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08566A - 이차전지의 캡 어셈블리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이차전지의 캡 어셈블리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08566A
KR20010008566A KR1019990026474A KR19990026474A KR20010008566A KR 20010008566 A KR20010008566 A KR 20010008566A KR 1019990026474 A KR1019990026474 A KR 1019990026474A KR 19990026474 A KR19990026474 A KR 19990026474A KR 20010008566 A KR20010008566 A KR 200100085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cap plate
cap
plate
riv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264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37602B1 (ko
Inventor
오완석
Original Assignee
김순택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순택,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순택
Priority to KR10-1999-00264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37602B1/ko
Publication of KR200100085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085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376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37602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28Fixed electrical connections, i.e. not intended for disconne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47Lids or covers
    • H01M50/155Lids or cover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157Inorganic material
    • H01M50/159Met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47Lids or covers
    • H01M50/166Lids or covers characterised by the methods of assembling casings with lids
    • H01M50/169Lids or covers characterised by the methods of assembling casings with lids by welding, brazing or solder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72Arrangements of electric connectors penetrating the cas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83Arrangements for mounting batteries or battery charg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2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battery compartm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Sealing Battery Cases Or Jackets (AREA)

Abstract

목적: 전극 리벳의 결합력에 의한 캡 플레이트의 변형을 보상하여 캔과의 용접 품질 및 실링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이차전지의 캡 어셈블리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목적을 두고 있다.
구성: 캔의 개구에 용접될 캡 플레이트를 알루미늄이나 알루미늄 합금으로 제조하고, 상기 캡 플레이트에 관통 구멍을 형성하며, 그 구멍에서 최근 거리에 위치한 측변을 오목하게 절취 형성하여 양측변 사이의 폭을 다른 곳에 비해 축소 형성되게 하고, 상기 구멍의 내주 및 주변에 절연수단을 개재하여 전극 리벳을 삽입 및 체결하여 조립한다.
효과: 전극 리벳의 결합시 발생하는 캡 플레이트의 변형으로 오목부가 제거되고, 양측변이 편평하게 된다. 따라서 캡 플레이트와 캔의 사이 간격이 균일하게 되어서 용접 품질 및 실링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이차전지의 캡 어셈블리 및 그 제조방법{Cap assembly used in Secondary battery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본 발명은 전극 리벳의 결합력에 의해 캡 플레이트가 변형되는 것을 고려하여, 그 캡 플레이트와 캔의 실링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이차전지의 캡 어셈블리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차전지는 재충전이 가능하고 소형 및 대용량화가 가능한 것으로, 대표적으로는 니켈수소(Ni-MH)전지, 리튬(Li)전지 및 리튬이온(Li-ion)전지가 있으며, 외관상으로는 원통형과 각형 전지로 구분되고 있다.
도 4는 종래 공지된 각형 전지의 일 예를 보여주고 있다. 도면에서와 같이 각형 이차전지는 정극과 부극의 사이에 세퍼레이터를 개재하여 함께 권취하므로 전극군(2)을 형성하고, 그 전극군(2)을 캔(4)의 내부에 삽입하며, 그 캔(4)의 상측 개구에 캡 어셈블리(6)를 설치하고, 상기 캔(4)의 내부에 전해액을 주입한 후 밀봉하여 이루어진다.
캡 어셈블리(6)는 캔(4)의 개구에 용접 결합되는 캡 플레이트(8)를 포함하며, 그 캡 플레이트(8)에 관통 구멍을 형성하고 절연판(10)과 가스켓(12)을 개재하여 절연된 전극 리벳(14)을 체결한 것이며, 가스켓(12)의 하부에 전극 리벳(14)과 접속된 전극 연결판(16)을 더 설치하여 연결할 수 있다.
캡 플레이트(8)에는 주입구(18)를 형성하여 전해액 주입 후 플러그를 이용하여 밀봉되게 하고, 전지 내압 상승 및 폭발에 대한 안전대책으로 안전수단(20)을 구비한다. 또 전극 연결판(16)은 상기 전극군(2) 중에서 정극에서 인출된 전극 탭(22)과 연결하고, 전극군(2)의 부극은 도시 생략한 전극 탭을 이용하여 혹은 캔(4)과 직접 접속함에 의해 외부 연결되어진다.
이러한 종래의 이차전지에서 캔(4)과 캡 플레이트(8)로 된 케이스는 주로 금속 재질을 사용하여 제작되고 있으나, 전지의 경량화 및 소형화 추세에 맞추어 알루미늄 혹은 알루미늄 합금을 사용하는 추세로 변화되고 있다.
그러나 알루미늄 혹은 알루미늄 합금을 케이스로 사용하는 이차전지의 경우에는 특히 캡 어셈블리(6)의 조립시 전극 리벳(14)에 의해 체결되는 캡 플레이트(8)가 연성 재질상의 특성으로 인해, 도 5와 같이 리벳 중심을 기준으로 그 주변 쪽으로 밀려져 넓혀지는 형태로 쉽게 변형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그 결과로 캡 플레이트(8)와 캔(4)의 용접시 양 부품 사이의 간격이 불균일하게 되어 용접 품질 및 실링 특성이 불량하게 되므로 전해액의 누출이 발생하는 심각한 문제점을 초래하게 된다.
앞서 설명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전극 리벳의 결합력에 의한 변형을 캡 플레이트에 반영하여 제조하므로, 캡 플레이트와 캔의 사이 간격을 균일하게 하고, 그 결과로 용접 품질 및 실링 특성을 향상시킨 이차전지의 캡 어셈블리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캔의 개구에 용접될 캡 플레이트를 알루미늄이나 알루미늄 합금으로 제조함에 있어, 상기 캡 플레이트에 관통 구멍을 형성하고, 그 구멍에서 최근 거리에 위치한 측변을 오목하게 절취 형성하여 양측변 사이의 폭이 다른 곳에 비해 축소 형성되게 하며, 상기 구멍의 내주 및 주변에 절연수단을 개재하여 전극 리벳을 삽입하고 체결하여 조립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극 리벳은 캡 플레이트와, 절연판과 가스켓을 포함하는 절연수단과, 전극 연결판을 체결하여 고정하는 것이며, 캔의 내부에 삽입된 정극 혹은 부극에서 인출된 전극 탭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진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캡 어셈블리는 캔의 개구에 삽입되어서 레이저 용접에 의해 설치되어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이차전지의 캡 어셈블리를 분리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조립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평면 구성도.
도 4는 종래 공지된 이차전지를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종래 이차전지의 평면 구성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4-캔 10-절연판
12-가스켓 14-전극 리벳
16-전극 연결판 22-전극 탭
60-캡 어셈블리 80-캡 플레이트
82-관통 구멍 84-오목부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참고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종래 기술에서 설명한 구성과 동일한 부분에 대하여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였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이차전지의 캡 어셈블리를 분리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조립 상태를 보여주고 있다.
도면을 통하여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캡 어셈블리(60)를 조립함에 있어, 캔(4)의 개구에 용접되는 캡 플레이트(80)를 연성의 알루미늄이나 알루미늄 합금으로 제조할 경우에, 전극 리벳(14)의 clasp and seal 공정으로 인한 결합력으로 캡 플레이트(80)가 변형되어서 상기 전극 리벳(14)의 관통 구멍(82)을 중심으로 그 주변 방향으로 밀려져 넓혀지는 변형을 보상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캡 플레이트(80)를 제조함에 있어 전극 리벳(14)에 의한 연신량 및 그 방향을 고려하여, 관통 구멍(82)에서 최근 거리에 위치한 측변을 절취하여 양측변 사이의 폭이 다른 곳에 비해 축소 형성되게 한 오목부(84)를 형성한다. 오목부(84)는 전극 리벳(14)의 결합력이 작용하는 영역과, 그 영역에 해당하는 캡 플레이트(80)의 두께 및 결합력 등의 변수에 의해 크기가 정해질 수 있지만, 본 발명의 범위가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캡 플레이트(80)는 알루미늄이나 알루미늄 합금 재질을 사용하여 metal rolling이나 die-casting 방법에 의해, 상기 관통 구멍(82)과 오목부(84)를 갖도록 제조되어진다.
이렇게 제조된 캡 플레이트(80)는 관통 구멍(82)의 내주와 주변의 표면에 절연판(10)과 가스켓(12)을 개재하고, 가스켓(12)의 하부에 전극 연결판(16)을 개재한 후에, 전극 리벳(14)을 삽입하고 clasp and seal 공정으로 결합함에 본 발명의 캡 어셈블리(60)을 구성하게 된다.
이때 본 발명의 캡 플레이트(80)는 전극 리벳(14)에 의해 가압되는 영역이 압착되면서 그 주변으로 변형되므로, 도 3과 같이 수평방향으로 밀려져 양측변의 연장선과 편평한 상태로 맞춰지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캡 플레이트(80)는 4 변의 형상이 정확하게 직사각형을 이루게 되며, 캔과의 사이 간격이 전체적으로 균일한 상태로 되어 캔의 개구 내주에 긴밀하게 삽입되므로, 레이저 용접 품질을 향상시키고 아울러 실링 특성을 향상시키게 된다.
한편 캡 어셈블리(60)의 전극 연결판(16)은 캔(4)과 캡 플레이트(80)의 용접 공정 전에, 캔(4)의 내부에 수납된 정극 혹은 부극 중에서 하나로부터 인출된 전극, 예를 들어 정극 탭(22)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므로 전극 리벳(14)을 통해 외부로 연결되어진다.
또한 캔(4)과 캡 플레이트(80)가 용접된 후 상기 캔(4)의 내부에는 전해액이 주입된 후 밀봉됨으로써 본 발명의 이차전지를 실현할 수 있다.
물론 상기 전극군(2) 중에서 다른 전극, 예를 들어 부극은 도시 생략한 단자 탭을 이용하여 혹은 캔(4)과 직접 접속되어진다.
이상에서 설명한 구성 및 작용을 통하여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이차전지의 캡 어셈블리 및 그 제조방법은 전극 리벳의 압력에 의한 변형량을 캡 플레이트에 반영하여 미리 설계 및 형성함으로써, 캡 플레이트와 캔 사이의 간격을 균일하게 형성하고, 그 결과로 양 부품의 용접 품질 및 실링 특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제조 공정에서 용접 불량 및 실링 불량을 제거하게 되므로 제품의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도 아울러 얻을 수 있다.

Claims (8)

  1. 정극과 부극 및 전해액이 수납된 캔의 개구에 용접 결합되는 캡 플레이트와; 상기 캡 플레이트에 형성된 구멍을 관통하되 그 구멍의 내주에 절연수단을 개재하여 clasp and seal 결합되고, 상기 정극 혹은 부극에 연결된 전극 리벳을 포함하며; 상기 캡 플레이트는 전극 리벳이 결합되는 구멍 부근에 폭이 좁은 오목부를 포함하는 이차전지의 캡 어셈블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캡 플레이트가 알루미늄이나 알루미늄 합금으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의 캡 어셈블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캡 플레이트가 metal rolling 혹은 die-casting을 이용하여 얻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의 캡 어셈블리.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 리벳은 캡 플레이트와, 절연판과 가스켓을 포함하는 절연수단과, 전극 연결판을 결합하여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의 캡 어셈블리.
  5. 캡 플레이트의 관통 구멍에서 가장 가까운 거리에 위치한 측변을 일부 제거하여 오목부를 형성하고; 상기 관통 구멍에 전극 리벳을 삽입하되 그 사이에 절연수단을 개재하여 clasp and seal 결합하며; 상기 전극 리벳을 캔 내부에 삽입된 정극 혹은 부극에서 인출된 탭과 연결하고; 상기 전극 리벳의 결합력에 의해 상기 오목부가 팽창하여 측변의 연장선과 같게 된 캡 플레이트를 캔의 개구에 설치하고 용접하여 고정하는 것에 의해 조립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의 캡 어셈블리 제조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캡 플레이트를 알루미늄이나 알루미늄 합금으로 제조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의 캡 어셈블리 제조방법.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캡 플레이트를 metal rolling 혹은 die-casting을 이용하여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의 캡 어셈블리 제조방법.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캡 플레이트를 캔의 개구에 레이저 용접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의 캡 어셈블리 제조방법.
KR10-1999-0026474A 1999-07-02 1999-07-02 이차전지의 캡 어셈블리 및 그 제조방법 KR1005376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26474A KR100537602B1 (ko) 1999-07-02 1999-07-02 이차전지의 캡 어셈블리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26474A KR100537602B1 (ko) 1999-07-02 1999-07-02 이차전지의 캡 어셈블리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08566A true KR20010008566A (ko) 2001-02-05
KR100537602B1 KR100537602B1 (ko) 2005-12-19

Family

ID=195987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26474A KR100537602B1 (ko) 1999-07-02 1999-07-02 이차전지의 캡 어셈블리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37602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8680B1 (ko) * 2005-04-08 2006-12-15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0686797B1 (ko) * 2005-07-07 2007-02-26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전지의 제조방법
US8986878B2 (en) 2012-03-20 2015-03-24 Samsung Sdi Co., Ltd. Rechargeable battery including a resistance member
KR20160060222A (ko) * 2014-11-19 2016-05-3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
WO2018004157A1 (ko) * 2016-06-28 2018-01-04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전지
US20180019448A1 (en) * 2010-02-17 2018-01-18 Kabushiki Kaisha Toshiba Battery and production method thereof
US10249861B2 (en) 2015-05-19 2019-04-02 Samsung Sdi Co., Ltd. Rechargeable battery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2134B1 (ko) 2007-09-10 2013-03-1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캡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이차 전지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12209A (ja) * 1994-05-18 1995-11-28 Yuasa Corp 密閉形電池
JP3316338B2 (ja) * 1995-05-30 2002-08-19 三洋電機株式会社 角型電池
JPH097557A (ja) * 1995-06-16 1997-01-10 Furukawa Battery Co Ltd:The 角形密閉電池の製造方法
JPH09306444A (ja) * 1996-05-13 1997-11-28 Seiko Instr Inc 密閉電池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8680B1 (ko) * 2005-04-08 2006-12-15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0686797B1 (ko) * 2005-07-07 2007-02-26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전지의 제조방법
US20180019448A1 (en) * 2010-02-17 2018-01-18 Kabushiki Kaisha Toshiba Battery and production method thereof
EP3276702B1 (en) * 2010-02-17 2021-07-14 Kabushiki Kaisha Toshiba Battery and production method thereof
US8986878B2 (en) 2012-03-20 2015-03-24 Samsung Sdi Co., Ltd. Rechargeable battery including a resistance member
KR20160060222A (ko) * 2014-11-19 2016-05-3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
US10396336B2 (en) 2014-11-19 2019-08-27 Samsung Sdi Co., Ltd. Secondary battery
US10249861B2 (en) 2015-05-19 2019-04-02 Samsung Sdi Co., Ltd. Rechargeable battery
WO2018004157A1 (ko) * 2016-06-28 2018-01-04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전지
KR20180001884A (ko) * 2016-06-28 2018-01-05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전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37602B1 (ko) 2005-1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135321A1 (en) Secondary battery, apparatus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secondary battery
EP1705732B1 (en) Lithium secondary battery
EP2388847B1 (en)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first and second collector plates that are enmeshed together
KR100300405B1 (ko) 이차전지의캡어셈블리
US20050287422A1 (en) Secondary battery, cap assembly thereof and method of mounting safety valve therefor
CN102763238A (zh) 电池及其制造方法
US20010027807A1 (en) Cell safety valv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100537602B1 (ko) 이차전지의 캡 어셈블리 및 그 제조방법
US20050136325A1 (en) Sealed prismatic battery
KR101073313B1 (ko) 이차전지
WO2014126408A1 (ko) 벤트 구조를 갖는 2차 전지용 캡 플레이트 및 그의 제조방법
JP4219661B2 (ja) 電池用封口板
US7459232B2 (en) Secondary battery having safety valv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KR100322062B1 (ko) 이차전지의캔
JP2003059468A (ja) 薄型電池のパック構造
KR20010040175A (ko) 밀폐형 전지
JP2864175B2 (ja) 角形密閉式電池
KR100777721B1 (ko) 이차전지
KR20220068070A (ko) 이차전지 및 그 제조방법
KR100553729B1 (ko) 이차전지의 외장 케이스
US7687196B2 (en) Prismatic batter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US20230111134A1 (en) Batter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CN220569862U (zh) 一种二次电池、电池组及电子设备
KR100544106B1 (ko) 이차전지의 캔
CN210984848U (zh) 一种动力电池及汽车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1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3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