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18833A - 브라운관용 게터 구조체 - Google Patents

브라운관용 게터 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18833A
KR20010018833A KR1019990034945A KR19990034945A KR20010018833A KR 20010018833 A KR20010018833 A KR 20010018833A KR 1019990034945 A KR1019990034945 A KR 1019990034945A KR 19990034945 A KR19990034945 A KR 19990034945A KR 20010018833 A KR20010018833 A KR 200100188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tter
spring
storage
funnel
b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349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19318B1 (ko
Inventor
정재삼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10199900349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19318B1/ko
Publication of KR200100188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188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193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19318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94Selection of substances for gas fillings; Means for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ressure within the tube, e.g. by getter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7/00Detail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and common to two or more basic types of discharge tubes or lamps
    • H01J7/14Means for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ressure within the vessel
    • H01J7/18Means for absorbing or adsorbing gas, e.g. by gettering
    • H01J7/186Getter suppor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329/00Electron emission display panels, e.g. field emission display panels
    • H01J2329/94Means for exhausting the vessel or maintaining vacuum within the vessel
    • H01J2329/943Means for maintaining vacuum within the vessel
    • H01J2329/945Means for maintaining vacuum within the vessel by gettering
    • H01J2329/946Means for maintaining vacuum within the vessel by gettering characterised by the position or form of the getter

Landscapes

  • Vessels, Lead-In Wires, Accessory Apparatuses For Cathode-Ray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브라운관용 게터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서, 게터 플레쉬 작업시 가해지는 고주파 열에 의해 게터 서포터부가 휘어지고 이러한 휘어짐으로 인한 펀넬 내장 흑연막의 탈락 및 에미션 불량 등의 발생을 감소시키고 이와 동시에 관련된 비산 특성을 개선하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게터 스프링의 일단에 게터보관부의 측면과 대응될 수 있도록 소정 각도로 절곡된 제1절곡부를 형성하고, 상기 게터 스프링 상에는 제1절곡부와 반대 방향으로 150∼165°의 절곡각을 갖는 적어도 2개 이상의 절곡부를 갖게 되는 것으로,
이로 인해 게터 구조체의 기구적, 전기적 불량을 개선할 수 있게되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브라운관용 게터 구조체{Getter assembly for CRT}
본 발명은 브라운관용 게터(Getter)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음극선관의 제조공정 시 고주파 가열에 의해 비산되어 내부에 잔류하는 가스를 제거하여 내부진공도를 향상시키는 역할을 수행하는 게터 구조체의 지지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브라운관내에는 기체분자가 많은데 이 기체 분자는 진공이 덜되어 유발되는 것이기도 하지만 브라운관을 진공 상태로 만들기 위해 펀넬 네크부를 봉입한 후에 브라운관 내부의 부품 즉 글래스 및 전자총, 내장흑연 등에서 시간이 지남에 따라 증가하는 가스들인데 이런 기체 분자가 많으면 전자빔과 충돌하여 이온화 된다.
이 이온들은 튜브내의 고전압과 방전관계가 생겨 글로우 현상이 생기며 캐소드 측으로 역진행하여 전자를 방출하는 캐소드의 에미션 물질을 파괴한다.
따라서 튜브내에는 고진공 상태를 요구하며 이를 위해 게터의 바륨을 고주파로 유도 가열시켜 비산된 바륨이 화학적으로 관내의 기체를 흡착하여 튜브 내벽에 부착되므로써 진공도를 향상시키는데 이러한 작업을 게터 플래시 작업이라 한다.
음극선관의 크기에 따라서 게터의 비산량(Ba 증발량)이 다르게 되는데 일반적으로 음극선관의 인치에 10배를 한 정도의 량을 비산시켜 잔류가스를 흡수하게 된다. 게터의 바륨을 비산시키기 위하여 게터에 고주파 가열을 하면 와류현상에 의하여 열이 발생하여 약 800℃에 도달하면 비산하기 시작하여 최대 1200℃까지 상승한다.
이러한 방법에 의하여 비산되는 음극선관용 게터는 모양에 따라서 조건이 크게 변하므로 열손실이 적은 게터의 설계가 요구된다.
게터의 종류는 전자총에 부착하는 안테나 게터와, 펀넬의 에노드(anode)측에 결합하는 에노드 게터, 그리고 마스크 프레임에 부착하는 프리터블(frittable) 게터로 크게 나누어져 있다. 안테나 게터는 패널과 펀넬을 부착시킨 상태에서 전자총을 음극선관의 네크부에 삽입할 때 전자총에 부착되어 장착되게 되고, 에노드 게터와 프리터블 게터는 패널과 펀넬을 부착시키기 전의 인너쉴드를 장착할 때 부착한다.
도 1 내지 도 3에 제시된 장치를 종래 기술의 에노드 게터가 구비된 평면 음극선관의 한 예로서 설명한다.
먼저, 평면 음극선관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 1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전면부에 위치하며 내측면에 형광면이 도포된 패널(1)과, 패널(1)의 후방에 프릿글라스를 이용하여 융착되는 펀넬(2)과, 패널(1)의 전면부에 고정되는 방폭유리(6)와, 펀넬(2)의 네크부 내에 봉입되어 R,G,B 3개의 전자빔(4)을 발사시키는 전자총(9)과, 패널(1)의 내측에 결합되어 전자빔의 색선별 기능을 하도록 슬릿형상의 전자빔 통과홀이 무수히 뚫린 섀도우마스크(5)와, 섀도우마스크(5)가 패널(1)과 일정간격을 유지하도록 지지하는 레일(3)과, 음극선관내에서 전자빔(4)에 작용하는 외부자계를 차폐하는 자기쉴드(8)와, 내부진공도 향상을 위해 펀넬(2) 내측면에 결합되는 게터 구조체(7)등으로 구성되었다.
특히, 게터 구조체(7)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게터물질이 보관되는 게터 보관부(11)와, 에노드 버튼(10)과 결합되어 게터 보관부(11)를 지지하는 게터 스프링(12)으로 이루어지는데, 게터 스프링(12)의 끝단은 펀넬(4) 내측면의 내장흑연막(13)과 접촉된다.
도 3은 게터 구조체의 배면도를 나타낸 것으로서, 게터 보관부(11)는 원형의 그릇모양이고, 보관부(11) 하단에는 서포터(14)가 조립되어 있으며, 서포터(14)에는 펀넬(2)의 내측면에 접촉되며 게터 보관부(11)를 일정 높이로 지지하는 크로스바(15)가 하단으로 절곡된 형태로 조립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평면음극선관의 제조공정에서는 패널(1) 및 펀넬(2)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공간을 높은 진공상태로 만들어야 하는데, 패널(1)과 펀넬(2)를 결합시키는 융착공정 후 진공도 유지를 위해서 1차적인 배기공정으로 음극선관내의 공기를 외부로 빼내게 된다. 그리고 배기공정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하여 2차적으로 게터플래싱 작업을 수행한다. 즉, 게터 보관부(11)를 펀넬(2)의 외부에서 고주파 생성코일에 의해 생성된 초고주파로 가열하면 게터물질이 음극선관의 내부공간으로 비산되면서 음극선관의 내벽에 바륨필름을 형성함과 동시에 잔류가스를 흡수하여 내부진공도를 더욱 증가시키게 된다.
그러나, 상기 종래 기술에 따른 브라운관 진공공정에 있어서, 일정한 목표 진공도를 위해서는 많은 비산량을 필요로 하며 이러한 조건을 만족하기 위해서 기존에는 오랜 시간을 고주파 가열하여 게터의 비산량을 늘리는 방법을 사용하는데 이렇게 되면 오랫동안 게터 구조체(7)가 유도가열에 의해 열화되어서 쉽게 휘어지는 불량이 초래된다.
특히, 이러한 현상은 도 5의 A로 표시된 게터 스프링(12)과 게터 보관부(11)의 경계에서 주로 발생하게 되는데, 이로 인해 휘어진 게터 서포터(14)는 인접하여 위치한 펀넬(2)면에 닿아서 순간적으로 높은 열에 의하여 펀넬을 찍어서 흠집을 내거나, 또는 펀넬 내면에 도포된 내장흑연막(13)을 긁게 된다. 이때 떨어진 내장흑연은 전자총 부위에 도달하여 에미션과 같은 심각한 악영향을 입히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게터 플래싱 작업을 할때 많이 사용되는 용어로는 토탈타임(total time)과 스타트 타임(start time)이 있다. 여기서 토탈타임이란 게터 플래시 작업시 전류가 전체적으로 인가되는 시간이며, 스타트 타임이란 게터의 바륨이 비산되기 시작하는 시간인데 현재 작업공정에서는 게터가 펀넬을 찍는 문제를 막기 위해서 낮은 전류를 인가하여 스타트 타임을 길게 가져가고 있다.
또한, 이러한 문제를 간이적으로 해결하기 위해 게터에 바륨을 비산시킬 때 사용되는 고주파 유도 코일을 게터의 중심에 맞추지 않고 어느정도 벗어난 위치(보통 2mm 벗어남)에서 오랜 시간 전류를 흐르게 하여 바륨을 비산시키는 작업을 하고 있는데, 이렇게 되면 고주파 유도 코일과 게터의 중심의 어긋남이 늘 일정하지 않는 이유로 항상 예상한 바륨 비산량이 나오지 않을 수 있으며, 또한 필요 이상의 전류를 낭비하는 결과를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게터 보관부를 지지하는 게터 스프링의 탄성 지지력을 전체적으로 보강하여 열화시 기구적 휘어짐 현상에 의한 펀넬 찍힘 현상을 방지하고 이를 통해 게터의 비산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평면 브라운관 단면도.
도 2는 펀넬 내면의 게터 구조체 장착 상태도.
도 3은 종래 기술에 따른 게터 구조체 배면도.
도 4는 종래 기술에 따른 게터 구조체 측면도.
도 5는 상기 장착된 게터 구조체의 휘어짐 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게터 구조체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게터 구조체 배면도.
도 8은 상기 실시예에 따른 게터 구조체의 스프링 구조도.
도 9는 상기 실시예에 따른 게터 구조체의 스프링 용접 상태도.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절곡부 확대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1 : 게터 보관부 , 104 : 서포터 , 105 : 크로스바 , 106 : 엠보싱부
110 : 게터 스프링 , 111 : 전단부 , 111a: 절곡부 , 112 : 중단부
113 : 후단부
상기와 같은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게터 물질이 담기는 게터보관부와, 상기 게터보관부를 펀넬 내측면에 위치시키도록 탄성력으로 지지하는 게터스프링과, 상기 게터보관부와 상기 게터스프링에 공통으로 결합되어 상호간의 지지력을 부여하는 서포터를 포함하는 브라운관용 게터 구조체에 있어서:
상기 게터 스프링은, 일단이 상기 게터보관부의 측면과 대응될 수 있도록 소정 각도로 절곡된 제1절곡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제1절곡부의 절곡 각도는 90∼110°로 형성하고, 그 길이는 상기 게터 보관부 측면 높이의 1/2 이상으로 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게터 스프링은 탄성 지지력을 더욱 증가시키기 위하여 상기 제1절곡부와 반대 방향으로 150∼165°의 절곡각을 갖는 적어도 2개 이상의 절곡부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절곡부에는 절곡각도를 지지하기 위한 엠보싱부를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하면, 게터 스프링의 지지력이 강화되면서 외부에서 인가된 유도가열에 의해 열화되더라도 서포터가 쉽게 휘어지지 않게 됨을 알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서포터가 펀넬의 내장흑연과 접촉되는 것이 방지되어 에미션 및 관련 기구적, 전기적 불량률이 개선되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로는 다수개가 존재할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게터 구조체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설명에 사용되는 도면에 있어서, 종래기술과 같은 구성성분에 관해서는 그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하는 것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게터 구조체 측면도이고, 도 7은 게터 구조체 배면도이며, 도 8은 본 실시예에 적용된 게터 스프링의 절곡 구조도, 도 9는 게터 보관부 지지를 위한 결합 상태도, 도 10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프링 절곡부 구조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게터 구조체의 게터 스프링(110)은 일측 끝단에 90°의 절곡각(θ)을 이루는 절곡부(111a)를 이루어 게터 보관부(101)의 측벽과 대응 지지될 수 있도록 하였다.
특히, 절곡각(θ)은 90∼110°범위 내에서 설계하고, 절곡부(111a)의 길이(h)는 대응되는 게터 보관부(101)의 측벽 높이(H)의 1/2 이상의 넓이로 지지될 수 있도록 설계함으로 적절한 지지력을 유지할 수 있게된다.
이와 동시에, 게터 스프링(110)을 크게 서포터(104)가 하단에 용접 결합되는 전단부(111), 에노드 버튼이 결합되는 중단부(112), 그리고 후단부(113)로 구분하였을 때, 상호 각 경계부를 소정 각도(θ1=160°,θ2=155°)로 절곡시켜 구성함으로 탄성 지지력을 강화하게 된다.
이는 펀넬 내면 곡률에 의한 무리한 힘이 게터 스프링(110)에 가해짐으로 인해 스프링 자체가 탄성을 잃게 되고, 이로 인해 펀넬 내부에서 게터 스프링(110)이 쉽게 유동하는 것을 방지지 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실시예의 게터 구조체는, 브라운관 내부의 진공 작업을 위한 장시간의 고주파 가열시 유도 가열을 통해 생성된 열에 의해 열화되더라도, 게터 스프링(110)의 전단부(111) 끝단에 형성된 절곡부(111a)가 게터 보관부(101)의 측벽을 일정 강도로 지지함과 동시에 게터 스프링(110) 자체가 2단으로 절곡된 지지구조를 통해 서포터(104)로의 변형력 전달이 크게 감소됨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이를 통해 종래의 게터 구조체가 가졌던 기구적 단점을 보완하는 동시에 더욱 양호한 진공특성을 필요로 할 때 제조 조건에 맞는 게터 플레싱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곡부(111a)에 엠보싱부(106)를 추가로 형성하여 절곡부(111a)의 지지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게된다.
한편 비교 예로서,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종래의 게터 구조체는 고주파 가열시 유도된 높은 열에 의해 기구적으로 쉽게 휘어져 펀넬부의 내장흑연이 탈락되는 현상이 발생하였던 것과는 달리, 도 6 내지 도 9에 나타낸 본 발명에서는 게터 스프링의 탄성 지지력이 크게 보강되어 열화에 의한 휘어짐 현상이 발생하지 않게됨을 알 수 있다.
이 결과에서, 본 발명에 의하면 내장흑연의 탈락에 의한 에미션 불량을 감소시키고 관련된 게터의 비산 특성을 개선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 및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이 당업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가능성이 있는 것은 자명한 일이다.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되며,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안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은, 게터 구조체가 열에 의해 열화되어 휘어지는 힘을 견딜 수 있게 되어 내장 흑연막 찍힘에 의한 에미션 불량을 감소시키게 되고, 이로 인해 진공도 향상을 위한 비산특성을 개선할 수 있게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게터 물질이 담기는 게터보관부와, 상기 게터보관부를 펀넬 내측면에 위치시키도록 탄성력으로 지지하는 게터스프링과, 상기 게터보관부와 상기 게터스프링에 공통으로 결합되어 상호간의 지지력을 부여하는 서포터를 포함하는 브라운관용 게터 구조체에 있어서:
    상기 게터 스프링은, 일단이 상기 게터보관부의 측면과 대응될 수 있도록 소정 각도로 절곡된 제1절곡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터 구조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절곡부의 절곡 각도는, 90∼110°로 이룸을 특징으로 하는 게터 구조체.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절곡부의 길이는, 상기 게터 보관부 측면 높이의 1/2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터 구조체.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게터 스프링은, 상기 제1절곡부와 반대 방향으로 150∼165°의 절곡각을 갖는 적어도 2개 이상의 절곡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게터 구조체.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절곡부에는, 절곡각도를 지지하기 위한 엠보싱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게터 구조체.
KR1019990034945A 1999-08-23 1999-08-23 브라운관용 게터 구조체 KR1003193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4945A KR100319318B1 (ko) 1999-08-23 1999-08-23 브라운관용 게터 구조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4945A KR100319318B1 (ko) 1999-08-23 1999-08-23 브라운관용 게터 구조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18833A true KR20010018833A (ko) 2001-03-15
KR100319318B1 KR100319318B1 (ko) 2002-01-09

Family

ID=196082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34945A KR100319318B1 (ko) 1999-08-23 1999-08-23 브라운관용 게터 구조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19318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19318B1 (ko) 2002-0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19318B1 (ko) 브라운관용 게터 구조체
US6452322B1 (en) Cathode-ray tube and its getter supporter
US5519283A (en) Internal magnetic shield for a color cathode-ray tube
JP2006528404A (ja) 陰極線管のためのフレーム/マスクアッセンブリ
US5841228A (en) Getter assembly with stiffened getter wand and CRT
KR200151012Y1 (ko) 음극선관용 전자총
JP3275071B2 (ja) 磁気遮蔽装置を備えた平面カラー陰極線管
US6674232B2 (en) Getter placement and attachment assembly
JP3685078B2 (ja) 陰極線管の製造方法
US7173364B2 (en) Cathode ray tube and anode button positioned on funnel therefor
KR100209612B1 (ko) 음극선관용 게터 커버
KR0127475Y1 (ko) 음극선관용 게터
KR960001827Y1 (ko) 전자총의 벌브스페이서
KR200357577Y1 (ko) 음극선관용게터구조체
KR950001225Y1 (ko) 칼라수상관용 전자총구체
KR200147977Y1 (ko) 음극선관 전자총의 벌브 스페이서
KR200413735Y1 (ko) 증발성 게터 장치
KR0140004Y1 (ko) 음극선관의 게터
KR0166014B1 (ko) 음극선관용 전자총
KR940008093Y1 (ko) 음극선관용 게터 스프링
KR0127860Y1 (ko) 음극선관용 새도우마스크 비틀림방지장치
KR20000050615A (ko) 평면 음극선관용 게터 구조체 및 지지구조
KR100907329B1 (ko) 칼라 음극선관
KR100775826B1 (ko) 슬림형 음극선관의 인너쉴드
KR20030029377A (ko) 캐소오드 조립체와 이를 이용한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929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