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06753A - 정보 처리 버스를 통해서 다중 비트를 동시에 전송 및수신하는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정보 처리 버스를 통해서 다중 비트를 동시에 전송 및수신하는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06753A
KR20010006753A KR1020000011469A KR20000011469A KR20010006753A KR 20010006753 A KR20010006753 A KR 20010006753A KR 1020000011469 A KR1020000011469 A KR 1020000011469A KR 20000011469 A KR20000011469 A KR 20000011469A KR 20010006753 A KR20010006753 A KR 200100067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s
bits
frequency
specific
selec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114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굽타산자이
Original Assignee
포만 제프리 엘
인터내셔널 비지네스 머신즈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포만 제프리 엘, 인터내셔널 비지네스 머신즈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포만 제프리 엘
Publication of KR200100067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06753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38Information transfer, e.g. on bus
    • G06F13/42Bus transfer protocol, e.g. handshake; Synchronisation
    • G06F13/4204Bus transfer protocol, e.g. handshake; Synchronisation on a parallel bus
    • G06F13/4208Bus transfer protocol, e.g. handshake; Synchronisation on a parallel bus being a system bus, e.g. VME bus, Futurebus, Multib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38Information transfer, e.g. on b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1/00Frequency-division multiplex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mall-Scale Networks (AREA)
  • Synchronisation In Digital Transmission Systems (AREA)
  • Information Transfer Systems (AREA)

Abstract

정보처리 버스를 통해서 다중 비트를 동시에 송수신하는 방법과 시스템을 개시한다. 본 발명의 방법은 먼저 각 비트를 특정 주파수로 표현한 후 각 특정 주파수를 동시에 변조하여 그 결과 파형을 정보처리 버스를 통해서 송신함으로써 시작한다. 그 후, 수신된 파형을 복조하여, 각 특정 파형을 검출함으로써 해당 비트를 재현한다. 변조용으로 사용되는 반송파와 특정 주파수는 정보처리 버스의 길이와 전기적인 특성에 기초하여 선택한다.

Description

정보처리 버스를 통해서 다중 비트를 동시에 전송 및 수신하는 방법 및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MULTIPLE BITS SIMULTANEOUSLY ACROSS AN INFORMATION PROCESSING BUS}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정보처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좀더 구체적으로는, 컴퓨터 관련 환경에서의 개선된 정보 전송 방식에 관한 것이다. 좀더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정보처리 버스를 통해서 다중 비트를 동시에 송수신하는 개선된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컴퓨터 시스템과 네트워킹된 컴퓨터 시스템이 확산되고 사업과 산업에 중요한 점점 더 많은 정보처리 시스템으로 통합됨에 따라, 보다 빠른 정보처리 및 증가된 데이터 처리 용량에 대한 필요성이 증가되고 있다. 심지어 프로세서 기술에서의 상대적으로 빠른 당해분야의 진보와 그에 따라 향상된 프로세서 속도에도 불구하고, 고속 프로세서와 증가된 시스템 속도, 및 보다 효율적인 정보처리 방식이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요구는, 적어도 부분적으로는, 특히 광범위한 네트워크와 풍부한 그래픽 및 디스플레이 애플리케이션을 포함한, 증가하는 컴퓨터 애플리케이션과 성능에 기인한다. 컴퓨터에 대한 새로운 애플리케이션이 구현됨에 따라, 새로운 프로그램이 개발되고 있으며 이러한 프로그램들이 거의 매일 새로운 성능으로 향상되고 있다. 이러한 급격한 발전이 매우 바람직하지만, 시스템 속도의 측면에서 비용이 증가될 수 있다. 이는 정보처리 버스들의 속도 한계에 일부 기인한다. 고속의 전송을 요하는 경우에, 가장 흔한 방법중의 하나는 다중 와이어를 이용하는 것이지만, 매우 비싸다.
그러므로, 최소량의 와이어를 사용하여 정보처리 버스를 통해서 정보가 좀더 효율적으로 전송되는 향상된 정보처리 방법 및 시스템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들을 종래의 방식이 아닌 신규하고도 독특한 방식으로 해결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컴퓨터 관련 환경에서 효율적으로 정보 전송을 위한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정보처리 버스를 통해서 다중 비트를 동시에 송수신하는 향상된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들은 다음과 같이 달성된다. 정보처리 버스를 통해서 다중 비트를 동시에 송신 및 수신하는 방법 및 시스템은, 각각의 비트를 특정 주파수로 나타낸 후, 각 특정 주파수를 동시에 변조하여, 그 결과 파형을 정보처리 버스를 통해서 송신함으로써 달성된다. 그 다음, 수신된 파형을 복조하여, 각 특정 파형을 검출함으로써 해당 비트를 재생한다. 변조용으로 사용되는 반송파와 특정 주파수는 정보처리 버스 길이와 전기적인 특성에 기초하여 선택된다.
이하, 본 발명의 모든 목적, 특징 및 이점들을 상세한 설명을 통해서 살펴보기로 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구현할 수 있는 전형적인 컴퓨터 관련 정보처리 시스템의 블록도.
도 2 는 다중 비트를 송신하는 종래 기술의 한 유형을 나타낸 타이밍도.
도 3 은 정보처리 버스를 통해서 다중 비트를 동시에 송신하는 본 발명의 방법을 나타낸 블록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 : 전형적인 컴퓨터 시스템 103, 107 : 프로세서
104 : 인터럽트 제어기 105 : 시스템 버스
109 : 로컬 메모리 111 : PCI 호스트 브릿지 A 회로
113 : 2차 버스 115 : 확장 버스 인터페이스
117 : 확장 버스 119 : 키보드/마우스 어댑터
121 : 주변 장치 어댑터 123 : PCI 호스트 브릿지 B 회로
125 : PCI 버스 127, 129 : PCI 장치
131 : 직렬 케이블 133 : 직렬 장치
135 : 시작 비트 137 : 종결 비트
139 : 비동기 라인 141 : 8 데이터 비트
143 : 1 비트 주기 145 : 레지스터
147 : 전압-제어 발진기 149 : 변조기
151 : 100 MHz 발진기 153 : 반송파
155 : 복조기 157 : 대역 통과 필터
159 : 검출기 161 : 버퍼
도 1 을 참조하면, 하나 이상의 컴퓨터나 워크스테이션을 여러가지 조합으로포함하는 통상의 컴퓨터 시스템 (101) 내에서, 여기에 논의된 여러가지 방법들을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결합하여 사용될 수 있는 컴퓨터 시스템의 예시적인 하드웨어 구성이 예시되며, 종래의 마이크로프로세서와 같은 프로세서 디바이스 (103) 및 어떠한 호스트 시스템 버스라도 될 수 있는 시스템 버스 (105) 를 통해 상호 연결된 다수의 다른 유닛을 포함한다. 이 시스템 버스는 프로세서 (107) 와 같이 버스에 접속된 하나 이상의 부가적인 프로세서를 가질 수 있다. 여기에 개시된 처리 방식은 다수의 다른 버스 및/또는 네트워크 구성에 적용할 것이라는 점이 유의한다. 버스 (105) 뿐만 아니라 나타낸 어떠한 다른 버스들도, 나타낸 바와 같이, 다른 컴퓨터 시스템, 워크스테이션 또는 네트워크, 및 다른 주변기기 등으로의 더 많은 접속부를 포함하도록 확장될 수 있다. 도 1 에 나타낸 컴퓨터 시스템은 로컬 메모리 (109) 를 포함한다.
시스템 버스 (105) 는 PCI(Peripheral Component Interconnect) 호스트 브릿지 A 회로 (111) 를 통해 2차 버스 (113) 에 연결되며, 이 예에서는, 확장 버스 인터페이스 (115) 를 통해 확장 버스 (117) 에 접속된다. 이 확장 버스 (117) 는 키보드/마우스 어댑터 (119)로의 접속부 및 주변 장치 어댑터 (121) 등의 다른 주변 장치 어댑터로의 접속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시스템 버스 (105) 는 PCI 호스트 브릿지 B (123) 와 같은 부가적인 브릿지 회로를 통해 부가적인 PCI 장치 (127, 129) 가 접속된 대응하는 PCI 버스 (125) 에 접속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이하 좀더 자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이용하여,이 주변 디바이스 어댑터 (121) 를 직렬 케이블 (131) 을 통해 하나 이상의 직렬 장치 (133)(마우스, 키보드, 모니터 등) 에 접속하는데 사용할 수 있다.
확장 버스 (117) 는 통상적으로 8개의 개별 와이어들을 통해 한번에 8비트씩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해 병렬 포트를 이용한다. 이는 데이터를 매우 신속하게 전송되도록 하지만, 그것이 가지고 있어야할 각각의 와이어의 갯수 때문에, 요구되는 케이블은 부피가 더 커지게 된다. 병렬 포트는 통상적으로 PC를 프린터에 연결시키는데 사용되며, 그 외에는 거의 사용되지 않는다. 직렬 포트는 하나의 와이어를 통해서 한번에 한 비트의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이러한 식으로 데이터의 각 바이트를 송신하는데 8배나 길게 시간이 걸리지만, 단지 소수의 와이어만이 요구된다. 실제로, 양방향(전 2중) 통신은 3개의 개별 와이어(즉 하나는 송신용 와이어, 다른 하나는 수신용 와이어, 나머지 하나는 공통 신호 접지 와이어)만으로도 가능하다. 도 2 는 직렬 포트를 통해서 비트를 송신하는 종래 기술의 타이밍도의 한 유형을 나타낸 것이다.
직렬 통신에는 2가지 기본 유형(즉, 동기 및 비동기)이 있다. 동기 통신에서는, 초기에 2개의 장치가 서로 자신들을 동기화시킨 후, 문자들을 동기화 상태로 유지하면서 계속 송신한다. 데이터가 실제로 송신되지 않더라도, 일정한 비트의 흐름에 의해 각 장치는 다른 비트들이 어떤 주어진 시각에 있는지는 알수 있다. 즉, 송신되는 각 문자는 실제의 데이터이거나 유휴 문자이다. 동기 통신은, 각 데이터 바이트의 시작과 끝을 표시하는 부가적인 비트들을 요하지 않기 때문에, 비동기 방법보다 데이터 송신률이 더 빠르다.
비동기는 "동기화하지 않음"을 의미하며 따라서, 유휴 문자를 송신하거나 수신하는 것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그러나, 각 데이터 바이트의 시작과 끝은 시작과 종결 비트에 의해 식별되어야 한다. 도 2 를 참조하면, 시작 비트 (135) 는 데이터 바이트가 시작하는 시점을 나타내며, 종결 비트 (137) 는 데이터 비트가 종료하는 시점을 나타낸다. 이러한 부가적인 2개의 비트를 송신해야 하는 조건은, 비동기 통신이 동기 통신보다 약간 더 느리게 하지만, 프로세서가 부가적인 유휴 문자를 처리할 필요가 없다는 이점이 있다. 유휴 상태인 비동기 라인 (139) 은 1의 값(또는, 마크(mark) 상태라 함)으로 식별된다. 현재 아무런 데이터도 송신되고 있지 않음을 나타내는데 이 값을 사용함으로써, 장치들은 유휴 상태와 비접속 라인을 구별할 수 있다. 문자가 송신되려고 하는 경우, 시작 비트 (135) 가 송신된다. 시작 비트 (135) 는 0의 값(또는 공백 상태라 하며, -12볼트의 전압을 갖는 것으로 나타남)을 갖는다. 따라서, 라인이 1의 값에서 0의 값(+12볼트에서 -12볼트)으로 변화될 때, 수신기는 데이터 문자가 라인으로 내려오려 한다는 것을 알게 된다.
일단 시작 비트 (135) 가 송신되면, 송신기는 실제의 데이터 비트를 송신한다. 선택에 따라 4,5,6,7 또는 8개의 데이트 비트일 수 있으며, 도 2에서는 ASCII 코드를 직렬로 송신하는데 8 비트로 나타내었다. 수신기와 송신기는 보 레이트(baud rate)뿐만아니라, 데이트 비트 수도 일치해야 한다. 데이터가 송신된 후에, 종결 비트 (137) 가 송신된다. 종결 비트는 1의 값 또는 마크 상태(+12볼트)를 가질 수 있으며, 이전 데이터 비트가 또한 1의 값을 가지는 경우에도, 정확하게 검출될 수 있다. 이는 종결 비트의 지속 기간(duration)에 의해 달성된다. 종결 비트 (137) 는 길이에 있어서 1, 1.5 또는 2비트의 길이일 수 있으며, 도 2 에서는 1비트 주기 (143) 를 갖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직렬 케이블 (131) 을 따라 비트들을 직렬 송신하므로, 전송율을 증대시키기 위해서는, 비트들을 직렬 케이블을 따라 동시에 송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변복조 기술을 이용하여, 이를 달성한다.
변조란 디지털 데이터를 송신용의 아날로그 신호로 인코딩하는 과정을 지칭한다. 예를 들어, 데이터를 전화선을 통해 송신하는 경우, 모뎀은 그 데이터를 0Hz와 4Hz 사이의 주파수로 "반송된" 가청 톤으로 변조한다. 일단 그 데이터가 소정 목적지에 도달하면, 또다른 모뎀이 그 신호를 디지털 데이터로 복조한다. 도 3 을 참조하면, 직렬 케이블 또는 정보처리 버스 (131) 를 통해서 데이터를 동시에 송신하는 블록도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원리를 설명하기 위해 4비트의 니블을 예를 들어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레지스터 (145) 는 1010을 각각 나타내는 4개의 비트(b1, b2, b3및 b4)를 포함한다. 그 다음, 각 비트를 도 3에 각각 1MHz, 3MHz, 6MHz 및 9MHz로 표시되어 있는 특정 주파수 값으로 나타내기 위해, 각 비트가 전압-제어 발진기 (VCO;147) 를 통과한다. 그 후, 그 얻은 특정 주파수는 변조기 (149) 에 입력된다.
도 3 에 나타난 바와 같이, 비트가 1인 경우에는 각 선택 비트에 대한 특정 주파수가 발생하지만, 그 비트가 0인 경우에는 주파수가 발생되지 않는다. 따라서, 1MHz의 주파수로 나타나는 1의 값을 갖는 b1과 6MHz의 주파수로 나타나는 1의 값을 갖는 b3가 변조기 (149) 에 입력된다. b2와 b4는 0의 값을 가지므로, VCO (147) 는 어떠한 주파수도 발생하지 않는다. 변조시, 그 크기, 주파수, 또는 어떤 다른 특성이 변화하도록, 반송파 (153) 가 발생되거나 처리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주파수 변조 (FM) 는 크기가 일정하고, 어떤 순간에서의 주파수 변화가 다른 시변 신호에 비례하는 식으로 반송파 (153) 의 주파수를 변화시킨다.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발진기 (151) 는 반송파 (153) 를 발생시키는 변조기에 입력되는 100MHz의 반송 주파수를 발생한다. 그 결과 얻은 반송파의 대역폭은 100에서 110MHz까지이고 이것은 VCO (147) 의 최저치에서 최고치에 의해 성립되며, 이 반송파는 직렬 버스나 정보처리 버스 (131) 를 통해서 송신된다. 상기 비트들에 대한 특정 주파수와 그 특정 주파수들을 동시에 변조하기 위한 반송 주파수는, 전기적인 특성과 직렬 버스 (131) 의 길이에 기초하여 선택되며, 도 3에 나타난 값들은 일예로서만 나타낸 것임에 주의해야 한다. 이러한 경우에, 이제 각 비트에 대한 특정 주파수가 직렬 버스 (131) 를 통해서 동시에 송신된다.
복조는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데이터로 디코딩하는 과정이다. 데이터가 전화선을 통해서 송신될 때, 모뎀은 그 데이터를 0Hz 와 4KHz 사이의 주파수 상의 "반송된" 가청 톤으로 변조한다.
일단 데이터가 소정 목적지에 도달하면, 또다른 모뎀은 신호를 디지털 데이터로 복조한다. 다시 도 3 을 참조하면, 반송파 (153) 가 신호를 복조하는 복조기 (155) 에서 수신된 후 대역 통과 필터 (BPF;157) 를 통과하게 된다. 일예로 나타난 바와 같이, 이 대역 통과 필터는 b1에 대해서는 0~2MHz, b2에 대해서는 2~4MHz, b3에 대해서는 5~7MHz, b4에 대해서는 8~10MHz이다. 또한 복조기 (155) 와 대역 통과 필터 (157) 는 전기적인 특성과 직렬 버스 라인 (131) 의 길이에 기초하여 선택된다. 도 3 에 나타낸 예에서, 0-2MHz와 5-7MHz 대역 통과 필터(157)는 비트 b1과 b3에 대해서 특정 주파수를 발생시킨다. 그 다음, 모든 대역 통과 필터 (157) 의 결과는 검출기 (159) 로 들어가며, 그 곳에서 주파수가 존재하는지를 감지하여 해당하는 1 또는 0을 할당한 후 해당하는 b1,b2,b3및 b4레지스터 위치를 가진 버퍼 (161) 로 송신된다. 상기 비트는 이제 직렬 버스 (131) 를 통해서 동시에 송신된다.
본 발명의 방법을 사용함으로써, 상기 직렬 버스 (131) 의 속도를 크게 증가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좀더 자세히 설명하면, 송신 속도는 4비트 니블을 사용하는 경우의 가장 느린 주파수의 4배라는 것이다. 따라서, 4비트의 스트림을 각각 4KHz, 6KHz, 8KHz 및 10KHz의 4개의 다른 주파수로 변조하는 예에서는, 송신 속도는 초당 4 ×4= 16K비트이다. 이는 초당 총 10K비트가 되는 10KHz로 송신되는 단일 비트보다도 훨씬 빠른 것이다. 이와 유사하게, 8비트 이상을 사용하는 경우에 더욱 향상된다. 본 발명의 방법을 이용하는 경우, 3와이어 직렬 구성 또는 다른 적절한 결선 구성을 사용하여 빠른 송신 속도를 달성할 수 있다. 그러나, 비트를 동시에 송신하는데 관련된 주파수들은 직렬 버스 전기 와이어량과 특성 및 길이에 기초해서 선택된다는 점을 주의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도 3 은 변조 및 복조를 하는 단 하나의 기술만을 예시한 것으로, 본 발명의 원리를 구현하는데 당해 분야의 어떠한 방식도 사용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방법 및 시스템을 여기에 개시된 바와 같이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설명하였다. 비록,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그 특정 변형물과 함께, 여기서 상세히 도시 및 설명하였지만, 당업자들은 본 발명의 원리를 구현하는 많은 다른 변형된 실시예를 쉽게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여기에 설명된 특정 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정신과 범주내에 합리적으로 포함될 수 있는 대체물, 변형물 및 균등물을 포함시키려는 것이다.

Claims (19)

  1. 데이터 처리 시스템 내의 버스 상에서 다중 비트를 송수신하는 방법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비트를 각 특정 주파수로 나타내는 단계;
    상기 하나 이상의 비트를 상기 각 특정 주파수로 버스를 통해 동시에 변조하여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각각의 특정 주파수를 동시에 복조하여, 상기 버스를 통하여 하나 이상의 비트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다중 비트를 송수신하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비트를 나타내는 단계는,
    상기 비트가 1인 경우에는 선택 비트에 대한 특정 주파수를 발생시키고, 상기 선택 비트가 0인 경우에는 특정 주파수를 발생시키지 않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다중 비트를 송수신하는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버스를 통해서 상기 각 특정 주파수를 동시에 변조하는데 사용하는 반송 주파수를, 버스 길이에 기초하여 선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다중 비트를 송수신하는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버스를 통해서 상기 각 특정 주파수를 동시에 변조하는데 사용하는 반송 주파수를, 버스의 전기적인 특성에 기초하여 선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다중 비트를 송수신하는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비트를 나타내는 상기 각 특정 주파수를, 버스 길이에 기초하여 선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다중 비트를 송수신하는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비트를 나타내는 상기 각 특정 주파수를, 버스의 전기적인 특성에 기초하여 선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다중 비트를 송수신하는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각 특정 주파수를 동시에 복조한 상기 각 특정 주파수를 처리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비트를 검출하는 용도를 가진 하나 이상의 필터를 선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다중 비트를 송수신하는 방법.
  8. 데이터 처리 시스템 내의 버스 상에서 다중 비트를 송수신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비트를 특정 주파수로 각각 나타내는 수단;
    상기 각 특정 주파수를 동시에 변조시키는 수단에 의해 상기 하나 이상의 비트를 버스를 통해 송신하는 수단; 및
    상기 각각의 특정 주파수를 동시에 복조시키는 수단에 의해 하나 이상의 비트를 상기 버스를 통해 수신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다중 비트를 송수신하는 시스템.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비트가 1인 경우에는 선택된 비트에 대한 특정 주파수를 발생시키는 수단과, 상기 선택 비트가 0인 경우에는 특정 주파수를 발생시키지 않는 수단을 포함하는 다중 비트를 송수신하는 시스템.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버스를 통해서 상기 각 특정 주파수를 동시에 변조시키는 상기 수단에 사용하는 반송 주파수를, 버스 길이에 기초하여 선택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 다중 비트를 송수신하는 시스템.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버스를 통해서 상기 각 특정 주파수를 동시에 변조시키는 상기 수단에 사용하는 반송 주파수를, 버스의 전기적인 특성에 기초하여 선택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 다중 비트를 송수신하는 시스템.
  12.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비트를 나타내는 상기 각 특정 주파수를, 버스 길이에 기초하여 선택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 다중 비트를 송수신하는 시스템.
  13.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비트를 나타내는 상기 각 특정 주파수를, 버스의 전기적인 특성에 기초하여 선택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 다중 비트를 송수신하는 시스템.
  14.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각 특정 주파수를 동시에 복조하는 상기 수단 후단에, 상기 각 특정 주파수에 대한 상기 하나 이상의 비트를 검출하는데 사용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필터를 선택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 다중 비트를 송수신하는 시스템.
  15. 데이터 처리 시스템 내의 버스 상에서 다중 비트를 송수신하는 회로로서,
    하나 이상의 비트를 하나 이상의 특정 주파수로 나타내는 하나 이상의 전압 제어 발진기;
    버스를 통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주파수를 동시에 변조하기 위한 반송 주파수를 갖는 변조기;
    상기 하나 이상의 변조된 특정 주파수들을 수신하여 복조하는 복조기;
    상기 하나 이상의 특정 주파수를 처리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비트를 재생하는 검출기에 통과시키는 하나 이상의 대역 통과 필터; 및
    하나 이상의 상기 재생된 비트를 수신하는 버퍼를 포함하는 다중 비트를 송수신하는 회로.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버스의 전기적인 특성과 길이에 기초하여 특정 주파수를 발생하는 상기 전압 제어 발진기를 더 포함하는 다중 비트를 송수신하는 회로.
  17.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버스의 전기적인 특성과 길이에 기초하여 선택된 상기 하나 이상의 특정 주파수를 변조하기 위한 상기 반송 주파수를 갖는 상기 변조기를 더 포함하는 다중 비트를 송수신하는 회로.
  18.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버스의 전기적인 특성과 길이에 기초하여 선택된 상기 하나 이상의 특정 주파수를 복조하는 상기 복조기를 더 포함하는 다중 비트를 송수신하는 회로.
  19.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버스의 전기적인 특성과 길이에 기초하여 선택된 상기 하나 이상의 특정 주파수를 재생하는 상기 대역 통과 필터를 더 포함하는 다중 비트를 송수신하는 회로.
KR1020000011469A 1999-03-22 2000-03-08 정보 처리 버스를 통해서 다중 비트를 동시에 전송 및수신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2001000675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7403399A 1999-03-22 1999-03-22
US09/274,033 1999-03-2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06753A true KR20010006753A (ko) 2001-01-26

Family

ID=230464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11469A KR20010006753A (ko) 1999-03-22 2000-03-08 정보 처리 버스를 통해서 다중 비트를 동시에 전송 및수신하는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2000307532A (ko)
KR (1) KR20010006753A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477243A (en) * 1987-09-18 1989-03-23 Hitachi Ltd Modulation communication type network
JPH0214345A (ja) * 1988-07-01 1990-01-18 Nec Corp マイクロプロセッサ多重化システム
JPH07143086A (ja) * 1993-11-17 1995-06-0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ディジタル伝送装置
JPH1168807A (ja) * 1997-08-22 1999-03-09 Hitachi Ltd ネットワーク装置
US6014719A (en) * 1997-03-07 2000-01-11 Advanced Micro Devices Inc. Modulated bus computer system having filters with different frequency coverages for devices on the bus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477243A (en) * 1987-09-18 1989-03-23 Hitachi Ltd Modulation communication type network
JPH0214345A (ja) * 1988-07-01 1990-01-18 Nec Corp マイクロプロセッサ多重化システム
JPH07143086A (ja) * 1993-11-17 1995-06-0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ディジタル伝送装置
US6014719A (en) * 1997-03-07 2000-01-11 Advanced Micro Devices Inc. Modulated bus computer system having filters with different frequency coverages for devices on the bus
JPH1168807A (ja) * 1997-08-22 1999-03-09 Hitachi Ltd ネットワーク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0307532A (ja) 2000-1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02884A (en) Multiplexing scheme for modem control signals
AU598120B2 (en) High speed half duplex modem with fast turnaround protocol
US8195864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bridged data transmission and protocol translation in a high serialized data system
US4488293A (en) Asynchronous digital TDM multiplexer-demultiplexer combination
JPH0114738B2 (ko)
JP3094087B2 (ja) インタフエースユニツト
KR20000057091A (ko) 고전압 인터페이스를 가로지르는 동기 데이터 전송 프로토콜
US7515613B2 (en) Data transmission apparatus and data transmission method
KR920008450B1 (ko) 동기 및 비동기 데이타 전송을 검출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US6385319B1 (en) Encoding circuit and method of detecting block code boundary and establishing synchronization between scrambler and descrambler
KR20010006753A (ko) 정보 처리 버스를 통해서 다중 비트를 동시에 전송 및수신하는 방법 및 시스템
US4573170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ampling multiple carrier signals
US6788743B1 (en) Modulation of a primary data channel reference clock to form a separate data communication channel
US6195702B1 (en) Modem for maintaining connection during loss of controller synchronism
JP2793351B2 (ja) タイミング信号分配装置
ES8602323A1 (es) Un sistema de transmision de datos
US5689643A (en) Communication device for transmitting asynchronous formatted data synchronously
EP0406187A1 (en) Method and arrangement for encryption
GB1581837A (en) Peripheral device controller for a data processing system
KR100863369B1 (ko) 사이클 인코딩된 신호에 관한 수신기
EP0924907A2 (en) Multiplexed transmission using PAM
JP2003163952A (ja) 非対称デジタル加入者回線接続のためのisdn網クロック分配装置
WO198700343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ncoding and transmitting signals
Gibson The teleprocessing environment
JPH05130088A (ja) データ通信方式及び伝送速度設定回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