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03684A - 휘도 개선을 위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구조 - Google Patents

휘도 개선을 위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03684A
KR20010003684A KR1019990024060A KR19990024060A KR20010003684A KR 20010003684 A KR20010003684 A KR 20010003684A KR 1019990024060 A KR1019990024060 A KR 1019990024060A KR 19990024060 A KR19990024060 A KR 19990024060A KR 20010003684 A KR20010003684 A KR 200100036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electric layer
plasma display
display panel
pdp
electr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240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병희
조용우
변병현
Original Assignee
김영환
현대전자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환, 현대전자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영환
Priority to KR10199900240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003684A/ko
Publication of KR200100036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03684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11/00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lternating current induction of the discharge, e.g. alternating current plasma display panels [AC-PDP];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out any main electrode inside the vessel;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t least one main electrode outside the vessel
    • H01J11/20Constructional details
    • H01J11/34Vessels, containers or parts thereof, e.g. substrates
    • H01J11/38Dielectric or insulating lay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11/00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lternating current induction of the discharge, e.g. alternating current plasma display panels [AC-PDP];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out any main electrode inside the vessel;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t least one main electrode outside the vessel
    • H01J11/20Constructional details
    • H01J11/34Vessels, containers or parts thereof, e.g. substrates
    • H01J11/36Spacers, barriers, ribs, partitions or the lik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11/00Plasma display panels with alternate current induction of the discharge, e.g. AC-PDPs
    • H01J2211/20Constructional details
    • H01J2211/34Vessels, containers or parts thereof, e.g. substrates
    • H01J2211/36Spacers, barriers, ribs, partitions or the like
    • H01J2211/361Spacers, barriers, ribs, partitions or the like characterized by the shape
    • H01J2211/363Cross section of the spac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lasma & Fusion (AREA)
  • Gas-Filled Discharge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발광 효율을 향상시켜 휘도를 개선한 PDP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으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PDP는, 패널에 형성되는 투명유전체층이 상기 패널을 투과하여 방출되는 빛을 집광시키도록 원형의 굴곡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휘도 개선을 위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구조{PLASMA DISPLAY PANEL STRUCTURE FOR IMPROVING BRIGHTNESS}
본 발명은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lasma display panel, 이하 PDP라 함)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방전 특성을 개선하기 위한 PDP 구조에 관한 것이다.
잘 알려진 바와 같이, PDP는 기체 방전시에 발생하는 플라즈마로부터 나오는 빛을 이용하여 문자 또는 그래픽을 표시하는 소자이다. PDP는 현재 활발히 연구되고 있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FED(field emission display), ELD(electroluminescence display)와 같은 여러 평판형 디스플레이 중에서도 대형화에 가장 적합한 장점을 가지고 있다.
즉,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은 40 " 이상의 대형화가 가능하고, 방전에서 형성되는 자외선이 형광막을 자극하여 가시광을 발광시키는 포토루미네슨스(photoluminescence) 메카니즘을 이용하기 때문에 CRT 수준의 칼라화가 가능하며, 자기 발광형 표시소자(self-emissive display)로서 160。 이상의 넓은 시각을 갖는 등 다른 평판 소자에서 찾아볼 수 없는 고유한 장점을 많이 가지고 있어 차세대 고선명 벽걸이 TV, TV와 PC의 기능이 복합화된 멀티미디어(multimedia)용 대형 표시장치로서 유력시되고 있다.
PDP는 두께가 3mm 정도되는 2장의 유리기판(전면판 및 배면판)을 사용하여 각각의 기판 위에 적당한 전극과 형광체를 도포하고, 두 기판의 간격을 약 0.1mm 내지 0.2mm로 유지하면서 그 사이의 공간에 플라즈마를 형성하는 방법을 채택하고 있기 때문에 평판으로서 대형화가 가능하다. 또한, PDP에서 가스 방전은 전극간에 전압이 인가되더라도 방전 개시 전압 이하의 인가전압에 대해서는 방전이 일어나지 않는 강한 비선형성을 갖고, 대형 디스플레이의 구동에 필수적인 기능인 기억기능(memory function)이 있어 초대형의 패널에 대해서도 휘도의 저하없이 고화질의 화상을 표현할 수 있다.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은 플라즈마를 발생하기 위한 전극이 플라즈마에 직접 노출되어 전도전류(conduction current)가 전극을 통해 직접 흐르는 직류형(CD형)과 전극이 유전체로 덮여 있어 직접 노출되지 않아 변위전류(Displacement Current)가 흐르는 교류형(AC형)으로 구분된다.
도1은 통상의 AC형 3전극 면방전형 PDP의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1을 참조하면, PDP는 전면판(100)과 배면판(200)으로 이루어져 있다.
전면판(100) 구조를 살펴보면, 전편기판(101) 상에 두개의(도면에서는 단면 구조상 하나만 도시됨) 평행한 투명전극(102)이 형성되고, 투명전극(102) 상에 전도율을 높이기 위해 버스전극(103)이 가는 선폭으로 형성되며, 그 위의 전면에 평탄한 유전체층(104a)이 형성된다. 통상 유전체층(104a) 상에는 보호층으로서의 MgO막이 형성되나 도면에서는 생략되어 있다.
배면판(200)의 구조를 살펴보면, 배면기판(201) 상에 버스전극(103)과 수직하게 어드레스전극(202)이 형성되고, 유전체층(203)으로 덮힌 상태에서 어드레스전극(202) 사이 사이 부분에 격벽(204)이 형성된다. 그리고, 격벽(204)의 측벽 및 유전체층(203) 상에는 형광체(205)가 형성된다.
전면판(100)과 배면판(200)은 실링(sealing) 페이스트(paste)를 이용하여 봉착한 다음, 배기 및 가스 봉입을 통해 PDP를 구성하게 된다.
그런데, 이러한 구조를 갖는 종래의 AC형 3전극 면방전형 PDP는 전면판(100)을 투과하여 빛(Light)이 방출될때 그 빛이 분산되는 등의 이유로 발광 효율의 저하로 인하여 휘도가 낮아지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은 발광 효율을 향상시켜 휘도를 개선한 PDP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1은 통상의 AC형 PDP의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AC형 PDP의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3a 및 도3b는 본 발명에 따른 투명유전체의 다양한 형상을 보여주는 평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 : 배면기판 102 : 투명전극
103 : 버스전극 104a, 104b : 투명유전체
201 : 배면기판 202 : 어드레스전극
203 : 유전체 204 : 격벽
205 : 형광체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PDP는, 패널에 형성되는 투명유전체층이 상기 패널을 투과하여 방출되는 빛을 집광시키도록 원형의 굴곡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종래기술과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였다.
도2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PDP 구조를 나타낸다.
도2을 참조하면, PDP는 전면판(100)과 배면판(200)으로 이루어져 있다.
전면판(100) 구조를 살펴보면, 전편기판(101) 상에 투명전극(102)이 형성되고, 투명전극(102) 상에 전도율을 높이기 위해 버스전극(103)이 가는 선폭으로 형성되며, 그 위의 전면에 빛을 모을수 있도록 원형의 굴곡진 유전체층(104b)이 형성된다. 통상 유전체층(104b) 상에는 보호층으로서의 MgO막이 형성되나 도면에서는 생략되어 있다.
배면판(200)의 구조를 살펴보면, 배면기판(201) 상에 버스전극(103)과 수직하게 어드레스전극(202)이 형성되고, 유전체층(203)으로 덮힌 상태에서 어드레스전극(202) 사이 사이 부분에 격벽(204)이 형성된다. 그리고, 격벽(204)의 측벽 및 유전체층(203) 상에는 형광체(205)가 형성된다.
전면판(100)과 배면판(200)은 실링(sealing) 페이스트(paste)를 이용하여 봉착한 다음, 배기 및 가스 봉입을 통해 PDP를 구성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PDP는 전면판(100)을 투과하여 방출되는 빛이 외부에서 모아지도록 유전체층(104b)이 굴곡져 형성된 것에 그 특징이 있는 것으로서, 도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의 줄무늬 형상으로 형성하거나, 도3b에 도시된 바와같이 반구형으로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3a와 같이 원형 줄무늬 형상은 하나의 방전셀 내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개수로 형성되어도 무방하며, 도3b의 반구형은 방전셀 내에 하나씩 형성되는 것이 광집적 효율이 뛰어나다.
원형 굴곡을 가진 유전체층(104b)를 형성하는 공정은 여러가지가 이용될 수 있는데, 여기서 몇가지 방법을 살펴본다.
첫번째 방법은 압축(press)법으로서 원형 굴곡을 가지는 금형을 이용하여 투명유전체를 금형에 넣고 소성하여 제작하는 것이다.
두번째로, 포토-에칭법으로서 원하는 굴곡 형상을 갖는 포토마스크를 제작하여 유전체층 상에 포토레지스트패턴을 형성한 다음, 이를 마스크로하여 투명유전체를 식각하므로써 투명유전체가 경사각을 갖도록 하는 방법이 있다.
세번째 방법은 시트(sheet) 형태로 원형 굴곡을 가지는 투명유전체를 가지고 래머네이팅(laminating) 기기를 이용하여 접착시켜, 원형 굴곡을 갖게 하는 방법이다.
네번째는 투명유전체 형성시 원형 굴곡을 갖는 롤(Roll)을 사용하여 굴곡을 형성하여, 투명유전체를 형성시키는 것이다.
한편, 도2의 실시예에서는 패널의 안쪽에 굴곡진 유전체를 형성하는 방법을 사용하였으나, 패널의 바깥쪽에 굴곡진 면을 형성하는 것이 가능한데 이는 기판의 바깥쪽 면을 굴곡지게 형성하던가 또는 골곡진 투명박막을 형성하는 것에 의해 가능하다. 그리고, 패널의 양쪽면 모두에 형성하는 것 역시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3전극 면방전형 AC형 PDP를 예로써 설명하였으나, 모든 구조의 PDP에 적용가능 하다.
이렇듯,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은 상기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한 실시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 분야의 통상의 전문가라면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내에서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플라즈마디스플레이패널에 굴곡진 유전체층을 형성하여 방출되는 광이 집중되도록 하므로써 발광효율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 있어서,
    패널에 형성되는 투명유전체층이 상기 패널을 투과하여 방출되는 빛을 집광시키도록 원형의 굴곡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유전체층은 격벽과 격벽 사이에서 적어도 하나의 원형 줄무늬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유전체층은 격벽과 격벽 사이에서 반구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19990024060A 1999-06-24 1999-06-24 휘도 개선을 위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구조 KR2001000368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24060A KR20010003684A (ko) 1999-06-24 1999-06-24 휘도 개선을 위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24060A KR20010003684A (ko) 1999-06-24 1999-06-24 휘도 개선을 위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03684A true KR20010003684A (ko) 2001-01-15

Family

ID=195950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24060A KR20010003684A (ko) 1999-06-24 1999-06-24 휘도 개선을 위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00368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745498A1 (en) * 2004-04-27 2007-01-24 Samsung Electronics Co., Ltd. Plasma display panel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745498A1 (en) * 2004-04-27 2007-01-24 Samsung Electronics Co., Ltd. Plasma display panel
US7218043B2 (en) 2004-04-27 2007-05-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Plasma display panel with light guides for improving contrast
EP1745498A4 (en) * 2004-04-27 2009-06-24 Samsung Electronics Co Ltd PLASMA SCOREBOAR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85198B2 (en) Flat luminescent lamp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100717782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US7923915B2 (en) Display pixel structure and display apparatus
KR20010029871A (ko) 평면형 표시장치
JP2006032330A (ja) 冷陰極フラット型蛍光ランプとそのパターン電極
KR20010003684A (ko) 휘도 개선을 위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구조
KR20010058561A (ko) 플로팅 투명 전극을 구비하는 교류형 플라즈마 디스플레이패널
KR100520389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구조
KR20010004091A (ko) 양광주 방전 영역을 증가시킬 수 있는 유지전극 구조를 갖는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20010039338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배면판 형성방법
KR20010058562A (ko) 플로팅 투명 전극을 구비하는 교류형 플라즈마 디스플레이패널
KR100310466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333718B1 (ko) 캐소드루미네슨스형광체를갖는플라즈마디스플레이패널
KR100303772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면판
JP2002117770A (ja) ガス放電パネル基板及びガス放電パネル
KR100482335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극구조
KR20010073283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20000044670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형성 방법
KR20010004313A (ko) 역 버스전극 구조를 갖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및 그 제조 방법
KR19990054288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20010005103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면판
KR20010004095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방전전극
JP2006114248A (ja) 平面型放電発光素子及びそれ用のガラス基材
KR20010004168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구조
KR20010005189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배면판 형성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