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01801A - 무선망을 통한 무선 단말기의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방법 - Google Patents

무선망을 통한 무선 단말기의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01801A
KR20010001801A KR1019990021247A KR19990021247A KR20010001801A KR 20010001801 A KR20010001801 A KR 20010001801A KR 1019990021247 A KR1019990021247 A KR 1019990021247A KR 19990021247 A KR19990021247 A KR 19990021247A KR 20010001801 A KR20010001801 A KR 200100018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nction
update information
area
data
siz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212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현걸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900212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001801A/ko
Publication of KR200100018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01801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22Processing or transfer of terminal data, e.g. status or physical capabilities
    • H04W8/24Transfer of terminal data
    • H04W8/245Transfer of terminal data from a network towards a terminal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8/00Arrangements for software engineering
    • G06F8/60Software deployment
    • G06F8/65Updat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8/00Arrangements for software engineering
    • G06F8/70Software maintenance or management
    • G06F8/71Version control; Configuration manag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본 발명은 무선단말기에서 소프트웨어를 업데이트 할 수 있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나.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무선 단말기에서 무선망을 통해 소프트웨어를 업데이트 할 수 있도록 한다.
다.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무선망을 통한 무선 단말기의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방법에 있어서, 상기 무선 단말기와 기지국과의 호를 연결하기 위한 과정과, 상기 단말기의 소프트웨어 버전을 검사하기 위한 과정과, 상기 소프트웨어의 갱신정보를 상기 기지국이 상기 단말기로 송신하는 과정과, 상기 갱신 정보에 해당하는 상기 소프트웨어의 함수 업데이트 정보 또는 상기 소프트웨어의 데이터 업데이트 정보를 상기 기지국이 상기 단말기로 송신하는 과정과, 상기 단말기가 상기 송신된 함수 또는 데이터의 업데이트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갱신정보 및 상기 업데이트 정보에 따라 소프트웨어를 업데이트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라. 발명의 중요한 용도
무선단말기에서 소프트웨어를 업데이트하는데 사용된다.

Description

무선망을 통한 무선 단말기의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방법{SOFTWARE UPDATE METHOD BY WIRELESS NETWORK IN WIRELESS TELEPHONE SET}
본 발명은 무선 단말기에서 소프트웨어를 업데이트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무선망을 통해 소프트웨어를 업데이트할 수 있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휴대용 단말기 혹은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단말기는 기능이 향상되거나 미처 발견하지 못한 소프트웨어의 오류확인에 의해 소프트웨어의 업데이트가 필요하게 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와 같은 상황에서 제조업체나 통신 사업자는 리콜서비스 등에 의해 업데이트를 실시해야만 했다.
이때 단말기를 사용하고 있는 소비자들은 시간을 마련하여 각 단말기의 구입처 또는 제조업체에서 지정한 곳으로 단말기를 직접 가지고 가서 A/S를 받아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단말기 제조업체에서는 단말기의 소프트웨어 리콜 서비스를 위하여 막대한 인력과 자금, 시간 등을 투자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무선 단말기에서 소프트웨어 업데이트를 위한 비용과 시간을 최소화 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무선 단말기에서 무선망을 통한 소프트웨어를 업데이트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무선 단말기에서 무선망을 통해 소프트웨어를 업데이트 할 수 있는 단말기의 메모리 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코드 및 데이터로 영역이 할당된 메모리를 구비한 단말기에서 무선망을 통한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방법에 있어서, 상기 무선 단말기와 기지국과의 호를 연결하기 위한 과정과, 상기 단말기의 소프트웨어 버전을 검사하기 위한 과정과, 상기 소프트웨어의 갱신정보를 상기 기지국이 상기 단말기로 송신하는 과정과, 상기 갱신 정보에 해당하는 업데이트 정보를 상기 기지국이 상기 단말기로 송신하는 과정과, 상기 단말기가 상기 송신된 업데이트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갱신정보 및 상기 업데이트 정보에 따라 소프트웨어를 업데이트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단말기의 개략적인 블록 구성도와 기지국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무선 단말기에서 소프트웨어를 업데이트 할 수 있는 메모리의 구조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소프트웨어 갱신을 위한 정보의 형태를 나타낸 그림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소프트웨어 갱신을 위한 함수 갱신정보의 형태를 나타낸 그림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기지국으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여 소프트웨어를 갱신하기 위한 제어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무선 단말기에서 데이터를 업데이트하기 위한 제어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무선 단말기에서 함수를 업데이트하기 위한 제어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특정(特定) 사항들이 나타나고 있는데,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이러한 특정 사항들 없이도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음은 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하다 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단말기의 개략적인 블록 구성도와 기지국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무선 단말기에서 소프트웨어를 업데이트 할 수 있는 메모리의 구조도이다.
제어부(100)는 무선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무선으로 소프트웨어를 업데이트하기 위한 동작을 제어한다. 메모리(110)는 다수의 프로그램과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롬(ROM : READ ONLY MEMORY) 및 램(RAM : RANDOM ACCESS MEMORY), 음성 메모리 등으로 이루어지며, 도 2에 보여짐과 같이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데이터 영역(111), 함수의 저장된 위치 정보를 가지고 있는 함수 테이블영역(112), 각각의 함수 크기 정보를 담고 있는 함수크기 영역(113), 함수에 의해 사용된 메모리의 영역을 표시하기 위한 함수 할당 영역(114), 다수의 함수를 저장하기 위한 코드 영역(115), 사용되지 않은 메모리 영역인 부가 영역(116)을 가지고 있다. 송수신부(120)는 기지국(101)과 단말기간의 송신 및 수신을 위한 주파수의 변환 동작 등을 수행한다. 신호처리부(130)는 마이크로 입력되는 신호를 디지털 처리 등을 하여 상기 송수신부(120)로 전달하고, 수신된 신호를 복조하여 스피커를 통해 음성 신호를 출력하도록 한다. 표시부(140)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단말기에서 발생되는 각종 표시 데이터를 출력한다. 키입력부(150)는 사용자와의 인터페이스를 위한 장치로 각종 기능 키 및 통화를 위한 다수의 키를 구비하고 있다.
도 2에 보여짐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종래와는 달리 메모리 구조가 다름을 알 수 있다. 통상의 메모리에 저장되는 소프트웨어는 코드와 데이터로 이루어진다. 데이터는 다시 다수의 함수에 의해 사용되는 글로벌(Global) 데이터와, 특정 함수에 의해 사용되며 일정 장소에 저장되는 로컬(Local) 데이터로 이루어진다. 본원 발명에서 상기 글로벌 데이터는 도 2에 보여진 데이터 영역(111)에 위치시켜 절대번지를 가질 수 있도록 한다. 모든 함수의 소스(실체)는 코드 영역(115)에 위치시키고, 각각의 함수 크기 정보를 함수 크기 영역(113)에 저장한다. 함수 할당 영역(114)은 코드 영역(115)에서 함수에 의해 사용된 부분의 정보를 담고 있다. 함수가 업데이트되어 코드 영역(115)에서 함수에 할당된 부분이 줄어들거나 늘어나면 이 부분의 내용이 수정되어 진다. 부가 영역(116)은 여분의 메모리이며 새로 갱신되어질 내용을 임시로 저장하거나 각 영역의 크기가 늘어날 경우를 대비하여 존재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소프트웨어 갱신을 위한 정보의 형태를 나타낸 그림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소프트웨어 갱신을 위한 함수 갱신정보의 형태를 나타낸 그림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기지국으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여 소프트웨어를 갱신하기 위한 제어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무선 단말기에서 데이터를 업데이트하기 위한 제어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무선 단말기에서 함수를 업데이트하기 위한 제어 흐름도이다.
도 3 내지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5의 500 단계에서 단말기는 기지국(101)과 호를 연결한다. 상기 호 연결 동작은 기지국에서 연결을 요청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고, 사용자가 소프트웨어 갱신을 위한 특정 번호를 발신함으로써 이루어질 수도 있다.
호가 연결되면 510 단계에서 소프트웨어 버전을 검사하게 된다. 단말기의 소프트웨어 버전을 검사하여 필요할 경우만 소프트웨어 갱신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버전을 검사하여 소프트웨어 갱신이 필요할 경우 기지국(101)은 업데이트에 필요한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즉, 필요한 업데이트 파일 및 업데이트를 위한 각종 정보를 취합하여 송신 프레임을 작성하게 된다.
520 단계에서 기지국(101)은 소프트웨어 갱신 정보를 송신하게 된다. 상기 갱신정보는 도3에 나타난 바와 같다. 갱신 정보는 데이터에 대한 갱신정보(310)와, 함수에 대한 갱신정보(330)로 이루어진다. 상기 갱신 정보는 업데이트 시에 필요할 경우에만 생성이 된다. 즉, 데이터만 업데이트할 경우에는 함수에 대한 갱신정보(330)는 불필요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데이터 갱신정보(310)는 데이터 업데이트 시에 소요되는 메모리의 크기 정보와 갱신되는 데이터의 개수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함수 갱신 정보(330)는 함수 업데이트 시에 소요되는 메모리의 크기 정보와, 종래 단말기에서 사용된 함수의 개수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갱신 정보의 송신이 완료된 후에 530 단계에서 기지국(101)은 업데이트 정보를 송신한다. 상기 업데이트 정보는 크게 데이터 업데이트정보(320)와 함수 업데이트 정보(340)로 이루어진다. 상기 함수 업데이트 정보(340)는 도 4에 나타냄과 같이 함수별 함수의 크기 정보와, 코드 영역(115)에 저장된 상기 함수의 위치를 나타내는 함수 번호 정보와, 업데이트할 함수 소스로 이루어진다. 데이터 업데이트 정보(320)는 함수 업데이트 정보(340)와 유사하게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즉, 데이터별 크기 정보와, 데이터 영역(111)에 저장된 상기 데이터의 위치를 나타내는 번호 정보와, 업데이트할 데이터 소스로 이루어질 수 있다.
530 단계에서 업데이트 정보가 단말기에서 수신되면 단말기의 제어부(100)는 실질적인 업데이트 동작을 시작한다. 상기 동작은 도 6 및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데이터의 업데이트 동작을 설명하면, 도6의 600 단계에서 제어부(100)는 수신된 갱신정보(310)의 데이터 크기 정보와 데이터 영역(111)에 할당된 메모리의 크기를 비교한다. 비교 결과 갱신 정보에 포함되어 전송된, 데이터 업데이트 시의 총 데이터 크기가 데이터 영역(111)으로 할당된 메모리의 크기보다 작거나 같으면 620 단계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610 단계로 진행한다. 610 단계에서 제어부(100)는 갱신정보(310)에 포함되어 전송된, 데이터 업데이트 시의 총 데이터 크기가 데이터 영역(111)에 할당된 메모리의 크기보다 크므로 메모리를 추가로 할당받는다. 상기 추가로 할당되는 메모리는 부가영역(116)의 메모리를 말하는 것으로, 데이터 영역(111)에 추가 메모리가 할당되면 이후의 함수 테이블 영역(112), 함수 크기 영역(113), 함수 할당 영역(114), 코드 영역(115)이 추가로 할당된 메모리만큼 이동되어 사용될 수 있다. 만일 메모리의 추가 할당이 단지 부가 영역(116)에서만 이루어지면 상기와 같은 이동은 불필요하게 된다.
620 단계에서 제어부(100)는 데이터 갱신정보(310) 및 데이터 업데이트정보(320)에 따라 데이터를 업데이트하게 된다. 즉, 데이터 업데이트 정보(320)의 데이터 번호 정보에 위치한 데이터를 데이터 소스의 정보로 갱신하게 된다.
상기한 데이터 전송에 있어서의 전송 방법은 기존의 단문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한 SMS나, TCP/IP, OTASP(OVER THE AIR SERVICE PROVISION)를 사용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다.
함수 업데이트 동작을 도 6을 참조하여 하기에 설명한다.
700 단계에서 제어부(100)는 수신된 함수 갱신정보(330)의 총 함수 개수와 단말기의 함수 테이블 영역(112)을 조사하여 사용된 총 함수의 개수를 비교하여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시에 총 함수 개수가 현재 단말기에서 사용되는 함수 개수보다 크면 710 단계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720 단계로 진행한다.
업데이트 시의 함수의 개수가 단말기에서 현재 사용된 함수의 개수보다 크면 710 단계에서 함수 테이블 영역(112)을 추가로 할당받는다. 상기 추가 할당은 상술한 데이터 영역(111)의 메모리 추가 할당과 같이 이루어질 수 있다. 즉, 함수 테이블 영역(112)을 추가로 할당하고, 추가로 할당된 메모리만큼을 함수 크기 영역(113), 함수 할당 영역(114), 코드 영역(115)의 메모리 번지를 쉬프트하여 설정한다. 720 단계에서 제어부(100)는 수신된 함수 갱신 정보(330)와 함수 업데이트 정보(340)에 의해 함수 테이블 영역(112)을 업데이트한다. 상기 함수 테이블 영역(112)은 함수의 위치를 나타낸 것이므로 함수가 추가되면 코드영역(115)에 새로운 메모리 영역을 할당하게 되고, 추가된 함수의 위치를 함수 테이블 영역(112)에 저장하게 된다. 또한 갱신된 함수의 크기가 커질 경우에도 업데이트되는 함수의 위치가 변경됨을 고려하여 테이블 영역(112)을 업데이트한다. 730 단계에서 제어부(100)는 상술한 바와 같이 함수 테이블 영역(112)에 추가로 할당된 메모리만큼을 함수 크기 영역(113), 함수 할당 영역(114), 코드 영역(115)의 메모리 번지를 쉬프트하여 설정한다. 추가로 할당된 메모리가 없을 경우에는 730 단계는 불필요하게 된다. 740 단계에서 제어부(100)는 함수 업데이트 정보(340)에 따라 코드 영역(115)을 업데이트한다. 즉, 함수 별로 함수 번호 정보의 위치에 함수 소스 정보를 업데이트 하게 된다. 750 및 760 단계에서 제어부(100)는 함수 크기 영역 및 함수 할당 영역을 업데이트한다. 상기 동작은 740 단계에서 실시한 코드 영역(115)의 업데이트 결과에 의해 새롭게 이루어지는 것이다.
상기 코드 영역(115)의 업데이트 동작은 먼저 함수 테이블 영역(112)을 업데이트함에 의해 이루어졌지만 하기 실시예에서는 코드영역(115)의 업데이트를 먼저 실시한다. 실질적으로 업데이트 시에 메모리가 늘어날 수 있는 확률은 코드 영역(115)이 가장 높다. 함수 테이블 영역(111), 함수 크기 영역(113), 함수 할당 영역(114)은 메모리가 늘어나더라도 미소한 정도만 늘어나게 됨으로 초기에 상기 예상되는 메모리를 할당함으로써, 상기에서와 같은 메모리 재 할당 동작이 단지 코드영역(115)에서만 일어나게 할 수도 있다.
먼저 제어부(100)는 수신된 갱신정보(330)의 총 함수에 의해 사용될 메모리의 크기와, 상기 단말기에서 할당된 상기 코드 영역(115)의 크기를 비교한다. 비교 결과 상기 갱신 정보(330)의 총 함수에 의해 사용될 메모리의 크기가 상기 코드 영역(115)의 크기보다 작거나 같으면 갱신정보(330) 및 함수 업데이트 정보(340)에 따라 코드 영역(115)을 업데이트한다. 비교 결과 갱신 정보(330)의 총 함수에 의해 사용될 메모리의 크기가 코드 영역(115)의 크기보다 크면 코드 영역(115)의 메모리를 추가로 할당받아 갱신 정보(330) 및 함수 업데이트 정보(340)에 따라 코드 영역(115)을 업데이트한다. 업데이트된 코드영역(115)의 메모리 구조에 따라 함수 테이블 영역(112), 함수 크기 영역(113), 함수 할당 영역(114)을 다시 설정한다.
본 발명을 간략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코드 및 데이터 영역으로 메모리 구조를 가지도록 하며, 기지국과 호를 연결하여 소프트웨어의 갱신정보 및 업데이트 정보를 수신한다. 수신된 정보를 토대로 하여 소프트웨어를 업데이트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코드 및 데이터 영역의 메모리 구조를 가지도록 하며, 기지국과 통화로를 연결하여 소프트웨어의 갱신정보 및 업데이트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정보를 토대로 하여 소프트웨어를 업데이트함으로써, 무선망을 통한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방법을 제공하며, 소프트웨어 업데이트를 위한 비용과 시간을 최소화 할 수 있다.

Claims (8)

  1. 코드 및 데이터로 영역이 할당된 메모리를 구비한 단말기에서 무선망을 통한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방법에 있어서,
    상기 무선 단말기와 기지국과의 호를 연결하기 위한 과정과,
    상기 단말기의 소프트웨어 버전을 검사하기 위한 과정과,
    상기 소프트웨어의 갱신정보를 상기 기지국이 상기 단말기로 송신하는 과정과,
    상기 갱신 정보에 해당하는 업데이트 정보를 상기 기지국이 상기 단말기로 송신하는 과정과,
    상기 단말기가 상기 송신된 업데이트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갱신정보 및 상기 업데이트 정보에 따라 소프트웨어를 업데이트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의 메모리 구조는,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데이터 영역과,
    함수를 저장하기 위한 코드 영역과,
    상기 코드 영역에 저장된 상기 함수의 위치를 저장하기 위한 함수 테이블 영역과,
    상기 함수 각각의 크기를 저장하기 위한 함수 크기 영역과,
    상기 함수의 정보가 상기 코드영역에서 점유하고 있는 위치를 저장하기 위한 함수 할당 영역과,
    사용되지 않은 부가 영역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갱신정보는,
    데이터 업데이트 시에 소요되는 메모리의 크기 정보와 갱신되는 데이터의 개수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 갱신정보와,
    함수 업데이트 시에 소요되는 메모리의 크기 정보와, 종래 단말기에서 사용된 함수의 개수 정보를 포함하는 함수 갱신정보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 1 항 또는 3 항에 있어서, 상기 업데이트 정보는,
    데이터 업데이트 정보와 함수 업데이트 정보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함수 업데이트 정보는,
    함수별 함수의 크기 정보와,
    상기 코드 영역에 저장된 상기 함수의 위치를 나타내는 함수 번호 정보와,
    업데이트할 함수 소스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의 업데이트 과정은,
    상기 수신된 갱신정보에 포함되어 전송된, 데이터 업데이트 시의 총 데이터 크기 정보와 상기 데이터 영역에 할당된 메모리의 크기를 비교하는 과정과,
    상기 비교 결과 상기 갱신 정보의 데이터 크기가 상기 할당된 메모리의 크기보다 작거나 같으면 상기 수신된 데이터의 업데이트 정보에 따라 데이터를 업데이트하는 과정과,
    상기 갱신정보의 데이터 크기가 상기 할당된 메모리의 크기보다 크면 상기 데이터 영역의 메모리를 추가로 할당받아 데이터를 업데이트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함수의 업데이트 과정은,
    상기 수신된 갱신정보의 총 함수 개수와 상기 단말기에서 사용된 총 함수의 개수를 비교하는 과정과,
    상기 비교 결과 함수의 개수가 상기 사용된 함수의 개수보다 작거나 같으면 상기 갱신정보 및 함수 업데이트 정보에 따라 상기 함수 테이블 영역을 업데이트하는 과정과,
    상기 비교 결과 함수의 개수가 상기 사용된 함수의 개수보다 크면 상기 함수 테이블 영역을 추가로 할당받아 상기 갱신 정보 및 함수 업데이트 정보에 따라 상기 함수 테이블 영역을 업데이트하는 과정과,
    상기 갱신정보 및 상기 함수 업데이트 정보에 따라 상기 코드 영역을 업데이트하는 과정과,
    상기 업데이트된 코드 영역의 메모리 구조에 따라 상기 함수 크기 영역, 함수 할당 영역, 함수 테이블 영역을 다시 설정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함수의 업데이트 과정은,
    상기 수신된 갱신정보의 총 함수에 의해 사용될 메모리의 크기와, 상기 단말기에서 할당된 상기 코드 영역의 크기를 비교하는 과정과,
    상기 비교 결과 상기 갱신 정보의 총 함수에 의해 사용될 메모리의 크기가 상기 코드 영역의 크기보다 작거나 같으면 상기 갱신정보 및 함수 업데이트 정보에 따라 상기 코드 영역을 업데이트하는 과정과,
    상기 비교 결과 상기 갱신 정보의 총 함수에 의해 사용될 메모리의 크기가 상기 코드 영역의 크기보다 크면 상기 코드 영역의 메모리를 추가로 할당받아 상기 갱신 정보 및 함수 업데이트 정보에 따라 상기 코드 영역을 업데이트하는 과정과,
    상기 업데이트된 코드영역의 메모리 구조에 따라 상기 함수 테이블 영역, 함수 크기 영역, 함수 할당 영역을 다시 설정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19990021247A 1999-06-08 1999-06-08 무선망을 통한 무선 단말기의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방법 KR2001000180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21247A KR20010001801A (ko) 1999-06-08 1999-06-08 무선망을 통한 무선 단말기의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21247A KR20010001801A (ko) 1999-06-08 1999-06-08 무선망을 통한 무선 단말기의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01801A true KR20010001801A (ko) 2001-01-05

Family

ID=195909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21247A KR20010001801A (ko) 1999-06-08 1999-06-08 무선망을 통한 무선 단말기의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001801A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78745A (ko) * 2001-04-10 2002-10-19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소프트웨어 변경 방법
KR20040036771A (ko) * 2002-10-24 2004-05-03 엘지전자 주식회사 Ota를 이용한 바이너리 데이타 업그레이드 방법
KR20040048144A (ko) * 2002-12-02 2004-06-0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무선통신을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모바일 플랫폼 갱신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458204B1 (ko) * 2002-06-04 2004-11-26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데이터 푸쉬 방식을 이용하여 단말기의 파라미터를변경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 및 그 방법과 단말기
KR100521785B1 (ko) * 2002-12-06 2005-10-1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무선 상에서의 이동통신 단말기 프로그램 제공 시스템 및그 방법
KR100600488B1 (ko) * 2004-06-11 2006-07-13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응용 단말기 운용을 위한 무선 단말기의 드라이버 업그레이드 방법
KR100670797B1 (ko) * 2004-12-17 2007-01-1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보조 저장장치가 없는 환경에서 실시간 패치 장치 및 그방법
KR100793203B1 (ko) * 2001-08-30 2008-01-10 엘지전자 주식회사 노트북 컴퓨터에서의 데이터 업데이트방법
KR100823294B1 (ko) * 2001-07-30 2008-04-18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기기의 사용자데이터갱신시스템과 그사용자데이터갱신방법
KR101538553B1 (ko) * 2013-11-21 2015-07-29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자원 배분 판단 서버 및 그 제어방법과, 그 자원 배분 판단 서버와 통신하는 통신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78745A (ko) * 2001-04-10 2002-10-19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소프트웨어 변경 방법
KR100823294B1 (ko) * 2001-07-30 2008-04-18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기기의 사용자데이터갱신시스템과 그사용자데이터갱신방법
KR100793203B1 (ko) * 2001-08-30 2008-01-10 엘지전자 주식회사 노트북 컴퓨터에서의 데이터 업데이트방법
KR100458204B1 (ko) * 2002-06-04 2004-11-26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데이터 푸쉬 방식을 이용하여 단말기의 파라미터를변경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 및 그 방법과 단말기
KR20040036771A (ko) * 2002-10-24 2004-05-03 엘지전자 주식회사 Ota를 이용한 바이너리 데이타 업그레이드 방법
KR20040048144A (ko) * 2002-12-02 2004-06-0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무선통신을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모바일 플랫폼 갱신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521785B1 (ko) * 2002-12-06 2005-10-1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무선 상에서의 이동통신 단말기 프로그램 제공 시스템 및그 방법
KR100600488B1 (ko) * 2004-06-11 2006-07-13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응용 단말기 운용을 위한 무선 단말기의 드라이버 업그레이드 방법
KR100670797B1 (ko) * 2004-12-17 2007-01-1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보조 저장장치가 없는 환경에서 실시간 패치 장치 및 그방법
KR101538553B1 (ko) * 2013-11-21 2015-07-29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자원 배분 판단 서버 및 그 제어방법과, 그 자원 배분 판단 서버와 통신하는 통신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79709B1 (ko) 이동 무선 단말기의 단축메시지 전송장치 및 방법
CA2318293C (en) Method for terminal assisted menu presentation of value added services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s
RU2153237C2 (ru) Операционная система связи и способ ее осуществления
AU651605B2 (en) Portable transceiver and ESN transfer system therefor
KR20010063284A (ko) 휴대폰과 컴퓨터간 데이터 동기화 방법
JPH0635773A (ja) 情報管理装置
JP4881546B2 (ja) 移動体通信装置におけるデータベース情報の広域同時更新
US20120003963A1 (en) Mobile communications device, and method of updating telephone directory of mobile communications device
KR20010001801A (ko) 무선망을 통한 무선 단말기의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방법
JP2007066159A (ja) 電子機器、データ処理方法及びデータ処理プログラム
JPH06303188A (ja) 移動体通信システムおよびその通信システムのサービスの変更又は更新方法
KR100640391B1 (ko) 인터넷을 이용한 휴대폰 배경화면 다운로드 시스템 및휴대폰의 배경화면 디스플레이방법
US6377794B2 (en) Communication apparatus notifying calling information to called party
KR20060081159A (ko) 이동단말기의 단말 정보 관리 방법 및 시스템
JP2001043073A (ja) 通信装置のソフトウェア変更方法及び通信装置
JP2001043087A (ja) 無線通信端末のソフトウェア変更方法及び無線通信端末
AU755951B2 (en) Mobile telephone and control method therefor
KR100402792B1 (ko) 단말기와 서버간의 개인정보 동기화방법
KR20000044485A (ko) 이동통신단말기의 쇼트메시지 자동 삭제 방법
KR100832337B1 (ko) 인터넷 가상저장공간을 이용한 휴대폰의 데이터 관리방법
KR100605868B1 (ko) 음성인식에 의한 전화번호 저장방법_
JPH11308321A (ja) 端末情報書換装置及び方法
JP3376605B2 (ja) 無線データ受信装置
KR100369654B1 (ko) 이동무선전화기의다이알링방법
KR100549421B1 (ko) 카네비게이션 시스템에서 전화 통화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SUBM Submission of document of abandonment before or after decis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