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18428A - 창문형 에어콘의 응축수 비산기 구조 - Google Patents

창문형 에어콘의 응축수 비산기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18428A
KR20010018428A KR1019990034388A KR19990034388A KR20010018428A KR 20010018428 A KR20010018428 A KR 20010018428A KR 1019990034388 A KR1019990034388 A KR 1019990034388A KR 19990034388 A KR19990034388 A KR 19990034388A KR 20010018428 A KR20010018428 A KR 200100184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densate
heat exchanger
casing
condensation
air conditio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343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훈
박병일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10199900343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018428A/ko
Publication of KR200100184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18428A/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 F24F13/2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for evacuating condensat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2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 F24F1/022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comprising a compressor cycle
    • F24F1/027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comprising a compressor cycle mounted in wall openings, e.g. in window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 F24F13/2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for evacuating condensate
    • F24F2013/225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for evacuating condensate by evaporating the condensate in the cooling medium, e.g. in air flow from the condens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2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unted in or close to a window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ices For Blowing Cold Air, Devices For Blowing Warm Air, And Means For Preventing Water Condensation In Air Conditioning Units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창문형 에어콘의 응축수 비산기 구조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 창문형 에어콘의 응축수 비산기는 케이싱의 바닥면에 고인 응축수에 접하는 회전링의 테두리에 응축수를 퍼올려 응축용 열교환기에 뿌려줄 수 있는 수개의 응축수 안내편을 등간격으로 형성함으로써, 상기 케이싱의 바닥면에 고인 차가운 응축수가 응축용 열교환기에 다량으로 뿌려지면서 그 응축용 열교환기의 응축효율이 높아지면서 증발온도가 낮아져 냉방효율이 현저하게 향상된다.

Description

창문형 에어콘의 응축수 비산기 구조{CONDENSINGWATER SPLASHER STRUCTURE FOR WINDOW TYPE AIR CONDITIONER}
본 발명은 창문형 에어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케이싱의 바닥에 고인 응축수를 응축용 열교환기에 효과적으로 튀겨주는 창문형 에어콘의 응축수 비산기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창문형 에너콘은 압축기를 비롯한 응축용 열교환기 그리고 증발용 열교환기 등으로 냉동사이클장치를 이루는 실외기 및 실내기가 하나의 케이싱에 장착되어 건물의 외벽이나 창문 등에 고정 설치되는 것으로, 이러한 창문형 에어콘의 일반적인 일례가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창문형 에어콘은 양쪽에 각각 공기흡,토출구(미부호)를 별개로 갖는 케이싱(1)의 바닥면 중앙부에 압축기(미도시)가 설치되고, 그 압축기에 연통되는 응축용 열교환기(2)가 케이싱(1)의 실외측에 설치되며, 그 응축용 열교환기(2)에 팽창기구(미도시)가 개재되어 연통되는 증발용 열교환기(3)가 케이싱(1)의 실내측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응축용 열교환기(2)와 증발용 열교환기(3)의 사이에는 하나의 구동모터(4)가 케이싱(1)을 실외실(S1)과 실내실(S2)로 구획하는 격판(1a)에 고정 설치되며, 상기 응축용 열교환기(2)의 내측에는 상기한 구동모터(4)의 실외실측 회전축에 결합되어 실외측 공기를 흡입하여 다시 실외로 토출시키는 축류팬(axialfan)(5)이 설치되고, 상기 증발용 열교환기(3)의 내측에는 상기한 구동모터(4)의 실내실측 회전축에 결합되어 실내측 공기를 흡입하여 다시 실내로 토출시키는 시로코팬(siroccofan)(6)이 설치되어 이루어져 있다.
상기 축류팬(5)의 날개단 바깥쪽에는 케이싱(1)의 바닥면에 고인 응축수에 접하였다가 회전시 그 응축수를 응축용 열교환기(2)에 튀겨주는 응축수 비산기(7)가 연장 설치되는데, 이 응축수 비산기(7)는 통상 환형의 회전링(7a)과 그 회전링(7a)을 각 날개단(5b)에 연결시키는 지지대(7b)로 이루어져 있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인 5a는 허브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 창문형 에어콘은 다음과 같이 동작된다.
즉, 전원이 공급됨에 따라 압축기(미도시)가 작동함과 동시에 구동모터(4)가 작동하게 되는데, 상기 압축기에서 압축되어 토출된 냉매가스는 응축용 열교환기(2) 및 증발용 열교환기(3)를 차례대로 거치면서 응축용 열교환기(2)에서는 외부로 열을 방출하는 반면 증발용 열교환기(3)에서는 외부로부터 열을 흡수하는 일련의 냉동사이클 과정을 이루게 된다.
한편, 상기 구동모터(4)의 양쪽 회전축에 각각 결합된 축류팬(5) 및 시로코팬(6)은 함께 회전을 하게 되나, 이 중에서 상기 축류팬(5)은 실외의 공기를 측벽면으로부터 흡입하여 응축용 열교환기(2)가 설치된 후방면(편의상, 실내측면을 전방면으로 함)쪽으로 토출시키는 반면, 상기 시로코팬(6)은 실내의 공기를 증발용 열교환기(3)가 설치된 전방면쪽으로 흡입하여 그 전방면의 상단 또는 측단쪽으로 토출시켜 실내에 차가운 공기를 공급하게 되는 것이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창문형 에어콘의 응축수 비산기에 있어서는 응축수의 점성(粘性) 및 회전링(7a)의 원심력만을 이용하여 응축수를 튀겨주게 되는 것이나, 실제 튀겨지는 응축수의 양은 극히 미미하여 응축용 열교환기(2)의 응축효율에 괄목할 만큼의 영향은 끼치지 못하는 실정이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창문형 에어콘의 응축수 비산기가 가지는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응축수 비산기가 케이싱의 바닥면에 고인 응축수를 응축용 열교환기에 충분히 튀겨줄 수 있는 창문형 에어콘의 응축수 비산기 구조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 창문형 에어콘의 일례를 보인 종단면도.
도 2는 종래 비산기가 구비된 창문형 에어콘의 축류팬을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창문형 에어콘의 일례를 보인 종단면도.
도 4는 도 3의 "A"부를 보인 상세도.
도 5는 본 발명 비산기가 구비된 창문형 에어콘의 축류팬을 보인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케이싱 20 : 응축용 열교환기
30 : 증발용 열교환기 40 : 구동모터
50 : 실외측 축류팬 51 : 허브
52 : 날개 60 : 실내측 시로코팬
70 : 비산기 71 : 회전링
72 : 지지대 73 : 응축수 안내편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압축기를 포함하여 냉동사이클을 형성하는 응축용 열교환기 및 증발용 열교환기가 하나의 케이싱 내부에서 실외측 및 실내측으로 구분되어 함께 장착되고, 그 각각의 열교환기에 접촉되는 실외측 공기 및 실내측 공기를 독립적으로 순환시키는 각각의 송풍팬이 상기한 케이싱의 내부에 설치되며, 그 중 실외측 송풍팬에는 케이싱의 바닥면에 고인 응축수를 응축용 열교환기로 튀겨주는 응축수 비산기가 구비되어 이루어진 창문형 에어콘에 있어서 ; 상기 응축수 비산기는 실외측 송풍팬에 연결되어 케이싱의 바닥면에 고인 응축수에 접하도록 회전링이 구비되고, 그 회전링에는 회전시 고인 응축수를 퍼담아 응축용 열교환기에 뿌려주는 응축수 안내편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형 에어콘의 응축수 비산기 구조가 제공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창문형 에어콘의 응축수 비산기 구조를 첨부도면에 도시된 일실시예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 창문형 에어콘의 일례를 보인 종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A"부를 보인 상세도이며, 도 5는 본 발명 비산기가 구비된 창문형 에어콘의 축류팬을 보인 사시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응축수 비산기가 구비된 창문형 에어콘은 양쪽에 각각 공기흡,토출구(11a,11b)(12a,12b)를 별개로 갖는 케이싱(10)의 바닥면에 압축기(미도시)가 설치되고, 그 압축기에 연통되는 응축용 열교환기(20)가 케이싱(10)의 실외측에 설치되며, 그 응축용 열교환기(20)에 팽창기구(미도시)가 개재되어 연통되는 증발용 열교환기(30)가 케이싱(10)의 실내측에 설치되며, 상기 응축용 열교환기(20)와 증발용 열교환기(30)의 사이에는 하나의 구동모터(40)가 케이싱(10)을 구획하는 격판(P)에 고정 설치되며, 상기 구동모터(40)의 실외측 회전축에는 실외측 공기를 순환시키는 축류팬(50)이 설치되고, 상기 구동모터(40)의 실내측 회전축에는 실내측 공기를 순환시키는 시로코팬(60)이 설치된다.
상기 축류팬(50)의 날개단(52) 바깥쪽에는 통상 환형의 회전링(71) 및 그 회전링(71)을 각 날개단(52)에 연결시키는 지지대(72)로 이루어지는 응축수 비산기(70)가 설치되는데, 이 응축수 비산기(70)의 회전링(71) 테두리에는 회전시 고인 응축수를 퍼담아 응축용 열교환기(20)에 뿌려주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응축수 안내편(73)이 등간격으로 형성된다.
상기 응축수 안내편(73)은 응축수가 회전링(71)의 회전방향으로 퍼올려져 그 직각방향인 응축용 열교환기(20)쪽으로 뿌려지도록 만곡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중 종래와 동일한 부분에 대하여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였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인 13은 응축수 받이홈, 51은 축류팬의 허브, S1은 실외실, S2는 실내실이다.
상기와 같은 응축수 비산기가 구비된 창문형 에어콘은 다음과 같이 동작된다.
즉, 전원이 공급됨에 따라 압축기(미도시)가 작동되어 고압의 압축가스가 토출되고, 이 토출된 냉매가스는 응축용 열교환기(20) 및 증발용 열교환기(30)를 차례대로 거치면서 외부로 열을 방출하거나 또는 외부로부터 열을 흡수하는 일련의 냉동사이클 과정을 이루게 된다.
이와 함께 상기 구동모터(40)가 동작되어 이 구동모터(40)의 실외측 또는 실내측 회전축에 결합된 축류팬(50) 또는 시로코팬(60)이 함께 회전을 하게 되고, 이 축류팬(50) 및 시로코팬(60)이 회전함에 따라 실외실(S1) 또는 실내실(S2) 공기를 각각 흡입하여 토출시키게 된다.
한편, 상기 실내측 공기가 차가운 증발용 열교환기(60)와 접촉되면서 그 증발용 열교환기(60)의 외표면에 물방울로 맺혔다가 케이싱(10)의 바닥면에 떨어져 실외측의 응축수 받이홈(13)에 고이게 되는데, 이 응축수 받이홈(13)에 고인 응축수는 상기 축류팬(50)에 연결된 응축수 비산기(70)의 회전시 그 응축수 비산기(70)의 회전링(71)에 이끌려 원심력에 의해 응축용 열교환기(20)에 튀겨지게 된다.
이때, 상기 응축수 비산기(70)의 회전링(71)에는 다수개의 응축수 안내편(73)이 형성되어 이 응축수 안내편(73)이 응축수 받이홈(13)에 고인 응축수를 회전링(71)의 회전방향으로 퍼오렸다가 그 수직방향인 응축용 열교환기(20)쪽으로 뿌려주게 되므로, 상기 케이싱(10)의 바닥면에 고였다가 응축용 열교환기(20)에 뿌려지는 응축수의 양이 크게 늘어나게 되어 그 응축용 열교환기(20)의 응축효율이 현저하게 향상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실외측 송풍팬이 축류팬인 경우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실시예에서와 같은 비산기가 장착되는 모든 창문형 에어콘에 송풍팬의 종류와 관계없이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창문형 에어콘의 응축수 비산기 구조는, 케이싱의 바닥면에 고인 응축수에 접하는 회전링의 테두리에 응축수를 퍼올려 응축용 열교환기에 뿌려줄 수 있는 수개의 응축수 안내편을 등간격으로 형성함으로써, 상기 케이싱의 바닥면에 고인 차가운 응축수가 응축용 열교환기에 다량으로 뿌려지면서 그 응축용 열교환기의 응축효율이 높아지면서 증발온도가 낮아져 냉방효율이 현저하게 향상된다.

Claims (1)

  1. 압축기를 포함하여 냉동사이클을 형성하는 응축용 열교환기 및 증발용 열교환기가 하나의 케이싱 내부에서 실외측 및 실내측으로 구분되어 함께 장착되고, 그 각각의 열교환기에 접촉되는 실외측 공기 및 실내측 공기를 독립적으로 순환시키는 각각의 송풍팬이 상기한 케이싱의 내부에 설치되며, 그 중 실외측 송풍팬에는 케이싱의 바닥면에 고인 응축수를 응축용 열교환기로 튀겨주는 응축수 비산기가 구비되어 이루어진 창문형 에어콘에 있어서 ;
    상기 응축수 비산기는 실외측 송풍팬에 연결되어 케이싱의 바닥면에 고인 응축수에 접하도록 회전링이 구비되고, 그 회전링에는 회전시 고인 응축수를 퍼담아 응축용 열교환기에 뿌려주는 응축수 안내편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형 에어콘의 응축수 비산기 구조.
KR1019990034388A 1999-08-19 1999-08-19 창문형 에어콘의 응축수 비산기 구조 KR2001001842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4388A KR20010018428A (ko) 1999-08-19 1999-08-19 창문형 에어콘의 응축수 비산기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4388A KR20010018428A (ko) 1999-08-19 1999-08-19 창문형 에어콘의 응축수 비산기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18428A true KR20010018428A (ko) 2001-03-05

Family

ID=196078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34388A KR20010018428A (ko) 1999-08-19 1999-08-19 창문형 에어콘의 응축수 비산기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018428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99823B1 (ko) 창문형공기조화기의덕트
KR200156406Y1 (ko)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CN101349457A (zh) 窗式空调冷凝水散热结构
WO2005040692A1 (en) Window type air conditioner
WO2005040689A2 (en) Window type air conditioner
KR20010018429A (ko) 창문형 에어콘의 응축수 비산기 구조
KR20010018428A (ko) 창문형 에어콘의 응축수 비산기 구조
KR20010003007A (ko) 창문형 에어콘의 응축용 열교환기 냉각장치
KR20050058136A (ko) 열효율이 개선된 창문형 에어컨
KR100399323B1 (ko) 창문형 에어컨
KR20010018424A (ko) 창문형 에어콘
KR100294337B1 (ko) 분리형공조기기의실내기
CN100455914C (zh) 具有冷凝水飞散装置的窗式空调器
KR20030063876A (ko) 멀티팬을 구비한 공기조화기
KR0110429Y1 (ko) 공기조화기의 효율증대 및 소음저감장치
KR20040001102A (ko) 양방향 송풍구를 가진 창문형 에어컨
KR0135807Y1 (ko) 공기조화기의 실외토출장치
KR100815420B1 (ko) 공기 조화기
KR19980026933U (ko)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CN100485275C (zh) 具有冷凝水飞散装置的窗式空调器
JPH08136001A (ja) 一体形空気調和機
KR200245705Y1 (ko) 분리형에어콘의실내기
KR200260176Y1 (ko) 일체형 에어컨의 증발팬 구조
KR0128909Y1 (ko)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KR980009043U (ko) 공기조화기의 응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