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19468A - 전화기용 녹음장치 - Google Patents

전화기용 녹음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19468A
KR20010019468A KR1019990035890A KR19990035890A KR20010019468A KR 20010019468 A KR20010019468 A KR 20010019468A KR 1019990035890 A KR1019990035890 A KR 1019990035890A KR 19990035890 A KR19990035890 A KR 19990035890A KR 20010019468 A KR20010019468 A KR 200100194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telephone
unit
memory
stor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358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종하
Original Assignee
박종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종하 filed Critical 박종하
Priority to KR10199900358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019468A/ko
Publication of KR200100194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19468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4Automatic arrangements for answering calls; Automatic arrangements for recording messages for absent subscribers; Arrangements for recording conversations
    • H04M1/65Recording arrangements for recording a message from the calling party
    • H04M1/656Recording arrangements for recording a message from the calling party for recording convers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sensor for measuring a physical value, e.g. temperature or mo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화기용 녹음기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전화 통화시 현재 통화중인 전화기의 수화부에 부착된 녹음기를 이용하여 통화자가 메모하기를 원하는 음성 정보를 간단한 키 조작으로 녹음 및 재생할 수 있도록 한, 전화기용 녹음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전화기를 이용하여 통화하는 중에 상대방으로부터 전화번호 등과 같은 소정의 정보를 제공받게 되는 경우, 통화자는 상대방으로부터 제공받게 되는 정보를 현재 통화를 하면서 메모를 하거나 또는 정보를 기억하였다가 통화가 끝난 후 메모를 하게 되는데, 이와 같은 경우 통화자의 주위에 메모용지와 필기도구가 없는 경우 통화자는 상대방으로부터 제공받게 되는 정보를 메모할 수 없게 되며, 통화가 끝난 후 메모를 하게 되는 경우 정보를 정확히 기억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전화 통화시 송신측으로부터 수신되는 자력음을 감지하는 신호 감지부와 ;
상기 신호 감지부를 통하여 감지한 자력음 신호를 가청 주파수로 증폭시키는 신호 증폭부와 ;
상기 신호 증폭부로부터 증폭시킨 신호를 소정시간 저장하는 메모리부와 ;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신호를 스피커를 통하여 출력시키는 신호 출력부 ; 및
스위치 동작에 의해 상기 메모리부에 신호를 저장시키거나 또는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신호를 재생시키는 선택 스위칭부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전화 통화시 현재 통화중인 전화기의 수화부에 부착된 녹음기를 이용하여 통화자가 메모하기를 원하는 음성 정보를 간단한 키 조작으로 녹음 및 재생할 수 있으므로서, 통화 도중 메모용지와 필기도구를 찾아야 하는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전화기용 녹음장치 {phone pen}
본 발명은 전화기용 녹음기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전화 통화시 현재 통화중인 전화기의 수화부에 부착된 녹음기를 이용하여 통화자가 메모하기를 원하는 음성 정보를 간단한 키 조작으로 녹음 및 재생할 수 있도록 한, 전화기용 녹음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화기를 이용하여 통화하는 중에 상대방으로부터 전화번호 등과 같은 소정의 정보를 제공받게 되는 경우가 발생한다.
이와 같은 때에 통화자는 상대방으로부터 제공받게 되는 정보를 현재 통화를 하면서 메모를 하거나 또는 정보를 기억하였다가 통화가 끝난 후 메모를 하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경우 통화자의 주위에 메모용지와 필기도구가 없는 경우 통화자는 상대방으로부터 제공받게 되는 정보를 메모할 수 없게 되며, 통화가 끝난 후 메모를 하게 되는 경우 정보를 정확히 기억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시키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 전화 통화시 현재 통화중인 전화기의 수화부에 부착된 녹음기를 이용하여 통화자가 메모하기를 원하는 음성 정보를 간단한 키 조작으로 녹음 및 재생할 수 있도록 한, 전화기용 녹음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전화기용 녹음장치는, 전화 통화시 송신측으로부터 수신되는 자력음을 감지하는 신호 감지부와 ;
상기 신호 감지부를 통하여 감지한 자력음 신호를 가청 주파수로 증폭시키는 신호 증폭부와 ;
상기 신호 증폭부로부터 증폭시킨 신호를 소정시간 저장하는 메모리부와 ;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신호를 스피커를 통하여 출력시키는 신호 출력부 ; 및
스위치 동작에 의해 상기 메모리부에 신호를 저장시키거나 또는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신호를 재생시키는 선택 스위칭부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전화기용 녹음장치의 회로 구성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전화기용 녹음장치를 전화기의 수화기 부분에 부착한 사용상태 예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신호 감지부 20 : 신호 증폭부
30 : 메모리부 40 : 신호 출력부
50 : 선택 스위칭부 L1 : 코일
C1~C10 : 콘덴서 R1~R9 : 저항
AMP1 : 증폭기 SPK1 : 스피커
SW1, SW2 : 스위치 IC1 : 메모리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전화기용 녹음장치는 도 1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화 통화시 송신측으로부터 수신되는 자력음을 감지하는 신호 감지부(10)와 ; 상기 신호 감지부(10)를 통하여 감지한 자력음 신호를 가청 주파수로 증폭시키는 신호 증폭부(20)와 ; 상기 신호 증폭부(20)로부터 증폭시킨 신호를 소정시간 저장하는 메모리부(30)와 ; 상기 메모리부(30)에 저장된 신호를 스피커를 통하여 출력시키는 신호 출력부(40) ; 및, 스위치 동작에 의해 상기 메모리부(30)에 신호를 저장시키거나 또는 상기 메모리부(30)에 저장된 신호를 재생시키는 선택 스위칭부(50)로 구성한다.
상기 신호 감지부(10)는, 자력음을 감지하기 위한 코일(L1)과 ; 상기 코일(L1)을 통해 감지된 자력음을 평활하는 콘덴서(C1)로 이루어진다.
상기 선택 스위칭부(50)는, 상기 메모리부(30)에 음성 정보를 녹음하기 위한 녹음용 스위치(SW1)와 ; 상기 녹음용 스위치(SW1)의 턴-온 동작에 의해 상기 메모리부(30)에 녹음된 정보를 재생시키기 위한 재생용 스위치(SW2)로 이루어진다.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전화기용 녹음장치를 전화기의 수화기 부분에 부착한 사용상태 예시도로서, 정보를 녹음하기 위한 녹음 버튼(REC)과, 녹음된 정보를 재생하기 위한 재생 버튼(PLAY)이 부설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한 전화기용 녹음장치는, 사용자가 일반 전화기를 이용하여 전화 통화중에 상대방으로부터 주소나 전화번호 등의 정보를 제공받아 메모를 해야하는 경우, 사용자는 전화기의 수화기 부분에 부착된 전화기용 녹음장치의 녹음 버튼(REC)을 누르면, 상기 녹음 버튼(REC)에 접속된 선택 스위칭부(50)의 녹음용 스위치(SW1)를 턴-온시킨다.
상기와 같이 녹음용 스위치(SW1)가 턴-온되면, 신호 감지부(10)는 미세한 자력음을 코일(L1)을 통해 감지하여 콘덴서(C1)에서 평활한 후, 신호 증폭부로 입력시킨다.
상기 신호 증폭부(20)로 입력된 자력음 신호는 증폭기(AMP1)를 통하여 가청 주파수로 증폭된 후, 메모리부(30)로 입력되어 메모리(IC1)에 저장된다.
상기와 같이 가청 주파수로 증폭된 자력음 신호가 메모리부(30)의 메모리(IC1)에 저장되어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통화가 끝난 후 상대 통화자로부터 제공되었던 저장된 음성 정보를 메모용지에 기록하기 위하여 전화기의 수화기 부분에 부착된 전화기용 녹음장치의 재생 버튼(PLAY)을 누르면, 상기 재생 버튼(PLAY)에 접속된 선택 스위칭부(50)의 재생용 스위치(SW2)가 턴-온된다.
상기 재생용 스위치(SW2)의 턴-온 동작에 의해 상기 메모리부(30)의 메모리(IC1)에 저장되어 있는 음성 정보가 신호 출력부(40)의 스피커(SPK1)를 통하여 출력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신호 출력부(40)의 스피커(SPK1)를 통하여 출력되는 음성 정보를 듣고 메모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메모리(IC1)에 음성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용량은 약 20~25초 정도이며, 상기 전화기용 녹음장치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의 수명은 약 1년 정도 사용할 수 있고, 본 장치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배터리가 전혀 소모되지 않으므로 경제적이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화기용 녹음장치는, 전화 통화시 현재 통화중인 전화기의 수화부에 부착된 녹음기를 이용하여 통화자가 메모하기를 원하는 음성 정보를 간단한 키 조작으로 녹음 및 재생할 수 있으므로서, 통화 도중 메모용지와 필기도구를 찾아야 하는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적인 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Claims (2)

  1. 전화 통화시 송신측으로부터 수신되는 자력음을 감지하는 신호 감지부(10)와 ;
    상기 신호 감지부(10)를 통하여 감지한 자력음 신호를 가청 주파수로 증폭시키는 신호 증폭부(20)와 ;
    상기 신호 증폭부(20)로부터 증폭시킨 신호를 소정시간 저장하는 메모리부(30)와 ;
    상기 메모리부(30)에 저장된 신호를 스피커를 통하여 출력시키는 신호 출력부(40) ; 및
    스위치 동작에 의해 상기 메모리부(30)에 신호를 저장시키거나 또는 상기 메모리부(30)에 저장된 신호를 재생시키는 선택 스위칭부(50)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기용 녹음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감지부(10)는,
    자력음을 감지하기 위한 코일(L1)과 ;
    상기 코일(L1)을 통해 감지된 자력음을 평활하는 콘덴서(C1)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기용 녹음장치.
KR1019990035890A 1999-08-27 1999-08-27 전화기용 녹음장치 KR2001001946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5890A KR20010019468A (ko) 1999-08-27 1999-08-27 전화기용 녹음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5890A KR20010019468A (ko) 1999-08-27 1999-08-27 전화기용 녹음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19468A true KR20010019468A (ko) 2001-03-15

Family

ID=196089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35890A KR20010019468A (ko) 1999-08-27 1999-08-27 전화기용 녹음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019468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7111528A (ja) 留守番電話装置
JP4569414B2 (ja) 音声出力装置
KR20010019468A (ko) 전화기용 녹음장치
KR100360615B1 (ko) 이동 무선 전화기의 착신 감지장치
KR200241861Y1 (ko) 주방용 라디오/전화기의 벨소리 변경 장치
JP4915466B2 (ja) 音声出力装置
JP3116751U (ja) 留守番電話
KR20010036273A (ko) 녹음장치가 내장된 전화기용 송수화기
JP2643346B2 (ja) 留守番電話装置
KR200302593Y1 (ko) 정보메모 기능을 갖는 목걸이형 이어폰
KR970011419B1 (ko) 자동 응답 전화기의 수신 메시지 반복 재생방법
NZ514420A (en) Telephone, mobile or cordless, able to record audio signals such as songs to be played when a call is incoming
JP2000232510A (ja) 記録再生装置
JPH09205483A (ja) 留守番電話装置
KR200242886Y1 (ko) 벨소리 변경을 위한 전화기 보조 유닛
KR20020080050A (ko) 주방용 라디오/전화기의 벨소리 변경 장치 및 방법
KR950002589B1 (ko) 응답전화기의 아이씨엠(icm)제어장치 및 방법
KR200165522Y1 (ko) 휴대폰용 음성 녹음 및 재생 장치
JPS6261453A (ja) 電話装置
JPH05297900A (ja) 音声録音再生装置
KR20000067401A (ko) 엠피3기능과 녹음기능을 가진 휴대폰
KR20010045118A (ko) 컴퓨터를 이용한 디지털 전화녹음장치 및 그 방법
KR20060014268A (ko) 휴대폰의 외부 오디오신호 처리회로
KR20030082711A (ko) 핸드폰통화기능을 가진 오디오 플레이어
KR20000013849A (ko) 전화통화기능을 갖는 콤팩트 디스크 재생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