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01485U - 공기조화기의 댐퍼고정구조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의 댐퍼고정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01485U
KR20010001485U KR2019990011932U KR19990011932U KR20010001485U KR 20010001485 U KR20010001485 U KR 20010001485U KR 2019990011932 U KR2019990011932 U KR 2019990011932U KR 19990011932 U KR19990011932 U KR 19990011932U KR 20010001485 U KR20010001485 U KR 20010001485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mper member
damper
air conditioner
blade frame
hinge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1193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70057Y1 (ko
Inventor
임병한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201999001193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70057Y1/ko
Publication of KR2001000148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0148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005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0057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24F13/1486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bearings, pivots or hin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2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 F24F1/022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comprising a compressor cycle
    • F24F1/027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comprising a compressor cycle mounted in wall openings, e.g. in window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082Grilles, registers or guar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2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unted in or close to a window

Abstract

본 고안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댐퍼고정구조는, 환기구(31)가 형성된 블레이드프레임(30)과, 상기 환기구(31)를 토출그릴부(82)의 외부에서 필요에 따라 개폐할 수 있도록 좌우유동가능케 설치된 댐퍼부재를 구비한 공기조화기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프레임(30)의 바닥(35)과 토출그릴부(82)측 바닥(85)이 수평방향으로 서로 접하는 두께면 일측에 서로 대향되게 각각 형성된 절결홈(36)(86)과, 상기 댐퍼부재(200)의 하부에 수직으로 돌설되며 또한 상기 절결홈(36)(86)이 서로 대향되게 결합될때 그 사이에 회전가능케 힌지되어 상기 바닥(35)(85)의 상면에 위치한 댐퍼부재(200)가 좌우유동되도록 안내하는 힌지축(201)과, 상기 힌지축(201)의 하부 끝단에 수평으로 돌설되며 또한 상기 절결홈(36)(86)이 서로 대향되게 결합될때 상기 바닥(35)(85)의 하면과 밀착되어 상기 댐퍼부재(200)가 상하유동되지 않도록 저지하는 힌지판(202)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되어 있으므로, 댐퍼부재(200)가 블레이드프레임(30)과 프론트판넬(80)의 재질에 구애를 받지않고 소정위치에 용이하게 설치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댐퍼부재(200)의 한곳에 설치된 힌지축(201)과 힌지판(202)에 의해 좌우유동되면서도 상하방향으로는 유동되지 않게 동시 고정할 수 있고, 이로 인하여 조립성 및 생산성을 높일 수 있음은 물론, 댐퍼부재(200)가 필요없는 제품모델에서도 프론트판넬(80)을 공용화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공기조화기의 댐퍼고정구조{A FIXING STRUCTURE OF DAMPER FOR AIR CONDITIONER}
본 고안은 창문형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프론트판넬의 외부에서 소비자가 필요에 따라 댐퍼레버를 수동으로 조작하여 블레이드프레임의 일측에 뚫린 환기구를 개폐할 수 있도록 한 공기조화기의 댐퍼고정구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의한 창문형 공기조화기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베이스판넬(10)의 상부면에 대하여 전방에는 흡입된 실내 공기를 차가운 공기로 열교환시키도록 증발기(20)가 설치되고, 상기 증발기(20)의 일측(우측) 상단에는 증발기(20)를 통과하면서 차갑게 열교환된 실내 공기를 제품 전방으로 토출하도록 토출면적을 구획하는 블레이드프레임(30)이 설치되며, 상기 블레이드프레임(30)의 하측에는 제품의 동작을 제어하며 또한 전자부품들을 수용하는 콘트롤박스(40)가 설치되어 있다.
이때, 상기 증발기(20)와 블레이드프레임(30)은, 그들 상부면에 안착되는 실내측 케이싱(50)에 의해 동시 결합되고, 상기 콘트롤박스(40)는 상기 증발기(20)의 측면과 블레이드프레임(30)의 하부면에 결합되며, 상기 블레이드프레임(30)내에는 블레이드프레임(30)의 면적을 통하여 토출되는 열교환된 공기의 흐름을 좌우방향으로 조절하도록 다수의 수직블레이드(6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블레이드프레임(30)의 일측에 후술하는 댐퍼를 소비자가 필요에 따라 임의로 수동조작할때 개폐되면서 공기(실외 또는 실내공기)가 통풍 또는 차단되도록 환기구(31)가 뚫여져 있다.
한편, 상기 베이스판넬(10)의 상부에는 제품의 정면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을 커버하여 외관을 형성함과 동시에 제품의 내부로 외부 공기가 유입되도록 양측면에 다수의 유입구(71)를 가진 아우트판넬(70)이 설치되고, 상기 아우트판넬(70)의 정면에는 제품의 정면을 커버하여 외관을 형성함과 동시에 실내 공기가 흡입 및 토출되도록 프론트판넬(80)이 결합되어 있다.
이때, 상기 프론트판넬(80)에는, 상기 증발기(20)의 면적과 대응되는 위치에 실내 공기가 흡입되도록 흡입그릴부(81)가 형성되고, 상기 프론트판넬(80)에 대하여 상기 블레이드프레임(30)의 면적과 대응되는 위치에는 열교환된 공기가 제품의 외부로 토출되도록 토출그릴부(82)가 형성되며, 상기 토출그릴부(82)의 면적내에는 토출되는 실내 공기의 흐름을 상하방향으로 조절하도록 다수의 수평블레이드(90)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토출그릴부(82)의 하단 일측 중앙에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블레이드프레임(30)에 형성된 환기구(31)를 개폐하는 댐퍼부재(130)가 좌우유동가능케 힌지되도록 수직방향으로 힌지홀(83)이 뚫여져 있고, 토출그릴부(82)의 하단 일측 전방에는 상기 댐퍼부재(130)가 상하유동되지 않게 구속함과 동시에 댐퍼부재(130)의 좌우유동 폭을 제한하도록 수평방향으로 개구된 걸림부(84)가 일체로 돌설되어 있다.
상기 댐퍼부재(130)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하면에 대하여 전방으로부터 후방으로 소정거리를 두고 수직으로 돌설되어 상기 토출그릴부(82)의 힌지홀(83)에 예를 들어 후크방식으로 조립되는 힌지축(131)과, 그 전방에 형성된 손잡이(132)와, 그 후방에 형성되어 상기 블레이드프레임(30)에 형성된 환기구(31)를 개폐하는 개폐판(133)으로 구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베이스판넬(10)의 상부면에 대하여 중앙 일측에는 순환되는 냉매를 고온 고압으로 압축하여 상기 증발기(20)내에 차가운 냉매를 공급하도록 압축기(100)가 설치되고, 상기 베이스판넬(10)의 상부면에 대하여 후방에는 응축기(도시안됨)를 지지하는 실외측 케이싱(110)이 설치되며, 상기 실외측 케이싱(110)과 실내측 케이싱(50)과의 사이에 대하여 상면에 중앙에는 서로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좌우 일정간격을 두고 각각 복수의 간격유지용 브라켓(120)이 결합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댐퍼고정구조는, 댐퍼부재(130)가 좌우로 유동되면서 그 후방에 형성된 개폐판(133)이 블레이드프레임 (30)에 형성된 환기구(31)를 필요에 따라 개폐할 수 있도록 댐퍼부재(130)의 힌지축(131)이 프론트판넬(80)의 토출그릴부(82)에 형성된 힌지홀(83)에 후크방식으로 고정되는 구조로 되어 있으나, 이러한 후크방식의 고정구조는 힌지축(131)과 힌지홀(83)과의 접촉면적이 적기 때문에 댐퍼부재(130)가 불필요한 방향 즉, 상하방향으로 유동되고, 이로 인하여 상기 개폐판(133)이 환기구(31)를 정확히 개폐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래서, 종래는 도 2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댐퍼부재(130)가 상하방향으로 유동되지 않도록 토출그릴부(82)의 일측에 걸림부(84)를 일체로 설치하여 왔으나, 이러한 걸림부(84)의 구조는 프론트판넬(80)이 댐퍼부재(130)를 설치할 수 없는 재질, 예컨대 금속재질로 이루어져 있을 경우 별도의 부속품으로 제작하여 고정하여야 하기 때문에 조립성 및 생산성을 저하시킨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댐퍼부재(130)가 필요없는 제품(수출모델)일 경우 상기 걸림부(84)가 삭제된 프론트판넬(80)를 다시 제작하여야 하기 때문에 금형비가 추가로 발생됨은 물론, 이 걸림부(84)에 의해 프론트판넬(80)를 공용화할 수 없다는 문제점도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블레이드프레임과 프론트판넬이 조립될때 서로 대향되게 접하는 틈새에 댐퍼부재의 힌지부가 고정되도록 하여, 힌지부의 접촉면적을 넓혀 줌에 따라 댐퍼부재의 상하유동을 방지하여 줌은 물론, 재질에 관계없이 댐퍼부재를 용이하게 고정할 수 있게 하여 조립성 및 생산성을 높이고, 댐퍼부재가 필요없는 제품모델에서도 프론트판넬을 공용화하여 새로 추가되는 금형비를 없앨 수 있게 한 공기조화기의 댐퍼고정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종래에 의한 공기조화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A부를 도시한 상세도,
도 3은 종래에 의한 댐퍼고정구조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4는 종래에 의한 댐퍼고정구조를 도시한 평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댐퍼고정구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에 의한 댐퍼고정구조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30 : 블레이드프레임 31 : 환기구
35: 바닥 36 : 절결홈
82 : 토출그릴부 85 : 바닥
86 : 절결홈 200 : 댐퍼부재
201 : 힌지축 202 : 힌지판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본 고안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댐퍼고정구조는, 환기구가 형성된 블레이드프레임과, 상기 환기구를 토출그릴부의 외부에서 필요에 따라 개폐할 수 있도록 좌우유동가능케 설치된 댐퍼부재를 구비한 공기조화기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프레임의 바닥과 토출그릴부측 바닥이 수평방향으로 서로 접하는 두께면 일측에 서로 대향되게 각각 형성된 절결홈과, 상기 댐퍼부재의 하부에 수직으로 돌설되며 또한 상기 절결홈이 서로 대향되게 결합될때 그 사이에 회전가능케 힌지되어 상기 바닥의 상면에 위치한 댐퍼부재가 좌우유동되도록 안내하는 힌지축과, 상기 힌지축의 하부 끝단에 수평으로 돌설되며 또한 상기 절결홈이 서로 대향되게 결합될때 상기 바닥의 하면과 밀착되어 상기 댐퍼부재가 상하유동되지 않도록 저지하는 힌지판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관하여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
참고로, 본 고안은 종래의 구성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명칭 및 동일부호를 부여하고,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고안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댐퍼고정구조는, 도 5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블레이드프레임(30)의 바닥(35)과 프론트판넬(80)의 토출그릴부(82)측 바닥(85)이 수평방향으로 서로 접하는 두께면 일측에 서로 대향되게 각각 형성된 절결홈(36)(86)과, 댐퍼부재(200)의 일측에 수직으로 돌설되며 또한 상기 절결홈(36)(86)이 서로 대향되게 결합될때 그 사이에 회전가능케 힌지되어 상기 바닥(35)(85)의 상면에 위치한 댐퍼부재(200)가 좌우유동되도록 안내하는 힌지축(201)과, 상기 힌지축(201)의 하부 끝단에 수평으로 돌설되며 또한 상기 절결홈(36)(86)이 서로 대향되게 결합될때 상기 바닥(35)(85)의 하면에 넓은 면적으로 밀착되어 상기 댐퍼부재(200)가 상하유동되지 않도록 저지하는 힌지판(202)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절결홈(36)(86)은, 서로 결합될때 예를 들어 원형상을 이루고 서로 분리될때 예를 들어 각각 반원형상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 힌지축(201)은, 예를 들어 원봉형상으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댐퍼부재(200)의 하면 소정거리에 일체로 돌설되어 있다.
상기 힌지판(202)은, 상기 힌지축(201)의 외경과 상기 절결홈(36)(86)이 서로 대향되게 결합될때 형성되는 내경보다 적어도 3배이상의 큰 외경으로 넓게 형성되고, 상면은 상기 댐퍼부재(200)의 하면과 일정거리를 두고 나란히 마주보도록 위치되어 있다.
이때, 상기 댐퍼부재(200)의 하면과 힌지판(202)의 상면과의 사이 거리는, 상기 바닥(35)(85)의 두께가 최소 허용공차로 끼워맞춤되도록 이루어져 있다.
도면 중 미설명 부호, 203은 상기 댐퍼부재(200)의 전방에 일체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토출그릴부(82)를 통하여 제품의 외부로 일정거리 돌출되는 손잡이(203)를 나타낸 것이고, 204는 댐퍼부재(200)의 후방에 넓은 면적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블레이드프레임(30)에 형성된 환기구(31)를 개폐하는 개폐판(204)을 나타낸 것이다.
다음은,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한다.
댐퍼부재(200)를 조립하기 위해서는, 먼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댐퍼부재(200)에 돌설된 힌지축(201)이 하부로 수직되게 향하도록 한 다음, 상기 힌지축(201)을 사이에 두고 블레이드프레임(30)과 프론트판넬(80)을 서로 대향되게 접하도록 결합시킨다.
이때, 블레이드프레임(30)의 바닥(35)과 토출그릴부(82)의 바닥(85)이 수평방향으로 서로 접하는 두께면 일측에 서로 대향되게 각각 형성된 반원형상의 절결홈(36)(86)은 힌지축(201)을 중심으로 힌지축(201)의 외주에 각각 반쪽씩 면접촉되면서 힌지축(201)이 축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지지하여 줌으로써 블레이드프레임(30)과 토출그릴부(82)의 바닥(35)(85)측 상면에 위치한 댐퍼부재(200)가 상기 힌지축(201)을 회전 중심점으로 하여 좌우방향으로 유동(회동)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힌지축(201)이 상기 절결홈(36)(86)에 의해 힌지될때 힌지축(201)의 하부 끝단에 수평으로 돌설된 힌지판(202)은 절결홈(36)(86)이 형성된 상기 바닥(35)(85)의 하면과 넓은 면적으로 밀착됨으로써 바닥(35)(85)의 상면에 위치한 댐퍼부재(200)가 상하방향으로 요동되지 않도록 지지하여 준다.
그 이유는, 힌지판(202)이 수평방향으로 넓게 돌설될수록 상기 바닥(35)(85)의 하면과 접촉면적이 넓어지기 때문에 상기 댐퍼부재(200)가 상하유동될 수 있는 폭이 좁아지게 된다.
또, 상기 댐퍼부재(200)의 하면과 힌지판(202)의 상면과의 사이에 대한 거리가 상기 바닥(35)(85)의 두께에 최소 허용공차로 끼워맞춤될수록 댐퍼부재(200)와 힌지판(202)이 상기 바닥(35)(85)의 상면과 하면에 긴밀하게 밀착되기 때문에 댐퍼부재(200)는 상하유동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좌우유동될 수 있게 됨은 물론, 댐퍼부재(200)의 후단에 형성된 개폐판(204)이 블레이드프레임(30)에 형성된 환기구(31)를 정확히 개폐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은 댐퍼부재(200)의 힌지축(201)이 블레이드프레임(30)과 프론트판넬(80)이 조립될때 서로 대향되게 접하는 두께면에 형성된 절곡홈(36)(86)에 의해 좌우회동자유롭게 힌지되므로, 종래와 같이 후크방식보다 조립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힌지축(201)이 요동하는 폭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또, 힌지판(202)은 댐퍼부재(200)가 상하방향으로 요동치지 않도록 힌지축(201)에 일체로 설치되기 때문에 종래와 같이 프론트판넬(80)에 설치될 필요가 없으며, 이로 인하여 프론트판넬(80)은 댐퍼부재(200)가 필요없는 제품모델에서도 공용화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댐퍼고정구조는, 댐퍼부재의 힌지축이 블레이드프레임과 프론트판넬이 조립될때 수평방향으로 서로 대향되게 접하는 바닥 두께면에 회전가능케 수직으로 고정되고, 힌지축의 하부 끝단에 돌설된 힌지판은 블레이드프레임과 프론트판넬의 바닥 하면에 넓은 면적으로 밀착되도록 수평으로 돌설됨과 동시에 상기 댐퍼부재의 하면과 소정거리를 나란히 마주보도록 배치된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댐퍼부재가 블레이드프레임과 프론트판넬의 재질에 구애를 받지않고 소정위치에 용이하게 설치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댐퍼부재의 한곳에 설치된 힌지부(힌지축과 힌지판)에 의해 좌우유동되면서도 상하방향으로는 유동되지 않게 동시 고정할 수 있고, 이로 인하여 조립성 및 생산성을 높일 수 있음은 물론, 댐퍼부재가 필요없는 제품모델에서도 프론트판넬을 공용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환기구(31)가 형성된 블레이드프레임(30)과, 상기 환기구(31)를 토출그릴부 (82)의 외부에서 필요에 따라 개폐할 수 있도록 좌우유동가능케 설치된 댐퍼부재를 구비한 공기조화기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프레임(30)의 바닥(35)과 토출그릴부(82)측 바닥(85)이 수평방향으로 서로 접하는 두께면 일측에 서로 대향되게 각각 형성된 절결홈(36)(86)과,
    상기 댐퍼부재(200)의 하부에 수직으로 돌설되며 또한 상기 절결홈(36)(86)이 서로 대향되게 결합될때 그 사이에 회전가능케 힌지되어 상기 바닥(35)(85)의 상면에 위치한 댐퍼부재(200)가 좌우유동되도록 안내하는 힌지축(201)과,
    상기 힌지축(201)의 하부 끝단에 수평으로 돌설되며 또한 상기 절결홈(36)(86)이 서로 대향되게 결합될때 상기 바닥(35)(85)의 하면과 밀착되어 상기 댐퍼부재(200)가 상하유동되지 않도록 저지하는 힌지판(202)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댐퍼고정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결홈(36)(86)은, 서로 대향되게 결합될때 원형상을 이루고 서로 분리될때 각각 반원형상을 이루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댐퍼고정구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판(202)은, 상기 힌지축(201)의 외경과 상기 절결홈(36)(86)이 서로 대향되게 결합될때 형성되는 내경보다 큰 외경으로 넓게 형성되며 또한 상면은 상기 댐퍼부재(200)의 하면과 일정거리를 두고 나란히 마주보도록 수평으로 위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댐퍼고정구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댐퍼부재(200)의 하면과 힌지판(202)의 상면과의 사이 거리는, 상기 바닥(35)(85)의 두께가 최소 허용공차로 끼워맞춤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댐퍼고정구조.
KR2019990011932U 1999-06-29 1999-06-29 댐퍼부재를 갖춘 공기조화기 KR20027005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1932U KR200270057Y1 (ko) 1999-06-29 1999-06-29 댐퍼부재를 갖춘 공기조화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1932U KR200270057Y1 (ko) 1999-06-29 1999-06-29 댐퍼부재를 갖춘 공기조화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01485U true KR20010001485U (ko) 2001-01-15
KR200270057Y1 KR200270057Y1 (ko) 2002-03-28

Family

ID=547648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11932U KR200270057Y1 (ko) 1999-06-29 1999-06-29 댐퍼부재를 갖춘 공기조화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70057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70057Y1 (ko) 2002-03-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4311985A2 (en) Air conditioner
KR101287527B1 (ko) 공기조화기
KR19990071209A (ko) 창문형 에어콘 그릴 힌지장치
JPH01234730A (ja) ルームエアコンディショナの制御機構
KR20010001485U (ko) 공기조화기의 댐퍼고정구조
KR101271060B1 (ko) 천장형 공기조화기
JP4271101B2 (ja) 吹出グリル装置、吹出チャンバ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ビルトイン型空気調和機
KR20040041443A (ko) 공기조화기
KR100473818B1 (ko) 공기조화기
JP6451516B2 (ja) 天井埋込型空気調和機
KR20060087159A (ko) 공기조화기용 수직블레이드 회전각도 제어구조
JPH06129669A (ja) 一体形空気調和機
KR100432744B1 (ko) 창문형 공기조화기의 실내측 구조
KR100289493B1 (ko) 공기조화기용환기구의이물유입방지구조
KR200222721Y1 (ko) 공기조화기
KR100461643B1 (ko) 창문형 공기조화기의 실외측 부품 조립구조
KR101396407B1 (ko) 공기조화기
KR0133428Y1 (ko) 분리형 룸에어콘의 덕트
KR200162324Y1 (ko) 공조기기
KR100561540B1 (ko) 패키지형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풍향조절날개 링크구조
KR0150608B1 (ko) 공기조화기의 가변형 냉기토출구
KR100476431B1 (ko) 공기조화기의 댐퍼장치
KR200229882Y1 (ko) 창문형에어컨의풍향조정장치
CN115807977A (zh) 空调室内机
KR100263447B1 (ko) 공조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228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