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13885A - 고속 캔 장식기용 스핀들 디스크 - Google Patents

고속 캔 장식기용 스핀들 디스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13885A
KR20010013885A KR1019997011907A KR19997011907A KR20010013885A KR 20010013885 A KR20010013885 A KR 20010013885A KR 1019997011907 A KR1019997011907 A KR 1019997011907A KR 19997011907 A KR19997011907 A KR 19997011907A KR 20010013885 A KR20010013885 A KR 200100138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rier
spindle
base
main portion
axi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70119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윌리엄스로버트
크로보친스키체스터
로덤스안드레크리스토퍼
Original Assignee
애들먼 먼로
세쿠아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애들먼 먼로, 세쿠아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애들먼 먼로
Publication of KR200100138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13885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FPRINTING MACHINES OR PRESSES
    • B41F17/00Printing apparatus or machines of special types or for particular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1F17/08Printing apparatus or machines of special types or for particular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printing on filamentary or elongated articles, or on articles with cylindrical surf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FPRINTING MACHINES OR PRESSES
    • B41F17/00Printing apparatus or machines of special types or for particular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1F17/08Printing apparatus or machines of special types or for particular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printing on filamentary or elongated articles, or on articles with cylindrical surfaces
    • B41F17/14Printing apparatus or machines of special types or for particular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printing on filamentary or elongated articles, or on articles with cylindrical surfaces on articles of finite length
    • B41F17/20Printing apparatus or machines of special types or for particular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printing on filamentary or elongated articles, or on articles with cylindrical surfaces on articles of finite length on articles of uniform cross-section, e.g. pencils, rulers, resistors
    • B41F17/22Printing apparatus or machines of special types or for particular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printing on filamentary or elongated articles, or on articles with cylindrical surfaces on articles of finite length on articles of uniform cross-section, e.g. pencils, rulers, resistors by rolling contact

Landscapes

  • Specific Conveyance Elements (AREA)
  • Blow-Moulding Or Thermoform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Toys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 Adornments (AREA)
  • Feeding And Guiding Record Carriers (AREA)
  • Manufacturing Of Magnetic Record Carriers (AREA)
  • Finish Polishing, Edge Sharpening, And Grinding By Specific Grinding Devices (AREA)
  • Making Paper Articles (AREA)
  • Sliding-Contact Bearings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Abstract

연속 동작 캔 장식기용 맨드릴/스핀들은 인접한 어셈블리들 사이에 동등한 각 간격을 가진 회전 캐리어(18)위에 장착된 복 수개의 비교적 가벼운 맨드릴 어셈블리(20)를 포함한다. 서브어셈블리들은 방사상으로 회전한다. 각 어셈블리는 베이스(41) 및 베이스로부터 내부로 향하여 방사상으로 연장한 두 개의 안내 막대(51, 52)를 포함하고 및 상기 캐리어 원주로부터 내부로 향하여 연장한 방사상 구멍들 (73,74)내에 배치된 슬리브 부싱(71,72)에 의해 수용된다. 진공 및 공기 가압은 그 안에 큰 루우프를 가지는 유연한 호스(101)를 통하여 각 맨드릴 어셈블리로 공급된다. 상기 어셈블리의 베이스(41)는 장식물들이 특별하게 부착될 때 부싱(71,72)의 방사상 외향 단부에 비교적 근접하여 이동할 수 있는 맨드릴이 지지될 수 있도록 치밀하게 만들어진다. 상기 부싱들은 와셔형 리테이너(61)내에 언더컷(99)에 의해 수용되는 캐리어 원주의 외부로 향하여 방사상으로 연장한다.

Description

고속 캔 장식기용 스핀들 디스크{SPINDLE DISC FOR HIGH SPEED CAN DECORATORS}
본 명세서에서 참고 자료로 조합된 것들은 연속 캔(can) 프린터 및 핸들링 (handling) 장치에 대하여 E. Sirvet 등에 의해 1973년 10월 23일에 발행된 미국 특허 제 3,766,851호, 연속 동작 장식기용 맨드릴(mandrel) 장착과 시동장치 기구에 대하여 J. Skrypek 등에 의해 1979년 2월 20일에 발행된 미국 특허 제 4,140,053 호 및 연속 동작 캔 장식기용 맨드릴 시동장치 서브어셈블리에 대하여 R. DiDonato 등에 의해 1992년 5월 12에 발행된 미국 특허 제 5,111,742호이다.
미국 특허 제 3,766,851호에는 큰 연속 회전 디스크형 캐리어의 원주를 따라 배치된 맨드릴 또는 스핀들 위에 장착되어 있는 원통형 콘테이너(container)의 외부에 장식물들을 부착하기 위한 비교적 고속 장치가 발표되어 있다. 장식물들은 캐리어의 원주 부근에 있는 장식기의 회전 블랭킷(blanket)을 동등하게 체결하므로써 콘테이너에 부착된다. 콘테이너와 장식 블랭킷 사이에 체결하는 동안, 콘테이너들은 콘테이너와 블랭킷 표면이 체결되는 영역을 통하여 블랭킷 표면을 추적한다. 상기 추적을 이루기 위해, 중심과 같은 스핀들 디스크의 축에 관하여 측정된 콘테이너 각각의 각(angular) 위치에 대해, 폐쇄 루우프(loop) 또는 박스 캠(box cam)에 의해 제어된 장치는 스핀들 디스크의 축에 관계하여 정확한 방사상 위치에 콘테이너를 장착한다.
상기 형태의 장식 장비는 고속으로 이동하는 약간의 비교적 무거운 부재들을 포함한다. 다양한 부재들 사이에 정확한 정합(整合) 관계가 이루어져야 되기 때문에, 관성력, 윤활 및 작동력들은 장비 휴지시간, 유지 비용 및 설치 절차와 같이 매우 중요한 설계 공학의 고려사항이다.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원통형 콘테이너에 장식물을 부착하기 위한 장치 및 특히 상기 형태의 연속 동작 고속 장치용 스핀들 캐리어 디스크(spindle carrier disc)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라 구성된 스핀들 디스크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연속 동작 캔 장식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2는 화살표 2-2 방향에서 바라 본 도 1의 2-2선을 따라 취한 스핀들 디스크 어셈블리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와 유사하지만 도면을 명료하게 나타내기 위해 특정 요소는 제거하고 다른 요소는 더욱 두드러지게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2의 화살표 4-4 방향에서 바라 본 스핀들 디스크 어셈블리의 부분 확대 정면도이다.
도 5는 스핀들 디스크의 정면도이다.
도 6 및 도 7은 화살표 6-6 및 7-7 방향에서 바라 본 도 5의 6-6선 및 7-7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5의 화살표 8-8 방향에서 바라 본 스핀들 디스크의 부분 단면도(端面圖)이다.
도 9는 스핀들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의 화살표 10 방향에서 바라 본 스핀들 어셈블리 베이스의 정면도이다.
도 11은 화살표 11-11 방향에서 바라 본 도 10의 11-11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화살표 12-12 방향에서 바라 본 정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스핀들 어셈블리 베이스와 본 발명의 베이스로 대체되는 종래의 베이스간의 크기 비교를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 14는 화살표 14-14 방향에서 바라 본 도 13의 요소의 정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라서, 각각의 맨드릴 또는 스핀들은 장식물들이 이동하여 콘테이너에 부착되는 동안 외팔보 스핀들을 적당하게 설치하기 위해서 비교적 딱딱하게 되어 있는 L-형 베이스(base)를 포함한 개개의 스핀들 어셈블리 일부품이다. 상기를 이루기 위해서, 실질적으로 본 발명은 엄격한 손실없이 스핀들 어셈블리 베이스의 중량을 감소시켰다.
또한, 외팔보 스핀들에 의해 저지되어야 하는 벤딩 모멘트(bending moment)는 실질적으로 스핀들 축과 방사상으로 일치할 때 스핀들 어셈블리를 안내하기 위해 베이스로부터 연장한 막대들사이에 간격을 감소시키므로써 감소된다. 상기는 부싱(bushing) 마모가 감소되도록 안내 막대를 일치시키는 것에 반하여 부싱 위에 응력을 감소시키기 위해 사용된다. 다음에 나타내어지는 것 처럼, 개선된 윤활은 안내 막대와 그들의 부싱사이에 제공된다.
종래 기술의 많은 스핀들 디스크들에는 윤활제가 회수되고 및 스핀들 어셈블리의 방사상 안내 막대들 안의 길이방향의 관통로를 통하여 배출되도록 큰 쳄버가 제공된다.
스핀들 디스크의 중량을 감소하기 위해, 많은 종래 기술 스핀들 디스크에서 요구된 큰 윤활 풀(pool)을 위한 큰 쳄버가 제거된다. 대신에, 복 수개의 비교적 작은 상호 연결된 윤활 쳄버들이 제공된다. 상기는 스핀들 디스크를 강화하기 위해 사용된다. 즉, 종래 기술에서 그렇게 많은 재료는 디스크 강화가 쳄버를 위한 비교적 무겁고, 큰 두꺼운 강 덮개를 제공하므로써 복구되어지는 큰 윤활 쳄버를 형성하기 위해 제거된다. 대조적으로, 본 발명의 다양한 비교적으로 작은 윤활 쳄버들은 작은 단면의 환상 슬롯(slot)에 의해 상호 연결된다. 실질적으로 그러한 슬롯은 가벼운 알루미늄 덮개가 연결 슬롯 및 작은 윤활 쳄버 폐쇄용으로 만족하도록 스핀들 디스크의 강도를 감소하지 않고 형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첫 번째 목적은 실질적으로 감소된 보수 및 파워 요구 조건을 가진 개선된 고속 연속 동작 원통형 콘테이너 장식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다른 목적은 실질적인 중량 감소가 디스크형 캐리어 및 이동되는 일치하는 스핀들 서브어셈블리들을 위해 이루어진 것에 의해 상기 형태의 장식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 다른 목적은 설치 절차를 단순화하기 위해 상기 형태의 장식기용 구조물을 제공하고 및 적절하게 처리되지 않고 또는 완전히 간과되어진 윤활 포인트들을 가능한한 감소시키기 위한 것이다.
추가 목적은 공기/진공 라인들 내에 끼어진 축 및 부싱 연결부분들을 제거하기 위한 것이다.
다른 추가 목적은 호스가 스핀들 디스크위의 포인트위에 방사상으로 고정되도록 방사상으로 일치하는 스핀들 어셈블리를 연결하기 위해 사용된 단일 완전한 루우프를 구비하는 스핀들 디스크 구조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 다른 목적은 호스 연결 부분들이 이동하는 부품들을 구비하지 않은 부속품들로 이루어진 스핀들 디스크 구조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 뿐만 아니라 상기 목적들은 첨부된 도면들에 대해 다음의 기술을 숙독한 후 명백하게 나타날 것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특히 전술한 미국 특허 제 3,766,851 호 및 미국 특허 제 5,111,742 호에 개시된 일반적인 유형의 연속 동작 원통형 용기 장식 장치를 개시한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의 장치는 공급부(도시 안됨)로부터 캔(16)으로 형성하기 위한 일단부가 각각 개방된 장식이 되지 않은 용기를 받아들이고, 간격을 두고 배치된 링(31, 32)의 외부 가장자리 내에서 정렬된 상태로 눌려져서 형성되는 아치형 크래들 또는 포켓(17) 내에 캔(16)을 위치시키는 이송 컨베이어 슈트(15)를 포함하고 있다(도 2). 간격을 두고 배치된 링은 수평 구동축(19)에 키로 고정된 디스크 형상의 스핀들 캐리어(18)에 부착 고정되어 있다. 각을 두고 배치된 고립부(48)에 의해 간격을 두고 배치된 동심 링(45, 64)으로 구성된 고정물이 포켓 링(31, 32) 및 캐리어(18) 사이에 삽입되어 있다. 볼트(46)는 캐리어(18)의 전방 표면에 링(45)을 고정하고, 볼트(47)는 링(64) 위에 포켓 링(31, 32)을 장착한다. 링(64)은 링(45)보다 직경이 더 크고, 그 전방에 위치한다.
수평 연장 스핀들 또는 맨드릴(20)(도 2) 또한 캐리어(18)에 장착되어 있다. 각각의 맨드릴(20)은 개개의 포켓(17)과 간격을 두고 수평으로 정렬되어 있으며, 이송 컨베이어(15)의 하류로 연장되는 짧은 영역을 관통하고 있다. 이 짧은 영역에서, 장식이 되지 않은 캔(16)은 편향기(도시 안됨)에 의해 수평으로 그리고 후방으로 이동하고, 각각의 크래들(17)에서 개개의 맨드릴(20)로 이송된다. 맨드릴 또는 스핀들(20)의 바깥쪽 또는 전방 단부(20a)까지 연장되는 축방향 통로를 통해 인가되는 흡인력에 의해 컨테이너(16)는 후방으로 (도 2에 대해 왼쪽으로) 끌어당겨져서 스핀들(20) 위의 최종 안착 위치에 도달한다.
맨드릴(20) 위에 놓여 있을 때, 캔(16)은 도면부호 22로 도시된 다색 인쇄 프레스 장식부의 연속 회전 이미지 전송 매트 또는 블랭킷(21)과 결합함으로서 캔이 장식된다. 그 후에 그리고 맨드릴(20) 위에 놓여 있는 동안 장식된 각각의 캔(16)에는 도면부호 24로 나타낸 니스 과잉 도포 유니트 내의 인가기 롤(23)의 외주와의 결합에 의해 그에 인가되는 니스 보호막이 피복된다. 장식이 되고 보호막이 피복된 캔(16)은 전송 휠(27)이 축(28)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동안 스핀들(20)로부터 전송 휠(27)의 외주 부근에 장착된 흡입 컵(도시 안됨)으로 이송된다. 전송 휠(27)에 의해 이송된 캔(16)은 경화용 오븐(도시 안됨)을 통해 캔(16)을 나르는 체인식 배출 컨베이어(30)로부터 돌출된 수평 핀(29) 위에 놓이게 된다.
스핀들(20)이 슈트(15)의 하류의 끝부분을 지나 이동하여 센서(33)에 근접할 때까지, 각각의 스핀들(20)에는 캔(16)이 적절히 적재되어야 한다. 스핀들(20)에 캔이 적재되지 않았거나 적절하게 적재되지 않았음이 센서(33)에 의해 감지되면, 특정 스핀들(20)이 인쇄 블랭킷(21)이 통상적으로 맨드릴(20) 위의 캔(16)과 결합하는 장식 영역 내로 들어오며, 캔이 적재되지 않았거나 적절하게 적재되지 않은 스핀들(20)은 트립 위치 또는 비인쇄 위치로 이동한다. 트립된 맨드릴(20)이 장식 영역을 지날 때, 맨드릴은 블랭키트(21)의 외주로부터 간격을 두게 된다. 이 비인쇄 위치는 인쇄 유니트(22)가 장착된 메인 베이스(36)가 고정된 상태로 유지되는 동안 그 위에 스핀들 캐리어 축(19)이 장착된 서브프레임(35)을 트립할 수 있도록 복동식 린더(34)를 제어하고, 서브프레임(35)을 도 1에 대해서 왼쪽으로 이동시킴으로써 달성된다. 더욱이, 센서(33)의 작동에 의해 니스 과잉 도포 유니트(24)는 스핀들 지지축(19)에 대해 아래로 이동함으로써 트립된 스핀들(20)이 니스 과잉 도포 롤(23)과 결합하지 않게 된다.
스핀들(20)은 L형 베이스(41), 스터브(stub) 축(44), 두개의 안내봉(51, 52) 및 두개의 캠 폴로우 롤러(57, 58)를 또한 포함하는 스핀들 서브어셈블리(40)(도 9)의 일부이다. 측면도로 보면 (도 11 및 도 13 참조), 베이스(41)는 수평 메인 부분(42)과 메인 부분(42)에서 방사상으로 바깥쪽으로 돌출되고, 그 후방에 위치하며 그에 수직하는 암(43)을 포함하고 있다(도 3). 안내봉(51, 52)은 메인 부분(42)으로부터 방사상으로 안쪽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판(53) 내의 구멍을 통해 연장되고 각각의 봉(51, 52)의 방사상 외향 단부에서 나사가 형성된 구멍(151, 152)에 의해 수용되는 각각의 볼트(54, 55)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4개의 볼트(56)가 판(53) 내의 구성을 통해 연장되어 있으며, 베이스(41) 내의 구멍(123)에 의해 나사결합됨으로써 메인 부분(42)의 방사상 외표면에 판(53)을 고정한다. 암(43)의 후방에 있는 리테이너(59)는 메인 부분(42)의 방사상 바깥쪽 위치에서 암(43)에 수직하게 연장될 수 있도록 그리고 메인 부분 위에 놓일 수 있도록 스핀들 지지 축(44)을 고정한다. 폴로우어((57, 58)는 메인 부분(42)의 후방에서 리테이너(61)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며, 스핀들 디스크 축(19)을 둘러싸는 폐쇄 루프 캠 트랙(62) 내에 올라타게 된다. 공지된 방식으로 캠(62)과 폴로우어(57, 58)가 공동 작용함으로써 평행 축(19, 44)에 의해 한정되는 회전축 사이의 방사상 간격이 제어된다.
도 5 및 도 6은 구동축(19)을 수용하는 중앙 구멍(66)이 제공된 가리개가 없는 스핀들 디스크(18)를 보인 것이다. 키(67)(도 2)는 슬롯(68)(도 5)에 의해 벽을 한정하는 구멍(66) 내에 수용됨으로써 정렬을 제공하며, 링 이송기(144)는 캐리어 축(19) 및 스핀들 디스크(18) 사이의 구동 연결 및 런아웃(runout)을 제공한다. 스핀들 디스크는 도 4에 부분적으로 도시한 바와 같은 24개의 스핀들 서브어셈블리 (40)를 장착하고 있다. 서브어셈블리(40)는 동일한 각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간격은 디스크 외주(81)로부터 안쪽으로 연장되고 각각의 원통형 부싱(71, 72)(도 2)을 내장한 한 쌍의 방사상 구멍(73, 74)에 의해 달성된다. 왕복 안내봉(51, 52)은 각각의 부싱(71, 72)에 의해 제공되는 베어링 통로를 통해 연장된다. 동일한 각 위치에 놓인 한 쌍의 구멍(73, 74)과 인접한 각 위치에 배열된 쌍으로 된 제 2의 구멍(73, 74)과 각각 소통하는 12개의 축방향 구멍(76)이 캐리어(18)의 후방 표면(75)으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어 있고, 전방 표면(65) 가까이에서 종료한다. 따라서, 각각의 축방향 봉(76)은 4개의 방사상 구멍(73, 73,74, 74)과 그 방사상 내측 단부에서 교차한다. 후방 표면(75) 내에 형성된 단면이 작은 원형 슬롯(77)은 12개의 모든 구멍(76)을 상호 연결한다. 구멍(76) 및 슬롯(77)의 크기 및 위치는 캐리어(18)의 강도에 사실상 영향을 미치지 않는 정도이어야 한다. 따라서, 볼트(79)에 의해 고정된 알루미늄 링(8)(도 3)은 구멍(76) 및 슬롯(77) 내에 그리스를 유지시키는 덮개로서의 기능만을 한다. 덮개 링(78)은 가리개가 없는 캐리어(18)의 강도를 보강하는 무거운 재료로 구성될 필요는 없다.
각각의 부싱(71, 72)은 각각의 링형 캡 또는 홀더(80)(도 3)에 의해 각각의 방사상 구멍(73, 74) 내에 보류된다. 홀더(80)는 부싱(71, 72)의 방사상 외측 단부에 위치하고 있고, 부싱(71, 72)의 방사상 내측 단부는 구멍(73, 74)의 내부 가로대 위에 놓여 있다. 각각의 홀더(80)는 각각의 안내봉(51, 52)을 둘러싸는 두개의 링 밀봉부재(82, 82)를 포함하고 있다. 구멍(84)(도 8)에 의해 캐리어 외주(81) 내에 수용되는 세개의 볼트(83)는 각각의 홀더(80)를 캐리어(18)에 고정한다. 홀더(80)의 방사상 내측 표면에서 환상 언더컷(99) 내에 각각의 부싱(71, 72)의 상단부를 안내하면, 홀더(80)의 아래로부터 부싱(71, 72)에 의해 제공되는 베어링 통로에 대해 밀봉부재(82, 82)를 정확히 위치시킴으로써 부싱(71, 72)의 베어링 통로 내에서 왕복운동할 때 안내봉(51, 52)의 동작이 향상된다.
캐리어(18)의 전방 표면 내의 24개의 구멍(86)(도 5)은 각각 개개의 피팅 (85)(도 2)을 수용한다. 이 캔 장식 장치가 작동 가능한 상태에 놓일 때, 피팅(85)에 주입된 그리스는 우회로를 거쳐 캐리어 외주(81)에서의 구멍(88)(도 8)에 있는 방출 피팅(87)으로 유동한다.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피팅(85)에서 피팅(87)까지의 이 우회로는 축방향 부분(91), 부싱(71) 내부의 환상 컷아웃(92), 축방향 부분(93), 부싱(72) 내부의 컷아웃(94), 축방향 부분(95) 및 방사상 부분(96)을 포함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부싱(71, 72)의 내부 표면 내의 지그재그형 슬롯(97)은 컷아웃(92, 94)으로부터 부싱(71, 72)의 양단부를 향해 연장된다. 따라서, 피팅(85)에서 주입된 그리스가 관련 방출 피팅(87)에서 발견되면, 이것은 특정 스핀들 서브어셈블리(40)의 양쪽 봉(51, 52)이 윤활되었음을 나타낸다.
필요에 따라, 진공 및 압력이 각각 캐리어(18) 및 스핀들 어셈블리(40)에 연결된 피팅(102, 103)에 양단부가 클램프 고정된 개개의 유연한 호스(101)를 통해 맨드릴(20)의 전방 단부(20a)에 공급된다. 즉, 직선 피팅(102)은 볼트(107)에 의해 캐리어(18)의 전방 측부에 고정되는 이동 밸브 요소(104)의 구멍 내로 나사결합되고, L형 피팅(103)은 베이스(41)의 구멍(108) 내로 나사결합된다. 구멍(108)은 메인 부분(42)의 전방 단부에 형성되어 있다 (도 9 내지 도 14 참조). 이동 밸브 부재(104)의 전방에 고정된 마모판(106)은 인터페이스(109)에서 고정 밸브 부재(105)와 미끄럼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공지된 방식으로 대면하고 있는 밸브 부재(104, 105) 내의 구멍은 캐리어(18)의 특정 각 위치에서 정렬함으로써 적절한 시간에 고정 밸브 부재(105)의 입력 측부(밸브 부재 104에서 떨어진 측부)로 전달된 진공 및 압력의 크기가 밸브(104, 105)를 통해 연장됨으로써 맨드릴 어셈블리(40)에 나타나게 된다.
호스(101)의 수명을 연장하기 위하여, 일단 피팅(103)이 맨트릴 서브어셈블리(40)에 고정되고 피팅(102)이 이동 밸브 부재(104)에 고정되면 피팅(102, 103)은 자유로이 선회하거나 그렇지 않으면 상대운동을 하는 부분을 구비하지 않는다. 더구나, 호스(101)는 직경이 비교적 큰 완전한 루프를 포함하며, 피팅(102, 103)은 각을 두고 오프셋되기 때문에 피팅(103)이 방사상으로 왕복운동함에 따라 호스(101)가 마찰되지 않는다. 그밖에, 호스(101)는 다른 요소와 마찰되지 않는 상태로 배치된다.
베이스(41)의 메인 부분(42)에는 구멍(108)으로부터 아암(43)의 통로(111)의 방사상 내측 단부로 연장되는 축방향 통로(110)가 제공되어 있다. 통로(112)는 아암(43)의 방사상 외측 가장자리 연장되며, 여기서 통로(111)의 방사상 외향 단부(109)는 플러그된다. 통로(111)의 중간 지점에서의 가늘고 긴 개구부(112)는 맨드릴 축(44)의 후방 단부가 내장되는 아암 구멍(113)과 연결된다. 통로(도시 안됨)는 구멍(113)으로부터 연장되어 맨들리(20)의 전방 단부(20a)와 연결되어 있다. 아암(43)에는 스터브 축(61)(도 2)의 일단이 배치되어 있는 리세스(116)로 연장되는 비스듬한 통로(114)가 제공되어 있다. 캠 폴로우어 롤러(57, 58)를 윤활하기 위하여, 그리스가 그 방사상 바깥쪽 단부(117)에서 통로(114)로 주입된다. 안내봉 (51, 52)은 메인 부분(42)을 통해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구멍(121, 122)을 통과하며, 메인 부분(42)의 방사상 외부 표면 내의 4개의 구멍(123)은 안내봉 고정판(53)을 베이스(41)에 고정하는 볼트(56)를 수용한다.
베이스(41)는 도 13 및 도 14에 가상선으로 도시한 종래의 베이스(119) 및 베이스(41)로 대체될 수 있는 다른 맨드릴 지지 베이스에 배해 중량이 현저히 적게 나간다. 즉, 베이스(41)는 도 13 및 도 14에 도시한 실선 및 가상선 사이의 부분을 포함하지 않는다. 반면에 종래의 베이스(119)는 이 부분 이외에도 사실상 전체 베이스(41)를 포함한다. 베이스(41)의 경우, 아암(43) 및 메인 부분(42) 사이에서의 굽힘 저항이 메인 부분(42)이 결합되는 아암(43)의 양쪽에 보강재를 제공하는 얇은 삼각형 보강판(1260(도 9)에 의해 만족할 정도로 유지되어야 한다.
베이스(41)는 중량이 가벼울 뿐만 아니라, 메인 부분(42)은 비교적 얇기 때문에 캔틸레버 축(44)의 중앙(A)(도 2)에 위치한 맨드릴(20)의 회전축은 부싱(71, 72)의 방사상 외향 단부에 비교적 근접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안내축(51, 52)에 작용하며, 종래 구성에서의 부싱(71, 72)의 급격한 마모를 일으키는 굽힘력으로 바뀌는 굽힘 모멘트를 줄일 수 있다.
두 조각으로 된 캔을 장식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라 구성된 장치의 실제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맨드릴(20)은 대략 2.6 인치의 직경을 가지며, 맨드릴(20)의 회전축(A) 및 부싱(71, 72)의 방사상 외측 단부 사이의 방사상 간격은 5.2 인치이며, 캠 슬롯(62)은 맨드릴 캐리어(18)의 매회전시에 축(A)이 3인치의 방사상 스크로크로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배치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이 특정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었지만, 여러가지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여기에 기재된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고 이하에 기재하는 청구의 범위에 의해서만 제한됨을 밝혀둔다.

Claims (20)

  1. 장식 부 및 장식물들이 콘테이너(container)들에 부착되는 장식 영역을 관통하여 콘테이너들을 이송하는 이송 부를 구성하는 것으로,
    상기 이송 부는:
    캐리어(carrier) 축 위에 연속적으로 회전하는 캐리어, 서브어셈블리들 (subassemblies)이 중심과 같이 상기 캐리어에 관계하여 방사상으로 일치하도록 장착되는 것으로, 서브어셈블리의 인접한 개개 사이에 동등한 각 간격을 가진 그의 원주를 따라 상기 캐리어 위에 장착된 복 수개의 스핀들(spindle) 서브어셈블리를 포함하고;
    각각의 상기 서브어셈블리는 L형 베이스(base) 및 상기 캐리어 축에 평행한 스핀들 축에 대하여 회전을 위한 상기 베이스 위에 장착된 스핀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상기 베이스는 상기 스핀들 축에 평행한 메인 부분 및 그의 후미 단부에서 상기 메인 부분으로부터 밖으로 향하여 방사상으로 연장한 아암(arm)을 포함하고, 상기 스핀들은 상기 아암으로부터 전방으로 향하여 돌출하고 및 상기 메인 부분에 겹치는 외팔보 지지대 위에 설치되고, 하나 이상의 안내 막대는 상기 캐리어의 원주에서 개방되어 있는 베어링 관통로를 구비하여, 상기 캐리어에 고정되게 장착된 개개의 부싱(bushing)의 방사상으로 연장한 베어링 관통로내에 수용된 하나 이상의 안내 막대의 각각 안내 막대를 가진 메인 부분으로부터 안으로 향하여 방사상으로 연장되고;
    각각의 상기 부싱을 위한 접속된 와셔형(washer-like) 보유 캡(cap)으로, 각각의 상기 보유 캡들은 그리스(grease) 밀봉 링을 포함하고 및 상기 접속된 부싱의 방사상 외향으로 이동하는 블럭(block)에 대하여 작동 위치인 상기 원주에서 상기 캐리어를 확보하고;
    각각의 상기 부싱들은 상기 캡이 상기 캡과 접속된 상기 부싱 위에 조정을 통하여 상기 캡내에 언더컷(undercut) 부분내부로 연장하는 방사상 외향 단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통형 콘테이너를 장식하기 위한 연속 동작 장치.
  2. 장식 부 및 장식물들이 콘테이너들에 부착되는 장식 영역을 관통하여 콘테이너들을 이송하는 이송 부를 구성하는 것으로,
    상기 이송 부는:
    캐리어 축 위에 연속적으로 회전하는 캐리어, 서브어셈블리가 중심과 같이 상기 캐리어에 관계하여 방사상으로 일치하도록 장착되는 것으로, 서브어셈블리의 인접한 개개 사이에 동등한 각 간격을 가진 그의 원주를 따라 상기 캐리어 위에 장착된 복 수개의 스핀들 서브어셈블리를 포함하고;
    각각의 상기 서브어셈블리는 L형 베이스 및 상기 캐리어 축에 평행한 스핀들 축에 관하여 회전을 위한 상기 베이스 위에 장착된 스핀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상기 베이스는 상기 스핀들 축에 평행한 메인 부분 및 그의 후미 단에서 상기 메인 부분으로부터 밖으로 향하여 방사상으로 연장한 아암을 포함하고, 상기 스핀들은 상기 아암으로부터 전방으로 향하여 돌출하고 및 상기 메인 부분에 겹치는 외팔보 지지대 위에 설치되고, 첫 번째 및 두 번째 안내 막대는 상기 메인 부분으로부터 내부로 향하여 방사상으로 연장되고 및 상기 캐리어의 원주에서 개방되어 있는 베어링 관통로를 구비하여, 상기 캐리어에 고정되게 장착된 각각의 첫 번째 및 두 번째의 각각의 첫 번째 및 두 번째 방사상으로 연장한 베어링 관통로내에 수용되고;
    상기 첫 번째 및 두 번째 부싱들은 상기 캐리어의 상기 원주로부터 내부로 향하여 방사상으로 연장한 개개의 방사상 관통로내에 배치되고, 상기 첫 번째 막대는 상기 두 번째 막대의 전방에 위치하고;
    복 수개의 그리스(grease) 저장소들은 각각 상기 캐리어의 후미 표면으로부터 전방을 향하여 연장하고 및 서로 인접해 있는 상기 첫 번째 및 상기 두 번째 서브어셈블리를 구비하여, 상기 두 번째 어셈블리의 상기 첫 번째 및 두 번째 안내 막대들 뿐만 아니라 첫 번째 상기 어셈블리의 상기 첫 번째 및 두 번째 안내 막대를 수용하는 상기 방사상 관통로의 첫 번째, 두 번째, 세 번째 및 네 번째의 방사상으로 내부 단부를 상호 교차하는 횡단 관통로에 의해 형성되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통형 콘테이너를 장식하기 위한 연속 동작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횡단 관통로는 상기 후미 표면내에 환상 슬롯(slot)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슬롯은 각각의 상기 횡단 관통로의 단면적과 비교하여 비교적 작은 단면적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통형 콘테이너를 장식하기 위한 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는 상기 후미 표면에 반대한 전방 표면과; 상기 각각의 서브어셈블리와 관계된 개개의 그리스 유입구 및 상기 각각의 서브어셈블리와 관계된 개개의 그리스 릴리프(relief) 유출구를 구비하는 것으로,상기 유입구 및 상기 유출구는 상기 캐리어 위에 설치되고; 각각의 상기 서브어셈블리를 위해 그의 상기 접속된 유입구 및 유출구가 상기 첫 번째 막대의 전방에 상기 유입구 및 상기 두 번째 막대 후방에 상기 유출구를 구비하여, 상기 접속된 어셈블리의 상기 안내 막대들과 상기 안내 막대들을 연장하는 상기 부싱들 사이에 접합면을 포함하는 그리스 관통로에 의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통형 콘테이너를 장식하기 위한 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구는 상기 캐리어의 상기 전방 표면에 근접해 있고 및 상기 유출구는 상기 캐리어의 원주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통형 콘테이너를 장식하기 위한 장치.
  6. 장식 부 및 장식물들이 콘테이너들에 부착되는 장식 영역을 관통하여 콘테이너들을 이송하는 이송 부를 구성하는 것으로,
    상기 이송 부는:
    캐리어 축 위에 연속적으로 회전하는 캐리어, 서브 어셈블리가 중심과 같이 상기 캐리어에 관계하여 방사상으로 일치하도록 장착되는 것으로, 서브어셈블리의 인접한 개개 사이에 동등한 각 간격을 가진 그의 원주를 따라 상기 캐리어 위에 장착된 복 수개의 스핀들 서브어셈블리를 포함하고;
    각각의 상기 서브어셈블리는 L형 베이스 및 상기 캐리어 축에 평행한 스핀들 축에 관하여 회전을 위한 상기 베이스 위에 장착된 스핀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상기 베이스는 상기 스핀들 축에 평행한 메인 부분 및 그의 후미 단에서 상기 메인 부분으로부터 밖으로 향하여 방사상으로 연장한 아암을 포함하고, 상기 스핀들은 상기 아암으로부터 전방으로 향하여 돌출하고 및 상기 메인 부분에 겹치는 외팔보 지지대 위에 설치되고, 첫 번째 및 두 번째 안내 막대는 상기 메인 부분으로부터 내부로 향하여 방사상으로 연장되고 및 상기 캐리어의 원주에서 개방되어 있는 베어링 관통로를 구비하여, 상기 캐리어에 고정되게 장착된 각각의 첫 번째 및 두 번째의 각각의 첫 번째 및 두 번째 방사상으로 연장한 베어링 관통로내에 수용되고;
    상기 첫 번째 및 두 번째 부싱들은 상기 캐리어의 상기 원주로부터 내부로 향하여 방사상으로 연장한 개개의 방사상 관통로내에 배치되고, 상기 첫 번째 막대는 상기 두 번째 막대의 전방에 위치하고; 및
    상기 메인 부분의 후미 단부에서 상기 베이스의 반대 측부에 얇은 보강판들을 구비하는 것으로,
    상기 보강판들은 상기 베이스를 강화하기 위해 상기 메인 부분과 상기 아암사이에 연장되고, 상기 베이스가 방사상으로 내부로 향한 힘이 콘테이너의 장식물이 상기 스핀들에 의해 이동되는 동안 상기 스핀들에 부착될 때 효율적으로 벤딩을 저지하는 것으로 상기 베이스를 강화하기 위한 상기 메인 부분과 상기 아암사이에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통형 콘테이너를 장식하기 위한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스핀들은 2.6"의 직경을 구비하고, 장식물들은 상기 스핀들위에 장착된 콘테이너에 부착되고, 및 상기 스핀들 축과 상기 부싱 사이의 간격은 5.2"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통형 콘테이너를 장식하기 위한 장치.
  8. 장식 부 및 장식물들이 콘테이너들에 부착되는 장식 영역을 관통하여 콘테이너들을 이송하는 이송 부를 구성하는 것으로,
    상기 이송 부는:
    캐리어 축 위에 연속적으로 회전하는 캐리어, 서브어셈블리가 중심과 같이 상기 캐리어에 관계하여 방사상으로 일치하도록 장착되는 것으로, 서브어셈블리의 인접한 개개 사이에 동등한 각 간격을 가진 그의 원주를 따라 상기 캐리어 위에 장착된 복 수개의 스핀들 서브어셈블리를 포함하고;
    각각의 상기 서브어셈블리는 L형 베이스 및 상기 캐리어 축에 평행한 스핀들 축에 관하여 회전을 위한 상기 베이스 위에 장착된 스핀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상기 베이스는 상기 스핀들 축에 평행한 메인 부분 및 그의 후미 단에서 상기 메인 부분으로부터 밖으로 향하여 방사상으로 연장한 아암을 포함하고, 상기 스핀들은 상기 아암으로부터 전방으로 향하여 돌출하고 및 상기 메인 부분에 겹치는 외팔보 지지대 위에 설치되고, 첫 번째 및 두 번째 안내 막대는 상기 메인 부분으로부터 내부로 향하여 방사상으로 연장되고 및 상기 캐리어의 원주에서 개방되어 있는 베어링 관통로를 구비하여, 상기 캐리어에 고정되게 장착된 각각의 첫 번째 및 두 번째의 각각의 첫 번째 및 두 번째 방사상으로 연장한 베어링 관통로내에 수용되고;
    유연한 호스는 상기 스핀들에 선택적으로 진공 및 가압된 공기를 공급하기 위해 그의 첫 번째 단부에서 상기 메인 부분에 연결된 첫 번째 단부를 구비하고, 상기 호스는 상기 캐리어위에 장착된 이동가능한 밸브 부에 연결되고 및 진공 및 가압된 공기가 공급되는 고정 밸브 부를 가진 작동 가능한 체결상태인 두 번째 단부를 구비하고;
    상기 호스는 상기 캐리어 축을 향하여 이동하는 상기 스핀들 축으로써 확장하고 및 상기 캐리어 축으로부터 떨어져 이동하는 상기 스핀즐 축으로써 수축하는 하나 이상의 완전한 루우프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통형 콘테이너를 장식하기 위한 연속 동작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호스의 첫 번째 단부는 상기 호스의 두 번째 단부로부터 각지게 급격하게 만곡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통형 콘테이너를 장식하기 위한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의 상기 메인 부분에 상기 호스를 연결하는 첫 번째 공기 부속품 및 상기 이동가능한 밸브 부에 상기 호스를 연결하는 두 번째 공기 부속품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첫 번째 및 두 번째 공기 부속품은 상기 캐리어가 상기 첫 번째 공기 부속품의 모든 요소가 서로에 관계하여 및 상기 베이스에 관계하여 고정되고 및 상기 두 번째 공기 부속품의 모든 요소가 서로에 관계하여 및 상기 캐리어에 관계하여 고정되어 회전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통형 콘테이너를 장식하기 위한 장치.
  11.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후미 단부에서 상기 메인 부분의 반대 측에 얇은 보강판을 구비하고 및 상기 베이스가 방사상으로 내부로 향한 힘이 콘테이너의 장식물이 상기 스핀들에 의해 이동되는 동안 상기 스핀들에 부착될 때 효율적으로 벤딩을 저지하는 것에 의해 상기 베이스를 강화하기 위해 상기 메인 부분과 상기 아암사이에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통형 콘테이너를 장식하기 위한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핀들은 2.6"의 직경을 구비하고, 장식물들은 상기 스핀들위에 장착된 콘테이너에 부착되고, 및 상기 스핀들 축과 상기 부싱 사이의 간격은 5.2"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통형 콘테이너를 장식하기 위한 장치.
  13. 제 2 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서브어셈블리는 상기 스핀들에 선택적으로 진공 및 가압된 공기를 공급하기 위해 그의 첫 번째 단부에서 상기 메인 부분에 연결된 첫 번째 단부를 구비하고, 상기 호스는 상기 캐리어위에 장착된 이동가능한 밸브 부에 연결되고 및 진공 및 가압된 공기가 공급되는 고정 밸브 부분을 가진 작동 가능한 체결상태인 두 번째 단부를 구비한 유연한 호스가 있고;
    상기 호스는 상기 스핀들 축이 상기 캐리어 축을 향하여 이동하는 하나 이상의 완전한 루우프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통형 콘테이너를 장식하기 위한 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호스의 상기 첫 번째 단부는 상기 호스의 상기 두 번째 단부로부터 각지게 급격하게 만곡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통형 콘테이너를 장식하기 위한 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의 상기 메인 부분에 상기 호스를 연결하는 첫 번째 공기 부속품 및 상기 이동가능한 밸브 부에 상기 호스를 연결하는 두 번째 공기 부속품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첫 번째 및 두 번째 공기 부속품은 상기 캐리어가 상기 첫 번째 공기 부속품의 모든 요소가 서로에 관계하여 및 상기 베이스에 관계하여 고정되고 및 상기 두 번째 공기 부속품의 모든 요소가 서로에 관계하여 및 상기 캐리어에 관계하여 고정되어 회전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통형 콘테이너를 장식하기 위한 장치.
  1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는 상기 후미 표면에 반대하는 전방 표면을 구비하고;
    각각의 상기 서브어셈블리와 접속된 개개의 그리스 유입구 및 각각의 상기 서브 어셈블리와 접속된 개개의 그리스 릴리프 유출구로, 상기 유입구 및 상기 유출구는 상기 캐리어 위에 설치되고,
    각각의 상기 서브어셈블리를 위해 그의 상기 접속된 유입구 및 유출구가 상기 첫 번째 막대의 전방에 상기 유입구 및 상기 두 번째 막대 후방에 상기 유출구를 구비하여, 상기 접속된 어셈블리의 상기 안내 막대들과 상기 안내 막대들을 연장하는 상기 부싱들 사이에 접합면을 포함하는 그리스 관통로에 의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통형 콘테이너를 장식하기 위한 장치.
  17. 제 6 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서브어셈블리는 상기 스핀들에 선택적으로 진공 및 가압된 공기를 공급하기 위해 그의 첫 번째 단부에서 상기 메인 부분에 연결된 첫 번째 단부를 구비하고, 상기 호스는 상기 캐리어위에 장착된 이동가능한 밸브 부에 연결되고 및 진공 및 가압된 공기가 공급되는 고정 밸브 부분을 가진 작동 가능한 체결상태인 두 번째 단부를 구비한 유연한 호스가 있고;
    상기 호스는 상기 스핀들 축이 상기 캐리어 축을 향하여 이동하는 하나 이상의 완전한 루우프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통형 콘테이너를 장식하기 위한 장치.
  18.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맨드릴은 2.6"의 직경을 구비하고, 장식물들은 상기 맨드릴위에 장착된 콘테이너에 부착되고, 및 상기 맨드릴 축과 상기 부싱 사이의 간격은 5.2"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통형 콘테이너를 장식하기 위한 장치.
  19.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는 상기 후미 표면에 반대하는 전방 표면을 구비하고;
    각각의 상기 서브어셈블리와 접속된 개개의 그리스 유입구 및 각각의 상기 서브어셈블리와 접속된 개개의 그리스 릴리프 유출구로, 상기 유입구 및 상기 유출구는 상기 캐리어 위에 설치되고,
    각각의 상기 서브어셈블리를 위해 그의 상기 접속된 유입구 및 유출구가 상기 첫 번째 막대의 전방에 상기 유입구 및 상기 두 번째 막대 후방에 상기 유출구를 구비하여, 상기 접속된 어셈블리의 상기 안내 막대들과 상기 안내 막대들을 연장하는 상기 부싱들 사이에 접합면을 포함하는 그리스 관통로에 의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통형 콘테이너를 장식하기 위한 장치.
  20. 제 2 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부싱을 위한 접속된 와셔형 보유 캡을 구비하는 것으로, 각각의 상기 보유 캡들은 그리스 밀봉 링을 포함하고 및 상기 접속된 부싱의 방사상 외향으로 이동하는 블럭에 대하여 작동 위치인 상기 원주에서 상기 캐리어를 확보하고;
    각각의 상기 부싱들은 상기 캡이 상기 캡과 접속된 상기 부싱 위에 조정을 통하여 상기 캡내에 언더컷 부분내부로 연장하는 방사상 외향 단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통형 콘테이너를 장식하기 위한 장치.
KR1019997011907A 1997-06-16 1998-06-02 고속 캔 장식기용 스핀들 디스크 KR2001001388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8/876,409 US5799574A (en) 1997-06-16 1997-06-16 Spindle disc for high speed can decorators
US08/876,409 1997-06-1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13885A true KR20010013885A (ko) 2001-02-26

Family

ID=253676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7011907A KR20010013885A (ko) 1997-06-16 1998-06-02 고속 캔 장식기용 스핀들 디스크

Country Status (16)

Country Link
US (1) US5799574A (ko)
EP (1) EP1011971B1 (ko)
JP (1) JP4482620B2 (ko)
KR (1) KR20010013885A (ko)
CN (1) CN1087689C (ko)
AT (1) ATE437754T1 (ko)
AU (1) AU727160B2 (ko)
BR (1) BR9810141A (ko)
CA (1) CA2294371C (ko)
DE (1) DE69841018D1 (ko)
HK (1) HK1029774A1 (ko)
IL (1) IL133530A (ko)
PL (1) PL193234B1 (ko)
RU (1) RU2191699C2 (ko)
TR (1) TR199903111T2 (ko)
WO (1) WO199805780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67805B1 (en) * 1999-02-10 2001-01-02 Sequa Corporation Mandrel carrier for high speed can decorators
US7011728B2 (en) * 2001-07-19 2006-03-14 Berry Plastics Corporation Container-labeling and-printing synchronization apparatus and process
US20070129151A1 (en) * 2001-08-20 2007-06-07 Crowder Robert W Jr Game Conversion Method
US6840166B2 (en) * 2002-06-12 2005-01-11 Machine Engineering, Inc. Mandrel trip apparatus
US6769357B1 (en) 2003-06-05 2004-08-03 Sequa Can Machinery, Inc. Digital can decorating apparatus
US6920822B2 (en) * 2003-09-03 2005-07-26 Stolle Machinery Company, Llc Digital can decorating apparatus
EP1782951B8 (de) * 2005-11-03 2008-05-28 Ball Packaging Europe Holding GmbH & Co. KG Spanndorn für den Digitaldruck
WO2007129210A2 (en) * 2006-05-10 2007-11-15 V.I.V. International S.P.A. Apparatuses and methods for decorating objects
EP2432639A4 (en) * 2009-05-21 2013-05-29 Inx Internat Ink Company APPARATUS FOR PRINTING ON GLOBALLY CYLINDRICALLY OBJECTS AND RELATED METHODS
US9475276B2 (en) 2011-04-27 2016-10-25 Stolle Machinery Company, Llc Can decorator machine, ink station assembly therefor, and can decorating method employing same
US8707866B2 (en) 2012-03-21 2014-04-29 James M. Jeter Rail guide mounting assembly for mandrel trip apparatus
US20130247784A1 (en) * 2012-03-26 2013-09-26 James M. Jeter Can decorator assembly with dual cam mandrel guidance
WO2014158145A1 (en) * 2013-03-26 2014-10-02 Jeter James M Can decorator assembly with dual cam mandrel guidance
NL1040447C2 (nl) * 2013-10-15 2015-04-16 Upg Engineering Mandrel wiel voor continuous motion druk-of lakmachine.
US10739705B2 (en) 2016-08-10 2020-08-11 Ball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of decorating a metallic container by digital printing to a transfer blanket
AU2017311515B2 (en) 2016-08-10 2020-07-02 Ball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of decorating a metallic container by digital printing to a transfer blanket
US10155375B2 (en) * 2016-12-16 2018-12-18 Stolle Machinery Company, Llc Mandrel for printing necked cans
US10780714B2 (en) 2016-12-16 2020-09-22 Stolle Machinery Company, Llc Mandrel for printing necked cans
AU2018336728B2 (en) * 2017-09-19 2021-08-12 Ball Corporation Container decoration apparatus and method
CN114734724B (zh) * 2018-03-14 2024-05-07 斯多里机械有限责任公司 装饰器组件
BR112021008794B1 (pt) 2018-11-09 2023-01-31 Ball Corporation Conjunto de tintagem para um decorador e método de decorar uma superfície exterior de um recipiente com um conjunto de tintagem de um decorador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227070A (en) * 1964-09-04 1966-01-04 Ward E Brigham High speed can printing press
US3567043A (en) * 1968-08-05 1971-03-02 Sun Chemical Corp Transfer assembly for use with container printing machines
US3586175A (en) * 1968-11-15 1971-06-22 Sun Chemical Corp Transfer assembly for use with container printing machines
US3766851A (en) * 1971-11-15 1973-10-23 Sun Chemical Corp Continuous can printer and handling apparatus
US3996851A (en) * 1975-07-17 1976-12-14 Crown Cork & Seal Company, Inc. Container printing apparatus
US4048917A (en) * 1975-09-26 1977-09-20 Sun Chemical Corporation Continuous motion printing apparatus
US4140053A (en) * 1977-06-16 1979-02-20 Sun Chemical Corporation Mandrel mounting and trip mechanism for continuous motion decorator
US4337719A (en) * 1981-04-16 1982-07-06 Van Dam Machine Corporation Of America Mandrel support means for container decorating apparatus
US4498387A (en) * 1983-10-21 1985-02-12 Adolph Coors Company Cam assembly for skip-print mandrel wheel assembly
US4771879A (en) * 1987-07-01 1988-09-20 Adolph Coors Company Container transfer system
US4921093A (en) * 1988-05-09 1990-05-01 Sequa Corporation Infeed means for high speed continuous motion can decorator
US5111742A (en) * 1990-08-13 1992-05-12 Sequa Corporation Mandrel trip subassembly for continuous motion can decorators
US5186100A (en) * 1992-01-16 1993-02-16 Sequa Corporation Interchangeable inker having enclosed transmission
US5609100A (en) * 1995-06-07 1997-03-11 Sequa Corporation Face valve apparatus for continuous motion can decorator
US5572927A (en) * 1995-08-31 1996-11-12 Sequa Corporation Vertical track for mandrel assembly of continuous motion can decorator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TE437754T1 (de) 2009-08-15
AU727160B2 (en) 2000-12-07
BR9810141A (pt) 2000-08-08
IL133530A0 (en) 2001-04-30
JP2002504056A (ja) 2002-02-05
CN1087689C (zh) 2002-07-17
DE69841018D1 (de) 2009-09-10
RU2191699C2 (ru) 2002-10-27
WO1998057808A1 (en) 1998-12-23
EP1011971A4 (en) 2001-01-17
CN1264337A (zh) 2000-08-23
CA2294371A1 (en) 1998-12-23
CA2294371C (en) 2008-11-18
AU7607598A (en) 1999-01-04
TR199903111T2 (xx) 2000-10-23
PL337437A1 (en) 2000-08-14
HK1029774A1 (en) 2001-04-12
EP1011971B1 (en) 2009-07-29
JP4482620B2 (ja) 2010-06-16
PL193234B1 (pl) 2007-01-31
US5799574A (en) 1998-09-01
IL133530A (en) 2004-08-31
EP1011971A1 (en) 2000-06-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0013885A (ko) 고속 캔 장식기용 스핀들 디스크
JP4663882B2 (ja) 高速缶デコレーターのマンドレル搬送装置
EP0129946B1 (en) Disk-type conveyor for cans
JP3875994B2 (ja) 連続稼働式缶デコレーターのマンドレルアッセンブリ用垂直トラック装置
US4942955A (en) Container transfer system
RU2152876C2 (ru) Установка с торцевыми клапанами (варианты) и быстродействующее оборудование с такой установкой
NZ217449A (en) Connecting ports on rotating disc to air or vacuum chamber in stationary manifold
MXPA98001618A (en) Vertical track for mandrel unit of container movement cans
MXPA99011829A (en) Spindle disc for high speed can decorato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