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12667A - 송신 시스템에서의 데이터에 대한 예측 - Google Patents

송신 시스템에서의 데이터에 대한 예측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12667A
KR20010012667A KR1019997010628A KR19997010628A KR20010012667A KR 20010012667 A KR20010012667 A KR 20010012667A KR 1019997010628 A KR1019997010628 A KR 1019997010628A KR 19997010628 A KR19997010628 A KR 19997010628A KR 20010012667 A KR20010012667 A KR 200100126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transmission
parameter
prediction
digital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70106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75392B1 (ko
Inventor
브루에케르스알폰스에이.엠.엘.
반데르플로이텐레나투스제이.
Original Assignee
요트.게.아. 롤페즈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요트.게.아. 롤페즈,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filed Critical 요트.게.아. 롤페즈
Publication of KR200100126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126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753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75392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MCODING; DECODING; CODE CONVERSION IN GENERAL
    • H03M7/00Conversion of a code where information is represented by a given sequence or number of digits to a code where the same, similar or subset of information is represented by a different sequence or number of digits
    • H03M7/30Compression; Expansion; Suppression of unnecessary data, e.g. redundancy reduction
    • H03M7/40Conversion to or from variable length codes, e.g. Shannon-Fano code, Huffman code, Morse code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9/00Speech or audio signals analysis-synthesis techniques for redundancy reduction, e.g. in vocoders; Coding or decoding of speech or audio signals, using source filter models or psychoacoustic analysis
    • G10L19/04Speech or audio signals analysis-synthesis techniques for redundancy reduction, e.g. in vocoders; Coding or decoding of speech or audio signals, using source filter models or psychoacoustic analysis using predictive technique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MCODING; DECODING; CODE CONVERSION IN GENERAL
    • H03M7/00Conversion of a code where information is represented by a given sequence or number of digits to a code where the same, similar or subset of information is represented by a different sequence or number of digits
    • H03M7/30Compression; Expansion; Suppression of unnecessary data, e.g. redundancy redu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9/00Image coding
    • G06T9/004Predictors, e.g. intraframe, interframe coding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MCODING; DECODING; CODE CONVERSION IN GENERAL
    • H03M7/00Conversion of a code where information is represented by a given sequence or number of digits to a code where the same, similar or subset of information is represented by a different sequence or number of digits
    • H03M7/30Compression; Expansion; Suppression of unnecessary data, e.g. redundancy reduction
    • H03M7/40Conversion to or from variable length codes, e.g. Shannon-Fano code, Huffman code, Morse code
    • H03M7/4006Conversion to or from arithmetic cod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Compression, Expansion, Code Conversion, And Decoders (AREA)
  • Reduction Or Emphasis Of Bandwidth Of Signals (AREA)
  •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z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AREA)

Abstract

전송매체를 통해서 디지탈 정보 신호를 송신하는 송신장치가 개시된다. 디지탈 정보 신호는 인코딩된 신호와 계수 데이터로 압축된다. 계수 데이터는 예측신호를 산출하여 예측된다. 계수 데이터 및 예측 신호는 데이터 신호와 합성된다. 인코딩된 신호와 데이터 신호는 전송매체를 통해서 송신된다.

Description

송신 시스템에서의 데이터에 대한 예측{PREDICTION ON DATA IN A TRANSMISSION SYSTEM}
본 발명은 전송매체를 통해서 디지탈 정보 신호를 송신하는 송신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기 송신장치는,
- 디지탈 정보 신호를 인코딩된 신호로 압축하고 파라미터 신호를 생성하는 적응형 인코더와,
- 인코딩된 신호와 파라미터 신호의 대표값을 합성하여, 전송매체를 통해서 송신하기 위한 송신 신호를 얻는 제 1 신호 합성부를 구비한다.
또한, 본 발명은 송신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장치, 전송매체를 통해서 디지탈 정보 신호와 파라미터 신호의 대표값을 송신하는 방법, 및 송신장치 또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 의해 획득된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서두에 정의된 형태의 송신장치 및 수신장치에 대해서는 J.Audio Eng. Soc., Vol.44, No.9, pp.706-719, September 1996과 AES preprint 4563, "Improved Lossless Coding of 1-Bit Audio Signals" by Fons Bruekers et al, 103rd AES Convention(New York, US)에 공지되어 있다. 이 공지된 송신장치는 디지탈 정보 신호의 송신을 위해 비트 전송속도를 효율적으로 감소시키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이 획득된 송신 신호는 인코딩된 버전의 디지탈 정보 신호와 파라미터 신호의 대표값을 포함한다. 이 파라미터 신호는 인코딩된 버전의 디지탈 정보 신호를 디지탈 정보 신호로 디코딩하기 위해 수신장치에 필요한 파라미터를 포함한다. 공지된 송신장치에 의해 획득된 송신 신호는 디지탈 정보 신호의 송신 중에 전송매체로부터 보다 적은 용량을 요구한다. 파라미터 신호는 적응형 예측 필터에 사용된 계수 또는 인코더에 제공된 확률표를 포함한다. 이들 계수는 전송매체를 통해서 송신된다. 공지된 수신장치에 있어서 송신 신호는 원래의 디지탈 정보 신호의 복제본을 생성하도록 처리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디지탈 정보 신호의 전송을 위해 비트 전송 속도를 보다 효율적으로 감소시키는 송신장치 및/또는 수신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송신장치는,
- 파라미터 신호에 대한 근사값인 예측 신호를 도출하는 예측 필터를 포함하는 장치와,
- 예측 신호와 파라미터 신호를 합성하여, 파라미터 신호의 대표값을 얻는 제 2 신호 합성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수신장치는,
- 파라미터 신호의 대표값과 예측신호를 합성하여, 파라미터 신호를 형성하는 신호 합성부와,
- 파라미터 신호에 대한 근사값인 예측 신호를 도출하는 예측 필터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 파라미터 신호에 대한 근사값인 예측 신호를 도출하는 단계와,
- 예측 신호와 파라미터 신호를 합성하여, 파라미터 신호의 대표값을 얻는 단계를 더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신호를 송신하는데 필요한 비트의 수가 예측 필터를 이용함으로써 감소될 수 있다는 사실에 근거한다. 이 목적을 위해, 공지된 송신장치는 디지탈 정보 신호의 효율적인 압축을 위해 예측 필터를 사용한다. 놀랍게도, 파라미터 신호에 대한 예측을 이용하면 파라미터의 전송을 위해 필요한 비트의 수를 줄일 수 있다는 것을 알았다.
이하, 본 발명의 이들 발명내용과 또 다른 발명내용을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송신장치의 제 1 실시예의 블록도를 나타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송신장치의 제 2 실시예의 블록도를 나타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수신장치의 제 2 실시예의 블록도를 나타내고,
도 4는 기록장치의 형태를 갖는 송신장치의 블록도를 나타내며,
도 5는 재생장치의 형태를 갖는 수신장치의 블록도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송신장치의 실시예를 나타낸다. 이 송신장치는 디지탈 오디오 신호와 같은 디지탈 정보 신호를 수신하는 입력단자 2를 갖는다. 디지탈 정보 신호는 아날로그/디지탈 변환기로 디지탈 정보 신호의 아날로그 버전을 디지탈 정보 신호로 변환함으로써 획득된다. 입력단자(2)는 인코더(6)의 입력(4)에 연결된다. 인코더(6)는 입력(4)에 인가된 디지탈 신호를 인코더(6)의 제 1 출력(8)에 인가될 인코딩된 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이 인코더(6)는 파라미터 신호를 생성하고, 이것을 제 2 출력(10)에 인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파라미터 신호는 예컨대, 인코더(6)에 포함된 적응형 예측 필터에 사용된 필터 계수, 또는 인코더(6)에 포함된 연산 인코더에 사용하기 위해 제공된 진리표 내의 값을 포함할 수도 있다. 양쪽 파라미터 형태를 이용하는 송신장치에 대해서는 AES preprint 4563, "Improved Lossless Coding of 1-Bit Audio Signals" by Fons Bruekers et al, 103rd AES Convention(New York, US)에 공지되어 있다.
예측 필터(14)는 인코더(6)의 출력(10)에 연결된 입력(12)을 갖는다. 예측 필터는 통상 선행기술로부터 알려져 있다. 신호 합성부(18)는 인코더(6)의 출력(10)에 연결된 제 1 입력(16)을 갖고, 예측 필터(14)의 출력(22)에 연결된 제 2 입력(20)을 가지며, 또 출력(24)을 갖는다. 이 신호 합성부는 출력(24)에 인가될 나머지 신호와 입력(16) 및 입력(20)에 수신된 신호를 합성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신호 합성부(18)는 제 1 입력(16)에 수신된 신호로부터 제 2 입력(20)에 수신된 신호를 감산하는 감산회로의 형태를 취한다.
회로블록(34)은 입력(36)에 수신된 나머지 신호를 처리하고, 이것을 출력(38)에 인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신호처리는 출력에 변경되지 않은 신호를 전송하는 것일 수도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회로블록은 엔트로피 인코더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 엔트로피 인코더는 입력(36)에 수신된 신호를 압축하여, 출력(38)에 인가될 압축 신호를 형성한다.
제 2 신호 합성부(26)는 인코더(6)의 출력(8)에 연결된 제 1 입력(28)을 갖고, 회로블록(34)의 출력(38)에 연결된 제 2 입력(30)을 가지며, 또 출력(32)을 갖는다. 이 제 2 신호 합성부는 제 1 입력에서 수신된 신호와 제 2 입력에서 수신된 신호를 합성하여, 전송매체 TRM를 통해서 송신될 송신신호를 형성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송신장치는 다음과 같이 동작한다. 디지탈 정보 신호는 입력단자(2)에 인가되고, 인코더(6)에 공급된다. 이 디지탈 정보 신호는 연속적인 블록을 포함한다. 인코더(6)는 디지탈 정보 신호를 인코딩된 신호로 변환한다. 인코딩된 신호는 인코더의 출력(8)에 인가된다. 인코더(6)는 계수 선택 수단을 포함한다. 이 계수 선택 수단은 디지탈 정보 신호의 모든 연속적인 블록에서 유래하고, 그 계수 또는 파라미터는 예컨대 인코더에 포함된 적응형 예측 필터 또는 연산 인코더에 대한 확률표에 사용되어야 한다. 선택된 파라미터는 출력(10)에 전송된다. 예측 필터(14)는 예측 신호를 파라미터로부터 도출한다. 다음에, 제 1 신호 합성부(18)는 이 예측 신호를 계수로부터 감산하여, 파라미터 신호의 대표값인 나머지 신호를 형성한다. 나머지 신호를 얻기 위해 파라미터의 예측값을 형성하고, 이것을 이 파라미터로부터 감산함으로써, 진폭 범위가 감소할 것이다. 예측 필터(14)의 제 1 전달함수는 예컨대 H(z)=2z-1-z-2일 것이다. 예측 필터의 제 2 전달함수는 예컨대 H(z)=3z-1-3z-2+ z-3일 것이다. 예측 필터의 전달함수 H(z)=9/8z-1+ 5/8z-2-6/8z-3은 양쪽 양호한 압축률을 합성하고, 하드웨어 곱셈 인자로 실행하도록 비교적 간단하다. 때때로, 이 파라미터 신호는 높은 리플(frequent ripple)을 갖는다. 이 경우에, 전달함수 H(z)=-z-1을 가진 예측 필터를 사용하면 진폭 범위가 감소한 나머지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회로블록(34)이 변경되지 않은 신호를 출력(38)에 전송하면, 나머지 신호의 진폭범위의 감소에 의해 파라미터 신호를 송신하는데 보다는 나머지 신호를 전송하는데 더 소수의 비트가 요구될 것이다. 회로블록(34)이 엔트로피 인코더를 포함하면, 나머지 신호의 재생에 필요한 비트의 수가 훨씬 더 감소될 수 있다. 이 엔트로피 인코더는 예컨대 선행기술로부터 공지된 라이스 코더(Rice coder)이어도 좋다. 이 엔트로피 인코더는 나머지 신호를 압축하여, 압축된 신호를 형성한다. 압축된 신호를 송신하기 위해, 나머지 신호의 전송보다 더 적은 수의 비트가 요구될 것이다. 이 엔트로피 인코더는 파라미터 신호에 의존하여 비트의 수를 감소시키거나 또는 감소시키지 않는다. 마찬가지로, 파라미터 신호에 대한 최대 비트 감소는 엔트로피 인코더를 포함하는 송신장치에 의해서 달성될 수 있지만, 예측 필터에 의해서는 달성되지 않는다.
제 2 신호 합성부(26)에 있어서, 입력에 수신된 신호는 송신 신호를 형성하도록 합성된다. 디지탈 정보 신호는 후술하는 관련된 수신장치를 이용하여 이 송신신호로부터 재구성될 수 있다. 상술한 송신장치를 이용하여 디지탈 정보 신호를 송신하기 위해서, 예측 필터(14)를 포함하지 않는 장치를 이용하는 것보다 더 낮은 비트 전송 속도가 획득된다. 필요한 전송매체의 대역폭은 비트 전송 속도의 선형 함수이기 때문에, 본 발명에 따른 송신장치는 디지탈 정보 신호의 송신을 위해 보다 작은 대역폭을 필요로 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송신장치는 고정된 대역폭을 갖는 전송매체를 통해서 시간 단위당 보다 많은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제 2 신호 합성부(26)에 대해서는 선행기술로부터 공지되어 있기 때문에 상세히 설명하지 않는다.
전송매체는 자기 기록매체 또는 광 기록매체와 같은 송신 채널 또는 기록매체이어도 좋다. 송신신호는 전송매체 TRM을 통해서 수신장치에 송신된다.
도 2는 본 발명에 다른 송신장치의 제 2 실시예를 나타낸다. 제 1 실시예와의 차이점은 예측 필터(14)의 입력(12)이 인코더(6)의 출력(10)에 다른 방법으로 연결되어 있다는 점에 있다. 이 목적을 위해, 이 장치는 제 3 신호 합성부(40)를 포함한다. 제 1 입력(42)은 제 1 신호 합성부(18)의 출력(24)에 연결된다. 제 2 입력(44)은 예측 필터(14)의 출력(22)에 연결된다. 제 3 신호 합성부는 제 1 입력(42)과 제 2 입력(44)에 인가된 신호를 1개의 신호와 합성하고, 이것을 출력(46)에 인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 3 신호 합성부(40)의 출력(46)은 예측 필터(14)의 입력(12)에 연결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신호 합성부는 2개의 입력에 수신된 신호를 서로 더하는 가산기 신호 합성부 형태를 취한다. 제 1 실시예의 기능과 제 2 실시예의 기능은 동일하다.
도 3은 송신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장치의 실시예를 나타낸다. 수신장치는 수신된 송신 신호로부터 원래의 신호의 복제본을 도출한다.
송신 신호 TRM은 디멀티플렉싱부(62)의 입력(60)에 수신된다. 이 디멀티플렉싱부(62)는 송신 신호 TRM으로부터 인코딩된 신호와 파라미터 신호의 대표값을 도출한다. 인코딩된 신호는 제 1 출력(64)에 인가된다. 파라미터 신호의 대표값은 제 2 출력(66)에 인가된다.
디멀티플렉싱부(62)의 제 1 출력(64)은 적응형 디코더(70)의 입력(72)에 연결된다. 이 적응형 디코더(70)는 제 2 입력(76)에 수신된 계수에 의존하여 입력(72)에 수신된 신호를 디지탈 정보 신호의 복제본으로 압축해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복제본은 디코더(70)의 출력(74)에 인가된다. 디코더는 AES preprint 4563, "Improved Lossless Coding of 1-Bit Audio Signals" by Fons Bruekers et al, 103rd AES Convention (New York, US)에 기술된 바와 같이 실현될 수 있다. 이 출력(74)은 수신장치의 출력 단자(90)에 연결된다.
회로블록(92)은 출력(66)에 연결된 입력(94)을 갖고, 입력(94)에 수신된 신호를 처리하고, 처리된 신호를 출력(96)에 인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신호처리는 출력(96)에 변경되지 않은 신호를 전송하는 것일 수도 좋다.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회로블록(92)은 엔트로피 디코더를 포함할 수도 있다. 엔트로피 디코더는 입력(94)에 수신된 신호를 압축해재하여, 출력(96)에 인가될 압축해제된 신호를 형성한다. 이 엔트로피 디코더는 라이스 디코더 형태를 취할 수 있다.
신호 합성부(82)는 회로블록(92)의 출력(96)에 연결된 제 1 입력(84)을 갖고, 예측 필터(78)의 출력(80)에 연결된 제 2 입력(86)을 가지며, 또 출력(88)을 갖는다. 이 신호 합성부(82)는 제 2 입력(86)에 수신된 신호와 제 1 입력(84)에 수신된 신호를 합성하여, 출력(88)에 인가되는 파라미터 신호를 형성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신호 합성부(82)는 제 2 입력(86)에 수신된 신호를 제 1 입력(84)에 수신된 신호에 더하는 가산회로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 합계 신호는 출력(88)에 인가된다. 예측 필터(78)의 구성은 송신 신호를 송신한 송신장치에 사용된 예측 필터(14)의 구성과 동일하다.
도 3에 나타낸 수신장치는 다음과 같이 동작한다. 디멀티플렉싱부(62)는 입력(60)에 수신된 송신 신호를 인코딩된 신호와 파라미터신호의 대표값으로 분리한다. 파라미터 신호의 대표값은 회로블록(92)에 인가되고, 이 신호를 처리하여, 나머지 신호를 형성한다. 이 나머지 신호 및 예측 신호는 신호 합성부(88) 내의 파라미터 신호를 형성하도록 부가된다. 이 파라미터 신호는 예측 필터(78)과 적응형 디코더(70)에 인가된다. 이 예측필터(78)에 있어서, 예측 신호는 파라미터 신호로부터 도출된다. 적응형 디코더(70)에 있어서, 인코딩된 신호는 디지탈 정보 신호의 복제본으로 변환된다. 적응형 디코더 내의 조절 가능한 파라미터는 입력(76)에서 수신된다. 조절 가능한 파라미터는 예컨대, 예측 필터의 계수 또는 확률표의 값이다. 예측 필터와 디코더는 통상 선행기술로부터 공지되어 있다.
송신장치의 실시예에 의존하여, 수신장치는 예측 필터(78)만을 포함하거나, 또는 예측 필터(78)와 엔트로피 디코더 형태의 회로 블록(92)을 포함하거나, 또는 엔트로피 디코더 형태의 회로블록(92) 만을 포함한다.
도 4는 기록매체 상에 디지탈 정보 신호를 기록하는 장치 형태의 송신장치를 나타낸다. 도 4의 회로블록(500)은 도 1의 회로블록을 대신한다. 도 4의 입력단자(2)는 도 1의 입력단자(2)와 동일하고, 회로블록(500)의 출력(32)은 도 1의 신호 합성부(30)의 출력(32)과 동일하다. 이 기록장치는 오류 정정 인코더(502), 채널 인코더(504) 및 기록매체(508) 상에 신호를 기록하는 기록수단(506)을 더 포함한다. 오류 정정 인코더 및 채널 인코더는 통상 선행기술로부터 공지되어 있다. 이 기록매체(508)는 자기 형태이어도 좋다. 그 경우에 기록수단(506)은 기록매체(508) 상의 트랙 내에 정보를 기록하도록 구성된 1개 또는 그 이상의 자기 헤드(510)를 포함한다.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기록매체(508)는 광학 정보 매체이다. 기록수단(506)은 기록매체(508) 상의 트랙 내에 정보를 기록하는 광학 기록 헤드(510)를 포함한다.
도 5는 기록매체로부터 디지탈 정보 신호를 재생하는 장치 형태의 수신장치를 나타낸다. 도 5의 회로블록(600)은 도 3의 회로블록을 대신한다. 회로블록(600)의 입력(60)은 도 3의 디멀티플렉싱부(62)의 입력(60)과 동일하고, 도 5의 출력단자(90)는 도 3의 수신장치의 출력단자(90)와 동일하다. 이 재생장치는 판독수단(602), 채널 디코더(606)와, 가능하다면 신호의 오류를 검출하여 정정하는 수단(608)을 더 포함한다. 채널 디코더 및 오류 검출/정정 수단은 통상 선행기술로부터 공지되어 있다. 판독수단은 기록매체(508) 상에 기록된 신호를 판독하고, 채널 디코더(606)에 판독신호를 인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기록매체(508)는 자기 형태이어도 좋다. 그 경우에 판독수단(602)은 기록매체(508) 상의 트랙으로부터 정보를 판독하는 1개 또는 그 이상의 자기 헤드(604)를 포함한다.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기록매체(508)는 광 정보매체이다. 판독수단(602)은 기록매체(508) 상의 트랙으로부터 정보를 판독하는 광학 판독 헤드(604)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송신장치와 수신장치 모두를 구비할 수 있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장치의 조합은, 디지탈 정보신호가 기록매체 상에 기록될 수 있고 기록된 디지탈 정보신호가 기록매체로부터 판독되어 나중에 재생될 수 있도록 하는 장치를 제공한다. 또 다른 가능한 방법은, 송신 및 수신장치 모두를 포함하는 2개의 장치가 한 개 또는 다수의 전송 매체를 통해 서로 통신하도록 하는 것이다. 그것의 송신장치를 사용하여, 첫 번째 장치가 제 1 전송 매체를 통해 두 번째 장치로 디지탈 정보신호를 송신한다. 두 번째 장치는 수신장치를 사용하여 이 신호를 수신하고 그것을 출력으로 전달한다. 마찬가지로, 두 번째 장치는 제 2 전송 매체를 통해 두 번째 장치로 디지탈 정보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이 전송 매체의 물리적인 구현에 의존하여, 한 개 또는 그 이상의 전송 매체가 사용된다.
비록, 본 발명을 그것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자명하다. 따라서, 청구범위에 기재된 것과 같은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있어서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다.
더구나, 본 발명은 이러한 모든 특징부 및 이들 특징부의 조합을 포괄한다.

Claims (18)

  1. 전송매체를 통해서 디지탈 정보 신호를 송신하고,
    - 디지탈 정보 신호를 인코딩된 신호로 압축하여, 파라미터 신호를 생성하는 적응형 인코더와,
    - 인코딩된 신호와 파라미터 신호의 대표값을 합성하여, 전송매체를 통해서 송신하기 위한 송신 신호를 얻는 제 1 신호 합성부를 구비하는 송신장치에 있어서,
    - 파라미터 신호에 대한 근사값인 예측 신호를 도출하는 예측 필터를 포함하는 장치와,
    - 예측 신호와 파라미터 신호를 합성하여, 파라미터 신호의 대표값을 얻는 제 2 신호 합성부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적응형 인코더는 연산 인코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적응형 인코더는 적응형 예측 필터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장치.
  4. 제 1 항,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파라미터 신호는 적응형 인코더의 계수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장치.
  5. 선행하는 청구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송신장치는 기록매체 상에 송신 신호를 기록하는 장치 형태를 취하고, 오류 정정 코더 또는 채널 코더부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장치.
  6. 인코딩된 신호와 파라미터 신호의 대표값을 포함하는 송신 신호를 수신하고,
    - 전송매체로부터 송신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 수단과,
    - 송신 신호로부터 인코딩된 신호와 파라미터 신호의 대표값을 도출하는 디멀티플렉싱 수단과,
    - 파라미터 신호에 의존하여 인코딩된 신호를 디지탈 정보 신호로 압축해제하는 적응형 디코더를 구비한 수신장치에 있어서,
    - 파라미터 신호의 대표값과 예측 신호를 합성하여, 파라미터 신호를 형성하는 신호 합성부와,
    - 파라미터 신호에 대한 근사값인 예측신호를 도출하는 예측 필터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적응형 디코더는 연산 디코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장치.
  8. 제 6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적응형 디코더는 적응형 예측 필터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장치.
  9. 제 6 항, 제 7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수신장치는 기록매체 상에 기록된 송신 신호를 재생하는 장치 형태를 취하고, 채널 디코더 또는 오류 정정 코더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장치.
  10. 예측 필터의 전달함수의 차수는 적어도 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1 항에 기재된 송신장치 또는 제 6 항에 기재된 수신장치.
  11. 예측 필터는 전달함수 H(z)=2z-1-z-2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에 기재된 송신장치 또는 청구항 6에 기재된 수신장치.
  12. 예측 필터는 전달함수 H(z)=3z-1-3z-2+z-3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에 기재된 송신장치 또는 청구항 6에 기재된 수신장치.
  13. 예측 필터는 전달함수 H(z)=9/8z-1+ 5/8z-2- 6/8z-3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에 기재된 송신장치 또는 청구항 6에 기재된 수신장치.
  14. 예측 필터는 전달함수 H(z)=-z-1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에 기재된 송신장치 또는 청구항 6에 기재된 수신장치.
  15. 전송매체를 통해서 디지탈 정보 신호 및 파라미터 신호의 대표값을 송신하고,
    - 디지탈 정보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와,
    - 디지탈 정보 신호를 인코딩된 신호와 파라미터 신호로 압축하는 단계와,
    - 전송매체를 통해서 전송하기 위한 송신신호와 인코딩된 신호 및 파라미터 신호의 대표값을 합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송신방법에 있어서,
    - 파라미터 신호에 대한 근사값인 예측 신호를 도출하는 단계와,
    - 예측 신호와 파라미터 신호를 합성하여, 파라미터 신호의 대표값을 얻는 단계를 더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방법.
  16. 제 15 항에 있어서,
    송신 신호는 기록매체 상에 기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방법.
  17. 청구항 15에 기재된 방법 또는 청구항 5에 기재된 송신장치에 의해 얻어진 기록매체에 있어서, 상기 기록매체는 광학 또는 자기 기록매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18. 청구항 5에 기재된 송신장치 및 청구항 9에 기재된 수신장치를 포함하는 장치.
KR1019997010628A 1998-03-18 1999-02-22 디지탈 정보신호를 송수신하는 송/수신 장치 및 방법 KR10067539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98200864.1 1998-03-18
EP98200864 1998-03-18
EP98204290 1998-12-17
EP98204290.5 1998-12-17
PCT/IB1999/000317 WO1999048213A2 (en) 1998-03-18 1999-02-22 Prediction on data in a transmission 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12667A true KR20010012667A (ko) 2001-02-26
KR100675392B1 KR100675392B1 (ko) 2007-01-29

Family

ID=261501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7010628A KR100675392B1 (ko) 1998-03-18 1999-02-22 디지탈 정보신호를 송수신하는 송/수신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9)

Country Link
US (1) US6285301B1 (ko)
EP (1) EP0983636B1 (ko)
JP (1) JP4180124B2 (ko)
KR (1) KR100675392B1 (ko)
CN (1) CN1115784C (ko)
AR (1) AR014697A1 (ko)
AT (1) ATE288150T1 (ko)
AU (1) AU762152B2 (ko)
BG (1) BG63765B1 (ko)
BR (1) BRPI9904877B1 (ko)
DE (1) DE69923394T2 (ko)
ES (1) ES2237081T3 (ko)
IL (1) IL132963A0 (ko)
MY (1) MY124686A (ko)
NO (1) NO995637L (ko)
PT (1) PT983636E (ko)
RU (1) RU2227368C2 (ko)
TR (1) TR199902829T1 (ko)
WO (1) WO1999048213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5819B1 (ko) * 2001-01-15 2003-11-14 한국과학기술원 이진 영상의 데이터 압축 및 복원방법
KR100981694B1 (ko) * 2002-04-10 2010-09-13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스테레오 신호들의 코딩
GB0517742D0 (en) * 2005-08-31 2005-10-12 E2V Tech Uk Ltd Radiation sensor
CA2904730C (en) * 2009-05-29 2023-11-21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Image encoding device, image decoding device, image encoding method, and image decoding method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1085044A (en) * 1975-04-03 1980-09-02 Yukihiko Iijima Composite feedback predictive code communication system for a color tv signal including a carrier chrominance signal
JPH01177227A (ja) * 1988-01-05 1989-07-13 Toshiba Corp 音声コーデック
US5434948A (en) * 1989-06-15 1995-07-18 British Telecommunications Public Limited Company Polyphonic coding
US5220325A (en) * 1991-03-28 1993-06-15 At&T Bell Laboratories Hierarchical variable length decoder for digital video data
US5249200A (en) * 1991-07-30 1993-09-28 Codex Corporation Device and method for combining precoding with symbol-rate spectral shaping
US5424733A (en) * 1993-02-17 1995-06-13 Zenith Electronics Corp. Parallel path variable length decoding for video signals
US5533052A (en) * 1993-10-15 1996-07-02 Comsat Corporation Adaptive predictive coding with transform domain quantization based on block size adaptation, backward adaptive power gain control, split bit-allocation and zero input response compensation
US5602602A (en) * 1994-02-10 1997-02-11 Philips Electronics North America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combating co-channel NTSC interference for digital TV transmission having a simplified rejection filt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NO995637L (no) 2000-01-18
US6285301B1 (en) 2001-09-04
KR100675392B1 (ko) 2007-01-29
TR199902829T1 (xx) 2000-07-21
WO1999048213A2 (en) 1999-09-23
BRPI9904877B1 (pt) 2016-06-21
AR014697A1 (es) 2001-03-28
ATE288150T1 (de) 2005-02-15
JP2001527734A (ja) 2001-12-25
BR9904877A (pt) 2000-09-19
WO1999048213A3 (en) 1999-11-25
ES2237081T3 (es) 2005-07-16
CN1269069A (zh) 2000-10-04
AU2295799A (en) 1999-10-11
JP4180124B2 (ja) 2008-11-12
RU2227368C2 (ru) 2004-04-20
MY124686A (en) 2006-06-30
PT983636E (pt) 2005-05-31
NO995637D0 (no) 1999-11-17
DE69923394T2 (de) 2005-12-29
CN1115784C (zh) 2003-07-23
DE69923394D1 (de) 2005-03-03
BG103894A (en) 2000-05-31
EP0983636A2 (en) 2000-03-08
BG63765B1 (bg) 2002-11-29
AU762152B2 (en) 2003-06-19
EP0983636B1 (en) 2005-01-26
IL132963A0 (en) 2001-03-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03894B1 (ko) 오디오신호의데이터압축및복원장치와방법
US6289306B1 (en) Data processing of a bitstream signal
KR100622590B1 (ko) 다중 채널 정보신호의 연산 인코딩/디코딩
US6498811B1 (en) Lossless encoding/decoding in a transmission system
IL125274A (en) Compression / recovery of data using an encoder / decoder
KR100307596B1 (ko)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의 무손실 부호화 및 복호화장치
US20040225496A1 (en) Data compression and expansion of an audio signal
US6385588B2 (en) Data compression and expansion of an N-level information signal
KR100675392B1 (ko) 디지탈 정보신호를 송수신하는 송/수신 장치 및 방법
KR100464233B1 (ko) 특정한제1샘플링주파수를갖는디지탈정보신호의전송장치및전송방법
JPS6337724A (ja) 符号化伝送装置
US6266368B1 (en) Data compression/expansion on a plurality of digital information signals
EP0573103B1 (en) Digital transmission system
JPH0779251B2 (ja) サブバンドフィルタ及びサブバンド符号化方式
JPH01128623A (ja) ディジタル信号伝送装置
JPH02183638A (ja) 音声伝送方式
JPH04167714A (ja) 予測符号化復合化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2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9

Year of fee payment: 13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