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13048A - 공통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결합된 와이어 사이의 혼신를자동으로 감소시키는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공통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결합된 와이어 사이의 혼신를자동으로 감소시키는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13048A
KR20010013048A KR1019997011024A KR19997011024A KR20010013048A KR 20010013048 A KR20010013048 A KR 20010013048A KR 1019997011024 A KR1019997011024 A KR 1019997011024A KR 19997011024 A KR19997011024 A KR 19997011024A KR 20010013048 A KR20010013048 A KR 200100130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rt
sensitivity
address
network
network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70110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에씨어스티븐로런트
Original Assignee
테일러 매튜 에이치.
터트 시스템즈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테일러 매튜 에이치., 터트 시스템즈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테일러 매튜 에이치.
Publication of KR200100130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13048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01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 H04L1/0015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characterised by the adaptation strategy
    • H04L1/0019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characterised by the adaptation strategy in which mode-switching is based on a statistical approach
    • H04L1/0021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characterised by the adaptation strategy in which mode-switching is based on a statistical approach in which the algorithm uses adaptive threshol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01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46Interconnection of networks
    • H04L12/4604LAN interconnection over a backbone network, e.g. Internet, Frame Relay
    • H04L12/462LAN interconnection over a bridge based backbone
    • H04L12/4625Single bridge functionality, e.g. connection of two networks over a single brid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5/00Baseband systems
    • H04L25/02Details ; arrangements for supplying electrical power along data transmission lines
    • H04L25/06Dc level restoring means; Bias distortion correction ; Decision circuits providing symbol by symbol det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3/00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testing data switching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3/00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testing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3/12Network monitoring prob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robability & Statistics with Application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Small-Scale Networks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수신기의 감도를 조정하는 방법은 컴퓨터와 같은 원격 네트워크 디바이스(16)의 네트워크 어드레스와 스위치와 같은 멀티포트 네트워크 디바이스(60)의 제 1 포트(64)와의 결합을 요한다. 멀티포트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제 2 포트에서 원격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네트워크 어드레스를 수신하는 것은 제 1 및 제 2 포트에 결합된 네트워크들 사이의 혼신 조건의 발생이 가능하다는 것을 나타낸다. 따라서 제 2 포트와 연관된 수신기의 감도는 제 1 및 제 2 포트에 결합된 네트워크들 사이의 혼신 조건의 결과로서 발생된 혼신 신호들이 더 이상 감지되지 않는 지점에서 그것의 감도를 감소시키려는 시도로 감소되었다. 수신기의 감도는 그 이하에서 신호가 감지되지 않는 잡음 문턱 레벨을 증가시킴으로써 감소될 수 있다.

Description

공통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결합된 와이어 사이의 혼신를 자동으로 감소시키는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ICALLY REDUCING CROSSTALK BETWEEN WIRES COUPLED TO A COMMON NETWORK DEVICE}
통상적인 네트워크 환경에서 스위치는 지능적이고 효율적인 방식으로 단일 네트워크의 여러가지 세그먼트간 또는 별개이고 분리된 네트워크들 간의 통신을 용이하게 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특별히 스위치는 적절하게 네트워크 세그먼트 상의 여러가지 네트워크 디바이스나 또는 각각의 와이어에 의해 스위치의 각 포트에 결합된 별개의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어드레스를 알 수 있다. 이러한 와이어들은 트위스트 페어와이어의 형태나 동축 케이블의 형태로 된 구리선을 포함할 수 있다. 게다가 이 와이어들은 EIA/TIA 568규격에 따라 카테고리(1-5)를 이루는 것으로 분류될 수 있다. 스위치에서 수신된 각 패킷을 조사하여 수신된 패킷이 특정 포트로부터, 그리고 특정 세그먼트에 대해 전달되야 하는지 또는 수신된 패킷과 연관된 목적지 어드레스 정보에 의거한 네트워크에 대해 전달되야 하는지를 스위치가 결정할 수 있다.
도 1은 3개의 다른 네트워크들, 즉 네트워크(1014,1016 및 1018)들 간의 패킷 통신이 스위치(1012)로 조장되는 전형적인 패킷 스위칭 환경(1010)을 예시하고 있다. 물론 스위치(1012)는 어떠한 개수의 포트라도 포함할 수 있고 따라서 어떠한 개수의 네트워크라도 결합시켰다. 네트워크(1014)는 와이어(1022)로 스위치(1012)의 포트(1020)에 결합되었고 네트워크(1016)는 와이어(1026)로 포트(1024)에 결합되었으며 네트워크(1018)는 와이어(1030)로 포트(1028)에 결합되었다. 각 포트(1020,1024 및 1028)는 스위치 코어(또는 스위치 구조라고도 알려짐)(1032)에 결합되어 있고 이것을 통해 패킷들이 포트 사이로 전파되거나 회송된다. 스위치 코어(1032)는 다이나믹램(DRAM;1034)의 형태인 메모리 자원에 결합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나 있고 이것은 스위치 코어(1032)에 버퍼 자원을 제공한다. 스위치 코어(1032)에 수신된 모든 유효한 패킷들은 DRAM(1034)과 스위치 코어(1032)를 결합시키는 버스(1035) 상의 DRAM(1034)으로 전송된다. 어드레스 검색 디바이스(1036)는 어드레스 정보를 알 목적으로 버스(1035)를 탐색하는 것으로 나타나 있고 또한 네트워크 디바이스 어드레스를 스위치(1012)의 포트로 매핑(mapping)하는 어드레스 검색표를 구성한다.
도 1에 예시된 패킷 스위칭 환경(1010)에서 와이어(1026,1030)는 서로 물리적으로 떨어진 것으로 나타나 있다. 따라서 네트워크(1014, 1016)간 패킷 전송(1038)은 배선(1030) 상에서 어떠한 혼신도 발생시키지 않고 일어날 수 있다. 반면에 도 2는 와이어(1026,1030)가 서로 공통 케이블(1042)로 묶여진 또다른 패킷 스위칭 환경(1040)을 예시한다. 이러한 경우에, 소위 “근단”(near end)혼신(또는 단일 누설)이라고 불리는 것이 와이어(1026,1030) 사이에 발생할 수 있다. 혼신은 포트(1024,1028)가 매우 근접할 때 가장 발생하기 쉬우며, 이 때는 패킷이 이들 포트중 하나로부터 전송되고 나머지 포트는 그것들의 각각의 와이어상에서 듣게 된다. 예를 들어 1044에서 표시된 바와 같이, 네트워크(1014)로부터 네트워크(1016)로 패킷이 전송될 경우를 가정하자. 포트(1024)로부터 패킷이 전송될 때, 신호 강도가 최대가 된다. 와이어(1030)에 매우 가깝게 와이어(1026)가 근접하여 고전력의 전송 신호가 전달될 때, 1046에 표시된 바와 같이 와이어(1030) 상에 혼신 신호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포트(1028)의 수신기가 수신을 위해 최대 감도의 상태에 있을 수 있고 따라서 혼신 신호가 포트(1028)에서 수신될 수 있으며 스위치 코어(1032)로 회송될 수 있다. 어드레스 검색 디바이스(1036)가 네트워크(1014) 상의 디바이스와 접속되어 혼신 신호로 구현된 패킷의 소스 어드레스를 미리 알게 되었을 때는 어드레스 검색표에 부정확한 수정이 발생할 수 있다. 특히 어드레스 검색 디바이스(1036)는 혼신 신호의 소스 어드레스가 네트워크(1018) 상의 디바이스에 속하는 것으로 표시할 수 있다. 이는 교대로 패킷 스위칭 에러들을 발생시킬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여 논의된 상기 식별된 문제는 와이어들(1026,1030)이 잘 절연되지 않았을 때 더욱 악화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와이어들(1026,1030)이 카테고리(1)의 비차폐 트위스트 페어(UTP) 와이어를 구성하는 경우에, 혼신 신호들의 발생 가능성이 증가될 수 있다. 또한 어떤 네트워킹 환경에서는 전송 신호의 주파수와 전력 레벨이 와이어 혼신에 대한 네트워크의 자화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통상적으로 네트워크 통신, 좀더 구체적으로는 멀티포트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각각의 포트와 결합된 별개의 네트워크의 와이어 사이의 혼신을 감소시키는 것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예를 들어 예시되었지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 참조부는 유사한 구성 요소를 표시한다.
도 1과 도 2는 전형적인 패킷 스위칭 환경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그 안에 본 발명이 적용되는 다세대 유닛(MDU)의 도식적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전형적인 실시예에 의한 액세스 집중기의 도식적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전형적인 실시예에 의한 라인 카드의 구조상의 상세부를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전형적인 실시예에 의한 스위치를 예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전형적인 실시예에 의한 물리 계층 디바이스 내에 구체화될 수 있는 수신기 구조상의 상세부를 예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전형적인 실시예에 의한 혼신 조건이 감지된 포트를 식별하는 인터럽트 서비스 루틴(ISR)을 개시하고 구현하는 방법을 예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전형적인 실시예에 의한 수신기의 레벨을 조정하는 폴링 루프를 구현하는 방법을 예시하는 흐름도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수신기의 감도를 조정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멀티포트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하나의 포트에서 원격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식별하는 네트워크 어드레스의 수신을 감지하면, 네트워크 어드레스가 멀티포트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추가 포트와 접속되어 있는지에 대한 결정이 내려진다. 만약 그렇다면, 포트와 접속된 수신기의 감도는 제 1 감도 레벨에서 제 2 감도 레벨까지 자동으로 조정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이어지는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하게 밝혀질 것이다.
통신 네트워크 내의 데이타 전송을 수신하는데 이용되는 수신기의 감도를 조정하는 방법과 장치가 기술된다. 이어지는 기술에서 설명을 위해, 여러가지 특정 세부 사항이 본 발명의 완전한 이해를 제고하기 위해 공개된다. 하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특정 세부 사항 없이도 당업자에 의해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은 명백할 것이다.
도 3은 그 안에 본 발명이 적용되는 다세대 유닛(MDU)의 도식적인 도면이다. MDU(10)는 2개의 빌딩(12,14)을 포함하고 그 각각은 많은 유닛들(16)을 가지며 그것은 아파트, 호텔, 방, 사무실 혹은 부스가 될 수 있다. 유닛(16)은 각 빌딩(12,14) 내의 여러층에 위치할 수 있다. MDU(10)는 고층 아파트 단지, 정원형 아파트 단지, 호텔 혹은 개별적인 거주 수용시설을 포함하는 어떤 다른 구조물일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사무실 복합 단지, 공장, 전시관 혹은 그 안에 2이상의 디바이스가 네트워킹을 필요로 할 수 있는 어떤 다른 환경 내에서도 적용될 수 있다.
각 유닛(16)은 RJ-11소켓(18)의 전형적인 형태와 한 묶음의 와이어 쌍을 포함하는 재래식 전화 서비스(POTS)배선(20)의 전형적인 형태로 수송 매체와 결합된 네트워크 연결을 포함하는 것으로 나타나 있다. 배선(20)은 빌딩(12 또는 14)을 통해 전화 연결 네트워크를 구축하기 위해 사용되는 비차폐 트위스트 페어(UTP)배선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배선(20)은 EIA/TIA 568규격에 의해 정의된 바와 같이, 카테고리(1) 또는 카테고리(2) 배선일 수 있다. 배선(20)은 또한 각 쌍이 특정 유닛(16)을 위한 많은 와이어 쌍을 포함하며, 외장 피복 내에 단일 케이블로 함께 묶여있다. 각 유닛(16) 내에, 일정한 전화 유닛(22)과 컴퓨터(24)(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카드(NIC), 모뎀 혹은 다른 어뎁터를 경유하여)가 각각의 RJ-11소켓(18)을 경유하여 배선(20)에 결합된 것으로 나타나있다. 각 빌딩(12,14) 내의 배선(20)은 빌딩(14)의 배선함(28) 내에서 주 배선반(MDF) 패널(26)에 결합된 것으로 나타나있다. MDF패널(26)은 배선(20)을 공중 회선 교환 전화망(PSTN;30)에 결합시킨다. MDF패널(26)은, 또한 예시된 컴퓨터(24)와 같이, 인터넷(34)으로의 액세스를 배선(20)에 결합된 디바이스에 제공하기 위해, 본 발명의 가르침에 따라 만들어진 액세스 집중기(32)에 결합된 것으로 나타나있다. 한편 본 발명은 수송 매체로서의 POTS배선을 사용하여 구현된 네트워크의 맥락 내에서 하기에 기술된 반면, 본 발명의 가르침은 고전송률을 지원하는 수송 매체를 사용하는 네트워크와 같이, 그 안에서 스위칭이 일어나는 어떤 네트워크 환경 내에서도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바로 알게 되고, 이러한 것에는 이더넷이나 비동기 전송 모드(ATM)와 같은 기술을 지원하기 위해 100Mbps로 데이타를 전송할 수 있는 4 와이어 트위스트 페어 케이블의 형태로 카테고리(5)가 있다.
도 4는 액세스 집중기(32)의 도식적인 도면이며 또한 이 유닛의 구성에 관한 세부 사항을 예시한다. 빌딩(12)내의 제 1 컴퓨터는 외부 어뎁터(38)를 경유하여 각 RJ-11소켓과 POTS 배선(20)에 대해 신뢰성 있는 네트워크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물리 계층 디바이스(PHY)를 포함하는 어뎁터(38)에 결합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나 있다. 한 전형적인 실시예에서 어뎁터(38)는 캘리포니아 플레전트 힐의 Tut 시스템 인코퍼레이티드에서 개발된 홈런(HomeRun) 어뎁터이다. 제 2 컴퓨터(24)는 POTS 배선(20)에 대해 유사하게 통신을 조장하는 물리 계층 디바이스(PHY)를 포함하는 내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카드(NIC;40)를 포함하는 것으로 나타나 있다. 특히 액세스 집중기(32)에 대해서는, 샤시 또는 선반(42)이 멀티플렉서(MUX) 카드(46)에 결합되는 일련의 라인 카드(44)를 조정한다. 샤시(42)는 라인 카드(44)가 삽입될 수 있는 17개의 슬롯을 포함한다. 한 기본 구성에서 8개의 라인 카드(44)의 집합체는 10베이스 T연결에 의해 단일 MUX카드(46)에 결합된다. MUX카드(46)는 64개의 1Mbps LAN(근거리 통신망)들을 모아 라인 카드(44)의 각 포트에 결합시켜 총 10Mbps 또는 100Mbps LAN으로 되게 할 수 있다. 집합체인 LAN은 로컬 라우터(48), 로컬 서버(50) 또는 T1 WAN카드(52)를 경유하여 광역 통신망(WAN)에 연결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전형적인 실시예에 의한 라인 카드(44)의 구조상의 상세부를 더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라인 카드(44)는 스위치(60)를 포함하며, 그것은 텍사스 인스트루먼트사의 TNETX3100 스위치에 기초한 이더넷 스위치일 수 있다. 스위치(60)는 8개의 10Mbps 포트와 2개의 10/100Mbps 포트를 공급할 수 있다. 스위치(60)는 또한 각 포트(62)와 물리 계층 디바이스(PHY;66) 사이의 직접 인터페이스를 가진다. 본 발명의 한 전형적인 실시예에서, PHYs(66)는 통신 서버 POTS 배선을 용이하게 하는 Tut 시스템에서 개발된 홈런(HomeRun) PHYs일 수 있다. PHYs(66)는 또한 스위치(60)의 여러가지 포트에 의해 지원되는 네트워크들의 수송 매체에 따라 종래의 이더넷 PHYs일 수 있다. 포트(62)중 8개가 물리 계층 디바이스(66)를 경유하여 각 LAN들(68)에 결합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나 있다. 한 실시예에서 LAN(68)은 POTS 배선(20)을 사용하는, 도 3에 예시된 각 유닛(16)에서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각 유닛(16)으로부터의 트위스트 페어 배선은 각 PHY에 결합될 것이다. 포트(64,65)중 2개가 각 10베이스 T PHYs(70)에 결합되어 있는 것이 나타나 있다. 편의상, 포트(62,64)는 "다운스트림" 포트라고 하고 포트(65)는 "업스트림"포트라고 부를 수 있다. 포트(64)는 라인 카드(44)가 또다른 라인 카드(44)에 데이지 체인이 되게 하고, 반면에 포트(65)는 "출력"포트로 간주된다. 72에서 예시된 바와 같이, 포트(64,65)는 또다른 라인 카드, MUX카드, 또는 외부 10베이스 T포트에 선택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라인 카드(44)는 또한 전원 공급기(74)와 마이크로프로세서(76)를 포함하는 것으로 나타나있다.
MDU(10)에서 도 3에 예시된 바와 같이, LAN(68)(스위치(60)의 각 포트(62)에 결합된) 상의 사용자들은 다른 LAN(68)에 결합된 사용자들과 아무런 제휴가 없는 전형적인 개개의 사용자들이다. 이것은 LAN상의 사용자가 스위치(60)에 결합된 또다른 LAN(68)상의 사용자로 송수신되는 네트워크 트래픽을 필시 탐색할 수 있다는 점에서 보안 문제를 야기시킬 수 있다. 또 제 1 LAN(68)상의 사용자가 웹서버를 설치하여 인터넷 서비스 공급자(ISP)의 서비스를 이용하지 않고 다른 LAN들의 사용자들에 의해 액세스되어질 수 있다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이는 어떤 경우에는 바람직하지 않을 수 있다. 데이타 보안 목적에서 LAN(68)중 어느 하나에 결합된 사용자는 다른 LAN(68)에 결합된 사용자의 트래픽 송수신하는 보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데이타 전송은 양 방향(즉, 78에서 화살표로 표시된 업스트림과 다운스트림 방향)으로 확보되어야만 한다.
도 6은 도 5에 나타난 스위치(60)의 전형적인 실시예를 예시하는 블록도이다. 스위치 코어(80)(스위칭 구조라고도 하는)는 포트(62,64,65)와 대응하는 미디어 액세스 컨트롤(MAC) 포트(82)의 배열과 외부 어드레스 매치(EAM) 인터페이스(84)를 포함하는 것으로 나타나있다. 외부 물리 계층 디바이스(PHY;66)는 각 포트에 결합된다. 각각의 PHYs(66)는 10베이스 T PHY이거나 POTS배선(20)에 대한 통신을 용이하게 하는 국한된 PHY일 수 있다. 한 전형적인 실시예에서, 이러한 국한된 PHY는 캘리포니아 플레전트 힐의 Tut 시스템 인코퍼레이티드에서 개발된 홈런(HomeRun) PHY를 포함할 수 있다. 스위치 코어(80)는 또한 데이타 경로, 스위칭 로직, 내부 단일 어드레스 비교 및 네트워크 통계 로직(모두 도시되지 않음)을 포함한다.
스위치 코어(80)는 패킷의 완전한 수신 전에 최종 포트 상의 전송을 가능케하는 컷 스루(cut through)라우팅과 그것이 최종 포트로 전달되기 전에 전 패킷이수신되어질 것을 요구하는 기억-발송 라우팅 양쪽을 지원할 수 있다. 컷 스루 라우팅은 전반적인 스위치 잠재 시간을 감소시키고 반면에, 기억-발송 라우팅은 에러를 가진 프레임들을 여과하는 능력을 제공한다.
3개의 패킷-발송 모드, 즉 내부 단일 어드레스 비교 모드, 외부 어드레스 매치(EAM) 모드 및 프레임 획득 모드가 또한 스위치 코어(80)에 의해 구현된다. EAM 인터페이스(84)는 포트마다 단일 어드레스만을 지원하는 단일 어드레스 모드와는 반대로 포트마다 다중 어드레스의 지원을 용이하게 한다. 따라서 각 포트(62/64/65)에 결합된 LAN(68)상의 다수의 사용자들을 지원하기 위해서, 어드레스 검색 디바이스(86)의 형식으로 스위칭 로직은 입력을 포트 지시(EAM) 신호(90)의 형식으로 스위치 코어(80)의 EAM 인터페이스(84)에 제공한다. EAM 신호(90)는 스위치 내에서 패킷이 발송되야하는 포트로 스위치 코어(80)을 가리키게 하는 다중 비트 신호(예를 들어, 16비트 신호 EAM[0..15])이다. EAM 신호(90)는 또한 스위치 코어(80)가 단일 어드레스 비교를 구현해야 하는지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EAM[15]은 단일 어드레스 비교 또는 외부 어드레스 매치 모드 사이를 선택하기 위해 세트 또는 리세트될 수 있다. EAM[15]이 리세트(즉,low)인 경우에는 외부 어드레스 매치 모드가 구현되고 EAM[0..14]은 패킷이 발송되는 포트의 마스크(mask)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만약 패킷이 포트(00,07 및 14)로 발송된다면 EAM 신호(90)는 "100000010000001"이 될 것이다.
다이내믹 램(DRAM;92) 형태의 메모리 자원은 DRAM 버스(94)에 의해 스위치 코어(80)로 결합된다. DRAM(92)은 패킷 버퍼를 구현하고 스위치 코어(80)로 하여금 단일 액세스 동작과 페이지 버스트(page-burst)액세스 동작을 모두 지원하게 한다. 특히 모든 유효한 패킷들은 DRAM버스(94)에 의해 DRAM(92)으로 통과된다. 어드레스 검색 디바이스(86)는 DRAM버스(94)에 결합되고 스위치(60)의 외부 어드레스 매칭 기능을 신현하기 위해 능동적으로 DRAM버스(94)를 탐색하는 것으로 나타나있다. 어드레스 검색 디바이스(86)는 EAM신호(90)를 발생시킬 목적으로 스위치 코어(80)로 DRAM버스(94)상에 놓여진 패킷의 최종 어드레스를 획득한다. 본 발명의 전형적인 실시예에서 디바이스(86)는 Texas의 Texas Instruments of Dallas사에서 제조된 TNETX15AE어드레스 검색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어드레스 검색 디바이스(86)는 연관된 외부 정적 램(SRAM;102)에서 어드레스 검색표(100)를 관리하고 유지하기 위해 많은 수의 상태 기계(98)(예를 들어, 검색, 삭재, 가산, 찾기 및 수명(age)상태 기계)를 실행시킨다. 어드레스 검색표(100)는 스위치(6)에서 수신한 패킷의 소스 어드레스(예를 들어, MAC어드레스)를 어드레스 검색 디바이스(86)에 의해 결정된 것처럼, 수신된 각 패킷 상의 스위치(6)의 포트(62/64/65)로 매핑(map)한다. 어드레스 검색표(100)를 구성하는 과정은 스위치(60)에 의한 어드레스의 "학습"(learning)이라고 한다. 일단 어드레스/포트 기록이 어드레스 검색표(100)에서 생성되면 스위치(60)가 "학습된"최종 어드레스를 가진 패킷이 어느 포트로 회송되어야 하는지에 대해 결정을 할 수 있게 된다. 한 실시예에서 어드레스 검색 디바이스(86)는 그것이 자동 구성될 수 있도록 하는 초기화 코드의 순서를 기억하는 EEPROM(도시하지 않음)에 결합될 수 있다. 또다른 실시예에서 초기화 데이타는 어드레스 검색 디바이스(86)에 결합된 마이크로프로세서(120)로부터 다운로드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스위치(60)에서 수신된 모든 유효한 패킷들은 DRAM버스(94)를 지나가게 된다. 스위치 코어(80)는 패킷의 올바른 목적지와 소스 어드레스를 결정하기 위해 어드레스 검색 디바이스(86)로 인식된 특별한 형식으로 DRAM(92)에 데이타를 쓸수 있다. 어드레스 검색 디바이스(86)는 패킷 전송에 포함된 플래그(flag) 바이트 정보로부터 새로운 패킷의 시작을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행 어드레스 스트로브 신호(DRAS)와 열 어드레스 스트로브 신호(DCAS)는 전송 포인터의 위치, 플래스 바이트의 상층 레벨 및 니블(nibble)이 프레임 코드의 시작을 가지고 있는지를 알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 데이타 비트(35)는 패킷의 시작을 표시하기 위해 표명되지 않을 수 있다.(즉, 0으로 세트) 첫번째 워드가 DRAM버스(94) 상에서 전송되자마자 라인의 데이타 비트(27-24)는 액티브 포트 숫자를 가리키게 되고 열 어드레스 스트로브 신호는 또한 목적지의 존재와 DRAM버스(94) 상에서의 소스 어드레스 데이타를 식별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한 전형적인 실시예에서 프레임의 시작을 결정하기 위해, 어드레스 검색 디바이스(86)는 전송 포인터의 데이타 비트(35)를 테스트하고 DRAM버스(94)에 놓여진 제 1 플래그 니블을 해독한다. 이 경우 데이타 비트(35)는 0이 되게되고 이는 링크 버퍼 전송과는 반대로 유효한 패킷의 시작을 나타내게 된다. 열 어드레스 스트로브를 사용하여 패킷의 목적지 어드레스와 소스 어드레스는 어드레스 검색 디바이스(86)에 의해 외부 처리용으로 추출된다. 그 다음 어드레스 검색 디바이스(86)는 어드레스 검색표(100)에 액세스함으로써 검색 주기를 형성하며 스위치 코어(80)의 EAM 인터페이스(84)로 출력될 적절한 EAM 코드를 선택하고 이 EAM 코드를 출력하게 된다. 탐색 절차에 관한 더 상세한 사항은 TNETX3100 이더넷 스위치에 대한 공표된 데이타 시트와 텍사스 인스트루먼트사의 TNETX15AE 어드레스 검색 디바이스에서 제공된다.
어드레스 검색 디바이스(86)는 어드레스 검색표(100)의 변경을 나타내기 위해 인터럽트를 실행한다. 특히, 언제 새로운 어드레스가 표(100)(즉, NEW 인터럽트)에 더해지고, 언제 어드레스가 포트(즉, CHANGE 인터럽트)를 변화시키는지, 언제 어드레스가 포트를 바꾸고 안정되는지, 언제 어드레스가 에이징(aging) 과정에 의해 삭제되는지를 나타내기 위해 어드레스 검색 디바이스(86)에 의해 인터럽트가 발생된다. 인터럽트를 가령, 마이크로프로세서(120)와 같은 외부 디바이스에 나타내기 위해 어드레스 검색 디바이스(86)는 인터럽트 신호(122)(예를 들어, EINT신호)를 표명하게 된다. 어드레스 검색 디바이스(86)는 또한 인터럽트 레지스터(124)와 인터럽트 마스크 레지스터(126) 및 새로운 포트 레지스터(128)를 포함한다. 인터럽트 레지스터(124)는 액세스 가능하고 외부 디바이스에 의해 언제나 읽혀질 수 있고 모든 현재의 인터럽트에 관한 정보를 담고 있다. 인터럽트 마스크 레지스터(126)는 그 안에 기억되어 있는 마스크 값에 해당하는 인터럽트 조건이 발생할 때만 인터럽트 신호(122)가 표명되도록 함으로써, 인터럽트의 마스킹을 촉진한다. 예를 들어, 인터럽트 신호(122)는 인터럽트 레지스터(124)에 기억된 비트들과 인터럽트 마스크 레지스터(126) 사이에 1대1 대응이 있을 때만 표명될 수 있다. NEW 또는 CHANGE 인터럽트의 경우에는, 어드레스가 연관된 새로운 포트의 동일성의 증거가 새로운 포트 레지스터(128)에 제공된다. 레지스터(124,126,128)의 내용물은 데이타 입력/출력(DIO) 버스(130)를 거쳐 마이크로프로세서(120)와 같은 외부 디바이스에 의해 액세스 가능하다.
마이크로프로세서(120)는 인터럽트 서비스 루틴(ISR;134)을 기억시키는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132), 폴링 루프(136), 전역 변수(138)의 한 세트 및 국부 변수(140)의 한 세트와 같은 연관된 메모리에 결합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나있다. 마이크로프로세서(120)는 ISR(134)과 폴링 루프(136)를 포함하는 일련의 명령어를 액세스하고 실행할 수 있으며, 따라서 이것들은 마이크로프로세서(120)의 국부 메모리(예를 들어, 캐시 메모리) 내에서 전체적으로 또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나있다. 전역 변수(138)와 국부 변수(140)도 유사하게 마이크로프로세서 유닛(120) 내의 레지스터 내에서 존재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나있다. 하지만 본 발명의 논리와 기능은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어떠한 그것들의 조합에서도 존재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목적상 "기계 읽기 가능 매체"라는 용어가 어떤 메모리 자원(예를 들어, RAM(132)), 즉 기계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일련의 명령어를 저장할 수 있고 기계로 하여금 본 명세서에 명기된 기능들중 어느 하나의 내용을 수행하게 하는 기계의 내부 및 외부를 포함하도록 쓰이게 된다. 따라서 "기계 읽기 가능 매체"라는 용어는 한정적이 되지 않고 고체 상태(solid-state) 메모리, 마그네틱 메모리, 옵티칼(optical) 메모리, 케미칼(chemical) 메모리 또는 캐리어 웨이브(carrier-wave) 신호들을 포함하는 것이 될 것이다.
마이크로프로세서 유닛(120)은 또한 범용 직렬 인터페이스(General Purpose Serial Interface;GPSI)(142)를 포함하는 것으로 나타나 있으며, 이것을 거쳐서 마이크로프로세서(120)는 데이터를 PHYs(66)중 어느 하나로 데이타를 전송할 수 있고 데이타가 연결(144)에 대해 PHYs(66)로부터 마이크로프로세서(120)로 전송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전형적인 실시예에서 PHYs(66)의 각각은 슬래이브(slave) 모드에서 동작하며, 따라서 마이크로프로세서 유닛(120)은 GPSI(142)를 거쳐서 PHYs(66)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게 된다. 각각의 PHYs(66)는 여러가지 제어와 상태 레지스터를 지원한다. 특히, 각 PHYs(66)는 잡음 문턱(threshold) 레지스터를 포함하며, 이것은 PHYs(66)의 수신기 내의 잡음 폴로워(follower;148) 내에서 구현된다.
도 7은 또한 각 PHYs(66) 내에서 구체화될 수 있는 전형적인 수신기(150)의 구조학상의 세부 사항을 예시하는 블록도이다. 수신기(150)는 그것을 POTS 배선 네트워크(152)에 결합히키는 잭(jack)을 수신하는 소켓(160)을 포함하는 것으로 나타나 있다. 수신된 신호로 이루어지는 다중 주기 파형은 소켓(160)으로부터 버터워스(Butterworth) 필터(162)로 전파되고 이것은 수신된 신호의 폭을 5.5∼9.5MHz로 제한하는 스펙트랄(spectral) 마스크를 구현한다. 여과된 신호는 버터워스 필터(162)로부터 차동 증폭기(164)로 전파되며, 증폭되고 여과된 수신 신호로부터 발생한 포락선 신호를 출력시키는 포락선 검파기(166) 상으로 전파된다. 이 포락선 신호는 그것이 펄스 감지기 로직(170)에 공급되는 곳으로부터 단극성 연산 증폭기(op앰프;168)를 통해 공급되며, 문턱 로직(172)으로부터 신호를 송수신하는 것으로 예시되어 있다. 특히, 문턱 로직(172)은 아날로그 신호를 펄스 감지기 로직(170) 내에 포함된 비교기에 잡음 문턱 로직을 표시하는 펄스 감지기 로직(170)에 전달한다. 이러한 이유로 문턱 로직(172)은 잡음 폴로워(148)를 포함하고 이것은 잡음 문턱 레벨 상태 기계를 구현시키며 잡음 문턱 레지스터(146)를 포함한다. 잡음 문턱 레지스터(146)는 특히, 잡음 문턱 레벨 상태 기계에 의해 증가되거나 감소될 수 있는 8비트 시퀀스(sequence)를 기억한다. 8비트 시퀀스(sequence)는 디지날-아날로그 변환기로 전달되고 여기에서 8비트 시퀀스를 펄스 감지기 로직(170)의 비교기에 잡음 문턱 레벨을 지시하는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시킨다. 그 다음 펄스 감지기 로직(170)의 출력은 PHY(66)내의 디코더로 전달된다. 도 6을 다시 참조하면, 마이크로프로세서(120)는 연결(144)을 거쳐서 잡음 문턱 레지스터(146)에 저장된 8비트 시퀀스를 증가시킬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나 있다.
도 6에 나타난 전형적인 스위치(60)의 동작이 지금부터 도 8과 도 9에 나타난 흐름도를 참조하여 기술된다.
특히, 도 8은 본 발명의 전형적인 실시예에 의한 ISR(134)의 초기화와 구현 방법(200)을 예시하는 흐름도이다. 이 방법은 단계 202에서 시작되며, 여기서 어드레스 검색 디바이스(86)는 인터럽트 신호(122)를 표명함으로써 마이크로프로세서(120)를 인터럽트한다. 한 전형적인 실시예에서 인터럽트 마스크 레지스터(126)는 오직 NEW 또는 CHANGE 인터럽트만이 인터럽트 신호(122)로 하여금 표명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도 2를 참조하여 상기 기술된 상황에서 CHANGE 인터럽트가 발생될 것이고 거기서 혼신 신호가 포트(1028)에서 수신되며, 패킷의 소스 어드레스는 이전에, 포트(1020)와 같은 추가 포트와 연관되었던 혼신 신호 내에서 구현된다. 단계 202에서 인터럽트 신호의 표명에 대응하여 마이크로프로세서(120)는 단계 204에서 ISR(134)을 초기화한다. ISR(134)은 어드레스 검색 디바이스(86)에게 인터럽트를 발생시킨 적절한 MAC 어드레스와 인터럽트 이유(즉, 새 어드레스가 감지되었는지 또는 어드레스의 변화가 감지되었는지)를 물어본다. 이 정보는 마이크로프로세서(120)에 의해 액세스 가능한 인터럽트 레지스터(124)에서 제공된다. 단계 206에서 ISR(134)은 어드레스 검색 디바이스(86)의 새로운 포트 레지스터(128)에 액세스한다. 따라서 ISR(134)은 그것으로 미디어 액세스 컨트롤(MAC)이 식별되는(즉, 포트(1028)) 새로운 포트(62/64/65)를 식별할 수 있다. 단계 207에서 ISR(134)은 적절한 MAC 어드레스와 결정된 인터럽트 원인 정보를 저장시킨다.
결정 상자(208)에서 ISR(134)은 인터럽트가 새로운 포트(및 따라서 새로운 네트워크 상에서) 상에 나타나는 알려진 MAC 어드레스의 결과로 발생되었는지 또는 인터럽트가 포트 상에 나타나는 미지의 MAC 어드레스의 결과로 발생되었는지에 대해서 결정을 하게 된다. 인터럽트가 새로운 포트(즉, CHANGE 인터럽트가 발생되었다) 상에 나타나는 알려진 MAC 어드레스의 결과로 발생된 경우에는 방법(200)이 단계 210으로 진행하고 거기서 ISR(134)은 어드레스 검색표(100)에서 적절한 MAC 어드레스를 삭제한다. 특히, MAC 어드레스가 포트를 바꿀 때, 통신 경로가 작동하지 않게 되므로 MAC 어드레스를 삭제하는 단계는 에이징(aging) 공정에 의해 삭제되는 MAC 어드레스를 선취하게 된다. 그러므로 통신 경로는 상위층 프로토콜이 적절한 연결을 종결지을 수 있기 전에 어떻게 해서든지 재구성될 수 있게 된다. 단계 212에서 ISR(134)은 MAC 어드레스가 그 위에서 보여지는 새로운 포트가 소정의 네트워크형에 결합되는 것을 확인한다. 특별히, ISR(134)은 새로운 포트 레지스터(128)의 내용물을 사용하는 새로운 포트를 식별할 수 있다. ISR(134)은 또한 포트/네트워크형 매핑으로의 액세스를 가질 수 있고, 이에 따라 ISR(134)은 새로운 포트와 연관된 네트워크형을 식별할 수 있다. 한 전형적인 실시예에서, ISR(134)은새로운 포트가 홈런(HomeRun) 근거리 통신망(LAN)에 결합되었는지를 결정할 수 있고 Tut 시스템 인코퍼레이티드사 등에 의해 개발된 프로토콜에 따라서 동작한다. 단계 214에서 ISR(134)은 혼신 사건이 새로운 포트에 관하여 발생하였다는 것을 나타내기 위해, 새로운 포트의 PHY(66)에 연관된 전역 변수(138)를 업데이트한다. 예를 들어, 각 전역 변수는 혼신 사건을 나타내기 위해 논리 1로 세트될 수 있다. 그 다음 방법(200)이 단계 216에서 끝난다. 따라서 방법(200)이 구동된 인터럽트라는 것을 알게 된다.
이제 도 9로 돌아가서, 본 발명의 전형적인 실시예에 따른 폴링 루프(136)를 구현하는 방법(240)을 예시하는 흐름도가 나타나 있다. 방법(240)은 연속적인 루프에서 동작하고 구동된 인터럽트는 아니다. 방법(240)은 단계 242에서 시작하고 거기서 스위치(60) 내에서 포트의 수(그리고 따라서 PHYs)와 같은 최대치를 가진 가변 숫자는 0으로 리셋된다. 단계 244에서 고려중인 전역 변수는 연관된 국부 변수로 복사되고 적절한 전역 변수는 단계 246에서 제거된다. 단계 248에서 고려중인 국부 변수가 논리 1로 세트되었는지에 대한 결정이 이루어지고 따라서 이것은 연관된 포트가 혼신 신호를 수신하였으며 포트와 결합된 네트워크나 라인이 혼신 조건을 경험하였다는 것을 나타내게 된다. 그렇지 않다면, 가변 변수는 단계 250에서 1만큼 증가되며, 추가 포트와 PHY에 연관된 다음의 연속되는 전역 변수와 국부 변수가 그 후에 단계(244-248)가 반복되는 동안에 처리되고 고려될 것이다. 한편 적절한 국부 변수가 논리 1로 세트되게 되면, PHY(66)의 잡음 문턱 레지스터(146) 내용물에 나타난 바와 같이, 폴링 루프(136)가 단계 252에서 그것의 잡음 문턱 레벨을 결정하기 위해서, 연관된 PHY(66)를 묻게 된다. 단계 254에서 PHY(66)에 대한 잡음 문턱 레벨은 소정의 증분(예를 들어, 10mV)만큼 증가되며 그로 인해 그 안에 PHY(66)이 합체된 수신기의 감도를 저하시킨다. 특히, 마이크로프로세서(120)는 연결(144) 상에 직렬 신호를 출력시킬 수 있고, 이것은 잡음 폴로워(148)에 의해 수신되며 잡음 문턱 레지스터(146)에 저장되고 소정의 양만큼 증가되는 8비트 시퀀스를 발생시킨다. 따라서, 펄스 감지기 로직(70)의 비교기로 전달되는 잡음 문턱 레벨은 증가된다. PHY의 잡음 문턱 레벨을 증가시키고 감도를 저하시킴으로써 폴링 루프(136)는 PHY(66)이 혼신 신호를 감지하는데 있어서 덜 민감하게 되도록 애쓰게 되고, 이것은 통상적으로 유효한 신호들보다 작은 전압 크기를 갖는다. 결정 상자(256)에서 PHY(66)의 수정된 잡음 문턱 레벨이 소정의 최대 잡음 문턱 레벨보다도 큰지를 결정하게 된다. 만약 그렇다면, 적절한 PHY(66)는 수정된 잡음 문턱 레벨을 구현하기 위해 재구성되지 않게 되고 방법은 바로 결정 상자(262)로 진행하게 된다. 선택적으로 고려중인 PHY(66)는 단계 260에서 수정된 잡음 문턱 레벨을 사용하기 위해 재구성된다. 결정 상자(262)에서 스위치(60)의 PHYs중 어느 하나를 표시하는 가변 숫자가 소정의 최대치(즉, 스위치(60) 내에 포함된 PHYs의 총 숫자)에 도달하였는지가 결정된다. 만약 그렇다면, 가변 숫자는 단계 242에서 재차 리세트되며 방법(240)은 추가 반복을 수행한다. 만약 그렇지 않으면, 가변 변수는 1만큼 증가되며 다음 반복이 단계 244에서 시작한다.
요약하면, 본 발명은 정상적인 동작 조건하에서 적절한 네트워크 어드레스로 패킷을 수신하지 않는 멀티포트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하나의 포트 상에 네트워크 어드레스가 나타날 때, 혼신 조건을 감지하는 것을 꾀하고 있다. 본 발명은 혼신 조건이 발생하는 네트워크나 라인에 대해 하나의 포트의 수신기 감도를 역동적으로 저하시킴으로써 혼신 조건을 말하려는 것이다.
따라서 혼신 조건들을 감소시키기 위해 수신기의 감도를 역동적으로 조정하는 방법과 디바이스가 기술되었다. 비록 본 발명은 특정의 전형적인 실시예를 참조하여 기술되었지만 본 발명의 보다 넓은 영역과 원리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이들 실시예에 다양한 수정과 변경일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은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명세서와 도면은 제한적인 의미보다는 예시적인 것으로 간주될 것이다.

Claims (40)

  1. 원격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네트워크 어드레스를 멀티포트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제 1 포트와 접속시키는 단계;
    멀티포트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제 2 포트에서 네트워크 어드레스의 수신을 감지하는 단계; 및
    제 2 포트와 접속되어, 제 2 포트에서의 네트워크 어드레스의 수신에 응답하여 제 1 감도 레벨에서 제 2 감도 레벨까지 수신기의 감도를 자동으로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기의 감도 조정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감도를 자동으로 조정하는 상기 단계는, 수신기의 감도를 저하시키기 위해 소정의 증가분만큼 잡음 문턱 레벨을 자동으로 상승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기의 감도 조정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수신기의 제 2 감도 레벨이 최소 감도 레벨을 초과하는지를 결정하고, 만약 그렇다면, 상기 수신기에 대해 제 1 감도 레벨을 유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기의 감도 조정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관시키는 단계는, 제 1 포트와 네트워크 어드레스 사이의 연관성을 기록하는 어드레스 검색표를 구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기의 감도 조정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어드레스는 원격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미디어 액세스 컨트롤(MAC) 어드레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기의 감도 조정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하는 단계는, 멀티포트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제 2 포트에서 패킷을 수신하는 단계와 그 패킷으로부터 네트워크 어드레스를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기의 감도 조정 방법.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하는 단계는, 원격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네트워크 어드레스와 연관되어 있는 제 1 포트를 식별하기 위해 어드레스 검색표에 액세스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기의 감도 조정 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하는 단계는, 프로세서에 인터럽트를 통지하는 단계와, 상기 인터럽트 통지에 응답하여 프로세서 내의 인터럽트 서비스 루틴을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기의 감도 조정 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제 2 포트와 연관된 전역 변수를 사용하여 제 2 포트에서의 네트워크 어드레스의 수신을 나타내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기의 감도 조정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각각 멀티포트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복수의 포트중 각각의 하나의 포트에 연관되어 복수의 전역 변수들을 통해 순환하는 단계와, 적어도 하나의 전역 변수에 의해 제공되는 표시에 따라서 복수의 포트와 연관되는 복수의 수신기중 적어도 하나의 감도를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기의 감도 조정 방법.
  11. 제 1 항에 있어서, 제 2 포트에 결합된 네트워크는 소정의 네트워크형인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기의 감도 조정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제 2 포트에 결합된 네트워크는 재래식 전화(POTS) 배선을 통해 구현되는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기의 감도 조정 방법.
  13. 제 4 항에 있어서, 멀티포트 네트워크 어드레스의 제 2 포트에서의 수신에 응답하여 어드레스 검색표로부터 네트워크 어드레스를 삭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기의 감도 조정 방법.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포트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기의 감도 조정 방법.
  15. 멀티포트 네트워크 디바이스중 하나의 포트에서 원격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식별하는 네트워크 어드레스의 수신을 감지하는 단계;
    네트워크 어드레스가 멀티포트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추가 포트와 접속되어 있는지를 결정하는 단계; 및
    만약 그렇다면, 포트와 접속된 수신기의 감도를 제 1 감도 레벨에서 제 2 감도 레벨까지 자동으로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기의 감도 조정 방법.
  16. 제 15 항에 있어서, 감도를 자동으로 조정하는 상기 단계는, 포트와 접속된 수신기의 감도를 저하시키기 위해, 소정의 증가분만큼 잡음 문턱 레벨을 자동으로 상승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기의 감도 조정 방법.
  17. 제 15 항에 있어서, 수신기의 제 2 감도 레벨이 최소 감도 레벨을 초과하는지를 결정하고, 만약 그렇다면, 상기 수신기에 대해 제 1 감도 레벨을 유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기의 감도 조정 방법.
  18. 제 15 항에 있어서, 결정하는 단계는 원격 디바이스의 네트워크 어드레스와 멀티포트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포트 사이의 각 접속을 기록하는 어드레스 검색 정보에 액세스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기의 감도 조정 방법.
  19. 제 15 항에 있어서, 만약 네트워크 어드레스가 멀티포트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추가 포트와 접속되어 있지 않다면, 포트와 연관된 수신기의 제 1 감도 레벨을 유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기의 감도 조정 방법.
  20. 원격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네트워크 어드레스와 멀티포트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제 1 포트와의 접속을 기록하는 메모리;
    멀티포트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제 2 포트에서 네트워크 어드레스의 수신을 감지하는 감지기;
    제 2 포트와 접속되어, 제 2 포트에서의 네트워크 어드레스의 수신에 응답하여 제 1 감도 레벨에서 제 2 감도 레벨까지 수신기의 감도를 자동으로 조정하는, 감지기와 연결된 조정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기의 감도 조정 장치.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기는 어드레스 검색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기의 감도 조정 장치.
  22.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기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기의 감도 조정 장치.
  23.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기는 수신기의 감도를 저하시키기 위해 소정의 증가분만큼 잡음 문턱 레벨을 자동으로 상승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기의 감도 조정 장치.
  24.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기는 수신기의 제 2 감도 레벨이 최소 감도 레벨을 초과하는지를 결정하고, 만약 그렇다면 수신기의 제 1 감도 레벨을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기의 감도 조정 장치.
  25.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는 제 1 포트와 네트워크 어드레스 사이의 접속을 기록하는 어드레스 검색표를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기의 감도 조정 장치.
  26.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어드레스는 원격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미디어 액세스 컨트롤(MAC) 어드레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기의 감도를 조정 장치.
  27.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기는 멀티포트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제 2 포트 에서 패킷의 수신을 감지하고, 그 패킷으로부터 네트워크 어드레스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기의 감도 조정 장치.
  28.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기는 원격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네트워크 어드레스와 접속되는 제 1 포트를 식별하기 위해, 어드레스 검색표에 액세스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기의 감도 조정 장치.
  29.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기는 조정기에 인터럽트를 통지하고, 조정기는 인터럽트 통지에 응답하여 조정기 내의 인터럽트 서비스 루틴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기의 감도 조정 장치.
  30.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기는, 제 2 포트와 접속된 전역 변수를 사용하여 제 2 포트에서 네트워크 어드레스의 수신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기의 감도 조정 장치.
  31. 제 30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기는, 각각 멀티포트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복수의 포트중 개별적인 하나에 접속되어 복수의 전역 변수들을 통해 순환하고, 적어도 하나의 전역 변수에 의해 제공되는 표시에 따라서 복수의 포트와 접속되는 복수의 수신기중 적어도 하나의 감도를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기의 감도 조정 장치.
  32.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기는, 제 2 포트에 결합된 네트워크가 소정의 네트워크형인지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기의 감도 조정 장치.
  33. 제 32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기는, 제 2 포트에 결합된 네트워크가 재래식 전화(POTS) 배선을 통해 구현되는지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기의 감도 조정 장치.
  34.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기는 멀티포트 네트워크 어드레스의 제 2 포트 에서의 수신에 응답하여 어드레스 검색표로부터 네트워크 어드레스를 삭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기의 감도 조정 장치.
  35.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포트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기의 감도 조정 장치.
  36. 멀티포트 네트워크 디바이스중 하나의 포트에서 원격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식별하는 네트워크 어드레스의 수신을 감지하는 감지 수단;
    네트워크 어드레스가 멀티포트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추가 포트와 접속되어 있는지를 결정하는 결정 수단; 및
    만약 네트워크 어드레스가 멀티포트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추가 포트와 접속되어 있다면, 추가 포트에서 네트워크 어드레스의 수신에 응답하여 제 1 감도 레벨에서 제 2 감도 레벨까지 포트와 접속된 수신기의 감도를 자동으로 조정하는 조정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기의 감도 조정 장치.
  37. 제 36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 수단은, 포트와 접속된 수신기의 감도를 저하시키기 위해, 소정의 증가분만큼 잡음 문턱 레벨을 자동으로 상승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기의 감도 조정 장치.
  38. 제 36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 수단은, 수신기의 제 2 감도 레벨이 최소 감도 레벨을 초과하는지를 결정하고, 만약 그렇다면, 상기 수신기에 대해 제 1 감도 레벨을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기의 감도 조정 장치.
  39. 제 36 항에 있어서, 네트워크 어드레스가 멀티포트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추가 포트와 접속되는지를 결정하기 위해, 상기 결정 수단이, 원격 디바이스의 네트워크 어드레스와 멀티포트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포트 사이의 각 접속을 기록하는 어드레스 검색 정보에 액세스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기의 감도 조정 장치.
  40. 기계에 의해 수행될 때, 그 기계로 하여금
    제 1 포트와 접속되어, 멀티포트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제 2 포트에서 네트워크 어드레스의 수신을 감지하는 단계;
    제 2 포트와 접속되어, 제 2 포트에서의 네트워크 어드레스의 수신에 응답하여 제 1 감도 레벨에서 제 2 감도 레벨까지 수신기의 감도를 자동으로 조정하는 단계를 수행하게 하는 일련의 명령어를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계 읽기 가능 매체.
KR1019997011024A 1998-09-17 1999-04-30 공통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결합된 와이어 사이의 혼신를자동으로 감소시키는 방법 및 장치 KR2001001304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9/156,573 1998-09-17
US09/156,573 US5982741A (en) 1998-09-17 1998-09-17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ically reducing cross-talk between wires coupled to a common network devi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13048A true KR20010013048A (ko) 2001-02-26

Family

ID=225601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7011024A KR20010013048A (ko) 1998-09-17 1999-04-30 공통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결합된 와이어 사이의 혼신를자동으로 감소시키는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5982741A (ko)
EP (1) EP1033000A1 (ko)
KR (1) KR20010013048A (ko)
CN (1) CN1288620A (ko)
AU (1) AU757741B2 (ko)
CA (1) CA2309035A1 (ko)
TW (1) TW413984B (ko)
WO (1) WO200001650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44668A (en) * 1997-11-26 2000-11-07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imultaneous cut through and store-and-forward frame support in a network device
US6092108A (en) * 1998-03-19 2000-07-18 Diplacido; Bruno Dynamic threshold packet filtering of application processor frames
US6678321B1 (en) 1998-09-15 2004-01-13 Tut System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symbol over pots wiring using a multi-cycle waveform
US6735217B1 (en) * 1998-09-15 2004-05-11 Tut System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collisions on a network using multi-cycle waveform pulses
JP3447586B2 (ja) * 1998-10-22 2003-09-16 Nec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クロック同期化方法及びその装置
US6362908B1 (en) * 1998-12-02 2002-03-26 Marconi Communications, Inc. Multi-service adaptable optical network unit
US6483902B1 (en) 1999-04-30 2002-11-19 Wayport, Inc. System and method for retrofitting existing building telecommunications infrastructures
US6879588B1 (en) * 1999-05-21 2005-04-12 Broadcom Corporation Address resolution snoop support for CPU
US7124221B1 (en) 1999-10-19 2006-10-17 Rambus Inc. Low latency multi-level communication interface
US6771774B1 (en) 1999-12-02 2004-08-03 Tut Systems, Inc. Filter arrangement for shaping a pulse propagated over pots wiring,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7346918B2 (en) 2000-12-27 2008-03-18 Z-Band, Inc. Intelligent device system and method for distribution of digital signals on a wideband signal distribution system
US20020083475A1 (en) * 2000-12-27 2002-06-27 Earl Hennenhoefer Intelligent device system and method for distribution of digital signals on a wideband signal distribution system
WO2003027807A2 (en) * 2001-09-24 2003-04-03 Rumi Sheryar Gonda Method for supporting ethernet mac circuits
JP3878014B2 (ja) * 2001-12-28 2007-02-07 富士通株式会社 Lan及びwanをインタフェースするパケットスイッチ
CA2380246A1 (en) * 2002-04-04 2003-10-04 Catena Networks Canada Inc. Crosstalk masking for digital subscriber loops
US7047041B2 (en) 2002-06-17 2006-05-16 Nokia Corporation Method and device for storing and accessing personal information
US8861533B1 (en) * 2002-06-20 2014-10-14 Overture Networks, Inc. Demarcation point for ethernet service and methods of providing ethernet service
US7266818B2 (en) * 2002-06-28 2007-09-04 Microsoft Corporation Automated system setup
US7292629B2 (en) * 2002-07-12 2007-11-06 Rambus Inc. Selectable-tap equalizer
US8861667B1 (en) 2002-07-12 2014-10-14 Rambus Inc. Clock data recovery circuit with equalizer clock calibration
US7072672B1 (en) 2002-11-01 2006-07-04 Nokia Corporation Disposable mini-applications
US7106688B2 (en) * 2003-04-14 2006-09-12 Cisco Technology, Inc. System and method for preventing phantom data communication links
US7530004B1 (en) * 2005-04-21 2009-05-05 Neural Systems Corp. Error correction apparatus using forward and reverse threshold functions
US7283460B1 (en) * 2006-04-03 2007-10-16 Stmicroelectronics S.R.L. Bus switch encoding for reducing crosstalk effects in buses
US8462618B2 (en) * 2007-10-22 2013-06-11 Adc Dsl Systems, Inc. Crossover operation in a 1+1 protection switching environment
US11115264B2 (en) 2019-06-28 2021-09-07 Nxp B.V. Apparatuses and methods involving managing port-address assignments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08469A (en) * 1993-07-22 1995-04-18 Synoptics Communications, Inc. Routing device utilizing an ATM switch as a multi-channel backplane in a communication network
US5613068A (en) * 1994-06-17 1997-03-18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for transferring data between processors on a network by establishing an address space for each processor in each other processor's
JP2679635B2 (ja) * 1994-08-22 1997-11-19 日本電気株式会社 Lan間接続装置
US5689644A (en) * 1996-03-25 1997-11-18 I-Cube, Inc. Network switch with arbitration sy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413984B (en) 2000-12-01
WO2000016507A1 (en) 2000-03-23
EP1033000A1 (en) 2000-09-06
AU3778699A (en) 2000-04-03
CA2309035A1 (en) 2000-03-23
CN1288620A (zh) 2001-03-21
AU757741B2 (en) 2003-03-06
US5982741A (en) 1999-1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0013048A (ko) 공통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결합된 와이어 사이의 혼신를자동으로 감소시키는 방법 및 장치
US6642843B2 (en) Management system
JP3323228B2 (ja) ネットワーク・トポロジー判定方法
US5515376A (en) Communication apparatus and methods
CN101330405B (zh) 网络拓扑发现方法及相关设备
US5337309A (en) Port arrival identification for computer network packets
CN1509032B (zh) 动态广域网端口检测方法和系统
US7969975B2 (en) Data collection from CPE devices on a remote LAN
US8074279B1 (en) Detecting rogue access points in a computer network
US8189601B2 (en) Communic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terminating a maintenance message
JPH088958A (ja) アクセス提供システム及び接続自動判断方法
US6289015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he secure switching of a packet within a communications network
CN100547980C (zh) 一种信息处理装置以及控制方法
CN112671606B (zh) 一种网络测速方法和装置、系统、存储介质及网关设备
KR20000054938A (ko) 이더넷 정합장치의 패킷 처리장치 및 방법
US20120084442A1 (en) Communication terminal, address resolution server, and computer program
US20030115610A1 (en) Cable modem (or xDSL modem) integrated with access point
Cisco Catalyst 2000 MIB Extensions
Cisco Catalyst 2000 MIB Extensions
Cisco Catalyst 2000 MIB Extensions
Cisco Catalyst 2000 MIB Extensions
Cisco Catalyst 2000 MIB Extensions
Cisco Catalyst 2000 MIB Extensions
Cisco Catalyst 2000 MIB Extensions
US6912199B1 (en) Method to select transmission rate for network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