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10801A - 용존공기부상법을 이용한 조류 제거방법 - Google Patents

용존공기부상법을 이용한 조류 제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10801A
KR20010010801A KR1019990029872A KR19990029872A KR20010010801A KR 20010010801 A KR20010010801 A KR 20010010801A KR 1019990029872 A KR1019990029872 A KR 1019990029872A KR 19990029872 A KR19990029872 A KR 19990029872A KR 20010010801 A KR20010010801 A KR 200100108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dimentation basin
dissolved air
raw water
tank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298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07253B1 (ko
Inventor
김기석
신익상
이선주
김정현
권순범
Original Assignee
임정규
한국수자원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정규, 한국수자원공사 filed Critical 임정규
Priority to KR10199900298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07253B1/ko
Publication of KR200100108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108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072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07253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70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717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light source
    • H01R13/7175Light emitting diodes (LE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28Coupling parts carrying pins, blades or analogous contacts and secured only to wire or cabl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3/00Two pol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Separation Of Suspended Particles By Flocculating Agents (AREA)
  • Physical Water Treat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정수처리공정중 침전공정에서 문제가 되는 저밀도 플럭과 조류의 제거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 용존공기부상법(Dissolved Air Flotation; DAF)을 이용한 정수장의 조류제거방법에 관한 것으로, 유량조절조, 혼화지, 응집지, 경사관침전지, 부상조로 이루어지며; 침전지의 전방부에 상향류식 경사관침강장치를 적용하여 비중이 큰 플럭을 우선적으로 제거하도록 하고, 침전지의 후방부에 용존공기부상법을 적용한 부상조를 설치하여 겨울철 저밀도 플럭 및 조류제거를 원활히 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과, 원수의 수질이 항상 저탁도이고 조류농도가 높은 정수장에서는 침전지의 전방부에 용존공기부상법을 적용한 부상조가 설치되어 탁도 및 조류처리효율을 향상시키는 방법과, 고탁도의 원수가 주기적으로 유입되고, 연중 일정기간에만 원수의 조류의 농도가 증가하여 침전지의 침전효율이 떨어질 경우 침전지 후단에 용존공기부상법을 적용한 부상조가 구비되도록 하여 침전효율이 떨어지는 경우에만 용존공기부상법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하여 탁도 및 조류처리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용존공기부상법을 이용한 조류 제거방법 {A method for eliminating algae using the Dissolved Air Flotation}
본 발명은 기존 침전지의 조류제거 효율을 향상시키고, 여과지의 부하를 줄이기 위해 용존공기부상법(DAF)을 이용한 조류제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용존공기부상법(Dissolved Air Flotation ; 이하 “DAF”라고 함)의 발전은 1920년대 미국의 광산업에서 광물질 분리 공정인 부유선광법에 이용되었으며, 이후 독일의 제지업에서 제지의 분리에 응용되어 왔다.
반면에, 본 발명이 속하는 상수처리에서의 이용은 1960년대 남아프리카공화국에서 시작되었으며, 이후 스칸디나비아를 비롯한 유럽으로 확산되었다. 미국의 경우는 메사추세츠(Massachusetts)의 레녹스(Lenox)에서 처음 도입되어 확산되었다. 이 공정의 특징은 조류, 색도 제거에 침전지보다도 월등한 성능을 지니고 있어 이에 대한 연구가 유럽 및 미국을 중심으로 활발히 진행되어 왔다. 영국의 경우 봄과 여름에 테임즈(Thames)강의 조류로 인한 모래여과지의 폐색현상을 해결하기 위해 DAF를 이용하여 침전지를 대체한 바가 있으며(Eadxs and brignall. 1995), 독일의 경우 탁도가 낮고, 높은 농도의 엽록소-a(chlorophyll-a)를 함유한 원수의 경우 DAF를 이용한 처리가 타 공정과 비교하여 상당히 우수한 처리효율을 나타내었다(Puffelen, 1995). 또한, 조류종에 따른 DAF 효율의 검토도 연구가 되었으며, 규조류와 남조류에 높은 처리효율을 나타내었다(Edzwald, 1993; Vlaski, 1997; Markham, 1997).
그리고, 수인성 질병을 일으키는 미생물인 크리토스프리듐(Crytospridium)을 대상으로 용존공기부상법을 적용한 처리조건 연구결과에서도 침전·여과공정 보다 부상·여과공정이 더 높은 처리효율을 나타내었다(Plummer and Edzwald, 1995; Edzwald and Kelley, 1998). 또한, 최근의 연구는 부상공정과 타 공정과의 연계를 통한 패키지화에 관한 연구 및 실용화가 진행되고 있다. 부상공정과 경사판(lamella)을 조합한 공정은 퓨랙(Purac)사에서 개발하여 엘디에이에프 (LDAF)라는 상표로 개발되었다. 부상공정과 모래여과 공정을 조합한 공정은 루랙(Rurac), 크로프타(Krofta), 알스트롬(Ahlstrom)사에 의해 개발되어 플로필터(Flofilter)(Guss, 1997), 샌드플로트(Sandfloat), 아이플로트(Ahifloat)라는 상표로 실용화가 되었으며, 오존과 부상공정을 결합한 공정은 오조-플로테이션(Ozo-Flotation) 및 플로타존(Flottazone)이라는 상표로 실용화 되었다 (Richard, 1993; Wilson, 1993; Benoufella, 1994; Baron, 1997). 기타 고도정수처리와의 연계공정의 연구도 진행되어 실제 뉴욕주 뉴 캐슬(New Castle)에서 1993년부터 적용하였다(Nickols. 1995)
또한, 기존의 장방형 침전지를 개량하여 부상조로 만드는 연구도 진행되고 있으며(Arnold, 1995), 침전의 장점인 고탁도 처리와 부상의 장점인 조류의 처리를 조합하여 기존의 침전지를 개량하는 연구도 또한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Dahlguist, 1997; Fouche, 1997).
정수장 원수의 특성중 대표적으로 나타낼 수 있는 탁도와 엽록소-a (Chlorophyll-a)에 따른 공정별 처리한계는 얀센(Janssens, 1993)에 의해 아래의 그래프.1과 같이 정리되었다.
그래프.1
상기 그래프.1에서와 같이, 원수의 탁도가 약 20NTU이상이고, 엽록소-a (Chlorophyll-a)농도가 낮을 경우는 응집 플럭 자체에 밀도가 낮은 조류(일반적인 조류의 밀도 : 1.01∼1.18g/㎤)보다 밀도가 높은 탁질(예, 카올린계 점토의 밀도: 2.6g/㎤)이 상대적으로 많이 함유되어 침전으로서 처리가 원활히 이루어진다. 그러나, 엽록소-a(Chlorophyll-a)가 10μg/L 이상이고, 탁도가 20NTU 이하일 경우는 조류에 의해 밀도가 낮은 플럭이 생성되어 침전지에서 가라앉지 않고 월류할 가능성이 높다.
또한, 이러한 현상은 겨울철 플럭의 크기가 100μm이고, 수온이 4˚C일 경우, 앨럼(Alum)플럭의 밀도는 1.01g/㎤ 밖에 되지 않아 침전으로 제거하기 위해서는 표면부하율이 0.125m/hr(3m/day)로 낮아야 적절한 처리가 이루어진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장방형 침전지가 주로 표면부하율이 약 1m/hr인 것을 감안하면, 침전으로 제거하기에는 무리가 따르며, 이러한 경우에 DAF를 사용하는 것이 오히려 효과적일 수 있다. 우리나라 정수장중 댐을 원수로 취수하는 경우는 대부분이 낮은 탁도에 비해 높은 조류농도를 포함하고 있어, 이에 대한 적절한 공정의 선택이 필요하게 되었다.
한편, 플럭 제거공정의 처리능력을 나타내는 표면부하율은 비이타사리 (Viitasaari, 1995)등에 의해 정리되었다. 침전지의 표면부하율이 최대 2.5m/hr인 것에 반해 DAF와 급속여과 등은 SS농도에 따라 침전지에서 최고 10배까지의 효율을 보이고 있다. 이러한 표면부하율의 차이는 SS농도가 낮다는 것을 감안하면 침전과 부상의 차이는 상당히 큰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기존 침전지의 구조를 크게 변경하지 않고도 침전공정에서의 저밀도 플럭과 조류의 제거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며, 유입되는 원수의 탁도 및 조류의 농도에 따라 각각 다른 방법의 용존공기부상법을 적용하여 원수의 탁도 및 조류제거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정수처리용 침전지,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제 1실시예로서 상향류식 경사관침강장치와 용존공기부상법 (DAF)을 이용하여 플럭 및 조류 제거에 사용되는 방법을 도시한 공정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 2실시예로서 용존공기부상법(DAF)만 적용되어 저탁도와 높은 조류농도일 경우에 사용되어 탁도 및 조류제거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법을 도시한 공정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 3실시예로서 기존 침전지의 유출부분을 개조하여 조류에 의한 장해로 여과지 폐색현상이 나타날 경우에 사용되는 조류제거방법을 도시한 공정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응집기 2 : 응집지
3 : 정류벽 4 : 침전지
5 : 유출웨어 6 : 유입저류벽
7 : 유입격벽(Inlet Baffle) 8 : 슬러지제거용 스키머
9 : 하부오리피스웨어 10 : 슬러지트라프
11 : 처리수 이송부 13 : 가압조(Saturator)
14 : 고압펌프 15 : 공기압축기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용존공기부상법을 이용한 조류제거방법은 유입된 원수중 밀도가 큰 플럭은 침전지의 전방부에 설치된 상향류식 경사관침강장치에서 우선적으로 제거되고, 원수중 저밀도 플럭 및 조류는 침전지의 후방에서 용존공기부상법을 적용하여 제거되도록 하는 방법으로서, 유량조절조, 혼화지, 응집지, 경사관침전조 및 부상조로 이루어지며; 상기 응집지 또는 침전지를 거친 원수가 부상조 하부로 유입되면서 가압조에서 대기압으로 방출된 용존공기와 혼합되어 유입격벽을 타고 부상하며, 부상된 슬러지는 상기 부상조의 일측에 설치된 슬러지제거용 스키머에 의해 슬러지트라프로 이동되고, 처리수는 하부 오리피스웨어를 통해 배출되도록 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원수의 수질이 항상 저탁도를 유지하고 조류농도가 높은 정수장에서의 원수의 처리효율을 향상시키도록 침전지의 전방부에 용존공기부상법(DAF)이 적용되는 방법으로서, 유량조절조, 혼화지, 응집지, 부상조, 침전지로 이루어지며; 상기 응집지를 거친 원수가 침전지의 전방부에 설치된 상기 부상조의 하부로 유입되면서 가압조에서 대기압으로 방출되는 용존공기와 혼합되어 유입격벽을 타고 부상되도록 하고, 부상된 슬러지는 슬러지제거용 스키머에 의해 슬러지트라프로 이동되고, 처리수는 하부오리피스웨어를 통해 처리수 이송부로 이동되도록 하는 방법 및 고탁도의 원수가 주기적으로 유입되고, 연중 일부기간에만 원수의 조류농도가 증가하여 침전지의 침전효율이 떨어지는 일정기간에만 적용될 수 있도록 침전지의 후방에 용존공기부상법(DAF)을 적용하여 원수의 탁도처리 및 조류제거효율을 향상시키는 방법으로서, 유량조절조, 혼화지, 응집지, 침전지 및 부상조로 이루어지며; 상기 침전지를 거친 원수가 부상조 하부로 유입되면서 가압조에서 대기압으로 방출된 용존공기와 혼합되어 유입격벽을 타고 부상하며, 부상된 슬러지는 상기 부상조의 일측에 설치된 슬러지제거용 스키머에 의해 슬러지트라프로 이동되고, 처리수는 하부 오리피스웨어를 통해 배출되도록 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탁도 및 조류의 처리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 침전지(4)의 전,후방에 용존공기부상법(DAF)을 적용하여 유체를 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이다. 즉, 도2의 제 1실시예에 따르면 기존의 침전지를 그대로 둔 상태에서 혼화공정-다수개의 응집기(1)가 정류벽(3)에 의해 분할 설치되어진 응집지(2)에서의 응집공정-유출웨어(5) 또는 상향류식 경사관침강장치(17)가 구비된 침전지(4)에서의 침전공정-상기 침전지(4)의 후방에 설치되어진 부상조(A)에서의 부상공정으로 이루어져 플럭 및 조류제거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도 3의 제 2실시예에 따르면 혼화공정-다수개의 응집기(1)가 정류벽 (3)에 의해 분할 설치되어진 응집지(2)에서의 응집공정-침전지(4)의 전방부에 설치되어진 부상조(A)에서의 부상공정으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항시 저탁도와 높은 조류농도를 함유하고 있는 유체의 처리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그리고, 도 4의 제 3실시예에 따르면 혼화공정-다수개의 응집기(1)가 정류벽 (3)에 의해 분할 설치되어진 응집지(2)에서의 응집공정-유출웨어(5)가 설치된 침전지(4)에서의 침전공정-상기 침전지(4)의 후방에 설치된 부상조(A)에서 차단벽(16)과 유입저류벽(6)을 통과한 유체가 거치는 부상공정으로 이루어져 일정기간에만 조류의 농도가 증가하여 침전지(4)의 침전효율이 저하될 경우에 적용되도록 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본 발명에 따른 각 실시예에 사용된 실험장치는 일반적인 장방형 침전지를 기본 구성으로 하여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유량조절조, 혼화지와, 응집지(2), 침전지(4)로 기본 외형을 구성하였으며, 침전지(4)에 유출웨어(5)나 상향류식 경사관침강장치(17)를 설치하여 부상의 형태를 병행할 수 있도록 하였다.
부상조(A)의 구성은 침전지의 전처리와 같이 혼화, 응집이 필요하며, 슬러지제거용 스키머(8), 슬러지트라프(10), 가압조(Saturator,13)로 구성되며, 형태는 응집지(2) 혹은 침전지(4)의 차단벽(16)을 월류한 원수가 유입저류벽(6)이 설치된 부상조(A)의 하부로 유입되고 가압조(13)에서 나온 용존 공기가 대기압으로 방출되므로서 발생된 미세한 공기방울과 혼합되어 유입격벽(Inlet Baffle, 7)을 따라 부상하게 된다.
부상조(A) 내의 표면부하율의 적용은 침전지(4)를 개조하여 부상조(A)를 설치하였기 때문에 AWWA(1998)에서 제시하고 있는 10∼12m/hr보다 낮은 표면부하율인 5.5m/hr, 부상조(A)내 체류시간은 20분으로 하였다. 부상된 슬러지는 스키머(8)에 의해 슬러지트라프(10)로 이동하게 되며, 처리수는 하부의 오리피스웨어(9)를 통해 배출된다. 가압조(Saturator, 13)는 반송용 고압펌프(14), 공기압축기(15)와 도시되지 않은 압력조절부, 공기량조절부, 에어릴리스노즐, 에어릴리스밸브, 유량계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가압조(13) 압력과 반송비(Recycle ratio)의 조작으로 기포체적 농도(Bubble Volume Concentration)의 조절이 가능하다. AWWA(1998)에서는 압력을 4.22∼6.33㎏/㎠, 반송비는 5∼10%를 제시하고 있으며, 본 실험에서는 압력을 4.5㎏/㎠, 반송비는 10%를 사용하였다.
실험에 사용된 원수는 댐을 취수하는 정수장의 원수를 사용하였으며, 각 공정별 용량으로는 유량조절조가 16.6L, 약품혼화조가 8.6L, 응집지(2)는 3단으로 설계되었다. 처리수질의 측정은 탁도와 엽록소-a(Chlorophyll-a) 위주로 측정하였으며, pH, 알칼리도 및 UV254등도 측정하였다. 실험에 사용된 응집제는 주로 앨럼 (Alum)을 사용하였으며, 약품량은 Jar-test하여 결정하였다. 혼화지의 G-값은 약 800sec-1로 사용하였으며, 응집지(2)의 각 단의 G값은 70∼30sec-1로 단계적으로 운영하였다.
한편,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구성 및 조건을 가지고 각 실시예를 적용하여 실험한 결과에 대해서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의 각 실시예, 즉 조류 및 탁도를 제거하는 방법과 그 작용에 대해서 이해가 용이하도록 각 실시예를 병행 또는 분리하여 실험한 결과를 가지고 이하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기존의 침전지를 개조하여 DAF를 적용할 경우, 탁도 처리한계의 정도를 알아보기 위해 댐수를 취수하는 C정수장의 98년 여름 장마철(약 20일) 원수를 대상으로 실험을 실시하였으며, 그에 따른 원수 및 처리수의 수질과 적용한 각 실시예에 따라 A, B, C 기간으로 나눠 실시한 것을 아래의 그래프.2에 도시하였다.
그래프.2
상기 [그래프 2]의 A기간에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를 적용하여 실험을 실시하였으며, B기간의 경우에는 본 발명의 제 3실시예, C기간의 경우는 다시 상기 제 2실시예로 실험을 실시하였다.
한편, 아래의 그래프.3의 실험기간에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인 도 2로 실험을 실시하였다.
그래프.3
상기 그래프.2에 나타난 바와 같이, '98년 C정수장의 원수의 변화는 8월 12일까지 10NTU이하의 양호한 수질을 보이다가 폭우으로 인해 8월 12일 500NTU이상으로 급격하게 수질악화가 있었으며, 이의 영향으로 9월 초순경에는 상기 그래프.3 에 나타난 바와 같이 20NTU 이하로 하강하는 형태를 나타냈다.
본 발명의 제 2실시예를 적용한 상기 그래프.2의 A기간동안의 실험결과 8월 8일에서 8월 11일까지 원수의 탁도는 5NTU 전,후의 양호한 수질을 보였으며, 처리수 또한 매우 양호한 수질을 보였다. 그러나, 8월 12일 원수의 급격한 악화로 탁도(Turbidity, NTU)가 500NTU 이상으로 상승하였으며, 처리수의 탁도가 100NTU에 육박하는 등 처리에 어려움을 겪었다. 이러한 결과는 급격한 원수의 수질 악화로 제대로 된 혼화, 응집공정이 이루어지지 않았으며, DAF에 의한 처리한계를 초과한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인 도 4의 공정을 상기 그래프.2의 B기간에 적용하여 실험하였으며, 이 기간부터는 C정수장의 실제 침전지와 상태적인 비교도 병행하였다. 실험결과 원수의 탁도가 평균 66.6NTU였으며, 실제 침전지의 처리수가 평균 7.9NTU였다. 또한, 침전과 부상을 동시에 실시한 모형 실험의 경우 처리수가 평균 5.2NTU로 다소 높은 처리효율을 보이고 있었다. 이러한 처리효율이 침전지의 적용에 따른 것인지에 대한 실험을 위해 C 기간에는 다시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인 도 3의 공정만을 사용하여 보았다. 이 경우에 원수는 평균 131.9NTU였으며, DAF의 처리수 탁도는 12.0NTU 였으며, 침전지의 처리수가 평균 5.9NTU였다.
따라서, 실험을 실시한 기간에 유체의 탁도가 높을수록 침전지의 효율이 우수하여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인 도 4의 공정을 적용하는 것이 유리한 반면에, 침전지의 탁도가 낮을 경우에는 DAF의 처리효율이 높게 나타나므로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인 도 3의 공정을 적용하는 것이 유체의 처리효율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리고, 그래프.3의 실험기간에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인 도 2의 공정, 즉 상향류식 경사관침강장치(17)가 설치된 침전지(4)와 DAF가 적용되어진 부상조(A)의 조합된 공정으로 실험하였으며, 원수가 100NTU 가량에서는 실제 침전지와 비슷한 처리효율을 보이다가 원수의 수질이 좋아질수록 DAF의 처리수가 더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DAF 적용시 표면부하율이 유체처리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로 한다. 미국의 경우 표준형 10∼12m/hr(AWWA, 1998)를 사용하고 있다. 본 실험에서는 기존 침전지의 전단을 DAF로 개조하여 표면부하율을 증가시키는 도 3의 공정을 적용한 경우의 처리효율을 파악하여, 이를 그래프.4에 나타냈다.
그래프.4
실험기간중 원수의 평균 탁도는 7.5NTU였고, 실제 침전지의 평균 처리효율은 83%로, 이를 점선으로 표시하였다. 실험결과 표면부하율은 9.4m/hr 이상이었을 경우, 실제 침전지의 처리효율보다 낮은 처리효율을 보이고 있었으며, 표면부하율 9.4m/hr 이하에서는 탁도 처리효율이 평균 93.3%였으며, 이때 처리수의 탁도는 평균 0.6NTU로 양호한 수질을 나타냈다.
또한, 조류의 간접적인 지표인 엽록소-a의 경우도 탁도의 처리효율에 따라 감소하였다. DAF에 있어 체류시간은 침전지에 비해 월등히 낮게 나타났는데, 그 이유는 플럭이 침강하는 속도는 약 0.0003m/sec (Kawamura, 1991)로 아주 느린 대신 미세한 공기방울에 의해 상승하는 속도는 상대적으로 월등히 크기 때문이다.
보통 침전지의 경우 체류시간의 실험결과는 아래 그래프.5와 같이, 14분 이상에서는 실제 침전지의 탁도 처리효율인 83%보다 높은 효율을 나타낸 반면, 14분 이하에서는 급격히 처리효율이 감소함을 알 수 있었다.
그래프.5
또한, 동일한 조건에서 응집제의 앨럼(Alum) 투여량에 따른 처리효율의 변화를 실험한 결과 탁도 및 엽록소-a(Chlorophyll-a)의 처리효율이 차이를 나타냈다.
아래의 그래프.6과 그래프.7에서는 이러한 처리효율의 차이를 부상과 침전과의 차이를 분석하기 위해 Jar-test를 통해 침전시킨 상등액과 비교를 하였다. 그 결과 탁도의 경우 DAF에서 응집제량이 25mg/L에서 처리효율이 90%인 반면 침전에서는 30mg/L에서 처리효율이 82%로 최고로 나타났다.
그래프.6
그래프.7
엽록소-a의 경우는 부상과 침전에서 비슷한 양상을 보였으나 낮은 응집제량에서 처리효율의 차이는 더욱 심하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와 실제 침전지와의 비교를 하고자 하였으나, 실제 침전지에서는 전염소처리를 하고 있었으며, 전염소처리를 하지 않은 DAF를 이용한 실험장치와 엽록소-a의 측정치를 통한 상대적인 비교는 할 수 없었다. 따라서, 실제 침전지와 치리효율을 비교하기 위해 조류의 개체수를 측정하여 비교 평가하였다. 실험을 실시한 9월의 원수의 조류의 개체수는 8.4×103개 였으며, 우점종은 Microcystis aeruginosa였다.
실험결과, 전염소처리를 실시한 실제 C 정수장의 침전지의 조류 개체수 감소효율은 91.7%로 나타났으며, 전염소처리 없이 DAF를 거친 처리수는 그래프.8과 같이 앨럼(Alum) 30mg/L 이상에서 95%이상의 처리효율을 나타내었다.
그래프.8
상술한 바와 같이, 기존의 침전지에 용존공기부상법(DAF)을 이용한 본 발명의 제 1실시예는 침전지의 앞부분에 상향류식 경사관침강장치를 적용하여 비중이 큰 플럭을 우선적으로 제거하고, 뒷부분에 용존공기부상법을 적용하여 겨울철 저밀도 플럭 및 조류제거를 원활히 할 수 있는 공정을 제공하며, 제 2실시예에서는 침전지의 앞부분에 용존공기부상법을 적용하여 원수의 수질이 항상 저탁도이고 조류농도가 높은 정수장의 경우에 적합한 공정을 제공하는 것으로, 저밀도 플럭과 조류의 제거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제 3실시예에서는 침전지 후단부에 용존공기부상법을 적용하여 고탁도의 원수가 주기적으로 유입되고, 연중 일정기간에만 원수의 조류 농도가 증가하여 침전효율이 떨어질 경우 일정시기에만 용존공기부상법을 적용하여 플럭 및 조류를 제거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운영비를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 것이다.

Claims (4)

  1. 유입된 원수중 밀도가 큰 플럭은 침전지의 전방부에 설치된 상향류식 경사관침강장치에서 우선적으로 제거되고, 원수중 저밀도 플럭 및 조류는 침전지의 후방에서 용존공기부상법을 적용하여 제거되도록 하는 방법으로서, 유량조절조, 혼화지, 응집지, 경사관침전조 및 부상조로 이루어지며;
    상기 응집지 또는 침전지를 거친 원수가 부상조 하부로 유입되면서 가압조에서 대기압으로 방출된 용존공기와 혼합되어 유입격벽을 타고 부상하며, 부상된 슬러지는 상기 부상조의 일측에 설치된 슬러지제거용 스키머에 의해 슬러지트라프로 이동되고, 처리수는 하부 오리피스웨어를 통해 배출되도록 하는 용존공기부상법을 이용한 조류제거방법.
  2. 원수의 수질이 항상 저탁도를 유지하고 조류농도가 높은 정수장에서의 원수의 처리효율을 향상시키도록 침전지의 전방부에 용존공기부상법(DAF)이 적용되도록 하는 방법으로서, 유량조절조, 혼화지, 응집지, 부상조, 침전지로 이루어지며;
    상기 응집지를 거친 원수가 침전지의 전방부에 설치된 상기 부상조의 하부로 유입되면서 가압조에서 대기압으로 방출되는 용존공기와 혼합되어 유입격벽을 타고 부상되도록 하고, 부상된 슬러지는 슬러지제거용 스키머에 의해 슬러지트라프로 이동되고, 처리수는 하부오리피스웨어를 통해 처리수 이송부로 이동되도록 하는 용존공기부상법을 이용한 조류제거방법.
  3. 고탁도의 원수가 주기적으로 유입되고, 연중 일부기간에만 원수의 조류농도가 증가하여 침전지의 침전효율이 떨어지는 일정기간에만 적용될 수 있도록 침전지의 후방에 용존공기부상법(DAF)을 적용하여 원수의 탁도처리 및 조류제거효율을 향상시키는 방법으로서, 유량조절조, 혼화지, 응집지, 침전지 및 부상조로 이루어지며;
    상기 침전지를 거친 원수가 부상조 하부로 유입되면서 가압조에서 대기압으로 방출된 용존공기와 혼합되어 유입격벽을 타고 부상하며, 부상된 슬러지는 상기 부상조의 일측에 설치된 슬러지제거용 스키머에 의해 슬러지트라프로 이동되고, 처리수는 하부 오리피스웨어를 통해 배출되도록 하는 용존공기부상법을 이용한 조류제거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침전지에 적용된 용존공기부상법에 의한 원수의 표면부하율이 9.4m/hr이하로 유지되도록 하고, 원수에 투여된 응집제(alum)량이 30mg/L 이상이 되도록 하여 원수의 탁도처리 및 조류제거를 향상시키는 용존공기부상법을 이용한 조류제거방법.
KR1019990029872A 1999-07-23 1999-07-23 용존공기부상법을 이용한 조류 제거방법 KR1003072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29872A KR100307253B1 (ko) 1999-07-23 1999-07-23 용존공기부상법을 이용한 조류 제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29872A KR100307253B1 (ko) 1999-07-23 1999-07-23 용존공기부상법을 이용한 조류 제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10801A true KR20010010801A (ko) 2001-02-15
KR100307253B1 KR100307253B1 (ko) 2001-09-24

Family

ID=196038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29872A KR100307253B1 (ko) 1999-07-23 1999-07-23 용존공기부상법을 이용한 조류 제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07253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69116B1 (ko) * 2000-08-25 2003-01-24 그린엔텍 주식회사 가압 부상조 및 가압수 공급장치
KR100919367B1 (ko) * 2008-04-15 2009-09-29 이순화 고효율 기체용해탱크를 이용한 부상분리장치
CN107512799A (zh) * 2017-09-11 2017-12-26 天津大学 壳聚糖改性黏土的方法及其除藻技术应用
CN112062367A (zh) * 2020-08-12 2020-12-11 潘海峰 一种全自动移动式藻水分离工艺及分离系统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30493B1 (ko) * 1999-11-20 2002-04-09 주대성 취수구의 수질 정화장치
KR20030082341A (ko) * 2002-04-17 2003-10-22 이병호 예비침전 용존공기부상법
KR100636265B1 (ko) 2005-09-23 2006-10-19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오존을 이용한 조류 제거장치 및 방법
KR101094188B1 (ko) 2011-03-14 2011-12-14 에스아이비(주) 용존공기부상법을 이용한 수처리장치
KR101339741B1 (ko) * 2011-03-25 2013-12-11 (주)미시간기술 하폐수 내의 오염물질 제거를 위한 수처리 장치 및 방법
KR101305225B1 (ko) * 2011-07-01 2013-09-12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수질자동측정기기 및 가압부상을 이용한 하수 월류수 처리시스템
KR101184174B1 (ko) 2012-03-16 2012-09-18 최중철 공기부상식 조류제거장치
KR101348591B1 (ko) * 2012-09-13 2014-01-09 (주)미시간기술 마이크로 기포 발생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수처리 장치
KR101244388B1 (ko) * 2012-11-09 2013-03-18 녹스 코리아(주) 축산단지 비점오염물질 저감을 위한 자유수면형 인공습지
KR101691641B1 (ko) 2014-11-05 2017-01-09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조류 및 이취미물질을 동시에 제거하는 용존공기부상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정수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69116B1 (ko) * 2000-08-25 2003-01-24 그린엔텍 주식회사 가압 부상조 및 가압수 공급장치
KR100919367B1 (ko) * 2008-04-15 2009-09-29 이순화 고효율 기체용해탱크를 이용한 부상분리장치
CN107512799A (zh) * 2017-09-11 2017-12-26 天津大学 壳聚糖改性黏土的方法及其除藻技术应用
CN112062367A (zh) * 2020-08-12 2020-12-11 潘海峰 一种全自动移动式藻水分离工艺及分离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07253B1 (ko) 2001-09-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Zabel Flotation in water treatment
KR100307253B1 (ko) 용존공기부상법을 이용한 조류 제거방법
Zabel The advantages of dissolved‐air flotation for water treatment
US7083715B2 (en) Method and plant for thickening sludge derived from water treatment by flocculation-decantation with ballasted floc
CN105621792B (zh) 城市河道排污口污水处理方法及处理设备
KR20160029272A (ko) 다단 기포주입 부상분리조를 이용한 간이 하 폐수 처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간이 하 폐수 처리 방법
NZ534986A (en) Clarification of water by downflow flocculation, lamellar settling, and subsequent micro-bubble floatation
KR20160032067A (ko) 다단 기포주입 부상분리조를 이용한 간이 하 폐수 처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간이 하 폐수 처리 방법
Van Vuuren et al. Removal of algae from wastewater maturation pond effluent
Hansen et al. Applying shallow depth sedimentation theory
CN110194532A (zh) 一种水质净化综合湿地系统
US4451367A (en) Sedimentation tank
CN203781979U (zh) 一种水质生态净化装置
US4330407A (en) Process for clarifying algae-laden waste water stream
Offringa Dissolved air flotation in Southern Africa
Bauer et al. Enhanced rapid gravity filtration and dissolved air flotation for pre-treatment of river Thames reservoir water
KR19980043088A (ko) 침전과 부상을 연계한 정수처리장치 및 그 방법
JP2006007086A (ja) 凝集沈殿水処理方法及び装置
CN113735378B (zh) 一种脱氮除磷污水处理系统及处理方法
KR101248394B1 (ko) 합류식 하수도의 월류수 처리장치
CN214088061U (zh) 含锌废水回用处理系统
KR102009674B1 (ko) 친환경 생활하수 처리시스템
Kwon et al. A case study of dissolved air flotation for seasonal high turbidity water in Korea
JPS59186689A (ja) 濁水の凝集除濁法及びその装置
Officer et al. The design and operation of conventional and novel flotation systems on a number of impounded water typ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26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26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8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7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0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7

Year of fee payment: 1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2

Year of fee payment: 18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