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23408A - 개인용 운반 차량을 위한 적재 트레이 - Google Patents

개인용 운반 차량을 위한 적재 트레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23408A
KR20010023408A KR1020007002050A KR20007002050A KR20010023408A KR 20010023408 A KR20010023408 A KR 20010023408A KR 1020007002050 A KR1020007002050 A KR 1020007002050A KR 20007002050 A KR20007002050 A KR 20007002050A KR 20010023408 A KR20010023408 A KR 200100234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go
mast
tray
vehicle
tray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70020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데이비드 비. 스미스
존 맥클러스키
Original Assignee
크라운 이큅먼트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크라운 이큅먼트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크라운 이큅먼트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0100234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23408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12Platforms; Forks; Other load supporting or gripping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00Storing articles, individually or in orderly arrangement, in warehouses or magazines
    • B65G1/02Storage devices
    • B65G1/04Storage devices mechanical
    • B65G1/137Storage devices mechanical with arrangements or automatic control means for selecting which articles are to be removed
    • B65G1/1373Storage devices mechanical with arrangements or automatic control means for selecting which articles are to be removed for fulfilling orders in warehouses
    • B65G1/1375Storage devices mechanical with arrangements or automatic control means for selecting which articles are to be removed for fulfilling orders in warehouses the orders being assembled on a commissioning stacker-crane or truc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1/00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6F11/04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movable platforms or cabins, e.g. on vehicles, permitting workmen to place themselves in any desired position for carrying out required oper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12Platforms; Forks; Other load supporting or gripping members
    • B66F9/16Platforms; Forks; Other load supporting or gripping members inclinable relative to mas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Warehouses Or Storage Devices (AREA)

Abstract

여러 가지 작업이 가능한 작업 지원 차량(10)은 조작자(50)와 이 조작자에 의해 취급되는 상품(item)을 이송하고, 조작자와 함께 들어올려지는 화물 트레이(90, 90′,90″)에 지지되는 상품과 함께 조작자를 들어올리도록 설계된다. 양호하게는 상기 화물 트레이는 조작자를 지지 및 들어올리는 신축성 마스트(30; telescoping mast)를 따라 위치되도록 장착된다. 화물 데크(load deck) 또는 화물 플랫폼(27)이 상기 화물 트레이에 부가하여 차량(10)의 본체(20)에 구비되어 패키지, 공구, 부품, 상품 등이 차량에 의해 운반될 수 있게 된다. 또한 화물 선반(390, 390′)이 차량의 적재 운반 성능에 적응성과 용량을 부가하기 위해 상기 화물 데크(27) 근처에 제공될 수 있다. 이 차량은 주문품 가져오기(order picking), 실내 유지보수(in-house service maintenance), 재고 관리, 화물 배달 등에 사용된다. 이 차량은 크기가 작고, 좁은 창고 통로 및 움직일 공간이 적은 곳에서의 사용을 위해 기동성이 높도록 설계된다.

Description

개인용 운반 차량을 위한 적재 트레이{Load trays for personnel carrying vehicles}
작은 부품을 꺼내는 것은 일반적으로 몇 개의 선반과 9 feet(2.743m)이하의 재고 품목에 도달하기 위해 조작자가 타고 올라가는 낮은 사다리를 구비한 손으로 미는 개인용 수레에 의해 행해진다. 12 feet(3.658m)까지의 높은 위치의 것을 꺼내는 것은 손으로 밀어 위치되는(manual push-in-place) 커다란 이동 사다리 대에 의해 이루어진다. 이 수레와 이동 사다리 대 모두 조작자가 상품을 손에 들고 있으면서 사다리를 타고 올라가거나 내려가는 것을 요구한다.
부품을 꺼내는데 사용될 수 있는 컴팩트한 공중 리프트 차량이 미국 특허 제 5,273,132호에 개시되어 있다. 이 차량은 보관을 위해 몇 개의 부품으로 분리가능하고 이 차량의 본체에 제거가능하게 장착된 수직 포스트 부재(vertical post member)를 따라 올려질 수 있는 플랫폼 위에 지지되는 조작자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불행히도, 상기 특허 5,273,132 호의 공중 리프트 차량은 조작자를 위해 작은 크기의 바구니(basket)만이 제공되어 조작자는 이 바구니에 너무 커 맞지 않는 품목을 여전히 손으로 들고 있어야 하는 제한된 용도를 갖는다. 더욱이, 이 차량을 이용하는 차량의 본체 상에 이들 품목의 이송용 지지 부품(supporting items)이 제공되지 않는다.
따라서, 이 차량의 확장가능한 마스트에 장착되고 함께 이동가능한 화물 트레이를 포함하여 이 차량의 조작자가 차량을 이용하는 조작자에 의해 취급될 수 있는 어떠한 물건도 손으로 들고 있을 필요가 없게 되는 개선된 개인용 운송 차량이 요구된다. 다르게는 또는 양호하게는 상기 마스트에 장착된 화물 트레이에 부가하여, 상기 차량은 물건의 이송을 위해 이 차량 위에 물건을 운반하기 위한 화물 데크 또는 화물 플랫폼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전기로 구동되는 개인용 운송 차량에 관한 것이며, 특히 창고 선반에서 꺼내진 물건(item)을 운송하거나, 예를 들어 소매점의 선반 위의 상품을 꺼내거나 놓기 위해 조작자를 약 6 feet(1.829m)이상 공중으로 올릴 수 있는 작업용 플랫폼, 더 세부적으로는 이러한 차량을 사용하는 조작자에 의해 취급되는 상품을 지지하기 위해 차량에 사용될 수 있는 화물 트레이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개인용 운반 차량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차량의 들어올려진 위치에서의 조작자의 플랫폼 또는 조작실 및 관련된 화물트레이의 사시도.
도 3은 도 1의 차량의 측입면도.
도 4는 도 1의 차량의 평면도.
도 5는 양호한 실시예의 화물 트레이와 이 화물 트레이를 마스트의 상부 섹션에 장착하는 배치를 도시하는 도 1의 차량의 마스트의 상부 섹션 부분의 사시도.
도 5a는 수직 보관 위치로 집어넣어진 화물 트레이의 도 5에 상응하는 사시도.
도 6은 도 5의 화물 트레이 장착시의 장치의 부분 측단면도.
도 7은 명확하게 예시하기 위해 일부 부품을 제거한 도 5의 화물 트레이 및 화물 트레이 장착시의 장치의 분해도.
도 8은 도 7의 선 8-8을 따라 차량의 마스트에서 본 화물 트레이 장착 장치의 승강기 조립체의 분해도.
도 8a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접는 화물 트레이의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화물 선반 장치를 포함하는 개인용 운반 차량의 측면도.
도 10은 도 9의 화물 선반 장치를 예시하는 개인용 운반 차량의 전면 사시도.
도 11은 도 9 및 도 10의 화물 선반 장치에 사용되는 클램핑 장치를 예시하는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제거가능한 화물 트레이를 수납하기 위해 개방된 화물 트레이 유지 기구의 사시도.
도 12a는 화물 트레이 유지 기구 내에 수납된 제거가능한 화물 트레이를 갖는 개방 화물 트레이 유지 기구의 사시도.
도 13은 화물 트레이가 없이 닫힌 트레이 유지 위치로 도시된 화물 트레이 유지 기구의 도 12 및 도 12a의 화물 트레이 유지 기구의 사시도.
도 14는 그 닫힌 위치에서의 도 12a의 유지 기구의 평면도.
도 15는 트레이가 상기 기구 내에 수납되고 이 기구가 닫힌 위치에서의 도 12 및 도 14의 유지 기구의 측입면도.
상술한 요구사항은 조작자와 이 조작자에 의해 취급되는 물건을 이송하고, 조작자와 함께 들어올려지는 화물 트레이에 지지되는 상품과 함께 조작자를 들어올리도록 설계되어 조작자가 이동시와, 올라가고 내려가는 동안 물건을 손으로 들고 있지 않아도 되는 본 발명에 따른 여러 가지 작업이 가능한 작업 지원 차량에 의해 충족된다. 양호하게는, 상기 화물 트레이는 조작자를 지지 및 들어올리는 신축가능한 마스트를 따라 위치되도록 장착된다. 화물 데크 또는 화물 플랫폼이 패키지, 공구, 부품, 상품 등과 같은 물건이 차량에 의해 운반될 수 있도록 상기 화물 트레이에 부가하여 또는 독립적으로 상기 차량의 본체에 제공될 수 있다. 또한 화물 선반이 차량의 적재 운반 성능에 적응성과 용량을 부가하기 위해 상기 화물 데크 근처에 제공될 수 있다. 이 차량의 사용은 화물 트레이와 화물 데크 및/또는 화물 선반을 차량에 구비하여 최적화되어 차량을 양호하게 구성할 수 있다. 이 차량은 주문품 가져오기(order picking), 실내 유지보수(in-house service maintenance), 재고 관리, 화물 배달 등에 사용된다. 이 차량은 크기가 작고, 좁은 창고 통로 및 움직일 공간이 적은 곳에서의 사용을 위해 기동성이 높도록 설계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목적은 자체 추진식이며 조종가능한 본체와, 이 본체에 부착되고 본체로부터 상방향으로 연장되는 마스트와, 이 마스트에 부착되는 조정실(personnel compartment)과, 차량의 이동 및 조작자가 올라가거나 내려가는 동안 물건을 지지하기 위해 마스트에 장착되는 화물 트레이를 포함하는 개인용 운반 차량을 제공하는 것과; 자체 추진식이며 조종가능한 본체와, 이 본체에 부착되고 본체로부터 상방향으로 연장되는 마스트와, 이 마스트에 부착되는 조정실과, 차량의 이동 중에 물건을 지지하기 위한 차량의 본체 상의 화물 데크를 포함하는 개인용 운반 차량을 제공하는 것과; 자체 추진식이며 조종가능한 본체와, 이 본체에 부착되고 본체로부터 상방향으로 연장되는 마스트와, 이 마스트에 부착되는 조정실과, 차량의 이동 및 조작자가 올라가거나 내려가는 동안 물건을 지지하기 위해 마스트에 장착되는 수직으로 이동가능한 화물 트레이를 포함하는 개인용 운반 차량을 제공하는 것과; 자체 추진식이며 조종가능한 본체와, 이 본체에 부착되고 본체로부터 상방향으로 연장되는 마스트와, 이 마스트에 부착되는 조정실과, 차량의 이동 및 조작자가 올라가거나 내려가는 동안 물건을 지지하기 위해 마스트에 장착되는 화물 트레이와, 차량의 이동 중에 물건을 지지하기 위한 차량의 본체 상의 화물 데크를 포함하는 개인용 운반 차량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은 하기의 실시예와, 청구범위 및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분명해진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며, 개인용 운반 차량(10)은 전면부(21)와 후면부(22)를 갖는 자체 추진식, 조향가능한 본체(20)를 포함한다. 한 쌍의 구동 차륜(24)이 상기 본체(20)의 후면부(22) 근처에 장착되고, 한 쌍의 캐스터 차륜(26; caster wheel)이 상기 본체(20)의 전면부(21) 근처에 장착된다. 화물 데크 또는 플랫폼(27)이 차량(10)의 전면 단부에 제거가능하게 놓여진다.
마스트(30)가 상기 본체(20)에 부착되고 상기 본체로부터 상방향으로 연장한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마스트(30)는 3 개의 겹쳐진(nested) 섹션(31, 32, 33)을 포함한다. 유압 실린더가 상기 마스트(30)를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은 그 수축 위치에서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완전히 연장된 위치로 연장시키기 위해 채용된다. 3 개의 마스트 섹션이 예시되었으나, 마스트 섹션의 수는 실제적으로는 바뀌어 사용될 수 있다.
조작실(40)은 상기 마스트(30)에 부착되어 있고, 세부적으로는 마스트(30)의 외부 또는 상부 섹션(31)에 부착된다. 상기 조작실(40)은 상기 마스트(30)에 제거가능하게 부착된 바닥(41; floor)과, 마스트(30)에 장착되고 조작실의 측면과 전면 주위에서 연장하는 레일 부재(42)와, 각각 45 및 46에서 상기 레일 부재(42)에 그리고 각각 47 및 48에서 상기 바닥(41)에 회전가능하게 부착된 한 쌍의 게이트 부재(43, 44)를 포함한다. 상기 바닥(41)은 상기 조작실이 들어올려지지 않고도 전기 접속 단자 블록과, 바닥(41)아래의 다른 장치에 접근할 수 있도록 조작실의 전면부에 힌지(hinge)된다. 게이트 부재(43, 44)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닫힌 위치로부터 개방 위치로 이동가능하며 여기서 상기 게이트 부재는 조작실(40)로 연장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레일 부재(42) 및 마스트(30)의 상부는 조작실(40) 내에 서있는 조작자(50; 도 3)의 대략 허리 높이에 위치된다. 상기 마스트(30)는 실질적으로 상기 레일(42) 위로 연장하지 않으므로 조작자(50)가 상기 레일(42)의 상부 에지 위의 어느 것에나 막힘없이 접근할 수 있게 한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부 마스트 부재(33)는 상기 본체(20)에 부착되고 상방향 및 차량의 전방으로 수직으로부터 약 5°의 각도로 연장한다(도 3 참조). 상기 마스트(30)가 연장하므로, 상기 조작실(40)은 상방향 및 전방으로 이동한다.
상기 조작실(40)은 상기 마스트(30)가 5° 경사지게 되어 조작자의 허리 근처의 조작실의 상부 부분이 바닥보다 넓게되어, 조작자가 차량(10)의 길이를 증가시키지 않고도 편안하게 수용될 수 있다.
도 1을 다시 참조하여, 분리가능한 레일 가이드 조립체(60)가 전방 및 후방 차륜 사이의 본체(20)에 장착된다. 레일 가이드 조립체(60)는 차량의 각각의 측면에 장착되고 좁은 간격의 저장 선반(rack) 사이의 통로로 차량이 지나갈 수 있도록 안내하는 것을 보조하는데 사용된다.
조작자(50)에게 한 쌍의 제어 핸들과, 조향 제어 조립체(70)와 견인 제어 조립체(80; traction control assembly)가 제공된다. 차량이 작동 중일 때, 조작자는 한 손(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왼손)은 조향 제어 조립체에 그리고 다른 손(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른손)은 견인 제어 조립체에 놓고 두 발은 조작실의 바닥, 상세하게는 데드 맨 스위치(DMSL, DMSR; dead man switch) 위에 있게 하여야 한다. 이는 네 지점(four point stance)을 보장하여 조작자의 안정성(stability)을 제공하고 조작자의 손과 발이 차량 이동중 또는 들어올려지거나 내려지는 동안 어느 때나 조작실 내에 있는 것을 보장한다.
도 2를 참조하여, 한 쌍의 견인용 모터(82, 83)가 상기 본체(20) 내측 및 상기 조작실의 바닥(41) 밑에 위치된 견인용 모터실 내에 장착된다. 일반적으로 상기 견인용 모터실을 감싸는 덮개 판이 상기 모터실의 내용을 볼 수 있도록 제거되어 있다. 상기 견인용 모터는 그 중 하나만이 도시되어 있는 기어 박스(85)를 통해 차륜(24)의 차축에 연결된다.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견인용 모터의 중심축은 차륜(24)의 축보다 아래에 있으므로, 상기 조작실(40)의 바닥(41)이 가능한 한 지면에 밀착되게 높이H (대략 바닥(F)에서 7인치(17.78cm)높이, 도 3 참조)에 위치할 수 있게 한다.
또한 화물 트레이(90)가 상기 마스트(30)에 장착될 수 있다. 도 3에 예시된 바와 같이, 상기 화물 트레이(90)는 상부 마스트 섹션(31)의 상부로부터 하향으로 연장하는 부착 스트립(92)을 사용하여 마스트(30)에 부착될 수 있고, 화물 트레이(90)를 상부 레일(42)에 대해 상이한 높이로 쉽게 부착할 수 있도록 이격된 별개의 핀 개구(spaced apart pin opening)를 구비할 수 있다. 화물 트레이(90)는 다양한 형태를 취할 수 있다.
예시된 화물 트레이(90)는 외측 또는 주변 부재와 다수의 내부 와이어(93)를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상기 내부 와이어(93)는 화물을 지지하는 것을 돕도록 설계되는 동시에, 이 와이어(93)는 조작자가 화물 플랫폼(27) 위의 물체를 쉽게 볼 수 있도록 배치된다. 도 3에 예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마스트에 화물 트레이(90)를 부착하는 것은 이 화물 트레이(90)가 우연하게 화물 플랫폼(27) 위에 놓여 있는 장애물 상으로 낮춰지는 경우 상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게 한다.
이제 본 발명에 따른 화물 트레이(90)의 양호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도 5, 도 5a 및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한다. 상기 화물 트레이(90)는 부착 기구(100; attachment mechanism)에 연결된 상태로 도시되며, 이 부착 기구는 C 형 부재(110)와 승강기 또는 승강기 조립체(120)를 포함한다. 상기 C형 부재(110)는 후방 벽 부재(112)와, 측벽 부재(114)와 한 쌍의 전방 벽 부재(116)를 포함한다. 상기 후방 벽 부재(112)는 몇 개의 이격된 별개의 개구 또는 슬롯(118)과, 덮개 판(119)으로의 접근을 허용하는 체인 점검 개구(chain inspection opening)를 포함한다.
상기 승강기 조립체(120)는 주 프레임 부재 또는 판(122)은 그 위에 몇 개의 롤러 즉 한 쌍의 상부 롤러(124)와 한 쌍의 중간 롤러(126)를 장착하며, 이들 롤러는 상기 후방 벽 부재(112)와, 부분적인 전방 벽 부재(116) 사이에 놓이며, 이들 롤러(124, 126)는 상기 승강기 조립체(120)가 수직으로 자유롭게 이동하면서도 상기 전방 및 후방 벽 부재(116, 112) 사이에 형성된 트랙 내에 상기 조립체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승강기 조립체(120)는 한 쌍의 상부 안내 롤러(128)와 한 쌍의 하부 안내 롤러(130)를 포함한다. 상기 롤러(128, 130)는 상기 부분적인 전방 벽 부재(116)의 내부 표면과 결합하고 승강기 조립체(120)의 비틀림을 방지한다.
스프링(140)이 상기 C형 부재(110)에 부착된 핀과, 상기 승강기 조립체(120)에 부착된 핀 사이에서 연장한다. 상기 스프링(140)은 상기 화물 트레이(90)와 승강기 조립체(120)의 중량을 극복하는 것을 돕는다. 상기 화물 트레이(90)는 개구(152)를 통해 상기 판(122)으로부터 외향으로 연장하는 브라켓(154; bracket)으로 연장하는 핀(150)에 의해 승강기 조립체(120) 상에 지지된다. 이 배치는 화물 트레이(90)가 보관 및 수직 재위치설정을 위해 아암(156; arm)이 상기 전방 벽 부재(116)와 결합하는 수평 위치로부터 수직 위치로 회전되도록 한다.
상기 화물 트레이(90)는 화물 트레이 지지 핀(162)과, 이 핀(162)을 상기 후방 벽 부재(112) 내의 슬롯(118)을 향해 편향시키는 스프링(164)과, 상기 핀(150)의 중간점 또는 근처에서 화물 트레이(90)에 부착되는 작동 기구(170)로 외향으로 연장하는 아암 또는 링크(157)를 포함하는 스프링이 장착된 지지 기구(160)에 의해 선택된 위치에 지지된다. 상기 작동 기구(170)는 궁형 슬롯(172; arcuate slot)을 구비한다. 링크(157)의 핀(174)은 슬롯(172)을 통해 연장하는 반면 링크(157)의 다른 핀(176)은 핀(162)과 연결된다. 그러므로, 상기 화물 트레이(90)가 그 수직 위치를 향해 상방향으로 회전(pivot)되어, 상기 슬롯(172)의 단부는 핀(174)과 결합하고, 현재 지지 핀(162)과 결합되어 있는 슬롯(118) 중의 하나로부터 지지 핀(162)을 후퇴시켜, 상기 조작실(40)에 대한 화물 트레이(90)의 수직 상승이 변화될 수 있게 한다.
축(180)이 승강기 조립체(120)로부터 하향으로 연장한다. 스프링(182)은 이 축(180)을 하향으로 민다. 스프링에 의해 편향된 축(180; spring biased shaft)은 2 가지 목적을 위해 작용한다: 첫 번째 목적은 승강기 조립체(120)가 그 행정의 바닥에 도달하고 C형 부재(110)의 하부 단부에서 단부 판(185)과 막 결합하려고 할 때 완충작용을 제공하는 것이고; 다른 목적은 상기 화물 트레이(90)를 수직 위치로 집어넣기 위한 준비로 화물 트레이(90)를 낮추는 데 부가적인 저항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C형 부재(110)는 하향으로 연장하는 립(192; lip)을 갖는 캡(190; cap)을 구비한다. 화물 트레이(90)는 이 립(192)과 결합하기 위해 판(195)을 구비한다.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물 트레이(90)를 아래로 밀고, 상기 립(192) 아래에 판(195)을 위치시키고 이 판(195)이 립(192) 아래에 걸리도록 화물 트레이(90)를 위로 이동하게 스프링을 작용시켜 화물 트레이(90)가 그 수직 위치에 적재될 수 있다. 그 적재된 위치로부터 꺼내기 위해, 화물 트레이(90)는 스프링(140, 182)의 힘에 대항하여 눌리고 마스트(30)를 따라 그 수평 작업 위치 중의 하나로 하향으로 회전된다.
도 8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화물 트레이(90′)의 다른 실시예가 3 개의 섹션(중심 섹션(90a), 한 쌍의 접는 외부 섹션(90b, 90c), 한 쌍의 힌지(H))으로 형성된다. 한 쌍의 힌지(H)는 상기 중심 섹션(90a)과 각각의 외부 섹션(90b, 90c) 사이에 놓여 상기 외부 섹션(90b, 90c) 중의 하나 또는 양쪽이 중심 섹션의 상부에 접히도록 한다. 화물 운송 상황에서, 화물 플랫폼(27) 바로 위에 키가 큰 물체를 놓는 반면 작은 패키지를 화물 트레이(90′)에 놓을 때 필요하거나 바람직할 수 있고 또는 조작자가 예시된 바와 같이 접는 화물 트레이(90′)에 용이하게 접근할 수 있는 화물 데크 상의 물체 또는 큰 상자(bin)에 덜 제약된 접근을 요구할 수 있다. 예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접는 화물 트레이(90′)의 외부 또는 측면 섹션(90b, 90c)은 접기 위해 힌지되는 반면, 화물 트레이(90)의 어느 한 반쪽, 즉 화물 트레이(90)의 약 50%를 화물 트레이의 다른 반쪽에 대해 힌지식으로 지지하여 다소 큰 화물을 상기 화물 플랫폼(27) 상에 수용할 수 있다. 그러므로, 화물 트레이의 전방 반쪽 또는 한 측면의 반쪽이 화물 트레이의 나머지 반쪽 상으로 접히도록 장착될 수 있다.
다른 형식의 화물 선반이 도 9 내지 도 11에 도시되며 여기서 화물 선반(390)이 고정 위치로 놓이고 화물 플랫폼(27)으로부터 상방향으로 연장하는 한 쌍의 지지 부재(400)에 의해 지지된다. 개구(405)가 화물 플랫폼(27)에 구비되고 이들 개구(405) 아래에는 상기 부재(400)의 단부를 수납하는 리셉터클(410; receptacle)이 있다(도 9 참조). 마스트(30) 근처의 지지 부재(400)의 수직 요소(415)는 휘어진 하부 단부(416)에서 종료되고 이 수직 요소(415)의 나머지 부분은 마스트(30)의 기울기를 따르기 위해 휘어진다. 상기 휘어진 하부 단부(416)와 상기 수직 요소(415)의 나머지 부분의 기울어진 각도는 상술한 바와 같이 화물 트레이가 직립 또는 수직 위치로 집어 넣어졌을 때 화물 트레이(90)에 대해 공간 또는 간극을 제공한다. 차량의 좌측 또는 전방에서의 상기 수직 요소(417)는 곧지만, 마스트(30)의 기울기를 따르기 위해 역시 휘어진다.
지지 부재(400)의 상부 섹션(420)은 이 상부 섹션(420)에 놓인 화물 선반(390)을 적절히 위치시키는 수평이고 두 개의 고정되고 신장된 링 또는 확대부(422)를 각각 구비한다. 화물 선반(390)은 양호하게는 상방향으로 연장하는 수직 측부를 갖고 큰 직경의 와이어로 이루어진다. 도시된 바와 같이, 화물 선반(390)을 형성하는 와이어의 간격은 대략 1과 1/2 인치(3.81cm)이지만, 어떠한 간격도 사용될 수 있다. 또한, 화물 선반(390)의 바닥은 요구된다면 와이어가 아닌 고체(solid)일 수 있다.
네 개의 클램핑 장치(430; clamping device)가 화물 선반(390)에 장착된다(도 9 내지 도 11 참조). 상기 클램핑 장치는 플라스틱 재료로 성형되고 상기 지지 부재(400)의 수평 상부 섹션(420)과 동일한 직경을 갖는 상부 섹션을 포함한다. 스트랩(434; strap)은 수평 상부 섹션(420) 중의 하나의 하부 주위의 각각의 클램핑 장치(430) 중의 한 측면으로부터 연장하고 상기 화물 선반(390)을 제자리에 고정시키기 위해 상기 상부 섹션의 다른 측면에서 클램핑 장치(430)에 물린다(snap). 상기 링(422)은 상기 고정 장치(430)의 내경보다 큰 직경을 가져, 클램핑 장치(430)를 상기 링(422)에 설치할 수 없게 한다. 이 배치는 화물 선반(390)이 제자리에 고정되기 전에 적절하게 위치되는 것을 보장한다.
도 9 및 도 10에서, 제 2 수평 레일 부재(440)가 또한 사용된다. 상기 레일 부재(440)는 그 한 단부로부터 돌출하는 핀(442)과 그 다른 단부로부터 연장하는 스프링이 장착된 핀(444)을 각각 구비한다. 한 핀(pin)이 상기 수직 부재(415) 내의 개구로 수납될 수 있고, 다른 핀은 수직 부재(417)의 상응하는 개구로 수납될 수 있다. 그러므로, 제 2 화물 선반(390′)이 중간 레일 부재(440) 상에 설치될 수 있다. 이 제 2 화물 선반(390′)은 상부 레일 또는 상부 섹션(420) 상에 설치된 화물 선반(390′)에 부가될 수 있다. 도 9에 예시된 바와 같이, 지지 부재(400)의 수직 요소(415, 417)는 구멍(435)을 포함하여 상기 선반(390′)이 이 구멍(435)에 상응하는 3 개의 위치 중 어느 하나에 장착될 수 있게 한다. 물론, 모든 구멍(435)은 상부 레일 또는 상부 섹션(420) 상에 설치된 화물 선반(390)에 부가하여 3 개의 화물 선반(390′)까지 지지하도록 사용될 수 있다. 예시된 바와 같이 3 개의 화물 선반(390′)까지 가능한 반면, 화물 선반(390′)의 개수는 차량의 주어진 용도를 위해 하나로부터 어떠한 합리적인 개수까지 달라질 수 있음이 분명하다.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목부(450)가 상기 화물 선반(390′)의 전면부 근처에 형성되며, 이 오목부(450) 중의 하나는 상기 화물 선반(390′)의 각각의 측면에 형성된다. 이 오목부(450)는 상기 지지 부재(400)의 수직 요소(417)의 직경보다 약간 큰 직경을 가지므로, 상기 화물 선반(390′)이 상기 지지 부재(400)를 따라 중간(intermediate)의 높이 중의 하나 또는 모두에 설치될 수 있게 한다. 또한 이 오목부(450)는 화물 선반(390′)이 레일 부재(440) 상에 설치될 때 마스트(30)에 대해 화물 선반(390′)을 적절히 위치시킨다.
또한 상기 수직으로 이동가능한 화물 트레이(90)는 화물 선반(390′)이 차량에 설치되었을 때 상기 마스트(30) 상에 설치될 수 있게 한다. 상기 이동가능한 화물 트레이(90)가 수평이고 그 최상단 위치에 있으면, 이는 최상단 화물 선반(390) 위에 있을 것이다. 또한 이 이동가능한 화물 트레이(90)는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거의 수직인 또는 저장 위치에서 들어올려지거나 집어넣어질 수 있고, 각각의 경우에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지지 부재(400)와 화물 선반(390, 390′)의 이동가능한 화물 트레이(90)와 수직 요소(415) 사이에 충분한 여유가 있게 한다.
제거가능한 화물 트레이 승강기 조립체(520)를 포함하는 실시예가 도 12, 도 12a 및 도 13 내지 도 15에 도시되어 있다. 수평축(500)이 상기 승강기 조립체(520)에 장착된 유지 기구(510; retaining mechanism)로 수납되는 상기 축(500)을 갖는 트레이(90″)에 고정된다. 유지 기구(510)는 상기 승강기 조립체(520)에 용접된 반쪽 또는 부분적인 원통형 부재인 한 쌍의 고정 리셉터클(525; receptacle)을 포함한다. 회전가능한 부재(530)가 상기 고정 리셉터클에 대해 회전하도록 장착되고 축(500)을 수납하기 위해 개방된 도 12 및 도 12a에 도시된 위치로부터 닫히고 축(500)을 감싸는 도 13 내지 도 15에 도시된 위치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핸들(540)을 구비하므로, 상기 승강기 조립체(520)에 대해 고정적으로 상기 축(500)과, 트레이(90″)를 유지한다. 이 실시예에서, 승강기 조립체(520)는 유지 핀(550)을 해제하여 수직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세하게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양호환 실시예를 참조하여, 첨부된 청구범위에 정의된 발명의 범위로부터 벗어남없이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이 명백하다.

Claims (26)

  1. 개인용 운반 차량(10)에 있어서,
    자체 추진식, 조향가능한 본체(20)와,
    상기 본체에 부착되고 상기 본체로부터 상방향으로 연장가능한 마스트(30)와,
    상기 마스트에 부착되는 조정실(40; personnel compartment)과,
    상기 개인용 운반 차량에 의해 운반되는 물건을 지지하기 위해 상기 본체에 장착되는 화물 데크(27)를 포함하는 개인용 운반 차량.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은 상기 마스트(30)에 장착되고 마스트와 함께 이동가능한 화물 트레이(90, 90′, 90″)를 더 포함하는 개인용 운반 차량.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화물 트레이(90, 90′, 90″)는 제거가능하게 장착되는 개인용 운반 차량.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화물 트레이(90′)는 제 1 섹션(90a)과,
    상기 제 1 섹션 위로 접힐 수 있도록 상기 제 1 섹션에 대해 피벗식으로(pivotally) 장착되는 제 2 섹션(90b)을 포함하는 개인용 운반 차량.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화물 트레이는 상기 제 1 섹션(90a)에 대해 피벗식으로 장착된 제 3 섹션(90c)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섹션은 상기 하물 트레이에 대해 중심이고 상기 제 2 및 제 3 섹션(90b, 90c)은 상기 제 1 섹션의 대향 측에 피벗식으로 장착되는 개인용 운반 차량.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화물 트레이(90, 90′, 90″)는 상기 마스트(30)를 따라 수직으로 이동가능한 개인용 운반 차량.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화물 트레이(90, 90′, 90″)는 상기 마스트(30)를 따라 다수의 수직 위치(118) 중의 하나로 수직으로 이동가능한 개인용 운반 차량.
  8.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화물 트레이(90, 90′, 90″)는 상기 마스트(30)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화물 트레이는 상기 화물 트레이를 수직으로 격납하기 위해 상기 마스트를 향해 회전되고 상기 화물 트레이를 전개하기 위해 상기 마스트로부터 실질적으로 수평으로 피벗되는 개인용 운반 차량.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화물 트레이(90, 90′, 90″)는 수직으로 격납되기 위해 상방향으로 회전되는 개인용 운반 차량.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트(30)는 상기 본체(20)의 제 1 단부를 향해 부착되고 상기 화물 데크(27)는 상기 본체의 제 2 단부에 장착되는 개인용 운반 차량.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은 상기 마스트(30) 상에 장착되고 상기 마스트와 함께 이동가능한 상기 화물 트레이(90, 90′, 90″)를 더 포함하는 개인용 운반 차량.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은 상기 화물 데크(27) 상에 지지되고 상기 화물 데크로부터 이격된 하나 이상의 화물 선반(390, 390′)을 더 포함하는 개인용 운반 차량.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화물 데크(27)로부터 상방향으로 연장하는 일반적으로 거꾸로 된 U형상을 갖는 한 쌍의 지지 부재(400)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화물 선반(390, 390′)은 상기 한 쌍의 지지 부재의 닫힌 단부 상에 지지되는 화물 선반(390)을 포함하는 개인용 운반 차량.
  14. 제 13 항에 있어서,
    한 쌍의 수평 레일 부재(440)와, 상기 한 쌍의 지지 부재(400)의 첫 번째의 상방향으로 연장하는 레그(415, 417; leg) 사이로 연장하는 상기 한 쌍의 레일 부재 중의 첫 번째와, 상기 한 쌍의 지지 부재(400)의 두 번째의 상방향으로 연장하는 레그(415, 417; leg) 사이로 연장하는 상기 한 쌍의 레일 부재 중의 두 번째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선반(390, 390′)은 상기 한 쌍의 수평 레일 부재(440) 상에 지지된 보조 화물 선반(390′)을 더 포함하는 개인용 운반 차량.
  15. 개인용 운반 차량에 있어서,
    자체 추진식, 조향가능한 본체(20)와,
    상기 본체에 부착되고 상기 본체의 상방향으로 연장하는 마스트(30)와,
    상기 마스트에 부착되는 조정실(40)과,
    상기 마스트 상에 장착되고 마스트와 함께 이동가능한 화물 트레이(90, 90′, 90″)를 포함하는 개인용 운반 차량.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화물 트레이(90, 90′, 90″)는 제거가능하게 장착되는 개인용 운반 차량.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화물 트레이(90, 90′, 90″)는 상기 마스트(30)를 따라 수직으로 이동가능한 개인용 운반 차량.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화물 트레이(90, 90′, 90″)는 상기 마스트(30)를 따라 다수의 수직 위치(118) 중의 하나로 수직으로 이동가능한 개인용 운반 차량.
  19.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화물 트레이(90, 90′, 90″)는 상기 마스트(30)에 피벗식으로 장착되며, 상기 화물 트레이는 상기 화물 트레이를 수직으로 격납하기 위해 상기 마스트를 향해 피벗되고 상기 화물 트레이를 전개하기 위해 상기 마스트로부터 실질적으로 수평으로 피벗되는 개인용 운반 차량.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화물 트레이(90, 90′, 90″)는 수직으로 격납되기 위해 상방향으로 피벗되는 개인용 운반 차량.
  21. 개인용 운반 차량에 있어서,
    자체 추진식, 조향가능한 본체(20)와,
    상기 본체에 부착되고 상기 본체로부터 상방향으로 연장하는 마스트(30)와,
    상기 마스트에 부착되는 조정실(40)과,
    화물 트레이(90, 90′, 90″)와,
    상기 화물 트레이를 지지하기 위해 상기 마스트에 장착되고 마스트와 함께 이동가능한 기구(110, 120; mechanism)를 포함하고, 상기 기구는
    승강기(120; elevator)와,
    상기 마스트(30) 상에 장착되고 마스트와 함께 이동가능한 부재(110; member)를 포함하고, 상기 승강기는 상기 부재를 따라 이동하기 위해 상기 부재에 장착되고 상기 화물 트레이는 상기 승강기에 장착되는 개인용 운반 차량.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화물 트레이(90, 90′, 90″)는 상기 승강기(120)에 제거가능하게 장착되는 개인용 운반 차량.
  23.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화물 트레이 지지 기구는 상기 부재(110)와 상기 승강기(120) 사이에서 연장하는 하나 이상의 스프링(140)을 더 포함하는 개인용 운반 차량.
  24.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화물 트레이(90, 90′, 90″)는 상기 승강기(120)에 피벗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승강기는 상기 부재(110)를 따른 상기 승강기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피벗되는 개인용 운반 차량.
  25.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기(120)는 상기 트레이(90, 90′, 90″)가 수평일 때 상기 부재(110) 내의 개구(118)와 결합하고 상기 트레이가 해제 위치로 피벗될 때 상기 부재 내의 상기 개구로부터 후퇴되는 화물 트레이 지지 핀(162)을 더 포함하는 개인용 운반 차량.
  26.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부재(110)는 이 부재를 따라 상기 화물 트레이(90, 90′, 90″)에 대해 개구에 상응하는 다수의 위치를 한정하는 다수의 개구(118)를 포함하는 개인용 운반 차량.
KR1020007002050A 1997-09-02 1998-09-01 개인용 운반 차량을 위한 적재 트레이 KR2001002340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5742797P 1997-09-02 1997-09-02
US60/057,427 1997-09-02
PCT/US1998/018151 WO1999011558A1 (en) 1997-09-02 1998-09-01 Load trays for personnel carrying vehicle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23408A true KR20010023408A (ko) 2001-03-26

Family

ID=220105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7002050A KR20010023408A (ko) 1997-09-02 1998-09-01 개인용 운반 차량을 위한 적재 트레이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1009709A1 (ko)
KR (1) KR20010023408A (ko)
AU (1) AU9215298A (ko)
CA (1) CA2302427A1 (ko)
WO (1) WO199901155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TE248761T1 (de) 2000-03-17 2003-09-15 Witron Logistik & Inf Gmbh System zum kommissionieren von in regallagern befindlichen artikeln
DE10013214A1 (de) * 2000-03-17 2001-09-27 Witron Logistik & Inf Gmbh Kommissioniervorrichtung
FR2813546B1 (fr) * 2000-09-07 2003-01-24 Pinguely Haulotte Caisse a outils mobile et adaptee a un travail en hauteur
FR2822145A1 (fr) * 2001-03-19 2002-09-20 Acces Batiment Manutention Ind Nacelle elevatrice avec plate-forme et structure de support de charge associee
DE20209175U1 (de) * 2002-06-13 2002-10-10 Langen Manfred Palettiergerät
GB0330005D0 (en) * 2003-12-23 2004-01-28 Adams William M Lifting and moving apparatus
DE102006025934A1 (de) 2006-06-02 2007-12-06 Dematic Gmbh & Co. Kg Verfahren zum Kommissionieren von Artikeln in einem Kommissioniersystem und eine Zwischenlagervorrichtung mit Aufnahmeplätzen
EP1967468A1 (en) * 2007-03-06 2008-09-10 CPH Design A/S A cart having a conveyor for containers
ES2368051B1 (es) * 2009-02-02 2013-01-23 Alfredo Vallés Navarro Perfeccionamientos en las columnas verticales de los travelling utilizados en los equipos de filmación.
FR2955571B1 (fr) * 2010-01-26 2012-04-27 Haulotte Group Preparateur de commande
US11046564B2 (en) 2015-11-09 2021-06-29 Crown Equipment Corporation Order picker materials handling vehicle with improved downward visibility when driving elevated
KR20230021008A (ko) 2020-06-05 2023-02-13 크라운 이큅먼트 코포레이션 자재 취급 차량을 위한 조작자 제어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35294A (en) * 1933-12-15 1936-03-24 Nolan S Black Portable hoisting machine
US2938595A (en) * 1957-10-11 1960-05-31 Norman H Miller Multiple lift
GB885824A (en) * 1959-05-01 1961-12-28 Leonard Evans A platform lift
US3236329A (en) * 1962-07-10 1966-02-22 John M Sorenson Means for transporting and positioning a worker
GB1358384A (en) * 1972-05-25 1974-07-03 Purser B Lifting apparatus
US5273132A (en) * 1992-02-28 1993-12-28 Kabushiki Kaishi Aichi Corporation Compact aerial lift vehicle with a vertically movable platform
EP1012104B1 (en) * 1996-09-09 2005-11-23 Crown Equipment Corporation Personnel carrying vehic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009709A1 (en) 2000-06-21
CA2302427A1 (en) 1999-03-11
WO1999011558A1 (en) 1999-03-11
AU9215298A (en) 1999-03-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74124B1 (en) Load trays for personnel carrying vehicles
US7938412B2 (en) Transportable containers
US5195726A (en) Portable luggage carrier
US4174021A (en) Ladder truck
CN113498402B (zh) 用于车辆高空作业平台的通道甲板组件和把手组件
US9108831B2 (en) Order picker
US5927745A (en) Foldable utility cart
US6971654B2 (en) Compact collapsible cart with vertical lift
KR20010023408A (ko) 개인용 운반 차량을 위한 적재 트레이
US5570988A (en) Cart carrying device
US8162190B2 (en) Ergonomic lift mechanism for a truck box
US8353524B2 (en) Wheeled cart slidable onto horizontal surface
US20060280583A1 (en) Top rack with side load descent mechanism
US20090155033A1 (en) Multi-purpose transport vehicle
US4878800A (en) Portable unloading platform and ramp
US20030197351A1 (en) Work assist accessory for pallet trucks and pallet trucks including work assist features
US20100059947A1 (en) Combination Cart and Safety Ladder
US6543601B2 (en) Unloading apparatus
US4105218A (en) Portable pallet carriers
JP3172905B2 (ja) カート
NL1023396C2 (nl) Lastdrager.
KR20200026737A (ko) 릴용 손수레
PT1479643E (pt) Aparelho de elevação e de manutenção
MXPA00001999A (en) Load trays for personnel carrying vehicles
GB2044186A (en) Stock-carrying truc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