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08792A - 비디오 영역 대표칼라 설정방법과 데이타 구조 및 신뢰도 추출방법 - Google Patents
비디오 영역 대표칼라 설정방법과 데이타 구조 및 신뢰도 추출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10008792A KR20010008792A KR1019990026784A KR19990026784A KR20010008792A KR 20010008792 A KR20010008792 A KR 20010008792A KR 1019990026784 A KR1019990026784 A KR 1019990026784A KR 19990026784 A KR19990026784 A KR 19990026784A KR 20010008792 A KR20010008792 A KR 20010008792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lor
- area
- representative
- representative color
- reliability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9
- 238000000605 extra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9
- 239000003086 colorant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4
- 238000013139 quantiz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9
- 238000007781 pre-process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8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8000001914 filtr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07493 shap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02776 aggregation Effects 0.000 claims 1
- 238000004220 aggregation Methods 0.000 claims 1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2
- 230000001427 coherent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9
- 230000009466 transform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8
- 101100169932 Saccharomyces cerevisiae (strain ATCC 204508 / S288c) DCD1 gene Proteins 0.000 description 5
- 101100235787 Schizosaccharomyces pombe (strain 972 / ATCC 24843) pim1 gene Protein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0052 compar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13507 mapping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1419 dependent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159 matrix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3459 approach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96 convention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99 gro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72 improv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844 transform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007 visu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46—Colour picture communication systems
- H04N1/64—Systems for the transmission or the storage of the colour picture signal; Details therefor, e.g. coding or decoding means therefor
- H04N1/644—Systems for the transmission or the storage of the colour picture signal; Details therefor, e.g. coding or decoding means therefor using a reduced set of representative colours, e.g. each representing a particular range in a colour space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7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video data
- G06F16/78—Retrieval characterised by using metadata, e.g. metadata not derived from the content or metadata generated manually
- G06F16/783—Retrieval characterised by using metadata, e.g. metadata not derived from the content or metadata generated manually using metadata automatically derived from the content
- G06F16/7847—Retrieval characterised by using metadata, e.g. metadata not derived from the content or metadata generated manually using metadata automatically derived from the content using low-level visual features of the video content
- G06F16/785—Retrieval characterised by using metadata, e.g. metadata not derived from the content or metadata generated manually using metadata automatically derived from the content using low-level visual features of the video content using colour or luminescence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8/00—Pattern recognition
- G06F18/20—Analysing
- G06F18/21—Design or setup of recognition systems or techniques; Extraction of features in feature space; Blind source separation
- G06F18/214—Generating training patterns; Bootstrap methods, e.g. bagging or boos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Evolutionary Biology (AREA)
- Bioinformatics & Computational Bi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Image Analysis (AREA)
- Facsimile Image Signal Circuits (AREA)
- Color Image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Description
Claims (21)
- 다양한 영역 대표칼라 추출방법에 따른 영역 대표칼라에 있어서,주어진 영역에 대한 대표칼라들의 수와 표현된 대표칼라 및 그 대표칼라가 나타나는 빈도수와 그 영역을 대표하는 칼라값의 정확한 정도로 표현되는 신뢰도 값으로 영역 대표칼라 정보를 표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영역 대표칼라설정방법.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영역 대표칼라 정보의 추출방법에 대한 정형화 데이타로 다른 시스템에서 다른 대표칼라 정보 추출방법으로 만들어진 데이타들을 고유데이타 형식으로 변환하여 두 가지 영역 대표칼라 정보를 비교검색할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영역 대표칼라 설정방법.
- 제 1항에 있어서, 영역 대표칼라 정보의 신뢰도 값의 높고 낮음에 따라 어떤 방법에 의해 추출되는 대표칼라들의 정확한 표현정도를 알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영역 대표칼라 설정방법.
- 제 1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어떤 값으로 표현되는 칼라의 증감에 따라 변화게 되는 그 칼라를 같은 칼라라고 간주할수 있는 최대변화값을 고려하여 신뢰도에 반영해 줄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영역 대표칼라 설정방법.
- 제 1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이미지 영역에서의 어떤 칼라가 대표칼라로 간주(Mapping)될 때 그 칼라의 정확한 값과 대표칼라 값과의 차이를 신뢰도에 반영해 줄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영역 대표칼라 설정방법.
- 제 1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주어진 대표칼라에 대해 그 칼라의 픽셀들의 응집정도를 나타내는 코히어런스 값을 신뢰도에 반영해 줄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영역 대표칼라 설정방법.
- 제 1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이미지 영역에서 대표칼라가 커버하는 영역이 크기(빈도수)를 신뢰도에 반영해 줄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영역 대표칼라 설정방법.
- 제 1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이미지 영역의 각 칼라픽셀들의 영역상에서의 위치를 고려하여 신뢰도에 반영해 줄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영역 대표칼라 설정방법.
- 제 1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신뢰도는 정규화된 코히어런스 평균, 어떤 칼라가 대표칼라로 간주될 때 그 차이에 대한 평균값, 모든 이미지 영역에서 대표칼라가 커버하는 영역의 크기(빈도수)를 합산한 값, 각 칼라 픽셀들의 영역상에서의 위치를 평균한 값을 구성요소로 하는 벡터표현으로 나타내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영역 대표칼라 설정방법.
- 제 1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서로 다른 영역대표칼라 특징 추출방법에 의해 구해진 영역대표칼라정보에 표현되는 각각의 신뢰도 값으로 부터 영역 대표칼라 값들을 비교하여 상호 이종 특징추출 방법간의 호환성을 유지할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영역 대표칼라 설정방법.
- 제 1항에 있어서, 전체 영역 대표칼라정보의 각 칼라당에 대한 정확한 신뢰도를 표현해 줄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영역 대표칼라 설정방법.
- 영역대표칼라정보의 각각 다른 추출방법에 대하여, 영역대표칼라를 추출하기 위한 추출방법 타입과, 상기 영역 대표칼라값을 구할 때 그 영역의 필터링방식을 묘사하는 전처리묘사와, 히스토그램을 구하여 나타나는 대표칼라의 빈도수의 조건를 묘사하는 빈도수 조건묘사와, 영역대표칼라를 표시하기 위해 사용하는 칼라스페이스에 대한 정보를 묘사하는 칼라스페이스묘사와, 영역대표칼라가 상기에서 정의한 어떤 칼라스페이스의 서브스페이스에서 표현되어는지를 정의하는 칼라 서브스페이스묘사와, 상기 칼라스페이스의 양자화방법을 명시하는 양자화 묘사와, 상기의 영역칼라가 또다시 클러스터링 되었는지를 묘사해주는 칼라 클러스터링묘사를 정의하여 정형화시켜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영역 대표칼라 설정 데이타 구조.
-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정형화된 데이타구조를 대표칼라 값들이 명시되는 메모리의 헤드에서 명시해 주고 그 항목이 바뀔때 마다 재 정의해 주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영역 대표칼라 설정 데이타구조.
-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영역 대표칼라 정보의 추출방법에 대한 정형화 데이타로 다른 시스템에서 다른 대표칼라 정보 추출방법으로 만들어진 데이타들을 고유데이타 형식으로 변환하여 두 가지 영역 대표칼라 정보를 비교검색할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영역 대표칼라 설정 데이타구조.
-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전처리 묘사에서는 영역대표 칼라값을 구할때 그 영역에 적용되는 필터타입과, 상기의 필터가 이미지 전체영역에 적용되는 방식을 정의하는 필터 사이즈와, 필터 창에 대한 슬라이딩 방법을 표현해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영역 대표칼라 설정 데이타구조.
-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빈도수 조건묘사에서는 히스토그램을 구하여 히스토그램 빈에 해당하는칼라의 빈도수에 따라 배열한 후 그 크기별로 설정된 임계치까지를 대표칼라로 지정할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영역 대표칼라 설정 데이타구조.
-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칼라스페이스 묘사에서는 기준칼라스페이스와 이것으로 부터 칼라스페이스로의 변환관계를 표현하기 위해 칼라채널의 수 및 그 변환방법을 정의해 주는 비디오 영역 대표칼라 설정 데이타구조.
- 제 12항에 있어서, 칼라 서브스페이스의 묘사에서는 영역대표칼라가 상기 칼라스페이스의 서브스페이스에서 표현될 때 사용되는 칼라채널들이 수 및 그 칼라채널과 각 채널의 범위를 정의해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영역 대표칼라 설정 데이타구조.
- 제 12항에 있어서, 양자화묘사에서는 칼라스페이스의 양자화된 채널들의 수와 양자화되는 채널들, 각 채널의 양자화 레벨의 수를 정의해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영역 대표칼라 설정 데이타구조.
- 제 12항에 있어서, 칼라 클러스터링 묘사에서는 칼라가 다시 클러스터링 되었을 경우, 그 클러스터링의 개수가 영역에 따라 변화면 그 레벨타입과, 상기 클러스터이 개수와 클러스터된 칼라 채널을 정의해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영역대표칼라 설정 데이타구조.
- 신뢰도와 픽셀들의 카운트 합을 초기값으로 하는 과정과,모든 영역대표칼라에 대해 코히어런스 값과 상기의 신뢰도와 픽셀들의 카운트 합을 구하는 과정과,상기에서 구해진 신뢰도로 나누어 이미지 영역에 대한 신뢰도를 추출하는 과정으로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영역 대표칼라의 신뢰도 추출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0)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9-0026784A KR100512139B1 (ko) | 1999-07-03 | 1999-07-03 | 비디오 영역 대표칼라 설정방법과 데이타 구조 및 신뢰도 추출방법 |
PCT/KR2000/000710 WO2001003439A1 (en) | 1999-07-03 | 2000-07-03 | Method for dominant color setting of video region and data structure and method of confidence measure extraction |
JP2001508169A JP3447726B2 (ja) | 1999-07-03 | 2000-07-03 | ビデオ領域代表カラー設定方法とデータ構造及び信頼度抽出方法 |
AU55780/00A AU5578000A (en) | 1999-07-03 | 2000-07-03 | Method for dominant color setting of video region and data structure and method of confidence measure extraction |
EP00941010.1A EP1118222B1 (en) | 1999-07-03 | 2000-07-03 | Method for dominant color setting of video region and data structure and method of confidence measure extraction |
US09/609,392 US7417640B1 (en) | 1999-01-29 | 2000-07-03 | Method for dominant color setting of video region and data structure and method of confidence measure extraction |
US10/992,672 US7453467B2 (en) | 1999-07-03 | 2004-11-22 | Method for dominant color setting of video region and data structure and method of confidence measure extraction |
US11/133,212 US7760935B2 (en) | 1999-01-29 | 2005-05-20 | Method for dominant color setting of video region and data structure and method of confidence measure extraction |
US12/815,746 US7974465B2 (en) | 1999-01-29 | 2010-06-15 | Method for dominant color setting of video region and data structure and method of confidence measure extraction |
US12/815,777 US8005296B2 (en) | 1999-01-29 | 2010-06-15 | Method for dominant color setting of video region and data structure and method of confidence measure extraction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9-0026784A KR100512139B1 (ko) | 1999-07-03 | 1999-07-03 | 비디오 영역 대표칼라 설정방법과 데이타 구조 및 신뢰도 추출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10008792A true KR20010008792A (ko) | 2001-02-05 |
KR100512139B1 KR100512139B1 (ko) | 2005-09-02 |
Family
ID=195992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9-0026784A KR100512139B1 (ko) | 1999-01-29 | 1999-07-03 | 비디오 영역 대표칼라 설정방법과 데이타 구조 및 신뢰도 추출방법 |
Country Status (5)
Country | Link |
---|---|
EP (1) | EP1118222B1 (ko) |
JP (1) | JP3447726B2 (ko) |
KR (1) | KR100512139B1 (ko) |
AU (1) | AU5578000A (ko) |
WO (1) | WO2001003439A1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10081894A (ko) * | 2000-02-18 | 2001-08-29 | 구자홍 | 이종 시스템간의 내용기반 멀티미디어 검색을 가능하게하는 칼라 히스토그램 변환방법, 멀티미디어 검색 방법,데이터 구조 및 멀티미디어 검색 시스템 |
WO2008036941A1 (en) * | 2006-09-21 | 2008-03-27 | Microsoft Corporation | Extracting dominant colors from images using classification techniques |
KR101429136B1 (ko) * | 2014-03-03 | 2014-08-11 | 주식회사 위시링크 | 평균색상을 이용한 이미지 처리 방법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9727609B2 (en) * | 2012-09-28 | 2017-08-08 | Oracle International Corporation | Triggering hard parses |
CN113470125B (zh) * | 2021-07-21 | 2024-01-12 | 杭州万事利丝绸文化股份有限公司 | 一种对图案进行颜色搭配的方法及系统 |
Family Cites Families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4797738A (en) * | 1986-05-19 | 1989-01-10 | Kabushiki Kaisha Tohken | Color recognition apparatus |
US5535314A (en) * | 1991-11-04 | 1996-07-09 | Hughes Aircraft Company | Video image processor and method for detecting vehicles |
JPH05290094A (ja) * | 1992-04-08 | 1993-11-05 | Mitsubishi Electric Corp | 画像の類似色調検索装置 |
JPH06175633A (ja) * | 1992-12-09 | 1994-06-24 | Omron Corp | 画像データ処理装置 |
JPH07146871A (ja) * | 1993-11-24 | 1995-06-06 | Hitachi Ltd | 静止画検索装置および静止画検索方法 |
KR0170932B1 (ko) * | 1994-12-29 | 1999-03-20 | 배순훈 | 영상의 시각적, 기하학적 특성에 따른 고속 움직임 추정장치 |
KR100316765B1 (ko) * | 1996-06-28 | 2002-02-28 | 윤종용 | 영상 객체별 시감도 결정방법 및 이를 이용한고능률동영상부호화장치 |
JP3747589B2 (ja) * | 1997-09-17 | 2006-02-22 | コニカミノルタビジネステクノロジーズ株式会社 | 画像特徴量比較装置および画像特徴量比較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
JPH11238077A (ja) * | 1998-02-24 | 1999-08-31 | Minolta Co Ltd | 画像検索装置及び方法並びに画像検索プログラムを記録する記録媒体 |
KR100319155B1 (ko) * | 1999-02-01 | 2001-12-29 | 구자홍 | 신뢰도를 이용한 대표칼라 지정방법 |
-
1999
- 1999-07-03 KR KR10-1999-0026784A patent/KR100512139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00
- 2000-07-03 WO PCT/KR2000/000710 patent/WO2001003439A1/en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00-07-03 JP JP2001508169A patent/JP3447726B2/ja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0-07-03 EP EP00941010.1A patent/EP1118222B1/en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2000-07-03 AU AU55780/00A patent/AU5578000A/en not_active Abandoned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10081894A (ko) * | 2000-02-18 | 2001-08-29 | 구자홍 | 이종 시스템간의 내용기반 멀티미디어 검색을 가능하게하는 칼라 히스토그램 변환방법, 멀티미디어 검색 방법,데이터 구조 및 멀티미디어 검색 시스템 |
WO2008036941A1 (en) * | 2006-09-21 | 2008-03-27 | Microsoft Corporation | Extracting dominant colors from images using classification techniques |
KR101429136B1 (ko) * | 2014-03-03 | 2014-08-11 | 주식회사 위시링크 | 평균색상을 이용한 이미지 처리 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01003439A1 (en) | 2001-01-11 |
KR100512139B1 (ko) | 2005-09-02 |
EP1118222A4 (en) | 2008-05-28 |
EP1118222A1 (en) | 2001-07-25 |
EP1118222B1 (en) | 2013-09-04 |
AU5578000A (en) | 2001-01-22 |
JP2003503804A (ja) | 2003-01-28 |
JP3447726B2 (ja) | 2003-09-1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974465B2 (en) | Method for dominant color setting of video region and data structure and method of confidence measure extraction | |
US20220335609A1 (en) | System and method of classification of biological particles | |
JP6098700B2 (ja) | 複数の整理されたオブジェクトを含む画像を解析する方法、システム及びコンピュータ可読プログラム | |
CN111125416A (zh) | 一种基于多特征融合的图像检索方法 | |
US7603329B2 (en) | Data set modification using training algorithm that grows the data set | |
Hassan et al. | Color image segmentation using automated K-means clustering with RGB and HSV color spaces | |
EP2063393A1 (en) | Color classifying method, color recognizing method, color classifying device, color recognizing device, color recognizing system, computer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 |
US8131077B2 (en) | Systems and methods for segmenting an image based on perceptual information | |
KR100512139B1 (ko) | 비디오 영역 대표칼라 설정방법과 데이타 구조 및 신뢰도 추출방법 | |
US12102441B2 (en) | System and method for diagnosing small bowel cleanliness | |
CN112861985B (zh) | 基于人工智能的图书自动分类方法 | |
Nachtegael et al. | Color image retrieval using fuzzy similarity measures and fuzzy partitions | |
Ghanem et al. | Impact of color space and color resolution on vehicle recognition models | |
Wenzel et al. | Finding poly-curves of straight line and ellipse segments in images | |
CN116956097B (zh) | 基于K-means的专家画像分析方法及系统 | |
Bai et al. | A fast graph based method for object segmentation in sidescan sonar image | |
Mengíbar-Rodríguez et al. | Automatic Building of Granular Fuzzy Color Spaces | |
Theunissen | Raw coal ore classification using image segmentation methods | |
Dhaher | Submitted to the College of Science, Al-Nahrain University in Partial Fulfillment of the Requirements for the Degree of Master of Science in Computer Science | |
Hemalatha et al. | Segmentation by blended partitional clustering for different color spaces | |
Zeimpekos | Ein Segmentation-basiertes Objekt Erkennung System für Bilder | |
Sahu et al. | Color Image Segmentation in HSI Color Space using Genetic Algorithm | |
ZA200600641B (en) | Method and system of data analysis using neural network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90703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Patent event date: 20020603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30512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19990703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50630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5082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05082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8061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9061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0063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10620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0727 Year of fee payment: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20727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724 Year of fee payment: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30724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724 Year of fee payment: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40724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724 Year of fee payment: 1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0724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722 Year of fee payment: 12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722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
|
EXPY | Expiration of term | ||
PC1801 | Expiration of term |
Termination date: 20200103 Termination category: Expiration of du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