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08745A - 음식쓰레기 연속 탄화장치의 밀봉구조 - Google Patents

음식쓰레기 연속 탄화장치의 밀봉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08745A
KR20010008745A KR1019990026714A KR19990026714A KR20010008745A KR 20010008745 A KR20010008745 A KR 20010008745A KR 1019990026714 A KR1019990026714 A KR 1019990026714A KR 19990026714 A KR19990026714 A KR 19990026714A KR 20010008745 A KR20010008745 A KR 200100087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od waste
sealing structure
preheating
pyrolysis
sea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267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홍모
Original Assignee
김명호
주식회사 벤처 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명호, 주식회사 벤처 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김명호
Priority to KR10199900267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008745A/ko
Priority to KR2019990020608U priority patent/KR200173526Y1/ko
Publication of KR200100087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08745A/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5/00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 F23G5/02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with pretreatment
    • F23G5/027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with pretreatment pyrolising or gasifying st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09B3/4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involving thermal treatment, e.g. evapor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5/00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 F23G5/44Details; Accessories

Abstract

본 발명은 음식쓰레기 연속 탄화장치의 음식쓰레기 투입 및 배출부의 밀봉 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공급관에 형성된 만곡부에 공기차단용 밀봉액체를 주입한 제1예열부와, 공급관과 열분해장치를 연결하는 중간 부분에 제2예열부를 형성하여 예열함으로서 열효율을 높이도록 함과 동시에 고온의 열분해장치에서 증발된 불순물이 음식쓰레기에 부착되어 효과적으로 배출되도록 하였으며, 배출부에도 밀봉액체를 주입하여 무산소 상태를 만들어 음식쓰레기가 무산소 열분해 과정을 통해 탄화되도록 한 음식쓰레기 연속탄화장치의 밀봉구조에 관한 것이다.
특히, 제1예열부는 투입관을 만곡부로 형성한 후 액체를 주입하여 외부공기가 차단되도록 구성하였고, 열분해장치의 상부에 제1예열부가 위치하도록 함으로서 열분해장치 가열에 사용한 버너의 폐열을 이용하여 예열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제2예열부는 열분해장치에서 발생된 가열된 수증기가 공급관 상부로 공급되어 이송된 음식쓰레기를 다시 한번 예열하도록 구성하였으며, 제2예열부는 수직으로 형성하여 음식쓰레기가 낙하하는 가운데 열분해 장치에서 공급된 가열수증기가 상승하면서 효과적인 예열이 이루어지도록 하였다.

Description

음식쓰레기 연속 탄화장치의 밀봉구조
본 발명은 음식쓰레기 연속 탄화장치의 음식쓰레기 투입부 및 배출부 밀봉 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투입관에 만곡부를 형성하여 공기차단용 밀봉액체를 주입한 제1예열부와 투입관과 열분해 장치를 연결하는 중간부분에 수직으로 형성된 제2예열부를 형성하여 음식쓰레기를 충분하게 예열함으로서 열효율을 높이도록 함과 동시에 고온의 열분해장치에서 증발된 불순물이 음식쓰레기에 부착되어 효과적으로 배출되도록 한 것이다. 또한, 배출부에도 밀봉액체를 주입하여 무산소 열분해가 가능하도록 외부 공기를 차단할 수 있도록 한 음식쓰레기 연속 탄화장치의 밀봉구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음식쓰레기 탄화장치는 도3과 같이 일정량의 음식쓰레기가 투입되면 탄화를 완료한 후 다시 음식쓰레기를 투입하는 비연속 탄화장치가 일반적이며 연속 탄화에 적합한 장치는 소개되지 않고 있다. 이 같은 비연속 탄화장치는 도3과 같이 음식쓰레기 투입부(302)에 형성된 투입구(301)를 통해 투입된 음식쓰레기가 액체(303)속으로 투입된 후 이송스크류(307-1)를 통해 음식쓰레기가 건조기(305)로 운반되어 건조기에 형성된 회전부(306)가 돌아가면서 탈수 및 건조가 되고, 탈수 및 건조된 음식쓰레기는 이송스크류(307-2)를 통해 탄화기(308)속으로 투입되었다.
탄화기(308)에서는 가열기(310)를 통해 공급된 열풍이 탄화기(308)의 열풍공급부(311)를 통해 공급되면서 탄화기(308)속의 음식쓰레기는 탄화가 진행된다. 탄화과정에서 발생된 폐가스는 폐가스배출구(312)를 통해 연돌(314)로 공급되어 배출되었다.
이 같은 종래의 음식쓰레기 탄화장치는 음식쓰레기를 연속으로 공급하고 처리하는 구조에 적합한 밀봉구조를 구성하지 못하였는데, 음식쓰레기 투입부(302)의 구조가 음식쓰레기를 연속처리를 위한 구조로는 부적합하였고, 음식쓰레기를 건조하기 위한 건조부(305)를 별도로 구성하였으며, 가열기(310)에서 공급된 열이 오직 탄화기(308)에만 공급되어 예열효과를 거둘 수 있는 구조가 되지 못하였다.
본 발명은 이 같은 종래 기술의 단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음식쓰레기 연속 탄화장치의 밀봉구조를 연속탄화에 적합하도록 구성하였고, 최적의 연속 탄화를 실현할 수 있는 음식쓰레기 투입부와 배출부의 구조를 실현토록 하였다.
이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음식쓰레기 연속 탄화장치의 음식쓰레기 투입구에는 무산소 열분해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외부공기 차단용 밀봉액체를 주입한 만곡부로 이루어진 제1예열부를 열분해 장치의 상부에 구성하고 열분해 장치에서 공급된 고온의 수증기를 이용하여 음식쓰레기를 다시 한번 예열하는 제2예열부를 형성하여 외부공기 차단과 열효율을 높였으며, 배출부에는 저장용기에 밀봉용 액체를 주입하고 배출관이 밀봉된 액체속에 잠기도록 구성하였다.
도1은 본 발명의 음식쓰레기 연속 탄화장치의 밀봉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2는 본 발명의 음식쓰레기 연속 탄화장치의 밀봉구조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3은 종래의 음식쓰레기 탄화장치 개략 구성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
106, 206 : 제1예열부
109, 209 : 제2예열부
110, 210 : 열분해장치
112, 212 : 배출관
113, 213 : 탄화물 저장용기
본 발명의 보다 상세한 내용을 첨부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은 본 발명의 음식쓰레기 연속 탄화장치의 밀봉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2는 본 발명의 음식쓰레기 연속탄화장치의 밀봉구조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1과 도2에 의하면, 먼저 음식쓰레기가 음식쓰레기 투입구(101)에 투입되면, 이송로(102)속에 설치된 이송컨베이어(103)가 작동하여 음식쓰레기를 유압투입기(104)(204)에 이송하고, 유압투입기(104)(204)는 유압으로 음식쓰레기를 공급관(105)(205)에 이송한다.
공급된 음식쓰레기는, 액체(107)(207)가 주입된 만곡부가 형성된 제1예열부(106)(206)를 통과하는데, 만곡부의 액체(107)(207)를 통과하면서 음식쓰레기는 액체가 뭍은 상태로 공급관(105)(205)을 통해 다음 단계로 이송된다.
한편 공급관(105)(205)은 열분해장치(110)(210)의 상부에 위치토록 하는데 이는 열분해장치(110)(210)의 가열에 사용한 열을 예열에 다시 한번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송된 음식쓰레기는 열분해장치(110)(210)에서 발생한 고온의 수증기가 공급되면서 액체(107)(207)를 통과할 때 뭍은 액체가 일정상태로 제2예열부(109)(209)를 통과하는데, 제2예열부는 음식쓰레기의 온도를 높여 열분해장치(110)(210)에서 탄화가 촉진되도록 함과 동시에 열분해장치(110)(210)에서 발생한 증발된 불순물이 제2예열부(109)(209)에서 음식쓰레기에 부착되어 열분해장치(110)(210)에 재투입되어 탄화물과 함께 효과적으로 배출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제2예열부(109)(209)를 통과한 음식쓰레기 열분해장치(110)(210)로 이송된다. 여기서 제2예열부(109)(2O9)는 수직 또는 급경사지게 형성하여 음식쓰레기가 낙하하는 동안 효과적인 가열이 일어나도록 하였다.
열분해장치(110)(210)에 들어온 음식쓰레기는 가열장치(111)(211)로부터 높은 열이 공급되면서 탄화가 진행되고 탄화된 음식쓰레기는 점차 배출관(112)(212)쪽으로 배출되어, 저장용기(113)(213)에 떨어진다.
저장용기(113)(213)에는 액체(118)(218)가 들어있으며 액체(118)(218)는 주로 응축수로 채워져 있다.
응축수로 된 액체(118)(218)은 배출된 탄화물을 냉각하며, 탄화물은 응축수로 된 액체(118)(218)를 정화하는 상호작용을 한다. 액체(l18)(218)속에 떨어진 탄화물은 배출스크류(115)(215)를 통해 밖으로 배출된다.
한편, 열분해장치(110)(210)의 높낮이 조절기(116)(216)는 열분해장치(110)(210)의 높낮이를 조절하여 탄화물이 원활하게 가열되면서 배출도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며, 지지대(117)(217)는 음식쓰레기 연속 탄화장치의 전체 장치를 고정하는 받침대 역할을 한다. 진공펌프(108)(208)는 가열된 수증기를 뽑아서 응축기로 이송시키는 역할을 한다. 도1에서 미설명부호는 응축기(119)이다.
본 발명의 음식쓰레기 연속 탄화장치의 투입부 및 배출부 구조는, 밀봉된 상태로 무산소 열분해를 이용하는 폐타이어 고무의 열분해를 통한 오일 제조장치와, 폐플라스틱의 열분해와, 폐합성섬유의 열분해와, 폐유의 열분해 및 목초를 무산소 열분해하여 유용한 약초 수액을 제조하는데도 응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음식쓰레기 연속 탄화장치의 밀봉구조를 통하여, 종래에 비연속으로 처리했던 음식쓰레기 탄화를 연속적으로 처리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으며, 특히 2개의 예열부를 통하여 음식쓰레기 처리에 필요한 가열성능을 대폭 향상시킴과 동시에, 생활폐기물을 값싸고 안정되게 처리할 수 있는 음식쓰레기 연속 탄화장치에 적합한 밀봉구조를 실현하였다.

Claims (3)

  1. 투입관에 형성한 만곡부에 공기차단용 밀봉액체를 주입한 제1예열부와; 투입관과 열분해 장치를 연결하는 중간부분에 경사지게 형성한 제2예열부; 저장용기에 밀봉용액체를 주입하고 배출관이 밀봉 액체속으로 잠기도록 탄화물 저장부를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쓰레기 연속탄화장치의 밀봉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제1예열부는 열분해장치 상부에 형성하여 예열이 이루어지도록 한 음식쓰레기 연속탄화장치의 밀봉구조.
  3. 제1항에 있어서, 제1예열부와 제2예열부 사이의 투입관 일측에 고열의 수증기를 배출하여 응축기로 이송하는 진공펌프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쓰레기 연속탄화장치의 밀봉구조
KR1019990026714A 1999-07-02 1999-07-02 음식쓰레기 연속 탄화장치의 밀봉구조 KR20010008745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26714A KR20010008745A (ko) 1999-07-02 1999-07-02 음식쓰레기 연속 탄화장치의 밀봉구조
KR2019990020608U KR200173526Y1 (ko) 1999-07-02 1999-09-22 음식쓰레기 연속 탄화장치의 밀봉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26714A KR20010008745A (ko) 1999-07-02 1999-07-02 음식쓰레기 연속 탄화장치의 밀봉구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20608U Division KR200173526Y1 (ko) 1999-07-02 1999-09-22 음식쓰레기 연속 탄화장치의 밀봉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08745A true KR20010008745A (ko) 2001-02-05

Family

ID=195991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26714A KR20010008745A (ko) 1999-07-02 1999-07-02 음식쓰레기 연속 탄화장치의 밀봉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00874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5690B1 (ko) * 2006-04-20 2007-05-09 박주성 음식쓰레기 처리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40000664Y1 (ko) * 1982-12-07 1984-04-25 유길형 파이프 성형기
KR960024201A (ko) * 1994-12-13 1996-07-20 강재원 다단직열식 저공해 로타리킬른
KR19990000213A (ko) * 1997-06-03 1999-01-15 김용천 쓰레기의 연료화 소각방법 및 그 장치
KR19990081315A (ko) * 1998-04-28 1999-11-15 정인태 고무 폐기물의 재환원설비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40000664Y1 (ko) * 1982-12-07 1984-04-25 유길형 파이프 성형기
KR960024201A (ko) * 1994-12-13 1996-07-20 강재원 다단직열식 저공해 로타리킬른
KR19990000213A (ko) * 1997-06-03 1999-01-15 김용천 쓰레기의 연료화 소각방법 및 그 장치
KR19990081315A (ko) * 1998-04-28 1999-11-15 정인태 고무 폐기물의 재환원설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5690B1 (ko) * 2006-04-20 2007-05-09 박주성 음식쓰레기 처리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439529B (zh) 木材微波真空干燥炭化装置及干燥炭化方法
KR101830270B1 (ko) 열원을 이용한 가연성 폐기물 및 음식 폐기물 처리시스템
KR101326856B1 (ko) 슬러지 건조장치
CN104986934A (zh) 一种连续式污泥热分解方法和装置
CN206289157U (zh) 一种含油污泥碳化处理装置
CN1015202B (zh) 垃圾焚化法
KR20130117746A (ko) 슬러지 탄화시스템 및 이를 활용한 부생연료추출방법
WO2016116588A1 (en) A method and apparatus for thermochemically processing material
CN106587552A (zh) 一种含油污泥碳化处理方法
CN106746462A (zh) 一种含油污泥碳化处理装置
CN106673395A (zh) 一种含油污泥碳化处理热回收装置及方法
KR20140028407A (ko) 슬러지 탄화시스템 및 이를 활용한 부생연료추출방법
CN104692607B (zh) 一种油泥热解资源化利用方法及装置
KR200173526Y1 (ko) 음식쓰레기 연속 탄화장치의 밀봉구조
KR20010008745A (ko) 음식쓰레기 연속 탄화장치의 밀봉구조
WO2009130524A1 (en) Pyrolytic apparatus and method
KR20130098602A (ko) 유기성 폐기물의 건조 탄화장치
KR20110024437A (ko) 상압에서 유중증발기술을 이용한 고함수 유기성 슬러지 건조장치
KR20110004601A (ko) 하수 슬러지 건조 및 탄화 장치
CN109650695A (zh) 污泥干燥装置及污泥干燥方法
KR100760431B1 (ko) 슬러지 건조장치
US4480392A (en) Conduction dryer for flaked or fluffed material
CN110396417A (zh) 一种干化炭化处理系统及处理工艺
CN107116089A (zh) 一种垃圾热干化装置及方法
KR102030967B1 (ko) 유기성 폐기물 건조 시스템의 진공 증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