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10815A - 운용관리시스템에서 메타데이타를 이용한 메뉴 자동 생성방법 - Google Patents

운용관리시스템에서 메타데이타를 이용한 메뉴 자동 생성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10815A
KR20010010815A KR1019990029911A KR19990029911A KR20010010815A KR 20010010815 A KR20010010815 A KR 20010010815A KR 1019990029911 A KR1019990029911 A KR 1019990029911A KR 19990029911 A KR19990029911 A KR 19990029911A KR 20010010815 A KR20010010815 A KR 200100108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tadata
command
file
form input
wind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299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45453B1 (ko
Inventor
이재흠
노성기
전민희
박호진
Original Assignee
정선종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이계철
한국전기통신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선종,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이계철, 한국전기통신공사 filed Critical 정선종
Priority to KR10199900299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45453B1/ko
Publication of KR200100108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108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454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45453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22Arrangements for supervision, monitoring or tes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3/00Aspects of 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2203/25Aspects of 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related to user interface aspects of the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
    • H04M2203/251Aspects of 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related to user interface aspects of the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 where a voice mode or a visual mode can be used interchangeably
    • H04M2203/253Aspects of 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related to user interface aspects of the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 where a voice mode or a visual mode can be used interchangeably where a visual mode is used instead of a voice mode
    • H04M2203/254Aspects of 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related to user interface aspects of the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 where a voice mode or a visual mode can be used interchangeably where a visual mode is used instead of a voice mode where the visual mode comprises men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본 발명은 운용관리시스템에서 메타데이타를 이용한 메뉴 자동 생성방법과 그를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관한 것임.
2.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본 발명은, 운용관리시스템에서 메타데이타의 정보를 참조하여 메뉴를 자동적(dynamic and automatic)으로 생성하는 메뉴 자동 생성방법과 그를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하고자 함.
3.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본 발명은, 운용자에 의한 서식입력 명령창 생성요구에 따라, 서식입력 명령창을 생성하는 제 1 단계; 메타데이타를 포함하고 있는 화일을 참조하여 상기 서식입력 명령창에 자동으로 메뉴를 생성하는 제 2 단계; 및 상기 메뉴에 따라 운용자로부터 명령을 받아 처리하는 제 3 단계를 포함함.
4. 발명의 중요한 용도
본 발명은 교환시스템에 이용됨.

Description

운용관리시스템에서 메타데이타를 이용한 메뉴 자동 생성방법{METHOD OF DYNAMIC MENU CREATION USING METADATA IN OPERATION SYSTEM}
본 발명은 운용관리시스템의 명령입력 창에서 교환시스템을 제어관리하기 위한 명령 및 명령의 파라미터에 대한 메뉴와 도움말을 자동적으로 생성시키는 메뉴 자동 생성방법과 그를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비동기전달모드(Asynchronous Transfer Mode : 이하, "ATM"이라 함) 교환시스템을 운용하고 관리하는 운용관리시스템은 교환시스템을 제어, 관리하기 위한 명령이 다양하고 복잡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복잡한 명령을 운용자가 편리하고 쉽게 사용할 수 있게 하기 위해서 메뉴 및 도움말을 제공한다.
기존 시스템에서는 명령 및 파라미터를 쉽게 제공하기 위해서 팝업 메뉴 및 풀다운 메뉴를 제공하였다.
그러나, 명령 및 각 명령에 대한 변경이 있을 때마다 제공되는 메뉴의 내용이 변경되어야 하므로 프로그램을 재컴파일 해야만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은, 교환시스템을 운용관리하는 운용자에게 교환시스템을 제어관리하기 위한 명령 및 각각의 명령들에 대한 파라미터와 입력정보들을 메타데이타의 정보를 참조하여 자동적(dynamic and automatic)으로 제공하는 메뉴 자동 생성방법과 그를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ATM교환시스템과 운용관리시스템의 구성예시도.
도 2 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ATM교환시스템과 운용관리시스템의 소프트웨어의 일실시예 기능블럭도.
도 3 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서식입력 명령창에서의 명령선택을 위한 대항목 리스트를 나타내는 화일의 일예시도.
도 4 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서식입력 명령창에서의 명령선택을 위한 중항목 리스트를 나타내는 화일의 일예시도.
도 5 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서식입력 명령창의 일예시도
도 6 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명령의 구성을 나타낸 일예시도.
도 7 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서식입력 명령창의 서식입력을 제공하기 위한 메타데이타를 포함한 화일을 나타내는 일예시도.
도 8 은 본 발명에 따른 운용관리시스템에서의 메타데이타를 이용한 자동메뉴 생성 방법의 일실시예 흐름도.
도 9 는 본 발명에 따른 운용관리시스템의 서버기능 수행 과정을 도시한 일실시예 흐름도.
도 10 은 본 발명에 따른 운용관리시스템으로부터 명령을 수신한 응용블럭들이 명령처리를 하고 결과를 보고하는 과정의 일실시예 흐름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 : ATM 교환시스템 102 : ATM 로컬 스위칭 장치
103 : 호제어 프로세서 104 : ATM 중앙 스위칭 장치
105 : 유지보수 프로세서 106 : 네트워크 허브
107 : 스위치 링크 108 : 이더넷 케이블
109 : 운용관리시스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교환시스템을 운용하고 관리하는 운용관리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서식입력 명령창에 메뉴를 생성하는 방법에 있어서, 운용자에 의한 서식입력 명령창 생성요구에 따라, 서식입력 명령창을 생성하는 제 1 단계; 메타데이타를 포함하고 있는 화일을 참조하여 상기 서식입력 명령창에 자동으로 메뉴를 생성하는 제 2 단계; 및 상기 메뉴에 따라 운용자로부터 명령을 받아 처리하는 제 3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대용량 프로세서를 구비한 운용관리시스템에, 운용자에 의한 서식입력 명령창 생성요구에 따라, 서식입력 명령창을 생성하는 제 1 기능; 메타데이타를 포함하고 있는 화일을 참조하여 상기 서식입력 명령창에 자동으로 메뉴를 생성하는 제 2 기능; 및 상기 메뉴에 따라 운용자로부터 명령을 받아 처리하는 제 3 기능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ATM 교환시스템과 운용관리시스템의 구성예시도이다.
ATM 교환시스템(101)과, 워크스테이션을 구비한 운용관리시스템(109)이 이더넷(108)과 네트워크 허브(106)로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ATM 교환시스템(101)은 로컬스위치인 ATM 로컬 스위칭 장치(ATM Local Switching : 이하 "ALS"이라 함)(102), 호처리를 담당하는 호처리 프로세서(Call and Connection Control Processor : 이하, "CCCP"라 함)(103), 중심스위치인 ATM 중앙 스위칭 장치(ATM Central Switching : 이하, "ACS"라 함)(104), 및 유지보수를 담당하는 유지보수 프로세서 (Operation and Maintenance Processor : 이하, "OMP"라 함)(105)를 구비한다. 여기에서, ACS(104) 및 ALS(102)는 스위치 링크(107)로 연결되고, CCCP(103) 및 OMP(105)는 이더넷(108)을 통해 네트워크 허브(106)와 연결된다.
도 2 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ATM교환시스템내 운용관리시스템 소프트웨어의 일실시예 기능블록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ATM교환시스템(201)을 운용관리 및 제어하기 위한 시스템이 운용관리시스템(203)이다. ATM교환시스템(201)내에는 교환기 응용블럭(202)들이 존재하고, 운용자는 운용관리시스템(203)을 통하여 각종 명령을 교환시스템(201)에 부여한다. 운용관리시스템(203)은 서버(204)와 서버에 연결될 다수개의 클라이언트(205)로 구성된다.
운용자와의 직접 인터페이스를 담당하고 있는 것이 클라이언트(205)내의 명령제어 인터페이스(211)로서, 명령제어 인터페이스(211)내의 메타데이타 분석모듈(212)이 메타데이타 화일을 참조·분석하고, 서식입력창 관리모듈(213)이 운용자에게 서식입력 형태의 창을 제공한다. 운용자가 서식입력 명령창을 통하여 내린 명령은 클라이언트 정합모듈(210)을 통하여 서버 정합모듈(209)로 전달된다. 서버(204)내의 명령분석모듈(206)에서 명령을 분석하고 명령실행 제어모듈(207)이 명령을 실행 시키기 위하여 교환시스템(201)내의 해당 응용블럭(202)에 명령을 전달한다.
교환시스템내 응용블럭(202)들은 명령수행을 한 후, 결과를 운용관리시스템(203)내의 메시지구성모듈(208)로 전달하고, 결과메시지를 클라이언트(205)내의 명령제어인터페이스(211)를 통하여 운용자에게 보여준다.
ATM교환시스템(201), 운용관리시스템(203)내의 서버(204), 그리고 클라이언트(205)간에는 이더넷(214)을 통하여 전송제어프로토콜/인터넷프로토콜( Transmission Control Protocol/Internet Protocol : TCP/IP)(215)을 사용하여 연결한다.
도 3 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서식입력 명령창에서의 명령선택을 위한 대항목 리스트를 나타내는 화일의 일예시도이다.
교환시스템을 제어하는 명령코드는 4자리 코드(0000-9999)로 되어있고, 1번째자리(301)가 대항목을 나타낸다. 본 예시도에는 대항목(301)과 대항목이 나타내는 리스트(302)를 저장한 화일로 서식입력 명령창에서는 이 화일을 참조하여 대항목 리스트 메뉴(도 5)를 제공한다.
도 4 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서식입력 명령창에서의 명령선택을 위한 중항목 리스트를 나타내는 화일의 일예시도이다.
교환시스템을 제어하는 명령코드는 4자리 코드(0000-9999)로 되어있고, 1번째자리(301)의 대항목을 포함한 2번째자리가 중항목(401)을 나타낸다. 본 예시도에는 대항목, 중항목이 4번부터 9번까지(402) 나타내고 있는 화일로 명령서식 입력창에서는 이 화일을 참조하여 중항목 리스트메뉴(도 5)를 제공한다. 도 3 에서의 0은 시스템 제어 연산(System Control Operation) 대항목에 포함되어 있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도 5 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서식입력 명령창의 일예시도이다.
이 서식입력 명령창은 여러 개의 창으로 구분된다. 대항목/중항목 리스트 창(501)에는 명령 선택의 도움을 주기 위하여, 도 3 의 대항목 리스트 화일을 참조하여 대항목 리스트(503)를 출력하고, 도 4 의 중항목 리스트 화일을 참조하여 중항목 리스트(504)를 출력한다.
운용자에 의하여 대항목을 선택하면 중항목 리스트(503)를 열거/제거하게 되고 해당 중항목을 선택하게 되면 소항목리스트 창(502)에 소항목 명령(505)들을 열거한다. 해당 소항목 명령(505)을 마우스로 선택하면, 해당 소항목 명령에 대한 코드(CRN : Command Reference Number)가 해당 필드(506)에 출력되고, 그 명령을 실제 명령부가 해당필드(507)에 출력된다.
또한, 해당 명령에 대한 파라미터들이 파라미터출력 창(513)에 서식입력 형태로 제공된다. 파라미터(508)들은 파라미터 값들을 반드시 입력시켜야만 되는 필수파라미터(508-1)와, 파라미터 값들을 입력시키지 않아도 되는 옵션파라미터(508-2)로 구분되며 본 예시도에서는 파라미터의 문자의 색상을 달리하여 운용자에게 구분이 용이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파라미터의 서식입력란(513)에 입력될 값에 대한 유형 및 범위등에 대한 정보(509)를 제공하며, 입력될 파라미터들이 메뉴로 정해진 값들을 입력시킬 때에는 콤보박스(511)로 선택리스트를 제공하여 값을 선택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콤보박스의 초기형태(512)는 선택리스트가 없고 버튼으로 제공되며, 마우스로 버튼을 선택하게 되면 선택될 리스트(511)를 보여주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며, 이와 같은 파라미터 서식입력에 대한 정보는 일정한 규칙을 갖는 메타데이타를 구성하여 화일로 저장된다.
서식입력 명령창에서는 메타데이타 화일을 참조하여, 동적인 서식입력 명령창을 제공하게 된다. 서식 입력 파라미터의 수가 많을때에는 스크롤(510)기능을 제공한다.
도 6 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명령의 구성을 나타낸 일예시도이다.
명령은 크게 명사-동사-동사가 하이픈으로 연결되어 있는 형태인 명령어부(601)와 복수개의 파라미터(602)들로 구성되어있고, 명령어부(601)와 파라미터(602)간 구분자(604)인 콜론(:), 그리고 명령의 종료를 표시하는 명령종료자(606)인 세미콜론(;) 으로 구성되어 있다.
도 7 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서식입력 명령창의 서식입력을 제공하기 위한 메타데이타를 포함한 화일을 나타내는 일예시도이다.
운용관리시스템(203)의 클라이언트(205)내 메타데이타 분석모듈(212)에서는 이 화일을 참조하여, 서식입력창 관리모듈(213)에 서식입력 명령창(도 5)의 기능을 제공하게 한다. 이 화일은 모든 명령들에 대한 정보를 갖고 있는데, 각각의 명령들간의 구분자(701), 명령번호(702)(CRN : Command Reference Number), [도6]의 명령어부(601)의 명사부(703)를 나타내고 있다. 이 명령은 명령어부(601)의 후반 동사부가 1개로 구성(704)되어 있다는 정보를 나타내고 있고, 2개로 구성된 경우에는 2의 값을 갖게된다.
이 예시도의 경우에 선택된 명령은 CRTE-BSN(도 5)을 나타내고 있다. 명령어부(601)의 동사부(705)를 표시하며, 도 5 의 파라미터 서식입력 창(513)부분에 나타날 파라미터 개수(706)를 나타내는 정보이며, 이 명령의 예는 12개의 파라미터가 있다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이 예시도에서 12개의 파라미터 중 첫번째 파라미터는 ITC(707, 508)이며, 도 5 (예시도)에서 입력될 값이 디렉토리 넘버(Directory Number : DN)이며 2-4자리 범위를 갖는데, 이 예시도의 메타데이타 구조에서는 첫번째 필드(709)는 이 파라미터 서식입력 옵션을 나타내는 것으로, 파라미터 값들을 필수적으로 입력시켜야만 되는 필수파라미터인 경우에 이 값이 1, 파라미터 값들을 입력시키지 않아도 될 파라미터인 경우에 0를 나타내며, 입력하지 않은 경우에 기본값으로 채워질 값들을 정의(715)한 필드이다.
입력파라미터의 유형(710)에 대한 정보가 메타데이타 구조에 포함되며, 디지트, 스트링, 리스트, 디렉토리 넘버(Directory Number : DN), 비트스트링, 정수형, 그리고 날짜등의 유형을 표시한다. 파라미터 입력필드에 입력될 값들의 범위에 대한 정보의 최소값(713), 최대값(714)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메타데이타 구조를 나타낸다.
또한 도 5 의 파라미터 콤보박스(511)에 나타난 리스트들에 대한 정보(715)와 리스트들의 개수(708)를 참조하여 풀다운 메뉴를 제공한다.
새로 명령이 추가되거나 변경시, 프로그램의 재컴파일을 하지않고, 이 예시도에 나타난 메타데이타 화일의 내용만 변경시키면, 서식입력 명령창에서 제공되는 메뉴들을 동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도 8 은 본 발명에 따른 운용관리시스템에서의 메타데이타를 이용한 자동메뉴 생성 방법의 일실시예 흐름도이다.
초기에 이 기능이 수행되기 위해서는 운용자에 의하여 서식입력 명령창의 생성요구에 의하여 창이 생성되면서(801), 메타데이타 구조를 포함하고 있는 화일(도 3, 도 4, 도 7)을 참조하여, 도 5 의 형태의 창과 서식입력 필드를 구성하기 위한 데이타를 구성한다(802).
마우스나 키보드에 의한 서식입력 명령창으로부터 명령선택을 위한 입력데이타를 수신하여(803), 입력데이타를 분석하여(804) OK버튼이 선택되면 명령을 구성하여(806) 서버로 명령을 전송한다(807). OK버튼이외의 다른 입력인 경우에는 계속하여 서식입력필드를 제공하여 명령을 구성하기 위한 파라미터 값을 입력 받는다(805).
서버로부터 결과메시지를 수신하면(808) 결과메시지를 프린터로 출력한다(809).
도 9 는 본 발명에 따른 운용관리시스템(201)의 서버(204)기능 수행 과정을 도시한 일실시예 흐름도이다.
클라이언트로부터 명령을 수신하면(901), 수신된 명령을 분석하여(902), 에러가 있으면 에러메시지를 보고하고(906), 에러가 없으면 해당 명령에 대한 실행제어를 한다(904). 해당 명령을 교환시스템(201)의 해당 응용블럭(202)에게 전달한다(905).
교환시스템(201)내 응용블럭들(202)로부터 명령결과를 수신하면(907) 메시지를 구성하여(908) 클라이언트로 명령결과를 전송한다(909).
도 10 은 본 발명에 따른 운용관리시스템으로부터 명령을 수신한 응용블럭들이 명령처리를 하고 결과를 보고하는 과정의 일실시예 흐름도이다.
서버로부터 명령을 수신하면(1001) 교환시스템내 응용블럭들(202)이 해당명령을 수행하고(1002) 명령에 대한 결과를 다시 서버로 전송한다(1003).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ATM 교환시스템을 운용관리하는 운용자에게 편리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복잡하고 다양한 명령들에 대한 리스트 및 파라미터 입력을 위한 서식입력 필드를 제공하는데 있어서, 명령들의 추가나 변경시에도 해당 프로그램의 재컴파일 하지 않고, 변경된 명령 및 파라미터에 대한 서식입력을 제공할 수 있는 메타데이타를 구성하여 화일에 반영하고, 운용관리시스템은 메타데이타 화일을 참조하여 자동적으로 서식입력명령창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9)

  1. 교환시스템을 운용하고 관리하는 운용관리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서식입력 명령창에 메뉴를 생성하는 방법에 있어서,
    운용자에 의한 서식입력 명령창 생성요구에 따라, 서식입력 명령창을 생성하는 제 1 단계;
    메타데이타를 포함하고 있는 화일을 참조하여 상기 서식입력 명령창에 자동으로 메뉴를 생성하는 제 2 단계; 및
    상기 메뉴에 따라 운용자로부터 명령을 받아 처리하는 제 3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메타데이타를 이용한 메뉴 자동 생성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단계는,
    상기 서식입력 명령창의 명령을 선택하기 위한 메타데이타 화일을 참조하여 대항목 및 중항목에 대한 리스트를 제공하는 제 4 단계; 및
    상기 메타데이타 화일을 참조하여 서식입력 명령창에 서식입력 형태를 제공하는 제 5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메타데이타를 이용한 메뉴 자동 생성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4 단계는,
    대항목 리스트를 제공하기 위한 화일구성 및 화일을 상기 메타데이타 화일에서 참조하여 대항목 리스트를 구성하는 제 6 단계; 및
    대항목의 서브항목인 중항목 리스트를 구성하고 있는 화일구조 및 화일을 상기 메타데이타 화일에서 참조하여 중항목 리스트를 구성시키는 제 7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메타데이타를 이용한 메뉴 자동 생성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6 단계는,
    상기 운용관리시스템의 클라이언트내 메타데이타 분석모듈이 대항목 리스트를 제공하기 위한 화일구성 및 화일을 상기 메타데이타 화일에서 참조하는 제 8 단계; 및
    상기 클라이언트내 서식입력창 관리모듈이 상기 서식입력 명령창에 대항목 리스트를 구성하는 제 9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메타데이타를 이용한 메뉴 자동 생성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7 단계는,
    상기 메타데이타 분석모듈이 대항목의 서브항목인 중항목 리스트를 구성하고 있는 화일구조 및 화일을 상기 메타데이타 화일에서 참조하는 제 8 단계; 및
    상기 서식입력창 관리모듈이 상기 서식입력 명령창에 중항목 리스트를 구성하는 제 9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메타데이타를 이용한 메뉴 자동 생성방법.
  6. 제 1 항 내지 제 5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단계는,
    운용자의 서식입력이 완료되면, 서버의 실행제어를 거쳐 상기 교환시스템으로 명령을 전달하는 제 10 단계; 및
    상기 교환시스템내에서 명령을 수신하여 처리하고, 처리결과를 상기 운용자에게 알려주는 제 11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메타데이타를 이용한 메뉴 자동 생성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메타데이타는,
    명령어부와 복수개의 파라미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타데이타를 이용한 메뉴 자동 생성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메타데이타는,
    각 명령들에 대한 다양한 파라미터에 대한 정보를 구성하기 위하여 명령구분자, 파라미터 개수, 파라미터 유형, 필수입력될 파라미터 여부, 입력될 파라미터의 최소값/최대값, 입력하지 않은 경우 입력될 기본값 등을 포함한 메타데이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타데이타를 이용한 메뉴 자동 생성방법.
  9. 대용량 프로세서를 구비한 운용관리시스템에,
    운용자에 의한 서식입력 명령창 생성요구에 따라, 서식입력 명령창을 생성하는 제 1 기능;
    메타데이타를 포함하고 있는 화일을 참조하여 상기 서식입력 명령창에 자동으로 메뉴를 생성하는 제 2 기능; 및
    상기 메뉴에 따라 운용자로부터 명령을 받아 처리하는 제 3 기능
    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19990029911A 1999-07-23 1999-07-23 운용관리시스템에서 메타데이타를 이용한 메뉴 자동 생성방법 KR1003454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29911A KR100345453B1 (ko) 1999-07-23 1999-07-23 운용관리시스템에서 메타데이타를 이용한 메뉴 자동 생성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29911A KR100345453B1 (ko) 1999-07-23 1999-07-23 운용관리시스템에서 메타데이타를 이용한 메뉴 자동 생성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10815A true KR20010010815A (ko) 2001-02-15
KR100345453B1 KR100345453B1 (ko) 2002-07-26

Family

ID=196038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29911A KR100345453B1 (ko) 1999-07-23 1999-07-23 운용관리시스템에서 메타데이타를 이용한 메뉴 자동 생성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4545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695973A (zh) * 2017-04-04 2018-10-23 Abb股份公司 用于配置电子继电器的计算机实现的方法
CN114780195A (zh) * 2022-04-29 2022-07-22 济南浪潮数据技术有限公司 一种操作可视化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695973A (zh) * 2017-04-04 2018-10-23 Abb股份公司 用于配置电子继电器的计算机实现的方法
CN114780195A (zh) * 2022-04-29 2022-07-22 济南浪潮数据技术有限公司 一种操作可视化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N114780195B (zh) * 2022-04-29 2024-02-13 济南浪潮数据技术有限公司 一种操作可视化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45453B1 (ko) 2002-07-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20083572A1 (en) Extraction rule generation using clustering
US11651012B1 (en) Coding commands using syntax templates
US6502000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vice control
US20170286455A1 (en) Technology Add-On Packages Controlling a Data Input and Query System
US7391735B2 (en) Parsing messages with multiple data formats
KR20010042737A (ko) 비쥬얼 데이터 통합 시스템 및 그 방법
US20100121923A1 (en) Multi-tenancy engine
US20030090716A1 (en) Management information transmission apparatus, apparatus management apparatus, and apparatus management system
US6671659B2 (en)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controller diagnostics
US6317743B1 (en) System for retrieving compiling and loading management information in a digital data network
KR100345453B1 (ko) 운용관리시스템에서 메타데이타를 이용한 메뉴 자동 생성방법
KR20020041332A (ko) 컨텐츠 서버장치
CN109861836A (zh) 一种网络管理设备及其管理方法
JP4522413B2 (ja) リソース管理プログラム、リソース管理方法、およびリソース管理装置
KR102346793B1 (ko) IoT 기반의 디바이스와 서버 간 통신을 위한 프로토콜 컨버터 및 그 프로토콜 변환 방법
CN116743886A (zh) 基于物联网的工业控制设备数据采集系统
KR20010055482A (ko) 통합망 환경에서 서비스관리시스템의 관리명령을 교환기명령어로 변환하는 방법
KR100395484B1 (ko) 통합망 관리시스템에서의 관리명령 전달시스템 및 그 방법
JP2002351702A (ja) オンライン利用の端末稼働統計データ作成方法及び装置
KR20030043398A (ko) 망 요소 관리 시스템의 장치 연동부 구성 및 연동 방법
WO2002069199A9 (en) Network connection platform
KR20050030071A (ko) 엑스엠엘을 이용한 티엘원과 에스엔엠피의 프로토콜 변환방법
JP3048147B1 (ja) プロセス制御システム
KR20030042219A (ko) 인터넷을 통한 기기 원격 제어 시스템 및 그 시스템 구현방법
JPH09282153A (ja) 画面・帳票、データベース、プロトコル作成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