signal.

이는 속도/위치 측정시스템이 감지하고 이를 토대로 제어기가 하달한 신호명령과 승객의 시야와 일치하지 않는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This is detected by the speed / position measurement system, which causes the controller not to match the signal command and passenger's field of vision.

이러한 현상을 제거하고 최소화하기 위한 연산체계도 면밀히 검토하여야 한다.The computational system to remove and minimize these phenomena should also be carefully examined.

즉, 궤도차량의 속도는 사령실의 통제하에 일정한 범위 안에 유지되고 (이때 승무원 개인의 운전성향은 무시함), 시간대에 따른 승객의 변화도 비슷한 통계가 나타나므로 이 통계값을 연산화의 기초값으로 포함해야 한다.In other words, the speed of the tracked vehicle is kept within a certain range under the control of the commander's office (ignoring the driving tendency of individual crew members), and similar statistics are displayed for the change of passengers according to the time zone. It must be included.

그리고 터널의 토목 시설상황은 거의 변화가 없는 고정된 것이므로 연산화의 기초값에 포함함에 있어 큰 어려움은 없다.And since the civil engineering situation of the tunnel is fixed and almost unchanged, there is no great difficulty in including it in the basic value of computation.

즉, 이러한 다양한 변수를 모아서 제어기의 연산화 변수로 포함시켜 승객의 시야점과 제어기의 명령신호가 서로 일치할 수 있도록 프로그램을 설계해야한다.In other words, the program should be designed to collect these various variables and include them as computational variables of the controller so that the point of view of the passenger and the command signal of the controller coincide with each other.

열차의 굴곡구간 운행 시 속도에 따라 원심력의 영향을 받아 열차가 기울여져 운행되므로 이를 보정하기 위해 레일의 좌우의 높이를 다르게 시공하여 열차가 무게중심 축으로부터 약간 다른 각도로 운행된다.When the train runs in a curved section, the train is tilted under the influence of the centrifugal force depending on the speed. Therefore, the rails are operated at slightly different angles from the center of gravity to compensate for this.

이때 이를 cant각도라 한다. (그림 21)This is called the cant angle. (Figure 21)

이 cant각은 시공 시에 열차운행계획과 승객의 수송량, 그리고 열차의 완충력을 고려한 변수를 가지고서 공사를 시행했겠으나, 열차의 실재 운행 시 곡선의 초입과 곡선이 깊어지는 거리에 따라 궤도차량의 속도 변화가 발생하고, 일일 운행시간에 따른 승객인원 변동이 발생하기 때문에 제어기가 연산 시 매개변수로 고려할 필요가 있다.This cant angle may have been constructed by considering the train operation plan, passenger traffic, and the buffer capacity of the train during construction.However, the speed of the tracked vehicle varies depending on the beginning of the curve and the distance the curve deepens during actual operation of the train. And changes in the number of passengers due to daily travel time, the controller needs to consider them as parameters in the calculation.

그리고 열차가 곡선구간 진입 시의 속도나 완전 진입 후의 속도, 또는 곡선구간을 이탈 할 때의 속도 등은 매 속도/위치 측정시스템로부터 매 순간 감지되기 때문에 이 값을 매 순간 변수로 매입해서 연산도 가능하다.And since the speed at which the train enters the curve section, the speed after full entry, or the speed at which the train leaves the curve section is detected at every moment from the speed / position measurement system, this value can be embedded into the variable at every moment and calculated. Do.

이러한 열차의 운행상황의 변동으로 인하여 프레임 화면부와 유리창과의 각도변화, 거리변화에 따른 프레임 화면부 크기나 흔들림의 인식 차이 등은 어느 정도 극복할 수 있다.Due to the fluctuations in the operating conditions of the train, the difference in the angle between the frame screen portion and the glass window and the difference in the size or shaking recognition of the frame screen portion due to the distance change can be overcome to some extent.

특히, 터널 곡선구간의 건축한계는 직선구간의 건축한계와 달리 여유공간을 만들어 주기 때문에 곡선구간에 본 발명품을 설치할 때는 궤도차량 cant각도를 알고 미리 시야거리의 변화를 고려하여 시공한다.In particular, the construction limit of the tunnel curve section creates a free space unlike the construction limit of the straight section, so when installing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curve section, the construction of the track vehicle cant angle knows the construction distance in advance considering the change in the viewing distance.

그림 19의 경우에 있어서 프레임 a, b, c, ....... l, m, n으로 궤도차량이 진행할수록 cant각도가 커지기 때문에 운행차량으로부터 조금씩 멀어지게 시공하면In the case of Fig. 19, the cant angle increases as the track vehicle progresses to the frames a, b, c, .. l, m, n.

시야거리의 균일성은 어느 정도 유지할 수 있다.The uniformity of the viewing distance can be maintained to some extent.

그림 21에서 궤도차량의 곡선구간 주행 중 원심력에 의한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레일 시공 시 21-4의 θ각, 즉 21-5의 레일각도변화에 따른 편차높이가 발생한다.In Figure 21, in order to prevent the deviation by the centrifugal force during the running of the curved section of the tracked vehicle, the deviation height is generated by changing the θ angle of 21-4, that is, the rail angle of 21-5.

이에 따라 이에 따라 궤도차량은 21-3의 기울림 편차가 일어나고 프레임 하우징으로부터 21-1의 차량창문 거리는 21-2의 창문거리로 변화함에 따라 화면부의 그림의 크기가 다르게 보이게 된다.As a result, the deviation of the inclination of the track vehicle is 21-3 and the vehicle window distance of the 21-1 from the frame housing is changed to the window distance of 21-2.

이는 제어기에서 정확한 시간을 산정하여 연산한다 하더라도 상의 맺힘 자체가 다르게 나타나 선명한 화면을 기대할 수 없다.Even though the controller calculates the correct time, the image formation itself is different and you cannot expect a clear screen.

따라서 굴곡구간의 건축한계의 여유가 있음으로 설치된 프레임하우징의 위치를 가변적으로 변동을 줄 수 있는 부속장치가 필요하게 된다.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an accessory that can vary the position of the installed frame housing due to the construction limit of the bending section.

그림 24의 24 -2는 프레임하우징 거치 이전 이를 보정할 수 있는 프레임하우징 거치보의 길이를 변동시킬 수 있는 프레임하우징 가변 미세조절장치이다.24-2 in Figure 24 shows a frame housing variable microadjustment device that can vary the length of the frame housing bracket to correct it before frame housing mounting.

다음은 열차운행 구간의 구배율 변화에 의한 객차 별 운행속도의 변화 등을 보자.Next, let's take a look at the change of operating speed for each passenger car due to the change of the gradient of the train section.

열차가 언덕을 오르는 주행구간인 경우 열차는 연속적으로 어느 정도 이상의 모타 토크를 상승 시켜야 한다. 이 모터의 순간 토크값의 변화에 따라 객차별 끌고 당기는 현상이 발생하여 속도편차가 나타날 수 있다.If the train is a driving range up a hill, the train must continuously raise the motor torque to some extent. According to the change of the instantaneous torque value of the motor, the pulling and pulling of the passenger car may occur and speed deviation may occur.

그러나 1차 적으로 객차 1량별 속도를 측정하는 시스템을 채택하였음으로 필요는 없으나 승무원별 운전습관에 따른 토크변화를 세밀히 관찰하고 자료화하여 제어기에 하나의 변수로서 적용할 필요가 있다.However, it is not necessary to adopt the system to measure the speed of each passenger car primarily, but it is necessary to observe and document the torque change according to the driving habit of each crew in detail and apply it as a variable to the controller.

특히 궤도차량이 아래로 내려가는 구배를 가지는 구간을 운행 할 때 열차를 어느 속도이상 올린 후 관성운동에 의한 주행을 할 때는 순간적인 속도변화가 더욱 많이 발생한다.In particular, when driving a section with a slope where the tracked vehicle descends, a momentary speed change occurs even more when the train is driven by an inertia movement after raising the speed above a certain speed.

레일의 이음매나 레일지반 탄성도 흡수도의 차이에 따라 객차의 진동이나 흔들림이 발생한다.Due to the difference in the seam of the rail and the elasticity of the rail ground, vibration and shaking of the passenger car occur.

이러한 차체의 상하 진동도, 레일 이음매의 변화로 객차의 좌우 흔들림 등도The vibration of the vehicle body up and down, the change of the rail joint, and the shaking of the passenger car

상기와 비슷한 방법으로 매개 변수에 포함시켜 1초간의 프레임 수 그리고 1초간의 속도/위치측정기의 감지횟수와 연동하여 프로그램운행 시 보정이 가능하다.In the same way as above, it is included in the parameter and it can be corrected during program operation in conjunction with the number of frames for 1 second and the number of times of speed / position measuring device for 1 second.

(2). 분리운영체계(2). Separate operating system

다음은 제어기와 속도/위치측정기의 운영체계를 분리하여 운용하는 분리운영체계에 대해 설명한다.The following describes the separate operating system that separates and operates the operating system of the controller and the speed / position meter.

통합운영체계는 속도/위치측정을 하는 센서장치가 신호를 감지하여 속도측정연산장치에 전송하고 이를 다시 구간제어기가 받아서 각 프레임의 조광장치에 명령신호를 주어 조광장치가 이를 수행하는 것이다.In the integrated operating system, the sensor device for speed / position measurement detects a signal and transmits it to the speed measurement computing device, and the section controller receives the command signal and gives a command signal to the dimmer device of each frame to perform this operation.

그러나 분리운영체계의 시스템은 각 프레임마다 속도/위치 측정센서가 부착되어 있고, 광주사기의 광을 감지하도록 하는 반사경을 목적창문 외부에 부착하면However, the system of the separate operating system has a speed / position measuring sensor attached to each frame, and if a reflector for detecting the light of the optical scanner is attached outside the object window.

목적 창문에 있는 반사경은 매 순간 순차적이고 연속적으로 프레임 내의 조광장치에 작동신호를 주게 된다.The reflector in the object window gives the operating signal to the dimmer in the frame sequentially and successively at every moment.

이는 구간제어기의 역할이 불필요해지고, 전체흐름을 조정하는 통합제어기와This eliminates the role of the section controller, and integrates the controller with the overall flow.

이에 따르는 모타제어장치 등 부속장치들만 필요하다.Only those accessories, such as motor controllers, are required.

즉, 통합적으로 속도/위치를 측정하고 연산하는 시스템이 불필요하다.In other words, there is no need for a system to measure and compute velocity / position integrally.

따라서 분리운영체계는 승객이 주시할 수 있는 창문의 차량 외벽에 광을 반사하는 반사경만 설치하면 된다.Therefore, the separate operating system only needs to install a reflector reflecting light on the vehicle outer wall of the window that the passenger can observe.

이 운영체계는 관리 및 운영이 간단하고 설치함에 있어 비용도 적게 든다.The operating system is simple to manage and operate and costs less to install.

그림 1, 그림 2에서 1-9는 광원주사 검출기, 1-10은 광원반사판을 나타낸다.In Fig. 1 and Fig. 2, 1-9 shows a light source scanning detector and 1-10 shows a light source reflector.

본 분리형 센서체계의 설치시 주의 할 점은 객차의 진동과 흔들림, 객차의 기울기 오차가 정밀히 측정될 수 있는 속도 감지기의 각 부분 즉, 광주사부와 광검출부, 그리고 반사부를 특수하게 고안하여 설치해야 한다.When installing this separate sensor system, it is necessary to specially devise and install each part of the speed sensor that can accurately measure the vibration and shaking of the car and the tilt error of the car, that is, the optical scanning part, the light detecting part, and the reflecting part. .

도/위치측정기의 광주사부와 광검출부가 프레임에 설치되고 반사부가 차량의 외벽에 설치될 경우, 광주사부의 광원이 반사부표면 중 어떤 일정한 지점에 빛의 농도가 높게 나오면 본 반사부의 정확한 지점이 광검출부에 정확하게 전달 될 수 있도록 광원 검출부와 반사부의 광원감지 정밀도를 높이고 광원 검출부의 표면을 정밀하게 분리하여 많은 망점에 의해 반사부의 변화값을 정밀하게 측정해야 한다.When the light scanning part and the light detecting part of the island / locator are installed on the frame and the reflecting part is installed on the outer wall of the vehicle, when the light source of the light reflecting part has a high concentration of light at a certain point on the reflecting part surface, In order to accurately transmit the light detection unit, the light source detection unit and the reflector must increase the light source detection accuracy, and the surface of the light source detector must be precisely separated to measure the change value of the reflector precisely by many dots.

, 반사부에서 되돌아오는 빛이 광검출부의 어떤 지점에 안착되는지를 확인하여 반사부(궤도차량 차체)변화값을 읽어 낼 수 있도록 중앙처리장치와 조광장치에 연산처리회로를 부착한다.In addition, arithmetic processing circuits are attached to the central processing unit and the dimmer so that the light returned from the reflecting unit can be settled at a point where the light detecting unit is settled so that the change value of the reflecting unit (orbital vehicle body) can be read out.

연산장치는 반사부의 다양한 변화를 읽고 적정한 시간에 광원이 작동할 수 있도록 한다.The computing device reads the various changes in the reflector and allows the light source to operate at the appropriate time.

특히 분리운영체계의 속도/위치측정기의 설치작업은 정밀도가 매우 중요하다.In particular, precision is very important for the installation of the speed / position measuring system of the separate operating system.

이 설치작업이 잘못 될 경우 정밀도를 보정하기 위한 작업이 매우 어렵고, 어떤 기준을 설정하기가 힘들어 진다. 분리형 센서체계는 이점이 가장 중요하다.If this installation goes wrong, it is very difficult to calibrate the accuracy, and it is difficult to set any criteria. The most important thing is the detachable sensor system.

위 통합운영체계와 분리운영체계의 운용을 위한 프로그램의 자료항목은 전철운행 중 여러 현상들을 포괄할 수 있도록 다양하게 심어 주어야한다.The data items of the program for the operation of the integrated operating system and the separate operating system should be planted in various ways to cover various phenomena during the operation of the train.

이는 모두 속도를 측정하고 감지함에 있어 고정변수와 유동변수를 통합하여 안정적으로 조광장치의 광원이 작동되도록 하는 것에 주안점을 둔 것이다.All of this focuses on integrating fixed and flow variables to ensure stable light source operation in measuring and sensing velocity.

구간제어기의 주요장치는 주행열차의 속도를 연산하는 속도연산회로, 속도에 따른 신호주기연산회로, 광원선택 명령신호회로, 조광장치로 연결된 점등신호반응회로, 주변구역의 통합제어기와 연계회로 등이 기본적으로 필요하다.The main devices of the section controller include speed operation circuit that calculates the speed of driving train, signal cycle operation circuit according to speed, light source selection command signal circuit, lighting signal response circuit connected to the dimmer, integrated controller and peripheral circuit in the surrounding area. Basically needed

통합제어기는 신호체계와 차량의 크기 및 재원, 구간제어기의 신호등을 통합 연산하여주는 장치로서, 객차 1량에 대한 구간제어기에 선택명령신호회로, 각각의 구간제어기와 주위의 구간별 제어기와의 속도/위치측정기의 신호체계정보회로, 조광장치 명령회로 등이 필요하다.The integrated controller is a device that integrates the signal system, the size and resources of the vehicle, and the signals of the section controller.It is a command signal circuit for the section controller for one passenger vehicle, the speed of each section controller and the section controller around the section. Signal system information circuit of dimmer, dimmer command circuit, etc. are required.

(3). 프레임 하우징 및 조광장치, 그리고 기타 부속장치(3). Frame housings and dimmers, and other accessories

제어기의 신호를 인가하여 광원(22-1)이 작동되도록 하는 조광장치(22-2)는 프레임 하우징 내에 부착되어 있으며, 조광장치의 작동에 의해 점등된 광원의 순간섬광인 빛의 빔은 프레임하우징 내에 설치된 반사갓(22-3)에 의해 1차로 필름면적(22-4) 전체에 거의 고르게 빔이 분포된다.The dimmer 22-2, which applies a signal from the controller to operate the light source 22-1, is attached to the frame housing, and the beam of light, which is an instant flash of the light source lit by the operation of the dimmer, is frame housing. By the reflection shade 22-3 provided therein, the beam is almost evenly distributed over the entire film area 22-4.

화면부의 일정면적 이상 고르게 펴져서 나온 빔은 2차로 광 산란판(22-5)에 의해 더욱 미세하게 분산된 후 표현수단(22-4)에 다다라 화면부를 밝게 보이도록 함으로서 동영상을 위한 각각의 프레임 당 정지화면 현상을 구현하는데, 이러한 과정으로 인하여 표현수단의 그림은 플릭커 현상이 감소되고 광원에서 발사된 빔이 표현수단의 그림을 돋아나게는 하나 외부로 돌출되어 나오지 못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The beam spread evenly over a certain area of the screen part is further finely dispersed by the light scattering plate 22-5 and then reaches the expression means 22-4 so that the screen is made brighter for each frame for the video. As a result, the picture of the expression means reduces the flickering and prevents the beam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from protruding out of the picture.

특히 빔이 돌출되어 나오면 시청승객들의 시야에 거부감을 주게 됨으로 이는 매우 중요하다.This is especially important as the beam protrudes to give the viewers a sense of rejection.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다시 한번 더 빔을 차단하고 그림만 부드럽게 돋아나게 하기 위해, 그리고 점멸 시 적절한 암흑을 유도하기 위해 광도조절필름이나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block the beam once again and to make the picture stand out smoothly, and to induce the appropriate darkness when blinking,

금속입자 미세 증착유리(22-6)를 외부에 부착한다.(그림 22)Metal particle vapor deposition glass (22-6) is attached to the outside (Figure 22).

상기에 표현된 동영상 기초이론과 위치/속도 측정시스템, 각종 제어기의 연산 메카니즘을 토대로 적절한 신호를 프레임하우징 내의 조광장치(22-2)에 보낼 경우, 조광장치는 다음과 같은 메카니즘으로 광원을 작동하여 정지화면을 구현한다.Based on the moving picture basic theory, position / speed measurement system, and operation mechanisms of various controllers, the appropriate signal is sent to the dimmer 22-2 in the frame housing, and the dimmer operates the light source by the following mechanism. Implement a still picture.

먼저 Poto Couper-Photo TRIAC을 이용하여 구동용 신호를 인가하고 릴레이는 인가된 신호를 받아 220/120V의 전원이 정류부에 인가되도록 하는 기능을 가진다.First, the driving signal is applied by using the Poto Couper-Photo TRIAC, and the relay receives the applied signal and the 220 / 120V power is applied to the rectifier.

정류부는 220/120V전원을 받아 최소 311V에서 1000V까지 정류하는 부분으로서 정류다이오드와 캐패시터로 구성된다.The rectifying part receives 220 / 120V power and rectifies from 311V to 1000V at least. It consists of rectifier diode and capacitor.

발진회로부는 RIC공진을 이용하여 1kHz에서 10kHz까지의 스위칭 주파수로 스위칭을 실현하기 위한 발진부로서 캐패시터와 인덕터의 충/방전을 이용한다. 그리고 스위칭부는 Thyrister를 사용하여 구성한다.(그림 23)The oscillator circuit uses the charge / discharge of the capacitor and the inductor as the oscillator for realizing switching with switching frequency from 1kHz to 10kHz using RIC resonance. And the switching part is constructed using Thyrister (Figure 23).

그림 22는 광원내장형 프레임하우징에 대한 세부도로서 부속장치에 대해 설명한다.Figure 22 is a detailed view of the built-in light source frame housing and describes the accessories.

첫째, 프레임은 벽에 설치된 상하레일(그림 24의 24-3)을 중심으로 하우징이 상하, 좌우, 전후의 6방향으로 미세조정을 할 수 있도록 미세조정볼트를 부착한다.First, the frame is attached with a fine adjustment bolt so that the housing can be finely adjusted in 6 directions of up, down, left, and right around the upper and lower rails (24-3 in Figure 24) installed on the wall.

그림22의 22-7에서 처럼 이 미세조정볼트는 그림 24의 24-3프레임 지지레일과 프레임하우징을 체결하는 부분 밑에 스프링이 설치되어 있어서, 프레임하우징의 위치를 미세조정 후에도 어느 정도의 지지력을 확보하기 위해 강력한 스프링을 채용할 필요가 있다.As shown in 22-7 of Fig. 22, this fine adjustment bolt has a spring installed under the part connecting the 24-3 frame support rail and frame housing of Fig. 24, so that even after the fine adjustment of the position of the frame housing, the support force is secured to some extent. In order to do this it is necessary to employ a powerful spring.

그리고 이 스프링은 궤도차량의 진동이나 풍압 등으로 프레임하우징이 흔들릴 경우 일정 이상의 진동이나 풍압을 흡수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도 설치한다.The spring is also installed to absorb more than a certain amount of vibration or wind pressure when the frame housing is shaken due to the vibration or wind pressure of the tracked vehicle.

둘 째, 광원이 고장을 일으킬 경우 쉽게 교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프레임하우징의 윗 덮개(22-8)는 풍압이나 진동 등에는 열리기 어려우나 관리를 목적으로 조작할 때는 쉽게 열릴 수 있도록 설계되어야 한다.Second, in order to be easily replaced when the light source causes a failure, the top cover 22-8 of the frame housing is difficult to open in wind pressure or vibration, but should be designed to be opened easily when operating for management purposes.

그리고 윗 덮개 밑에 표현수단인 필름(22-4) 등이 설치되어 있음으로 광원(22-1)의 교환 시에는 목적 프레임의 필름을 한쪽으로 모두 감은 후 마지막 필름 부분에 천공을 하여 사람의 손이 쉽게 필름을 통과하여 광원산란판(22-5)을 개패하야 광원(22-1)에 쉽게 접근하여 광원를 교체할 수 있다.Since the film 22-4, which is a means of expression, is installed under the upper cover, when replacing the light source 22-1, the film of the object frame is wound to one side, and the end of the film is perforated. Opening the light source scattering plate 22-5 easily through the film allows easy access to the light source 22-1 to replace the light source.

셋 째, 각각의 프레임 당 화면부의 그림은 어느 때고 쉽게 이동, 위치의 변환이 가능하도록 설계해야하며, 그림 22는 표현수단이 그림이거나 필름일 경우에 대해 설명한 것이다.Third, the picture of the screen part of each frame should be designed so that it can be easily moved and changed at any time. Fig. 22 illustrates the case where the expression means is a picture or a film.

표현수단을 그림 및 필름으로 할 경우 장비의 설치는 프레임 상하에 설치된 필름구동장치(22-9), 필름말이축(22-10) 및 모타제어기(22-11)에 의해 운전되며, 궤도차량의 운행계획에 따라 특정 시간대에 필요로 한 특정 프레임의 필름만 광원 산란판 위에 정확히 이동 될 수 있도록 필름 이동장치 및 모타제어기를 설계한다.In case of expressing means as picture and film, installation of equipment is operated by film driving device 22-9, film rolling axis 22-10 and motor controller 22-11 installed on the upper and lower frames. According to the operation plan, the film moving device and the motor controller are designed so that only the film of a specific frame needed at a specific time period can be accurately moved on the light source scattering plate.

이를 위해 모터제어기는 통합제어기의 열차상황에 대한 적절한 명령신호를 수신하여 시행토록 해야 하며, 모터제어기에 의한 필름의 위치, 이동순서 등이 낱낱이 통합제어기에 재 송부되어 관리인이 손쉽게 검사할 수 있도록 모니터링 되어야 할 것이다.For this purpose, the motor controller should receive and execute the appropriate command signal for the train situation of the integrated controller, and the position and movement order of the film by the motor controller are all sent back to the integrated controller for easy monitoring by the manager. Should be.

그리고, 그림22의 22-12는 장치의 효율적인 관리를 위하여 어느 일정기간동안 모든 필름을 한 거번에 교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필름말이축을 한 번에In addition, 22-12 in Figure 22 shows the film roll axis at once in order to be able to replace all the films at once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for efficient management of the device.

교체할 수 있도록 설계한 것이다.It is designed to be replaced.

그리고 22-13번은 필름말이축에 감겨진 필름 중 일부를 효율적이고 편리하게And 22-13 is an efficient and convenient way to remove some of the film

교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설치한 것으로서 어느 특정필름을 화면부에 이동 고정시킨 후 필름 전체가 안정될 수 있도록 한 다음 목적 필름의 연결 고정한 상측부 테이프와 하측부 테이프를 벗겨서 목적 필름만 제거 한 다음 새로운 필름을 삽입하여 테이프로 재 고정시킨다.It is installed to be replaced so that a certain film can be moved to the screen, and then the entire film can be stabilized. Then, peel off only the target film by peeling off the upper and lower tapes. Insert the film and refasten it with tape.

이때 작업을 편리하고 신속하게 하기 위해 필름교체 받침이 그림과 같이 설치된다.At this time, the film replacement base is installed as shown in the figure for convenient and quick operation.

네 째 본 발명에 있어서 동영상에 중요한 요소의 하나가 명과 암이라고 전술한 바 있다.Fourth, in the present invention, one of the important elements in the moving picture is light and dark.

각각의 프레임하우징 간격은 남은 공간이 거의 없이 밀착 설치된다.Each frame housing interval is installed in close contact with little space left.

따라서 어느 특정 프레임 하우징 내부의 조광장치가 제어기의 신호를 인가하여 광원점등 할 때, 바로 옆 좌우 프레임에 광원 빔의 영향을 주지 않도록 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Therefore, it is very important that the light control device inside a specific frame housing applies a signal from the controller so that the light source beam is not affected by the right and left frames.

따라서 프레임하우징 설계 제작 시, 광원의 빔을 잘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Therefore, it is important to manage the beam of the light source well when manufacturing the frame housing design.

그림 22에 있어서 22-14는 산란된 광원을 번지지 않도록 방비하는 장치이다.In Figure 22, 22-14 is a device to protect the scattered light source from spreading.

그리고 빔을 관리하는 수단으로서 광원반사경(22-3), 광원산란판(22-5), 광원차단 스커트, 광도조절필름 혹은 미세한 금속 입자 등이 증착된 유리(22-6)등이 종합적으로 구성되어 있다.As a means for managing the beam, a light source reflector 22-3, a light source scattering plate 22-5, a light source blocking skirt, a light control film, or glass 22-6 on which fine metal particles are deposited, etc. are comprehensively constructed. It is.

프레임하우징을 고정하는 구축물이나 프레임하우징 자체는 궤도차량의 탑승객의 안전과 터널 내의 궤도차량의 진동과 풍압 등에 충분한 내성을 갖을 수 있도록 프레임하우징이 설계되어야 하며, 특히 프레임하우징의 미세조절볼트(22-7)와 이 미세조절볼트의 위치를 잡아주는 틀(22-7')은 그림 22-7'의 측면도에 표현하였다.The frame housing that fixes the frame housing or the frame housing itself must be designed so that the passengers of the track vehicle and the vibration and wind pressure of the track vehicle in the tunnel are sufficiently resistant, especially the fine adjustment bolt of the frame housing (22-). 7) and the frame (22-7 ') that holds the position of this micro adjustment bolt are shown in the side view of Fig. 22-7'.

특히 미세조절 볼트 위치점인 22-7"은 프레임 지지레일 24-3의 레일 홈(24-3')에 일치되도록 설계한 것이다.In particular, the fine adjustment bolt position point 22-7 "is designed to match the rail groove 24-3 'of the frame support rail 24-3.

다섯 째, 프레임하우징에 필요로 한 부속장치는 화재예방을 위한 각 프레임별 누전차단기(22-15), 프레임하우징 내의 복잡한 전원선과 신호선을 안전하고 간략하게 처리하는 전원분배기(22-16) 및 전원로드, 방수처리 등이 꼭 필요하다.Fifth, the accessories required for the frame housing include an earth leakage breaker (22-15) for each frame to prevent fire, a power distributor (22-16) for safely and simply processing complex power lines and signal lines in the frame housing. Rod, waterproofing, etc. are necessary.

그리고 각종 제어기와 센서의 케이블, 스위칭파워드라이브에 전달하는 신호처리 케이블 등은 광원의 지속시간이 너무 짧기(1/2,000내지 1/5,000초) 때문에 노이즈가 발생할 수 있는 변수를 차단하는 것을 고려해야 한다.In addition, the cables of various controllers and sensors, and signal processing cables that are transmitted to the switching power live, should be considered to block variables that may generate noise because the duration of the light source is too short (1 / 2,000 to 1 / 5,000 seconds).

그림 22에서 통신선은 통신선닥트에 전원선은 전원선 닥트에 분리하여 상호간의 전자파 장애를 차단하고 외부의 전자파 장애를 방지하기 위해 전원선 자체를 2중 차단한다. 그리고 2중 차단된 통신선 및 전원선은 닥트에 내장하여 프레임하우징 및 닥트 각종 전선을 접지한다.In Fig. 22, the communication line is separated from the communication line duct and the power line is separated from the power line duct to cut off the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between each other and to cut off the power line itself twice to prevent external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And the double cut off communication line and power line are built in the duct to ground the frame housing and duct various wires.

그리고 터널내의 여러 가지 기존의 신호체계나 전자기파의 장애를 받지도 주지도 않는 방법을 강구해야한다.And we must devise a method that does not give or receive obstacles of various existing signal systems or electromagnetic waves in the tunnel.

여섯 째, 궤도 열차는 승객의 안전한 수송이 최고의 목표인 만큼, 승무원의 안전운행을 위한 제반의 여건을 소프트웨어화하여 통합 제어기에 심어야 한다.Sixth, as the railroad train is the safest destination for passengers, all conditions for safe operation of the crew should be softwared and planted in the integrated controller.

특히, 궤도차량 운전 승무원의 운전방해가 일어나지 않도록 승무원으로부터 일정한 거리 이상의 프레임부터 시스템이 작동되도록 운영체체의 제어기에 프로그램화해야 한다.In particular, it should be programmed in the controller of the operating system so that the system can be operated from a frame over a certain distance from the crew so that no disturbance of the track crew driving occurs.

그림 25는 이를 위한 광주사기, 광검출기 및 반사경과 광원이 작동되는 프레임간의 연관관계추정을 위해 그려놓은 그림이다.Figure 25 is a drawing for estimating the correlation between the optical scanner, the photodetector and the reflector and the frame in which the light source operates.

그림에서 최초의 프레임 조광장치가 작동하는 프레임은 16 프레임으로 그림상으로는 운전석과 마주한 프레임인 4번 프레임부터 6m이상의 거리가 떨어진 16번 프레임부터 작동하기 시작한다. 따라서 운전방해는 구조적으로 발생하지 않도록 하였다.In the figure, the first frame dimmer operates 16 frames, starting from frame 16, which is more than 6m away from frame 4, the frame facing the driver's seat. Therefore, operation disturbance is not structurally generated.

혼합형운영체계도 이와 같이 승무원의 운전방해가 일어나지 않도록 프로그램화한다.Hybrid operating systems are also programmed to prevent crew from operating.

물론 궤도차량의 후부에서 승하차를 담당하는 승무원의 경우도 비슷한 방법이나 방향을 반대로 하여 차장으로부터 일정거리 프레임 이후부터는 작동하지 않도록 프로그램을 작성한다.Of course, in the case of the crew in charge of getting on and off the rear of the tracked vehicle, a similar method or direction is reversed so that the program is not operated after a certain distance frame from the conductor.

일곱 째, 프레임의 설치(그림 24)는 우선 본 발명의 기본형을 중심으로 설명한다.Seventh, the installation of the frame (Fig. 24) will first be described centering on the basic form of the present invention.

프레임은 벽이나 터널 중앙 기둥 등 기타 터널의 구조물에 단단하게 고정되어 있어야하며 보수관리나 터널 공사 시 불편을 주지 않도록 해야 한다.The frame should be securely fixed to the walls or other tunnel structures such as the central pillar of the tunnel and should not be inconvenient for maintenance or tunnel construction.

그리고 프레임이 전철의 방향쪽으로 돌출되는 길이는 될 수 있는 한 최소화 해야하며 이를 위해 프레임 내 광원 반사경의 꾸준한 개발이 필요하다.In addition, the length of the frame protruding in the direction of the train should be minimized as much as possible. For this purpose, the steady development of the light source reflector in the frame is required.

본 발명에서는 기술적으로 벽으로부터 프레임하우징이 돌출 되는 전체의 길이가 7cm 이내로 가능하나 더욱 줄여야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length of the entire frame housing protruding from the wall is possible within 7 cm but should be further reduced.

실사형 필름이나 빔 투사형 필름 공히 본 발명에서는In the present invention, both a realistic film and a beam projection film

광원지속시간을 극히 짧게 할 수 있는 크세논(Xe)가스램프나 이에 준하는 광원을 사용해야하며 광원은 소비품이므로 수시로 교환하기에 편리한 프레임의 구조를 갖추어야하고 광원의 점검이나 기타 회로의 점검, 필름구동모터의 적절한 구동 및 정확한 필름의 위치선정을 위한 통합체계를 갖추어야한다.Xenon (Xe) gas lamp that can shorten the light source duration is extremely short, or similar light source should be used. Since the light source is a consumable item, it should have a frame structure that is convenient to replace at any time. An integrated system should be in place for proper drive and correct film positioning.

여덟째, 화면부의 표현수단인 필름을 대신하여 LCD 혹은 FED(전계방사 디스플레이)를 채용할 수 있도록 설계하여 다양한 표현수단을 사용한다.Eighth, it is designed to employ LCD or FED (field emission display) in place of the film, which is the expression means of the screen unit, and uses various expression means.

즉, 조광장치 및 광원 등과 외장부품은 그대로 활용하고 필름만을 교체하여 LCD로 사용할 경우 광도조절필름과 화면부 필름을 LCD로 교체하여 설치하고, LCD(= TFT LCD)에 연속동작의 동영상을 표현할 목적그림을 각각의 프레임별로 전송할 수 있도록 전송장치를 부착하면 가능하다.In other words, if you use the dimmer, light source and external parts as they are, and replace only the film, and use it as LCD, the brightness control film and the screen film are replaced with LCD, and the purpose of expressing continuous motion video on the LCD (= TFT LCD) It is possible to attach a transmission device so that pictures can be transmitted for each frame.

이는 곧 LCD가 필름을 대신하여 채용되고, 나머지의 모든 동작 시스템은 동일하게 작동 가능한데, 이는 본 고안에서 궤도차량의 속도를 이용하여 1초간 궤도차량이 움직인 거리에 임계융합빈도에 다다르도록 확보된 그림의 수량을 설치하고, 이때 표현그림 1매의 t1을 1/(46±4)초 즉, (46±4)Hz로 작동시키기 때문에, 약 60 Hz(1/60초) 이상으로 전송하는 LCD를 채용하면 충분히 필름을 대신 할 수 있다.This means that the LCD is adopted in place of the film, and all the rest of the operation system can be operated in the same manner, which uses the speed of the track vehicle to secure the critical convergence frequency at the distance traveled by the track vehicle for 1 second. Install the quantity of the drawn picture, and at this time, the t1 of one representational picture is operated at 1 / (46 ± 4) seconds, that is, (46 ± 4) Hz, so that it transmits more than about 60 Hz (1/60 seconds). If LCD is used, it can replace film.

또, FED를 채용할 경우, 본 고안에서 램프와 표현수단부가 교체되면 가능하고, 전송형식은 LCD의 방식과 동일하게 각각의 프레임별로 전송하는 방법을 채택한다.In addition, when the FED is adopted, it is possible to replace the lamp and the expression means in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transmission format adopts a method of transmitting each frame in the same way as the LCD.

다음은 본 발명의 효율적인 관리를 위한 프로그램에 대해서 설명한다.Next, a program for efficient manage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4. 관리 프로그램4. Management program

지하철 동영상 시스템을 1개 구간 설치할 시 거리와 운영체계에 따라 다르지만 5∼32 여개의 구간제어기와 각각의 구간제어기에 8∼42 개 정도의 속도센서 및 24∼110개의 동영상을 출력하는 조광장치가 부착되어 하나의 광고 시스템을 형성하고 있다.When the subway video system is installed in one section, it depends on the distance and operating system, but 5 ~ 32 section controllers, 8 ~ 42 speed sensors and 24 ~ 110 video outputs are attached to each section controller. To form one advertising system.

본 시스템의 작동 시 여러 가지 예기치 못한 사건들 즉, 출력장치의 고장, 속도센서의 고장 등의 하드웨어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Many unexpected events can occur during the operation of the system, such as a failure of the output device or a failure of the speed sensor.

따라서 적절한 시간마다 전체시스템의 상태를 점검하고 고장발생에 따른 적절한 대처를 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중앙감시 및 유지 프로그램상의 통합제어기와 이에 부속되는 구간제어기에 일정한 시간마다, 혹은 관리자가 원하는 때에 임의의 신호를 보내어 각 구간제어기로부터 시스템의 상태에 대해서 보고 받으면, 관리자는 쉽게 전체 시스템의 상태를 알 수 있고, 또한 고장이 발생한 부분도 세세하게 알 수 있다.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heck the status of the entire system at appropriate time and take appropriate measures according to the occurrence of failure. For this purpose, the controller can easily send an arbitrary signal to the integrated controller in the central monitoring and maintenance program and the corresponding section controller at a certain time or when the administrator wants to report the status of the system from each section controller. You can also know the details of the failure occurs.

관리 프로그램은 여러 환경을 사용할 수 있으며 윈도우환경하에서 개발할 경우를 예를 든다면 전체 프로그램의 팻킷은 다음과 같다.The management program can use various environments. For example, when developing under Windows environment, the packet of the whole program is as follows.

첫 째, 통신포트 연결부분으로 컴퓨터의 COM1∼COM4 port를 이용하여 기본적으로 seral통신으로 될 수 있다.First, it can be basically seral communication using COM1 ~ COM4 port of computer as communication port connection part.

둘 째, 통합제어기(중앙감시)의 통신라인이 효과적으로 setting되면 구간제어기와의 직렬통신이 가능하므로 관리 유지하는 작업이 가능하다.Second, if the communication line of the integrated controller (central monitoring) is effectively set, serial communication with the section controller is possible, so that management and maintenance work is possible.

여기에는 두 개의 윈도우를 통하여 작업이 이루어 질 수 있는데, 처음 뜨는 child 윈도우는 전체 구간제어기의 상태를 개괄적으로 알아보는 기능을 수행하고 일단 문제가 보고되는 구간제어기에 대해서는 해당되는 구체적인 구간제어기의 번호를 입력하여 개별적인 세부사항을 보고 받을 수 있게 된다.Here, the work can be done through two windows. The first child window that is opened performs a function to find out the status of the entire section controller, and for the section controller where the problem is reported, the number of the relevant section controller is given. You can enter and view individual details.

셋 째, 파라미터 setting부분에서는 각 구간제어기의 필요한 변수들을 필요에 맞게 변환시켜주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며, 열차구간마다 창문의 개수라던가 창문의 규격, 열차 자체의 객차수량 변화 등을 알 수 있다.Third, in the parameter setting part, it is possible to perform the function of converting the necessary variables of each section controller according to the needs, and it is possible to know the number of windows, the size of the windows, and the amount of passenger cars in the train itself.

따라서 이러한 변화들을 쉽게 변환시켜 준다면 전체 시스템 하드웨어를 환경에 맞게 다시 구현할 필요 없이 변화된 환경에 대해 재 설정이 가능하다.Therefore, if these changes are easily converted, the environment can be reconfigured without changing the entire system hardware.

본 발명은 주행하는 궤도차량의 속도를 이용한 동영상을 구현하는 방법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method for implementing a video using the speed of the running track vehicle

따라서 운행중이 대중교통수단의 운전자 시야에 방해가 되지 않는 범위에서 주행중인 차량의 승객의 시야에 동영상을 구현 하게된다면 어떠한 환경에서도 본 발명을 시설운용할 수 있는데, 지하철 전동차가 주행하는 지하터널, 기차가 주행하는 지상의 방음벽, 궤도차량을 활용하는 놀이기구물 등 다양한 장소에 정보와 광고를 공급하는 장치로서 활용할 수 있는데, 이는 새로운 광고 매체로서 시장을 창출 하는 것이다.Therefore, if the video is implemented in the view of the passenger of the vehicle driving in the range that does not interfere with the driver's view of the public transportation during opera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operate the facility in any environment, underground tunnels, trains for subway trains It can be used as a device to supply information and advertisements to various places, such as the soundproof walls on the ground and rides using tracked vehicles, which creates a market as a new advertising medium.

또, 제어 시스템을 활용하여 기존의 영화나 텔레비전의 고정된 화면에서는 시행하기 어려운 새로운 시각효과를 발전시킬수 있는데, 이는 궤도차량의 승객보다 조금 더 빠르거나 느리게 화면이 이동하는 효과를 내게 되면 주행하는 차량내의 승객에게는 새로운 이미지로 다가 올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 system can be used to develop new visual effects that are difficult to implement on a fixed screen of an existing movie or television, which is driven when the screen moves faster or slower than the passenger of a tracked vehicle. Inner passengers can come to a new image.

또, 램프(광원)의 빛깔이나 점등방법 광도조절필름을 활용하는 새로운 기술도 축척도 기대된다.In addition, new technologies and scales utilizing the color of the lamp (light source) or the lighting method brightness control film are also expected.

즉, 새로운 시각영상기술(예술)이 발달할 것이다.In other words, new visual imaging techniques will be developed.

Claims (32)

궤도차량이 진행하는 터널 내부의 일정공간에 다수개의 프레임을 연속적으로 설치하고Multiple frames are continuously installed in a predetermined space inside the tunnel where the tracked vehicle proceeds 프레임의 순차적인 동작의 그림이 각각 정지화면을 발생하여 차량 내부의 승객이 동영상을 인식하는 시스템의 구현에 있어서, 동영상의 구현 조건은 궤도차량이 1초 동안 이동거리에 연속동작의 정지화면의 수(fn)가 46±4가 되고, 진행하는 궤도차량의 창문, 출입문 등의 일정한 위치에서만 동영상이 구현되도록 궤도차량의 주행속도를 이용한 동영상 구현 시스템.In the implementation of a system in which a picture of a sequential motion of a frame generates a still picture, and a passenger inside the vehicle recognizes a motion picture, the condition for implementing the motion picture is that the track vehicle has the number of continuous motion motion images at a moving distance for 1 second. (fn) is 46 ± 4, the moving picture implementation system using the running speed of the tracked vehicle so that the video is implemented only in a certain position, such as the progress of the tracked vehicle, the door. 제 1항에 있어서 주행하는 궤도차량의 승객이 화면의 정지영상을 인식하기 위한 광원 지속시간의 조건은 t1/t2 = n1과 L1/n1 = L2, t2 = L2/v = L2(t1/L1)를 만족하고, 궁극적으로 (1/2000)초≤t2≤(1/5000)초의 범위를 만족하는 조광장치 회로시스템과 궤도차량의 주행속도를 이용한 동영상 구현 시스템.The condition of the light source duration for the passenger of the traveling track vehicle to recognize the still image on the screen is t1 / t2 = n1 and L1 / n1 = L2, t2 = L2 / v = L2 (t1 / L1). And a dimmer circuit system that satisfies the range of (1/2000) seconds ≤ t2 ≤ (1/5000) seconds and a moving picture realization system using a traveling speed of a track vehicle. 제 1항에 있어서 프레임의 화면부의 길이(L1)는 L1 = (t1/t2)L2인 관계와 궤도차량이 1초 동안 이동하는 거리에 프레임 화면부의 정지영상의 수(fn)가 {42≤fn ≤50}의 조건을 만족하는 궤도차량의 주행속도를 이용한 동영상 구현 시스템.2. The length L1 of the screen portion of the frame is L1 = (t1 / t2) L2, and the number (fn) of still images of the frame screen portion is {42≤fn at a distance at which the trajectory vehicle moves for 1 second. A moving picture realization system using a traveling speed of a tracked vehicle satisfying a condition of ≤50}. 제 1항에 있어서 {42≤fn≤50}의 범위에서 플리커(껌벅임)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광원의 지속시간(t2)조절 혹은 변환, 광원반사경과 반사갓, 광원산란판 및 광도조절필름 등 부속장치를 구성하는 프레임하우징 장치According to claim 1, in order to prevent the flicker (gum buckling) phenomenon in the range of {42≤fn≤50}, adjusting or converting the duration (t2) of the light source, light reflector and reflector, light source scattering plate, light control film, etc. Frame Housings Constituting Accessories 제 1항에 있어서 동영상을 구현하기 위하여 속도/위치 측정시스템, 프레임장치가 구성되고 이를 운영하는 제어시스템으로 된 궤도차량 주행속도를 이용한 동영상 구현 시스템.The system of claim 1, wherein a speed / position measurement system and a frame device are configured to implement a moving image, and the control system operates the same. 제 5항에 있어서 속도/위치 측정시스템은 속도/위치 측정기와 속도제어기 (CPU)로 구성된 궤도차량 주행속도를 이용한 동영상 구현시스템.The system of claim 5, wherein the speed / position measuring system comprises a speed / position measuring device and a speed controller (CPU). 제 5항에 있어서 속도/위치 측정시스템은 0.06∼0.5초에 1회씩 궤도차량을 검지하여 궤도차량의 속도를 연산하는 궤도차량 주행속도를 이용한 동영상 구현 시스템.The system of claim 5, wherein the speed / position measurement system detects the track vehicle once every 0.06 to 0.5 seconds to calculate the speed of the track vehicle. 제 6항에 있어서 속도/위치측정기는 다수개의 센서로 구성되고, 다수 개로 구성된 단위센서간 간격은 1∼10m 정도의 범위에서 결정되는 궤도차량 주행속도를 이용한 동영상 구현 시스템.The system of claim 6, wherein the speed / position measuring device comprises a plurality of sensors,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plurality of unit sensors is determined in a range of about 1 to 10 m. 청구항 6항에 있어서 속도/위치 측정제어기는 궤도차량이 0.489km/h 이상의 속도변화가 발생하면 통합제어기로 신호를 보내 전 시스템이 일시 중단 되도록 하는 궤도차량 주행속도를 이용한 동영상 구현 시스템.The system of claim 6, wherein the speed / position measurement controller sends a signal to the integrated controller to suspend the entire system when a speed change of more than 0.489 km / h occurs. 제 6항에 있어서 속도/위치 측정기는 차량 바퀴축을 기준거리로 하여 궤도차량의 속도를 측정하는 궤도차량 주행속도를 이용한 동영상 구현 시스템.The system of claim 6, wherein the speed / position measuring device measures the speed of the track vehicle based on the vehicle wheel axis as a reference distance. 제 6항에 있어서 속도/위치 측정기는 센서를 일정한 간격의 거리마다 설치하고 센서마다 대응되는 복수개의 반사판으로 구성되며, 센서는 프레임하우징의 표면 중 임의의 위치에 설치하고, 반사판은 차량의 외측 측면에 부착 형성되어 주행하는 차량의 속도 및 위치를 측정하도록 한 궤도차량의 속도를 이용한 동영상 구현 시스템.The speed / position measuring device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speed / position measuring device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reflecting plates corresponding to each sensor at regular intervals, and the sensor is installed at an arbitrary position on the surface of the frame housing, and the reflecting plate is an outer side surface of the vehicle. A moving picture realization system using the speed of a tracked vehicle to measure the speed and position of a vehicle that is attached to the vehicle. 6항 또는 11항에 있어서 속도/위치 측정기의 반사판은 궤도차량 두 개의 바퀴 중심축의 직상방의 바깥벽면에 각각 설치한 차량 주행속도를 이용한 동영상 구현 시스템.The system of claim 6 or 11, wherein the reflection plate of the speed / position measuring device is installed on a vehicle's traveling speed installed on an outer wall directly above the central axis of the two wheels of the tracked vehicle. 제 6항과 11항에 있어서 속도/위치 측정기의 3개 반사판 중 마지막 반사판은 1량의 차량마다 차체외벽에 형성된 차량의 각 창문의 위치 및 창문간 거리의 기준점을 활용하는 제어시스템에 있어서 프로그램연산의 기준신호로 활용하는 차량주행속도를 이용한 동영상 구현 시스템.According to claim 6 and 11, the last reflector of the three reflectors of the speed / position gauge is a program operation in a control system that utilizes the reference point of the position of each window of the vehicle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windows formed on the outer wall of the vehicle for each vehicle Moving picture realization system using vehicle's driving speed. 제 6항에 있어서 속도/위치 측정기는 광주사부와 검출부가 분리된 투과형 센서를 궤도차량 바퀴나 차량과 차량사이의 빈공간 또는 차량 지붕의 돌출된 부분을 센싱하도록 일정한 거리마다 설치하여 주행차량의 속도 및 위치를 측정하도록 한 궤도차량의 속도를 이용한 동영상 구현 시스템.The speed / position measuring device of claim 6, wherein the speed / position measuring device includes a transmission type sensor having a separate optical scanning unit and a detection unit installed at regular distances so as to sense track wheels, an empty space between the vehicle and the vehicle roof, or a protruding portion of the vehicle roof. And a video implementation system using a speed of a tracked vehicle to measure a position. 제 6항에 있어서 속도/위치 측정기는 광주사 및 검출부가 일체화된 복수개의 센서가 차량과 차량사이의 빈공간 또는 차량지붕의 돌출부분을 센싱하도록 궤도차량의 주행속도를 이용한 동영상 구현 시스템.The system of claim 6, wherein the speed / position measuring device uses a traveling speed of the tracked vehicle so that a plurality of sensors incorporating a light scanning and a detection unit sense an empty space between the vehicle and the protrusion of the vehicle roof. 제 6항과 7항에 있어서 단위센서 3개 중 처음센서와 두 번째 센서는 차량 1량의 속도를 측정하기 위한 센서로 활용되고 속도 중앙처리장치에 전송되어 속도가 연산되는 궤도차량의 속도를 이용한 동영상 구현 시스템.According to claim 6 and 7, the first sensor and the second sensor of the three unit sensors are used as a sensor for measuring the speed of one vehicle and transmitted to the speed central processing unit using the speed of the tracked vehicle to calculate the speed Video implementation system. 제 6항과 7항에 있어서 단위센서 3개 중 마지막 센서는 궤도차량 1량마다 차체외벽에 형성된 창문의 위치 창문의 길이 창문간의 거리 등의 기준점으로 활용하여 구간제어기의 연산 후 점등신호 기준사용되는 궤도차량주행속도를 이용한 동영상 구현 시스템.According to claim 6 and 7, the last sensor of the three unit sensor is used as a reference point after the calculation of the section controller by using as a reference point, such as the location of the window formed on the outer wall of the vehicle body, the length of the window, the distance between the windows, etc. Moving picture realization system using tracked vehicle speed. 청구항 6에 있어서 속도제어기(CPU)는 궤도차량의 목적위치(창문, 출입문 등)와 프레임 화면부가 일치할 시점에 맞추어 각각의 프레임 화면부가 점등되도록 점등 스케쥴 작동을 제어하는 속도신호를 구간제어기에 보내는 궤도차량 주행속도를 이용한 동영상 구현 시스템.The speed controller (CPU) according to claim 6 sends a speed signal to the section controller to control the lighting schedule operation so that each frame screen unit is turned on at the time when the target position (window, door, etc.) of the track vehicle and the frame screen unit coincide. Moving picture realization system using tracked vehicle speed. 제 5항에 있어서 제어시스템의 부분장치는 통합제어기, 구간제어기, 분배기, 모터제어기 등으로 구성되어 있고, 시스템 운영방법은 통합운영체계, 분리운영체계, 혼합운영체계 등의 방식이 있으며 통합운영체계와 혼합운영체계 내의 구간제어기의 통제방식에따라 단구간제어시스템, 장구간제어시스템 등으로 구분하여 구성하고 상황에 따라 선택하도록 하는 궤도차량의 주행속도를 이용한 동영상 구현 시스템.The apparatus of claim 5, wherein a part of the control system is composed of an integrated controller, a section controller, a distributor, a motor controller, and the like, and a system operating method includes an integrated operating system, a separate operating system, a mixed operating system, and an integrated operating system. And a moving picture implementation system using a traveling speed of a tracked vehicle that is divided into a short section control system and a long section control system according to the control method of the section controller in the mixed operating system and selected according to the situation. 제 5항에 있어서 제어시스템은 통합운영체계와 분리운영체계로 나뉘고, 통합운영체계와 분리운영체계를 복합한 혼합운영체계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각 운영체계는 공히 궤도차량의 창문이나 출입문 등 승객이 동영상을 인식하는 목적위치와 프레임 화면부의 중심이 일치할 때, 프레임하우징에 설치된 조광장치가 작동되도록 제어하는 궤도차량의 속도를 이용한 동영상 구현 시스템.The control system of claim 5 is divided into an integrated operating system and a separate operating system. The control system is composed of a mixed operating system that combines an integrated operating system and a separate operating system. The moving picture realization system using the speed of the track vehicle which controls the light control device installed in the frame housing to operate when the target position for recognizing the moving picture and the center of the frame screen unit coincide. 제 20항에 있어서 제어시스템의 통합운영체계와 혼합운영체계의 통합제어기는 구간제어기의 연산프로그램 작동시 궤도차량 운행특성과 터널의 토목변수에 의한 궤도차량 주행특성을 구간제어기에 제공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시스템 전체의 관리 및 터널의 특징을 데이터베이스화하는 궤도차량 주행속도를 이용한 동영상 구현 시스템.The integrated controller of the integrated control system and the mixed operating system of the control system are configured to provide the track controller with the track vehicle driving characteristics and the track vehicle driving characteristics based on the civil variables of the tunnel when the calculation program of the section controller operates. System using track vehicle traveling speed to database the system, system management and tunnel characteristics. 제 20항에 있어서 제어시스템의 통합운영체계와 혼합운영체계의 구간제어기는 궤도차량의 주행속도와 차량의 특징을 활용하여 창문 등 목적위치와 일치한 프레임이 점등되도록 각각의 프레임하우징에 신호를 명령하며, 연산 시 통합제어기의 저장 변수를 활용하여 정밀한 화면부가 발생되도록 차량주행속도를 이용한 동영상 구현 시스템.21. The control unit of claim 20, wherein the integrated control system of the control system and the mixed control system of the control system command signals to each of the frame housings so that the frame corresponding to the target position such as a window is turned on by utilizing the traveling speed of the tracked vehicle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vehicle. And the video realization system using the vehicle running speed so that the precise screen part is generated by using the storage variable of the integrated controller during the calculation. 제 20항에 있어서 통합운영체계와 혼합운영체게의 1개의 구간제어기의 통제범위를 객차 1량의 길이와 비슷한 단구간제어시스템과 객차 2량의 길이와 비슷한 장구간제어시스템 중 환경에 따라 선별하여 사용토록 하는 주행차량의 속도를 이용한 동영상 구현 시스템.21. The control range of one section controller of the integrated operating system and the mixed operating system is selected according to the environment among the short-range control system similar to the length of one carriage and the long-range control system similar to the length of the two carriages. An animation system using the speed of a driving vehicle to be used. 제 21항에 있어서 통합제어기는 터널 내부의 특징적 토목환경에 의한 궤도차량의 속도변화, 각도의 변화, 진동특성, 흔들림, 궤도차량과 프레임 화면부의 거리변화 등의 현상을 데이터베이스화하여 구간제어기의 작동 시 연산의 매개변수로 활용하는 궤도차량 주행속도를 이용한 동영상구현 시스템.The integrated controller operates the section controller by making a database of phenomena such as speed change, angle change, vibration characteristic, shaking, distance change of the track vehicle and the frame screen part due to the characteristic civil engineering environment inside the tunnel. Moving picture realization system using track speed. 제 21항에 있어서 통합제어기는 모타제어기의 필름이송과 이송된 필름의 확인, 광원램프의 작동 시 동작의 이상유무를 확인하기 위한 모타제어기의 센서와 광원의 빛을 감지하는 광센서를 통합제어기의 관리프로그램과 통신체결하여 관리하는 궤도차량 주행속도를 이용한 동영상 구현 시스템.22. The integrated controller of claim 21, wherein the integrated controller includes a sensor of the motor controller and an optical sensor for detecting light of the light source for checking whether the film is transferred to the motor controller, checking the transferred film, and whether there is an abnormal operation during operation of the light source lamp. Moving picture realization system using the running speed of track vehicle managed by communication with management program. 제 21항에 있어서 궤도차량 승무원의 운전방해를 근원적으로 차단하기 위해 통합제어기에 승무원으로부터 일정거리 이상 이격된 프레임부터 작동되도록 프로그램화하는 궤도차량 주행속도를 이용한 동영상 구현 시스템.22. The system of claim 21, wherein the integrated controller is programmed to operate from a frame spaced at least a certain distance from the crew in order to fundamentally block driving of the crew. 제 4항에 있어서 프레임장치는 프레임을 장착하는 프레임 지지레일, 프레임의 풍압 및 진동을 흡수하는 스프링, 프레임의 위치를 조정하는 미세조절볼트와 광원을 작동하는 조광장치, 광원을 화면부에 고르게 분포시키고 임계융합빈도를 낮추는 광원반사경, 반사갓, 광원산란판, 광도조절필름 등과 작동된 광원이 타 프레임화면부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하는 광원차단스커트, 통합제어기의 명령에 의해 해당필름이 이송되고 이송된 필름을 확인하는 모타 제어기 및 필름구동장치, 필름말이축, 필름교체받침대, 필름교체 브라켓 등으로 구성된 궤도차량의 주행속도를 이용한 동영상 구현 시스템.The frame device of claim 4, wherein the frame device comprises: a frame support rail for mounting the frame, a spring for absorbing wind pressure and vibration of the frame, a fine adjustment bolt for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frame, a dimmer for operating the light source, and a light source evenly distributed on the screen The film is transported and transported by the command of the light source blocking skirt and the integrated controller so that the light source operated with a light source reflector, a reflector, a light source scattering plate, a light intensity control film, etc., which lowers the critical fusion frequency, does not affect other frame screen parts. A moving picture realization system using a traveling speed of a tracked vehicle composed of a motor controller and a film driving device for checking a film, a film rolling axis, a film replacement support, a film replacement bracket, and the like. 제 27항에 있어서 프레임하우징을 상·하·좌·우·전·후의 6방향으로 미세조절 할 수 있고, 궤도차량의 주행 중 진동을 흡수하는 스프링 등을 채용하는 프레임하우징과 프레임하우징지지레일로 구성된 동영상 구현 장치28. The frame housing and frame housing support rail according to claim 27, wherein the frame housing can be finely adjusted in six directions of up, down, left, right, front and rear, and employs a spring or the like which absorbs vibrations during the running of the tracked vehicle. Configured Video Implement Device 제 27항에 있어서 필름의 효율적인 관리와 교체를 위한 필름장착장치와 필름교체받침대로 구성된 프레임하우징 장치.28. The frame housing of claim 27, comprising a film mounting device and a film replacement support for efficient management and replacement of the film. 제 2항과 제 27항에 있어서 (1/2000)초≤t2≤(1/5000)초의 범위에서 광원이 작동되도록 하기 위해 구동용신호를 인가하는 장치와 전원을 정류하는 정류장치 그리고 목적의 주파수로 광원이 작동되도록 하는 발진부와 스위칭부로 구성된 조광장치.28.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2 and 27, a device for applying a driving signal, a stop value for rectifying the power source, and a desired frequency in order to operate the light source in the range of (1/2000) seconds ≤ t2 ≤ (1/5000) seconds. A dimmer consisting of an oscillator and a switching unit for operating a light source. 제 5항과 27항에 있어서 통신선과 전원선은 전자파의 차폐를 위해 프레임하우징 내에 통신선닥트와 전원선 닥트를 분리하여 설치한 프레임하우징 장치.28. The frame housing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5 or 27, wherein the communication line and the power line are provided separately from the communication line doc and the power line duct in the frame housing for shielding electromagnetic waves. 화면부의 표현수단을 다양하고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해 필름이나 그림 등을 대신하여 액정화면(TFT LCD), 혹은 전계방사화면(FED) 그리고 전송장치 등으로 구성된 시스템.A system consisting of a 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an electric field emission screen (FED), and a transmission device in place of a film or a picture in order to utilize the display means of the display unit in various ways.
KR1020000048172A 2000-08-19 2000-08-19 Method for Embodying Moving Image Using Travel Speeds of Rail Cars KR100360020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48172A KR100360020B1 (en) 2000-08-19 2000-08-19 Method for Embodying Moving Image Using Travel Speeds of Rail Cars
JP2000357811A JP2002132197A (en) 2000-08-19 2000-11-24 Moving video embodiment method using traveling speed of tracked vehi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48172A KR100360020B1 (en) 2000-08-19 2000-08-19 Method for Embodying Moving Image Using Travel Speeds of Rail Car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25177A true KR20010025177A (en) 2001-04-06
KR100360020B1 KR100360020B1 (en) 2002-11-07

Family

ID=196840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48172A KR100360020B1 (en) 2000-08-19 2000-08-19 Method for Embodying Moving Image Using Travel Speeds of Rail Cars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2002132197A (en)
KR (1) KR100360020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72588A (en) * 2000-09-14 2000-12-05 김태석 An advertisement system operating on the well in subway tunnel
KR100921440B1 (en) * 2009-04-08 2009-10-13 (주)엘이디웍스 Bidirectional display apparatu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57135A (en) * 2003-11-27 2005-06-16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Information display method, system and program
US11495150B2 (en) * 2017-09-06 2022-11-08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Li-Fi communications for selecting content for distribution across a sequence of displays along a vehicle pathway
KR101951593B1 (en) * 2018-03-12 2019-02-22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Multiple image display system and method based on moving speed of tracked vehicl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72588A (en) * 2000-09-14 2000-12-05 김태석 An advertisement system operating on the well in subway tunnel
KR100921440B1 (en) * 2009-04-08 2009-10-13 (주)엘이디웍스 Bidirectional display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60020B1 (en) 2002-11-07
JP2002132197A (en) 2002-05-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89384B2 (en) Image display system
KR100360020B1 (en) Method for Embodying Moving Image Using Travel Speeds of Rail Cars
CA2885777C (en) Control of flicker in display images using light emitting element arrays as viewed by a viewer in motion
US20050174539A1 (en) Subway movie/entertainment medium
RU2585723C2 (en) System for synchronising video display in tunnels
CN1169101C (en) Subway movie/entertainment medium
CA2790250C (en) System for creating a visual animation of objects
GB2241813A (en) Display means
KR100311202B1 (en) Advertising-Device Utilizing an Optical Illusion
JPH07104693A (en) Method and device for display in railway tunnel grounds
AU2001272268A1 (en) Subway movie/entertainment medium
KR20100137190A (en) Pictorial image device equipped with moving device
US20020194759A1 (en) Cinema-like still pictures display for travelling spectators
KR102571287B1 (en) Detecting devices of road condition for safe driving guidance system
EP3955237A1 (en) Video information display system for a moving object
CN206672562U (en) Dynamic Announce advertising device and Dynamic Announce ad system
KR20000055163A (en) Motion picturing system using residual image effect
US20040046708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esenting still images or motion sequences to passengers onboard a train moving in a tunnel
JPH01126681A (en) Advertisement afterimage display device
KR200209331Y1 (en) Apparatus for advertising wide color in subway section
KR20010095905A (en) System for showing moving-pictures in the subway
CA2414262A1 (en) Subway movie/entertainment medium
JPS63265390A (en) Control method for traffic control signal
JPH11174997A (en) Displaying method for observer relatively moving at high speed and device therefor
JPS58186900A (en) Traffic signal contro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