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09503A - 광기록매체 - Google Patents

광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09503A
KR20010009503A KR1019990027889A KR19990027889A KR20010009503A KR 20010009503 A KR20010009503 A KR 20010009503A KR 1019990027889 A KR1019990027889 A KR 1019990027889A KR 19990027889 A KR19990027889 A KR 19990027889A KR 20010009503 A KR20010009503 A KR 200100095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ording medium
optical recording
dye
buffer layer
medium accor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278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민경선
이수형
한신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900278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009503A/ko
Publication of KR200100095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09503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24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 G11B7/241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 G11B7/252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of layers other than recording layers
    • G11B7/253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of layers other than recording layers of substr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BORGANIC DYES OR CLOSELY-RELATED COMPOUNDS FOR PRODUCING DYES, e.g. PIGMENTS; MORDANTS; LAKES
    • C09B55/00Azomethine dyes
    • C09B55/008Tri or polyazomethine dye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24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 G11B7/2403Layers;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thereof
    • G11B7/24062Reflective laye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24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 G11B7/241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 G11B7/252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of layers other than recording layers
    • G11B7/257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of layers other than recording layers of layers having properties involved in recording or reproduction, e.g. optical interference layers or sensitising layers or dielectric layers, which are protecting the recording laye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5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is based on a specific recording technology
    • G11B2220/2537Optical disc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Optical Record Carriers And Manufacture Thereof (AREA)
  • Thermal Transfer Or Thermal Recording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기록매체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프리그루브가 형성되어 있는 기판과 상기 기판 위에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있는 금속박막, 완충층 및 반사막을 포함하는 광기록매체에 있어서, 상기 완충층은 최대흡수파장 범위가 550 내지 620 nm이며, 630 내지 640nm에서 굴절률(n)이 2 이상이고, 흡광계수(k)는 0.01 이상인 제1 색소와, 최대흡수파장 범위가 680 내지 830 nm이며, 650 내지 660nm에서 굴절률(n)이 1.5 이상이고, 흡광계수(k)는 0.1 이상인 제2 색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기록매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광기록매체는 630 내지 670nm의 광범위한 기록파장에 대하여 기록감도, 광신뢰성 및 기록 신호의 크기 특성이 향상된다.

Description

광기록매체{Optical recording medium}
본 발명은 광기록매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630 내지 670nm에 이르는 넓은 파장영역에서 기록가능한 DVD-R(Digital Versatile Disc-Recordable)에 관한 것이다.
광기록매체는 기존의 자기 기록 매체에 비해 기록 단위당 필요한 기록 면적이 매우 작기 때문에 고밀도 기록매체로서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광기록매체는 그 기능에 따라, 기록되어진 정보를 재생만 하는 재생 전용형(Read Only Memory; ROM)과 1회에 한하여 기록이 가능한 추기형(Write Once Read Many: WORM) 및 기록 후 소거 및 재기록이 가능한 소거가능형(Erasable)으로 구분된다.
특히, 4.7GB의 용량으로 2시간 이상의 동영상을 저장할 수 있는 DVD(Digital Versatile Disc)는 폴리카보네이트 등으로 이루어진 기판상에 기록되어진 정보를 650nm 파장의 레이저 다이오드를 사용하여 읽을 수 있는 광기록매체이다. DVD 역시 재생전용(DVD), 추기형(DVD-R) 및 소거가능형(DVD-RAM, DVD+RW, DVD-RW)으로 분류될 수 있다. 본 발명은 그 중에서도 특히 추기형 DVD(DVD-R)에 관한 것이다.
DVD-R의 일반적인 구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다. 즉, 프리그루브가 형성된 기판(10) 상에 기록 레이저를 흡수할 수 있는 색소를 함유하는 색소층(11), 반사막(12) 및 보호막(13)이 순차적으로 코팅된다.
일반적으로, DVD-R의 정보 기록에는 635nm의 레이저 다이오드를 사용하고, 정보 재생에는 635nm 또는 650nm 레이저 다이오드를 사용하고 있다. DVD-R의 정보 기록에 사용되는 635nm 레이저 다이오드는 650nm 레이저 다이오드에 비해 온도 증가에 따른 한계 전류값(threshold current)이 커서 리코더(recorder)의 사용가능 온도 구간이 좁으며, 이를 넓히기 위해서는 부가적인 장치를 필요로 한다는 단점이 있다.
DVD-R 개발 초기에는 고출력의 650nm 레이저 다이오드가 개발되지 않았을 뿐만 아니라, DVD-R의 고용량화를 위해서는 피트 사이즈를 크기를 제한하여야 하는데 피트 사이즈는 기록 파장의 크기와 비례하여 기록 피트 사이즈의 조절이 용이한 635nm 레이저 다이오드를 사용하여 기록하였다. 그러나, 레이저 다이오드 및 관련기술의 발달로 650nm 파장의 고출력 레이저 다이오드가 개발되었을 뿐만 아니라 이를 이용한 기록 피트의 크기 조절도 조만간 가능해질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나, 현재까지 알려진 DVD-R 디스크는 635nm 기록 전용으로 되어 있어 635nm에서는 기록감도 및 신호크기가 적절하지만, 650nm에 대해서는 기록감도와 신호크기가 크게 저하되어 650nm 레이저를 이용하는 리코더에는 사용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일본 특허 제9-274732호에서 사용한 색소는 635nm에서는 굴절률(n)이 2 내지 3, 흡광계수(k)가 0.3 내지 0.15 기록감도와 신호크기가 적당하지만, 650nm에서는 굴절률과 흡광계수와 크게 감소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광안정성, 열안정성 및 기록감도가 향상되어 635nm 뿐만 아니라 650nm, 즉 630 내지 670nm의 넓은 파장 영역에 걸쳐 기록가능한 광기록매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광디스크(DVD-R)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본 발명의 일태양에 따른 광디스크의 구조 및 기록/재생의 원리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태양에 의한 광디스크의 구조 및 기록/재생의 원리를 나타낸다.
도 3은 도 2의 광디스크의 완충층의 두께에 따른 반사율의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20... 기판
11... 색소층
12, 23... 반사막
13, 24... 보호막
21... 금속 박막
22... 완충층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프리그루브가 형성되어 있는 기판과 상기 기판 위에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있는 금속박막, 완충층 및 반사막을 포함하는 광기록매체에 있어서, 상기 완충층은 최대흡수파장 범위가 550 내지 620 nm이며, 630 내지 640nm에서 굴절률(n)이 2 이상이고, 흡광계수(k)는 0.01 이상인 제1 색소와, 최대흡수파장 범위가 680 내지 830 nm이며, 650 내지 660nm에서 굴절률(n)이 1.5 이상이고, 흡광계수(k)는 0.1 이상인 제2 색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기록매체를 제공한다.
상기 광기록매체는 0.7 내지 0.85㎛의 트랙 피치를 구비한 기판에 대하여, 630 내지 670nm 영역의 파장으로 기록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완충층은 색소의 총중량을 기준으로 70 내지 99.5 중량%의 제1 색소와 0.5 내지 30 중량%의 제2 색소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색소 및 제2 색소는 분해온도가 200℃ 이상이고, 분해온도와 용융온도의 차이가 8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색소는 시아닌계 또는 아조계 색소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 색소는 시아닌계, 프탈로시아닌계, 트리페닐메탄계, 크산텐계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완충층의 두께는 50 내지 150nm 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금속박막은 두께가 10 내지 300Å이며, 복소굴절 계수의 허수부 k 값이 0.01 이상인 금속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금속은 Au, Al, Cr, Al/Ti, Cu, Cu/Al, Ni, Pt, Ag, Ta, Pb, Te, Ge, Sb, Fe, Ti, 이들의 산화물 또는 질화물 및 이들의 합금 및 실리콘계 화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금속의 열전도율은 4W/㎝℃ 이하이고, 선팽창계수는 3×10-6/℃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광기록매체는 상기 반사막 상에 보호막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광기록매체의 바람직한 일태양과 작용 메카니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태양에 따른 광기록매체의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구체적으로, 광기록매체는 기록시 광을 안내하는 프리그루브가 형성되어 있는 기판(20)과, 상기 기판(20)위에 순차적으로 적층된 금속박막(21), 완충층(22), 반사막(23) 및 보호막(24)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광기록매체에 의하면, 기록부위의 반사율이 미기록부위의 반사율에 비해 저하되어 기록부위와 미기록부위의 반사율에 차이가 생기며, 이러한 반사율 차이에 따라 정보의 기록 및 재생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기록부위의 반사율이 미기록부위의 반사율에 비해 저하되는 원리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록부위에서 완충층의 두께 변화에 의해 페브리-페롯(Fabry--Perot) 효과가 발생하기 때문이다.
즉, 본 발명의 광기록매체에서는, 레이저빔이 기록하고자 하는 부위의 금속박막(21)을 가열시키게 되고, 이 열은 기판(20) 및 완충층(22)으로 전달된다. 이에 따라 금속박막(21)의 가열된 영역과 인접하고 있는 기판(20)의 영역이 팽창, 변형되고 그 팽창력에 의해 금속박막(20)의 가열된 영역은 완충층(22) 쪽으로 부풀어 오른다. 따라서, 완충층(22)의 두께는 기록 전의 두께 "d1"에서 기록 후의 두께 "d2"로 얇아지게 된다. 따라서, 기록전에는 보강간섭 관계였던 금속박막과 반사막으로부터의 반사광(Rg 및 Rr)은 기록후에 소멸간섭으로 변화되어 기록부위에서의 반사율이 저하된다. 이러한 현상은 완충층의 두께 변화에 다른 반사율의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도 3)로부터 확인할 수 있다.
둘째, 완충층에서 광학적인 변화가 발생하기 때문이다. 즉, 기록광이 조사되어 금속박막(20)이 빛을 흡수하고 빛을 흡수한 부위가 국부적으로 가열되거나, 완충층이 기록광을 직접 흡수함으로써 완충층의 온도가 급격히 상승하면, 완충층(30)을 형성하는 물질이 열에 의해 분해되어 광학적 성질이 변화된다. 따라서, 미기록부위와 기록부위 사이에 광경로차로 인한 산란이 발생함에 따라 기록부위에서는 반사율이 떨어지게 된다.
마지막으로, 기록 부위의 금속박막에서 재생광의 산란에 의해 반사율이 저하된다. 즉, 전술한 바와 같은 기판의 팽창에 의해 금속박막도 변형되며, 그 결과 재생광이 산란되기 때문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광기록매체의 각각의 구성층에 요구되는 특성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주요 특징 중 하나인 금속박막(21)은, 기록 레이저빔을 흡수하여 발열하는 발열층 및 기록 전후의 콘트라스트 생성을 위한 부분반사막(partial mirror)의 역할을 수행하기 때문에 일정한 흡수율과 반사율을 가져야 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그 두께가 10 내지 300Å, 투과율이 95-5%, 반사율이 5-95%인 것이 바람직하다. 두께가 10Å 미만이면 기록시 광흡수에 의한 발열량이 작아서 기판의 변형이 어렵게 되고 금속박막으로부터의 반사율이 작아서 기록신호가 작아지게 된다. 반면에 300Å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금속박막에서의 반사율이 증가하여 프리그루브 측면에서 빛의 산란이 증가하게 되어 광기록매체의 반사율이 저하되며, 기록시 기판의 팽창이 금속박막에 의해 방해를 받아 기록부위의 변형이 작아지고, 금속박막의 열전도율이 증가되어 기록시 열이 쉽게 손실되어 기록감도가 저하된다.
상기 금속박막의 열전도율은 4W/㎝℃ 이하인 것이 바람직한데, 이 보다 큰 경우에는 레이저로 가열시 가열된 박막에서 열이 집중되지 못하고 급속하게 주위로 전달되어 필요온도 이상으로의 가열이 어렵고, 가열되더라도 기록 피트의 크기가 커져 인접한 트랙까지 변형될 가능성이 있다. 금속박막의 열팽창은 선팽창계수로 3×10-6/℃ 이상인 것이 적당한데, 이보다 낮은 경우에는, 기록시 기판의 변형에 의한 팽창으로 금속박막에 균열이 발생되어 균일한 기록 신호값을 얻을 수 없다.
상기 금속박막은 복소굴절 계수의 허수부인 k 값이 0.01 이상인 금속으로서, Au, Al, Cr, Al/Ti, Cu, Cu/Al, Ni, Pt, Ag, Ta, Pb, Te, Ge, Sb, Fe, Ti, 이들의 산화물 또는 질화물 및 이들의 합금 또는 실리콘계 화합물을 이용하여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k값이 0.01 미만이면, 기록시 광흡수가 작아짐에 따라 기록부위의 변형도 작아지게 되고 기록감도도 떨어지게 된다.
금속박막은 진공증착, 전자빔, 스퍼터링 등의 일반적인 방법으로 만들어질 수 있으며, UV 차단효과도 갖고 있어 광디스크 제품의 내광성을 향상시키기도 한다.
본 발명의 또다른 주요 특징인 완충층은, 기록시 기판의 팽창을 흡수하고, 기판의 팽창에 의한 두께 변화로 금속박막과 반사막에서 반사되는 반사광의 간섭을 크게 하거나 열에 의한 자체 변형 또는 분해로써 광경로차를 유발하여 기록신호를 만드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630 내지 670nm의 광범위한 파장의 빛을 흡수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상기 완충층은 최대 흡수파장 범위가 550 내지 620 nm이며, 630 내지 640nm에서 굴절률(n)이 2 이상이고, 흡광계수(k)는 0.01 이상인 제1 색소와, 것을 한다. 최대 흡수파장 범위가 680 내지 830 nm이며, 650 내지 660nm에서 굴절률(n)이 1.5 이상이고, 흡광계수(k)는 0.1 이상인 제2 색소를 포함함으로써 630 내지 670nm의 광범위한 영역에서 기록가능하다.
상기 제1 색소로는 트리메틴시아닌계 또는 아조계 색소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색소를 사용한다.
상기 식중, R1및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C1∼C5의 알킬, X-는 ClO4 -, BF4 -, I-또는 PF6 -, n은 1이다.
상기 제2 색소로는 펜타메틴시아닌계, 프탈로시아닌계, 트리페닐메탄계 또는 크산텐계 색소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하기 화학식 2 또는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색소를 사용한다.
상기 식중, R1및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C1∼C5의 알킬, X-는 ClO4 -, BF4 -, I-또는 PF6 -, n은 2이다.
상기 식중, R1,R2, R3및 R4는 각각 독립적으로 C1∼C5의 알킬, X-는 ClO4 -, BF4 -, I-, PF6 -, Cl-또는 CH3COO-이다.
상기 제1 색소와 제2 색소의 함량은 색소의 총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제1 색소는 70 내지 99.5 중량%이고, 제2 색소는 0.5 내지 30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2 색소의 함량이 30 중량%를 초과하면 반사율이 지나치게 저하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못하다. 즉, DVD 플레이어에서 재생가능하기 위해서는 650nm에서 45% 이상의 반사율을 유지할 수 있어야 하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제1 색소과 제2 색소는 모두, 스핀코팅 방법으로 코팅될 수 있도록 기판재료에 손상을 주지않는 유기 용매에 용해될 수 있어야 한다. 기록시에 가열에 의한 변형이 지나치게 크면 기록신호의 규칙성이 저하되거나 미기록 부위까지 손상될 우려가 있으므로 분해온도는 200℃ 이상이고, 분해온도와 용융온도의 차이는 8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완충층의 두께는, 기판의 프리그루브에 대응하는 부분에서 측정된 두께값으로서 50-150nm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종래의 광기록매체에서 기록층인 색소층의 두께가 150-300nm인 것에 비해 감소된 것으로서, 완충층의 두께를 얇게 하더라도 금속박막에서의 반사광량이 크기 때문에 기록신호가 충분히 커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광기록매체에 사용되는 기판(10)은, 한쪽면에는 기록 또는 재생시 광을 안내하기 위한 프리그루브가 형성되어 있으며, 프리그루브의 트랙 피치는 0.7 내지 0.85㎛이 바람직하고, 깊이는 40 내지 200nm 정도가 바람직하다. 깊이가 40nm 미만이면 프리그루브를 따라 레이저광을 안내하는 트래킹 특성이 저하되고, 200 nm를 초과하면 완충층에서 그루브가 깊어져 반사율이 저하된다.
기판의 소재로는 레이저빔에 대해 투명하며 충격강도가 양호하며, 열에 의해 쉽게 팽창변형가능한 물질을 사용하는데, 그 예로는 폴리카보네이트,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 에폭시수지, 폴리에스테르, 비정질 폴리올레핀 수지 등이 있으며, 상기 수지의 열변형 온도는 80-200℃, 특히 100-200℃인 것이 바람직하다.
반사막(23)은 기록 또는 재생시 고반사율을 얻기 위한 것으로 변형이 용이하게 일어나지 않도록 열전도율이 크고 반사율이 큰 금속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Au, Al, Cu, Cr, Ag, Ti 및 이들의 합금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금속으로 형성되며, 일반적으로 진공증착 또는 스퍼터링방법에 의해 500 내지 2500Å 두께로 형성된다.
보호막(24)은 광기록매체의 다른 구성층들, 특히 반사막을 보호하는 작용을 한다. 이러한 보호막은 통상의 방법에 따라 형성된다. 예를 들면, 충격강도가 크고 투명하며 자외선에 의해 경화 가능한 물질로서 에폭시계 또는 아크릴레이트계 자외선 경화성 수지를 반사막(23) 위에 스핀 코팅한 다음, 자외선으로 경화시키는 방법을 이용하여 형성한다.
이하에서는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으로서 한정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다.
〈 실시예 1 〉
깊이 160㎚, 폭 250nm, 트랙 피치 800nm의 프리그루브를 갖고 있는 0.6㎜ 두께의 폴리카보네이트(PC) 기판위에 19㎚ 두께로 Ta 박막을 스퍼터링 증착하였다. 그 위에, 최대흡수파장이 598nm이며, 635nm에서 굴절률(n)은 2.1, 흡광계수(k)는 0.02인 화학식 1 (R1이 C3H7, R2는 C4H9, X-는 ClO4 -)의 시아닌 색소(제1 색소, 분해온도 250℃, 융점 190℃) 0.12g과, 최대흡수파장이 685nm이며, 650nm에서 굴절률(n)은 2.1, 흡광계수(k)는 0.3인 화학식 2 (R1,R2,R3및R4는 C4H9, X-는 ClO4 -)의 크산텐계 색소(제2 색소, 분해온도 260℃, 용융온도 231℃) 0.01g을 테트라플루오로플루오로프로판올 10 ㎖에 녹인 후 2000rpm으로 스핀코팅하였다. 이어서, 40℃의 진공 오븐에서 12시간 동안 건조시킨 후, Ag를 약 100nm두께로 스퍼터링하여 반사막을 제조하였다. 반사막 위에 UV 래커링을 한 후 더미 디스크(dummy disc)를 결합시켜 광디스크를 완성하였다.
〈비교예 1〉
깊이 160㎚, 폭 320nm, 트랙 피치 800nm의 프리그루브를 갖고 있는 0.6㎜ 두께의 폴리카보네이트(PC) 기판위에, 최대흡수파장이 598nm이며, 635nm에서 굴절률(n)은 2.1, 흡광계수(k)는 0.03, 650nm에서 n은 2.1, k는 0.01인 화학식 1 (R1이 C2H5, R2는 C3H7, X는 ClO4)의 시아닌 색소(제1 색소, 분해온도 250℃, 용융온도 190℃) 0.20g을 테트라플루오로플루오로프로판올 10 ㎖에 녹인 후 2000rpm으로 스핀코팅하였다. 이어서, 40℃의 진공 오븐에서 12시간 동안 건조시킨 후, Ag를 약 100nm 두께로 스퍼터링하여 반사막을 제조하였다. 반사막 위에 UV 래커링을 한 후 더미 디스크를 결합시켜 광디스크를 완성하였다.
〈비교예 2〉
깊이 160㎚, 폭 320nm, 트랙 피치 800nm의 프리그루브를 갖고 있는 0.6㎜ 두께의 폴리카보네이트(PC) 기판위에 19㎚ 두께로 Ta 박막을 스퍼터링 증착하였다. 그 위에, 비교예 1에서 사용한 것과 동일한 제1 색소 0.20g을 테트라플루오로플루오로프로판올 10 ㎖에 녹인 후 2000rpm으로 스핀코팅하였다. 이어서, 40℃의 진공 오븐에서 12시간 동안 건조시킨 후, Ag를 약 100nm 두께로 스퍼터링하여 반사막을 제조하였다. 반사막 위에 UV 래커링을 한 후 더미 디스크를 결합시켜 광디스크를 완성하였다.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작한 광디스크의 특성은 레코더(DVDR-S101, Pioneer사)를 이용하여 상기 광디스크를 635nm 및 650nm의 기록파장에 대하여 기록한 다음 동특성 평가 장치(Pulstech사)를 사용하여 제반 특성을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는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특성 실시예 비교예 1 비교예 2
635nm 650nm 635nm 650nm 635nm 650nm
Rg(%) 51.2 50.6 48.2 60.2 49.3 57.2
Rl(%) 55.0 54.3 52.3 63.0 52.1 59.0
P-P 0.37 0.32 0.37 0.34 0.31 0.29
Rtop(%) 51.0 50.2 48.0 60.0 49.0 57.0
OP(mW) 7.7 10.0 9.5 17 8.3 13.5
지터(%) 7.6 7.9 7.4 27 8.3 8.5
MA 0.64 0.61 0.63 0.45 0.61 0.62
상기 표에서, Rg, Rl및 Rtop은 각각 그루브, 랜드, 톱 부분에서의 반사율을 나타낸다. P-P는 기록광이 프리그루브를 따라가는 트래킹 특성을 나타내며, 0.18 내지 0.36 범위가 바람직하다. OP(optimum writing power)는 최적 기록파워를 의미하며 6 내지 12mW 범위가 바람직하다. 지터(jitter)값은 신호의 균일성을 나타내는 표준편차로서 9%이하이어야 한다. MA(modulated amplitude)는 재생신호의 크기로서 0.6 이상일 것을 요한다.
표 1의 측정 결과에 의하면, 비교예 1의 광디스크는 650nm 기록시, 최적 파워(OP)가 약 17mW로 높아 기록이 곤란하며, 지터값도 27%로 매우 큰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재생신호의 크기(MA)도 0.45에 불과하여 사용불가능 하였다. 한편, 비교예 2의 광디스크는 650nm 기록시, MA는 0.62로 바람직하지만 OP가 13.5mW로 높다는 단점이 있다. 반면, 실시예의 광디스크는 OP 10.0 mW, 지터 7.9%, MA 0.61를 비롯하여 제반 특성이 모두 우수하였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광기록매체는 630 내지 640nm에서 바람직한 범위의 흡수율과 굴절률을 갖는 제1 색소와 650 내지 660nm에서 바람직한 범위의 흡수율과 굴절룰을 갖는 제2 색소를 함께 사용함으로써 630nm 내지 670nm의 광범위한 기록파장에 대한 기록 감도가 향상된다. 또한, 금속박막을 기판상에 사용함으로써 기록신호의 크기를 증가시키고 광신뢰성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완충층의 두께를 얇게 할 수있어 제조비용 또한 절감시킬 수 있다.

Claims (14)

  1. 프리그루브가 형성되어 있는 기판과 상기 기판 위에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있는 금속박막, 완충층 및 반사막을 포함하는 광기록매체에 있어서,
    상기 완충층은 최대흡수파장 범위가 550 내지 620 nm이며, 630 내지 640nm에서 굴절률(n)이 2 이상이고, 흡광계수(k)는 0.01 이상인 제1 색소와, 최대흡수파장 범위가 680 내지 830 nm이며, 650 내지 660nm에서 굴절률(n)이 1.5 이상이고, 흡광계수(k)는 0.1 이상인 제2 색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기록매체.
  2. 제1항에 있어서, 0.7 내지 0.85㎛의 트랙 피치를 구비한 기판에 대하여, 630 내지 670nm 영역의 파장으로 기록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기록매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층은 색소의 총중량을 기준으로 70 내지 99.5 중량%의 제1 색소와 0.5 내지 30 중량%의 제2 색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기록매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색소 및 제2 색소는 분해온도가 200℃ 이상이고, 분해온도와 용융온도의 차이가 8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기록매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색소는 트리메틴시아닌계 또는 아조계 색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기록매체.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색소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트리메틴시아닌계 색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기록매체.
    [화학식 1]
    상기 식중, R1및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C1∼C5의 알킬, X-는 ClO4 -, BF4 -, I-또는 PF6 -, n은 1이다.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색소는 펜타메틴시아닌계, 프탈로시아닌계, 트리페닐메탄계, 크산텐계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기록매체.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색소는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펜타메틴시아닌계 색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기록매체.
    [화학식 2]
    상기 식중, R1및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C1∼C5의 알킬, X-는 ClO4 -, BF4 -, I-또는 PF6 -, n은 2이다.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색소는 하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크산텐계 색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기록매체.
    [화학식 3]
    상기 식중, R1,R2, R3및 R4는 각각 독립적으로 C1∼C5의 알킬, X-는 ClO4 -, BF4 -, I-, PF6 -, Cl-또는 CH3COO-이다.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층의 두께는 50 내지 150nm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기록매체.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박막의 두께는 10 내지 300Å이며, 복소굴절 계수의 허수부 k 값이 0.01 이상인 금속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기록 매체.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은 Au, Al, Cr, Al/Ti, Cu, Cu/Al, Ni, Pt, Ag, Ta, Pb, Te, Ge, Sb, Fe, Ti, 이들의 산화물 또는 질화물 및 이들의 합금 및 실리콘계 화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기록매체.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박막의 열전도율은 4W/㎝℃ 이하이고, 선팽창계수는 3×10-6/℃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기록 매체.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막 상에 형성된 보호막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기록매체.
KR1019990027889A 1999-07-10 1999-07-10 광기록매체 KR2001000950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27889A KR20010009503A (ko) 1999-07-10 1999-07-10 광기록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27889A KR20010009503A (ko) 1999-07-10 1999-07-10 광기록매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09503A true KR20010009503A (ko) 2001-02-05

Family

ID=196008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27889A KR20010009503A (ko) 1999-07-10 1999-07-10 광기록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009503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143431A2 (en) Optical recording medium
JP5094698B2 (ja) 光情報記録媒体用色素及び光情報記録媒体
JP2005004944A (ja) 光記録媒体及びその記録再生方法と装置
KR100230448B1 (ko) 광기록매체
KR100316772B1 (ko) 광기록 매체
EP0836180B1 (en) An optical recording medium with a metallic recording layer
JP5160330B2 (ja) 光情報記録媒体用色素及び光情報記録媒体
JP3548929B2 (ja) 光情報記録媒体
JP2001273636A (ja) 光記録方法
KR100292378B1 (ko) 기록/재생 가능한 광기록 매체 및 그에 대한 광기록 방법
KR20010009503A (ko) 광기록매체
KR100363255B1 (ko) 광기록 매체
JP4644216B2 (ja) 光情報記録媒体、並びにその製造方法及び記録方法
US20060210757A1 (en) Writable optical record carrier
KR19990068999A (ko) 추기형 광기록 매체
KR100363256B1 (ko) 광기록 매체
EP1634282B1 (en) Multi-stack optical storage medium
KR20010090164A (ko) 고밀도 광기록매체
KR100207581B1 (ko) 광기록매체
JP2793516B2 (ja) 光情報記録媒体とその再生方法
JP2001093187A (ja) 光記録媒体
JPH07272314A (ja) 光情報記録媒体
KR20000043604A (ko) 광기록매체
JP2002083423A (ja) 光記録再生方法及び光記録媒体
JPH07105078B2 (ja) 光情報記録媒体およびその記録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