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01356U - 철근 결속용 클램프 - Google Patents

철근 결속용 클램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01356U
KR20010001356U KR2019990011759U KR19990011759U KR20010001356U KR 20010001356 U KR20010001356 U KR 20010001356U KR 2019990011759 U KR2019990011759 U KR 2019990011759U KR 19990011759 U KR19990011759 U KR 19990011759U KR 20010001356 U KR20010001356 U KR 20010001356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amp
present
reinforcing bars
reinforcing
reinforcing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1175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43949Y1 (ko
Inventor
황종범
Original Assignee
황종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종범 filed Critical 황종범
Priority to KR201999001175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43949Y1/ko
Publication of KR2001000135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0135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4394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43949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5/00Clamps
    • B25B5/14Clamps for work of special profi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5/00Clamps
    • B25B5/06Arrangements for positively actuating jaws
    • B25B5/10Arrangements for positively actuating jaws using screw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inforcement Elements For Build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철근 결속용 클램프에 관한 것으로, 건축물 시공시 건축물의 강도를 보강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철근을 견고하고 용이하게 결속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본 고안은 관체의 내면 양측에 각기 나사부를 테이퍼지게 형성한 소켓너트(10)와, 상호 결합하고자 하는 철근(100)을 각기 클램핑하여 상기 소켓너트(10)의 양측에 각기 나사 결합되는 클램프부재(20)로 구성한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일정한 길이로 재단된 철근을 결합함에 있어서, 철근을 클램프하고 있는 두 개의 클램프부재를 소켓너트의 양측에 나사 결합하여 클램프부재의 압지력에 의한 조임력을 증가시켜 두개의 철근을 상호 결속시키는 것으로 그 결속상태가 견고하며, 용접등의 방법과 같이 가공경화등과 같은 현상이 발생하지 않으며, 별도의 작업공간을 확보하지 않고 간단한 수공구에 의하여 결속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철근 결속용 클램프{Clamp for union of reinforcing bar}
본 고안은 철근 결속용 클램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건축물 시공시 건축물의 강도를 보강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철근을 견고하고 용이하게 결속시킬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에 사용되는 철근은 운반 및 사용의 편리성을 위하여 일정한 크기로 재단되어 있으며, 이상과 같이 절단된 철근은 와이어에 의한 결박 또는 용접등에 의하여 융착시켜 사용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와이어로 결박하여 철근을 결속하는 방법은 와이어가 외력에 의하여 쉽게 절단되거나, 시멘트몰탈에 함유된 수분에 의하여 부식되어 철근의 결속상태가 해제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용접등에 의한 융착에 의한 방법은 용접부위가 가공 경화되어 외력에 의하여 쉽게 파손되며, 충분한 작업공간이 확보되지 않으며 작업이 용이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건축물 시공시 건축물의 강도를 보강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철근을 견고하고 용이하게 결속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도 1 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2 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를 보인 측 단면도.
도 3 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를 보인 분해 사시도.
도 4 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로서 철근의 결합전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5 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로서 철근의 결속전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소켓너트
20 : 클램프부재
21 : 체결부 21a: 볼트공 21b: 스프링시트
22 : 나사부
23 : 철근안착홈
23a: 마디홈 23b: 회동방지홈
30 : 스프링 40 : 볼트
100: 철근 101: 마디돌기 102: 리브돌기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2 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를 보인 측 단면도로서, 본 고안은 건축물에 사용되는 철근을 견고하고 용이하게 결속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이 관통된 소켓너트(10)와, 상호 결속하고자 하는 철근(100)을 각기 클램핑하여 상기 소켓너트(10)의 양측에 각기 나사 결합되는 클램프부재(20)로 구성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소켓너트(10)는 중앙이 관통된 관체로서 그 내면 양측에 각기 나사부를 테이퍼지게 형성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클램프부재(20)는 두 개의 조각으로 분활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각기 몸체의 양측에 분활 형성된 클램프부재(20)의 결속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체결수단에 의하여 탄성 가 체결되는 체결부(21)를 형성하고, 몸체의 일측으로 테이퍼지게 돌출되며 그 외주연에 나선을 형성한 나사부(22)를 형성하며, 몸체의 내면에 철근(100)의 외면과 대응하여 철근의 마디돌기(101)가 안착되는 마디홈(23a)과 리브돌기(102)를 구속하는 회동방지홈(23b)을 형성한 철근안착홈(23)을 형성하되, 상기 마디홈(23a)의 피치는 철근안착홈(23)에 안착되는 철근(100)이 방향성을 갖지 않도록 상기 철근(100)에 형성된 마디돌기(101) 피치의 1/2 피치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두 조각으로 분활된 클램프부재(20)에 구비된 체결부(21)에는 각기 볼트공(21a)을 형성하고, 상기 볼트공(21a)에는 스프링(30)이 안착될 수 있게 요입된 스프링시트(21b)를 형성하되, 두 조각의 클램프부재(20) 중 일측 클램프부재(20)의 볼트공(21a)에는 체결부(21)를 볼트(40)만을 이용하여 탄성 체결할 수 있게 나사부를 형성한 것이다.
한편, 상기 소켓너트(10)의 내면 양측에 형성되는 나사부와, 상기 소켓너트(10)의 양측에 각기 결합되는 클램프부재(20)의 나사부(22)는 동일하게 오른나사로 형성하거나, 각기 다르게 오른나사와 왼나사로 형성할 수 있는 것이며, 상기 일측 클램프부재(20)의 볼트공(21a)에 나사부를 형성하지 않고 볼트(40)와 너트에 의하여 탄성 체결할 수 있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한 바와 같이 내면에 중앙이 관통된 소켓너트(10)와 상기 소켓너트(10)의 양측에 각기 결합되는 클램프부재(20)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클램프부재(20)는 두 조각으로 분활되어 스프링(30)을 매개로 볼트(40) 등과 같은 체결수단에 의하여 탄설되어 있는 것으로, 상기 클램프부재(20)를 결속하고자 하는 철근(100)의 단부에 나사부(22)가 단부를 향하게 클램핑한 후 체결부(21)의 볼트(40)를 조여 철근(100)에 가 체결한다. 이때, 상기 철근(100)의 단부가 나사부(22)측으로 한 마디에서 두 마디 정도 돌출되게 체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이 철근(100)에 가 체결된 클램프부재(20)를 소켓너트(10)의 양측에서 각기 나사 결합한다. 이때, 상기 클램프부재(20)의 나사부(22)와 소켓너트(10)의 나사부(22)가 테이퍼지게 형성되어 있어 소켓너트(10) 또는 클램프부재(20)를 회동시키면 시킬 수록 철근(100)을 클램핑하고 있는 클램프부재(20)의 압지력이 증가되어 철근(100)이 견고하게 클램핑되어 두 개의 철근(100) 이 견고하에 결속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일정한 길이로 재단된 철근을 결합함에 있어서, 철근을 클램프하고 있는 두 개의 클램프부재를 소켓너트의 양측에 나사 결합하여 클램프부재의 압지력에 의한 조임력을 증가시켜 두개의 철근을 상호 결속시키는 것으로 그 결속상태가 견고하며, 용접등의 방법과 같이 가공경화등과 같은 현상이 발생하지 않으며, 별도의 작업공간을 확보하지 않고 간단한 수공구에 의하여 결속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것이다.

Claims (1)

  1. 관체의 내면 양측에 각기 나사부를 테이퍼지게 형성한 소켓너트(10)와, 상호 결합하고자 하는 철근(100)을 각기 클램핑하여 상기 소켓너트(10)의 양측에 각기 나사 결합되는 클램프부재(20)로 구성하되,
    상기 클램프부재(20)는 두 개의 조각으로 분활 형성되어 각기 몸체의 양측에 분활 형성된 클램프부재(20)의 결속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체결수단에 의하여 가 체결되는 체결부(21)를 형성하고, 몸체의 일측으로 테이퍼지게 돌출되며 그 외주연에 나선을 형성한 나사부(22)를 형성하며, 몸체의 내면에 철근(100)의 마디돌기(101)가 안착되는 마디홈(23a)과 리브돌기(102)를 구속하는 회동방지홈(23b)을 형성한 철근안착홈(23)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결속용 클램프.
KR2019990011759U 1999-06-28 1999-06-28 철근 결속용 클램프 KR20024394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1759U KR200243949Y1 (ko) 1999-06-28 1999-06-28 철근 결속용 클램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1759U KR200243949Y1 (ko) 1999-06-28 1999-06-28 철근 결속용 클램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01356U true KR20010001356U (ko) 2001-01-15
KR200243949Y1 KR200243949Y1 (ko) 2001-09-29

Family

ID=547647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11759U KR200243949Y1 (ko) 1999-06-28 1999-06-28 철근 결속용 클램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43949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75714B1 (ko) * 2000-02-07 2003-03-17 이상섭 소일 네일의 철근 설치 구조
WO2016006934A1 (ko) * 2014-07-08 2016-01-14 기언관 나선철근용 철근연결구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75714B1 (ko) * 2000-02-07 2003-03-17 이상섭 소일 네일의 철근 설치 구조
WO2016006934A1 (ko) * 2014-07-08 2016-01-14 기언관 나선철근용 철근연결구
CN106133255A (zh) * 2014-07-08 2016-11-16 奇彦官 螺旋钢筋用钢筋连接件
EP3168386A4 (en) * 2014-07-08 2018-03-14 Eun Kwan Ki Steel bar connector for threaded steel bars
CN106133255B (zh) * 2014-07-08 2018-11-20 奇彦官 螺旋钢筋用钢筋连接件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43949Y1 (ko) 2001-09-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88788Y1 (ko) 건축 및 토목용 철근 결속기구
KR200243949Y1 (ko) 철근 결속용 클램프
KR20010001355U (ko) 철근 결속용 클램프
KR200178999Y1 (ko) 철근 결속용 클램프
JPH0782841A (ja) 鉄筋継手装置
JP2000179053A (ja) 連結金具
KR200177975Y1 (ko) 철근연결금구
JP3975124B2 (ja) セパレータの鉄筋側結合金具
KR200262338Y1 (ko) 철근 결속구
KR200162852Y1 (ko) 철근 연결금구
KR19990079849A (ko) 콘크리트 구조물의 철근연결구
KR20200032814A (ko) 철근 이음용 커플러
KR19980025340A (ko) 철근 연결구
KR200234943Y1 (ko) 체결이 용이한 철근 이음장치
KR100439628B1 (ko) 철근의 연결구조
JPH0734663A (ja) ネジ鉄筋用定着金物
KR200234873Y1 (ko) 철근의 연결구조
KR100406140B1 (ko) 철근 이음장치
JP3084153U (ja) コンクリート柱補強機構
JPH05179762A (ja) 棒材の連結具
JP4180765B2 (ja) 木質棒状体固定構造
JPS6224675Y2 (ko)
KR200256972Y1 (ko) 폐전주를 재활용한 인공어초
JP2521922Y2 (ja) コンクリートセグメントの継手用埋込金具
KR200254894Y1 (ko) 철근 연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623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