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05396A - 화상 치료용 연고 - Google Patents

화상 치료용 연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05396A
KR20010005396A KR1019990026242A KR19990026242A KR20010005396A KR 20010005396 A KR20010005396 A KR 20010005396A KR 1019990026242 A KR1019990026242 A KR 1019990026242A KR 19990026242 A KR19990026242 A KR 19990026242A KR 20010005396 A KR20010005396 A KR 200100053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ntment
burn
acid
sesame oil
tre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262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옥경
Original Assignee
최옥경
최은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옥경, 최은경 filed Critical 최옥경
Priority to KR10199900262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005396A/ko
Publication of KR200100053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05396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6Ointments; Bases therefor; Other semi-solid forms, e.g. creams, sticks, ge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56Materials from animals other than mammals
    • A61K35/63Arthropods
    • A61K35/64Insects, e.g. bees, wasps or fleas
    • A61K35/644Beeswax; Propolis; Royal jelly; Hone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300/00Mixtures or combinations of active ingredients, wherein at least one active ingredient is fully defined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Biotechnology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otan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Zoology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통증이 경감되고 흉터가 남지 않는 화상 치료용 연고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화상 치료용 연고는 참기름 76.9 내지 80 중량% 및 백밀 20 내지 23.1 중량%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화상 치료용 연고{Oinment for treating a burn}
본 발명은 통증이 경감되고 흉터가 남지 않는 화상 치료용 연고에 관한 것이다.
화상은 열 또는 불과의 접촉이 원인이 되어 생기며, 피부 발적, 동통, 수포발생 등의 증상을 보이며 심하면 피부 조직의 괴사를 가져오며, 결국 붉은 반점, 푸른 반점, 피부의 두꺼워짐 등의 흉터가 남는다.
종래에 사용된 화상 치료 방법은 화상 부위에 바세린유 또는 바세린 거즈를 붙이는 것이나, 이 방법을 이용하면 환부에 밀착된 거즈를 떼어낼 때 통증을 수반하며 치료 후에도 붉은 반점, 푸른 반점 등의 흉터가 남는다. 또한, 2도 및 3도 화상의 경우에는, 화상으로 인해 괴사된 피부 조직을 제거한 후 노출된 환부를 직접 치료하는 방법이 사용되는데, 이 방법도 피부 조직 제거시에 고통을 수반하며 치료 후에도 여전히 흉터를 남긴다.
따라서, 이러한 통증이 경감되고 흉터가 남지 않는 화상 치료제의 개발이 절실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통증이 경감되고 흉터가 남지 않는 화상 치료제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참기름 76.9 내지 80 중량% 및 백밀 20 내지 23.1 중량%를 포함하는 화상 치료용 연고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참기름은 진유로도 불리며, 45 내지 55%가 지방산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이 지방산에는 다시 기름산 48.1%, 리놀산 36.8%, 팔미틴산7.7%, 아라킨산 0.4%, 스테아린산 4.6% 및 리쿠도세린산 0.04%이 포함되어 있다. 상기 참기름의 사용량은 연고 총 중량에 대하여 76.9 내지 80 중량%이며, 이중 77.9 내지 78.9 중량%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참기름과 함께 사용되는 상기 백밀은 백랍으로도 불리며, 주성분은 파라핀이다. 상기 백밀의 사용량은 연고의 총 중량에 대하여 20 내지 23.1중량%이며, 이중 21.1 내지 22.1 중량%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연고에는 상기 참기름과 백밀 외에도 연고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방부제 등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첨가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방부제의 예로는 메틸파라벤, 프로필 파라벤 등의 파라벤류, 벤질알콜, 벤조산나트륨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연고는 참기름과 백밀을 혼합한 후 110 내지 160℃로 가열하여 백밀을 녹인 다음 골고루 저어주어 제조할 수 있다.
이렇게 제조된 연고는 식염수 또는 통상적인 소독제로 세척한 환부에 적당량을 1일 수회 도포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서는 연고를 도포하기 전에 소독한 바늘을 이용하여 수포에 구멍을 내어 진물을 제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연고는 환부의 피부를 벗겨내지 않은 채로 거즈를 사용함이 없이 환부에 직접 적용되므로 피부를 벗겨내는 통증이 전혀 없다.
본 발명의 연고는 화상 부위의 수포와 통증을 감소시키면서 붉은 반점, 푸른반점, 피부의 두꺼워짐 등의 흉터를 남기지 않으면서 2차 감염을 막아주어, 화상을 효과적으로 치료한다.
또한 본 발명의 연고에 사용되는 참기름은 이미 오래전부터 식용되어 그 안전성은 이미 확인된 것이며, 백밀도 이전부터 연고에 사용되어 온 성분으로 안전하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 실시예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참기름 30g과 백밀 8.5g을 혼합한 후 140 ℃까지 가열하여 백밀을 다 녹인후 골고루 저어주어 연고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참기름 30g과 백밀 8.5g을 사용한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의 방법을 동일하게 실시하여 연고를 제조하였다.
시험예 1
얼굴과 팔에 2 내지 3도의 화상을 입은 45세 남자의 환부를 식염수로 세척한후 소독제(세네풀, 성광제약주식회사)로 세척한 다음 그 위에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연고를 도포하였으며, 이 과정을 1일 3회씩 25일 동안 반복하였다.
그 결과, 1일째에 화상으로 인한 동통이 사라졌고, 부풀어오름도 없었으며 피부 발적도 거의 나타나지 않았다. 3일째에는 환부가 갈색으로 변하였으나 부풀어오름이 없었으며, 10일째에는 화상으로 인해 괴사된 피부가 벗겨져 나가고 25일째에는 거의 완치되었으며 흉터는 남지 않았다.
시험예 2
발등에 2 내지 3도의 화상을 입은 40세 여자의 환부를 식염수로 세척한 후 70% 알콜로 세척한 다음 그 위에 실시예 1에서 제조된 연고를 0.02mm 두께로 도포하였으며, 이 과정을 1일 3회씩 25일 동안 반복하였다.
그 결과, 10일째에 괴사된 피부가 벗겨지기 시작했으며 25일째에 흉터가 전혀 없이 치료되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환부의 피부를 벗겨내지 않은 채로 거즈를 사용함이 없이 본 발명의 연고를 환부에 직접 적용함으로써, 피부를 벗겨내는 통증을 수반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치료후에도 흉터가 남지 않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참기름 76.9 내지 80 중량% 및 백밀 20 내지 23.1 중량%를 포함하는 화상 치료용 연고.
  2. 제 1항에 있어서,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첨가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화상 치료용 연고.
KR1019990026242A 1999-06-30 1999-06-30 화상 치료용 연고 KR2001000539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26242A KR20010005396A (ko) 1999-06-30 1999-06-30 화상 치료용 연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26242A KR20010005396A (ko) 1999-06-30 1999-06-30 화상 치료용 연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05396A true KR20010005396A (ko) 2001-01-15

Family

ID=195984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26242A KR20010005396A (ko) 1999-06-30 1999-06-30 화상 치료용 연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005396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1857B1 (ko) * 2006-05-03 2007-07-24 삼성전자주식회사 계면 저항을 줄일 수 있는 게이트 콘택 구조체를 구비하는반도체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CN105079749A (zh) * 2015-08-21 2015-11-25 罗盈 一种四姜酒及其制备方法
KR20220144070A (ko) 2021-04-19 2022-10-26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계란 껍데기 분말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상 치료용 조성물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1857B1 (ko) * 2006-05-03 2007-07-24 삼성전자주식회사 계면 저항을 줄일 수 있는 게이트 콘택 구조체를 구비하는반도체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US7776687B2 (en) 2006-05-03 2010-08-17 Samsung Electronics Co., Ltd. Semiconductor device having a gate contact structure capable of reducing interfacial resistance and method of forming the same
US8188532B2 (en) 2006-05-03 2012-05-29 Samsung Electronics Co., Ltd. Semiconductor device having a gate contact structure capable of reducing interfacial resistance
CN105079749A (zh) * 2015-08-21 2015-11-25 罗盈 一种四姜酒及其制备方法
KR20220144070A (ko) 2021-04-19 2022-10-26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계란 껍데기 분말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상 치료용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5402832B2 (en) Mussel adhesive protein product and applications thereof in suppression of skin inflammations
JP3640392B2 (ja) 皮膚科用組成物
US3943248A (en) Methods of treating burns using colophony containing preparations
Petres et al. Dermatosurgery
KR20140129370A (ko) 당뇨병성 궤양 치료를 위한 약제제조를 위한 약학 조성물의 용도
Connor et al. The pyruvic acid method in deep clinical burns
KR20010005396A (ko) 화상 치료용 연고
CN112755056A (zh) 一种烫伤药及其制备方法
EP0261362A2 (en) Ubidecarenone as a keloid remedy
KR101374537B1 (ko) 곰보배추를 이용한 화상치료용 약학 조성물
KR970002450B1 (ko) 천연재료를 원료로 한 화상치료제 및 그의 제조방법
KR20000052887A (ko) 민물 거북 기름, 바다 거북 기름, 이들 거북 기름을 포함하는 조성물, 그 제조 방법 및 그 용도
KR101530574B1 (ko) 욕창 및 화상 치료용 조성물
CN110624032A (zh) 一种治疗烧烫伤的膏剂及其制备方法
CN104435566A (zh) 一种治疗动物创伤外用药物及制备方法
Khan et al. Formulation and evaluation of derma heal cream against wound and burn healing activity in streptozotocin-induced diabetic Wistar albino rat
CN115414415B (zh) 一种治疗皮肤外伤及溃烂的中药组合物及制备方法
CN109498562B (zh) 一种紧急烧伤护理液及其制备方法
CN116898918A (zh) 一种烫伤药及其制备方法
KR100289906B1 (ko) 피부용조성물
CN115350147A (zh) 一种含cbd的烫伤修复膏及其制备方法
Patil et al. To study the healing effect of Mahagouradya ghritain the management of non-healing infected wound wsr to Chirakalin dushta vrana: A case study
RU2132187C1 (ru) Способ лечения заболеваний кожи и слизистых оболочек и магнитоактивное органическое соединение железа, используемое в нем
CN111632111A (zh) 一款治疗烧烫伤、创伤的黄药粉
TW201632191A (zh) 一種用於促進傷口癒合或預防、減少傷口疤痕生成的醫藥組合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