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15964A - 한자의 파자방식에 의한 입력 시스템 - Google Patents

한자의 파자방식에 의한 입력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15964A
KR20010015964A KR1020000038719A KR20000038719A KR20010015964A KR 20010015964 A KR20010015964 A KR 20010015964A KR 1020000038719 A KR1020000038719 A KR 1020000038719A KR 20000038719 A KR20000038719 A KR 20000038719A KR 20010015964 A KR20010015964 A KR 200100159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inputting
character
chinese characters
chinese charac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387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51585B1 (ko
Inventor
강상수
Original Assignee
윤용석
주식회사 팔만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용석, 주식회사 팔만시스템 filed Critical 윤용석
Priority to KR10200000387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51585B1/ko
Publication of KR200100159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159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515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51585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3Character input methods
    • G06F3/0236Character input methods using selection techniques to select from displayed i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8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riental charac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ocument Processing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한자의 파자방식에 의한 입력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하나의 한자에 대해 기본적인 파자의 음가로 분리하여 한자를 쓰는 순서대로 "+"의 방식으로 배열하여 입력시키도록 하고,
상기의 음가를 모르는 경우에는 더 작은 기본적인 파자의 음가로 분리하거나 그 획수를 사용하거나 또는 "?"나 "*"의 와일드카드를 음가와 함께 순서대로 배열하여 입력시키도록 하고,
상기의 음가, 획수 및 와일드카드들의 조합에 의하여 형성되는 한자가 디스플레이되면 그 중에서 원하는 한자를 선택하면서 간단한 방법에 의해 빠르고 쉽게 입력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한자의 파자방식에 의한 입력 시스템{System of inputting Chiness characters using disassembly of a character}
본 발명은 한자의 파자방식에 의한 입력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입력하고자 하는 한자의 기본적인 한자의 음가를 조합하여 입력시키거나 음가 대신 획수의 숫자를 입력시키면 그 파자들의 조합에 의해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한자를 디스플레이하여 그 중에서 정확한 한자를 찾아서 입력시킬 수 있도록 하여 한자를 모르는 사람이라도 빨리 정확하게 입력시킬 수 있도록 한, 한자의 파자방식에 의한 입력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한자는 표의문자이므로 이를 입력시키기 위한 방법이 매우 까다롭고, 획수와 부수를 정확하게 알지 못하는 경우에는 한자를 입력시키기가 불가능하며 획수와 부수를 알고 있는 경우라 하더라도 실수나 오타에 의하여 한자를 잘못 입력시키는 현상이 빈번하게 발생하여, 교정으로 잘못 입력시킨 한자를 수정하는 과정이 필연적으로 수행되어야 하는 실정임은 이미 잘 알려진 사실이다.
그리고 상기의 일반적인 획수와 부수에 의한 입력방법이 모든 한자를 임의로 입력시킬 수 있고 널리 이용되고 있으나, 한자의 획수와 부수를 일일이 확인하여야 하는 불편이 있음은 물론, 대체적으로 처리 시간이 너무 오래 소요되므로 중국에서 제안된 정마법과 한국에서 제안한 뿌리법을 사용자의 편리에 따라 선택적으로 입력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의 정마법과 뿌리법은 한자의 특성에 따라 입력시키도록 하여 한자를 잘모르는 사람들도 쉽게 이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반면에, 한자를 입력시킬 수 있도록 교육시키는 기간이 많이 소요되고, 한자의 모양만 보면서 입력시키므로 내용과 달라 자연스럽지 못한 경우가 많으며, 알파벳의 4자를 조합하여 입력시키는 방법이므로 동일한 입력키에 대하여 후보가 되는 한자의 수가 너무 많아 이를 고르는 데에도 어려움을 느끼게 되고, 모양에 따라 입력시키므로 후보 한자들이 많을 경우 에는 모양이 비슷해서 판별에 시간이 너무 많이 걸리게 되는 등의 단점이 있었다.
또한 음가에 의하여 한자를 입력시키는 음가 입력법이 제안되어 한자를 읽는 대로 그냥 입력시키도록 하여 자연스러운 입력이 가능하도록 하였으나, 입력시키고자 하는 한자의 음가를 모르면 전혀 입력시킬 수 없는 단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입력하고자 하는 한자의 기본적인 한자의 음가를 조합하여 입력시키거나 음가 대신 획수의 숫자를 입력시키면 그 파자들의 조합에 의해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한자를 디스플레이하여 그 중에서 정확한 한자를 찾아서 입력시킬 수 있도록 하여 한자를 모르는 사람이라도 빨리 정확하게 입력시킬 수 있도록 한, 한자의 파자방식에 의한 입력 시스템을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한자의 파자방식에 의한 입력 시스템은 하나의 한자에서 자신이 알고 있는 기본적인 파자의 음가로 분리하고,
상기의 분리한 음가를 한자를 쓰는 순서대로 "+"의 방식으로 배열하여 입력 시키도록 하고,
상기의 음가 중 모르는 음가가 있는 경우에는 이를 더 작은 기본적인 파자의 음가로 분리하여 입력시키도록 하고,
상기 파자의 음가를 모를 경우에는 모르는 음가 대신에 그 획수를 사용하면서 순서대로 배열하여 입력시키도록 하고,
상기 파자의 음가와 획수를 모를 경우에는 "?"나 "*"의 와일드카드를 음가와 함께 순서대로 배열하여 입력시키도록 하고,
상기의 음가, 획수 및 와일드카드들의 조합에 의하여 형성되는 한자가 디스플레이되면 그 중에서 원하는 한자를 선택하면서 입력시키도록 하여 원하는 한자를 간단한 방법에 의해 빠르고 쉽게 입력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동작과정을 나타낸 플로우차트.
도 3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동작을 위한 화면을 나타낸 개략도.
1 : 마이크로 프로세서 2 : 메모리
3 : 입력수단 5 : 화면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따라 상세히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으로서,
사용자가 한자입력의 메뉴를 선택하면 이를 인식한 마이크로 프로세서(1)에서 내부의 메모리(2)에 저장된 파자의 기본 음가와 획수 및 와일드카드의 정보를 읽어내고,
상기의 사용자가 키보드 등의 입력수단(3)을 통하여 입력시킨 음가와 획수 및 와일드카드들의 조합에 의해 형성될 수 있는 한자를 메모리(2)의 영역에서 읽어내고,
상기의 읽어낸 한자들을 하나의 화면(4)에 디스플레이하면서 사용자가 원하는 정확한 한자를 찾아서 입력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위와 같이 구성한 본 발명의 한자의 파자방식에 의한 입력 시스템은 입력시키고자 하는 한자들 중 하나씩의 한자에 대해 자신이 알고 있는 기본적인 파자의 음가로 분리하도록 한다(단계 11).
상기의 분리한 음가를 한자를 쓰는 순서대로 "+"의 방식으로 배열하여 입력시키도록 한다(단계 12).
상기의 음가 중 모르는 음가가 있는 경우에는(단계 13), 이를 더 작은 기본적인 파자의 음가로 분리하여 입력시키도록 한다(단계 14).
상기 파자의 음가를 모를 경우에는(단계 15), 모르는 음가 대신에 그 획수를 사용하면서 순서대로 배열하여 입력시키도록 한다(단계 16).
상기 파자의 음가와 획수를 모를 경우에는(단계 17), "?"나 "*"의 와일드카드를 음가와 함께 순서대로 배열하여 입력시키도록 한다(단계 18).
상기의 마이크로 프로세서(1)는 입력되는 음가, 획수 및 와일드카드들을 조합한 후(단계 19), 이들 조합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는 한자를 메모리(2)에서 모두 찾아서 화면(4)에 디스플레이하고(단계 20), 그 중에서 원하는 한자를 클릭하면서 선택하도록 하여(단계 21), 한자를 입력시킬 수 있도록 하여 원하는 한자를 간단한 방법에 의해 빠르고 쉽게 입력시킬 수 있도록 한다(단계 22).
일예로, 압(鴨)자를 입력시키고자 할 경우를 예로 설명하면,
갑(甲)+조(鳥)의 음가로 분리한 "갑조"를 입력시킬 수 있으며 그때에는 도 3에 도시한 것과 같은 화면이 디스플레이되므로 "압(鴨)"자를 선택하여 입력시키면 된다.
그리고 갈(乫)자의 경우에는 가(加)+을(乙)의 음가인 "가을"로 입력하거나, 력(力)+구(口)+을(乙)의 음가인 "력구을"로 입력시킬 수 있다.
이 경우에도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것과 같은 화면이 디스플레이되므로 갈(乫)자를 선택하여 입력시키면 된다.
또한 혼(渾)을 입력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수(水)와 군(軍)의 음가인 수군을 입력시켜 도 6에 도시한 것과 같은 화면이 디스플레이되므로 원하는 혼(渾)자를 선택하여 입력시키면 된다.
한편, 음가를 정확하게 모를 경우에는 번(幡)자를 입력시킬 경우와 같이 건(巾)+변()+전(田)의 음가인 "건변전"이나 "3변전"이나 "건7전" 또는 "건변5"를 입력시키면 그에 해당하는 모든 한자들이 디스플레이되므로 정확한 것을 선택하여 입력시키면 된다.
그리고 음가와 획수를 정확하게 입력시킬 수 없는 경우에는 경(輕)자를 입력시킬 경우와 같이 차(車)+일(一)+천(川)공(工)의 음가인 "차일천공"이나 "차일?공" 또는 "차일*공"을 입력시키면 그에 해당하는 모든 한자들이 디스플레이되므로 입력하고자 하는 정확한 한자를 선택하여 입력시키면 된다.
상기의 음가로 입력시킬 수 있는 파자의 종류는 도 7에 도시한 것과 같이 1획부터 19획까지의 기본 한자를 입력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한자의 파자방식에 의한 입력 시스템에 의하여서는 하나의 한자에 대해 기본적인 파자의 음가로 분리하여 한자를 쓰는 순서대로 "+"의 방식으로 배열하여 입력시키도록 하고,
상기의 음가를 모르는 경우에는 더 작은 기본적인 파자의 음가로 분리하거나 그 획수를 사용하거나 또는 "?"나 "*"의 와일드카드를 음가와 함께 순서대로 배열하여 입력시키도록 하고,
상기의 음가, 획수 및 와일드카드들의 조합에 의하여 형성되는 한자가 디스플레이되면 그 중에서 원하는 한자를 선택하면서 한자를 입력시킬 수 있도록 하여 원하는 한자를 간단한 방법에 의해 빠르고 쉽게 입력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Claims (4)

  1. 입력시키고자 하는 하나씩의 한자에 대해 자신이 알고 있는 기본적인 파자의 음가로 분리하도록 하는 단계와,
    상기의 분리한 음가를 한자를 쓰는 순서대로 "+"의 방식으로 배열하여 입력시키는 단계와,
    상기의 음가 중 모르는 음가가 있는 경우에는 이를 더 작은 기본적인 파자의 음가로 분리하여 입력시키도록 하는 단계와,
    상기 파자의 음가를 모를 경우에는 모르는 음가 대신에 그 획수를 사용하면서 순서대로 배열하여 입력시키는 단계와,
    상기 파자의 음가와 획수를 모를 경우에는 "?"나 "*"의 와일드카드를 음가와 함께 순서대로 배열하여 입력시키는 단계와,
    상기의 마이크로 프로세서(1)는 입력되는 음가, 획수 및 와일드카드들을 조합한 후 이들 조합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는 한자를 모두 찾아서 디스플레이하여 그중 원하는 한자를 선택하여 한자를 입력시킬 수 있도록 하는 단계들에 의해 수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한자의 파자방식에 의한 입력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압(鴨)자를 입력시키고자 할 경우에 갑(甲)+조(鳥)의 음가로 분리한 "갑조"를 입력시키면 "압"자를 포함하는 한자를 모두 화면에 디스플레이하여 압(鴨)자를 선택하여 입력시키도록 하거나,
    또한 갈(乫)자를 입력시키고자 할 경우에 가(加)+을(乙)의 음가인 "가을" 또는 력(力)+구(口)+을(乙)의 음가인 "력구을"로 입력시키면 갈(乫)자를 포함하는 한자를 화면에 디스플레이하여 갈(乫)자를 선택하여 입력시키도록 한 한자의 파자방식에 의한 입력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번(幡)자를 입력시키고자 할 경우에 건(巾)+변()+전(田)의 음가인 "건변전"이나 "3변전"이나 "건7전" 또는 "건변5"를 입력시키면 번(幡)자를 포함하는 한자를 화면에 디스플레이하여 정확한 것을 선택하여 입력시키도록 한 한자의 파자방식에 의한 입력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경(輕)자를 입력시키고자 할 경우에 차(車)+일(-)+천(川)공(工)의 음가인 "차일천공"이나 "차일?공" 또는 "차일*공"을 입력시키면 경(輕)자를 포함하는 한자들을 디스플레이하여 정확한 것을 선택하도록 한 한자의 파자방식에 의한 입력 시스템.
KR1020000038719A 2000-07-06 2000-07-06 파자방식에 의한 한자 입력방법 KR1003515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38719A KR100351585B1 (ko) 2000-07-06 2000-07-06 파자방식에 의한 한자 입력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38719A KR100351585B1 (ko) 2000-07-06 2000-07-06 파자방식에 의한 한자 입력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15964A true KR20010015964A (ko) 2001-03-05
KR100351585B1 KR100351585B1 (ko) 2002-09-05

Family

ID=196766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38719A KR100351585B1 (ko) 2000-07-06 2000-07-06 파자방식에 의한 한자 입력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5158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2444B1 (ko) * 2005-12-15 2007-01-02 엘지전자 주식회사 한자 입력방법 및 이를 구현할 수 있는 이동단말기
CN104571590A (zh) * 2015-01-03 2015-04-29 王剑波 一种用于触摸屏设备的中文输入系统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6341B1 (ko) 2007-08-27 2009-05-07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결구 정보를 이용한 한자 검색 방법 및 결구 정보를 이용한한자 검색 시스템
KR100899449B1 (ko) 2007-09-04 2009-05-27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한자 검색 방법 및 한자 검색 시스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2444B1 (ko) * 2005-12-15 2007-01-02 엘지전자 주식회사 한자 입력방법 및 이를 구현할 수 있는 이동단말기
CN104571590A (zh) * 2015-01-03 2015-04-29 王剑波 一种用于触摸屏设备的中文输入系统
CN104571590B (zh) * 2015-01-03 2018-01-30 王剑波 一种用于触摸屏设备的中文输入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51585B1 (ko) 2002-09-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43856B1 (ko) 정보통신단말기의 한자입력방법 및 입력장치
KR100344947B1 (ko) 한자입력장치 및 방법
JP2002290510A (ja) 特殊文字を用いて情報を携帯装置に入力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WO2002059736A1 (en) Character generation system
JP2010262248A (ja) 小テスト学習装置
KR100351585B1 (ko) 파자방식에 의한 한자 입력방법
KR20030049443A (ko) 단말기에서 한글 입력 장치 및 방법
US20050080612A1 (en) Spelling and encoding method for ideographic symbols
KR100599873B1 (ko) 한글자모를 이용한 다문자 입력장치 및 그 방법
KR101831717B1 (ko) 중국어 학습방법 및 그 기록매체
KR100569110B1 (ko) 한자의 파자모양을 이용한 한자입력방법
Cruttenden Writing systems and phonetics
JP2002207728A (ja) 表音文字生成装置及びそれを実現するための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JP3803253B2 (ja) 漢字入力の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JP5688936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10502128B (zh) 一种汉字多元输入方法及系统
KR20030000229A (ko) 한자입력방법
KR102278288B1 (ko) 음소 기반 텍스트 검색 장치 및 방법
JP2002516004A (ja) 非音標文字を代用単語に変換しコンピュータに入力する方法
Esizimetor What Orthography for Naija?
Hofmann François II Rákóczi, Confession d'un pécheur
JP2003122478A (ja) 50音表に追加する文字群
de Normalisation Doc Type: Working Group Document Title: Preliminary proposal to encode the Book Pahlavi script in the BMP of the UCS Source: Michael Everson, Roozbeh Pournader, and Desmond Durkin-Meisterernst Status: Individual Contribution Action: For consideration by JTC1/SC2/WG2 and UTC
JPS63249260A (ja) 文章校正支援装置
JPS63249259A (ja) 文章校正支援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817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