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16173A - 입력 메세지를 이용한 웹 상에서의 화면 공유 방법 - Google Patents

입력 메세지를 이용한 웹 상에서의 화면 공유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16173A
KR20010016173A KR1020000068713A KR20000068713A KR20010016173A KR 20010016173 A KR20010016173 A KR 20010016173A KR 1020000068713 A KR1020000068713 A KR 1020000068713A KR 20000068713 A KR20000068713 A KR 20000068713A KR 20010016173 A KR20010016173 A KR 200100161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message
input message
terminal
scre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687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연택
Original Assignee
오근수
주식회사 삼보정보통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근수, 주식회사 삼보정보통신 filed Critical 오근수
Priority to KR10200000687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016173A/ko
Publication of KR200100161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16173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5/00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 G06F15/16Combinations of two or more digital computers each having at least an arithmetic unit, a program unit and a register, e.g. for a simultaneous processing of several program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입력 장치의 신호를 이용한 웹 상에서의 화면 공유 방법에 관한 것으로, 웹 상에서 연결된 클라이언트 단말기와 에이전트 단말기에 있어서, 키보드나 마우스와 같은 입력 장치로부터 입력된 입력 메세지를 상호 공유함으로써, 화면을 공유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웹 상에서의 화면 공유 방법은, 일방의 단말기에 입력되는 입력 메세지를 후크하여 상대방 단말기로 전송하고, 상대방 단말기는 이를 운영 체제의 메세지 큐에 저장하여, 마치 자신의 입력 장치로부터 입력된 입력 메세지인 것처럼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입력 메세지를 이용한 웹 상에서의 화면 공유 방법{METHOD FOR SHARING THE SCREEN ON THE WEB USING THE INPUT MESSAGE}
본 발명은 입력 장치의 신호를 이용한 웹 상에서의 화면 공유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웹 상에서 연결된 클라이언트 단말기와 에이전트 단말기에 있어서, 키보드나 마우스와 같은 입력 장치로부터 입력된 입력 메세지를 후크하여 상대방 단말기로 전송하고, 상대방 단말기는 이를 운영 체제의 메세지 큐에 저장하여, 마치 자신의 입력 장치로부터 입력된 입력 메세지인 것처럼 처리함으로써, 상호 화면을 공유하는 웹 상에서의 화면 공유 방법에 관한 것이다.
웹 상에서의 화면 공유 방법은, 예컨대 웹 상에서 에이전트가 클라이언트를 에스코트(escort)하여 상품의 설명이나 상담 또는 교육을 하기 위해, 양 단말기의 화면을 동일하게 하는 방법으로서, 최근 이를 이용한 웹 상에서의 상품의 설명이나 상담 또는 교육이 상당한 효과를 발휘하고 있다.
종래의 웹 상에서의 화면 공유 방법의 일례로서, 이미지 전송을 이용한 화면 공유 방법이 있다.
도 1은 상기 이미지 전송을 이용한 화면 공유 방법을 모식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본 예에서의 이미지 전송을 이용한 화면 공유 방법은, 웹 상에서 연결된 에이전트 단말기(20)와 클라이언트 단말기(30) 중 어느 일방의 웹 브라우저에 나타난 화면 중에 변화가 발생하는 경우에, 상기 변화가 발생한 부분(21)의 이미지를 잘라낸 후, 이를 압축하여 상대방 단말기로 전송하고. 이를 전송받은 상대방 단말기는 압축을 푼 후, 화면의 해당 부분(31)에 그 이미지를 출력함으로써, 양 단말기간에 화면을 공유하게 한다.
그러나, 이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이미지의 데이터가 커서, 이를 압축하는 데에 시스템의 리소스(resource)가 많이 소요되게 되고, 결국 이를 처리하는 데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게 되며, 이를 압축하여 인터넷을 통해 상대방 단말기로 전송하는 과정에서 장애가 발생할 경우에 화면이 깨져보이는 현상이 발생한다는 문제가 있다.
종래의 또 다른 화면 공유 방법으로서, URL을 이용한 화면 공유 방법이 있다.
도 2는 상기 URL을 이용한 화면 공유 방법을 모식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인터넷을 통해 서버(10)에 접속된 에이전트 단말기(20) 또는 클라이언트 단말기(30)가 상기 서버(10)로부터 웹 페이지를 전송받기 위해서는, 이에 해당하는 URL을 직접 입력하거나, 하이퍼링크(hyper-link)된 텍스트나 이미지를 마우스로 클릭함으로써 URL을 상기 서버로 전송하여야 하는데, 본 예에서의 URL을 이용한 화면 공유 방법은 상기 URL을 상대방 단말기로도 전송하여, 이를 전송받은 상대방 단말기도 상기 서버(10)에게 상기 URL을 전송하여 해당 웹 페이지를 요청함으로써, 동일한 웹 페이지를 전송받게 되어, 양 단말기간에 화면이 동일하게 된다.
본 예에서의 URL을 이용한 화면 공유 방법은, 상기 이미지 전송을 이용한 화면 공유 방법에 비하여, URL만을 전송함으로써 처리속도가 빠르고, 에러의 발생률로 저감한다.
그러나, 최근에 회원제로 운영되는 인터넷 사이트가 증가하고, 사이버 거래상의 결제 등이 빈번해지면서, 인터넷상에서의 인증이 매우 중요한 문제로 되고 있는데, 본 예에서의 URL을 이용한 화면 공유 방법은 이러한 인터넷상에서의 인증에 있어서 문제점이 발생한다.
상기 문제점에 대하여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겠다.
웹 상에서의 서버(10)는 수 십, 수 백 이상의 단말기와 동시에 접속되는데, 이 때 상기 서버는 상기 단말기와 계속적으로 접속을 유지하는 것이 아니고, 각 단말기에서 요청(request)이 있을 때에만, 이에 대해 응답하게 된다. 그런데, 인터넷상에서의 인증이 필요한 경우에, 상기 서버는 인증된 단말기에 대하여 고유키값(예컨대 본 도에서 #1, #2, #3, #4)을 부여하고, 상기 고유키값을 부여받은 단말기는 상기 서버에게 URL을 전송함에 있어서, 상기 고유키값을 포함하는 URL을 전송하게 된다.
그런데, 이와 같은 과정에서 상기 URL을 이용한 화면 공유 방법을 사용하게 되면, 예컨대 에이전트 단말기(20)가 클라이언트 단말기(30)로 전송하는 URL에는 자신의 고유키값이 포함되게 되고(본 도에서는 URL#2로 표시하였다), 상기 에이전트 단말기(20)로부터 전송받은 URL을 이용하여 상기 서버(10)로부터 해당 웹 페이지를 요청하는 클라이언트 단말기(30)는 자신의 고유키값(#3)이 아닌 상대방(에이전트) 단말기의 고유키값(#2)을 포함하는 URL을 전송하게 된다. 따라서, 이로 인해 에러가 발생하게 되고, 인증 실패, 나아가서는 화면을 공유할 수 없게 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키보드나 마우스와 같은 입력 장치로부터 입력되는 입력 메세지를 적절히 가공하여 상대방 단말기로 전송하고, 상대방 단말기는 이를 운영 체제의 메세지 큐에 저장하여, 마치 자신의 입력 장치로부터 입력된 입력 메세지인 것처럼 처리함으로써, 처리속도가 빠르면서도, 웹 상에서의 전송과정에서 발생하는 장애로 인한 에러를 최소화하며, 인터넷상에서의 인증에 있어서도 문제없이 사용할 수 있는 안정적인 웹 상에서의 화면 공유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종래의 이미지 전송을 이용한 화면 공유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
도 2는 종래의 URL을 이용한 화면 공유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
도 3은 종래의 URL을 이용한 화면 공유 방법의 문제점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화면 공유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화면 공유 방법의 실행을 위한 구성 요소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화면 공유 방법의 흐름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흐름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례를 보다 구체적으로 도시한 흐름도,
도 8은 상기 실시예에서의 데이터 구조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a)는 LPMOUSEHOOKSTRUCT의 데이터 구조이고, (b)는 SendPacket의 데이터 구조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서버와 에이전트 단말기와 클라이언트 단말기가 인터넷을 통해 연결된 웹 상에서, 본 발명에 의한 웹 상에서의 화면 공유 방법은,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가 화면 공유를 요청하고, 상기 에이전트 단말기가 이를 승인하면, 초기 화면 정보를 공유함으로써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와 상기 에이전트 단말기의 초기 화면을 동일하게 하는 화면 초기화 단계와, 상기 에이전트 단말기 또는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에서, 운영 체제의 메세지 큐(queue)로부터 입력 메세지를 후크(hook)하는 입력 메세지 후크 단계와, 상기 입력 메세지 후크 단계에서 후크된 상기 입력 메세지가 자신의 입력 장치로부터 입력된 입력 메세지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입력 메세지 판단 단계와, 상기 입력 메세지 판단 단계에서 자신의 입력 장치로부터 입력된 입력 메세지로 판단된 입력 메세지 중에 웹 브라우저 영역 내에서의 입력 메세지만을 선별하는 입력 메세지 선별 단계와, 상기 입력 메세지 판단 단계와 상기 입력 메세지 선별 단계에서, 상기 입력 메세지가 자신의 입력 장치로부터 입력된 입력 메세지이면서 동시에 웹 브라우저 영역 내에서의 입력 메세지인 경우에만, 이를 인터넷을 통해 상대방 단말기로 전송하는 입력 메세지 전송 단계와, 상기 입력 메세지 전송 단계에서 상기 입력 메세지를 전송받은 상대방 단말기에서는, 이를 운영 체제의 메세지 큐에 저장하여, 마치 자신의 입력 장치로부터 입력된 입력 메세지인 것처럼 처리하는 입력 메세지 처리 단계와, 화면 공유의 종료 신호가 입력되면, 화면 공유를 종료하고, 그렇지 않으면, 상기 입력 메세지 후크 단계부터 다시 진행하는 화면 공유 종료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화면 초기화 단계는,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가 화면 공유를 요청하고, 상기 에이전트 단말기가 이를 승인하면,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가 URL을 상기 에이전트 단말기로 전송하여, 최초 화면을 동일하게 하는 단계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은, 상기 입력 메세지는, 상대방 단말기로부터 전송받은 입력 메세지의 경우에는 식별값이 포함되어 있고, 자신의 입력 메세지의 경우에는 식별값이 포함되어 있지 않은 입력 메세지이고, 상기 입력 메세지 판단 단계는, 상기 식별값의 유무에 의해 상기 입력 메세지가 자신의 입력 장치로부터 입력된 입력 메세지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인 것으로 된다.
여기서, 상기 식별값은, 상기 입력 메세지 전송 단계에서 상기 입력 메세지를 상대방 단말기로 전송하기 전에 부여한 식별값 또는 상기 입력 메세지 처리 단계에서 상대방 단말기로부터 전송받은 상기 입력 메세지를 메세지 큐에 저장하기 전에 부여한 식별값 중 어느 하나 인 것으로 하는 것은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으로 된다.
또한, 상기 입력 장치는 마우스이고, 이 때, 상기 입력 메세지 선별 단계는, 상기 마우스의 좌표가 웹 브라우저 영역 내인지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웹 브라우저 영역 내에서의 입력 메세지를 선별하는 단계인 것으로 하는 것은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이 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겠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웹 상에서의 화면 공유 방법의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웹 상에서의 화면 공유 방법은, 인터넷을 통해 접속되는 서버(10)와 에이전트 단말기(20)와 클라이언트 단말기(30)에 있어서, 상기 에이전트 단말기(20) 및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30)간에 키보드나 마우스와 같은 입력 장치로부터 입력되는 입력 메세지를 상호 공유함으로써, 나아가 화면을 공유하는 방법이다.
예컨대 에이전트 단말기(20)에서 마우스로 특정 URL로 하이퍼링크된 이미지를 클릭하면, 상기 마우스의 좌표와 마우스 버튼의 클릭 여부에 관한 메세지를 클라이언트 단말기(30)로 전송하고,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30)는 이를 운영 체제의 메세지 큐에 전달하여, 이것이 마치 자신의 마우스로부터 입력된 메세지인 것처럼 처리하게 된다. 결국, 양 단말기(20, 30)는 각각의 에이전트 및 클라이언트가 자신의 단말기를 가지고, 각각 입력한 것과 같은 효과를 가져오게 되어, 종래 URL을 이용한 화면 공유 방법에서와 같은 인터넷상에서의 인증에서 발생되는 문제는 본 발명에서는 발생하지 않는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웹 상에서의 화면 공유 방법의 실행을 위한 구성 요소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블럭도이다.
화면 공유가 시작되고, 키보드나 마우스와 같은 입력 장치(11)로부터 입력 메세지가 입력되면, 이를 메세지 큐(12)에 저장하고, 제어 장치(도시하지 않음)는 미리 프로그램된 운영 체제에 따라 이를 처리하게 된다. 즉, 마우스의 경우에, 그 좌표에 따라 마우스 화살표를 이동시키고, 마우스 버튼의 업/다운에 따라 특정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메세지 큐(12)에는 인터넷을 통해 상대방 단말기로부터 전송받은 입력 메세지도 저장된다. 다만, 상대방 단말기로부터 전송받은 입력 메세지에는 식별값을 부여한 후에 상기 메세지 큐(12)에 저장한다.
다음으로, 후크 모듈(13)은 상기 메세지 큐(12)에 저장된 입력 메세지를 후크(hook)하는데, 이 때, 상기 메세지 큐(12)에 저장된 입력 메세지 중에 웹 브라우저상에서 입력된 입력 메세지만을 선별하도록 한다.
다음으로, 상기 입력 메세지가 자신의 입력 장치로부터 입력된 입력 메세지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자신의 입력 장치로부터 입력된 입력 메세지 중에 웹 브라우저영역 내에서의 입력 메세지를 선별하여, 에스코트 모듈(14)로 넘긴다.
상기 선별된 입력 메세지를 넘겨받은 에스코트 모듈(14)은 상기 입력 메세지를 적절히 가공하여, 통신 접속 장치(15)를 통해 상대방 단말기로 전송한다. 상대방 단말기는 이를 전송받아 메세지 큐에 저장하고, 상기와 같은 과정을 반복하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웹 상에서의 화면 공유 방법의 흐름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웹 상에서의 화면 공유 방법은, 클라이언트 단말기가 화면 공유를 요청하고, 에이전트 단말기가 이를 승인하면, 초기 화면 정보를 공유함으로써,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와 상기 에이전트 단말기의 초기 화면을 동일하게 하는 화면 초기화 단계(S100)와, 상기 에이전트 단말기 또는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에서, 운영 체제의 메세지 큐(queue)로부터 입력 메세지를 후크(hook)하는 입력 메세지 후크 단계(S200)와, 상기 입력 메세지 선별 단계에서, 웹 브라우저 영역 내에서의 입력 메세지로 선별된 입력 메세지가 자신의 입력 장치로부터 입력된 입력 메세지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입력 메세지 판단 단계(S300)와, 상기 후크된 입력 메세지 중에 웹 브라우저 영역 내에서의 입력 메세지만을 선별하는 입력 메세지 선별 단계(S400)와, 상기 입력 메세지 판단 단계와 상기 입력 메세지 선별 단계에서 상기 입력 메세지가 자신의 입력 장치로부터 입력된 입력 메세지임과 동시에 웹 브라우저 영역 내에서의 입력 메세지인 경우에만, 이를 인터넷을 통해 상대방 단말기로 전송하는 입력 메세지 전송 단계(S500)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화면 초기화 단계에서는, 예컨대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가 화면 공유를 요청하고, 상기 에이전트 단말기가 이를 승인하면,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의 현재 URL을 상기 에이전트 단말기로 전송하여, 상기 에이전트 단말기가 이를 서버로 전송하여, 해당 웹 페이지를 전송받음으로써,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와 초기 화면을 동일하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URL을 이용하게 되면, 클라이언트가 웹 서핑 중에 궁금한 점이나 보다 상세한 설명을 원하는 등의 경우에, 현재 웹 페이지에서 화면 공유를 요청하면, 에이전트는 상기 웹 페이지를 초기 화면으로 공유하게 되어, 보다 신속하게 상담에 임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화면 초기화 단계는 상기와 같은 방법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컨대 화면 공유 시작과 동시에 미리 입력된 URL을 상기 에이전트 단말기와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로 전송하여, 양 단말기가 초기 화면을 공유하도록 하는 방법도 있을 수 있다.
상기 입력 메세지 전송 단계에서 상기 입력 메세지를 전송받은 상대방 단말기에서는, 이를 운영 체제의 메세지 큐에 저장하여, 마치 자신의 입력 장치로부터 입력된 입력 메세지인 것처럼 처리하게 되는데, 이 때, 상기 입력 메세지가 자신의 입력 메세지인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식별값을 이용하는 것이 좋으며, 이 때 식별값은 상대방 단말기로부터 전송받은 입력 메세지에 대하여는 식별값을 부여한 후 상기 메세지 큐에 저장하거나, 자신의 입력 메세지를 상대방 단말기로 전송하기 전에 식별값을 부여한 후 전송한다. 그리고 화면 공유의 종료 신호가 입력되지 않으면, 상기 입력 메세지 후크 단계부터 상기의 단계를 반복함으로써 화면을 공유하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데이터구조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본 예에서는, 마이크로 소프트(Microsoft)사의 윈도우(Window) 운영 체제하에서 입력 장치가 마우스인 경우에 있어서, 본 발명에 의한 웹 상에서의 화면 공유 방법에 의한 데이터구조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겠다.
먼저, 마우스를 움직여 좌표의 변화시키면, 소위 이벤트(event)가 발생하면, 윈도우 시스템 메세지 큐에는 상기 이벤트에 대응하는 마우스 메세지가 저장된다.
후크 모듈은 상기 윈도우 시스템 메세지 큐에 저장된 상기 마우스 메세지를 후크하여, 상기 마우스 메세지의 LPARM의 정보를 LPMOUSEHOOKSTRUCT로 변환시킨다. 상기 LPMOUSEHOOKSTRUCT의 데이터구조의 일례는 도 8a에 도시되어 있다.
다음으로, 상기 LPMOUSEHOOKSTRUCT의 dwExtraInfo필드에 식별값(예컨대 Oxffffffff)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상기 dwExtraInfo필드에 식별값이 존재하면 이는 상대방 단말기로부터 전송받은 입력 메세지라는 의미이므로 그냥 흘려 보내고, 상기 dwExtraInfo필드에 식별값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만, 상기 LPMOUSEHOOKSTRUCT에서 마우스의 좌표값인 pt.x 및 pt.y를 추출하여, 상기 좌표가 웹 브라우저 영역 내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마우스의 좌표가 웹 브라우저 영역 내인 경우에, 상기 pt.x 및 pt.y를 32비트로 변환하여 LPARAM에 넣는다.
다음으로, 상기 LPARAM에서의 마우스의 x 및 y 좌표값을 각각 SendPacket의 wparam 및 lparam에 넣고, 상기 SendPacket의 Msg에는 Mouse_move라는 이벤트를 세팅하여 상기 SendPacket을 인터넷을 통해 상대방 단말기로 전송한다.
이 때, 상기 SendPacket의 데이터구조의 일례가 도 8b에 도시되어 있다.
상기 SendPacket을 전송받은 상대방 단말기는, 다음 식에 의해 마우스의 x 및 y 좌표를 계산한다.
마우스 포인트의 x 좌표 = wparam ×65535/현재 해상도의 x값
마우스 포인트의 y 좌표 = lparam ×65535/현재 해상도의 y값
다음으로, 상기 식에 의해 구해진 마우스의 좌표값을 마우스 이벤트 함수의 파라미터에 대입하고, ExtraInfo필드에는 식별값을 대입한 후, 이를 윈도우 시스템 메세지 큐에 저장하여 처리한다.
본 실시예는 마이크로소프트사의 윈도우 운영 체제하에서, 입력 장치로서 마우스를 예로하여 구성된 것으로, 이는 본 발명에 의한 웹 상에서의 화면 공유 방법의 일례이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의한 웹 상에서의 화면 공유 방법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첫째, 데이터의 크기가 크지 않은 키보드나 마우스와 같은 입력 장치로부터 입력되는 입력 메세지를 적절히 가공하여 상대방 단말기로 전송함으로써, 이를 처리하기 위해 소요되는 시스템의 리소스가 적게 되고, 또한 이로써 처리 속도도 빠르게 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둘째, 입력 메세지의 전송 과정에서 데이터의 일부가 유실되는 등의 장애가 발생하여도, 이로 인한 에러를 최소화할 수 있다. 즉, 예컨대 마우스를 움직이는 과정에서 각각의 좌표를 전송하던 중 그 일부가 네트워크 장애등으로 인해 유실되어도, 상대방 단말기에서는 마우스의 움직임 중 일부가 잠깐동안 보이지 않게 될 뿐, 화면이 깨져보이는 등의 심각한 에러는 발생하지 않게 되어, 매우 안정적인 화면 공유를 실현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세째, 웹 상에서의 단말기간에 상호 입력 메세지를 전송하고, 상대방 단말기로부터 전송받은 입력 메세지는 운영 체제의 메세지 큐에 저장하여, 마치 그것이 자신의 입력 메세지인 것처럼 처리함으로써, 사실상 각각의 단말기가 각각의 입력 장치에 의해 단말기를 제어하는 것과 같은 효과가 발생하여, 종래 URL을 이용한 화면 공유 방법과 같은 인터넷상에서의 인증에 있어서 발생하는 문제는 발생하지 않게 되어, 인터넷상에서의 인증 과정을 필요로 하는 경우에도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네째, 입력 메세지를 공유함으로써, 웹 페이지의 공유 뿐 아니라, 마우스의 움직임까지 공유하게 되어, 웹 상에서의 상담이나 교육에 있어서 매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Claims (5)

  1. 서버(server), 에이전트(agent) 단말기, 및 클라이언트(client) 단말기가 인터넷을 통해 연결되어 있는 웹(web)상에서,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와 상기 에이전트 단말기가 상호 화면을 공유하도록 하는 웹 상에서의 화면 공유 방법에 있어서,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가 화면 공유를 요청하고, 상기 에이전트 단말기가 이를 승인하면, 초기 화면 정보를 공유함으로써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와 상기 에이전트 단말기의 초기 화면을 동일하게 하는 화면 초기화 단계와;
    상기 에이전트 단말기 또는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에서, 운영 체제의 메세지 큐(queue)로부터 입력 메세지를 후크(hook)하는 입력 메세지 후크 단계와;
    상기 입력 메세지 후크 단계에서 후크된 상기 입력 메세지가 자신의 입력 장치로부터 입력된 입력 메세지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입력 메세지 판단 단계와;
    상기 입력 메세지 판단 단계에서 자신의 입력 장치로부터 입력된 입력 메세지로 판단된 입력 메세지 중에 웹 브라우저 영역 내에서의 입력 메세지만을 선별하는 입력 메세지 선별 단계와;
    상기 입력 메세지 판단 단계와 상기 입력 메세지 선별 단계에서, 상기 입력 메세지가 자신의 입력 장치로부터 입력된 입력 메세지이면서 동시에 웹 브라우저 영역 내에서의 입력 메세지인 경우에만, 이를 인터넷을 통해 상대방 단말기로 전송하는 입력 메세지 전송 단계와;
    상기 입력 메세지 전송 단계에서 상기 입력 메세지를 전송받은 상대방 단말기에서는, 이를 운영 체제의 메세지 큐에 저장하여, 마치 자신의 입력 장치로부터 입력된 입력 메세지인 것처럼 처리하는 입력 메세지 처리 단계와;
    화면 공유의 종료 신호가 입력되면, 화면 공유를 종료하고, 그렇지 않으면, 상기 입력 메세지 후크 단계부터 다시 진행하는 화면 공유 종료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 상에서의 화면 공유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 초기화 단계는,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가 화면 공유를 요청하고, 상기 에이전트 단말기가 이를 승인하면,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가 URL을 상기 에이전트 단말기로 전송하여, 최초 화면을 동일하게 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 상에서의 화면 공유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메세지는, 상대방 단말기로부터 전송받은 입력 메세지의 경우에는 식별값이 포함되어 있고, 자신의 입력 메세지의 경우에는 식별값이 포함되어 있지 않은 입력 메세지이고,
    상기 입력 메세지 판단 단계는,
    상기 식별값의 유무에 의해 상기 입력 메세지가 자신의 입력 장치로부터 입력된 입력 메세지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 상에서의 화면 공유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값은,
    상기 입력 메세지 전송 단계에서 상기 입력 메세지를 상대방 단말기로 전송하기 전에 부여한 식별값 또는 상기 입력 메세지 처리 단계에서 상대방 단말기로부터 전송받은 상기 입력 메세지를 메세지 큐에 저장하기 전에 부여한 식별값 중 어느 하나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 상에서의 화면 공유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장치는 마우스이고,
    상기 입력 메세지 선별 단계는, 상기 마우스의 좌표가 웹 브라우저 영역 내인지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웹 브라우저 영역 내에서의 입력 메세지만을 선별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 상에서의 화면 공유 방법.
KR1020000068713A 2000-11-18 2000-11-18 입력 메세지를 이용한 웹 상에서의 화면 공유 방법 KR2001001617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68713A KR20010016173A (ko) 2000-11-18 2000-11-18 입력 메세지를 이용한 웹 상에서의 화면 공유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68713A KR20010016173A (ko) 2000-11-18 2000-11-18 입력 메세지를 이용한 웹 상에서의 화면 공유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16173A true KR20010016173A (ko) 2001-03-05

Family

ID=196998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68713A KR20010016173A (ko) 2000-11-18 2000-11-18 입력 메세지를 이용한 웹 상에서의 화면 공유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016173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79341A (ko) * 2004-04-28 2004-09-14 (주)신엠 화면공유방법 및 공유된 화면을 이용한 서비스 방법
KR100622636B1 (ko) * 2004-06-18 2006-09-14 주식회사 소프트미디어 동일 클라이언트내에서 다수의 사용자들간의 상호 정보 교환시스템
KR100946786B1 (ko) * 2007-10-04 2010-03-11 주식회사 다음커뮤니케이션 인터넷에서의 마우스 트랙킹 방법
WO2012061791A2 (en) * 2010-11-05 2012-05-10 Logmein, Inc. Network-based quick-connect meeting service
CN104899217A (zh) * 2014-03-06 2015-09-09 阿里巴巴集团控股有限公司 一种自定义功能的实现方法及装置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79341A (ko) * 2004-04-28 2004-09-14 (주)신엠 화면공유방법 및 공유된 화면을 이용한 서비스 방법
KR100622636B1 (ko) * 2004-06-18 2006-09-14 주식회사 소프트미디어 동일 클라이언트내에서 다수의 사용자들간의 상호 정보 교환시스템
KR100946786B1 (ko) * 2007-10-04 2010-03-11 주식회사 다음커뮤니케이션 인터넷에서의 마우스 트랙킹 방법
WO2012061791A2 (en) * 2010-11-05 2012-05-10 Logmein, Inc. Network-based quick-connect meeting service
WO2012061791A3 (en) * 2010-11-05 2012-09-27 Logmein, Inc. Network-based quick-connect meeting service
US8539028B2 (en) 2010-11-05 2013-09-17 Logmein, Inc. Network-based quick connect meeting service
CN104899217A (zh) * 2014-03-06 2015-09-09 阿里巴巴集团控股有限公司 一种自定义功能的实现方法及装置
CN104899217B (zh) * 2014-03-06 2018-09-25 阿里巴巴集团控股有限公司 一种自定义功能的实现方法及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72202B1 (ko) 아이 알 씨 프로토콜을 이용한 웹 공동 브라우징 시스템및 그 방법
CN100399743C (zh) 会话共享的方法与系统
US5956027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haring a web page
US7603625B2 (en) Remote support for computer or other electronic device
CA2293127A1 (en) An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rmining a program neighborhood for a client node in a client-server network using markup language techniques
KR20020097239A (ko) 인터넷 상에서 대화형 설계 회의를 진행하는 방법 및 장치
KR19990067537A (ko) 대화식 하이퍼미디윰을 작성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장치
JP2008269658A (ja) サーバシステム
US20100174789A1 (en) Restful federation of real-time communication services
CN113204730A (zh) 资源获取方法、webvpn代理服务器、系统及服务器
EP1526694B1 (en) Initiating distribution of server based content via web-enabled device
JP2007251630A (ja) リモートデスクトップ表示方法
US20100169457A1 (en) Social user script service by service proxy
JP4541028B2 (ja) Webサーバを利用した遠隔操作制御プログラム
KR20010016173A (ko) 입력 메세지를 이용한 웹 상에서의 화면 공유 방법
US7791750B2 (en) Image processing system, method of controlling the image processing system, and program for a peripheral apparatus in the system
CN108459798A (zh) 印刷装置和内容显示方法
JP3682914B2 (ja) データ通信システムおよびこれに用いるデータ処理装置、ブラウザを利用した接続維持方法、記録媒体
JP2002342270A (ja) リモートアクセス制御方法、リモートアクセス制御プログラム
JP7113518B2 (ja) Wwwサーバおよび通信制御方法
JP2005107662A (ja) Wwwシステム処理方法およびシステム
US20220337509A1 (en) Communication system,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and non-transitory recording medium
JP6824458B1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040045122A (ko) 인터넷 사이트의 자동 접속 및 로그인 시스템과 자동접속및 로그인을 위한 사이트 등재방법 및 자동접속 및 로그인실행방법
US20200264747A1 (en) Image sharing method and image sharing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