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16711A - 급수전용 통수방향 절환밸브 - Google Patents

급수전용 통수방향 절환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16711A
KR20010016711A KR1019990031740A KR19990031740A KR20010016711A KR 20010016711 A KR20010016711 A KR 20010016711A KR 1019990031740 A KR1019990031740 A KR 1019990031740A KR 19990031740 A KR19990031740 A KR 19990031740A KR 20010016711 A KR20010016711 A KR 200100167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water supply
valve body
switching valve
val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317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영옥
Original Assignee
권영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영옥 filed Critical 권영옥
Priority to KR10199900317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016711A/ko
Publication of KR200100167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16711A/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1/00Fluid-delivery valves, e.g. self-closing valves
    • F16K21/02Fluid-delivery valves, e.g. self-closing valves providing a continuous small flow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4Water-basin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to wash-basins or bath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1/00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 F16K11/02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 F16K11/022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comprising a deformable member
    • F16K11/025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comprising a deformable member with an O-ring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2201/00Details, devices or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3C2201/30Diverter valves in faucets or ta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Multiple-Way Val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방의 급수전 선단에 설치되는 절환밸브의 구성요부인 작동구와 밀폐구를 분리구성하는 것에 의해 공급되는 물을 직수 또는 샤워수로 변환하는 작업을 보다 신속 간편하게 이루어지게 함으로써, 급수전의 사용성을 좋게 하는 동시에 필요에 따라 수도직결식 정수기에 대한 물공급을 간편히 할 수 있게 한 것으로, 급수전(1)내부의 유로(11)와 직수로(13) 및 샤워수로(14)가 서로 연통되게 형성된 절환밸브안치부(12)에 외면에 다수의 O링(4)을 설치한 밸브본체(3)의 나선부(32)가 체결되도록 한 통상의 급수전용 통수방향절환밸브(A)에 있어서, 상기 밸브본체(3)의 나선부(32)일측으로는 내부와 연통되게 연통공(31)을 대향 형성하고 타측에는 다각형상의 개구(33)를 형성하되, 이 밸브본체(3)내부에는, 일단에 손잡이 연결부(51)를 형성하고 중앙부에는 다수의 O링(4)을 설치하며 하단에는 외면에 나선부(52)를 형성한 작동구(5)를 끼워 설치하고, 이 작동구(5)의 상기 나선부(52)에는 일측에 패킹(61)을 설치한 다각형의 끼움부(63)를 갖는 밀폐구(6)내면의 나선부(62)가 체결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수전용 통수방향 절환밸브이다.

Description

급수전용 통수방향 절환밸브{water flow direction change valve}
본 발명은 급수전(給水栓)용 통수방향 절환밸브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주방의 급수전 선단에 설치되는 절환밸브의 구성요부인 작동구와 밀폐구를 분리구성하는 것에 의해 공급되는 물을 직수 또는 샤워수로 변환하는 작업을 보다 신속 간편하게 이루어지게 함으로써, 급수전의 사용성을 좋게 하는 동시에 주부의 가사노동량을 그만큼 줄일 수 있게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방급수전을 통해 공급되는 물을 직수 또는 샤워수로 선택 공급되게 하기 위해 주방급수전 선단에 통수방향 절환밸브를 설치하여 사용하고 있는바, 이들 절환밸브는 상단이 외부손잡이와 연결되고 하단에는 밀폐구를 설치한 상태에서 밸브본체내에서 승하강 작동되도록 외면에 나선돌기를 형성한 작동구가 단일체로 형성될 뿐만 아니라, 그 승하강 작동도 작동구를 회전 작동시킴에 따라 작동구로 하여금 본체내면에 형성된 나선홈을 타고 그대로 승하강 되도록 하고 있는 것이었다.
그러나 이와같은 종래의 절환밸브는, 하단에 밀폐구를 부착한 단일체로 되는 작동구의 승하강 동작이 외부손잡이의 회전조작에 의해 본체의 내면의 나선홈을 타고 승하강되도록 하는 것이므로, 작동구외면에 형성된 나선부가 결합되는 본체내면의 나선홈이 본체의 구성특성상 피치가 짧게 형성될 수 밖에 없으므로 작동구에 대한 목적한 만큼의 승하강 작동을 위해서는 그만큼 외부손잡이를 많이 회전시켜야만 작동구가 정해진 거리만큼 승하강 이동 되면서 밸브 본체내부의 유로를 선택적으로 변환시켜 주게 되어 목적한 직수 또는 샤워수로 공급되게 되는 것이어서, 주부들이 주방에서 급수전을 이용하는 과정에서 그만큼 가사노동의 양이 증가될 뿐만 아니라 급수전에 대한 통수방향의 전환이 신속하게 이루어지지 않게 되어 그만큼 급수전 사용에 불편을 느낄 수 밖에 없는 문제가 있는 것이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같이 통수방향 전환을 위한 작동구의 외부손잡이 조작이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없는데 따라 많은 문제점을 야기할 수 밖에 없었던 종래의 급수전용 통수방향 절환밸브가 지닌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밸브본체내부에서 승,하강 동작하는 작동구를 단일체가 아닌 밀폐구와 작동구로 구분 구성하여 밀폐구로 하여금 밸브본체내면에 유동가능하게 끼워진 상태에서 작동구의 회전동작에 의해 작동구 외면에 끼워진채 승하강토록 함으로써 작동구 선단에 설치되는 외부손잡이의 적은 양의 회전동작만으로도 밀폐구가 작동구외면에 끼워진 상태에서 충분히 승하강 되도록 함으로써 주부들로 하여금 신속하고 간편하게 급수전에 대한 통수방향을 직수 또는 샤워수 상태로 변환시켜 사용할 수 있게 한 급수전용 통수방향 절환밸브를 제공함에 있으며,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실내에 수도직결식 정수기를 설치할때 급수전을 해체한 후 별도의 분기관을 설치한후 이 분기관에 연결호스를 연결하여 수도직결식 정수기와 연결되게 하는 불편을 해소할 수 있도록 기 설치된 급수전을 해체하지 않고서도 급수전에 간편히 절환밸브를 장착 설치하여 별도의 유로가 하나더 확보되게 함으로써 급수전과 함께 실내에 설치된 수도직결식 정수기에도 수도물이 공급되게 하여 수도직결식 정수기를 신속하고 간편하게 저렴한 비용으로 실내에 설치할 수 있도록 한 급수전용 통수방향 절환밸브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절환밸브가 설치되는 급수전의 단면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절환밸브가 급수전에 설치된 상태의 작동상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절환밸브의 다른 실시예의 분해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절환밸브의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다른 실시예의 절환밸브가 설치되는 급수전의 일부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다른실시예의 절환밸브가 설치된 상태의 사시도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다른실시예의 절환밸브가 급수전에 설치된 상태의 작동상태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급수전 3: 밸브본체 4: O링
5: 작동구 6: 밀폐구 31: 연통공
31': 연결코크 32: 나선부 33: 개구
51: 손잡이 연결부 52, 62: 나선부 61: 패킹
63: 끼움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의한 급수전용 통수방향 절환밸브는, 급수전(1)내부의 유로(11)와 직수로(13) 및 샤워수로(14)가 서로 연통되게 형성된 절환밸브안치부(12)에, 외면에 다수의 O링(4)을 설치한 밸브본체(3)의 나선부(32)가 체결되도록 한 통상의 급수전용 통수방향 절환밸브(A)에 있어서,
상기 밸브본체(3)의 나선부(32)일측으로는 내부와 연통되게 연통공(31)을 대향 형성하고 타측에는 다각형상의 개구(33)를 형성하되, 이 밸브본체(3)내부에는, 일단에 손잡이 연결부(51)를 형성하고 중앙부에는 다수의 O링(4)을 설치하며 하단에는 외면에 나선부(52)를 형성한 작동구(5)를 끼워 설치하고, 이 작동구(5)의 상기 나선부(52)에는 일측에 패킹(61)을 설치한 다각형의 끼움부(63)를 갖는 밀폐구(6) 내면의 나선부(62)가 체결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절환밸브의 대표적예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절환밸브의 대표적예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대표적인 예의 절환밸브가 설치되는 급수전의 단면도이고,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대표적인 예의 절환밸브가 급수전에 설치된 상태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로서 그 구성은, 크게 밸브본체(3)와 작동구(5)와 밀폐구(6)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밸브본체(3)는 그 일단의 나선부(32)로 하여금 급수전(1)내부의 절환밸브안치부(12)내에 체결, 설치되어 유로(11)와 직수로(13) 또는 유로(11)와 샤워수로(14)가 선택적으로 서로 연통되도록 외면에는 유로역활을 하는 연통공(31)을 대향 형성함과 동시에 그 일측에는 각각 O링(4)을 설치하여 급수전(1)내벽에 대한 밸브본체(3)의 기밀을 유지할 수 있게 하고 있으며, 그 말단에는 본체(3)내부와 연통되는 다각형상의 개구(33)을 형성하고 있다.
상기한 작동구(5)는 그 일단의 손잡이 연결부(51)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멈춤링(9)에 의해 상기 밸브본체(3)내부공간에 끼워져 설치되는 것으로, 이때 그 외면에 설치된 다수 O링(4)은 밸브본체(3)의 내주면에 밀접된 상태로 되므로 밸브본체(3) 내,외부를 밀봉상태로 유지되게 한다. 또한 상기 작동구(5)는 그 타단에 나선부(52)를 형성하여 이 나선부(52)에 별도의 밀폐구(6)가 체결, 설치된다.
상기한 밀폐구(6)는 밸브본체(3)의 개구(33)에 유동가능한 상태로 끼워질 수 있도록 다각형으로 되는 끼움부(63)의 내주면에 상기 작동구(5)의 나선부(52)가 체결 결합되는 나선부(62)를 형성하고, 상기 끼움부(63)일측에는 고무재로 되는 패킹(61)을 설치하여 이 패킹(61)으로 하여금 작동구(5)의 회전동작에 의해 급수전(1)의 밸브안치부(12)에 형성되는 직수로(13)를 차단, 또는 개방상태로 되도록 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되어 급수전(1)의 밸브안치부(12)에 밸브본체(3)가 설치되고, 이 밸브본체(3)의 내부에 작동구(5)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됨과 동시에 이 작동구(5)하단의 나선부(52)에 급수전(1)의 직수로(13)를 차단 또는 연통상태로 유지하기 위한 밀폐구(6)가 진퇴가능하게 설치되게 한 상태에서, 우선 조절손잡이(8)를 직수형태로 선택한후 급수전(1)의 메인밸브(7)를 열어 급수전(1)의 유로(11)에 대해 통수상태로 하게 되면, 유로(11)를 통해 공급되는 물은 밀폐구(6)가 들어올려져 패킹(61)이 밸브본체(3)하단의 개구(33) 단부에 밀접된 상태로 되므로 물이 본체(3)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막는 동시에 급수전(1)의 직수로(13)를 개방상태로 두고 있음으로 인해 유로(11)를 통해 공급되는 물은 그대로 밸브본체(3)의 직수로(13)를 통해 직수형태로 공급되게 된다.
이렇게 직수상태로 공급되는 물을 샤워수형태로 공급받기 위해 조절손잡이(8)를 회전시키게 되면, 작동구(5)가 회전되면서 이 작동구(5)일측의 나선부(52)에 내면의 나선부(62)가 체결된 밀폐구(6)는 자연스럽게 이동하여 그 일측의 패킹으로 하여금 급수전(1)내부의 직수로(13)를 밀폐 차단하게 되면서 공급되는 물은 밸브본체(3)와 밀폐구(6)의 패킹(61)상면사이의 공간을 통해 밸브본체(3)내부로 유입되고, 이렇게 밸브본체(3)내부로 유입된 물은 그대로 밸브본체(3)에 대향 연통형성된 연통공(31)을 통해 샤워수로(14)를 거쳐 샤워수로(14)선단개구에 설치된 샤워수노즐(14a)을 통해 급수전(1)외부로 샤워수형태로 배출되게 된다.
이와같이 샤워수형태로 배출되는 물을 다시 직수형태로 배출되도록 하기 위해 작동구선단의 손잡이연결부(51)에 연결된 손잡이(8)를 반대로 회전시키게 되면, 작동구(5)의 회전에 따라 그 일측의 나선부(52)에 체결 결합된 밀폐구(6)는 다시 이동하면서 그 일측의 패킹(6)으로 하여금 밸브본체(3)와 패킹(61) 사이에 형성되었던 공간부를 폐쇄하게 됨과 동시에 차단하고 있던 직수로(13)를 다시 개방상태로 하여 유로(11)를 통해 공급되는 물은 밸브본체(3) 내부로의 유입이 차단됨과 동시에 직수로(13)를 통해 직수형태로 급수전(1)외부로 공급되게 된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의한 절환밸브(A)의 대표적인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이와는 다른 실시에로서, 밸브본체(3)에 연통공(31)을 형성하지 않고, 대신 밸브본체(3) 외면에 그 내부공간과 연통되게 연결코크(31')를 설치하여 앞서 설명한 작동구(5)와 밀폐구(6)를 상기 밸브본체(3)내부에 설치하여 밸브본체(3)내부로 유입된 물이 연결코크(31')를 통해 수도직결식 정수기(도시생략)에 공급되도록 한 다른실시예로서의 절환밸브(A')로 구성할수도 있다.
상기한 다른 실시예에 의한 절환밸브(A')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절환밸브의 다른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절환밸브의 다른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절환밸브가 설치되는 급수전의 일부 단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다른실시에의 절환밸브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절환밸브가 급수전에 설치된 상태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상기한 밸브본체(3)는 그 일측의 나선부(32)로 하여금 급수전(1)일측의 냉수 수량조절부(111)에 기 설치된 조절변(111a)을 제거한후 그 자리에 체결, 설치되는 것으로, 외부에 별도의 유로역활을 하는 연결코크(31')를 밸브본체(3)내부와 연통되게 부착 설치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되는 본 발명의 다른실시예의 절환밸브(A')를 급수전(1)의 냉수수량조절부(111)에 조절변(111a)대신 밸브본체(3)가 체결되게 설치한후 밀폐구(6)의 패킹(61)으로 하여금 본체(3)말단의 개구(33)와의 간격(틈새)을 밀폐시킨 상태에서, 타단이 실내의 수도직결식 정수기(도시생략)의 급수부에 연결 설치된 별도의 연결호스(31a)의 일단을 상기 연결코크(31')에 연결한 후 메인밸브를 열어 급수전(1)에 대해 통수상태로 되게 하면, 냉수수량조절부(111)를 통해 급수전(1)내부의 유로로 공급되는 물은 이 냉수수량조절부(111)에 장착된 선택밸브(A')의 영향을 전혀 받지 않고 그대로 급수전(1)을 통해 공급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연결호스(31a)에 의해 급수전(1)의 절환밸브(A')와 연결된 정수기에 대해 물을 공급하고자 할때에는, 급수전(1)의 냉수수량조절부(111)에 장착 설치된 밸브본체(3)내의 작동구(5)의 손잡이 연결부(51)에 설치된 조절손잡이(8)를 회전시키게 되면 작동구(5)가 회전되면서 이 작동구(5)일측의 나선부(52)에 내면의 나선부(62)가 체결된 밀폐구(6)의 패킹(61)이 본체(3)의 끝단으로 부터 밀려나면서 밸브본체(3)와 밀폐구(6)의 패킹(61)면 사이에 공간(틈새)을 형성하게 되고 이 공간을 통해 밸브본체(3)내부로 유입되는 물은 다시 밸브본체(3)에 외부에 그 내부와 연통되게 설치된 연결코크(31')를 통해 연결호스(31a)로 공급되게 되어 이후 수도직결식 정수기에 대한 지속적인 물공급이 이루어지게 되어 수도직결식 정수기를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연결코크(31')를 통해 연결호스(31a)로 공급되는 물의 양을 사용자가 조절할 수 있는 것으로, 이는 연결코크(31')에 대한 물공급을 차단할 목적으로 본체(3)의 개구단부와 접촉상태인 밀폐구(6)의 패킹(61)일면과 본체(3)의 개구단부와 간격(틈새)을 조절손잡이(8)를 돌려가며 조절하는 것에 의해 이루어지게 된다.
이와같이 하여 수도직결식 정수기측으로 배출되는 물을 필요에 따라 차단하려 할 경우에는, 작동구(5)선단의 손잡이 연결부(51)에 연결된 조절손잡이(8)를 반대로 회전시키게 되면, 작동구(5)의 회전에 따라 그 일측의 나선부(52)에 체결 결합된 밀폐구(6)는 다시 밸브본체(3)측으로 당겨지면서 패킹(6)으로 하여금 밸브본체(3)와 패킹(61)사이에 형성되었던 공간부를 폐쇄하게 되므로 냉수수량조절부(111)를 통해 공급되는 물은 연결코크(31)외부로 유출되지 않고 급수전(1)내부를 통해 그대로 급수전(1)외부로 공급되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상기 조절손잡이(8)에 의해 회전동작되는 작동구(5)의 회전에 따라 그 일측에 체결, 결합된 상태에서 진퇴작동되는 밀폐구(6)의 진퇴동작은, 밀폐구(6)의 다각형 형태로 되는 끼움부(63)가 밸브본체(3)내부의 역시 다각형 형상의 개구(33)에 끼워진 상태에서 작동구(5)의 회전력이 밀폐구(6)에 전달되게 되더라도 밀폐구(6)자체의 회전은 억제된 상태에서 작동구(5)와 밀폐구(6)양자가 나선부(52)(62)에 의해 결합되어 있음으로 인해 작동구(5)의 회전력은 자연스럽게 밀폐구(6)에 대한 진,퇴 작동력으로 작용하여 밀폐구(6)가 작동구(5)의 적은 회전량만으로도 큰 행정으로 동작하게 되어 직수와 샤워수를 선택하거나 또는 다른 실시에에서의 연결코크(31')로의 물의 공급과 차단 또는 그 공급량의 조절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비록 상기의 실시예에 한하여 설명하였지만 반드시 여기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범주와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상의 설명에서 분명히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급수전용 통수방향 절환밸브에 의하면, 급수전을 통해 공급되는 물의 형태를 직수 또는 샤워수 형태로 선택 변환하기 위한 밀폐구를 나선부에 의해 서로 결합된 작동구의 회전에 의해 보다 신속하고 정확하게 이동 동작이 이루어지게 함으로써 주방에서의 직수 또는 샤워수형태로 변환하기 위한 급수전의 사용을 한결 쉽게 하여 급수전제품의 상품성을 높이는 동시에 급수전을 통해 공급되는 물의 일부를 수도직결식 정수기로 공급되게 하기 위해 기 설치된 급수전을 해체하지 않고서도 급수전의 냉수수량조절부에 간단히 장착 설치한 상태에서 본체 내,외부를 연통상태로 유지하는 연결코크를 통해 선택적으로 급수전으로 공급되는 물의 일부가 외부로 유출되게 하는 것에 의해 수도직결식 정수기에 대한 물공급을 위한 부대설치공사를 보다 간편하고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게 함으로써 가정에서 수도직결식 정수기를 보다 저렴하게 설치사용할 수 있게 되어 양질의 정수기를 제공받을 수 있게 된다.

Claims (2)

  1. 급수전(1)내부의 유로(11)와 직수로(13) 및 샤워수로(14)가 서로 연통되게 형성된 절환밸브안치부(12)에, 외면에 다수의 O링(4)을 설치한 밸브본체(3)의 나선부(32)가 체결되도록 한 통상의 급수전용 통수방향절환밸브(A)에 있어서,
    상기 밸브본체(3)의 나선부(32)일측으로는 내부와 연통되게 연통공(31)을 대향 형성하고 타측에는 다각형상의 개구(33)를 형성하며, 상기 밸브본체(3)내부에는, 일단에 손잡이 연결부(51)를 형성하고 중앙부에는 다수의 O링(4)을 설치하며 하단에는 외면에 나선부(52)를 형성한 작동구(5)를 끼워 설치하고, 이 작동구(5)의 상기 나선부(52)에는 일측에 패킹(61)을 설치한 다각형의 끼움부(63)를 갖는 밀폐구(6)내면의 나선부(62)가 체결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수전용 통수방향 절환밸브.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밸브본체(3)에 연통공(31)을 형성하는 대신에 외면에, 그 내부공간과 연통되게 연결코크(31')를 설치하여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수전용 통수방향 절환밸브.
KR1019990031740A 1999-08-02 1999-08-02 급수전용 통수방향 절환밸브 KR2001001671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1740A KR20010016711A (ko) 1999-08-02 1999-08-02 급수전용 통수방향 절환밸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1740A KR20010016711A (ko) 1999-08-02 1999-08-02 급수전용 통수방향 절환밸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16711A true KR20010016711A (ko) 2001-03-05

Family

ID=196060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31740A KR20010016711A (ko) 1999-08-02 1999-08-02 급수전용 통수방향 절환밸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01671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114234A2 (ko) * 2009-03-30 2010-10-07 Kim Jong Koo 수도밸브카트리지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114234A2 (ko) * 2009-03-30 2010-10-07 Kim Jong Koo 수도밸브카트리지
WO2010114234A3 (ko) * 2009-03-30 2011-01-06 Kim Jong Koo 수도밸브카트리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589297A1 (en) Faucet spray head
US4805661A (en) Faucet valve with anti-siphon back flow preventer
CA2001734C (en) Pipe interruptor
US10730060B2 (en) Convenient switching valve
CA2289388C (en) Faucet side spray diverter
US4989640A (en) Diverter valve
US7373952B2 (en) Sanitary outflow fitting
JP4002592B2 (ja) 吐水装置
US4286623A (en) Faucet control device
US3460571A (en) Handle valve
KR20010016711A (ko) 급수전용 통수방향 절환밸브
JP2007032271A (ja) 水栓装置
AU2005303988A1 (en) Concealed sanitary fitting
US4050475A (en) Mixing faucet
EP2459909B1 (en) Fluid delivery system
US6808123B2 (en) Mixing faucet having multiple discharges
KR200165991Y1 (ko) 급수전용 유로선택밸브
KR200165990Y1 (ko) 급수전용 통수방향 절환밸브
CN221075405U (zh) 一种双通道出水水嘴
KR200444870Y1 (ko) 비데용 콘트롤밸브의 유로선택 조절장치
KR200396838Y1 (ko) 토출 수량 조절밸브를 갖는 수도밸브
CN112576783B (zh) 用于水龙头的切换截止阀与水龙头
KR200289789Y1 (ko) 온도조절밸브
CN220060622U (zh) 一种单把双控双出水的厨房龙头
KR100896076B1 (ko) 비데용 콘트롤밸브의 절환밸브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