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16942A - 브이 5.2 프로토콜 메시지의 모니터링 방법 - Google Patents

브이 5.2 프로토콜 메시지의 모니터링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16942A
KR20010016942A KR1019990032176A KR19990032176A KR20010016942A KR 20010016942 A KR20010016942 A KR 20010016942A KR 1019990032176 A KR1019990032176 A KR 1019990032176A KR 19990032176 A KR19990032176 A KR 19990032176A KR 20010016942 A KR20010016942 A KR 200100169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ssage
output
monitor
protocol
output tas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321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혜련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900321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016942A/ko
Publication of KR200100169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16942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3/00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testing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3/18Protocol analys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4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for recovering from a failure of a protocol instance or entity, e.g. service redundancy protocols, protocol state redundancy or protocol service redir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munication Control (AREA)

Abstract

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본 발명은 브이 5.2 프로토콜 메시지의 모니터링 방법에 관한 것이다.
나.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고가의 모니터링 장치를 구비하지 않아도 V5.2 프로토콜로 통신하는 교환기와 엑세스 망 장치에서 계층 2, 계층 3 메시지를 모니터링할 수 있고, 모니터가 원하는 대로 메시지의 출력양식을 선택할 수 있게 한다.
다.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계층 2 처리부가 계층 3 처리부와 브이 5.2 인터페이스간에 송수신되는 메시지를 출력 타스크에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출력 타스크가 계층 2 처리부로부터 메시지를 제공받으면 그 메시지를 콘솔로 출력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라. 발명의 중요한 용도
본 발명은 V5.2 프로토콜로 통신하는 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브이 5.2 프로토콜 메시지의 모니터링 방법{V5.2 PROTOCOL MESSAGE MONITERING METHOD}
본 발명은 V5.2 프로토콜로 통신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V5.2 프로토콜 메시지의 모니터링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V5.2 프로토콜은 V5.2 인터페이스 상에서 교환기(Local Exchange)와 엑세스 망(Access Network) 장치간의 각종 시그널링 정보를 주고 받기 위해서 정의된 프로토콜이다. 상기 V5.2 프로토콜은 다섯개의 계층 3 프로토콜로 구성되며, 이는 PSTN(Public Signalling Telephone Network) 프로토콜, 제어 프로토콜, 링크제어 프로토콜, BCC(Bearer Channel Connection) 프로토콜, 보호 프로토콜이다.
상기 V5.2 프로토콜은 물리적인 2,048 Kbit/sec E1 링크의 기반위에 최대 3개까지의 통신채널을 통해 교환기와 엑세스 망 장치간의 데이타를 여러 옥텟으로 구성된 메시지로 주고받을 수 있게 한다.
상기 PSTN 프로토콜은 V5.2 인터페이스상에서의 호설정, 호해제, 호충돌해결, 가입자 포트의 호상태 등과 같이 호와 관련된 기능을 담당한다. 상기 PSTN 프로토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사용되는 메시지는 다음과 같다.
- ESTABLISH : 발신호나 착신호 설정요구 메시지
- ESTABLISH ACK : ESTABLISH 메시지의 수신에 대한 응답 메시지
- SIGNAL : PSTN 라인 상태 변경시에 사용되는 메시지
- SIGNAL ACK :SIGNAL 또는 PROTOCOL PARAMETER 메시지의 수신에 대한 응답 메시지
- DISCONNECT : 호상태종료 메시지
- DISCONNECT COMPLETE : DISCONNECT 메시지의 응답 메시지나 호상태종료 메시지
- STATUS ENQUIRY : PSTN 프로토콜 상태문의 메시지
- STATUS : PSTN 프로토콜 현재상태전달 메시지
- PROTOCOL PARAMETER : 엑세스 망 장치의 특정 프로토콜 파라메터 변경 메시지
그리고 제어 프로토콜은 PSTN 및 ISDN 가입자 포트의 차단, 차단 해제 등과 같은 가입자 포트 상태 관리와 V5.2 인터페이스 시작절차시 교환기와 엑세스 망 장치간의 설정된 인터페이스 번호와 프로비젼된 데이타에 대한 베어리언트 번호를 서로 확인하는 절차를 수행하고, 모든 프로비젼된 PSTN 포트들의 상태를 강제로 널(NULL)상태로 가도록 하는 PSTN 재시작 절차를 관리한다. 또한 제어 프로토콜에서는 교환기와 엑세스 망 장치간의 프로비젼된 데이타를 변경할 경우, 재프로비젼닝 절차를 통해 베어리언트 번호를 변경하고 이를 확인한다. 이러한 제어 프로토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사용될 메시지는 다음과 같다.
- PORT CONTROL : PSTN 또는 ISDN 가입자 포트 관리 메시지
- PORT CONTROL ACK : PORT CONTROL 메시지 수신에 대한 응답 메시지
- COMMON CONTROL : 가입자 포트와 관계없는 일반적인 제어기능의 메시지
- COMMON CONTROL ACK : COMMON CONTROL 메시지 수신에 대한 응답 메시지
상기 V5.2 프로토콜에서는 최대 16개까지의 2,048 Kbit/sec E1 링크를 지원하는데, 이들 링크에 대한 관리가 필요하다. 링크 제어 프로토콜은 이러한 2,048 Kbit/sec E1 링크들의 차단, 차단해제와 같이 링크상태관리와, 시스템 시작절차시나 링크장애 복구시 각 링크의 논리적 번호를 확인하는 링크식별절차를 관리한다. 또한 물리적 E1 링크들의 장애상태를 관리한다. 링크제어 프로토콜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메시지는 다음과 같다.
- LINK CONTROL : 각각의 2,048 Kbit/sec 링크제어 메시지
- LINK CONTROL ACK : LINK CONTROL 메시지 수신에 대한 응답 메시지
그리고 BCC 프로토콜은 가입자 호를 호단위로 2,048Kbit/sec E1 링크상의 베어러 채널로 할당하고 해제하는 절차를 수행한다. 또한 교환기와 엑세스 망 장치에서의 베어러 채널 할당/해제 절차가 실패할 경우, 교환기의 요구에 의한 AUDIT 절차를 수행함으로써, 현재 엑세스 망 장치에서의 가입자 포트별, 2,048 Kbit/sec E1 링크내의 타임슬럿별, ISDN 가입자의 경우에는 ISDN 가입자 포트 타임 슬럿별 할당/해제 상태를 교환기에 보고한다. BCC 프로토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메시지는 다음과 같다.
- ALLOCATION : 교환기가 엑세스 망 장치의 특정 가입자 포트에 베어러 채널을 할당하기 위한 메시지
- ALLOCATION COMPLETE : 요구한 베어러 채널을 엑세스 망 장치에서 정상적으로 할당한 것을 나타내는 메시지
- ALLOCATION REJECT : 교환기가 요구한 베어러 채널을 할당할 수 없는 경우를 나타내는 메시지
- DEALLOCATION : 교환기가 엑세스 망 장치의 특정 가입자 포트에 베어러 채널을 할당 해제하기 위한 메시지
- DEALLOCATION COMPLETE : 요구한 베어러 채널을 엑세스 망 장치에서 정상적으로 할당 해제한 것을 나타내는 메시지
- DEALLOCATION REJECT : 엑세스 망 장치가 요구한 베어러 채널을 할당 해제할 수 없는 경우를 나타내는 메시지
- AUDIT : 특정 가입자 포트나 특정 베어러 채널상의 현재 할당상태를 엑세스 망 장치에 문의하는 메시지
- AUDIT COMPLETE : AUDIT에 대한 응답 메시지로 현재 할당상태를 교환기에 보고하는 메시지
- PROTOCOL ERROR : 계층 3에서 수신한 메시지의 형태가 올바르지 않을 경우 교환기로 전송하는 메시지
상기 V5.2 프로토콜의 특성상 다수의 2,048 Kbit/sec E1 링크에 대한 제어는 몇몇 통신채널을 통해 이루어지기 때문에 이들 통신채널이 포함된 2,048 Kbit/sec E1 링크의 장애발생이나 물리통신채널의 장애발생 또는 각 데이타링크의 장애발생시 다수의 2,048 Kbit/sec E1 링크를 통해 서비스되고 있는 가입자들에게 결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보호 프로토콜에서는 이들 통신채널의 장애발생시 보호절체하는 절차를 수행한다. 상기 보호 프로토콜은 통신채널들만을 보호할 뿐, 일반가입자 호의 베어러 채널들은 보호하지 않으며, 상기 보호 프로토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메시지는 다음과 같다.
- SWITCH-OVER REQ : 논리 통신채널을 다른 통신채널(standby)로의 보호절체 요구 메시지
- SWITCH-OVER COM : 논리 통신채널을 다른 통신채널(standby)로의 보호절체 명령 메시지
- OS-SWITCH-OVER COM : 논리 통신채널을 다른 논리 통신채널이 이미 할당되어 있는 통신채널로 보호절체할 것을 명령하는 메시지
- SWITCH-OVER ACK : 교환기의 보호절체명령에 정상적으로 동작하여 절체하였음을 나타내는 메시지
- SWITCH-OVER REJECT : 교환기의 보호절체명령을 수행할 수 없는 경우임을 나타내는 메시지
- PROTOCOL ERROR : 계층 3에서 수신한 메시지의 형태가 올바르지 않을 경우 교환기로 전송하는 메시지
- RESET SN COM : 엑세스 망 장치나 교환기가 상대편과의 시퀀스번호를 리셋하고자 할 경우에 사용하는 메시지
- RESET SN ACK : RESET SN COM 메시지 수신에 대한 응답 메시지
상기 계층 2인 데이타 링크 계층에서는 상위 계층에서의 메시지를 V5.2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대편으로 전송하고 V5.2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대편으로부터 수신되는 메시지를 상위 계층으로 전달하거나 ISDN D 채널정보인 경우에는 ISDN 가입자 포트로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ISDN 가입자 포트로부터의 D채널 데이타인 경우 맵핑 펑션(Mapping Function)을 거쳐 EF(Envelop Function) 어드레스를 부여받아 V5.2 인터페이스상으로 전송된다. 즉 V5.2 인터페이스상에서 교환되는 모든 메시지는 이 데이타 링크계층을 거쳐 각각의 기능블럭으로 전송된다.
계층 2에서는 메시지를 기능상 세종류로 분류하는데, I(Information) 프레임, U(Unnumbered) 프레임 그리고 S(Supervisory) 프레임이다. 상기 I 프레임은 계층 3으로부터 V5.2 인터페이스상으로 전송되거나 V5.2 인터페이스로부터 계층 3으로 전송될 각 계층 3 프로토콜 메시지를 의미한다. 각 계층 3 프로토콜 메시지들을 서로 교환하기 위해서는 시스템 시작시 해당 프로토콜 데이타 링크들이 설정이 되어 있어야 하는데, 이들 데이타 링크들을 설정하고 거절하는데 사용되는 메시지가 U 프레임이다. 상기 U 프레임에는 SABME, UA, DM이 있다. 그리고 계층 3 프로토콜에 대한 데이타 링크들이 설정된 후 I 프레임의 올바른 송수신을 확인하기 위해 시퀀스번호를 I프레임 내부에 주고받는데, I 프레임의 정상적인 수신시나 I프레임상의 시퀀스번호가 맞지 않는 경우 또는 수신단의 비지(busy) 상태를 상대편이 알리고자 할 경우에 사용하기 위한 S 프레임이 존재한다. 이 S 프레임에는 RR, RNR, REJ이 있다. 계층 2에서 상대편의 계층 2와의 데이타 링크상태를 정합하기 위해 사용하는 메시지는 다음과 같다.
- SABME : 계층 3 프로토콜에 대한 각각의 데이타 링크 설정 요구 메시지
- UA : 특정 데이타 링크 설정 요구(SABME)를 수용함을 나타내는 메시지
- DM : 특정 데이타 링크 설정 요구(SABME)를 거절함을 나타내는 메시지
- RR : 계층 2의 응답이나 데이타 링크 설정상태 확인메시지
- RNR : 수신단 비지상태를 나타내는 메시지
- REJ : 상대편에게 재전송을 요구하는 메시지
상기와 같이 V5.2 프로토콜로 통신하는 장치간에는 다양한 메시지들이 송수신된다. 이와같은 메시지가 올바른 형태와 내용으로 송수신되는지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은 교환기와 엑세스 망 장치 중간에 고가의 독립적인 특정 모니터링 장치를 접속하여 V5.2 인터페이스상에 교환되는 메시지들을 모니터링하는 것이었다.
그러나 교환기와 엑세스 망 장치가 멀리 이격된 경우에는 이러한 메시지를 확인하고자 할 때마다 모니터링 장치를 접속하는 것이 매우 곤란하였다.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에 V5.2 프로토콜로 통신하는 교환기와 엑세스 망 장치간에 고가의 모니터링 장치를 접속하여 두 장치간에 송수신되는 메시지를 모니터링하였으나, 이는 비용이 많이 들뿐만 아니라 두 장치가 멀리 이격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 모니터링 장치를 접속하기가 곤란한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V5.2 프로토콜로 통신하는 교환기와 엑세스 망 장치에서 계층 2, 계층 3 메시지를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하는 V5.2 프로토콜의 메시지 모니터링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모니터 특성에 맞게 메시지의 출력양식을 선택할 수 있는 V5.2 프로토콜 메시지 모니터링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가능한 엑세스 네트워크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V5.2 프로토콜 메시지의 모니터링 방법의 흐름도,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V5.2 프로토콜 메시지를 표시한 예를 도시한 도면.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계층 2 처리부가 계층 3 처리부와 브이 5.2 인터페이스간에 송수신되는 메시지를 출력 타스크에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출력 타스크가 계층 2 처리부로부터 메시지를 제공받으면 그 메시지를 콘솔로 출력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 설명 및 첨부 도면에서 많은 특정 상세들이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나타나 있으나, 이들 특정 상세들은 본 발명의 설명을 위해 예시한 것으로 본 발명이 그들에 한정됨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은 V5.2 프로토콜로 통신하는 모든 장치에 적용가능하나, 이하 설명에서는 편의상 엑세스 망 장치에 적용된 예를 설명한다. 엑세스 망 장치(100)는 프로세서부(102)를 구비하며, 상기 프로세서부(102)에는 V5.2 프로토콜 처리를 위한 계층 2 처리부(106)와 계층 3 처리부(108)를 구비하는 V5.2 프로토콜 처리부(104)가 구비된다. 상기 계층 2 처리부(106)는 V5.2 인터페이스와 연결되어 상기 V5.2 인터페이스로부터의 메시지인 PH_DATA_IND를 제공받아, 그 PH_DATA_IND가 계층 3 처리부(108)로 제공될 것이면 DL_DATA_IND로 변환하여 계층 3 처리부(108) 및 출력 타스크(110)에 제공한다. 그리고 계층 2 처리부(106)에서 처리되는 메시지는 출력 타스크(110)로 그대로 복사되어 전달된다. 그리고 계층 3 처리부(108)가 V5.2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대편으로 전송할 메시지인 DL_DATA_REQ를 계층 2 처리부(106)에 제공하면, 상기 계층 2 처리부(106)는 상기 DL_DATA_REQ를 PH_DATA_REQ로 변환한 후에 V5.2 인터페이스로 제공함과 아울러, 출력 타스크(110)로는 DL_DATA_REQ를 그대로 제공한다. 또한 상기 계층 2 처리부(106)는 ISDN 가입자 포트와 연결되어 ISDN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상기 계층 2 처리부(106)는 V5.2 인터페이스로부터 PH_DATA_IND 형태로 전송된 ISDN 메시지들을 PH_ISDN_IND로 변환하여 ISDN 가입자 포트와 출력 타스크(110)로 제공한다. 또한 상기 계층 2 처리부(106)는 ISDN 가입자 포트로부터의 메시지인 PH_ISDN_REQ를 PH_DATA_IND로 변환하여 V5.2 인터페이스로 제공함과 아울러 출력 타스크(110)로는 PH_ISDN_REQ를 그대로 전송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계층 2 처리부(106)는 계층 3 처리부(108)와 V5.2 인터페이스, ISDN 가입자 포트간에 송수신되는 메시지를 출력 타스크(110)에도 제공한다.
이와같이 계층 2 처리부(106)가 제공하는 메시지를 모니터가 원하는 출력방식으로 콘솔(200)을 통해 출력하는데, 이를 상기 출력 타스크(110)의 처리 흐름도를 도시한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300)단계에서 출력 타스크(110)는 콘솔(200)에 출력할 메시지 종류를 선택하도록 안내하는 메시지를 출력한다. 이때 출력할 메시지 종류는 다음과 같다.
- 제1메시지 종류 : 계층 3의 모든 프로토콜 메시지
- 제2메시지 종류 : 계층 3의 특정 프로토콜 메시지
- 제3메시지 종류 : 모든 가입자 포트에 대한 호관련 메시지
- 제4메시지 종류 : 특정 가입자 포트에 대한 호관련 메시지
상기와 같이 출력 타스크(110)가 콘솔(200)을 통해 상기 제1 내지 제4메시지 종류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도록 안내하면, 모니터는 이를 보고 원하는 메시지 종류를 콘솔(200)을 통해 선택한다. 상기 출력 타스크(110)는 (302)단계에서 사용자가 제1메시지 종류를 선택하는지를 검색한다. 이때 출력 타스크(110)는 사용자가 제1메시지 종류를 선택하면 (304)단계로 진행하여 제1메시지 종류를 선택하였음을 나타내는 정보를 도시하지 않은 메모리에 저장한 후에 (324)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302)단계에서 모니터가 제1메시지 종류를 선택하지 않았으면 (306)단계로 진행하여 모니터가 제2메시지 종류를 선택하였는지를 검색한다. 이때 출력 타스크(110)는 모니터가 제2메시지 종류를 선택하였으면 (308)단계로 진행하여 메시지를 출력할 프로토콜을 선택하도록 콘솔(200)을 통해 안내하며, 모니터는 이를 보고 원하는 프로토콜을 콘솔(200)을 통해 선택한다. 상기 출력 타스크(110)는 (310)단계에서 모니터가 프로토콜을 선택하였는지를 검색하여, 모니터가 프로토콜을 선택하였으면 (312)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312)단계에서 출력 타스크(110)는 제2메시지 종류 선택에 대한 정보 및 선택된 프로토콜 정보를 저장한 후에 (324)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306)단계에서 출력 타스크(110)는 모니터가 제2메시지 종류를 선택하지 않았으면 (314)단계로 진행하여 모니터가 제3메시지 종류를 선택하였는지를 검색한다. 상기 모니터가 제3메시지 종류를 선택하였으면 출력 타스크(110)는 (316)단계로 진행하여 제3메시지 종류 선택에 대한 정보를 저장한 후에 (324)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314)단계에서 모니터가 제3메시지 종류를 선택하지 않았으면 출력 타스크(110)는 모니터가 제4메시지 종류를 선택한 것으로 판단하여 (318)단계로 진행하여 호관련 메시지를 출력할 가입자 포트를 선택하도록 콘솔(200)을 통해 안내한다. 이 안내를 보고 모니터는 호관련 메시지를 출력할 가입자 포트를 선택한다. 상기 출력 타스크(110)는 (320)단계에서 출력 타스크(110)는 모니터가 호관련 메시지를 출력할 가입자 포트를 선택하면 (322)단계로 진행하여 제4메시지 종류 선택에 대한 정보 및 선택된 가입자 포트에 대한 정보를 저장한 후에 (324)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324)단계에서 출력 타스크(110)는 모니터에게 메시지 출력형태를 선택하도록 콘솔(200)을 통해 안내한다. 상기 메시지 출력 형태는 다음과 같다
- 제1메시지 출력형태 : 메시지를 16 진수 형태로 출력
- 제2메시지 출력형태 : 메시지를 내용 중심으로 출력
상기 모니터는 상기 안내를 보고 제1 및 제2메시지 출력형태중 어느 하나를 선택한다. 상기 출력 타스크(110)는 (326)단계에서 모니터가 제1메시지 출력형태를 선택하는지를 검색한다. 이때 모니터가 제1메시지 출력형태를 선택하면 상기 출력 타스크(110)는 (328)단계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모니터가 제2메시지 출력형태를 선택한 것으로 판단하여 (330)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328)단계에서 출력 타스크(110)는 제1메시지 출력형태 선택에 대한 정보를 저장한 후에 (332)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330)단계에서 출력 타스크(110)는 제2메시지 출력형태 선택에 대한 정보를 저장한 후에 (332)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332)단계에서 출력 타스크(110)는 계층 2에서의 각종 정보도 필요한 경우 부가정보를 선택적으로 출력할 수 있음을 콘솔(200)을 통해 안내한다. 상기 부가정보는 다음과 같다.
- 제1부가정보 : 계층 2 변수
- 제2부가정보 : 해당 계층 2 메시지
상기와 같은 안내를 보고 모니터는 제1 및 제2부가정보 출력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상기 출력 타스크(110)는 (334)단계에서 모니터가 콘솔(200)을 통해 제1부가정보 출력을 선택하는지를 검색한다. 이때 모니터가 제1부가정보 출력을 선택하면 출력 타스크(110)는 (336)단계로 진행하여 제1부가정보 출력선택에 대한 정보를 저장한다. 그리고 상기 (334)단계에서 출력 타스크(110)는 모니터가 제1부가정보 출력을 선택하였으면 (340)단계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모니터가 부가정보를 출력하지 않는 것을 선택한 것으로 판단하여 (342)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340)단계에서 출력 타스크(110)는 제2부가정보 출력선택에 대한 정보를 저장한다. 그리고 상기 (342)단계에서 출력 타스크(110)는 부가정보를 출력하지 않는 것을 선택한 것에 대한 정보를 저장한다.
이와같이 모니터가 콘솔(200)을 통해 출력할 메시지 종류와 출력 형태 등을 선택하면, 출력 타스크(100)는 그 선택에 따라 계층 2 처리부(106)가 제공하는 메시지를 선택적으로 콘솔(200)로 출력한다. 이를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400)단계에서 출력 타스크(100)는 계층 2 처리부(106)가 메시지를 제공하는지를 검색한다. 이때 계층 2 처리부(106)가 메시지를 제공하면 출력 타스크(100)는 (404)단계로 진행하여 모니터가 출력할 메시지 정보로서 제1메시지 종류를 선택하였는지를 검색한다. 이때 출력 타스크(110)는 모니터가 제1메시지 종류를 선택하였으면 (406)단계로 진행하여 계층 2 처리부(106)가 제공한 메시지가 계층 3의 프로토콜 메시지인지를 검색한다. 이때 출력 타스크(110)는 계층 2 처리부(106)가 제공한 메시지가 계층 3의 프로토콜 메시지이면 (416)단계로 진행하여 모니터가 선택한 출력 형태대로 그 메시지를 콘솔(200)에 출력한다.
상기 (404)단계에서 출력 타스크(100)는 사용자가 제1메시지 종류를 선택하지 않았으면 (408)단계로 진행하여 제2메시지 종류를 선택하였는지를 검색한다. 상기 출력 타스크(100)는 모니터가 제2메시지 종류를 선택하였으면 (410)단계로 진행하여 제공된 메시지가 모니터가 미리 선택해둔 프로토콜에 대한 것인지를 검색한다. 이때 제공된 메시지가 모니터가 미리 선택해둔 프로토콜에 대한 것이면 출력 타스크(100)는 (416)단계로 진행하여 모니터가 미리 선택해둔 출력형태대로 그 메시지를 콘솔(200)에 출력한다.
상기 (408)단계에서 출력 타스크(110)는 모니터가 제2메시지 종류를 선택하지 않았으면 (410)단계로 진행하여 모니터가 제3메시지 종류를 선택하였는지를 검색한다. 상기 모니터가 제3메시지 종류를 선택하였으면 출력 타스크(110)는 (412)단계로 진행하여 제공된 메시지가 호관련 메시지인지를 검색한다. 이때 출력 타스크(110)는 제공된 메시지가 호관련 메시지이면 (416)단계로 진행하여 모니터가 미리 선택해둔 출력형태대로 그 메시지를 콘솔(200)에 출력한다.
상기 (410)단계에서 출력 타스크(110)는 모니터가 제3메시지 종류를 선택하지 않았으면 제4메시지 종류를 선택한 것으로 판단하여 (414)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414)단계에서 출력 타스크(110)는 제공된 메시지가 모니터가 미리 선택해둔 가입자 포트에 대한 것인지를 검색한다. 이때 출력 타스크(110)는 제공된 메시지가 미리 선택해둔 가입자 포트에 대한 것이면 (416)단계로 진행하여 모니터가 미리 선택해둔 출력형태대로 그 메시지를 콘솔(200)에 출력한다.
이제 모니터가 미리 선택해둔 출력형태대로 그 메시지를 콘솔(200)에 출력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출력 타스크(110)는 모니터가 미리 제1메시지 출력형태를 선택하였는지를 검색한다. 이때 출력 타스크(110)는 모니터가 제1메시지 출력형태를 선택하였으면 (418)단계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428)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418)단계에서 출력 타스크(110)는 모니터가 제1부가정보 출력을 선택하였는지를 검색한다. 이때 출력 타스크(110)는 모니터가 제1부가정보 출력을 선택하였으면 (420)단계로 진행하여 제공된 메시지 및 변수값을 16진수 형태로 표시한다. 이와달리 모니터가 제1부가정보 출력을 선택하지 않았으면 출력 타스크(110)는 (422)단계로 진행하여 모니터가 제2부가정보 출력을 선택하였는지를 검색한다. 상기 출력 타스크(110)는 모니터가 제2부가정보 출력을 선택하였으면 (424)단계로 진행하여 제공된 메시지 및 해당 계층 2 메시지를 16진수형태로 콘솔(200)에 출력한다. 이와달리 모니터가 제2부가정보 출력을 선택하지 않았으면 출력 타스크(110)는 (426)단계로 진행하여 제공된 메시지를 16진수형태로 표시한다.
상기 (428)단계에서 출력 타스크(110)는 모니터가 제1부가정보 출력을 선택하였는지를 검색한다. 이때 출력 타스크(110)는 모니터가 제1부가정보 출력을 선택하였으면 (430)단계로 진행하여 제공된 메시지를 파싱하여 그 메시지 및 변수값을 내용중심으로 콘솔(200)에 출력한다. 이와같이 메시지 및 변수값을 내용중심으로 콘솔(200)에 출력한 예를 도시한 도 4를 참조하면, TIME 항목에는 발생시각을 분:초:밀리초 단위로 표시되며, DIRECTION 항목에는 해당 메시지가 엑세스 망 장치에서 교환기로 전송되는 메시지인지, 교환기에서 엑세스 망 장치로 전송되는 메시지인지가 표시되며, MsgId 항목에는 계층 2나 계층 3에서의 메시지 이름이 표시된다. EF/L3 항목에는 계층 2 자체 메시지인 경우에 계층 3의 프로토콜인 PSTN, 제어, BCC, 링크제어, 보호 프로토콜을 각각 가르키는 8176부터 8180이 표시되거나, ISDN 가입자 포트 어드레스를 가르키는 8175 이하의 값이 표시될 수 있다. 또한 EF/L3 항목에는 계층 3 메시지인 경우에 5개의 프로토콜의 L3 어드레스 부분이 표시되면다. 여기서 L3 어드레스는 각 프로토콜마다 의미가 다르게 사용되는데, PSTN 프로토콜에서 L3 어드레스는 PSTN 가입자 포트 번호를 가리킨다. HDLC 항목에는 모든 2048Kbit/sec 링크상의 각각의 통신 채널에 할당된 논리적인 값이 표시된다. 그리고 계층 2에서만 사용하는 변수인 CR, PE, NS, NR 항목들에는 메시지의 생성지가 엑세스 망 장치인지 교환기인지를 나타내는 정보가 표시되고, 다음에 보낼 계층 3 정보의 존재유무나, 시퀀스 번호가 표시된다. 상기 다음에 보낼 계층 3 정보의 존재유무나 시퀀스 번호는 메시지 분실이나 순서를 확인할 때에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출력 타스크(110)는 (428)단계에서 모니터가 제1부가정보 출력을 선택하지 않았으면 (432)단계로 진행하여 모니터가 제2부가정보 출력을 선택하였는지를 검색한다. 상기 출력 타스크(110)는 모니터가 제2부가정보 출력을 선택하였으면 (434)단계로 진행하여 제공된 메시지를 파싱하여, 그 메시지 및 해당 계층 2 메시지를 내용중심으로 콘솔(200)에 출력한다. 이러한 경우에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메시지 및 해당 계층 2 메시지까지 콘솔(200)에 출력된다.
상기 (432)단계에서 출력 타스크(110)는 모니터가 제2부가정보 출력을 선택하지 않았으면 (436)단계로 진행하여 제공된 메시지를 파싱하여 그 메시지의 내용중심으로 콘솔(200)에 출력한다. 이러한 경우에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계층 2에서만 사용하는 변수나, 계층 2 메시지 등을 제외하고 메시지만이 콘솔(200)에 출력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고가의 모니터링장치를 구비하지 않아도 V5.2 프로토콜로 통신하는 교환기와 엑세스 망 장치에서 계층 2, 계층 3 메시지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모니터가 원하는 대로 메시지의 출력양식을 선택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고가의 모니터링 장치를 구비하지 않아도 V5.2 프로토콜로 통신하는 교환기와 엑세스 망 장치에서 계층 2, 계층 3 메시지를 모니터링할 수 있고, 모니터가 원하는 대로 메시지의 출력양식을 선택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2)

  1. 브이 5.2 프로토콜 메시지의 모니터링 방법에 있어서,
    계층 2 처리부가 계층 3 처리부와 브이 5.2 인터페이스간에 송수신되는 메시지를 출력 타스크에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출력 타스크가 계층 2 처리부로부터 메시지를 제공받으면 그 메시지를 콘솔로 출력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이 5.2 프로토콜 메시지의 모니터링 방법.
  2. 브이 5.2 프로토콜 메시지의 모니터링 방법에 있어서,
    계층 2 처리부가 계층 3 처리부와 브이 5.2 인터페이스 및 아이에스디엔 가입자 포트간에 송수신되는 메시지를 출력 타스크에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출력 타스크가 모니터로부터 미리 출력할 메시지와 그 메시지의 출력 형태에 대한 선택정보를 제공받아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출력 타스크가 상기 계층 2 처리부로부터 메시지를 제공받으면, 그 메시지가 모니터가 미리 출력할 메시지로 선택해둔 메시지인지를 검색하는 단계와,
    상기 출력 타스크가 상기 메시지를 출력할 메시지로 선택해둔 메시지이면 그 메시지를 상기 모니터가 미리 출력할 메시지 형태로 콘솔로 출력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이 5.2 프로토콜 메시지의 모니터링 방법.
KR1019990032176A 1999-08-05 1999-08-05 브이 5.2 프로토콜 메시지의 모니터링 방법 KR2001001694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2176A KR20010016942A (ko) 1999-08-05 1999-08-05 브이 5.2 프로토콜 메시지의 모니터링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2176A KR20010016942A (ko) 1999-08-05 1999-08-05 브이 5.2 프로토콜 메시지의 모니터링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16942A true KR20010016942A (ko) 2001-03-05

Family

ID=196063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32176A KR20010016942A (ko) 1999-08-05 1999-08-05 브이 5.2 프로토콜 메시지의 모니터링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016942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95085A (en) Communication link identifier
KR950003108B1 (ko) 분배 제어 스위칭 시스템
US4878216A (en) Method for management of logical channels for ISDN packet service
CA1331802C (en) Modularly structured digital communications system having operations-oriented and security-oriented components
EP0616476A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stablishing connections in a communication access network
US5329572A (en) Dial-up switching and transmission of broadband communication channels through a local exchange
US6370232B1 (en) Procedure and system for ensuring emergency communication
EP0594244B1 (en) Communication system and a private branch exchange to be used in such a communication system
US6157640A (en) Providing feature logic control in parallel with voice over a single subscriber access
CN1240248C (zh) 本地交换
JP3024833B2 (ja) Isdn電子交換機の内線代表方式
US6728338B1 (en) Utilization of communication channels between a central office switch and a law enforcement agency
KR20010016942A (ko) 브이 5.2 프로토콜 메시지의 모니터링 방법
JPH06205004A (ja) 迅速にデータ交換するプロセスおよび装置
KR100320275B1 (ko) 위성통신시스템용 아날로그 트렁크 인터페이스장치
KR950008219B1 (ko) 종합정보통신망(isdn) 패킷처리장치
CN1271223A (zh) 在网络管理系统之间共享数据的装置和方法
JP3240962B2 (ja) Isdn通信装置
KR100229547B1 (ko) 종합 정보 통신망(isdn)에서의 지연등화 프로토콜을 위한 호 동기 지시 프리미티브 처리 방법
KR100342486B1 (ko) 다중화장치에서 종합정보통신망 가입자의 디지털 루프캐리어서비스방법
KR100209434B1 (ko) 종합 정보 통신망(isdn)에서의 지연등화 프로토콜을 위한 채널 절단 요구 프리미티브 처리 방법
KR100209811B1 (ko) 종합 정보 통신망(isdn)에서의 지연등화 프로토콜을 위한 채널 실패 지시 프리미티브 처리 방법
JP3462738B2 (ja) 2mi/fの制御チャネルによる接続制御方式および該接続制御方式用多重化装置
KR20010028719A (ko) 브이 5.2 피 에스 티 엔 프로토콜 메시지를 이용한 자원 해제방법
GB2366127A (en) Automatically configuring telephone apparatus connected to a digital networ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