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12668A - 디지탈 정보신호를 인코딩된 형태 및 인코딩되지 않은형태로 교대로 송신하는 송신장치 - Google Patents
디지탈 정보신호를 인코딩된 형태 및 인코딩되지 않은형태로 교대로 송신하는 송신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10012668A KR20010012668A KR1019997010629A KR19997010629A KR20010012668A KR 20010012668 A KR20010012668 A KR 20010012668A KR 1019997010629 A KR1019997010629 A KR 1019997010629A KR 19997010629 A KR19997010629 A KR 19997010629A KR 20010012668 A KR20010012668 A KR 20010012668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ignal
- digital information
- encoded
- identification
- encoding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M—CODING; DECODING; CODE CONVERSION IN GENERAL
- H03M7/00—Conversion of a code where information is represented by a given sequence or number of digits to a code where the same, similar or subset of information is represented by a different sequence or number of digits
- H03M7/30—Compression; Expansion; Suppression of unnecessary data, e.g. redundancy reduction
- H03M7/40—Conversion to or from variable length codes, e.g. Shannon-Fano code, Huffman code, Morse code
-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M—CODING; DECODING; CODE CONVERSION IN GENERAL
- H03M7/00—Conversion of a code where information is represented by a given sequence or number of digits to a code where the same, similar or subset of information is represented by a different sequence or number of digits
- H03M7/30—Compression; Expansion; Suppression of unnecessary data, e.g. redundancy reduction
- H03M7/40—Conversion to or from variable length codes, e.g. Shannon-Fano code, Huffman code, Morse code
- H03M7/4006—Conversion to or from arithmetic cod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For Digit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 Dc Digital Transmission (AREA)
- Compression, Expansion, Code Conversion, And Decoders (AREA)
-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z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AREA)
Abstract
전송매체를 통해 디지탈 정보신호를 송신하는 송신기가 개시된다. 디지탈 정보신호는 한 개 또는 그 이상의 서브 신호로 분할될 수 있다. 각각의 서브 신호는 인코딩되지 않은 신호 또는 인코딩된 신호로서 송신된다. 서브 신호가 송신되는 방식은 인코더에 의해 얻을 수 있는 압축률에 의존한다. 압축률이 낮으면, 서브 신호는 인코딩되지 않은 형태로 송신된다. 수신기를 위해, 식별자가 전송하려는 합성신호에 부가된다. 식별신호의 제 1 성분은, 한 개 또는 그 이상의 서브 신호가 인코딩된 형태로 송신되는지 여부를 나타낸다. 또한, 식별신호의 제 2 성분은, 각각의 신호에 대해, 그 서브 신호가 합성신호 내부에 인코딩된 형태 또는 인코딩되지 않은 형태로 나타나는지 여부를 나타낸다. 본 발명은 최소의 비트수를 갖는 합성신호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전송매체를 통해 디지탈 정보신호를 송신하며,
- 디지탈 정보신호를 수신하는 입력수단과,
- 디지탈 정보신호를 인코딩하여 출력신호를 발생하는 수단을 구비한 송신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전송매체를 통해 합성신호를 수신하는 수신장치와, 전송매체를 통해 디지탈 정보신호를 송신하는 방법과, 일정한 인코딩 방법에 의해 인코딩되거나 인코딩되지 않은 복수의 부분을 갖는 디지탈 정보신호를 지닌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서두에서 정의된 형태의 송신 및 수신장치는, AES preprint 4563, "Improved Lossless Coding of 1-Bit Audio Signals" by Fons Bruekers et al, 103rd AES Convention(New York, US)에 공지되어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송신장치는, 디지탈 정보신호의 송신을 위해 비트 전송속도를 효과적으로 줄이기 위한 것이다. 이에 따라 얻어진 합성신호는 디지탈 정보신호의 인코딩된 신호를 포함한다. 평균적으로, 이러한 종래의 송신장치를 사용하여 얻어진 합성신호는, 디지탈 정보신호가 인코딩되지 않은 합성신호 보다 더 적은 비트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디지탈 정보신호를 더 작은 수의 비트로 또는 많아야 동일한 수의 비트로 전송하는 송신 및/또는 수신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송신장치는, 상기 송신장치가,
- 인코딩 수단에 인가되는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제어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인코딩 수단은, 제 1 형태를 갖는 제어신호의 영향하에서 디지탈 정보신호의 인코딩된 부분의 형태로 출력신호의 부분을 발생하고, 제 2 형태를 갖는 제어신호의 영향하에서 디지탈 정보신호 부분의 형태로 출력신호의 부분을 발생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송신장치가,
- 출력신호가 인코딩 수단에서 인코딩된 디지탈 정보신호의 부분을 포함한다는 것을 나타내는 제 1 형태의 제 1 식별신호와, 출력신호가 인코딩 수단에 의해 인코딩된 디지탈 정보신호의 어떤 부분도 포함하지 않는다는 것을 나타내는 제 2 형태의 제 1 식별신호를 발생하는 수단과,
- 디지탈 정보신호의 일부분에 대해, 제 1 형태의 제어신호와 제 1 형태의 제 1 식별신호에 의존하여 제 1 형태의 제 2 식별신호와, 제 2 형태의 제어신호와 제 1 형태의 제 1 식별신호에 의존하여 제 2 형태의 제 2 식별신호를 발생하는 수단과,
- 인코딩 수단의 출력신호와, 제 1 식별신호와, 제 1 식별신호가 제 1 형태를 갖는 경우에는, 제 2 식별신호를 합성하여, 전송매체로 인가되는 합성신호를 얻는 합성수단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수신장치는, 디멀티플렉싱 수단이 합성신호로부터 제 1 형태 및 제 2 형태를 갖는 제 1 식별신호를 도출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디코딩 수단이, 디지탈 신호 부분을 디지탈 정보신호의 일부분으로 디코딩하여, 제 1 형태의 제어신호에 의존하여 디지탈 정보신호의 상기 부분을 출력하고, 제 2 형태의 제어신호에 의존하여 신호 부분을 실질적으로 변형되지 않은 형태로 디지탈 정보신호의 일부분으로서 출력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수신장치는,
- 디코딩 수단으로 인가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디멀티플렉싱 수단은 제 1 형태의 제 1 식별신호에 의존하여 제 1 형태의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단계와,
- 제 1 형태의 제어신호의 영향하에서 디지탈 정보신호의 인코딩된 부분의 형태로 출력신호의 부분을 발생하는 단계와,
- 제 2 형태의 제어신호의 영향하에서 디지탈 정보신호의 부분의 형태로 출력신호의 부분을 발생하는 단계와,
- 출력신호가 인코딩 수단에서 인코딩된 디지탈 정보신호의 부분을 포함한다는 것을 나타내는 제 1 형태의 제 1 식별신호, 또는 출력신호가 인코딩 수단에 의해 인코딩된 디지탈 정보신호의 어떠한 부분도 포함하지 않는다는 것을 나타내는 제 2 형태의 제 1 식별신호를 발생하는 단계와,
- 제 1 형태의 제어신호와 제 1 형태의 제 1 식별신호에 의존하여 제 1 형태의 제 2 식별신호를 발생하는 단계와,
- 제 2 형태의 제어신호와 제 1 형태의 제 1 식별신호에 의존하여 제 2 형태의 제 2 식별신호를 발생하는 단계와,
- 인코딩 수단의 출력신호와, 제 1 식별신호와, 제 1 식별신호가 제 1 형태를 갖는 경우에는, 제 2 식별신호를 합성하여, 합성신호를 얻는 단계와,
- 합성신호를 전송매체로 인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기록매체는, 일정한 인코딩 방법을 사용하여 인코딩되거나 인코딩되지 않은 부분을 갖는 디지탈 정보신호를 지니고, 기록매체가 일정한 인코딩 방법을 사용하여 인코딩된 디지탈 정보신호 부분을 갖는다는 것을 나타내는 제 1 형태를 갖는 제 1 식별신호를 더 지닌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인코더를 사용하는 것에 의해, 디지탈 정보신호를 전송하는데 필요한 비트의 수가 항상 줄어드는 것은 아니라는 사실의 인식에 기반을 두고 있다. 인코더 내부에서, 일부 신호는 디지탈 정보신호 그 자체보다 디지탈 정보신호의 표시를 위해 더 많은 비트를 필요로 하는 출력신호를 발생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와 방법에 있어서는, 이와 같은 증가를 배제하기 위해, 더 적은 수의 비트를 갖는 표시가, 신호가 일정한 인코딩 방법에 의해 인코딩되었는지 아닌지를 나타내는 식별신호와 함께 전송된다. 이에 따라, 기록매체는 최대수의 비트를 저장할 수 있다. 기록매체가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사용하여 얻어지는 경우에는, 그 기록매체가 더 큰 디지탈 정보신호를 갖는 합성신호를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러한 발명내용과 또 다른 발명내용을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송신장치의 일 실시예에 대한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수신장치의 일 실시예에 대한 블록도이며,
도 3은 기록장치의 형태를 갖는 송신장치의 블록도이고,
도 4는 재생장치의 형태를 갖는 수신장치의 블록도이며,
도 5는 기록매체 상의 볼륨 공간(Volume Space)의 구조를 나타낸 것이고,
도 6은 기록매체 상의 오디오 영역의 구조를 나타낸 것이며,
도 7은 기록매체 상의 오디오 섹터의 레이아웃을 나타낸 것이고,
도 8은 복수의 다중화된 프레임과 복수의 오디오 섹터 사이의 관계를 나타낸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송신장치의 제 1 실시예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송신장치는, 디지탈 오디오 신호와 같은 디지탈 정보신호를 수신하는 입력 단자(2)를 갖는다. 이 디지탈 오디오 신호는, 디지탈 오디오의 아날로그 신호를 A/D 변환기에서 디지탈 정보신호로 변환함으로써 얻어질 수 있다. 이 디지탈 정보신호는 비트 스트림과 같은 1-비트 신호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입력단자를 통해 수신된 디지탈 정보신호는 미도시된 전처리 동작을 사용하여 얻어진다. 이와 같은 전처리 동작은 예를 들면 인코딩 방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디지탈 정보신호는 1개 또는 그 이상의 신호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디지탈 정보신호의 한 개의 신호 부분은, 예를 들면 기록매체 상의 한 개의 트랙 내부에 기록된 정보이거나, 디지탈 정보신호의 다수의 샘플을 포함하는 그룹일 수 있다. 이와 같은 복수의 신호 부분은 함께 디지탈 정보신호를 구성한다. 이 디지탈 정보신호는, 예를 들면 기록매체 상에 기록된 모든 오디오 정보이거나, 전송매체를 통해 송신되는 뮤직 항목일 수 있다. 상기한 입력 단자(2)는 인코딩 수단(6)의 입력(4)에 접속된다. 인코딩 수단은, 입력(4)에서 수신된 신호를 인코딩된 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된 인코더(7)를 구비한다. 이 인코딩 수단은, AES preprint 4563 "Improved Lossless Coding of 1-Bit Audio Signals" by Fons Bruekers et al. 103rd AES Convention(New York, US)에 기재된 것과 같은 무손실 인코더를 구비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인코딩 수단은 손실 인코더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인코딩 수단(4)은 출력(10)으로 출력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된다. 제어 입력(8)으로 인가된 제어신호에 의존하여, 스위칭 소자(9)는 인코더(7)의 출력 또는 입력(4)을 출력(10)에 접속함으로써, 출력신호가 인코딩된 신호 또는 입력(4)에 수신된 신호를 포함하게 된다.
또한, 상기한 인코딩 수단은, 인코더 내부에서 사용된 계수값에 의존하여 디지탈 정보신호를 변형되거나 변형되지 않은 형태로 인코더의 출력으로 출력하는 인코더(7)를 구비한다. 예를 들면, 본 출원의 출원시에 아직 공개되지 않은 특허출원 EP 98200869(PHN 16.831)에는, 0.5의 값을 갖는 계수값의 경우에, 연산 인코더의 입력에 수신된 신호를 거의 변형되지 않은 형태로 연산 인코더의 출력으로 인가하는 연산 인코더가 개시되어 있다. 제어신호에 의존하여 인코더 내부에서 적절한 계수값을 선택함으로써, 인코더는 인코딩된 디지탈 정보신호 또는 거의 변형되지 않은 디지탈 정보신호를 출력으로 인가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인코딩 수단(6)은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은 스위칭 소자를 포함하지 않는다.
또한, 도 1에 도시된 실시예는, 식별신호를 도출하기 위해 제어신호를 인코더(6)의 제어 입력(8)과 수단(18)의 제어 입력(16)으로 인가하는 제어수단(12)을 구비한다. 제어수단(12)은 입력 단자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그러나, 이와 달리 상기한 제어수단(12)은, 신호를 인코더(7) 내부에서 인코딩된 신호로 변환함으로써 얻어지거나 얻어질 수 있는 데이터 축소를 결정하도록 구성된 수단(12a)을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코더 내부에 엔트로피 인코더가 사용되는 경우에, 엔트로피 인코더의 입력에 인가된 신호의 확률 분포 및/또는 엔트로피 인코더에 의해 사용된 확률표의 도움으로 인코딩에 의해 발생된 신호의 데이터 축소 정도를 만족스러운 확률로 결정할 수 있다. 사전의 추정이 이루어진 경우에는, 데이터 축소를 결정하기 위해 신호가 인코딩될 때까지 대기할 필요는 없다. 이 결과, 송신장치에 의해 디지탈 신호가 더 신속하게 처리되어 전송될 수 있다. 상기한 수단(12a)은 디지탈 정보신호와 개별적인 신호 부분 모두의 데이터 축소를 결정할 수 있다. 그후, 데이터 축소를 소정의 인자와 비교한다. 인코딩이 소정의 인자보다 더 큰 데이터 축소를 일으키는 경우에는, 제 1 형태의 제어신호가 발생된다. 인코딩이 소정의 인자보다 적은 데이터 축소를 발생하는 경우에는, 제 2 형태의 제어신호가 발생된다.
수단 18은 입력(16)에 수신된 제어신호에 의존하여 식별신호를 도출하도록 구성된다. 이 식별신호는 출력(20)으로 인가된다. 상기한 수단(18)은, 인코딩 수단이 신호를 인코딩된 형태로 또는 거의 변형되지 않은 형태로 인코딩 수단(6)의 출력(10)으로 출력하는지 여부를 식별신호 내부에 표시하도록 더 구성된다. 이 식별신호는, 디지탈 정보신호의 신호 부분이 인코딩된 형태로 인코딩 수단(6)의 출력(10)으로 인가된 것을 나타내는 제 1 성분을 포함한다. 식별신호가 이와 같은 제 1 성분을 포함하는 경우에, 이 식별신호는 신호 부분의 각각에 대해 신호가 인코딩된 형태로 또는 거의 변형되지 않은 형태로 인코딩 수단(6)의 출력(10)으로 인가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제 2 성분을 더 포함한다.
합성수단(22)은, 인코딩 수단(6)의 출력(10)에 접속된 제 1 입력(24)과, 식별신호를 발생하기 위해 수단 18의 출력(20)에 접속된 제 2 입력(26)과, 출력(28)을 갖는다. 이 합성수단은, 인코딩 수단(6)의 출력신호와 식별신호로부터 합성신호를 발생하도록 구성된다, 합성신호는 전송매체 TRM을 통해 전송하기 위해 출력(28)으로 인가된다.
전술한 송신장치는 다음과 같이 동작한다. 디지탈 정보신호는 입력 단자(2)에 인가되어 인코딩 수단(6)으로 주어진다. 제어수단(12)은 인코딩 수단(6)에 제어신호를 인가한다. 제 1 형태의 제어신호가 수신되면, 인코딩 수단의 출력신호는 인코딩된 신호를 포함한다. 제 2 형태의 제어신호가 수신되면, 스위칭 수단(9)은 인코딩 수단(6)의 입력(4)을 인코딩 수단(6)의 출력(10)에 접속한다. 이에 따라, 인코딩 수단(6)의 출력신호는 디지탈 정보신호를 포함한다. 이때, 제어신호는 외부에서 정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부 형태의 디지탈 정보신호에 대해, 이들 디지탈 정보신호의 인코딩이 증가된 수의 비트를 발생한다는 것이 알려져 있다. 이 경우에는, 디지탈 정보신호가 압축이 압축되기보다는 압축이 해제된다. 이것은, 이러한 압축복원과정이 문제를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이들 문제점으로는, 예를 들면, 디지탈 정보신호를 전송매체를 통해 전송하기 위한 부적합한 저장 용량 또는 불충분한 대역폭을 들 수 있다. 디지탈 정보신호의 인코딩이 원하는 데이터 축소를 제공하지 않는다는 것을 알았을 때 제 2 형태의 제어신호가 인가된다. 이 경우에는, 디지탈 정보신호가 인코딩된 형태로 합성수단(22)에 인가되지 않는다. 그러나, 인코딩이 상당한 데이터 축소를 발생한다는 것을 알았을 때, 제 1 형태의 제어신호가 인가된다. 상기한 수단(18)은 관련된 제어신호에 해당하는 식별신호를 발생한다. 합성수단은, 인코딩 수단(6)의 출력신호와 식별신호를 합성신호로 합성한다. 그후, 합성신호가 전송매체를 통해 송신된다. 합성신호에 더 적은 수의 비트를 갖는 디지탈 정보신호를 선택함으로써, 송신장치는 기록매체 상의 저장용량을 최적으로 사용하거나, 전송매체의 대역폭을 최적으로 사용하게 된다.
앞의 문장에서, 본 발명에 따른 송신장치를 사용하여 디지탈 정보신호가 송신되는 방법을 설명하였다. 이때, 디지탈 정보신호는 한 개의 신호로서 고려한다. 그러나, 디지탈 정보신호는 복수의 신호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한 개의 신호 부분은 한 개의 음악 항목일 수 있지만, 이와 달리 디지탈 정보신호의 연속적인 샘플로 이루어진 그룹일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송신장치는, 인코더를 사용하여 코딩되거나 코딩되지 않은 각각의 개별적인 신호가 송신되도록 할 수도 있다. 따라서, 송신장치는, 전체의 디지탈 정보신호 및/또는 각각의 개별적인 신호 부분에 대해, 전송매체를 통해 디지탈 정보신호를 송신하는데 최소 수의 비트가 필요한 방식이 무엇인지를 결정하는 수단(12a)을 포함한다. 일부 신호 부분에 대해, 인코딩은 데이터 축소를 일으킨다. 다음 신호 부분에 대해서, 인코딩은 데이터 증가를 일으킨다. 따라서, 제어신호는, 인코더에 의해 제공된 데이터 축소가 만족스럽지 않은 신호 부분이 인코더(6)의 출력신호에 인코딩된 형태로 나타나지 않고, 다른 신호 부분이 출력신호에 인코딩된 형태로 나타나도록, 제 1 형태 또는 제 2 형태를 교대로 가질 수 있다. 식별신호는, 한 개의 신호 부분이 합성 신호 내부에 인코딩된 형태로 나타나는 것을 나타내는 제 1 성분을 포함한다. 더구나, 각각의 부분에 대해, 신호 부분이 합성 신호에 인코딩된 형태로 나타나거나 이와 같은 인코딩된 형태로 나타나지 않는지 여부를 지정하는 제 2 성분이 존재한다.
도 2는 합성신호 TRM을 수신하는 본 발명에 따른 수신장치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디지탈 정보신호는 합성신호로부터 도출된다. 디지탈 정보신호의 정확하거나 정확하지 않는 복제본이 송신장치에서 사용된 코딩에 의존하여 도출된다. 이 합성신호는 디멀티플렉싱 수단(62)의 입력(60)에서 수신된다. 디멀티플렉싱 수단은 합성신호로부터 출력신호와 식별신호를 도출하도록 구성된다. 출력신호는 디지탈 정보신호의 부분을 포함하여 출력(64)으로 인가된다. 디지탈 정보신호의 부분은 한 개 또는 그 이상의 디지탈 정보신호의 신호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한 개의 신호 부분은 디스크의 한 개의 트랙이거나 디지탈 정보신호의 연속적인 샘플로 이루어진 그룹일 수 있다. 디지탈 정보신호의 신호가 인코딩되는 방법을 특정하는 식별신호는 출력(66)으로 공급된다. 식별신호는 각각의 신호 부분에 대해 그것이 인코딩되었는지 아닌지를 특정한다.
식별수단(70)은 디멀티플렉싱 수단(62)의 출력(66)에 접속된 입력(68)을 갖는다. 이 식별수단(70)은, 식별신호로부터 제어신호를 도출하도록 구성되는데, 이 제어신호는 제어 출력(72)으로 전달된다. 디멀티플렉싱 수단(62)의 출력(64)에 존재하는 출력신호의 대응하는 부분이 인코더를 사용하여 인코딩될 때, 제 1 형태의 제어신호가 식별신호로부터 도출된다. 디멀티플렉싱 수단(62)의 출력(64)에 존재하는 출력신호가 이 인코더를 사용하여 인코딩되지 않을 때, 제 2 형태의 제어신호가 식별신호로부터 도출된다.
상기한 디코딩 수단(76)은 디멀티플렉싱 수단(62)의 출력(64)에 접속된 입력(74)을 갖는다. 제어 입력(78)은 식별수단의 제어 출력(72)에 접속된다. 이 디코딩 수단(76)은, 입력(74)에 수신된 신호를 디코딩된 신호로 디코딩하도록 구성된 디코더(77)를 구비하고, 스위칭 수단(79)을 구비한다. 제어 입력(78)에 인가된 제어신호에 의존하여, 스위칭 수단(79)은 디코더(77)의 출력 또는 입력(74)을 출력(80)에 접속함으로써, 디코딩 수단의 출력신호가 입력(74)에서 수신된 신호의 디코딩된 신호 또는 입력(74)에서 수신된 신호를 포함하게 된다. 송신장치가 무손실 코딩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출력(80)으로 인가된 신호는 송신장치의 입력에 인가된 디지탈 정보신호의 정확한 복제본에 해당한다. 이때, 디코더는 손실 디코더 또는 무손실 디코더일 수 있다. 무손실 디코더의 일례가 AES preprint 4563 "Improved Lossless Coding of 1-Bit Audio Signals" by Fons Bruekers et al. 103rd AES Convention(New York, US)에 기재되어 있다. 디코딩된 신호는 제 1 형태의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출력(80)으로 인가된다. 입력(74)에서 수신된 신호는 제 2 형태의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거의 변형되지 않은 형태로 출력(80)으로 인가된다. 신호는 디지탈 정보신호의 신호 부분 또는 전체 디지탈 정보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디코딩 수단(76)은 출력 단자(82)에 접속된 그것의 출력(80)을 갖는다.
도 2에 도시된 수신장치는 다음과 같이 동작한다. 디멀티플렉싱 수단에서, 디지탈 정보신호 부분과 식별신호가 합성신호로부터 도출된다. 식별수단은 식별신호로부터 제어신호룰 도출한다. 식별신호는, 디지탈 정보신호의 한 개 또는 다수의 부분이 일정한 방식으로 인코딩된 신호에 나타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제 1 성분을 갖는다. 제 1 신호성분이 존재하지 않으면, 디지탈 정보신호는 일정한 방식으로 인코딩되지 않은 디지탈 정보신호에 해당한다. 제 1 성분은, 예를 들면 광 디스크의 형태를 갖는 기록매체의 목록표(Table of Contents), 트랙 리스트 또는 블록 헤더에 기록될 수 있다. 제 1 성분이 존재하면, 식별신호는 제 2 성분을 포함한다. 제 2 성분은, 대응하는 신호 부분이 디지탈 정보신호에 인코딩된 형태로 나타나는 방식을 특정한다. 제어신호는 제 1 및 제 2 성분에 의존하여 발생된다. 이 제어신호는 입력(74)에 인가된 신호가 그것이 출력(80)으로 인가되기 전에 디코딩되어야 하는지 아닌지를 결정한다.
도 3은 디지탈 정보신호를 기록매체 상에 기록하는 장치의 형태를 갖는 송신장치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의 블록 300은 도 1에 도시된 블록도와 동등하다. 회로 블록(300)의 출력(28)은 도 1에 도시된 합성수단(30)의 출력(28)에 해당한다. 이 기록장치는, 오류정정 인코더(302)와, 채널 인코더(304)와, 신호를 기록매체(308) 상에 기록하는 기록수단을 더 구비한다. 오류정정 인코더와 채널 인코더는 일반적으로 종래기술로부터 공지되어 있다. 이때, 기록매체(308)는 자기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본 경우에, 기록수단(306)은 정보를 기록매체(308) 상의 트랙에 기록하도록 구성된 한 개 또는 다수의 자기 헤드(310)를 구비한다.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기록매체(308)는 광 정보매체(308')이다. 이때, 기록수단(306)은 기록매체(308') 상의 트랙에 정보를 기록하는 광 기록 헤드(310)를 구비한다.
도 4는 기록매체 상의 디지탈 정보신호를 재생하는 장치의 형태를 갖는 수신장치를 나타낸 것이다. 도 4의 회로 블록(400)은 도 2의 블록도와 동등하다. 회로 블록(400)의 입력(60)은 도 2에 도시된 디멀티플렉싱부(62)의 입력(60)에 해당한다. 이 재생장치는, 판독수단(402)과, 채널 디코더(406)와, 신호 내부의 오류를 검출하고 가능한 경우에 이 오류를 정정하는 수단을 더 구비한다. 채널 디코더와 오류 검출/정정수단은 일반적으로 종래기술로부터 공지되어 있다. 판독수단(402)은, 기록매체(402b) 상에 기록된 신호를 판독하여, 이와 같이 판독된 신호를 채널 디코더(406)로 출력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기록매체(402b)는 자기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본 경우에, 판독수단(402)은 기록매체(402b) 상의 트랙으로부터 정보를 판독하는 한 개 또는 다수의 자기 판독 헤드(402)를 구비한다.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한 기록매체(402b)는 광 정보매체(402')이다. 이때, 판독수단(402)은 기록매체(402b') 상의 트랙으로부터 정보를 판독하는 광학 판독 헤드(402a)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송신장치와 수신장치는 종종 신호를 바이트 지향적으로 신호처리한다. 이 식별신호의 제 1 성분은, 예를 들면 목록표, 트랙 리스트 또는 블록 헤더에 기록된다. 식별신호의 제 2 성분은, 합성 신호 내부에 있는 각각의 신호 부분의 시작점에, 예를 들면 각각의 프레임의 시작점에 기록될 수 있다. 한 개의 프레임은 디지탈 정보신호의 한 개의 부분과 장치를 수신하기 위해 필요한 파라미터를 포함한다. 바이트 지향적 신호처리의 결과로써, 각각의 프레임의 한개의 바이트 또는 복수의 바이트의 경계에서 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 개의 신호 부분이 합성신호 내부에 인코딩된 형태로 나타나는 경우에, 합성신호 내부의 이 부분은 신호에 있는 후속된 복수의 비트로 이루어진 그룹이 어떻게 디코딩되어야 하는가를 특정하는 파라미터를 갖고 시작할 수 있다. 본 경우에, 복수의 비트는 별도로 신호처리되며, 그 결과 제 2 성분은 이러한 신호 부분에 대해 단지 한 개의 비트를 포함할 수 있다. 인코딩된 신호의 비트 수는 바이트의 전체수와 일치할 필요는 없다. 합성신호의 다음 부분이 바이트 경계에서 시작하도록 하기 위해, 다수의 비트를 합성신호 내부의 인코딩된 신호의 종료점에 삽입할 필요가 있다. 한 개의 신호 부분이 인코딩되지 않은 형태로, 즉 원래의 형태로 나타나는 경우에, 제 2 성분은 사용되는 신호 처리에 의존하여 신호 부분마다 한 개의 바이트 또는 한 개의 바이트의 공간을 필요로 할 수 있다. 바이트 지형적 신호처리가 사용되고 신호 부분이 전체수의 바이트를 포함하는 경우에, 제 2 성분은 한 개의 바이트의 공간을 점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결과, 합성신호의 경계가 바이트 경계에 남아있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기록매체 상의 볼륨 공간의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기록매체 상의 볼륨 공간은 파일 시스템 영역, 마스터 TOC, 2-채널 스테레오 영역, 다중 채널 영역과 추가 데이터 영역으로 분할된다. 이때, 2-채널 스테레오 영역과 다중 채널 영역은 오디오 영역으로 불린다. 각각의 기록매체는 마스터 TOC 영역과 적어도 한 개의 오디오 영역을 가져야 한다. 기록매체는 선택적으로 파일 시스템 영역을 가질 수 있다. 이때, 파일 시스템 영역은 ISO 9660 및/또는 UDF 사양에 따른 파일 시스템을 포함한다. ISO 9660은 CD-ROM의 형태를 갖는 기록매체의 볼륨과 파일 구조를 특정한다. 추가 데이터 영역은 선택적으로 오디오 관련 정보를 저장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기록매체가 추가 데이터 영역을 가지면, 이 기록매체는 UDF 및/또는 ISO 9660 파일을 가져야만 한다. 추가 데이터 영역에 있는 데이터는 파일 시스템을 통해 어드레스가 지정될 수 있다. 이 파일 시스템은 파일 시스템 영역에 저장된다. 파일 시스템 영역이 파일 시스템을 저장하기에 충분할 정도로 크지 않으면, 파일 시스템의 나머지 부분이 추가 데이터 영역에 저장될 수 있다.
상기한 마스터 TOC 영역은 3개의 동일한 마스터 TOC 복제본을 포함한다. 마스터 TOC는 최상위 레벨에서 기록매체를 기술한다. 마스터 TOC의 3개의 복제본은 각각의 기록매체 상의 일정한 위치에 놓이며, 10 섹터의 고정된 크기를 갖는다. 첫 번째 섹터는 기록매체 상의 오디오 영역의 크기 및 위치, 앨범 정보, 카탈로그 번호, 기록매체의 형태 및 기록매체의 일자와 같은 기록매체에 대한 일반적인 정보를 포함한다.
도 6은 기록매체 상의 오디오 영역의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이 오디오 영역은, 오디오 정보를 포함하는 복수의 오디오 트랙을 갖는 트랙 영역과 제어정보를 갖는 영역 TOC를 포함한다. 모든 2-채널 스테레오 트랙은 2-채널 스테레오 영역에 배치된다. 모든 다중 채널 트랙은 다중 채널 영역 내부에 배치된다. 각각의 오디오 영역은 영역 TOC-1과, 오디오 트랙을 갖는 트랙 영역과, 영역 TOC-2를 포함한다. 영역 TOC-1과 영역 TOC-2의 내용은 동일하며 영역 TOC의 복제본을 포함한다. 각각의 오디오 영역의 영역 TOC-1 과 영역 TOC-2의 위치는 마스터 TOC 내부에 지정된다.
트랙 영역 내부에 저장된 정보는 바이트 스트림이다. 한 개의 바이트 스트림은 전체수의 섹터 내부에 저장된다. 바이트 스트림에 의해 사용된 섹터를 오디오 섹터라 부른다. 한 개의 바이트 스트림은 1/75초의 지속기간을 갖는 복수의 다중화된 프레임으로 분할된다. 한 개의 바이트 스트림은 전체수의 다중화된 프레임을 포함하며 오디오 영역에 있는 모든 다중화된 프레임의 연속에 해당한다. 도 7은 오디오 섹터의 레이아웃을 나타낸 것이다. 한 개의 오디오 섹터는 일정한 수의 바이트, 예를 들면 2048 바이트를 포함한다. 각각의 오디오 섹터는 오디로 헤더를 갖고 시작하며 그 뒤에는 적어도 한 개의 패킷이 뒤따른다. 오디오 섹터 내부에 있는 패킷의 최종 바이트가 오디오 섹터의 최종 바이트 내에 놓이지 않으면, 스터핑 바이트(Stuffibg bytes)가 오디오 섹터의 최종 바이트까지 추가된다. 한 개의 패킷은 다음과 같은 데이터 형태, 즉 오디오 데이터, 보조 데이터 또는 패딩 데이터(Padding Data) 중에서 한 개만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보조 데이터의 패킷을 보조 패킷이라 부른다. 또한, 패딩 데이터의 패킷을 패딩 패킷으로 부른다. 한 개의 패킷은 단지 한 개의 오디오 섹터에 속할 수 있다. 한 개의 오디오 섹터는 적어도 한 개의 패킷을 포함하여야 한다. 한 개의 오디오 섹터는 최대 7개의 패킷을 포함한다.
다중화된 프레임은 전체수의 패킷을 포함한다. 한 개의 다중화된 프레임은 적어도 한 개의 오디오 패킷을 포함하여야 한다. 더구나, 한 개의 다중화된 프레임은 보조 데이터 패킷과 패딩 패킷을 포함할 수 있다. 한 개의 오디오 프레임은 다중화된 프레임 내에 연결된 복수의 오디오 패킷을 포함한다. 한 개의 보조 데이터 프레임은 다중화된 프레임 내부에 연결된 복수의 보조 데이터 패킷을 포함한다. 또한, 한 개의 패딩 프레임은 다중화된 프레임 내부에 연결된 복수의 패딩 패킷을 포함한다. 이들 오디오 프레임, 보조 데이터 프레임과 패딩 프레임을 기본 프레임(Elementary Frames)이라 칭한다.
각각의 다중화된 프레임은 분, 초로 표현된 타임 코드와, 초로 표현된 프레임의 시퀀스 번호를 갖는다. 오디오 영역의 트랙 영역에 있는 첫 번째 오디오 프레임은 타임 코드 0을 갖는다. 이 타임 코드는 전체의 트랙 영역에 있는 각각의 연속된 다중화된 프레임 내부에서 증가된다.
도 8은 다중화된 복수의 프레임과 복수의 오디오 패킷 사이의 관계를 나타낸 것이다. 오디오 프레임은 상단에 도시하였다. 이들 오디오 프레임은, 오디오 프레임이 무손실 코딩에 의해 얻어진 경우에는 서로 다른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이들 오디오 프레임은 복수의 오디오 패킷으로 분할된다. 도 8에 있어서, 오디오 프레임 N은 4개의 패킷 (N,0), (N,1), (N,2) 및 (N,3)으로 분할된다. 그후, 이들 오디오 패킷은 오디오 섹터 내부에 배치된다. 전술한 것과 같이, 각각의 오디오 섹터는 오디오 헤더와, 그후의 적어도 한 개의 패킷으로 시작한다. 도 8에 있어서, 보조 데이터 패킷을 S로 표시하였고, 패딩 패킷을 p로 표시하였으며, 오디오 헤더를 h로 표시하였다. 따라서, 도 8에 있어서, 오디오 섹터 M+3은, 오디오 헤더, 오디오 패킷 (N,3), 보조 데이터 패킷 N, 오디오 패킷 (N+1,0), 보조 데이터 패킷 N+1, 패딩 프레임 N+1 및 오디오 프레임 (N+2,0)를 포함한다.
영역 TOC는, 영역 TOC에 속하는 오디오 영역의 트랙 영역에 대한 제어정보를 포함한다. 이때, 제어정보는, 예를 들면, 초당 바이트 수로 표시되는 오디오 영역 내부의 다중화된 데이터의 바이트 전송속도(Byte_Rate)와, 오디오 영역에 대해 사용된 샘플 레이트와, 프레임 포맷이 될 수 있다. 프레임 포맷은 트랙 영역에 있는 다중화된 오디오 신호의 프레임 구조를 정의한다. 프레임 포맷의 가능한 형태로는, 예를 들면, 다중 채널 플렉시블 포맷 플레인 DSD(Multi Channel flexible Format plain DSD), 14 섹터의 고정 포맷 2-채널 스테레오 플레인 DSD 3 프레임, 16 섹터의 고정 포맷 2-채널 스테레오 플레인 DSD 프레임과, 무손실 인코딩된 플렉시블 포맷을 들 수 있다. 프레임 포맷이 프레임 구조가 무손실 인코딩된 플렉시블 포맷을 갖는다는 것을 나타내는 경우에, 트랙 영역에 있는 적어도 한 개의 프레임은 무손실 인코딩될 수 있다.
한 개의 오디오 섹터는 오디오 헤더를 갖고 시작하며, 그 뒤에는 적어도 한 개의 패킷이 뒤따른다. 오디오 헤더는, 오디오 섹터 내부의 패킷의 수, 오디오 섹터에서 시작하는 오디오 프레임의 수와, 오디오 섹터가 속하는 오디오 영역이 무손실 인코딩된 플렉시블 형태의 프레임 포맷을 갖는지 또는 갖지 않는지를 나타내는 파라미터와 같은 오디오 섹터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파라미터는, 오디오 신호의 재생 중에 발생할 수 있는 일부 오류를 배체하기 위해 포함된다. 상기한 오디오 섹터는 정보매체로부터 판독될 수 있는 가장 최소한의 단위에 해당한다. 기록매체 상의 데이터가 파일 시스템을 사용하여 판독될 때, 복수의 오디오 섹터가 직접 판독될 수 있으므로, 오디오 섹터가 놓인 오디오 영역에 속하는 영역 TOC를 먼저 판독할 필요가 없다. 이와 같은 구성은, 14 섹터의 고정된 포맷 2-채널 스테레오 플레인 DSD 3 프레임 형태를 갖는 프레임 구조를 지닌 오디오 섹터를 먼저 판독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오디오 신호는 DSD 형태를 갖는다. DAS 신호는 1-비트 신호로서, 수신장치의 출력으로 바로 인가될 수 있다. 전술한 오디오 섹터를 판독한 후에, 무손실 인코딩된 플렉시블 포맷 형태를 갖는 프레임 구조를 지닌 오디오 섹터가 판독되는 경우에는, 이와 같은 오디오 섹터에 있는 오디오 신호는 무손실 인코딩될 수 있다. 무손실 인코딩된 신호가 출력으로 인가되면, 인가된 신호가 수신장치에 접속된 확성기에 손상을 미칠 수 있다. 따라서, 각각의 오디오 섹터의 판독 중에, 판독된 데이터가 정확히 신호처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수신장치는 판독된 데이터가 무손실 인코딩되는지 또는 아닌지를 검출할 수 있어야만 한다.
오디오 섹터에 대한 정보 이외에, 상기한 오디오 헤더는, 오디오 섹터 내부의 각각의 패킷에 대한 정보와, 오디오 섹터 내부에서 시작하는 각각의 프레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오디오 패킷에 대한 정보로는, 예를 들어 패킷이 프레임의 최초 패킷인지 여부의 표시와, 패킷에 있는 데이터의 형태와, 패킷의 길이를 들 수 있다. 상기한 길이는, 예를 들어 패킷 내부의 바이트 수로 표현될 수 있다. 한 개의 패킷은, 오디오 데이터, 보조 데이터 또는 패딩 데이터와 같은 단지 한가지 데이터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오디오 섹터 내부에 시작하는 각각의 프레임에 대해, 오디오 헤더는 프레임 정보를 포함한다. 따라서, 각각의 프레임은 타임 코드를 포함한다. 프레임 포맷이 무손실 인코딩된 플렉시블 포맷 형태를 갖는 경우에, 섹터 내부에서 시작하는 각각의 프레임의 오디오 헤더는, 2, 5 또는 6 채널과 같이 사용된 오디오 채널의 번호와, 시작하는 프레임이 분할되는 오디오 섹터의 개수(N_섹터)를 지정한다. 예를 들어, 프레임의 첫 번째 패킷이 섹터 X 내부의 어느 위치에서 시작하고, 마지막 패킷이 오디오 섹터 Y에 놓인 경우에, N_섹터는 Y-X+1이 된다. 수신장치가 무손실 인코딩된 데이터를 디코딩하기 전에, 이 수신장치는 먼저 프레임에 속하는 모든 패킷을 판독해야 한다. 이를 위해, 정보 N_섹터가 적합하다.
한 개의 오디오 스트림은 무손실 인코딩되거나 무손실 인코딩되지 않은 형태의 DSD 오디오 신호를 포함한다. 오디오 스트림은 바이트 스트림 내부의 모든 오디오 프레임의 연속에 해당한다. 무손실 인코딩된 오디오 프레임은 가변 길이를 갖는다. 영역 TOC가 프레임 포맷이 무손실 인코딩된 플렉시블 포맷의 형태를 갖는다는 것을 나타내는 오디오 영역에 있는 오디오 프레임은, 오디오 데이터가 무손실 인코딩되거나 무손실 인코딩되지 않은 형태로 나타나는지 여부를 표시하는 비트를 갖고 시작한다. 따라서, 영역 TOC는, 프레임 포맷이 무손실 인코딩된 플렉시블 포맷 형태를 갖는지와, 모든 오디오 프레임이 무손실 인코딩되지 않은 형태로 오디오 데이터를 포함하는지를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송신장치와 수신장치 모두를 구비할 수 있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장치의 조합은, 디지탈 정보신호가 기록매체 상에 기록될 수 있고 기록된 디지탈 정보신호가 기록매체로부터 판독되어 나중에 재생될 수 있도록 하는 장치를 제공한다. 또 다른 가능한 방법은, 송신 및 수신장치 모두를 포함하는 2개의 장치가 한 개 또는 다수의 전송 매체를 통해 서로 통신하도록 하는 것이다. 그것의 송신장치를 사용하여, 첫 번째 장치가 제 1 전송 매체를 통해 두 번째 장치로 디지탈 정보신호를 송신한다. 두 번째 장치는 수신장치를 사용하여 이 신호를 수신하고 그것을 출력으로 전달한다. 마찬가지로, 두 번째 장치는 제 2 전송 매체를 통해 두 번째 장치로 디지탈 정보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이 전송 매체의 물리적인 구현에 의존하여, 한 개 또는 그 이상의 전송 매체가 사용된다.
Claims (14)
- 전송매체를 통해 디지탈 정보신호를 송신하며,- 디지탈 정보신호를 수신하는 입력수단과,- 디지탈 정보신호를 인코딩하여 출력신호를 발생하는 수단을 구비한 송신장치에 있어서, 상기 송신장치는,- 인코딩 수단에 인가되는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제어수단을 더 구비하고,상기 인코딩 수단은, 제 1 형태를 갖는 제어신호의 영향하에서 디지탈 정보신호의 인코딩된 부분의 형태로 출력신호의 부분을 발생하고, 제 2 형태를 갖는 제어신호의 영향하에서 디지탈 정보신호 부분의 형태로 출력신호의 부분을 발생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송신장치는,- 출력신호가 인코딩 수단에서 인코딩된 디지탈 정보신호의 부분을 포함한다는 것을 나타내는 제 1 형태의 제 1 식별신호와, 출력신호가 인코딩 수단에 의해 인코딩된 디지탈 정보신호의 어떤 부분도 포함하지 않는다는 것을 나타내는 제 2 형태의 제 1 식별신호를 발생하는 수단과,- 디지탈 정보신호의 일부분에 대해, 제 1 형태의 제어신호와 제 1 형태의 제 1 식별신호에 의존하여 제 1 형태의 제 2 식별신호와, 제 2 형태의 제어신호와 제 1 형태의 제 1 식별신호에 의존하여 제 2 형태의 제 2 식별신호를 발생하는 수단과,- 인코딩 수단의 출력신호와, 제 1 식별신호와, 제 1 식별신호가 제 1 형태를 갖는 경우에는, 제 2 식별신호를 합성하여, 전송매체로 인가되는 합성신호를 얻는 합성수단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송신장치는, 디지탈 정보신호의 일부분의 인코딩이 적어도 소정의 인자에 의해 데이터 축소를 일으키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수단을 더 구비하고, 이 결정수단은, 디지탈 정보신호의 상기한 부분의 인코딩이 소정의 인자보다 큰 데이터 축소를 일으키는 경우에, 제 1 형태의 제어신호를 발생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장치.
- 선행하는 청구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상기 송신장치는, 합성신호를 오류 인코딩되거나 채널 인코딩된 신호로 오류 인코딩 또는 채널 인코딩하는 오류정정 수단 또는 채널 인코딩 수단과, 오류 인코딩 또는 채널 인코딩된 신호를 기록매체 상에 기록하는 기록수단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장치.
- 전송매체를 통해 디지탈 정보신호를 송신하며,디지탈 정보신호를 수신하는 단계와,디지탈 정보신호를 인코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송신방법에 있어서,-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단계와,- 제 1 형태의 제어신호의 영향하에서 디지탈 정보신호의 인코딩된 부분의 형태로 출력신호의 부분을 발생하는 단계와,- 제 2 형태의 제어신호의 영향하에서 디지탈 정보신호의 부분의 형태로 출력신호의 부분을 발생하는 단계와,- 출력신호가 인코딩 수단에서 인코딩된 디지탈 정보신호의 부분을 포함한다는 것을 나타내는 제 1 형태의 제 1 식별신호, 또는 출력신호가 인코딩 수단에 의해 인코딩된 디지탈 정보신호의 어떠한 부분도 포함하지 않는다는 것을 나타내는 제 2 형태의 제 1 식별신호를 발생하는 단계와,- 제 1 형태의 제어신호와 제 1 형태의 제 1 식별신호에 의존하여 제 1 형태의 제 2 식별신호를 발생하는 단계와,- 제 2 형태의 제어신호와 제 1 형태의 제 1 식별신호에 의존하여 제 2 형태의 제 2 식별신호를 발생하는 단계와,- 인코딩 수단의 출력신호와, 제 1 식별신호와, 제 1 식별신호가 제 1 형태를 갖는 경우에는, 제 2 식별신호를 합성하여, 합성신호를 얻는 단계와,- 합성신호를 전송매체로 인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방법.
- 제 4 항에 있어서,- 합성신호를 오류정정 인코딩하거나 채널 인코딩하는 단계와,- 오류정정 인코딩 또는 채널 인코딩된 신호를 전송매체에 인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방법.
-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상기 전송매체는 기록매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방법.
- 청구항 6항에 기재된 방법을 사용하여 얻어진 기록매체에 있어서,상기 기록매체는 광 기록매체 또는 자기 기록매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 일정한 인코딩 방법을 사용하여 인코딩되거나 인코딩되지 않은 부분을 갖는 디지탈 정보신호를 지니고, 기록매체가 일정한 인코딩 방법을 사용하여 인코딩된 디지탈 정보신호 부분을 갖는다는 것을 나타내는 제 1 형태를 갖는 제 1 식별신호를 더 지닌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 제 8 항에 있어서,상기 기록매체는, 디지탈 정보신호의 각 부분에 대한 제 2 식별신호와, 디지탈 정보신호의 일부분에 대해, 이 부분이 일정한 인코딩 방법을 사용하여 인코딩되었다는 것을 나타내는 제 1 형태의 제 2 식별신호와, 디지탈 정보신호의 일부분에 대해, 이 부분이 일정한 인코딩 방법을 사용하여 인코딩되지 않았다는 것을 나타내는 제 2 형태의 제 2 식별신호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 제 8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디스크의 형태를 갖고, 적어도 한 개의 데이터 영역을 포함하는 디지탈 정보를 지니며, 각각의 데이터 영역이 목록표와 트랙 영역을 포함하고, 이 트랙 영역이 디지탈 정보신호의 표시를 포함하며 디지탈 정보신호의 표시의 일부분을 각각 포함하는 복수의 프레임으로 분할되고, 상기 목록표는, 제 1 또는 제 2 형태의 제 1 식별신호와, 트랙 영역에 있는 각각의 프레임이 일정한 인코딩 방법을 사용하여 인코딩되지 않은 디지탈 정보신호의 일부분을 포함하는 것을 나타내는 제 2 형태의 제 1 식별신호와, 트랙 영역에 있는 프레임이 디지탈 정보신호의 일부분이 일정한 인코딩 방법을 사용하여 인코딩되었다는 것을 나타내는 제 1 형태의 제 1 식별신호를 포함하며, 데이터 영역이 제 1 형태의 제 1 식별신호를 포함하는 경우에, 각각의 프레임이, 그 프레임이 일정한 인코딩 방법을 사용하여 인코딩되거나 인코딩되지 않은 디지탈 정보신호의 부분을 포함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제 2 식별신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 전송매체를 통해 합성신호를 수신하여, 합성신호를 디지탈 정보신호로 신호처리하며,- 전송매체로부터 합성신호를 수신하는 수신수단과,- 합성신호로부터 적어도 한 개의 신호 부분을 도출하는 디멀티플렉싱 수단과,- 적어도 한 개의 신호 부분을 디코딩하는 디코딩 수단을 구비한 수신장치에 있어서,상기 디멀티플렉싱 수단은 합성신호로부터 제 1 형태 및 제 2 형태를 갖는 제 1 식별신호를 도출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디코딩 수단은, 신호 부분을 디지탈 정보신호의 일부분으로 디코딩하여, 제 1 형태의 제어신호에 의존하여 디지탈 정보신호의 상기 부분을 출력하고, 제 2 형태의 제어신호에 의존하여 신호 부분을 실질적으로 변형되지 않은 형태로 디지탈 정보신호의 일부분으로서 출력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수신장치가,- 디코딩 수단으로 인가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수단을 더 구비하고,상기 디멀티플렉싱 수단은 제 1 형태의 제 1 식별신호에 의존하여 제 1 형태의 제어신호를 발생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장치.
- 제 11 항에 있어서,상기 디멀티플렉싱 수단은 합성신호로부터 제 2 형태의 제 1 식별신호를 도출하도록 구성되고,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수단은 제 2 형태의 제 1 식별신호에 의존하여 제 2 형태의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장치.
- 제 11 항 또는 제 12 항에 있어서,상기 디멀티플렉싱 수단은, 제 1 형태의 식별신호에 의존하여, 각각의 개별적인 신호 부분과 관련된 제 2 식별신호를 도출하도록 구성되고,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수단은, 제 1 형태의 제 2 식별신호에 의존하여 제 1 형태의 제어신호를 발생하며, 제 2 형태의 제 2 식별신호에 의존하여 제 2 형태의 제어신호를 발생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장치.
- 제 11 항, 제 12 항 또는 제 13 항에 있어서,상기 수신장치는, 기록매체 상에 기록된 신호를 판독하는 장치와, 판독된 신호의 채널 디코딩 또는 판독된 신호의 오류를 검출하여 정정하는 채널 디코딩 수단 또는 오류 검출/정정수단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EP98200870.8 | 1998-03-19 | ||
EP98200870 | 1998-03-19 | ||
EP98204150 | 1998-12-07 | ||
EP98204150.1 | 1998-12-07 | ||
PCT/IB1999/000351 WO1999048214A2 (en) | 1998-03-19 | 1999-03-02 | Transmitting device for transmitting a digital information signal alternately in encoded form and non-encoded form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10012668A true KR20010012668A (ko) | 2001-02-26 |
KR100604363B1 KR100604363B1 (ko) | 2006-07-25 |
Family
ID=261501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97010629A KR100604363B1 (ko) | 1998-03-19 | 1999-03-02 | 디지탈 정보신호를 인코딩된 형태 및 인코딩되지 않은형태로 교대로 송신하는 송신장치 |
Country Status (18)
Country | Link |
---|---|
US (2) | US6522695B1 (ko) |
EP (1) | EP0981862A2 (ko) |
JP (1) | JP4248026B2 (ko) |
KR (1) | KR100604363B1 (ko) |
CN (1) | CN1157853C (ko) |
AR (1) | AR019007A1 (ko) |
AU (1) | AU762222B2 (ko) |
BG (1) | BG63236B1 (ko) |
BR (1) | BR9906328A (ko) |
CA (1) | CA2290644A1 (ko) |
IL (1) | IL132964A (ko) |
MY (1) | MY123270A (ko) |
NO (1) | NO995661L (ko) |
RU (1) | RU2219655C2 (ko) |
SK (1) | SK153399A3 (ko) |
TW (1) | TW484284B (ko) |
WO (1) | WO1999048214A2 (ko) |
YU (1) | YU49282B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610161B1 (ko) * | 1997-11-29 | 2006-08-09 |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 목록표를 이용하여 오디오 위주의 정보를 저장하는 방법 및 장치와, 판독장치 |
SK153399A3 (en) * | 1998-03-19 | 2000-08-14 |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 Transmitting device for transmitting a digital information signal alternately in encoded form and non-encoded form |
US7099848B1 (en) * | 1999-02-16 | 2006-08-29 | Listen.Com, Inc. | Audio delivery and rendering method and apparatus |
EP1597909A4 (en) * | 2003-02-21 | 2007-06-06 |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 IMAGE ENCODING METHOD AND IMAGE DECODING METHOD |
CN101740077B (zh) | 2003-07-03 | 2015-06-17 |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 记录介质、再现装置、记录方法、集成电路、程序和再现方法 |
US7647355B2 (en) * | 2003-10-30 | 2010-01-12 |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 Method and apparatus for increasing efficiency of data storage in a file system |
JP5678048B2 (ja) * | 2009-06-24 | 2015-02-25 | フラウンホッファー−ゲゼルシャフト ツァ フェルダールング デァ アンゲヴァンテン フォアシュンク エー.ファオ | カスケード化されたオーディオオブジェクト処理ステージを用いたオーディオ信号デコーダ、オーディオ信号を復号化する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
Family Cites Familie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61107818A (ja) * | 1984-10-30 | 1986-05-26 | Nec Corp | エントロピ−符号化方式とその装置 |
JP3474005B2 (ja) * | 1994-10-13 | 2003-12-08 | 沖電気工業株式会社 | 動画像符号化方法及び動画像復号方法 |
KR19990044344A (ko) * | 1996-07-02 | 1999-06-25 | 이데이 노부유끼 | 정보 전송 장치 및 전송 방법 |
US6055338A (en) * | 1996-08-22 | 2000-04-25 | Sumitomo Metal Industries Limited | Bi-level adaptive coding using a dual port memory and a context comparator |
US6189123B1 (en) * | 1997-03-26 | 2001-02-13 |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 Method and apparatus for communicating a block of digital information between a sending and a receiving station |
US6055277A (en) * | 1997-05-29 | 2000-04-25 | Trw Docket No. | Communication system for broadcasting to mobile users |
SK153399A3 (en) * | 1998-03-19 | 2000-08-14 |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 Transmitting device for transmitting a digital information signal alternately in encoded form and non-encoded form |
-
1999
- 1999-03-02 SK SK1533-99A patent/SK153399A3/sk unknown
- 1999-03-02 RU RU99127450/09A patent/RU2219655C2/ru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1999-03-02 KR KR1019997010629A patent/KR100604363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1999-03-02 CA CA002290644A patent/CA2290644A1/en not_active Abandoned
- 1999-03-02 EP EP99903866A patent/EP0981862A2/en not_active Ceased
- 1999-03-02 BR BR9906328-0A patent/BR9906328A/pt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1999-03-02 CN CNB998007226A patent/CN1157853C/zh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1999-03-02 JP JP54675799A patent/JP4248026B2/ja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1999-03-02 IL IL13296499A patent/IL132964A/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1999-03-02 AU AU24376/99A patent/AU762222B2/en not_active Ceased
- 1999-03-02 WO PCT/IB1999/000351 patent/WO1999048214A2/en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 1999-03-10 TW TW088103645A patent/TW484284B/zh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1999-03-16 US US09/270,440 patent/US6522695B1/en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1999-03-17 MY MYPI99001000A patent/MY123270A/en unknown
- 1999-03-19 AR ARP990101200A patent/AR019007A1/es active IP Right Grant
- 1999-11-16 BG BG103895A patent/BG63236B1/bg unknown
- 1999-11-18 NO NO995661A patent/NO995661L/no unknown
- 1999-12-16 YU YU67299A patent/YU49282B/sh unknown
-
2002
- 2002-11-18 US US10/298,975 patent/US7197079B2/en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SK153399A3 (en) | 2000-08-14 |
YU67299A (sh) | 2001-07-10 |
JP2001527735A (ja) | 2001-12-25 |
MY123270A (en) | 2006-05-31 |
EP0981862A2 (en) | 2000-03-01 |
US20030076893A1 (en) | 2003-04-24 |
AR019007A1 (es) | 2001-12-26 |
IL132964A0 (en) | 2001-03-19 |
US7197079B2 (en) | 2007-03-27 |
NO995661D0 (no) | 1999-11-18 |
TW484284B (en) | 2002-04-21 |
US6522695B1 (en) | 2003-02-18 |
WO1999048214A2 (en) | 1999-09-23 |
BG103895A (en) | 2000-05-31 |
RU2219655C2 (ru) | 2003-12-20 |
YU49282B (sh) | 2005-03-15 |
CN1157853C (zh) | 2004-07-14 |
BG63236B1 (bg) | 2001-06-29 |
CA2290644A1 (en) | 1999-09-23 |
NO995661L (no) | 2000-01-17 |
CN1269070A (zh) | 2000-10-04 |
AU762222B2 (en) | 2003-06-19 |
BR9906328A (pt) | 2000-07-04 |
WO1999048214A3 (en) | 1999-11-18 |
IL132964A (en) | 2004-08-31 |
AU2437699A (en) | 1999-10-11 |
KR100604363B1 (ko) | 2006-07-25 |
JP4248026B2 (ja) | 2009-04-0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717600B1 (ko) | 오디오 파일 포맷 변환 | |
KR100904626B1 (ko) | Mp3용 트릭 플레이 | |
KR100762211B1 (ko) | 제 1 디지털 정보신호를 전송매체를 통해 전송하기 위해제 2 디지털 정보신호 내부에 삽입하는 장치 및 방법 | |
KR100604363B1 (ko) | 디지탈 정보신호를 인코딩된 형태 및 인코딩되지 않은형태로 교대로 송신하는 송신장치 | |
JP3606454B2 (ja) | 音声信号伝送方法及び音声復号方法 | |
CZ407699A3 (cs) | Vysílací zařízení pro vysílání digitálního signálu střídavě v kódované a nekódované formě | |
JP3606457B2 (ja) | 音声信号伝送方法及び音声復号方法 | |
JP3604034B2 (ja) | 音声信号伝送方法 | |
JP2000214898A (ja) | 音声符号化装置、記録媒体、音声復号装置、音声伝送方法及び伝送媒体 | |
JP2001188573A (ja) | 音声符号化方法 | |
JP2000214894A (ja) | 音声符号化装置、記録媒体、音声復号装置、音声伝送方法及び伝送媒体 | |
JP2001188572A (ja) | 音声符号化装置 | |
JP2000214899A (ja) | 音声符号化装置、記録媒体、音声復号装置、音声伝送方法及び伝送媒体 | |
MXPA01008530A (en) | Embedding a first digital information signal into a second digital information signal for transmission via a transmission medium | |
JP2000214892A (ja) | 音声符号化装置、記録媒体、音声復号装置、音声伝送方法及び伝送媒体 | |
JP2001188574A (ja) | 音声符号化装置 | |
JP2000214893A (ja) | 音声符号化装置、記録媒体、音声復号装置、音声伝送方法及び伝送媒体 | |
JP2001166798A (ja) | 音声符号化方法及び音声復号方法 | |
JP2000214897A (ja) | 音声符号化装置、記録媒体、音声復号装置、音声伝送方法及び伝送媒体 | |
JP2001159897A (ja) | 音声符号化方法及び音声復号方法 | |
JP2001184094A (ja) | 音声符号化方法及び音声復号方法 | |
JP2001188576A (ja) | 音声符号化方法 | |
JP2001184093A (ja) | 音声符号化方法及び音声復号方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711 Year of fee payment: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715 Year of fee payment: 9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714 Year of fee payment: 10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707 Year of fee payment: 11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711 Year of fee payment: 12 |
|
EXPY | Expiration of ter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