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21547A - 서보브레이크용 센서 어셈블리 및 그러한 센서 어셈블리와끼워맞춤된 서보브레이크 - Google Patents

서보브레이크용 센서 어셈블리 및 그러한 센서 어셈블리와끼워맞춤된 서보브레이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21547A
KR20010021547A KR1020007000105A KR20007000105A KR20010021547A KR 20010021547 A KR20010021547 A KR 20010021547A KR 1020007000105 A KR1020007000105 A KR 1020007000105A KR 20007000105 A KR20007000105 A KR 20007000105A KR 20010021547 A KR20010021547 A KR 200100215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ke booster
sensor assembly
housing
sensor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70001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길레스레오
Original Assignee
안네트 제랄드 아서
루카스 인더스트리즈 퍼블릭 리미티드 컴퍼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7835025&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010021547(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안네트 제랄드 아서, 루카스 인더스트리즈 퍼블릭 리미티드 컴퍼니 filed Critical 안네트 제랄드 아서
Publication of KR200100215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21547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7/00Brake-action initiating means
    • B60T7/12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automatic initiation; for initiation not subject to will of driver or passeng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3/0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 B60T13/1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fluid assistance, drive, or release
    • B60T13/66Electrical control in fluid-pressure brake systems
    • B60T13/72Electrical control in fluid-pressure brake systems in vacuum systems or vacuum booster un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raking Systems And Boosters (AREA)
  • Valves And Accessory Devices For Braking Systems (AREA)
  • Measuring Fluid Pressure (AREA)

Abstract

진공 브레이크 부스터(10)용 센서 어셈블리는 브레이크 부스터 하우징(12)의 외부에 배열되어 있는 하우징(48)을 포함하고 있고, 그 내측에는 차압 센서(56)가 위치되어 있다. 브레이크 부스터(10)의 작업실(16')과 차압 센서(56)를 연결하기 위하여, 하우징(48)은 센서 어셈블리(46)로부터 상기 브레이크 부스터(10)의 작업실(16')로 연장되어 있는 제 1 공기 관(50)을 구비하고 있다. 더욱, 상기 센서 어셈블리(46)는 상기 진공실(18')과 상기 차압 센서(56)를 연결하기 위하여 상기 브레이크 부스터(10)의 진공실(18')내로 연장되어 있는 제 2 공기 관(52)을 구비하고 있다. 또 다른 센서를 위한 플러그-타입 또는 소켓-타입 연결기(64)는 특히 상기 공기 관(50,52)에 대향되는 센서 어셈블리(46)의 측면상에 제공되어 있다.

Description

서보브레이크용 센서 어셈블리 및 그러한 센서 어셈블리와 끼워맞춤된 서보브레이크{SENSOR ASSEMBLY FOR SERVOBRAKE AND SERVOBRAKE FITTED WITH SUCH SENSOR ASSEMBLY}
전자기 작동 유니트를 갖춘 진공 브레이크 부스터들은 예를 들면 독일 40 28 290 C1에 공지되어 있다. 언급된 타입의 브레이크 부스터들은, 차량 운전자에 의한 정상적인 다리 힘 비율 작동에 추가적으로 또는 선택적으로, 브레이크 부스터를 제어함으로서 차량 브레이크 시스템을 작동시키기 위하여, 전자기 작동 유니트를 갖추고 있다. 이 같은 방식으로, 한편으로는, 완전 자동 브레이킹 작동은, 즉, 운전자에 의한 어떠한 간섭없는 브레이킹 작동, 실현 될 수 있고, 그리고 다른 한편으로 운전자에 의해서 시작되는 브레이킹 작동은 조력될 수 있는데, 그것은 특정 상황에서, 예를 들면, 충돌을 방지하기 위한 긴급 브레이킹 작동에서, 유리하다. 브레이킹 거리가 불필요하게 연장될 수 있도록 대다수의 운전자들은 위험한 상황에서 충분히 강하게 브레이크 페달을 누르지 않는 것으로 조사 결과 나타났다. 어떤 경우에는, 상기 전자기 작동 유니트는, 예를 들면, 운전자의 다리 작동력과 관계없이 브레이크 부스터를 완전히 작동시키는, 가능성을 제공하여 최대 가능 브레이크 부스트(소위 브레이킹 보조)를 제공한다. 이런 류의 해결책들은 차량 생산에 이미 사용된다.
브레이킹 작동이 긴급 브레이킹이어서 브레이크 부스터의 전자기 작동 유니트가 작동되는 가의 여부를 검출하기 위하여, 뿐만 아니라, 예를 들면 차량과 차량의 거리 제어 시스템과 협력하는, 완전한 자동 브레이킹 작동의 실현을 위하여, 원하는 방식으로 전자기 작동 유니트를 제어하기 위하여 브레이크 부스터 및/또는 그와 함께 연결되어 있는 마스터 실린더의 특정 변수들을 처리하는 전자 제어기에 일반적으로 제공되어 있는 브레이크 부스터내의 현재 보편화되어 있는 압력 조건들을 아는 것이 필요하다. 그러한 제어기는 일반적으로 브레이크 부스터로부터 이격되어 배열되어서 전기 선들을 통해서 브레이크 부스터에 전기 연결되어서 호스들 또는 튜브들을 통해서 브레이크 부스터와 유체 연결되어 있다. EP 0 306 721 B1은 브레이크 부스터의 하우징내에 제어기를 수용하는 것을 제안하고 있다. 그러나, 그러한 해결책은 특별히 설계된 브레이크 부스터 하우징을 필요로하여서 서로 다른 브레이크 부스터들의 효율적인 일련의 생산을 저해한다.
진공 브레이크 부스터내에서의 현재 보편적인 압력 조건들을 아는 것은 다른 이유들때문에, 전자적으로 작동될 수 없는 진공 브레이크 부스터에 바람직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전자기적으로 작동될 수 있도록 특히 적합되어 있는 진공 브레이크 부스터용 센서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고, 그리고 그러한 센서 어셈블리를 갖춘 진공 브레이크 부스터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마스터 실린더에 플랜지-연결되어 있는, 본 발명에 의한 센서 어셈블리를 구비한 진공 브레이크 부스터를 통과하는 길이방향 단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2는 확대된 상태로 센서 어셈블리에 대한 도 1의 영역을 도시하고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센서 어셈블리의 수정된 실시 예를 구비한 진공 브레이크 부스터를 통과하는 길이방향 단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센서 어셈블리의 또 다른 수정된 실시 예를 구비한 전자기적으로 작동할 수 있는 진공 브레이크 부스터를 통과하는 길이 방향 단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구조적 형상이 가능한 한 소형이고 진공 브레이크 부스터로의 기능적 그리고 전기적 연결이 용이하게 되는 진공 브레이크 부스터용 센서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목적에 근거를 두고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목적은 청구항 1에 명기된 특징들을 구비한 센서 어셈블리에 의해서 해결된다. 본 발명에 의한 센서 어셈블리는, 브레이크 부스터에서 현재 보편적인 압력 조건들의 결정을 위해서 필요한, 전체 센서 시스템 및 센서 연결 기술이 상기 센서 어셈블리가 브레이크 부스터에 가장 쉽게 직접적으로 프랜지-장착될 수 있도록 센서 어셈블리내에서 통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센서 어셈블리의 직접적 플랜지-장착은 장착하기 쉬울뿐만 아니라 추가로 공간을 절약하고 전기선의 짧은 연결 경로 및 확실한 유체 연결을 가져온다. 본 발명에 의한 센서 어셈블리는, 상기 센서 어셈블리내에 통합될 수 있는 제어기에 연결될때, 그 차압 센서 및 두 개의 공기 관에 의해서 상기 브레이크 부스터의 벽들 또는 벽들 중 하나에서 현재 보편적인 압력 차이를 결정하여 그로부터 현재 효과적인 브레이크 부스터를 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센서 어셈블리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서, 두 개의 공기 관들은 단단하다. 그러한 실시 예에서, 센서 어셈블리는 두 개의 공기 관에 의해서 브레이크 부스터에 기능적으로 그리고 기구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제 1 및/또는 제 2 공기 관들은, 전체적인 미리-조립된 센서 어셈블리가 한 번의 작동으로 브레이크 부스터에 연결될 수 있도록 센서 어셈블리의 하우징에 바람직하게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언급된 일체형 형상은, 센서 어셈블리의 하우징이 공기 관들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플라스틱으로 사출 성형된 부분인 경우 특히 잘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 차압 센서용 유지 아암들은 센서 어셈블리의 하우징내에 제공되어 있는데, 이는 제조의 관점에서 바람직한 형상에 따라서 하우징 및/또는 공기 관들과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장착하는 동안, 차압 센서는 또 다른 조절 작동을 요구하지 않고 센서 어셈블리와 단단하게 잠금 상태에 있을수 있도록 상기 유지 아암과 잠긴다.
본 발명에 의한 센서 어셈블리의 일 실시 예에 따라서 두 개의 공기 관들은 다른 것의 내측에 있는 하나로 배열되어 있다. 예를 들면, 제 2 공기 관은 상기 제 1 관을 동축으로 둘러싸고 있다. 본 실시 예는 공간 절약형이고 두 개의 공기 관용 브레이크 부스터 하우징내의 단지 하나의 통로를 필요로한다.
공기 관들은, 특히 원주 형태의, 잠금 돌출부에 의해서, 브레이크 부스터 하우징과 잠겨질 수 있도록 바람직하게 적합되어 있다. 상기 공기 관들은 그것들이 잠금 맞물림 할 때까지, 그 역시 그 자체의 센서 어셈블리를 고정하는, 브레이크 부스터 하우징속으로 단순히 삽입되기 때문에, 이는 브레이크 부스터에서의 센서 어셈블리의 간단하고 단단한 장착을 가능하게 한다.
브레이크 부스터의 작업실내까지 연장되어 있는 제 1 공기 관은 상기 작업실과 마주보고 있는 그 단부 섹션내에 제공되어 있고, 개구들은 관벽을 관통하는 상태에 있는데, 이는 제 1 공기 관을 갖춘 작업실의 유체 연결부를 제공한다. 브레이크 부스터의 작업실과 상기 센서 어셈블리내의 차압 센서사이에 유체 연결을 제공하는 주된 목적을 제외하고는, 제 1 공기 관이 브레이크 부스터를 통해서 전자기 작동 유니트로, 센서 어셈블리 또는 제어기로부터 각각 공간 절약 방식으로 루트가 정해질 수 있는 전기선들을 수용할 수 있도록, 상기 형상은, 예를 들면, 브레이크 부스터 하우징을 통과하는 탄성 벨로우즈에 의해서, 제 1 관을 계속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바람직하게, 제 1 공기 관은 언급된 전기 연결 선들에 적합한 공간을 제공할 수 있도록 치수가 정해져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센서 어셈블리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라서, 또 다른 센서용의 플러그-타입 또는 소켓-타입 연결기는 동일한 하우징에 제공되어 있다. 이 같은 방식으로, 예를 들면, 유압 센서는 쉽게 연결될 수 있는데, 이는 제어기의 또 다른 변수로서 유압 차량 브레이크 시스템의 하나 이상의 브레이크 회로로 유압을 공급한다. 따라서, 전자기적으로 제어된 브레이크 부스터의 작동 작용을 향상시켜서 더욱 더 안락한 작동 성능을 얻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센서 어셈블리를 구비한 브레이크 부스터에서, 상기 센서 어셈블리는, 제 2 공기 관(두 개의 공기 관들로 이루어진 동축의 배열을 가지고 있는)의 외부 표면 상에 또는 양 공기 관들의 외부 표면상에 원주적으로 형성된 하나 또는 다수의 잠금 돌출부들에 의해서 브레이크 부스터에 바랍직하게 고정되어 있고, 상기 잠금 돌출부들은 상기 브레이크 부스터 하우징의 내측에 있는 고무 슬리브뒤에 밀봉적으로 잠겨있다. 상기 고무 슬리브들은, 공기 관(들)의 통로에 제공되어야 하는, 브레이크 부스터 하우징 벽내의 상기 통로들내에 끼워맞춤되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센서 어셈블리를 구비한 그러한 브레이크 부스터로 이루어진 바람직한 실시 예에서, 상기 센서 어셈블리는 그 플러그-타입 또는 소켓-타입 연결기에서 압력 센서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압력 센서는 V-형상의 각진 센서 하우징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V-형상 센서 하우징의 하나의 다리의 자유 단부는 센서 어셈블리의 플러그-타입 또는 소켓-타입의 연결기에 대응하는 연결기로서 설계되어 있고, 반면에, V-형상 센서 하우징의 다른 다리의 자유 단부는 마스터 실린더와의 유체 연결을 위한 연결기를 포함하고 있다. 그러한 형상을 가지고서, 유압 센서는 마스터 실린더 하우징에서 미리 조립될 수 있고, 마스터 실린더 및 브레이크 부스터를 결합시키자 마자, 유압 센서의 전기 연결기는 자동적으로 브레이크 부스터에 이미 결합된 센서 어셈블리의 플러그-타입 또는 소켓-타입의 연결기와 잠긴다. 이 같은 방식으로 이루어진 센서 어셈블리와 유압 센서의 전기적 연결은, 언급된 연결의 부지불식간의 해제가 신뢰할 수 있게 방지될 수 있도록 마스터 실린더와 브레이크 부스터가 다시한번 해제될 경우에만 해제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센서 어셈블리의 여러 실시 예들과 그를 구비한 브레이크 부스터를 도면들을 참조하여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전체적인 배치도로서 차량의 유압 브레이크 시스템에 적합한 플랜지-장착 마스터 실린더(11)와 함께 전자적으로 제어되는 진공 브레이크 부스터(10)의 일 실시 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시된 예에서, 상기 브레이크 부스터(10)는 소위 탠덤 브레이크 부스터로 설계되어 있는데, 즉, 브레이크 부스터 하우징(12)의 내부 공간을 두 개의 작업실(16,16') 및 두 개의 진공 실(18,18')로 각각 분할하는 두 개의 가동성 벽(14,14')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두 개의 진공 실(18,18')들은 여기에서 도시되지 않은 진공 원과, 예를 들면 연소 기관의 흡기 시스템과, 영구적으로 연결되어 있고, 반면에 두 개의 작업 실(16,16')들은 하우징(22)을 구비한 제어 밸브(20)에 의해서 진공 또는 대기압이상으로 선택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어 밸브(20)는, 예를 들면, 여기에서 도시되지 않고 힘 입력 봉(24)과 연결되어 있는 브레이크 페달을 통해서, 운전자의 다리 힘을 제어 밸브(20)로 인가함으로서 차량 운전장에 의해서 직접적으로 작동될 수 있거나, 전자기 작동 유니트(26)에 의해서 다리 힘과 관계없이 작동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위해서 전자기 작동 유니트(26)는, 도 1의 우측면상에서, 탄성 밀봉 요소(34)와 밀봉적으로 협력하는 제 1 원형 밸브 안착대(32)가 형성되어 있는 우측 단부(도1)에서 슬리브(30)와 단단히 결합되어 있는, 실질적으로 중공인 원통형 마그넷 아마추어(28)를 구비하고 있다. 전자기 작동 유니트(26)의 솔레노이드 코일(36)의 여자 정도에 따라서, 상기 마그넷 아마추어(28)는 도 1을 기준으로 좌측으로 더 큰 또는 적은 거리로 이동하여서 작업실(16)로의 대기압의 제어된 공급이 가능하도록 상기 제 1 밸브 안착대(32)를 밀봉 요소(34)로부터 들어올린다.
만약 작업실(16,16')들이 상기 제어 밸브(20)의 함수에 의해서 대기압(또는 대기압위)에 연결되는 경우, 상기 두 개의 이동 가능한 벽(14,14')은 상기 벽들에서 증강되는 압력 차이때문에 도 1을 기준으로 좌측으로 이동하여 힘을 브레이크 부스터(10)의 하류로 기능적으로 배열되어 있는 마스터 실린더(11)내로 반작용 피스톤(38)을 통해서 전달하여서, 그 결과로서, 대응하는 브레이크 압력은 주 피스톤(40) 및 마스터 실린더 하우징의 홀(44)내에 배열되어 있는 보조 피스톤(42)에 의해서 마스터 실린더(11)내에서 증강된다. 이는, 더 이상의 설명이 필요하지 않도록 일반적으로 당업자에게 공지된 것과 같은, 제어 밸브(20) 및 그에 연결되어 있는 마스터 실린더(11)를 구비한 브레이크 부스터(10)의 일반적인 함수이다.
전자기 작동 유니트(26)를 제어할 목적으로, 상기 유니트는 전자 제어기를 통해서 센서 어셈블리(46)에 연결되어 있다. 도 1 및 도 2에 따라서, 상기 전자 제어기는 센서 어셈블리(46)로 통합되어 제어 밸브(20)를 그리고 어떠한 다리 힘이 없이 완전히 센서 어셈블리(46)로부터 신호들의 함수로서 또는 역시 운전자의 다리 힘이 보조되는 방식으로 브레이크 부스터(10)를 작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그러한 어셈블리를 갖는 자동 차량 브레이킹 작동들을 실현하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
도 2에서 더 잘 볼수 있는 센서 어셈블리(46)는 제 1 관형 공기 관(50) 및 제 2 공기 관(52)으로 일체화되어 형성된 플라스틱 사출 성형에 의해서 제조된 하우징(48)을 구비하고 있고, 이는 또한 관형이며 상기 제 1 관에 평행하게 연장되어 있다. 둘다 실질적으로 단단한 두 개의 공기 관(50,52)들이 선택되었다. 상기 제 1 공기 관(50)은 상기 브레이크 부스터 하우징(12)의 외측에 위치되어 있는 센서 어셈블리(46)로부터 작업실(16')의 내측까지 브레이크 부스터 하우징(12)내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상기 제 2 공기 관(52)은 또한 상기 센서 어셈블리(46)로부터 상기 브레이크 부스터 하우징(12)의 내측으로 연장되어 있지만, 상기 제 2 공기 관(52)은 작업실(16')과 함께 작동하는 진공 실(18')내에서 이미 종결한다.
차압 센서(56)는 상기 센서 어셈블리(46)의 하우징(48)내의 전자판(54)상에 장착되어 있다. 상기 제 1 공기 관(50)은, 작업실(16')과 상기 작업실을 마주보고 있는 그 단부 섹션내에 위치되어 있는 반경 방향의 개구(58) 및 상기 하우징내에 배열된 작은 연결 관(60)사이에 유체 연결을 제공한다. 상기 제 1 공기 관(50)이 연장되는 이동가능한 벽(14')은 제 1 공기 관(50)(도 2참조)의 외부 표면상의 (57)에서 밀봉되어서 제 1 공기 관(50)을 따라서 활주할 수 있다. 대응적으로, 제 2 공기 관(52)은 진공실(18') 및 상기 진공실(18')내의 그 단부 측면 개구를 통해서 상기 센서 어셈블리(46)내의 차압 센서(56) 및 작은 연결 관(62)사이에 유체 연결을 제공한다. 따라서, 상기 센서 어셈블리(46)는 이동가능한 벽(14')에서 현재 보편적인 차압을 감지하여, 예를 들면, 전자판(54)상에서 칩으로서 제공될 수 있는 제어기(미 도시)에 의해서 그로부터 현재 효과적인 브레이크 부스트를 계산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도시된 실시 예에서, 상기 마스터 실린더(11)의 주 브레이크 회로내에서 현재 보편적인 유압은 센서 어셈블리(46)에 대한 또 다른 변수로서 공급되어 있다. 상기 목적을 위하여, 두 개의 공기 관(50,52)에 대향되는 그 측부에 있는, 상기 센서 어셈블리(46)는 유압 센서(66)의 V형상의 하우징(70)의 하나의 다리(68)의 자유 단부에 위치되어 있는 유압 센서(66)의 대응적인 플러그-타입으로 형성된 연결기가 잠겨지는 소켓-타입의 전자 연결기(64)를 포함하고 있다. 하우징(70)의 다른 다리(72)의 자유 단부에 있는, 유압 센서(66)는 유압액을 담고 있는, 주 브레이크 회로의 압력실(76)과 압력-기밀 유체 연결을 위한 연결기(74)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압력실(76)내의 유압액은 브레이크 부스터(10)가 작동하자마자 주 피스톤(40)에 의해서 가압된다.
유압 센서(66)는 압력실(76)내에서 보편적인 유압을 감지하여 그것을 연결기(64)를 통해서 센서 어셈블리(46)로 공급되는 대응 전기 신호로 전환시킨다. 이 같은 방식으로, 상기 센서 어셈블리(46)내에 포함되어 있는 마이크로컴퓨터는 보편적인 유압의 함수로서 브레이크 부스터(10)의 부스트율을 제어하여, 편안한 상태로서 경험되는, 전체 브레이크 부스터/마스터 실린더 유니트의 응답 및 작동 작용을 보장한다.
센서 어셈블리(46)를 브레이크 부스터(10)에서 부착하기 위하여, 상기 공기 관(50,52)들은, 센서 어셈블리(46)가 장착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브레이크 부스터 하우징(12)내측에 위치되어 있는 각각의 영역내에 하나의 원주 잠금 돌출부(78,78')를 포함하고 있다. 이 같은 방식으로, 상기 센서 어셈블리(46)는 브레이크 부스터 하우징(12)의 벽내에 제공되어 있는 두 개의 통로(80,80')내로 그것을 단순히 삽입함으로서 브레이크 부스터(10)에서 고정될 수 있다. 상기 통로(80,80')의 압력-밀봉을 위하여, 각각의 환형 고무 슬리브(82,82')는 상기 통로(80,80')에 각각 끼워맞춤되는데, 그를 통해서 인접 공기 관(50,52)은 루트가 정해진다. 공기 관(50 또는 52)의 외경 각각이 상기 고무 슬리브(82,82')내의 대응 개부의 직경보다 더 크다는 사실때문에, 각각의 고무 슬리브(82,82')는 공기 관에 대향해서 뿐만 아니라 브레이크 부스터 하우징(12)의 벽에 대향하여 신뢰할 수 있는 밀봉을 제공한다. 상기 잠금 돌출부(78,78')들은 그렇게 형성되어서 그것들은 결합된 고무 슬리브(82,82')를 통해서 삽입 방향으로 눌려진 다음 상기 센서 어셈블리(46)가 상기 고무 슬리브(82,82')를 파괴하지 않고 상기 브레이크 부스터 하우징(12)으로부터 분리될 수 없도록 동일하게 뒷쪽에 잠긴다. 결과적으로, 상기 센서 어셈블리(46)는 두 개의 공기 관(50,52)에 의해서 기구적 그리고 기능적으로 상기 브레이크 부스터(10)와 연결된다.
예시된 실시 예에서, 제 1 공기 관(50)은 상기 센서 어셈블리(46)와 작업실(16')사이의 유체 연결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그 내측에 둘러싸여 있는 각각의 센서 어셈블리(46) 또는 제어기로부터 브레이크 부스터(10)의 전자기 작동 유니트(26)로 이끌어지는 전기 연결 선(84)을 수용하는 기능을 갖는다. 상기 목적을 위하여, 제 1 공기 관(50)은 상기 공기 관(50)상에 그리고 상기 브레이크 부스터 하우징(12)의 중간 벽(13)에 대향되어 밀봉적으로 부착되어 있는 좌측 단부로 탄성 벨로우즈(86)에 의해서 연장되어 있고, 그것의 대향되는 다른 단부는 상기 브레이크 부스터(10)의 이동 가능한 벽(14)에 밀봉적으로 부착되어 있다. 이동 가능한 벽(14)내로 끼워맞춤되는 탄성 재료로 이루어진 플러그(88)는 제 1 공기 관 단부 측면을 밀봉하여, 상기 연결 선(84)들을 밀봉적으로 에워싸서 그것들을 제 1 공기 관(50)의 밖으로 안내한다. 제 1 공기 관(50)의 직경은, 그 내부에서 연결 라인(84)들에 의해서 야기되는 자유 횡 단면의 감소가 상기 공기 관(50)을 통과하는 가스 교환을 방해하지 않도록 충분히 크게 선택된다.
브레이크 부스터(10) 및 마스터 실린더(11)를 결합하는 관점에서, 유압 센서(66)의 V 형상의 하우징(70)은, 유압 센서(66)가 상기 결합이전에 이미 그 연결기(74)를 통해서 상기 마스터 실린더(11)에 부착될 수 있고, 마스터 실린더(11) 및 브레이크 부스터(10)를 결합하자마자, 상기 센서(66)의 전기 연결이 상기 센서 어셈블리(46)의 소켓-타입 연결기(64)와 쉽게 잠겨진다는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상기 브레이크 부스터(10) 및 마스터 실린더(11)의 결합 상태에서, 상기 V형상의 하우징(70)은 센서 어셈블리(46)에 있는 유압 센서(66)의 전기적 연결이 부지불식간 해제될 수 없다는 점에서 또 다른 장점을 가지고 있다.
남아있는 차량의 전기 및 전자 시스템을 구비한 상기 센서 어셈블리(46)으 전기적 연결을 위하여, 중앙 플러그(90)는 상기 센서 어셈블리(46)의 하우징의 바닥에 제공되어 있다.
도 3 및 도 4는 센서 어셈블리(46)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보여주고 있는데, 도 3은 전자기 작동없이 텐덤 진공 브레이크 부스터내에 장착된 센서 어셈블리(46)의 제 2 실시 예를 도시하고 있고, 도 4는 전자기 작동으로 텐덤 진공 브레이크 부스터내에 장착되어 있는 센서 어셈블리(46)의 제 3 실시 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3에 도시된 센서 어셈블리(46)는 플라스틱 사출 성형 방법에 의해서 제조된 시스템 케리어(92)를 구비하고 있는데, 이는 공기 관(50), 후자내에 배열되어 있는 제 2 공기 관(52), 상기 시스템 케리어(92)와 함께 일체로 형성된 유지 아암(94) 및 상기 센서 어셈블리(46)의 하우징(48)의 후방 벽(96)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차압 센서(56)는 그것이 센서 어셈블리(46)내에 위치적으로 정확하게 그리고 단단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유지 아암(94)와 잠길수 있도록 연결되어 있다. 상기 시스템 케리어(92)에 역시 부착되어 있는 플러그 접촉부(90')는 상기 센서 어셈블리(46)내의 차압 센서(56)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서 여기에서 도시되지 않은 전자 제어기와 상기 센서 어셈블리(46)를 연결하는 역활을 한다. 상기 후방 벽(96)에 부착되어 있는 캡(98)은 상기 센서 어셈블리(46)의 하우징의 제 2 부분을 형성한다.
도 4에 도시된 센서 어셈블리(46)의 제 3 실시 예는 서로 다르게 형성된 시스템 케리어(92')에 의해서 도 3에 도시된 제 2 실시 예와 다르다. 제 2 실시 예와 유사하게, 상기 시스템 케리어(92')는 제 2 공기 관(52) 및 그 내측에 배열된 제 1 공기 관을 포함하고 있다. 그러나, 제 3 실시 예의 차압 센서는 두 개의 압력 센서(56a,56b)로 분할되고, 상기 압력 센서(56a)는 제 1 공기 관(50)과 유체 연결되어 있고 상기 압력 센서(56b)는 제 2 공기 관(52)과 유체 연결되어 있다. 제 2 실시 예에서 처럼, 상기 두 개의 압력 센서(56a,56b)는 상기 유지 아암(94)에 의해서 상기 시스템 케리어(92')와 맞물려 잠겨있다.
도 4에 의하면, 상기 전기 연결 선(84)은 상기 전자기 작동 유니트(26)로 제 2 공기 관(52)을 통해서 연장되어 있다. 상기 연결 선(84)은 두 개의 플러그 접촉부(90')이외에 제공된 플러그(90')내의 센서 어셈블리(46)내에서 종결한다.

Claims (15)

  1. 하나 이상의 진공실(18 또는 18')을 구비한 브레이크 부스터 하우징(12) 및 이동가능한 벽(14,14')에 의해서 그로부터 분리되어 진공 또는 적어도 대기압에 선택적으로 적합되어 있는 하나의 작업실(16,16')을 포함하고 있는 진공 브레이크 부스터(10)용 센서 어셈블리(46)로서,
    상기 센서 어셈블리(46)는:
    브레이크 부스터 하우징(12)의 외측에 배열되어 있는 하우징(48);
    상기 하우징(48)내에 배열되어 있는 차압 센서(56);
    상기 차압 센서(56)에 연결되어 있는 제 1 공기 관(50)으로서, 그 길이는 상기 센서 어셈블리(46)로부터 상기 브레이크 부스터(10)의 작업실(16 또는 16')내까지 연장되기에 충분한 제 1 공기 관(50);
    차압 센서(56)에 연결되어 있는 제 2 공기 관(52)으로서, 그 길이는 상기 센서 어셈블리(46)로부터 브레이크 부스터(10)의 진공실(18 또는 18')내까지 연장되기에 충분한 제 2 공기관(52)을 포함하고 있고,
    상기 센서 어셈블리(46)의 하우징(48)은 두 개의 공기 관(50,52)를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브레이크 부스터용 센서 어셈블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두 개의 공기 관(50,52)은 단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브레이크 부스터용 센서 어셈블리.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제 1 및/또는 제 2 공기 관(50,52)는 상기 하우징(48)과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브레이크 부스터용 센서 어셈블리.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차압 센서(56)용 유지 아암(94)은 하우징(48)내에 제공되어 있고, 이는 상기 하우징(48) 및/또는 공기 아암(50,52)과 바람직하게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브레이크 부스터용 센서 어셈블리.
  5. 선행 청구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두 개의 공기 관(50,52)들은 서로 내측에 하나로 배열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브레이크 부스터용 센서 어셈블리.
  6. 제 5 항에 있어서,
    하나의 공기 관(50 또는 52)은 다른 공기 관(50 또는 52)을 동축으로 에워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브레이크 부스터용 센서 어셈블리.
  7. 선행 청구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관(50,52)들은 바람직하게 원형인 잠금 돌출부(78)에 의해서 상기 브레이크 부스터 하우징(12)내에 잠겨질 수 있도록 적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브레이크 부스터용 센서 어셈블리.
  8. 선행 청구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공기 관(50)에는 작업실을 마주보고 있는 그 단부 섹션내에 반경 방향의 개구(58)가 제공되어 있고, 이는 제 1 공기 관(50)을 구비한 작업실(16 또는 16')의 유체 연결에 적합한 관 벽을 관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브레이크 부스터용 센서 어셈블리.
  9. 선행 청구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두 개의 공기 관(50,52) 중 하나 이상은, 센서 어셈블리(46)로부터 상기 브레이크 부스터(10)의 전자기 작동 유니트(26)로 안내하는 연결 선(84)을 수용할 수 있도록 치수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브레이크 부스터용 센서 어셈블리.
  10. 선행 청구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플러그-타입 또는 소켓-타입으로 형성된 연결기(64)는, 또 다른 센서, 특히, 상기 공기 관(50,52)에 대향되는, 센서 어셈블리(46)의 측면상에 있는 바람직하게는 압력 센서(66)를 위하여 제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브레이크 부스터용 센서 어셈블리.
  11. 선행 청구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전자기 제어기는 상기 하우징(48)내에 배열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브레이크 부스터용 센서 어셈블리.
  12. 전자기 작동 유니트(26) 및 하나 이상의 진공실(18,18') 및 이동 가능한 벽(14,14')에 의해서 그로부터 분리되어 진공 또는 적어도 대기압에 선택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하나의 작업실(16 또는 16')을 포함하고 있는 브레이크 부스터 하우징(12)을 구비한 진공 브레이크 부스터(10)로서,
    청구항 1 내지 7 중 어느 하나에 의한 센서 어셈블리를 특징으로 하는데, 이는 브레이크 부스터 하우징(12)의 벽을 관통하는 두 개의 공기 관(50,52)의 수단에 의해서 브레이크 부스터(10)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브레이크 부스터.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어셈블리(46)는, 상기 공기 관(52) 또는 상기 공기 관들(50,52)의 외부 표면상에 원주적으로 형성되어 있고, 고무 슬리브(82,82')뒤의 브레이크 부스터 하우징(12)과 밀봉적으로 맞물려있으며, 상기 브레이크 부스터 하우징 벽내에 형성되어 있는 공기 관(50,52)에 적합한 통로(80,80')내에 끼워맞춤되는 하나 또는 다수의 돌출부(78,78')에 의해서 브레이크 부스터(10)에서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브레이크 부스터.
  14. 제 12 항 또는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실(16,16')내에 배열되어 있는 제 1 공기 관(50)의 단부 섹션은, 상기 작업실(16 또는 16')과 제 1 공기 관(50)사이에 유체 연결을 제공하는, 관 벽을 관통하는 개구(58)들을 포함하고 있고, 제 1 공기 관(50)은 탄성 벨로우즈(86)에 의해서 계속되고, 그것의 일단부는 제 1 공기 관(50)의 자유 단부에 밀봉적으로 부착되어 있고, 그것의 다른 단부는 상기 센서 어셈블리(46)로부터 그리고 그에 대향되어 이격되어 있는 상기 브레이크 부스터 하우징(12)의 벽에 밀봉적으로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브레이크 부스터.
  15. 제 12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는 한 항에 있어서,
    V형상의 각진 센서 하우징(70)을 구비한 압력 센서(66)는 상기 센서 어셈블리(46)의 또 다른 센서에 적합한 플러그-타입 또는 소켓-타입 연결기(64)에 의해서 연결되어 있고, 압력 센서(66)는, V형상의 센서 하우징(70)의 하나의 다리(68)의 자유 단부에 있는, 상기 센서 어셈블리(46)의 플러그-타입 또는 소켓-타입 연결기(64)에 대응하는 연결기 및 상기 V 형상의 센서 하우징(70)의 다른 다리(72)의 자유 단부에 있는, 마스터 실린더(11)와 유체 연결하기 위한 연결기(74)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징으로 하는 진공 브레이크 부스터.
KR1020007000105A 1997-07-08 1998-07-08 서보브레이크용 센서 어셈블리 및 그러한 센서 어셈블리와끼워맞춤된 서보브레이크 KR2001002154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9729158.9 1997-07-08
DE19729158A DE19729158C1 (de) 1997-07-08 1997-07-08 Bremskraftverstärker-Steuergerät und damit ausgerüsteter Bremskraftverstärker
PCT/EP1998/004250 WO1999002385A1 (de) 1997-07-08 1998-07-08 Sensoranordnung für einen bremskraftverstärker und damit ausgerüsteter bremskraftverstärk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21547A true KR20010021547A (ko) 2001-03-15

Family

ID=78350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7000105A KR20010021547A (ko) 1997-07-08 1998-07-08 서보브레이크용 센서 어셈블리 및 그러한 센서 어셈블리와끼워맞춤된 서보브레이크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EP (1) EP0993400B1 (ko)
JP (1) JP2001509452A (ko)
KR (1) KR20010021547A (ko)
BR (1) BR9810551A (ko)
DE (2) DE19729158C1 (ko)
ES (1) ES2172184T3 (ko)
WO (1) WO199900238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819424A1 (de) * 1998-04-30 1999-11-04 Continental Teves Ag & Co Ohg Leitungsführung in einem Vakuum-Bremskraftverstärker
US6957220B2 (en) 2000-11-07 2005-10-18 Research Investment Networks, Inc. System, method and article of manufacture for tracking and supporting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lectronically
FR2812258B1 (fr) * 2000-07-25 2002-12-27 Bosch Gmbh Robert Servofrein pneumatique et procede de montage
FR2813840B1 (fr) * 2000-09-13 2003-04-04 Bosch Gmbh Robert Servofrein
US7191442B2 (en) 2000-10-30 2007-03-13 Research Investment Network, Inc. BCA writer serialization management
DE10061153A1 (de) * 2000-12-08 2002-06-27 Lucas Varity Gmbh Sensoranordnung für einen Unterdruck-Bremskraftverstärker und damit ausgerüsteter Unterdruck-Bremskraftverstärker
DE10061152A1 (de) * 2000-12-08 2002-06-27 Lucas Varity Gmbh Sensoranordnung für einen Unterdruck-Bremskraftverstärker und damit ausgerüsteter Unterdruck-Bremskraftverstärker
WO2002098718A1 (de) 2001-06-02 2002-12-12 Continental Teves Ag & Co.Ohg Unterdruckbremskraftverstärker einer fahrzeugbremsanlage und verfahren zum betrieb einer fahrzeugbremsanlage mit einem unterdruckbremskraftverstärker
DE10218972A1 (de) * 2001-06-02 2003-02-20 Continental Teves Ag & Co Ohg Unterdruckbremskraftverstärker einer Fahrzeugbremsanlage und Verfahren zum Betrieb einer Fahrzeugbremsanlage mit einem Unterdruckbremskraftverstärker
FR2834265B1 (fr) * 2001-12-31 2004-02-27 Bosch Gmbh Robert Ensemble a servomoteur d'assistance pneumatique au freinage et procede de determination d'au moins une grandeur physique variant en fonction d'une action de freinage exercee sur cet ensemble
WO2003066405A1 (de) 2002-02-07 2003-08-14 Continental Teves Ag & Co.Ohg Verfahren zur ermittlung oder kalibrierung der aussteuerungskennlinie eines unterdruckbremskraftverstärkers
DE102004007659B4 (de) 2004-02-17 2006-02-23 Lucas Automotive Gmbh Bremskrafterzeuger für eine hydraulische Fahrzeugbremsanlage
DE102004013191B4 (de) * 2004-03-17 2007-02-22 Lucas Automotive Gmbh Hauptbremszylinder mit integrierter Druckerkennungseinrichtung
JP5537602B2 (ja) * 2012-06-07 2014-07-02 日信工業株式会社 車両用負圧センサ付き負圧ブースタ
KR102537479B1 (ko) * 2021-04-26 2023-05-31 (주)미래브이씨 차량용 공기압 스프링 브레이크 챔버의 압력 감지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8712106U1 (ko) * 1987-08-14 1988-12-15 Lucas Industries P.L.C., Birmingham, West Midlands, Gb
DE4028290C1 (ko) * 1990-09-06 1992-01-02 Daimler-Benz Aktiengesellschaft, 7000 Stuttgart, De
DE4436297C2 (de) * 1994-10-11 1998-10-08 Lucas Ind Plc Elektronisch gesteuerter Bremskraftverstärker und Verfahren zu dessen Betrieb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9810551A (pt) 2000-08-15
EP0993400B1 (de) 2002-01-30
ES2172184T3 (es) 2002-09-16
JP2001509452A (ja) 2001-07-24
WO1999002385A1 (de) 1999-01-21
EP0993400A1 (de) 2000-04-19
DE59802970D1 (de) 2002-03-14
DE19729158C1 (de) 1998-10-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53656B1 (en) Sensor assembly for a brake booster and brake booster equipped therewith
KR20010021547A (ko) 서보브레이크용 센서 어셈블리 및 그러한 센서 어셈블리와끼워맞춤된 서보브레이크
EP0140187A1 (en) Brake booster
GB2234026A (en) Vacuum brake force booster for a slip-controlled brake system
US20070182403A1 (en) Device for monitoring the position and displacement of a brake pedal
JP2008230602A (ja) 車輛の制動を検出するようになった方法及びブースター、及びこのようなブースターの製造方法
JPH0220461A (ja) 自動車用ブレーキユニット
US20040160119A1 (en) Vaccum brake booster of a vehicle braking system and method for operating a vehicle braking system comprising one such vacuum brake booster
US4979426A (en) Vacuum brake power booster
JPH0245252A (ja) 車両におけるブレーキ装置用のバキユームブースター
JPH03148364A (ja) マスターシリンダ
US4632208A (en) Vehicle braking system
JPS62203861A (ja) スリツプ制御形ブレ−キシステム
JPS62146749A (ja) アンチロツク液圧ブレ−キ装置
US7357466B2 (en) Braking force generator for a hydraulic vehicle brake system
US7082869B2 (en) Sensor arrangement for a vacuum brake booster and a vacuum brake booster provided with this sensor arrangement
EP0261537B1 (en) Servo-assisted vacuum brake device for vehicles
US5357846A (en) Tandem brake booster
US6422661B1 (en) Hydraulic brake master cylinder with integral pressure transducer
EP2412592B1 (en) Electric hydraulic booster
WO1995005960A1 (en) Vaccum brake booster with traction control
US6896337B1 (en) Brake booster
US6321633B1 (en) Booster
JPH03136967A (ja) アンチロックブレーキシステムの作動ユニット
JP3746812B2 (ja) ブレーキ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