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09465A - 금단증상을 억제하는 조성물 - Google Patents

금단증상을 억제하는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09465A
KR20010009465A KR1019990027835A KR19990027835A KR20010009465A KR 20010009465 A KR20010009465 A KR 20010009465A KR 1019990027835 A KR1019990027835 A KR 1019990027835A KR 19990027835 A KR19990027835 A KR 19990027835A KR 20010009465 A KR20010009465 A KR 200100094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composition
ginseng
withdrawal symptoms
dru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278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13454B1 (ko
Inventor
이재형
Original Assignee
이재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재형 filed Critical 이재형
Priority to KR10199900278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13454B1/ko
Publication of KR200100094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094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134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13454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3Apiaceae or Umbelliferae (Carrot family), e.g. dill, chervil, coriander or cum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5Araliaceae (Ginseng family), e.g. ivy, aralia, schefflera or tetrapanax
    • A61K36/258Panax (ginse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66Papaveraceae (Poppy family), e.g. bloodroo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1Ranunculaceae (Buttercup family), e.g. larkspur, hepatica, hydrastis, columbine or goldenseal
    • A61K36/714Aconitum (monkshoo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14Particulate form, e.g. powders, Processes for size reducing of pure drugs or the resulting products, Pure drug nanopartic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300/00Mixtures or combinations of active ingredients, wherein at least one active ingredient is fully defined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중독성 물질에 대한 금단증상을 억제하는 조성물 및 그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강호리, 인삼, 현호색, 부자, 마, 으아리, 천마싹, 황기, 인동덩굴, 게루기, 흰삼주, 계피 및 박하를 함유하며, 마약, 알콜 및 담배에 대한 금단증세를 억제하는 조성물 및 그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금단증상을 억제하는 조성물{Composition for sapressing with drawal symptoms}
본 발명은 중독성 물질에 대한 금단증상을 억제하는 조성물 및 그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강호리, 인삼, 현호색, 부자, 마, 으아리, 천마싹, 황기, 인동덩굴, 게루기, 흰삼주, 계피 및 박하를 함유하며, 마약, 알콜 및 담배에 대한 금단증세를 억제하는 조성물 및 그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마약중독은 개인에게 있어서 신체적, 정신적 건강을 파괴할 뿐만 아니라, 사회적으로도 개인의 사회적 기여도의 저하 및 관련 범죄를 야기하는 등 각종 문제점을 야기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마약중독자들이 마약으로부터 완전히 해방되지 못하는 것은 금단증상에 대한 공포에 주 원인이 있다.
마약에 대한 금단증상은 주로 불안, 공포와 같은 정신적인 증상, 복통, 설사, 멀미, 불면, 오한, 발한, 근육경련, 피로, 허약증 등 각종 생리적인 증상을 동반하는 극심한 것으로서, 대다수의 마약중독자들이 자발적인 치료나 원상복구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데 가장 큰 장애 요인이 된다.
현재까지 마약 중독을 치료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마약 금단증상 대체제로는 메사돈, 클로니딘, 날트랙손과 같은 것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들 화학요법제가 금단단계에서 증상을 없애주는 것은 아니다. 연구보고에 따르면 단지 11명의 외래환자의 36%, 32명의 입원환자의 19%, 및 치료수용소의 15명중 40%만이 성공적으로 클로니딘을 이용하여 마약을 끊을 수 있었다고 한다. 또한, 이들 화학요법제를 장기복용할 경우 이들 약제에 대하여 또 다른 금단현상을 유발하는 등의 부작용이 보고되고 있다. 그러므로 마약 금단증상을 억제할 수 있는 효과적인 치료제를 찾아내는 것이 마약중독 치료에 연구과제로 남아있다.
한편, 한국에서는 백복령, 인삼, 백지, 천오, 백단향, 적전, 박하노, 계피, 감초말, 현초 등을 함유하는 생약제제가 마약 금단증세 억제제하는 것으로 알려져 일부 마약중독환자들에게 사용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생약제제는 주로 대마중독과 같은 3급 마약중독에 대한 금단증세를 개선하는데에 효과를 보일뿐 근래 전 세계적으로 점차 그 중독자가 증가하고 있는 헤로인이나 아편과 같은 극심한 중독을 일으키는 1급 마약의 금단증세에는 유의적인 효과를 나타내지 아니하였다.
이에 본 발명자는 기존의 생약성분의 마약금단증상 억제제보다 그 효능이 우수하여 헤로인이나 아편과 같은 마약중독도 손쉽게 치료할 수 있는 마약금단증상을 방지하는 조성물을 제공하기 위하여 오랜 연구를 한 결과,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마약에 대한 금단증상을 억제함으로써 마약중독을 치료할 수 있는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마약 이외에도 습관성 알콜 섭취 및 흡연에 대한 금단 증상을 개선하여 우수한 금주 및 금연 효과가 있는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와 같은 각종 약물에 대한 금단증세를 개선할 뿐만 아니라 원기를 회복시키는 효과를 가짐으로써, 습관성 약물 중독자에게 건강을 회복시키는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르는 조성물을 투여한 마약중독환자의 OWC 평가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
도 2은 본 발명에 따르는 조성물을 투여한 마약중독환자의 OWS 평가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강호리, 인삼, 현호색, 부자, 마, 으아리, 천마싹, 황기, 인동덩굴, 게루기, 흰삼주, 계피 및 박하를 함유하는 마약중독 금단증세를 억제하는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는 조성물에서 각 성분의 함량은 강호리 0.1-0.3중량%, 인삼 7-11중량%, 현호색 4-8중량%, 부자 0.1-0.3중량%, 마 4-8중량%, 으아리 3-6중량%, 천마싹 3-6중량%, 황기 14-19중량%, 인동덩굴 13-16중량%, 게루기 10-13중량%, 흰삼주 10-13중량%, 계피 10-13중량% 및 박하 10-13중량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금단증상을 억제하는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작약, 당귀, 길초근,현초, 복령, 익모초, 백단향, 감초, 백지, 후추 및 갈근을 추가로 함유할 수 있다.
이 때의 추가되는 성분의 함량은 작약 6-10중량%, 당귀 2-6중량%, 길초근 0.1-4중량%, 현초 1-5중량%, 복령 3-7중량%, 익모초 2-6중량%, 백단향 5-8중량%, 감초 4-8중량%, 백지 2-6중량%, 후추 4-8중량% 및 갈근 4-8중량%를 함유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는 금단증상을 억제하는 조성물의 각 성분은 원료 생약을 건조하여 분말화시켜 상온에서 혼합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는 금단증상을 억제하는 조성물은 분말 그대로, 또는 캅셀에 담아서 복용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는 다양한 약제학적 제형으로 변형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말명에 따르는 조성물은 금단 증세에 효과가 있을 뿐만 아니라, 원기를 회복시키는 효능이 있으므로 건강음료로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마약중독환자들에게 투여하여 본 결과, 마약 금단증세를 현저하게 개선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금단증세 억제는 물론 원기회복에도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알콜의 해독이나 금연에도 우수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에 따르는 조성물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시예 1
원료생약을 세척 및 건조한 다음, 분쇄하여 하기 함량으로 혼합한다. 상기 혼합물을 500mg씩 캡슐에 충진하여 캡술제를 제조한다.
성분 함량(mg)
강호리 0.5
인삼 40
현호색 25
부자 0.5
마 29
으아리 20
천마싹 20
황기 75
인동덩굴 70
게루기 55
흰삼주 55
계피 55
박하 55
총계 500
실시예 2
원료생약을 세척 및 건조한 다음, 분쇄하여 하기 함량으로 혼합한다. 상기 혼합물을 500mg씩 캡슐에 충진하여 캡술제를 제조한다.
성분 함량(mg)
강호리 0.5
작약 40
인삼 20
현호색 15
부자 0.5
당귀 20
길초근 10
마 15
현초 15
으아리 10
복령 25
익모초 20
천마싹 10
황기 35
인동덩굴 30
백단향 34
감초 30
게루기 15
백지 20
후추 30
흰삼주 25
계피 25
갈근 30
박하 25
총계 500
실험예 1
본 발명에 따르는 상기 실시예 1의 조성물을 말레이지아의 쿠알라 룸푸르 국립병원 정신병학과 팀이 쿠알라 쿠푸바루 지방병원의 입원환자 마약해독 치료센타에서 마약해독 치료를 받는 헤로인 환자들에게 투약하여 금단증상 억제효과를 스크리닝하였다.
환자는 마약 사용을 포기하기로 결심한 헤로인 중독자들의 동의하에서 익일 오전 8시에 위약(placebo) 또는 본 발명에 따르는 상기 실시예 1의 조성물의 캅셀을 5일 동안 5캅셀씩 2시간마다 투여하였다.
(1) 임상환자의 사회인구통계학적 특성
본 실험에 사용된 51명의 환자는 모두 남성이었으며, 25명은 위약군이고 다른 26명은 상기 실시예1의 조성물을 투여하였다. 환자들의 연령분포, 인종 및 마약에 복용 약력은 하기 표 1과 같다.
위약투여군 본발명의 조성물 투여군
환자수(인) 25 26
평균연령(년) 30.8 ± 7.4 27.2 ± 5.9
인종 말레이지아인(인) 16 15
인도인(인) 3 6
중국인(인) 6 5
중독기간(년) 6.5 ± 4.1 6.7 ± 4.3
일평균 마약복용량(튜브) 3.2 ± 1.3 3.4 ± 1.7
마지막 평균마약복용량(튜브) 3.2 3.4
(2) OWC의 평가결과
금단 증상은 1일부터 5일 까지는 하루에 3번씩, 그후 10일째 까지는 매일 아편금단점검표(Opium Withdrawal Checklist: OWC)를 사용하여 평가하였다.
OWC는 메사돈, 클로니딘, 날트랙손 등의 화학제제의 금단효과에 대한 임상실험에 사용되어왔던 기준으로서 아편의 금단증상과 심도를 평가하기 위한 관찰자의 측정도구로서, 21가지 증상들일 4점비율로 등급되며, 0 = 없음, 1 = 가벼움, 2 = 적당함, 3 = 심함을 나타내었다.
그 결과로서 마약을 중지시킨 직후의 OWC 수치를 기본수치로하여 이에 대한 매일의 OWC를 비교한 백분율을 도 1에 나타냈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위약군(B)에 비하여 본 발명의 조성물을 투여한 군(A)에서 금단증세가 현저하게 개선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3) OWS의 평가결과
아편금단비율(Opium Withdrawal Scale: OWS)은 과거 24시간 동안의 증상에 대하여 해당일의 마지막에 환자들의 자기 측정방식으로 기록하였으며, 20 가지 증상을 4점의 비율로 등급하여, 0 = 없음, 1 = 가벼움, 2 = 적당함, 3 = 심함을 나타내었다.
그 결과로서 마약을 중지시킨 직후의 OWS 수치를 기본수치로하여 이에 대한 매일의 OWS를 비교한 백분율을 도 2에 나타냈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비록 4일 및 5일째에는 유의적인 개선효과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그외에서는 본 발명의 조성물을 투여한 군(A)에서 위약군(B)에 비하여 금단증세가 현저하게 개선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르는 조성물을 투여한 상기 실험에서 특히 피로 및 허약증이 현저하게 개선되는 효과를 보였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는 조성물은 임상실험을 통해 알콜이나 흡연 습관으로 인하여 금주 및 금연시 수반되는 금단증상으로서 불안, 불면, 피로, 허약증 등도 개선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는 조성물은 생약성분을 혼합하여 제조한 것으로서 종래의 마약 금단증세를 개선하기 위해 사용되던 화학요법제와는 달리 마약유사성분이 함유되지 않아 또 다른 금단증세를 일으킬 염려가 전혀 없으며, 1급 마약에 대한 금단증세를 현저하게 개선함으로써 마약중독환자가 용이하게 마약을 끊을 수 있고, 원기를 회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마약 뿐만 아니라 금연 및 금주에도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시키지 않고, 본 발명의 성분을 주성분으로 하여 마약중독환자의 치료에 사용되는 각종 생약 및 화학요법제를 병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Claims (6)

  1. 강호리, 인삼, 현호색, 부자, 마, 으아리, 천마싹, 황기, 인동덩굴, 게루기, 흰삼주, 계피 및 박하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약에 대한 금단증세를 억제하는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각 성분의 함량은 강호리 0.1-0.3중량%, 인삼 7-11중량%, 현호색 4-8중량%, 부자 0.1-0.3중량%, 마 4-8중량%, 으아리 3-6중량%, 천마싹 3-6중량%, 황기 14-19중량%, 인동덩굴 13-16중량%, 게루기 10-13중량%, 흰삼주 10-13중량%, 계피 10-13중량% 및 박하 10-13중량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단증세를 억제하는 조성물.
  3. 제 1 항에 있어서,
    작약, 당귀, 길초근,현초, 복령, 익모초, 백단향, 감초, 백지, 후추 및 갈근을 추가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단증세를 억제하는 조성물.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되는 성분의 함량이 작약 6-10중량%, 당귀 2-6중량%, 길초근 0.1-4중량%, 현초 1-5중량%, 복령 3-7중량%, 익모초 2-6중량%, 백단향 5-8중량%, 감초 4-8중량%, 백지 2-6중량%, 후추 4-8중량% 및 갈근 4-8중량%임을 특징으로 하는 금단증세를 억제하는 조성물.
  5. 강호리, 인삼, 현호색, 부자, 마, 으아리, 천마싹, 황기, 인동덩굴, 게루기, 흰삼주, 계피 및 박하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기회복용 조성물.
  6. 강호리, 인삼, 현호색, 부자, 마, 으아리, 천마싹, 황기, 인동덩굴, 게루기, 흰삼주, 계피 및 박하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연 및 금주 보조용 조성물.
KR1019990027835A 1999-07-09 1999-07-09 금단증상을 억제하는 조성물 KR1003134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27835A KR100313454B1 (ko) 1999-07-09 1999-07-09 금단증상을 억제하는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27835A KR100313454B1 (ko) 1999-07-09 1999-07-09 금단증상을 억제하는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09465A true KR20010009465A (ko) 2001-02-05
KR100313454B1 KR100313454B1 (ko) 2001-11-07

Family

ID=196007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27835A KR100313454B1 (ko) 1999-07-09 1999-07-09 금단증상을 억제하는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13454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70921A (ko) * 2001-06-21 2001-07-27 조대훈 금연을 돕는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그 조성물
KR20020069032A (ko) * 2001-02-22 2002-08-29 박종숙 금연제 및 그 금연제 제조방법
KR20030000373A (ko) * 2001-06-23 2003-01-06 한성신약(주) 금연제 및 그 금연제 제조방법
KR20030093416A (ko) * 2002-06-03 2003-12-11 위풍곤 금연 보조제
US7760818B2 (en) 2006-07-14 2010-07-20 Samsung Electronics Co., Ltd. Data modulator based on Gaussian minimum shift keying (GMSK) modulation and data transmitter including the same
KR101307726B1 (ko) * 2011-08-04 2013-09-11 대구한의대학교산학협력단 백지추출물을 유효성분을 함유하는 약물 중독 및 금단증상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CN109432352A (zh) * 2018-11-20 2019-03-08 威海千棠生物科技有限公司 用于治疗骨刺的中药组合物和方法
CN115282212A (zh) * 2022-07-22 2022-11-04 宿州亿帆药业有限公司 一种断金胶囊及其制备方法和应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48322A (ko) * 2002-11-28 2004-06-09 박재상 한방 생약 담배 대용조성물
KR101724825B1 (ko) * 2015-03-30 2017-04-07 박우진 치커리와 가공 부자가 함유된 금연보조제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80001296A (ko) * 1986-07-09 1988-04-22 이시복 중독해독제 및 이의 제조방법
KR900002793A (ko) * 1988-08-11 1990-03-23 김재훈 마약 해독제
KR910005590B1 (ko) * 1988-10-06 1991-07-31 정인명 자양강장식품의 제조방법
KR920003986A (ko) * 1990-08-30 1992-03-27 권재우 마약, 향정신성 약물 및 알콜중독 치료제 및 그 제조방법
KR920021047A (ko) * 1991-05-24 1992-12-18 이해순 건강식품의 제조방법 및 그 건강식품
KR940010930A (ko) * 1992-11-25 1994-06-20 정찬복 대추를 주제로한 건강 보조식품의 제조방법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69032A (ko) * 2001-02-22 2002-08-29 박종숙 금연제 및 그 금연제 제조방법
KR20010070921A (ko) * 2001-06-21 2001-07-27 조대훈 금연을 돕는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그 조성물
KR20030000373A (ko) * 2001-06-23 2003-01-06 한성신약(주) 금연제 및 그 금연제 제조방법
KR20030093416A (ko) * 2002-06-03 2003-12-11 위풍곤 금연 보조제
US7760818B2 (en) 2006-07-14 2010-07-20 Samsung Electronics Co., Ltd. Data modulator based on Gaussian minimum shift keying (GMSK) modulation and data transmitter including the same
KR101307726B1 (ko) * 2011-08-04 2013-09-11 대구한의대학교산학협력단 백지추출물을 유효성분을 함유하는 약물 중독 및 금단증상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CN109432352A (zh) * 2018-11-20 2019-03-08 威海千棠生物科技有限公司 用于治疗骨刺的中药组合物和方法
CN115282212A (zh) * 2022-07-22 2022-11-04 宿州亿帆药业有限公司 一种断金胶囊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15282212B (zh) * 2022-07-22 2023-09-29 宿州亿帆药业有限公司 一种断金胶囊及其制备方法和应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13454B1 (ko) 2001-1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36449B2 (en) Use of a composition
Patočka et al. Biomedically relevant chemical constituents of Valeriana officinalis
US20090155392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Sublingual Guarana Administration
KR100313454B1 (ko) 금단증상을 억제하는 조성물
CN112386589B (zh) 一种抗焦虑/抗抑郁药用组合物及其用途
EP2934561B1 (en) Composition comprising raphanus, theobroma and passiflora for treating opioid and alcohol abuse
RU2535019C1 (ru) Седативное и спазмолитическое средство
EP1261358B1 (en) Use of a composition comprising morinda citrifolia for the treatment of tinnitus
CN101249130B (zh) 一种戒烟并缓解戒烟综合症的药用或保健组合物
O’Mahony Carey Psychoactive substances: a guide to ethnobotanical plants and herbs, synthetic chemicals, compounds and products
Vulto et al. Drugs used in non-orthodox medicine
Mungali et al. Valeriana officinalis (valerian)
Bhat et al. Arecanut, Areca catechu L. as such is not carcinogenic in normal dose if chewed without tobacco: compilation of research work
WO2020115751A1 (en) Cannabis-based compositions for the treatment of alzheimer's disease and dementia
JP2005533797A (ja) 薬物中毒症治療用yian煎出物
CN109260255A (zh) 一种木本复方防暑精油及其制备方法
Sewell Unauthorized research on cluster headache
KR101366230B1 (ko) 미슬토의 코골이 및 수면무호흡증의 치료 및 완화의 용도 및 이를 함유하는 약제 조성물
Hasan et al. The incredible health benefits of saffron: A Review
Ellenhorn et al. Ellenhorn's
Maurya et al. FORMULATION OF CLOVE TOOTH PASTE
Ascani et al. The Use of Psychotropic Herbal and Natural Medicines in Latina/o and Mestiza/o Populations
CN115025173A (zh) 一种含大麻二酚cbd提取物用于辅助睡眠药物应用
TWI453027B (zh) 主功效成分為大棗環腺苷單磷酸之藥物作為治療憂鬱症的用途
Dukes Remedies used in nonorthodox medic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427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