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12632A - 콘택트렌즈 성형방법 - Google Patents

콘택트렌즈 성형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12632A
KR20010012632A KR1019997010593A KR19997010593A KR20010012632A KR 20010012632 A KR20010012632 A KR 20010012632A KR 1019997010593 A KR1019997010593 A KR 1019997010593A KR 19997010593 A KR19997010593 A KR 19997010593A KR 20010012632 A KR20010012632 A KR 200100126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mold
casting
contact lens
copolym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70105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러스씨오도미닉브이
Original Assignee
스티븐 에이. 헬렁
바슈 앤드 롬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티븐 에이. 헬렁, 바슈 앤드 롬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스티븐 에이. 헬렁
Publication of KR200100126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12632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11/00Producing optical elements, e.g. lenses or prisms
    • B29D11/00009Production of simple or compound lenses
    • B29D11/00038Production of contact lenses
    • B29D11/00125Auxiliary operations, e.g. removing oxygen from the mould, conveying moulds from a storage to the production line in an inert atmosphe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11/00Producing optical elements, e.g. lenses or pris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105/00Condition, form or state of moulded material or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 B29K2105/0085Copolym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 Eyeglasses (AREA)
  • Casting Or Compres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에틸렌과 고리형 올레핀의 무정형 공중합체로부터 사출성형된 주형 구간들을 사용하여 렌즈, 특히 콘택트렌즈를 주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 공중합체의 기타의 콘택트렌즈 응용물 또한 개시되어 있다.

Description

콘택트렌즈 성형방법{METHOD OF MOLDING CONTACT LENSES}
전술한 각각의 방법에서는, 콘택트렌즈를 성형시키기 전에 각각의 주형 구간을 형성한다. 종래의 방법은 사출 성형 장치의 캐비티 내에서 수지로 만들어진 주형 구간을 사출 성형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전형적으로, 상기 주형 구간은 렌즈를 주조한 후 폐기되므로 단한번 사용된다. 따라서, 주형 구간에 대한 부차적인 공정은 전체 렌즈 제조 시스템의 중요한 부분을 이룬다.
콘택트렌즈 주조용 주형 재료로서 광범위한 물질, 특히 열가소성 결정질 중합체(예, 폴리프로필렌) 및 열가소성 무정형 중합체(예, 폴리비닐 클로라이드 및 폴리스티렌)를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상기 제조 방법에 더욱 적절한 주형 물질을 사용하여 콘택트렌즈의 제조를 개선시킬 것이 요망된다.
본 발명은 콘택트렌즈의 주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콘택트렌즈를 제조하는 공지된 방법은 정전기 주조 방법이다. 콘택트렌즈의 주조 성형법은 중합성 단량체들의 경화성 혼합물을 두개의 주형 구간에 의해 형성된 주형 캐비티 내에 침착시키고, 이 단량체 혼합물을 경화시킨 후, 그 주형 조립체를 분해하여 렌즈를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하나의 주형 구간은 전방의 렌즈 표면(전방 주형 구간)을 형성하며 다른 주형 구간은 후방의 렌즈 표면(후방 주형 구간)을 형성한다. 또 다른 공지된 방법은 스핀주조법으로서, 이는 전방 렌즈 표면을 이루는 모양을 지닌 주형 구간에 단량체 혼합물을 충전시키고, 그 단량체 혼합물을 광선에 노출시키면서 조절된 방법으로 주형을 스피닝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렌즈 표면 중의 하나를 형성하는 주형 표면을 갖는 주형에서 렌즈 형성용 혼합물을 경화시키는, 콘택트렌즈의 주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특징은 에틸렌과 고리형 올레핀의 무정형 공중합체로부터 주형 구간을 사출 성형하는 것이다. 이러한 종류의 수지가 종래의 콘택트렌즈 재료와 상용(相容) 가능하며 콘택트렌즈의 주조 방법을 여러모로 개선시킨다는 것이 밝혀졌다. 본 발명은 추가로 상기 공중합체로 된 기타 콘택트렌즈의 응용물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콘택트렌즈 주조법은 후방 광학 표면(이는 주조된 렌즈의 후방 표면을 형성함)을 갖는 후방 주형 구간 및 전방 광학 표면(이는 성형된 렌즈의 전방 표면을 형성함)을 갖는 전방 주형 구간을 포함하는 주형 조립체 내에서 렌즈를 주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소정의 렌즈 형성용 단량체들로 이루어진 단량체 혼합물을 상기 주형 구간 중 하나, 전형적으로는 전방 주형 구간에 첨가하고, 단량체 혼합물이 주형 구간들의 두개의 구획용 표면들 사이에 형성된 주형 캐비티 내에서 실질적으로 콘택트렌즈의 소정 모양에 해당하게 충전되도록 상기 주형 구간들을 조립한다. 상기 주형 구간들을 조립한 후, 단량체 혼합물을 UV광선 및/또는 열에 노출시키는 것 등에 의해 중합시키고, 이어서 주형 조립체를 해체하여 주형된 렌즈를 이로부터 분리한다. 렌즈 주형 후, 기타의 가공 단계들, 예를 들면 렌즈 검정, 렌즈 멸균 및 렌즈 포장을 수행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콘택트렌즈의 주형 전, 사출 성형 장치의 캐비티에서 수지로부터 주형 구간을 사출 성형시키는 종래의 방법에 의해 각각의 주형 구간을 형성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방 주형 구간 및 후방 주형 구간 중 하나 이상은 에틸렌과 고리형 올레핀의 무정형 공중합체로부터 사출 성형된다. 하기 화학식의 랜덤 공중합체가 바람직하다:
상기 식 중,
R은 수소 또는 C1∼C4알킬로서, 수소가 바람직하고,
R'은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C1∼C4알킬로서, 수소 또는 메틸이 바람직하며,
x 및 y는 1 이상이다.
이들 물질은 미국 뉴저지주 서미트에 소재한 훽스트 셀라니즈 코포레이션에서 시판한다.
주형 구간은 당해 분야에 일반적으로 공지된 방법으로 상기 무정형 공중합체로부터 사출 성형될 수 있다. 사출 성형에 요구되는 도구는 전형적으로 놋쇠, 스텐레스 강 또는 니켈 또는 이들의 일부 조합물로 제조된다. 본 발명에 사용하기에 바람직한 재료는 니켈 도금된 놋쇠이다. 이같은 도구 상에서 목적하는 표면을 기계 가공하고 윤내기하여 이로부터 사출 성형된 주형 구간이 어떠한 표면 결함도 지니지 않도록 정밀한 표면 품질을 얻는다.
이러한 종류의 공중합체는 콘택트렌즈 제조 방법에 사용된 종래의 방법에 비해 다양한 잇점을 제공한다는 것이 밝혀졌다.
첫째는 상기 공중합체는 콘택트렌즈를 주조하는 단량체 혼합물과 화학적 상용성이 우수하다. 예를 들면, 일부 단량체 혼합물은 PVC와 화학적으로 상호 작용하는 경향이 있어서, 그 결과 PVC 주형 표면에 표면 결함을 야기하는데 이는 상기 주형 구간에서 주조된 렌즈 표면의 결함으로 이어진다. 폴리프로필렌은 전형적으로 주형 구간의 주형 표면으로 이동할 수 있는 첨가제와 함께 제공되는데, 상기 첨가제는 상기 표면 상에 주조된 단량체 혼합물과 상호작용하여, 렌즈 상에 표면 결함을 만들거나 또는 주조된 렌즈의 표면에 불필요한 첨가제가 존재하게 된다. 폴리스티렌은 PVC와 마찬가지로, 특정의 단량체 혼합물과 상호작용하여 표면 결함을 야기할 수 있으며, 또한 단량체 혼합물이 이것에 첨가되는 경우에는 습윤시키기가 어려울 수 있다. 즉, 단량체 혼합물은 폴리스티렌 주형의 주형 표면을 균일하게 습윤화시키지 않는 경향이 있으므로, 주조된 렌즈의 표면에 공극이 형성된다.
둘째로, 상기 공중합체는 사출 성형 도중 또는 사출 성형 후 비교적 낮은 수축율을 나타내는데, 이는 주형 공정에서의 예견을 가능하게 하므로 중요하다. 달리 말하면, 기타의 플라스틱계, 특히 폴리프로필렌은 사출 성형 동안 및 사출 성형 후 현저히 수축한다. 소정의 광학적 성질을 확고히 하도록 정밀 주조를 요하는 주형 구간에서 콘택트렌즈를 주조하는 경우, 과도하게 수축된 주형 내에서의 렌즈 주조를 막기 위해, 특정의 시간 창 내에서 콘택트렌즈 주조 조작에 상기 주형을 사용하는 것이 필요하게 되었다. 대조적으로, 상기 공중합체는 렌즈를 주조하기 전에 주형 구간들을 보관하는 시간을 조절할 필요가 없을 만큼 충분히 낮은 수축율을 보인다. 또한, 폴리프로필렌은 비교적 적은 공정상의 변화에도 민감한 반면, 상기 공중합체는 성형 내성에 덜 감응하는데, 이는 다중 캐비티 사출 성형법에 중요하다.
세째, 상기 공중합체는 경화 공정에 잘 적응한다. 전형적으로, 단량체 혼합물의 경화는 단량체 혼합물을 UV 광선 또는 가시광선에 노출시킴으로써 경화시키는 것을 포함하는데, 복사선이 주형을 통과하여 내부의 단량체 혼합물을 경화시키거나 또는 열 경화법에서는 주형 내에 함유된 단량체 혼합물을 가열하여 경화시킨다. 전자의 예로서, 상기 공중합체는 특히 폴리프로필렌에 비해 매우 높은 광선 전달율을 갖는다. 그러므로, 광선 유도된 중합반응을 사용하는 경화 조작 시, 주형 재료의 광선 전달율이 높을수록 더 효율적인 경화 공정이 제공된다. 후자의 예로서, 상기 공중합체는 특히 폴리프로필렌에 비해 비교적 높은 유리 전이 온도를 갖는다. 그러므로 열 유도된 중합반응을 사용하는 경화 조작 시, 필요에 따라 더 높은 경화 온도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중합체는 전술한 바와 같이 단량체 혼합물을 전방 렌즈 표면을 형성하는 모양의 주형 구간에 충전시키고, 단량체 혼합물을 광선에 노출시키면서 그 주형을 조절된 방법으로 스피닝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스핀 주조법과 같은 기타 주조 조작에서 채택된 주형에서 유용하게 사용된다. 또 다른 예로서, "반제(半製)" 렌즈를 각각의 전방 또는 후방 렌즈 표면을 형성하는 전방 또는 후방 주형 구간을 지닌 주형 구간에서 주조할 수 있으며, 이후 상기 반제 렌즈를 선반으로 깎아서 기타 전방 또는 후방 렌즈 표면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 공중합체의 강성으로 인해, 이 공중합체로 만들어진 주형 구간은 선반의 수거 시 상기 반제 렌즈와 함께 장착용으로 더욱 적합하며, 주형 구간의 강성은 수거물에 의해 발휘되는 압력에 의한 변형을 막는다.
마지막으로, 전술한 고리형 올레핀의 무정형 공중합체는 또한 지나치게 낮은 물흡착능과 탁월한 수증기 차단성을 갖는다. 따라서, 이들 재료는 콘택트렌즈 포장재로 사용하기에 적합하다. 이러한 포장재는 종종 "블리스터 포장재"라 불리는데, 콘택트렌즈와 염수 용액을 보유하는 함몰부를 구비한 플랜지를 포함한다. 호일 시이트는 함몰부 주변의 플랜지까지 밀봉하여 콘택트렌즈를 그 내부에 봉입시킨다. 이러한 블리스터 포장재는 전형적으로 폴리프로필렌으로 만들어졌으나, 상기 공중합체의 개선된 물흡착능 및 수증기 차단성으로 인해, 이들 공중합체는 종래의 콘택트렌즈 포장재에 비해 잇점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특정한 바람직한 실시태양을 기술하였으나, 이로 인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변형 및 수정은 자명한 것이다.

Claims (5)

  1. 렌즈 형성용 혼합물을 성형용 표면을 갖는 주형에서 경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렌즈의 주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주형은 에틸렌 및 고리형 올레핀의 무정형 공중합체로부터 사출 성형되는 것이 특징인 렌즈의 주조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리형 올레핀은 에틸렌과 노르보르난의 공중합체인 것이 특징인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는 콘택트렌즈인 것이 특징인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는 주형 조립체의 제1 주형 구간의 성형용 표면과 제2 주형 구간의 성형용 표면사이에서 주조되는데, 하나의 주형 표면은 전방 렌즈 표면을 형성하는 모양을 지니며, 다른 주형 표면은 후방 렌즈 표면을 형성하는 모양을 지니고, 상기 주형 구간들 중 하나 이상은 상기 무정형 공중합체로부터 성형되는 것이 특징인 방법.
  5. 콘택트렌즈 보유용 함몰부에 콘택트렌즈를 넣는 단계 및 호일 시이트로 함몰부 내에 렌즈를 밀봉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콘택트렌즈 보유용 함몰부를 지닌 플랜지를 갖는 포장재 내에 콘택트렌즈를 포장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포장재가 에틸렌과 고리형 올레핀의 무정형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는 것이 특징인 방법.
KR1019997010593A 1998-03-17 1999-03-01 콘택트렌즈 성형방법 KR2001001263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7830098P 1998-03-17 1998-03-17
US60/078,300 1998-03-1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12632A true KR20010012632A (ko) 2001-02-26

Family

ID=221431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7010593A KR20010012632A (ko) 1998-03-17 1999-03-01 콘택트렌즈 성형방법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EP (1) EP0993365B1 (ko)
JP (1) JP2002509497A (ko)
KR (1) KR20010012632A (ko)
CN (1) CN1105008C (ko)
AU (1) AU737892B2 (ko)
BR (1) BR9906325A (ko)
CA (1) CA2289630A1 (ko)
DE (1) DE69908272T2 (ko)
ES (1) ES2304063T3 (ko)
HK (1) HK1028215A1 (ko)
ID (1) ID23894A (ko)
WO (1) WO1999047344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551531B1 (en) 2000-03-22 2003-04-22 Johnson & Johnson Vision Care, Inc. Molds for making ophthalmic devices
KR101021433B1 (ko) 2002-08-16 2011-03-15 존슨 앤드 존슨 비젼 케어, 인코포레이티드 콘택트 렌즈 제조용 금형, 렌즈의 제조방법, 렌즈, 및 코팅 렌즈의 제조방법
JP2008114405A (ja) * 2006-11-01 2008-05-22 Jsr Corp 薄型の光学レンズ成形体の製造方法
US8037415B1 (en) 2007-09-21 2011-10-11 United Services Automobile Association (Usaa) Systems, methods, and computer readable media for managing a hosts file
US8262952B2 (en) 2007-10-31 2012-09-11 Bausch & Lomb Incorporated Molds for production of ophthalmic devices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08364A (en) * 1976-03-24 1980-06-17 Shepherd Thomas H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contact lenses
JPH04218557A (ja) * 1990-04-13 1992-08-10 Nippon Zeon Co Ltd 熱可塑性飽和ノルボルネン系ポリマー成形品
CA2145683C (en) * 1992-09-29 1999-03-30 William J. Appleton Method of making plastic molds and process for cast molding contact lenses
US6090888A (en) * 1996-06-06 2000-07-18 Hoechst Celanese Corporation Cyclic olefin polymer blends exhibiting improved impact resistance and good transparenc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737892B2 (en) 2001-09-06
DE69908272T2 (de) 2003-12-11
BR9906325A (pt) 2000-07-04
ID23894A (id) 2000-05-25
EP0993365A2 (en) 2000-04-19
AU2799599A (en) 1999-10-11
DE69908272D1 (de) 2003-07-03
EP0993365B1 (en) 2003-05-28
WO1999047344A2 (en) 1999-09-23
CN1105008C (zh) 2003-04-09
CN1266398A (zh) 2000-09-13
CA2289630A1 (en) 1999-09-23
HK1028215A1 (en) 2001-02-09
WO1999047344A3 (en) 1999-11-11
ES2304063T3 (es) 2008-09-01
JP2002509497A (ja) 2002-03-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33898A (en) Method of manufacturing a contact lens
US5843346A (en) Method of cast molding contact lenses
CA1328962C (en) Contact lenses and means and methods of producing same
WO1994006621A9 (en) A method of manufacturing a contact lens
AU2007313876B2 (en) Molds for use in contact lens production
US20050029688A1 (en) Plastic castings molds
IE44908B1 (en) Improved process and apparatus for moulding contact lenses
ATE125827T1 (de) Kontaktlinse, materialien dafür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CN103038055A (zh) 极性热塑性眼科镜片模具、其中模制的眼科镜片和相关方法
EP1136222A1 (en) Method and device for producing contact lens elements and injection mold used therefor
US4227673A (en) Gasket for casting lenses
KR20010012632A (ko) 콘택트렌즈 성형방법
FI70232B (fi) Mjuka kontaktlinser och foerfarande foer deras framstaellning
JPH0544331B2 (ko)
US6241918B1 (en) Process of manufacturing contact lenses in ambient environment
MXPA99010526A (en) Method of molding contact lenses
JPH0555294B2 (ko)
JP5856732B2 (ja) プラスチックレンズの製造方法
JPH0626830B2 (ja) 熱可塑性プラスチツクの成形方法
JPS62297119A (ja) コンタクトレンズ成形型
JPS6249302A (ja) 可変焦点光学素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