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06131A - 배수기구 제어용 자동조절식 제어장치 - Google Patents

배수기구 제어용 자동조절식 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06131A
KR20010006131A KR1019997009209A KR19997009209A KR20010006131A KR 20010006131 A KR20010006131 A KR 20010006131A KR 1019997009209 A KR1019997009209 A KR 1019997009209A KR 19997009209 A KR19997009209 A KR 19997009209A KR 20010006131 A KR20010006131 A KR 200100061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ing
socket
control device
pitch
thr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70092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올리비에 플라스
필립 그레코
Original Assignee
씨앙프 세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씨앙프 세답 filed Critical 씨앙프 세답
Publication of KR200100061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06131A/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00Water flushing devices with cisterns ; Setting up a range of flushing devices or water-closets; Combinations of several flushing devices
    • E03D1/02High-level flushing systems
    • E03D1/14Cisterns discharging variable quantities of water also cisterns with bell siphons in combination with flushing valves
    • E03D1/142Cisterns discharging variable quantities of water also cisterns with bell siphons in combination with flushing valves in cisterns with flushing valv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5/00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 E03D5/02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operated mechanically or hydraulically (or pneumatically) also details such as push buttons, levers and pull-card therefor
    • E03D5/09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operated mechanically or hydraulically (or pneumatically) also details such as push buttons, levers and pull-card therefor directly by the han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Sanitary Device For Flush Toilet (AREA)
  • Cleaning By Liquid Or Steam (AREA)
  • Devices For Medical Bathing And Washing (AREA)
  • Beverage Vending Machines With Cups, And Gas Or Electricity Vending Machines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 Reduction Or Emphasis Of Bandwidth Of Signals (AREA)
  • Heating, Cooling, Or Curing Plastics Or The Like In General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 Extru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Bidet-Like Cleaning Device And Other Flush Toilet Accessories (AREA)
  • Washing And Drying Of Tableware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 Feeding And Watering For Cattle Raising And Animal Husbandry (AREA)
  • 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AREA)
  • Fluid-Pressure Circuits (AREA)
  • Making Paper Articles (AREA)
  • Farming Of Fish And Shellfish (AREA)

Abstract

수조 배수기구 제어용 자동조절식 제어장치는 브라켓트에 의해 지지되며, 당김 핸들에 구비된 핑거에 작용하여 배수를 실시할 수 있는 회전암이 제공되고, 상기 배수의 제어가 상기 회전암의 헤드에 작용하는 로드를 통해 외부로부터 수조의 덮개에 접근할 수 있는 제어 버튼에 의해 이루어진다.
제어 버튼(19,20)을 포함하는 케이싱(16)에 피치가 p1인 나사산이 하부(15)에 제공된다. 상기 케이싱(16)과 일체로 회전가능하게 성형된 소켓(14)에 피치가 p2인 나사산이 제공된다. 상기 소켓(14)에 의해 지지되는 프레임(25)은 상기 회전암(10,11)의 회전축(26)을 지지하게 된다. 상기 나사산 피치(p1)(p2)는 상기 핑거(33,34)의 축으로부터 회전암(10,11)의 헤드(29,30) 및 상기 로드(21,22)의 접촉위치(31,32)까지(L1)와, 회전암(10,11)의 회전축(26)까지의 거리(L2)의 수직 투영의 p1/p2 = L1/L2 비율로 결정된다.

Description

배수기구 제어용 자동조절식 제어장치{SELF-ADJUSTING CONTROL DEVICE FOR FLUSHING SYSTEM MECHANISM}
그러나, 일반적으로 상기 제어 버튼의 위치는 조정되어야만 한다. 이러한 조정은 상기 제어 버튼을 제거하고, 당김 핸들을 통해 상기 밸브를 개방하는 회전암에 제어압력을 가하는 수직 로드를 적당한 도구로 절단함으로써 이루어진다. 그 후, 상기 제어 버튼은 제자리에 놓여진다.
상기 제어 버튼의 위치 조정에 따른 기술적 문제점은 나란하게 놓인 2개의 버튼에 의해 용량이 다른 2가지 배수를 제공할 수 있는 배수기구의 경우에 있어서 심각하다. 이 경우, 2개의 수직 로드가 동일한 높이로 절단되어야만 하고, 둘중 하나가 너무 짧게 잘린 경우에는 교체해야만 한다. 이와 같은 이유 때문에, 종래에 안출된 수조 조립용 조립체에 있어서, 배수기구에 수개, 일반적으로는 4 또는 5개의 로드가 수반된다.
본 발명은 수조 배수기구용 자동조절식 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세라믹 수조용 배수기구 및 상기 수조의 덮개 상에 장착된 버튼에 의해 이루어지는 배수 제어에 관한 것이다.
세라믹 수조에 있어서, 수조 높이 및 덮개 높이는 수조마다 다를 수 있다. 높이 차이는 일반적으로 수 밀리미터지만, 수십 밀리미터를 초과할 수도 있다.
통상적으로, 배수기구의 높이 사전 조정(pre-adjustment)은 제어 버튼을 포함하는 기구의 상부와, 밸브를 포함하는 하부를 연결하는 브라켓트를 이용하여 실시된다. 상기 브라켓트는 나사산이 구비된 2개의 수직암을 포함하되, 상기 나사산은 약 15㎜ 간격(step)으로 암에 규칙적으로 분포되어 있다. 상기 사전 조정은 브라켓트의 나사산을 통해 제어 버튼을 세라믹 수조의 덮개 상부 높이까지 정확하게 옮김으로써 이루어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조절식 제어장치를 포함한 배수기구의 개략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조절식 제어장치의 정면도이며,
도 3은 도 2의 AA선을 따라 취한 확대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제거후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4와 유사한 도면으로서, 배수 제어부만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제어 버튼의 위치 조정을 위해 제어용 수직로드에 대한 간섭(intervention)이 필요없는 배수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제어 버튼의 위치 조정이 수동 나사조임으로 간단하게 이루어지는 배수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제어 버튼의 방위가 수조에서의 배수기구 위치에 연동되지 않는 배수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당김 핸들에 구비된 핑거에 작용하여 배수를 실시할 수 있는 회전암이 제공되고, 상기 배수의 제어가 상기 회전암의 헤드에 작용하는 로드를 통해 외부로부터 수조의 덮개에 접근할 수 있는 제어 버튼에 의해 이루어지며, 브라켓트에 의해 지지되는 수조기구 자동조절식 제어장치에 있어서, 자동조절식 상기 제어장치는
제어 버튼을 포함하고, 피치가 p1인 나사산이 하부에 제공된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과 일체로 회전가능하게 성형되고, 피치가 p2인 나사산이 제공된 소켓; 및
상기 소켓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회전암의 회전축을 지지하는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나사산 피치(p1 및 p2)는 상기 핑거의 축으로부터 회전암의 헤드 및 상기 로드의 접촉위치까지와, 회전암의 회전축까지의 거리(L1,L2)의 수직 투영(projection)의 p1/p2 = L1/L2 비율로 결정되며,
상기 브라켓트는 나사산의 피치가 p1인 슬리브와 나사산의 피치가 p2인 링을 지지하고,
상기 케이싱이 수조의 덮개에 안착될 때까지 케이싱을 나사조임함으로써, 상기 로드의 길이를 조정하지 않고 배수를 제어하기 위한 회전암의 회전축 위치 조정을 자동으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조절식 제어장치이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소켓은 키결합(keying)으로 상기 케이싱과 일체로 회전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프레임은 소켓의 하부에 위치된 플랜지를 통해 소켓에 의해 지지되며, 소켓이 회전할 때 상기 프레임은 플랜지 상에서 슬라이드되고,
상기 케이싱은 그 상부에 수조 덮개상의 지지 플랜지를 포함한다.
밸브(1), 벨(2), 높이 사전 조정용 나사산(4)이 수직암에 제공된 브라켓트(3), 제어장치(5), 부구(float; 6), 록커(7), 완전배수 및 부분배수에 상응하는 밸브의 개방을 각각 제어하기 위한 2개의 당김 핸들(8)(9) 및 해당 푸쉬 버튼의 수작동에 따라 각각 상기 당김 핸들(8)(9)을 리프팅시키기 위한 2개의 회전암(10)(11)과 함께, 배수기구 전체가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도 2에서, 상기 제어장치는 참조번호(5)로 표시 되어있고, 상기 브라켓트는 각각의 높이 사전 조정용 나사산(4)을 지지하는 2개의 수직암과 함께 도시되어 있으며, 2개의 회전암(10)(11)이 당김 핸들(8)(9)없이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배수기구의 제어장치(5)의 일실시예가 도 3에 도시되어 있다. 위치가 수조에 따라 결정되는 브라켓트(3)가 역시 위치가 수조에 따라 결정되는 나사산이 형성된 링(12) 및 슬리브(13)를 지지하게 된다.
상기 나사산이 형성된 링(12)의 내부에는, 상기 링(12)과 일치하는 피치(p2)를 가진 나사산을 포함하는 소켓(14)이 위치된다. 케이싱(16)의 하부(15)는 상기 슬리브(13) 내측에 위치된다. 상기 하부(15)는 상기 슬리브(13)의 피치와 일치하는 피치(p1)를 가진 나사산이 형성된다.
상기 케이싱(16)의 상부는 수조의 세라믹 덮개(18)상에 놓이도록 제공된 플랜지(17)를 포함한다. 상기 케이싱(16)의 상부는 원통형 컵 형상을 갖고, 각각 완전배수와 부분배수를 제어하는 2개의 배수 버튼(19)(20)을 포함한다.
완전배수용 제어 버튼(19)은 로드(21)를 포함하되, 로드의 하부는 관 형상을 갖고 소켓(14) 내부에서 마찰없이 움직일 수 있다. 부분배수용 제어 버튼(20)은 로드(22)를 포함하되, 로드의 하부는 상기 버튼(19)에 의해 지지되는 로드(21)의 하부와 동일한 높이이며 상기 로드(21)의 하부 내측에서 슬라이딩하게 된다. 상기 로드(21)(22)는 축방향으로 자유롭게 움직이도록 구멍을 관통하여 케이싱(16)의 상부를 형성하는 컵의 바닥부(23)를 가로지르나, 모두 케이싱(16)과 일체로 회전가능하게 성형된다.
하부에서, 상기 소켓(14)은 플랜지(24)를 갖되, 플랜지에는 회전암(10)(11)의 회전축(26)을 지지하는 프레임(25)이 위치된다.
상기 프레임(25)은 소켓(14)과 함께 축방향으로 움직이나, 소켓(14)의 회전운동을 따르지 않고 플랜지(24)상에서 슬라이드함으로써 상기 축(26)은 평행한 상태로 축방향으로 움직이게 된다.
각각의 암(10)(11)은 자신의 하단부에 후크(27)(28)를 각각 갖되, 상기 후크에는 당김 핸들(8)(9)이 각각 걸리게 된다. 상기 암(10)(11)은 자신의 상단부에 헤드(29)(30)를 각각 갖되, 상기 헤드는 로드(21)(22)의 하단부 아래에 인접하여 각각 접촉위치(31)(32)에 놓인다.
상기 당김 핸들(8)(9)은 후크(27)(28)에 각각 걸리는 핑거(33)(34)를 자신의 상단부에 각각 갖는다.
특정 회전암(10)에 있어서, 핑거(23), 축(26) 및 접촉위치(31)는 일직선을 이루며, 수직 투영하면 핑거(33)의 중심으로부터 축(26) 중심까지의 거리는 L2이고, 핑거(33)의 중심으로부터 접촉위치(31)까지의 거리는 L1이다.
세라믹 수조에 배수기구를 장착하는 작업은 케이싱(16)의 상부 플랜지(17)를 수조의 덮개(18) 위에 최대한 근접하여 위치되도록 브라켓트(3)의 나사산(4)을 통해 높이를 사전 조정함으로써 이루어진다. 그러나, 나사산(4)의 간격이 약 15㎜이기 때문에, 상기 플랜지(17)가 도 3에서와 같은 위치에 있고 덮개가 위치(18a)에 있어서, 상기 두 위치사이의 간격이 H1일 수 있다. 플랜지(17)를 높이(H1) 만큼 아래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케이싱(16)은 나사산이 형성된 슬리브(13) 속으로 회전되어야만 한다. 회전시, 상기 케이싱은 35로 표시된 키결합으로 소켓(14)을 움직인다. 상기 소켓(14)은 나사산이 형성된 링(12) 속으로 회전되며, 하방운동시 프레임(25)을 따라 움직인다. 케이싱(16)은 피치(p1)로 하방운동하고, 소켓(14)은 피치(p2)로 하방운동하되, p2는 p1과 다르다. 높이(H1)만큼의 케이싱(16) 하방운동은 동일한 높이(H1)만큼의 접촉위치(31)(32) 하방운동을 야기한다. 나사산 피치(p2)가 (p1)과 다른 것과 같이 (H1)과 다른 높이(H2)만큼의 소켓(14) 하방운동은 동일한 높이(H2)만큼의 축(26) 하방운동을 야기한다. 상기 케이싱(16) 및 소켓(14)에 대한 나사조임 횟수는 동일하며, 높이(H1)(H2)는 피치(p1)(p2)에 각각 동일한 비율로 비례하고, 그 관계는 H1/p1 = H2/p2, 즉 H1/H2 =p1/p2로 표시된다.
핑거(33)(34)는 홈 위치(home position)가 브라켓트(3)의 사전 조정과 당김 핸들(8)(9)의 고정길이에 의해 한정되기 때문에 고정된다. 상기 케이싱(16) 및 소켓(14)의 하방운동중 회전암(10)(11)이 유효위치(effective position)에 존재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하방운동중 케이싱이 어떠한 위치에 있을지라도 핑거(33)(34)의 중심, 축(26)의 중심 및 접촉위치(31)(32)는 일직선을 유지하여야 한다. 이러한 조건은 높이(H1)(H2)가 거리(L1)(L2)와 동일한 비율 즉, H1/H2 = L1/L2일 경우 충족된다.
위의 등식을 모두 조합하면 p1/p2 = L1/L2의 관계식이 유도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케이싱(16)과 소켓(14)의 나사산 피치(p1)(p2)는 거리(L1)(L2)와 동일한 비율이다.
따라서, 수조의 세라믹 덮개의 높이와 일치하도록 케이싱(16)의 위치가 변화될 경우, 핑거(33)(34)는 고정된 채로 유지되면서 소켓(14)의 위치도 거리(L1)(L2)에 비례하여 변화되고, 회전암(10)(11)의 헤드(29)(30)가 로드(21)(22) 아래의 접촉위치(31)(32)에 접촉된 채로 축(26)의 위치는 변화된다.
그 결과, 수조 덮개의 위치에 따라 배수기구를 조절하기 위해 로드(21)(22)의 길이를 변경할 필요가 없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어 버튼의 위치는 수조 내부의 배수기구 위치와 무관하며, 이는 상기 부구가 적절하게 작동할 수 있도록 하는 수조 내부의 가장 유리한 위치에 기구가 위치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사용자를 위해 가장 적당한 위치에 상기 버튼이 위치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수조 덮개의 가변 위치에 상기 배수기구를 설치하는 작업이 단순히 케이싱(16)을 나사조임함으로써 자동적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배수기구용 제어장치의 구성부품의 상대 위치가 도 4 및 도 5에 상세하게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이 특정 실시예에 대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기술적 등가물로 대체가능한 다른 구성부품의 특정구조에 한정되지 않는다. 특히, 이는 단일 제어식 배수 시스템의 경우에 적용가능하다.
일단 상기 배수기구를 수조에 놓고, 제어장치를 자동적으로 조정하기 위하여 케이싱(16)을 나사조임하는 것만으로 모든 과정이 끝나기 때문에, 상기 장치는 자동조절식으로 평가될 수 있다.

Claims (4)

  1. 당김 핸들에 구비된 핑거에 작용하여 배수를 실시할 수 있는 회전암이 제공되고, 상기 배수의 제어가 상기 회전암의 헤드에 작용하는 로드를 통해 외부로부터 수조의 덮개에 접근할 수 있는 제어 버튼에 의해 이루어지며, 브라켓트에 의해 지지되는 수조기구 자동조절식 제어장치에 있어서, 자동조절식 상기 제어장치는
    제어 버튼(19,20)을 포함하고, 피치가 p1인 나사산이 하부(15)에 제공된 케이싱(16)과;
    상기 케이싱(16)과 일체로 회전가능하게 성형되고, 피치가 p2인 나사산이 제공된 소켓(14); 및
    상기 소켓(14)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회전암(10,11)의 회전축(26)을 지지하는 프레임(25)을 포함하고,
    상기 나사산 피치(p1, p2)는 상기 핑거(33,34)의 축으로부터 회전암(10,11)의 헤드(29,30) 및 상기 로드(21,22)의 접촉위치(31,32)까지와, 회전암(10,11)의 회전축(26)까지의 거리(L1,L2)의 수직 투영의 p1/p2 = L1/L2 비율로 결정되며,
    상기 브라켓트(3)는 나사산의 피치가 p1인 슬리브(13)와 나사산의 피치가 p2인 링(12)을 지지하고,
    상기 케이싱(16)이 수조의 덮개에 안착될 때까지 케이싱을 나사조임함으로써, 상기 로드(21,22)의 길이를 조정하지 않고 배수를 제어하기 위한 회전암(10,11)의 회전축(26) 위치 조정을 자동으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조절식 제어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소켓(14)은 키(35)결합으로 상기 케이싱(16)과 일체로 회전가능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조절식 제어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25)은 소켓(14)의 하부에 위치된 플랜지(24)를 통해 소켓(14)에 의해 지지되며, 소켓(14)이 회전할 때 상기 프레임(25)은 플랜지 상에서 슬라이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조절식 제어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16)은 그 상부에 수조 덮개(18)상의 지지 플랜지(17)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조절식 제어장치.
KR1019997009209A 1997-04-11 1998-04-10 배수기구 제어용 자동조절식 제어장치 KR2001000613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9704475A FR2762025B1 (fr) 1997-04-11 1997-04-11 Dispositif autoreglable de commande d'un mecanisme de chasse d'eau
FR97/04475 1997-04-1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06131A true KR20010006131A (ko) 2001-01-26

Family

ID=95058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7009209A KR20010006131A (ko) 1997-04-11 1998-04-10 배수기구 제어용 자동조절식 제어장치

Country Status (16)

Country Link
US (1) US6163897A (ko)
EP (1) EP0973978B1 (ko)
JP (1) JP2001519000A (ko)
KR (1) KR20010006131A (ko)
CN (1) CN1158438C (ko)
AT (1) ATE222627T1 (ko)
AU (1) AU728625B2 (ko)
DE (1) DE69807323T2 (ko)
ES (1) ES2181216T3 (ko)
FR (1) FR2762025B1 (ko)
HK (1) HK1006918A2 (ko)
PL (1) PL336084A1 (ko)
PT (1) PT973978E (ko)
TR (1) TR199902489T2 (ko)
TW (1) TW378244B (ko)
WO (1) WO1998046836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9725B1 (ko) * 2007-11-30 2009-07-29 주식회사 삼홍테크 도기 일체형 비데의 자동 물내림장치
KR101009395B1 (ko) * 2008-08-06 2011-01-19 주식회사 동부하이텍 이미지 센서의 트랜지스터 및 그 제조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42772B2 (en) * 1998-09-14 2002-09-03 Fluidmaster, Inc. Advanced dual-flush valve
DE20018835U1 (de) 1999-12-21 2001-02-08 Geberit Technik Ag Betätigungseinrichtung für das Ablaufventil eines Spülkastens
US6637041B1 (en) * 2002-07-24 2003-10-28 Gutierrez Jose Blanco Toilet tank discharge device
GB0229014D0 (en) * 2002-12-12 2003-01-15 Polypipe Bathroom & Kitchen Pr Valve assembly
DE102005020752A1 (de) * 2005-05-02 2006-11-09 GROHEDAL Sanitärsysteme GmbH & Co. KG Spülkasten mit einem Deckel
ES2350863T3 (es) * 2007-05-25 2011-01-27 Geberit International Ag Dispositivo de accionamiento para una grifería de salida y grifería de salida con un dispositivo de accionamiento de este tipo así como un método para el montaje de una grifería de salida de este tipo.
WO2009045442A1 (en) * 2007-10-03 2009-04-09 Fluidmaster, Inc. Dual flush button assembly
WO2010019525A1 (en) * 2008-08-11 2010-02-18 Fluidmaster, Inc. Diverter valve with minimum bias forces
US10047509B2 (en) * 2010-01-08 2018-08-14 Danco, Inc. Dual flush activation
US9803348B1 (en) 2010-11-30 2017-10-31 Danco, Inc. Electrically controlled flush
US9267275B2 (en) 2011-11-22 2016-02-23 Danco, Inc. Dual flush handle control
WO2013091206A1 (zh) * 2011-12-22 2013-06-27 Liu Yongmao 一种轻触式双排水阀
PL2692956T3 (pl) * 2012-08-03 2017-04-28 Geberit International Ag Armatura odpływowa o regulowanej wysokości
US10161122B2 (en) * 2013-11-13 2018-12-25 Lab (Xiamen) Sanitary Fitting Inc Twin water-drainage valve inner core tube starting apparatus
FR3134125B1 (fr) 2022-04-05 2024-05-03 Delabie Dispositif de commande pour mecanisme de reservoir de chasse d’eau permettant de declencher un grand ou un petit volume de rincage au choix de l’utilisateur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H659100A5 (de) * 1983-07-01 1986-12-31 Geberit Ag Betaetigungsvorrichtung eines ablaufventils eines spuelkastens.
FR2621630B1 (fr) * 1987-10-09 1989-12-15 Pocachard Thierry Mecanisme de commande de chasse d'eau pour wc par poussoir
ES2093086T3 (es) * 1990-08-29 1996-12-16 Geberit Ag Dispositivo de accionamiento de una valvula de vaciado de una cisterna.
FR2719858B1 (fr) * 1994-05-16 1996-07-26 Michel Begard Dispositif pour commander le mécanisme de vidange d'un réservoir.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9725B1 (ko) * 2007-11-30 2009-07-29 주식회사 삼홍테크 도기 일체형 비데의 자동 물내림장치
KR101009395B1 (ko) * 2008-08-06 2011-01-19 주식회사 동부하이텍 이미지 센서의 트랜지스터 및 그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R199902489T2 (xx) 2000-03-21
PL336084A1 (en) 2000-06-05
PT973978E (pt) 2002-11-29
DE69807323T2 (de) 2003-04-17
CN1158438C (zh) 2004-07-21
FR2762025B1 (fr) 1999-07-09
AU7340698A (en) 1998-11-11
EP0973978A1 (fr) 2000-01-26
TW378244B (en) 2000-01-01
ES2181216T3 (es) 2003-02-16
FR2762025A1 (fr) 1998-10-16
DE69807323D1 (de) 2002-09-26
WO1998046836A1 (fr) 1998-10-22
ATE222627T1 (de) 2002-09-15
AU728625B2 (en) 2001-01-11
US6163897A (en) 2000-12-26
HK1006918A2 (en) 1999-02-26
JP2001519000A (ja) 2001-10-16
EP0973978B1 (fr) 2002-08-21
CN1252114A (zh) 2000-05-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0006131A (ko) 배수기구 제어용 자동조절식 제어장치
FI78146B (fi) Drivanordning foer avledningsventilen till en spolbehaollare.
JP2700135B2 (ja) 丸編機
EP0413608B1 (en) Circular knitting machine
CN100529284C (zh) 解扣杆装置
KR970004711B1 (ko) 견직물의 정련방법 및 장치
US6206052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forming a winding for a stator of a dynamoelectric machine
EP0913532B1 (en) Improvements to a device for controlling the water discharge valve of a cistern for sanitary apparatus
US2990068A (en) Adjustable shelf mechanism for a refrigerator
CN111006268B (zh) 一种装饰罩安装装置及应用有该安装装置的吸油烟机
JPH0726464Y2 (ja) 排水栓装置
JP2560776Y2 (ja) 水槽用排水栓の操作部構造
EP2229488B1 (en) Device for fixing the toilet bowl of a suspended toilet
US20060092628A1 (en) Leveler for light assembly
US1984302A (en) Time period control device
KR910005703Y1 (ko) 오버헤드 프로젝터 (over head projector)의 색수차 조절장치
CN219091942U (zh) 一种水浴恒温振荡器
SU1280058A1 (ru) Механизм в зани шнуров зальной машины
CN111006266B (zh) 一种装饰罩安装装置及应用有该安装装置的吸油烟机
CN109307126B (zh) 一种机械化流程设备用调节脚杯
KR200175137Y1 (ko) 열처리로 하부의 워터박스내 스케일 드레인장치
KR900006789Y1 (ko) 키이보오드의 경사 조절장치
KR910006959Y1 (ko) 자동 취사장치
KR200170334Y1 (ko) 세탁기의 배수구조
KR200417189Y1 (ko) 수조의 배수구 개폐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