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03906A - 찌꺼기 분리장치 - Google Patents

찌꺼기 분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03906A
KR20010003906A KR1019990024431A KR19990024431A KR20010003906A KR 20010003906 A KR20010003906 A KR 20010003906A KR 1019990024431 A KR1019990024431 A KR 1019990024431A KR 19990024431 A KR19990024431 A KR 19990024431A KR 20010003906 A KR20010003906 A KR 200100039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pulley
belt
wastes
mo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244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45619B1 (ko
Inventor
왕송학
Original Assignee
왕송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왕송학 filed Critical 왕송학
Priority to KR10199900244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45619B1/ko
Publication of KR200100039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039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456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45619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12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 C02F11/121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by mechanical de-watering
    • C02F11/126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by mechanical de-watering using drum fil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3/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 B01D33/06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with rotary cylindrical filtering surfaces, e.g. hollow drums
    • B01D33/073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with rotary cylindrical filtering surfaces, e.g. hollow drums arranged for inward flow filt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3/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 B01D33/44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 B01D33/46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by scrapers, brushes nozzles or the like acting on the cake-side of the filtering element
    • B01D33/461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by scrapers, brushes nozzles or the like acting on the cake-side of the filtering element brus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3/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 B01D33/44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 B01D33/48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by flushing, e.g. counter-current air-bum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3/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 B01D33/58Handling the filter cake in the filter for purposes other than for regenerating the filter cake remaining on the filtering element
    • B01D33/62Handling the filter cake in the filter for purposes other than for regenerating the filter cake remaining on the filtering element for dry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3/00Specific treatment goals
    • C02F2303/16Regeneration of sorbents, filt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20Sludge process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Filtration Of Liqui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물기가 많은 하수도의 퇴적물이나 음식물 찌꺼기로부터 물을 효율적으로 분리하기 위한 찌꺼기 분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찌꺼기 분리장치는 회전축(1)에 2개의 풀리(2)(3)가 장착되며 회전력을 발생하기 위한 제1모터(M1)와; 이 제1모터(M1)의 회전시 벨트(4)에 의해 풀리(31)가 풀리(2)와 연결되어 회전되며 물기가 있는 쓰레기(10)에 포함된 물(20)만을 분리하기 위해 걸름망(31)이 형성된 물레방아형 회전체(30)와; 이 회전체(30)의 외주연에 밀착되어 제2모터(M2)의 회전축(5)에 장착한 풀리(6)와 회전축(41)에 장착한 풀리(42) 및 벨트(9)에 의해 회전됨으로써 물이 제거된 쓰레기만을 분리하기 위한 회전형 브러쉬(40)와; 물레방아형 회전체(30)의 하측에 장착되어 쓰레기(10)로부터 분리된 물(20)을 받기 위한 집수통(50)과; 회전형 브러쉬(40)에 의해 분리된 쓰레기(60)를 배출하기 위해 회전축(71)에 장착한 풀리(72) 및 벨트(73)로 된 이송스크류(70); 및 물레방아형 회전체(30)의 내부에 설치되어 걸름망(32)에 묻어 있는 쓰레기를 떼어 내기 위한 에어콤퓨레셔(80)로 구성됨으로써 음식물 쓰레기에 포함된 물기나 하수구의 침전물에 포함된 오수 등을 효율적으로 분리하여 악취의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찌꺼기 분리장치{Apparatus for separating sewage from sediments}
본 발명은 물기가 많은 하수구의 퇴적물이나 음식물 찌꺼기(이하 찌꺼기라 약칭한다)로부터 물을 효율적으로 분리하기 위한 찌꺼기 분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물레방아식 회전체를 회전시키면서 회전체 상에 찌꺼기를 쏟아 부으면 찌꺼기와 물을 효율적으로 분리하기 위한 찌꺼기 분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로에 매설된 하수도에는 모레나 자갈 또는 각종 오물들을 침전시키기 위한 맨홀이 있는바, 이 맨홀은 하수관 보다 깊게 묻혀 있음으로써 상기의 모레나 자갈 또는 각종 오물들은 가라앉아 침전물을 형성하고 오수들만이 다시 하류로 배출되는 것이다.
따라서, 장시간이 경과되면 상기의 침전물들이 맨홀에 쌓이게 되므로 주기적으로 이를 파내어 주여야만 하는바, 침전물 제거 장비를 이용하여 맨홀에 쌓였던 침전물들을 도로의 옆에 쌓아 두어 물기가 완전히 제거된 뒤에야 비로소 이를 다른 곳으로 옮기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침전물을 파내어 물기를 제거하기 위해 도로 가에 쌓아 두게 되면 악취로 인하여 통행자에게 불편을 초래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음식물 쓰레기의 경우에는 어느 정도 쓰레기 봉투에 의한 분리 수거가 가능하도록 하였으나 환경 미화원이 쓰레기 청소차에 옮겨 실은 후에는 청소차의 압축기가 작동하게 되므로 압축 시에는 쓰레기 봉투가 찢어지게 되므로 다량의 오수가 흘러나오게 되어 통행인에게 악취를 풍기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근본 목적은 쓰레기에 포함된 오수를 완전히 제거하여 악취가 발생하지 않도록 한 찌꺼기 분리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찌꺼기 분리장치의 개략적 정 단면도,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찌꺼기 분리장치의 개략적 측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5,41,71: 회전축 2,3,6,31,42,72: 풀리
4,9,73: 벨트 10: 물기가 있는 쓰레기
20: 쓰레기로부터 제거된 물 30: 물레방아형 회전체
32: 걸름망 40: 브러쉬
50: 집수통 60: 물기가 제거된 쓰레기
70: 이송스크류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쓰레기 분리장치는, 회전축에 2개의 풀리가 장착되며 회전력을 발생하기 위한 제1모터와; 이 제1모터의 회전시 벨트에 의해 풀리가 풀리와 연결되어 회전되며 물기가 있는 쓰레기에 포함된 물만을 분리하기 위해 걸름망이 형성된 물레방아형 회전체와; 이 회전체의 외주연에 밀착되어 제2모터의 회전축에 장착한 풀리와 회전축에 장착한 풀리 및 벨트에 의해 회전됨으로써 물이 제거된 쓰레기만을 분리하기 위한 회전형 브러쉬와; 물레방아형 회전체의 하측에 장착되어 물기가 있는 쓰레기로부터 분리된 물을 받기 위한 집수통과; 회전형 브러쉬에 의해 분리된 쓰레기를 배출하기 위해 회전축에 장착한 풀리 및 벨트로 된 이송스크류; 및 물레방아형 회전체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걸름망에 묻어 있는 쓰레기를 떼어 내기 위한 에어콤퓨레셔로 구성됨을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에는 본 발명에 따른 찌꺼기 분리장치의 정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는바, 본 발명은 회전축(1)에 2개의 풀리(2)(3)가 장착되며 회전력을 발생하기 위한 제1모터(M1)와; 이 제1모터(M1)의 회전시 벨트(4)에 의해 풀리(31)가 풀리(2)와 연결되어 회전되며 쓰레기(10)에 포함된 물(20)만을 분리하기 위해 걸름망(31)이 형성된 물레방아형 회전체(30)를 포함하고, 회전축(33)에는 회전체(30)의 원활한 회전을 위한 베어링(34)이 축설되어 있다. 그런데 이 걸름망(31)은 녹슬음을 방지하기 위해서 스테인레스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발명은 회전체(30)의 외주연에 밀착되어 제2모터(M2)의 회전축(5)에 장착한 풀리(6)와 회전축(41)에 장착한 풀리(42) 및 벨트(9)에 의해 회전됨으로써 물이 제거된 쓰레기만을 분리하기 위한 회전형 브러쉬(40)와; 물레방아형 회전체(30)의 하측에 장착되어 쓰레기(10)로부터 분리된 물(20)을 받기 위한 집수통(50)이 구비되어 있으며, 또한 본 발명은 회전형 브러쉬(40)에 의해 분리된 쓰레기(60)를 배출하기 위해 회전축(71)에 장착한 풀리(72) 및 벨트(73)로 된 이송스크류(70)와 물레방아형 회전체(30)의 내부에 설치되어 걸름망(32)에 묻어있는 쓰레기를 떼어내기 위한 에어콤퓨레셔(80)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찌꺼기 분리장치의 작동을 설명한다.
우선 도시하지 않은 전원 스위치를 온시켜 각각의 모터(M1,M2)를 회전시키면 벨트(4),(73)에 의해 물레방아형 회전체(30) 및 이송스크류(70)가 회전되고 또한 벨트(9)에 의해 브러쉬(40)가 회전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물기가 있는 하수구 침전물이나 음식물 찌꺼기(10)를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입구(100)에 투입하여 회전체(30)의 걸름망(32) 위에 낙하되면 물기가 있는 찌꺼기(10)에 포함된 물기(20)는 걸름망(32)을 통해 집수통(50)으로 떨어지고 물기를 제외한 순수한 찌꺼기(60)는 브러쉬(40)의 회전에 의해 도2와 같이 이송스크류(70)에 낙하된다.
따라서, 이송스크류(70)에 낙하된 음식물 찌꺼기(60)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살표 방향인 좌측으로 이동되어 물기가 전혀 없게 되어 즉시 다른 곳으로 이동하거나 폐기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장기간의 사용 시에는 걸름망(32)에 음식물 찌꺼기(60)가 끼이게 되어 비록 음식물 찌꺼기(10)에 물기가 많을 지라도 물기가 용이하게 집수통(50)으로 집수되지 않을 수도 있는바,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필요에 따라 회전체(40)의 내부에 설치된 에어콤퓨레셔(80)를 이용하여 에어를 불어내어 걸름망(32)에 걸려 있던 찌꺼기(60)를 떼어낸다. 따라서, 걸름망(32)에 찌꺼기(60)가 쌓일 때마다 에어콤퓨레서(80)를 작동시킴으로써 걸름망(32)을 깨끗하게 청소할 수가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쓰레기 분리장치는 물기가 많은 하수도의 퇴적물이나 음식물 찌꺼기에 포함된 오수를 완전히 제거함으로써 물기가 빠지기를 기다렸다가 폐기함에 따라 발생되었던 악취로부터 통행자에게 불편함을 제공하였던 종래의 방법과는 전혀 상이한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비록 본 발명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되었을 지라도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하기의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많은 변경 및 수정이 있을 수도 있다. 예컨대, 본 발명은 하수구의 퇴적물이나 음식물 찌꺼기 뿐만 아니라 물기가 있는 모든 쓰레기나 가축의 분비물로부터 물기를 분리하는데 이용될 수도 있고, 또한 본 발명은 가죽공장, 염색공장 또는 도축장과 같은 곳에서 물기가 포함된 가죽 쓰레기, 잘려진 염색천이나 소나 돼지 가죽으로부터 물기를 제거하는데 이용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Claims (1)

  1. 회전축(1)에 2개의 풀리(2)(3)가 장착되며 회전력을 발생하기 위한 제1모터(M1)와;
    상기 제1모터(M1)의 회전시 벨트(4)에 의해 풀리(31)가 상기 풀리(2)와 연결되어 회전되며 쓰레기(10)에 포함된 물(20)만을 분리하기 위해 걸름망(31)이 형성된 물레방아형 회전체(30)와;
    상기 회전체(30)의 외주연에 밀착되어 제2모터(M2)의 회전축(5)에 장착한 풀리(6)와 회전축(41)에 장착한 풀리(42) 및 벨트(9)에 의해 회전됨으로써 물이 제거된 쓰레기만을 분리하기 위한 회전형 브러쉬(40)와;
    상기 물레방아형 회전체(30)의 하측에 장착되어 상기 쓰레기(10)로부터 분리된 물(20)을 받기 위한 집수통(50)과;
    상기 회전형 브러쉬(40)에 의해 분리된 쓰레기(60)를 배출하기 위해 회전축(71)에 장착한 풀리(72) 및 벨트(73)로 된 이송스크류(70); 및
    상기 물레방아형 회전체(30)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걸름망(32)에 묻어있는 쓰레기를 떼어내기 위한 에어콤퓨레셔(80)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찌꺼기 분리장치.
KR1019990024431A 1999-06-26 1999-06-26 찌꺼기 분리장치 KR1003456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24431A KR100345619B1 (ko) 1999-06-26 1999-06-26 찌꺼기 분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24431A KR100345619B1 (ko) 1999-06-26 1999-06-26 찌꺼기 분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03906A true KR20010003906A (ko) 2001-01-15
KR100345619B1 KR100345619B1 (ko) 2002-07-27

Family

ID=195955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24431A KR100345619B1 (ko) 1999-06-26 1999-06-26 찌꺼기 분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4561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627150A (zh) * 2016-06-17 2018-01-26 苏州鱼得水电气科技有限公司 一种机械加工用的冷却液过滤装置
CN111099671A (zh) * 2019-12-27 2020-05-05 重庆豪硕机械制造有限公司 一种粉碎型格栅除污机
CN112495038A (zh) * 2020-11-10 2021-03-16 天长市大发化纤有限公司 一种带固液分离机构的涤纶短纤维生产线用固体废料清理机构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5769Y1 (ko) * 1993-07-02 1996-07-15 이종현 난간 체결구
KR100224632B1 (ko) * 1996-12-20 1999-10-15 이준호 산업용 여과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627150A (zh) * 2016-06-17 2018-01-26 苏州鱼得水电气科技有限公司 一种机械加工用的冷却液过滤装置
CN111099671A (zh) * 2019-12-27 2020-05-05 重庆豪硕机械制造有限公司 一种粉碎型格栅除污机
CN112495038A (zh) * 2020-11-10 2021-03-16 天长市大发化纤有限公司 一种带固液分离机构的涤纶短纤维生产线用固体废料清理机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45619B1 (ko) 2002-07-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21099B1 (ko) 싱크대용 음식물 쓰레기 감량기
KR100779738B1 (ko) 종합 협잡물 처리장치
KR101802694B1 (ko) 탈수기를 구비한 싱크대의 음식물쓰레기 감량장치
KR100345619B1 (ko) 찌꺼기 분리장치
KR100317512B1 (ko) 싱크대용 개숫물 처리장치
JP4341850B1 (ja) 集合住宅用生ごみ処理活用システム
KR0119046Y1 (ko) 탈수기
CN215166290U (zh) 一种公路改建工程用地下排水管防阻塞装置
KR100621136B1 (ko)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200222231Y1 (ko) 수동식 음식쓰레기 탈수장치
KR200188213Y1 (ko) 싱크대용 오수 처리장치
KR200267431Y1 (ko) 음식물쓰레기 탈수기
KR200315803Y1 (ko)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JPH01236983A (ja) 生ゴミ処理装置
KR200163713Y1 (ko) 싱크대용개숫물처리장치
KR19980034463A (ko) 음식쓰레기 탈수장치
KR200213599Y1 (ko) 싱크대용 오수 처리장치
KR100300732B1 (ko) 잔반처리시스템
JP2952384B2 (ja) 調理場生ごみの処理装置
KR950001020Y1 (ko) 하수찌꺼기 처리장치
KR100580154B1 (ko) 수압을 이용한 싱크대 음식물 쓰레기의 압착분리 배출기
KR200345054Y1 (ko) 수압을 이용한 싱크대 음식물 쓰레기의 압착분리 배출기
JPH0975766A (ja) 厨芥処理装置
KR200231473Y1 (ko) 대칭적 2중 스크류형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JPH0686945A (ja) 厨芥処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711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