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69116B1 - 가압 부상조 및 가압수 공급장치 - Google Patents

가압 부상조 및 가압수 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69116B1
KR100369116B1 KR10-2000-0049671A KR20000049671A KR100369116B1 KR 100369116 B1 KR100369116 B1 KR 100369116B1 KR 20000049671 A KR20000049671 A KR 20000049671A KR 100369116 B1 KR100369116 B1 KR 1003691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urized water
pressurized
tank
water supply
supply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496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16377A (ko
Inventor
정경섭
Original Assignee
그린엔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그린엔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그린엔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0-00496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69116B1/ko
Publication of KR200200163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163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691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69116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2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t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3/00Mixing according to the phases to be mixed, e.g. dispersing or emulsifying
    • B01F23/20Mixing gases with liquids
    • B01F23/23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5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cculation or precipitation of suspended impurities

Abstract

본 발명은 가압 부상조 및 가압수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가압 부상조의 전방부에 침전부를 형성하고 상기 침전부의 후방에 기포생성부를 형성함으로써 폐수에 포함된 침전 슬러지의 침전을 원활히 하고, 가압탱크로부터 공급되는 가압수를 상기 기포생성부에 직접 주입함으로써 기포의 생성을 촉진시키고 발생된 미세한 기포를 골고루 분산시켜 오염물질을 제거할 수 있도록 된 가압 부상조 및 가압수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폐수에 포함된 미세 플록을 부상시켜 제거할 수 있도록 부상조, 가압수 공급장치 및 스컴 제거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된 가압 부상조에 있어서, 원폐수가 유입되는 상기 부상조의 전방부에 폐수에 포함된 큰 플록이 침전되는 침전부와, 상기 침전부의 후방에 위치되고 가압탱크로부터 공급되는 가압수가 직접 공급되도록 형성된 기포발생부를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써 큰 플록이 침전되는 침전영역과 미세 플록이 부상되는 부상영역이 순차적으로 구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압 부상조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기포발생부로 가압수를 공급하는 가압수 공급장치는 순환수 및 공기가 가압되는 가압탱크와, 상기 가압탱크로부터 공급되는 가압수를 부상조로 이송시키는 가압수공급관과, 상기 가압수공급관에 연통되고 상기 기포발생부에 균일하게 배치되는 다수의 가압수 공급지관과, 상기 가압수 공급지관의 단부에 형성되어 미세 기포를 분산시키는 분산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한다.

Description

가압 부상조 및 가압수 공급장치{Micro Bubble Floator}
본 발명은 가압 부상조 및 가압수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가압 부상조의 전방부에 침전부를 형성하고 상기 침전부의 후방에 기포생성부를 형성함으로써 폐수에 포함된 침전 슬러지의 침전을 원활히 하고, 가압탱크로부터 공급되는 가압수를 상기 기포생성부에 직접 주입함으로써 기포의 생성을 촉진시키고 발생된 미세한 기포를 골고루 분산시켜 오염물질을 제거할 수 있도록 된 가압 부상조 및 가압수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압부상은 응집제 등의 약품을 투입하여 폐수 속에 포함된 오염물질을 작은 덩어리(floc)로 만든 다음 부상조의 하부로부터 부상하는 기포에 부착시켜 수면 위로 뜨게 하여, 스키머로 제거하는 물리·화학적 처리방법이다. 즉, 부상조에 투입된 압축공기가 대기압 상태에서 팽창되면서 상승될 때, 오폐수에 포함된 미세 플록을 부착시켜 부상시킴으로써 처리수로부터 오염물질을 분리시키는 것이다.
이를 위해 일반적으로 가압부상장치는 원폐수가 유입되어 부유물질이 제거되는 부상조와, 상기 부상조에 압축공기를 공급하는 압축공기 공급장치 및 상기 부상조의 상부에 설치되어 부상된 미세 플록을 수거하기 위한 스컴 제거장치로 이루어진다.
도1 및 도2는 종래 기술에 따른 가압 부상조 및 가압수 공급장치의 일예를 보여주는 측면도와 평면도로서,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부상조(10)는 전방에 원폐수가 유입되는 유입관(13)이 형성되고 후방에는 처리수가 방출되는 방출관(16)이 형성된 직사각형의 반응탱크이다. 이때 상기 방출관(16)을 통해 스컴이 방출되지 않도록 상기 부상조(10)의 후방에는 방출조(17)가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원폐수는 응집제 등의 화학약품이 첨가된 상태로 부상조(10)의 하부로 유입되고 미세 플록이 제거된 처리수는 방출관(17)을 통해 배수된다. 그리고 폐수 중에 포함된 큰 플록은 침강되어 경사진 부상조(10)의 바닥에 쌓이게 된다.
한편, 상기 부상조(10)에 기포를 발생시키기 위한 방법으로는 압축공기를 직접 주입하는 방법과 압축공기가 녹아 있는 가압수를 공급하는 방법이 있는데, 일반적으로 안정적인 운전이 가능하고 효율이 우수한 가압수 공급방법이 주로 사용된다.
도면에서는 이러한 가압수 공급장치(50)가 도시되어 있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부상조(10)의 후방에는 가압탱크(20), 가압펌프(33) 및 에어컴프레셔(35) 등으로 구성된 가압수 공급장치(50)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가압탱크(20)에서 생성된 가압수는 가압수 공급관(23)을 통해 상기 부상조(10)로 공급된다.
이때 종래 기술에 따른 가압수 공급장치(50)는 상기 가압수 공급관(23)을 원폐수 유입관(13)에 연통시켜 상기 가압탱크(20)로부터 공급되는 가압수가 상기 원폐수 유입관(13)을 통해 원폐수와 함께 부상조(10)로 공급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가압수 공급관(23)으로 유입되는 가압수는 고압상태이므로 상기 유입관(13)으로 주입되기 전에 감압밸브(25)를 이용하여 소정 압력 이하로 감압한 다음 유입관(13)에 주입한다.
한편, 기 부상조(10)내로 돌출된 유입관(13)의 전방에는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진 다공판(15)을 설치하여 유입된 원폐수가 충돌되어 널리 분산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원폐수에 포함된 가압공기도 상기 다공판(15)에 충돌되어 분사되게 된다.
이어서, 상기 가압수가 부상조(10)의 대기압 상태에 놓이면 가압공기는 점점 팽창되어 상부로 부상하게 된다. 이때 상기 기포는 응집제의 작용으로 형성된 미세 플록을 부착하여 함께 수면으로 부상하게 된다. 반면에 상기 부상 기포에 의해 부상될 수 없는 큰 플록은 부상조(10) 바닥으로 침전된다.
그리고 기포와 함께 수면으로 부상된 미세 플록은 수면에서 스컴을 형성하는데, 이 스컴은 상기 부상조(10)의 상부에 설치되어 있는 스컴 제거장치(70)에 의해 부상조(10)의 일측에 형성된 스컴 유출조(77)로 수거된다. 이에 따라 상기 스컴 제거장치(70)는 부상조의 수면에 접촉되어 좌우로 이송되는 다수의 블레이드(73)와 상기 블레이드(73)를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이송수단(75)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이송수단(75)은 구동모터와 상기 블레이드(73)가 결합된 체인 등을 포함한다. 한편, 침전 슬러지는 부상조(10)의 경사진 바닥을 따라 후방으로 수집되어 후방에 설치된 슬러지 배출관(18)를 통해 도시되지 않은 슬러지 처리조로 배출된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가압수 공급장치는 원폐수 유입관을 통해 가압수를 공급하기 때문에 미세 기포의 생성이 어려웠다. 즉, 원폐수 유입관은 부상조의 중간부분에 하나의 원통관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미세 기포가 발생되기 어렵고, 원폐수의 흐름에 따라 기포가 이동되므로 기포가 골고루 분산되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종래의 가압수 공급장치는 가압탱크 내의 압력에 관계없이 가압탱크가 가동되면, 가압수가 부상조로 공급되므로 가압탱크 작동 초기와 같이 압축공기가 충분히 용해되지 않은 저압의 가압수가 공급되어 처리효율이 크게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그리고 종래의 가압수 공급장치는 원통관으로 된 가압수 방출구에 경사진 다공판을 형성한 것이므로 다공판을 통과하면서 기포들 사이의 결합현상이 생기면서 기포의 크기가 커지게 되며 부상조의 일부에만 기포가 생성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종래 기술에 따른 가압 부상조는 원폐수 유입관을 부상조의 전방에 설치하고 상기 원폐수 유입관에 가압수를 주입함으로써 상기 유입관을 통해 부상조로도입된 큰 플록이 침전되지 않고 폐수 속에서 장시간 부유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은 가압 부상조의 전방부에 침전부를 형성하고 상기 침전부의 후방에는 가압탱크에서 공급되는 가압수가 공급되는 기포발생부를 형성으로써 큰 플록이 침전되는 침전영역과 미세 플록이 부상되는 부상영역을 순차적으로 구분시킴으로써 처리효율을 향상된 가압 부상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가압탱크로부터 공급되는 가압수를 부상조 내의 기포발생부에 직접 주입함으로써 미세 기포의 발생을 촉진시키고 상기 기포발생부 내에 다수의 가압수 공급지관을 균일하게 배열시켜 기포가 골고루 분산되도록 한 가압 부상조의 가압수 공급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가압탱크와 연통된 상기 가압수 공급관에 백 프레셔 밸브를 설치하여 정해진 압력에 도달하지 않은 가압수는 상기 부상조로 공급되지 않도록 차단함으로써 가압탱크의 작동 초기에 발생되는 불포화 가압수가 공급되않도록하여 처리효율이 급격히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가압 부상조의 가압수 공급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다수의 가압수 공급지관의 단부에 분산기를 설치하여 기포 발생을 촉진시키고 기포가 골고루 분산되도록 하는 가압 부상조의 가압수 공급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가압 부상조 및 가압수 공급장치를 보여주는 측면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가압 부상조 및 가압수 공급장치를 보여주는 평면도,
도 3은 종래 기술에 따른 가압수 공급장치에 설치된 경사진 다공판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가압 부상조 및 가압수 공급장치를 보여주는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가압 부상조 및 가압수 공급장치를 보여주는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가압수 공급지관의 단부에 설치되는 분산기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가압수 공급관에 설치되는 백 프레셔 밸브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본 발명의 가압 부상장치 10 : 부상조
13 : 원폐수 유입관 15 : 다공판
20 : 가압탱크 23 : 가압수 공급관
25 : 가압수 공급지관 26 : 콕
27 : 가압수 배출지관 33 : 가압펌프
35 : 에어 컴프레셔 40 : 분산기
50 : 가압수 공급장치 60 : 백 프레셔 밸브
70 : 스컴 제거장치 83 : 침전부
85 : 기포발생부 89 : 후방 침전부
87 : 원폐수 유입실 100 : 종래의 가압 부상장치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본 발명은 폐수에 포함된 미세 플록을 부상시켜 제거할 수 있도록 부상조, 가압수 공급장치 및 스컴 제거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된 가압 부상조에 있어서, 원폐수가 유입되는 상기 부상조의 전방부에 폐수에 포함된 큰 플록이 침전되는 침전부와, 상기 침전부의 후방에 위치되고 가압탱크로부터 공급되는 가압수가 직접 공급되도록 형성된 기포발생부를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써 큰 플록이 침전되는 침전영역과 미세 플록이 부상되는 부상영역이 순차적으로 구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압 부상조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침전부의 전방에 원폐수가 유입되는 원폐수 유입실을 별도로 형성함으로써 상기 침전부에 원폐수의 빠른 흐름이 생기지 않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가압수 공급장치는 가압탱크로부터 공급되는 가압수를 부상조로 이송시키는 가압수 공급관과, 상기 가압수 공급관에 연통되고 상기 기포발생부에 균일하게 배치되는 다수의 가압수 공급지관과, 상기 가압수 공급지관의 단부에 설치되어 기포를 분산시키는 분산기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가압탱크와 연통된 상기 가압수 공급관에 백 프레셔 밸브를 설치하여 정해진 압력에 도달하지 않은 가압수는 상기 부상조로 공급되지 않도록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가압 부상조 및 가압수 공급장치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4은 본 발명에 따른 가압 부상조 및 가압수 공급장치의 측면도이고, 도 5는 상기 가압 부상조 및 가압수 공급장치 평면도로서, 종래의 가압 부상조 및 가압수 공급장치와 동일한 부분은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였다.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직사각형 상의 부상조(10)를 침전부(83)와 기포발생부(85)로 구분하고 상기 기포발생부(85)에 다수의 가압수 공급지관(25)을 설치하여 가압수를 부상조(10) 내로 직접 공급한다. 이에 따라 상기 침전부(83)에서는 큰 플록을 갖는 오염물질이 제거되고 상기 기포발생부(85)에서는 미세 플록을 갖는 오염물질이 부상되어 제거되는 것이다.
즉, 상기 부상조(10)는 폐수가 유입되는 상기 부상조(10)의 전방 부분, 예를 들어 전방으로부터 1/3∼2/5 지점에 전후로 경사진 경사판(93)을 설치하여 전방에는 폐수에 포함된 큰 플록이 침전되는 침전부(83)를 형성하고 후방에는 미세 플록이 부상되는 기포발생부(85)를 형성한 것이다. 이때 상기 경사판(93)의 최대 높이는 부상조(10) 전체 높이의 1/3 이하이다. 그리고 상기 기포발생부(85)에는 후술하는 가압수 공급장치(50)로부터 공급되는 가압수를 주입하여 기포를 생성시킴으로써 미세 플록을 제거하고, 상기 침전부(83)로는 가압수가 인입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응집제 등에 의해 응집된 큰 플록을 우선 침전시켜 오염물질의 제거 효율을 향상시킨 것이다.
또한 상기 침전부(83)의 전방에는 원폐수가 유입되는 원폐수 유입실(87)을 별도로 형성함으로써 상기 침전부(74)로 빠른 유속을 갖는 원폐수가 유입되지 않도록 한다. 따라서 원폐수는 상기 유입실(87)의 상부로 주입된 다음 하부의 개방부를통해 상기 침전부(83)로 이송된다.
이어 상기 기포발생부(85)에는 가압수 공급관(23)에서 분기된 다수의 가압수 공급지관(25)이 설치되어 있다. 이때 상기 가압수 공급지관(25)은 기포를 균일하게 분산시키기 위해 서로 다른 길이를 갖는 다수의 쌍으로 배열된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압수 공급지관(25)은 세 쌍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각 쌍은 서로 다른 길이로 구성되어 기포가 상기 기포발생부(85) 내에서 균일하게 분산되도록 한다. 그리고 각각의 가압수 공급지관(25)에는 각각 콕(26)을 설치하여 가압수 량을 적절히 조절함으로써 기포가 균일하게 발생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가압수 공급관(23)은 부상조(10)의 후방에서 전방으로 상향 경사지게 설치되어 부상조의 하부에 설치되어 있는 경사판(93)의 후방면과 평행을 이루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가압수 공급관(23)에서 분기된 각각의 가압수 공급지관(25)도 상기 경사판(93)의 후방면과 평행을 이루도록 배열되어 있다.
한편, 상기 가압수 공급관(23)에는 상기 가압수 공급지관(25) 이외에도 슬러지 유출관(18)에 연통된 다수의 가압수 배출지관(27)이 형성되어 있다. 이들 가압수 배출지관(27)은 상기 슬러지 유출관(18)으로 가압수를 주입하여 슬러지 유출관(18)을 세정하거나 관내에 차여 있는 슬러지를 방출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가압수 배출지관(27)에도 각각 콕(26)을 설치하여 필요에 따라 개폐시키도록 되어 있다.
이어 도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가압수 공급지관(25)의 단부에는 기포의 발생을 촉진시킴과 동시에 분산시키기 위한 분산기(40)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상기 분산기(40)는 고깔형태의 분산판(43)과 중심에 가압수 공급지관(25)이 연통된 지지판(45) 및 상기 분산판(43)과 지지판(45)을 소정 간격으로 이격시켜 고정시키기 위한 다수의 지지대(47)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지지판(45)의 중심부로 주입된 가압수는 먼저 상기 분산판(43)에 부딪힌 다음 분산판(43)과 지지판(45) 사이에 형성된 간격을 통해 공급된다. 따라서 상기 부상조(10) 내에 난류가 형성되는 것을 방지하고 미세 기포의 생성을 촉진시키며 기포를 골고루 분산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한편 상기 가압수 공급관(23)에는 백 프레셔 밸브(Back pressure valve(배압밸브); 60)가 설치되어 있다. 즉, 도7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백 프레셔 밸브(60)는 소정의 압축 스프링(65)에 의해 항상 가압되어 있으므로 상기 스프링(65)의 탄성력 보다 강한 압력을 갖는 가압수만이 상기 밸브 플레이트(63)를 상부로 밀어내고 통과할 수 있다. 따라서 가압탱크(20)의 가동 초기와 같이 가압수가 충분히 가압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상기 밸브 플레이트(63)를 상부로 개방시키지 못하므로 불포화 상태의 가압수가 공급되는 것을 차단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백 플레져 밸브(60)는 충분히 가압된 가압수에 의해서만 개방되므로 상기 백 프레셔 밸브(60)의 작동상태를 감지하여 원폐수의 공급을 제어하면 폐수가 미 처리되어 방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미 설명부호 66은 스핀들이고 67은 피스톤이다.
한편, 가압수를 만드는 가압수 공급장치(50)는 소정의 크기를 갖는 가압탱크(20)와, 상기 가압탱크(20) 내로 순환수를 공급하는 가압펌프(33)와 상기가압탱크(20) 내로 공기를 주입하는 에어 컴프레셔(35)로 크게 구성된다. 이밖에 도시되지 않은 압력조절부, 공기량조절부, 에어 릴리즈 노즐, 에어 릴리즈 밸브, 유량계 등이 구비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물과 공기의 비를 조절할 수 있는 레벨센서와 물 및 공기 유입부에 설치된 체크밸브를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가압 부상조 및 가압수 공급장치의 작용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상기 가압탱크(20)에는 순환관(24)을 통해 흡입되고 가압펌프(33)에 의해 가압된 순환수와 상기 에어 컴프레셔(35)에 의해 주입된 공기가 4∼5㎏/㎠의 압력으로 가압된다. 그러면 주입된 공기는 고압하에서 순환수에 용해되어 포화상태가 된다. 이어서 상기 가압탱크(20)가 소정 압력 이상으로 상승되면, 상기 가압수 공급관(23)에 설치된 백 프레져 밸브(60)가 개방되어 가압수가 부상조(10)의 기포발생부(85)로 공급되기 시작한다. 이때 상기 백 프레져 밸브(60)의 작동상태를 감지하여 원폐수 공급밸브를 제어함으로써 미 처리수가 발생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가압수 공급관(23)을 통해 이송된 가압수는 다수의 가압수 공급지관(25)으로 유입되어 가압수 공급지관(25)의 단부에 설치된 분산기(40)를 통해 상기 부상조(10)로 공급된다. 이때 상기 가압수는 다수의 가압수 공급지관(25)으로 분기되고 상기 분산기(40)의 분산판(43)에 충돌하면서 소정의 압력 이하로 낮아지게 된다. 이어 상기 분산기(40)의 분산판(43)에 충돌하여 발생된 미세 기포는 분산판(43)과 지지판(45) 사이에 형성된 틈을 통해 골고루 분산된다.
한편, 상기 부상조(10)의 전방에 형성된 침전부(83)에는 상기 가압수 공급지관(25)이 설치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기포가 생성되지 않는다. 따라서 응집제 등의 작용에 의해 형성된 비교적 큰 플록은 상기 침전부(83)에서 침전되게 된다. 이와 같이 기포발생부(85) 앞에 침전부(83)가 형성되어 부상시킬 수 없는 큰 플록을 먼저 제거함으로써 제거효율을 높인다.
그리고 부상조(10)의 수면에 형성된 스컴은 상기 부상조(10)의 상부에 설치된 스컴 제거장치(70)에 의해 수거된다. 즉, 상기 스컴은 수평 이동하는 다수의 블레이드(73)에 의해 상기 부상조(10)의 전방에 형성된 스컴 유출조(77)로 수거된 후 스컴 유출관(74)을 통해 도시되지 않은 슬러지 처리조로 배출된다. 한편, 상기 침전부(83) 바닥에 침전된 침전 슬러지는 슬러지 유출관(18)을 통해 슬러지 처리조로 이송된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가압수 공급관(23)에는 상기 슬러지 유출관(18)과 연통되도록 설치된 다수의 가압수 배출지관(27)이 설치되어 있으므로 상기 슬러지 유출관(18)을 세정할 필요가 있거나 슬러지를 배출하고자 할 때에는 상기 가압수 배출지관(27)의 콕(26)를 개방하여 가압수를 공급하면 된다.
끝으로 상기 침전부(83)와 기포발생부(85)를 거치면서 오염물질이 제거된 처리수는 부상조(10)의 후방에 설치된 처리수 방출실(17)와 방출관(16)을 통해 배수되며 상기 처리수 중 일부는 순환관(24)를 통해 가압탱크(20)로 순환된다.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가압 부상조 및 가압수 공급장치는 부상조의 전방부에 큰 플록이 침전되는 침전부를 형성하고 상기 침전부의 후방에는 가압탱크에서공급되는 가압수가 공급되는 기포발생부를 형성하여 미세 플록을 부상시켜 제거함으로써 오염물질을 효율적으로 제거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또한 가압탱크로부터 공급되는 가압수를 부상조 내의 기포발생부에 직접 주입함으로써 미세 기포의 발생을 촉진시키며 상기 기포발생부 내에 다수의 가압수 공급관의 지관을 균일하게 배열시켜 기포가 골고루 분산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가압탱크와 연통된 상기 가압수 공급관에 백 프레셔 밸브를 설치하여 정해진 압력에 도달하지 않은 가압수는 상기 가압 부상조로 공급되지 않도록 차단함으로써 가압탱크의 작동 초기에 발생되는 불포화 가압수의 발생을 방지하여 처리효율이 급격히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8)

  1. 폐수에 포함된 미세 플록을 부상시켜 제거할 수 있도록 부상조, 가압수 공급장치 및 스컴 제거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된 가압 부상조에 있어서,
    원폐수가 유입되는 상기 부상조의 전방부에 폐수에 포함된 큰 플록이 침전되는 침전부와,
    상기 침전부의 후방에 위치되고 가압탱크로부터 공급되는 가압수가 직접 공급되도록 형성된 기포발생부를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써 큰 플록이 침전되는 침전영역과 미세 플록이 부상되는 부상영역이 순차적으로 구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압 부상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침전부와 기포발생부는 상기 부상조의 바닥에 설치되며 최대 높이가 상기 부상조 전체 높이의 1/3 이하인 전·후방으로 경사진 경사판에 의해 구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압 부상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침전부의 전방에 원폐수가 유입되는 원폐수 유입실을 별도로 형성함으로써 상기 침전부에 원폐수의 빠른 흐름이 생기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압 부상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포발생부로 가압수를 공급하는 가압수 공급장치는순환수 및 공기가 가압되는 가압탱크와, 상기 가압탱크로부터 공급되는 가압수를 부상조로 이송시키는 가압수 공급관과, 상기 가압수 공급관에 연통되고 상기 기포발생부에 균일하게 배치되는 다수의 가압수 공급지관과, 상기 가압수 공급지관의 단부에 형성되어 기포를 분산시키는 분산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압 부상조의 가압수 공급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수 공급관에는 백 프레셔 밸브가 설치되어 정해진 압력에 도달하지 않은 가압수는 상기 가압 부상조로 공급되지 않도록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압 부상조의 가압수 공급장치.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수 공급관에는 상기 부상조의 하부에 배설된 슬러지 유출관과 연통된 다수의 가압수 배출지관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압 부상조의 가압수 공급장치.
  7.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수 공급관은 후방에서 전방으로 상향 경사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경사판의 후방명과 평행을 이루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압 부상조의 가압수 공급장치.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분산기는 고깔형태의 분산판과, 상기 가압수 공급지관이 연통된 지지판과, 상기 분산판과 지지판을 소정 길이 이격되게 지지하는 다수의지지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압 부상조의 가압수 공급장치.
KR10-2000-0049671A 2000-08-25 2000-08-25 가압 부상조 및 가압수 공급장치 KR1003691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49671A KR100369116B1 (ko) 2000-08-25 2000-08-25 가압 부상조 및 가압수 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49671A KR100369116B1 (ko) 2000-08-25 2000-08-25 가압 부상조 및 가압수 공급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16377A KR20020016377A (ko) 2002-03-04
KR100369116B1 true KR100369116B1 (ko) 2003-01-24

Family

ID=196852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49671A KR100369116B1 (ko) 2000-08-25 2000-08-25 가압 부상조 및 가압수 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6911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9779B1 (ko) 2009-11-27 2010-10-26 주식회사 엔텍 고농도 포화수 제조기를 구비한 마이크로버블 부상장치
KR101636693B1 (ko) 2015-11-16 2016-07-07 (주)지텍 가압 부상조용 부유물 제거장치
KR101961715B1 (ko) * 2018-07-18 2019-03-25 (주) 삼진정밀 고효율 수처리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6141B1 (ko) * 2002-04-04 2004-08-25 (주)대성그린테크 가압부상분리와 응집침전분리를 연계한 고농도 유기성오폐수 처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118290B1 (ko) * 2004-09-17 2012-03-20 주식회사 포스코 가압 버블링 방식의 산화스케일 제거장치 및 방법
KR100809610B1 (ko) * 2006-12-07 2008-03-07 (주)에코데이 수평형 수처리 장치
KR101758594B1 (ko) 2015-09-03 2017-07-31 (주)티에스이엔씨 복합 및 선택 운전이 가능한 부상침전통합형 오폐수 처리 시스템
KR20180041534A (ko) * 2016-10-14 2018-04-24 고등기술연구원연구조합 습식 정제 장치 일체형 타르 회수 장치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90259A (en) * 1982-09-30 1984-12-25 International Resources Management, Inc. Flotation apparatus and process utilizing a novel mixing and floc dispersion means
JPH0231859A (ja) * 1988-07-20 1990-02-01 Mitsubishi Paper Mills Ltd 塗工機操作端の初期値設定装置
JPH03296482A (ja) * 1990-04-14 1991-12-27 S T Eng Kk 汚水の浮上沈降分離装置
US5242600A (en) * 1990-09-04 1993-09-07 Meylor Donald M Wastewater separation system
KR19980043088A (ko) * 1998-05-26 1998-08-17 정용 침전과 부상을 연계한 정수처리장치 및 그 방법
KR20010010801A (ko) * 1999-07-23 2001-02-15 임정규 용존공기부상법을 이용한 조류 제거방법
KR100321800B1 (ko) * 1999-11-24 2002-01-31 이병호 용존공기부상법을 적용한 정수처리방법과 이를 이용한정수처리방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90259A (en) * 1982-09-30 1984-12-25 International Resources Management, Inc. Flotation apparatus and process utilizing a novel mixing and floc dispersion means
JPH0231859A (ja) * 1988-07-20 1990-02-01 Mitsubishi Paper Mills Ltd 塗工機操作端の初期値設定装置
JPH03296482A (ja) * 1990-04-14 1991-12-27 S T Eng Kk 汚水の浮上沈降分離装置
US5242600A (en) * 1990-09-04 1993-09-07 Meylor Donald M Wastewater separation system
KR19980043088A (ko) * 1998-05-26 1998-08-17 정용 침전과 부상을 연계한 정수처리장치 및 그 방법
KR20010010801A (ko) * 1999-07-23 2001-02-15 임정규 용존공기부상법을 이용한 조류 제거방법
KR100321800B1 (ko) * 1999-11-24 2002-01-31 이병호 용존공기부상법을 적용한 정수처리방법과 이를 이용한정수처리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9779B1 (ko) 2009-11-27 2010-10-26 주식회사 엔텍 고농도 포화수 제조기를 구비한 마이크로버블 부상장치
KR101636693B1 (ko) 2015-11-16 2016-07-07 (주)지텍 가압 부상조용 부유물 제거장치
KR101961715B1 (ko) * 2018-07-18 2019-03-25 (주) 삼진정밀 고효율 수처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16377A (ko) 2002-03-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71352B1 (ko) 나노기포를 이용한 하폐수 처리방법 및 그 장치
KR100989779B1 (ko) 고농도 포화수 제조기를 구비한 마이크로버블 부상장치
KR101491001B1 (ko) 다단 부상분리장치
KR100901922B1 (ko) 해수 담수화를 위한 용존공기부상형 전처리 장치
KR20160029272A (ko) 다단 기포주입 부상분리조를 이용한 간이 하 폐수 처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간이 하 폐수 처리 방법
KR20090022617A (ko) 초미세기포발생장치 및 이를 이용한 침전장치
KR100369116B1 (ko) 가압 부상조 및 가압수 공급장치
KR100927673B1 (ko) 용존공기 분사식 가압부상조
KR101990768B1 (ko) 미세기포수 복합펌프를 구비한 부상분리식 하폐수 처리장치
KR101707776B1 (ko) 슬러지의 부상분리 방식을 이용한 하폐수 처리장치
KR20110096012A (ko) 초미세기포 발생장치 및 이를 이용한 고도수처리방법
KR100989213B1 (ko) 반응/응집/중화조가 필요없는 미세 기포에 의한 고도처리 부상분리장치 및 방법
KR101554211B1 (ko) 직분사를 이용한 고액 부상 분리 장치
KR20070018276A (ko) 역 부상 가압 부상조
KR101723161B1 (ko) 처리수의 자체순환구조를 갖는 고액분리 부상장치
KR100898080B1 (ko) 가압 부상식 여과지
KR101164660B1 (ko) 저수지 및 연못 수질정화를 위한 용존공기부상 처리시스템
KR102093758B1 (ko) 와류식 미세기포 발생장치를 활용한 장방형 고효율 가압고액분리 수처리장치
KR100576348B1 (ko) 오폐수 처리용 가압부상조
KR200396223Y1 (ko) 가압부상조
KR200212210Y1 (ko) 용존공기부상법을 이용한 수처리 장치
CN201240959Y (zh) 一体化污水预处理设备
KR100293652B1 (ko) 탈기조
KR101620261B1 (ko) 미세기포를 이용한 담수조류 제거시스템
KR200330431Y1 (ko) 유수 분리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8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9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2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2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4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4

Year of fee payment: 1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