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01333A - R/b마그네트 조립체와 이를 구비한 칼라 음극선관 - Google Patents

R/b마그네트 조립체와 이를 구비한 칼라 음극선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01333A
KR20010001333A KR1019990020477A KR19990020477A KR20010001333A KR 20010001333 A KR20010001333 A KR 20010001333A KR 1019990020477 A KR1019990020477 A KR 1019990020477A KR 19990020477 A KR19990020477 A KR 19990020477A KR 20010001333 A KR20010001333 A KR 200100013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gnetized
magnet assembly
electron beam
pole
cathode r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204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73095B1 (ko
Inventor
정장진
Original Assignee
김순택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순택,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순택
Priority to KR10199900204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73095B1/ko
Publication of KR200100013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013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730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73095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46Arrangements of electrodes and associated parts for generating or controlling the ray or beam, e.g. electron-optical arrangement
    • H01J29/58Arrangements for focusing or reflecting ray or beam
    • H01J29/64Magnetic lenses
    • H01J29/68Magnetic lenses using permanent magnets onl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29/00Details of cathode ray tubes or electron beam tubes
    • H01J2229/56Correction of beam optics
    • H01J2229/568Correction of beam optics using supplementary correction devices
    • H01J2229/5681Correction of beam optics using supplementary correction devices magnetic
    • H01J2229/5682Permanently magnetised materials, e.g. permanent magnets

Landscapes

  • Video Image Reproduction Devices For Color Tv Systems (AREA)

Abstract

스크린면을 가진 패널과, 패널과 봉착되며 네크부와 콘부를 가진 펀넬과, 상기 네크부의 내부에 장착되는 전자총과, 상기 콘부에 장착되는 편향요오크와, 상기 네크부의 외주면에 설치되는 콘버어젼스 퓨리티 마그네트와, 상기 편향요오크 또는 이와 인접되는 네크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N 극과 S극이 교번하여 상호 소정의 각도 간격으로 적어도 4극이 착자된 착자부들을 가지며 이들 착자부들중 동일 자극이 착자된 착자부들은 상호 다른 세기로 착자된 적어도 한쌍의 플렛링을 가진 콘버어젼스 조정을 위한 R/B 마그네트 조립체을 포함하는 칼라 음극선관을 제공한다.

Description

R/B마그네트 조립체와 이를 구비한 칼라 음극선관{R/B magnet assembly and cathode ray tube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음극선관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컬러 음극선관의 전자빔 이동경로(running path)의 조정시 적색 및 청색 형광체를 여기시키 위한 전자빔의 콘버어젼스를 조정하기 위한 R/B마그네트 조립체와 이를 구비한 칼라 음극선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라인 방식의 컬러 음극선관에 있어서, 3개의 전자총의 축은 음극선관의 축을 포함하는 동일한 평면위에 배열되고 바깥쪽의 두 전자빔의 경로는 중앙의 전자빔 경로에 대해 대칭이 된다. 그러므로, 각각의 전자총으로부터 방사되는 전자빔이 편향 수단에 의해 편향되지 않은 상태에서 전자총 조립체 전면에 위치한 형광면 중앙에 모이도록 하여 깨끗한 화상을 만드는 컬러 음극선관의 전자총 조립체를 구성하는 것이 유리하다.
그러나, 컬러 음극선관의 부품을 제작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에러 또는 부품 크기의 허용 오차로 인하여 컬러 음극선관은 상기와 같은 이상적인 조건을 만족시키도록 하기에는 실제적인 어려움이 따른다.
이러한 이유로, 컬러 음극선관은 그 특성에 근소한 산포를 가진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음극선관들의 특성상의 산포를 수정하기에 적합한 수단을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다.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상기와 같은 특성은 전자빔의 궤도를 수정함으로써 조정될 수 있다. 상기 전자빔의 궤도수정은 자기장에 의해 조정될 수 있는데, 전자빔의 궤적을 조정하기 위한 자기장은 전자빔의 스테틱 콘버어젼스 조정뿐만 아니라 컬러 조정에 이용되어 왔다.
예를 들어, 컬러 순도는 두개의 겹쳐진 링형상의 2극 마그네트를 포함하는 2극 마그네트 조립체를 3개의 전자빔의 주행 경로를 에워싸도록 컬라 음극선관의 네크부 외주면에 설치하여 그 두개의 링형상 마그네트를 상대적으로 회동시킴으로써 조정된다. 또한, 스테틱 콘버어젼스는 두개의 겹쳐진 4극의 링형상 마그네트를 포함한 4극 자석 조립체와 두개의 6극 링형상 마그네트링를 포함한 6극 자석 조립체를 컬러 음극선관의 네크부에 설치하여 세개의 전자빔의 경로를 에워싸도록 하여 조정하기도 한다. 이러한 배열은 라디오 코퍼레이션(U.S.)에 의해 제출된 미국 특허 출원 번호 217,757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콘버어젼스의 조정을 위한 마그네트 조립체(이하 CPM이라 약칭함)의 조정은 각 자석에 의해 발생되는 자기장의 세기를 조정함으로써, 각 전자총으로부터 나오는 전자빔이 편향되지 않는 조건에서 형광면의 중앙으로 모이게 된다. 형광면위의 전자빔의 변화량과 관련하여, 빔이 위에서 상술한 이상적인 조건으로부터 최대한 빗나가는 전자빔의 최대변화량에서부터 전자빔의 최소변화량까지의 범위안에서 마그네트 조립체의 자기장의 세기를 조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컬러의 조정과 스테틱 콘버어젼스의 조정은 전자빔의 형광면의 중앙부에 랜딩되는 상태에서 이루어지게 되므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크린면의 주변부에서 적색형광체와 청색 형광체를 여기시키기 위한 각각의 전자빔(이하 R 전자빔과 B 전자빔이라 약칭함)이 중앙의 녹색 형광체를 여기시키기 위한 전자빔(이하 G 전자빔이라 약칭함)에 대해 상하 방향으로 회전되는 미스 콘버어젼스가 발생된다. 또한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구자계에 의해 R,G,B전자빔의 궤적이 왜곡되어 각 전자빔이 형광점(P)에 정확하게 랜딩되지 못하는 미스랜딩현상이 나타난다. 특히 세 전자빔중 R,B전자빔은 지구자계와 편향요오크의 편향자계에 의해 상호간에 심한 미스 랜딩 현상이 나타난다.
이와 같은 미스 콘버어젼스의 보정은 편향요오크 또는 이와 인접된 측에 설치되어 R 전자빔과 B 전자빔의 콘버어젼스를 보정하기 위한 한 쌍의 4폴 마그네트 링(이하 R/B 마그네트 조립체라 약칭함)에 의해 조정된다.
이러한 B/R 마그네트 조립체의 일예를 도 4에 나타내 보였다.
도시된 바와 같이 N극과 S극이 교번하여 시계방향으로 S-N-S-N극이 동일한 세기로 착자된 착자부(21a-21d)들을 가진 제1마그네트 링(21)과, N극과 S극이 교번하여 시계방향으로 N-S-N-S이 동일한 세기로 착자된 착자부(22a-22d)들을 가진 제2마그네트 링(22)를 포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R/B 마그네트 조립체(20)를 이용하여 스크린면 주변부로 편향되 R,B 전자빔의 콘버어젼스이 조정은 상기 제1,2마그네트 링(21)(22)를 상대 자속 방향을 변화시킴으로써 이루어진다. 즉, G 전자빔은 기하학적으로 제1,2마그네트링(21)(22)의 중심에 위치하므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자부들에 의한 G 전자빔의 자장에 미치는 힘의 백터(vector)의 합이 0가 되어 G 전자빔은 이동되지 않게 된다. 그러나 양측에 위치된 R,B 전자빔은 각각 동일한 세기로 착자된 착자부(21a-21d,22a-22d)에 의한 주변 자장의 영향으로 상호 반대방향으로 같은 크기 만큼이 동되게 된다. 이와 같은 착자부의 이동으로 화면 주변부에서의 R,G,B 콘버어젼스를 조정하게 되면 중앙부에서의 R,G,B 전자빔의 콘버어젼스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긋나게 되므로 CPM을 이용하여 중앙부의 콘버어젼스를 다시 조정하여 주어야 한다.
그러나 상기 스크린면 주변부에서의 R,B 전자빔의 콘버어젼스 조정하는 과정에서 R,B 전자빔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G 전자빔을 중심으로 회전되거나 외부로부터 가하여지는 지구자계의 영향으로 R,B전자빔이 형광체에 정확하게 랜딩되지 못하게 되는 미스 랜딩이 발생된다. 이러한 미스랜딩 즉, 랜딩오차로 인하여 화면주변부에서의 화이터 밸런스 특성이 저하되며, 색번짐 현상의 나타나는 문제점이 이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화면주변부에서의 미스 콘버어젼스 보정에 따른 미스 랜딩에 따른 랜딩오차를 줄여 화상의 화이트 밸런스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칼라 음극선관의 콘버어젼스 조정을 위한 R/B 마그네트 조립체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스크린면에 세 전자빔의 미스 랜딩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종래 R/B마그네트 조립체의 분리 사시도,
도 3 및 도 4는 형광막의 형광점에 랜딩되는 전자빔의 지구자계에 의해 왜곡된 상태를 나타내 보인도면,
도 5은 자계에 의해 세 전자빔의 이동관계를 나타내 보인 도면,
도 6는 스크린 주변부에서의 R,B전자빔의 콘버어젼스가 조정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7는 R,B 전자빔의 콘버어젼스 조정에 따른 전자빔의 미스 랜딩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음극선관의 일부절제 측면도,
도 9은 본 발명에 따른 R/B마그네트 조립체의 분리 사시도,
도 10 및 도 11는 R/B마그네트 조립체를 이용하여 R,B전자빔의 콘버어젼스 조정상태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칼라 음극선관의 콘버어젼스 조정을 위한 R/B 마그네트 조립체는 N 극과 S극이 교번하여 상호 소정의 각도 간격으로, 적어도 4극이 착자된 착자부들을 가지며 이들 착자부들중 동일 자극의 착자부들은 상호 다른 세기로 착자되는 적어도 한쌍의 플렛링을 포함하여 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각 마그네트 링의 중심을 기준으로 하여 좌우 또는 상하로 양분되는 위치에 있는 착자부들의 세기가 서로 다르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인 음극선관은, 형광막이 형성된 패널과, 패널과 봉착되며 네크부와 콘부를 가진 펀넬과, 상기 네크부의 내부에 장착되는 전자총과, 상기 콘부에 장착되는 편향요오크와, 상기 네크부의 외주면에 설치되는 콘버어젼스 퓨리티 마그네트와, 상기 편향요오크 또는 이와 인접되는 네크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N 극과 S극이 교번하여 상호 소정의 각도 간격으로 적어도 4극이 착자된 착자부들을 가지며 이들 착자부들중 동일 자극의 착자부들은 상호 다른 세기 착자되는 적어도 한쌍의 플렛링을 가진 R/B 마그네트 조립체을 포함하여 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한 바람직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칼라 음극선관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면에 스크린면이 형성된 패널(31)과, 상기 패널(31)과 봉착되는 것으로 콘부(32a)와 네크부(32b)를 가진 펀넬(32)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네크부(32b)의 내부에는 인라인형 전자총(33)이 장착되고, 상기 콘부에는 전자총(33)으로부터 방출된 전자빔을 편향시키기 위한 편향요오크(34)가 설치된다. 상기 펀넬의 네크부(32b)에는 세 전자빔의 콘버어젼스를 조정하기 위한 CPM(40)가 설치되고, 편향요오크(34) 또는 이와 인접되는 네크부에는 R/B마그네트 조립체(50)이 설치된다.
상기 CPM은 형광마의 중앙부에 랜딩되는 전자빔의 이동경로(running path)를 조정하기 위한 것으로, 상호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는 복수의 착자부들을 가지며 전자총측에 위치되는 내측 마그네트링과, 음극선관의 스크린 측에 설치되며 복수의 착자부들 외측 마그네트링를 포함한다. 상기 한쌍의 마그네트링들은 페라이트 코어, 바륨 훼라이트, 엔니코(alnico)등으로 이루어지며 착자부들은 N극과 S극으로 이루어지는데, 상호 교번된다. 상기 한쌍의 마그네트 링은 2극, 4극 또는 6극의 착자부들를 가질 수 있다.
예컨데, 상기 네크부(32a)에 삽입되는 하우징(41)과, 이 하우징(41)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각각 2극(N극-S극)이 착자된 착자부들를 가진 한쌍의 링으로 이루어진 퓨리티 마그네트 조립체(42)와, 양측의 전자빔 즉, R,B 전자빔을 상호 반대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것으로, 각각 4극(N극-S극-N극-S극)이 착자된 착자부를 가지며 한쌍의 4극 마그네트 링으로 이루어진 제1스테틱 콘버어젼스 조립체(43)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41)에는 각각 6극(N극-S극-N극-S극-N극-S극)으로 착자된 착자부를 가지는 한 쌍의 마그네트 링으로 이루어진 제2스테틱 콘버어젼스 마그네트 조립체(44)가 설치된다.
상기 R/B 마그네트 조립체(50) 인라인형 전자총으로부터 편향되어 스크린면의 주변부에 랜딩되는 R.B전자빔의 콘버어젼스를 조정하기 위한 것으로, 일 실시예를 도 9에 나타내 보였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총측에 위치되는 제1플렛링(51)과 전자총측에 위치되는 제2플렛링(52)을 포함한다.
상기 제1플렛링(51)은 N극과 S극이 교번하여 소정의 간격으로 4극(N-S-N-S)이 착자된 제1,2,3,4착자부(51a)(51b)(51c)(51d)들을 가지는데, 서로 같은 극은 착자량 즉, 서로다른 세기로 착자된다. 착자량의 세기의 차이는 상부에 위치되는 제1,2착자부(51a)(51b)는 15가우스 정도로 강하게 착자되고, 하부에 위치되는 제3,4착자부(51c)(51d)는 5가우스 정도로 약하게 착자된다.
그리고 상기 제2플렛링(52)은 N극과 S극이 교번하여 소정의 간격으로 4극(S-N-S-N)이 착자된 제5,6,7,8착자부(52a)(52b)(52c)(52d)들을 가지는데, 서로 같은 극은 착자량 즉,다른 자력의 세기로 착자된다. 상기 착자량의 세기의 차이는 상부에 위치되는 제5,6착자부(52a)(52b)는 5가우스 정도로 약하게 착자되고, 하부에 위치되는 제7,8착자부(52c)(52d)는 15가우스 정도로 강하게 착자된다.
여기에서 한쌍의 제1,2플렛링(51)(52)은 상대회전시키지 않은 상태에서 상호 대응되는 제1,5착자부(51a,52a), 제2,6착자부(51b,52b), 제3,7착자부(51c,52c), 제4,8착자부(51d,52d)들은 상술한 바와 같이 동일한 착자량으로 착자되지 않는다. 그리고 상기 각 착자부의 착자면적은 동일하거나 착자량의 차이에 의해 서로 다를 수 있으며, 상기 착자부들의 착자량의 차이와 착자부의 위치는 전자빔의 이동방향 또는 이동량을 감안하여 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인의 실험에 의하면 상기 착자량의 차이는 착자량의 큰축의 착자부들에 비하여 착자량이 작은 측의 착자부들의 착자량을 30에서 50%로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2플렛링은 상하부에 위치되는 착자부의 착자량이 서로 다른 것을 일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제1,2플렛링의 중심을 기준으로 하여 상하부에 위치되는 착자부의 착자량을 다르게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R/B 마그네트 조립체을 가진 음극선관의 작용을 설면하면 다음과 같다.
칼라 음극선관은 인라인형 전자총으로부터 방출되어 형광막에 랜딩되는 전자빔이 형광막에 주사되는 과정에서 음극선관이 설계된 상태로 제조된 경우 전자총(33)으로부터 방출된 세 전자빔은 각 형광체층에 정확하게 랜딩된다. 그러나 음극선관을 이루는 각 부품의 제조상의 오차 및 조립상의 오차가 있는 경우에는 전자총(33)으로부터 방출된 R,G,B 세 전자빔이 정확하게 각 형광체층에 랜딩되지 못하게된다. 이 경우 CPM(40)과 R/B마그네트 조립체(50)를 이용하여 콘버어젼스 및 미스랜딩된 상태를 보정하게 된다.
먼저 세 전자빔의 콘버어젼스 조정은 퓨리티 마그네트 조립체(42)와 제 제1,2스테틱 콘버어젼스 마그네트 조립체(43)(44)를 이용하여 ITC(integrated tube components)을 조정한다. ITC 조정이 완료되었다 하더라도 편향요오크에 의해 전자빔이 스크린면의 주면부로 편향시 지구자계의 영향 또는 양측 전자의 회전으로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R전자빔과 B 전자빔의 미스 콘버어젼스가 제 발생되는되는 경우가 있는데, 이와 같은 미스콘버어젼스의 보정은 상기 R/B 마그네트 조립체(50)에 의해 이루어진다.
이하에 R/B 마그네트 조립체에 의한 R,B전자빔의 미스 콘버어젼스 보정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R 전자빔과 B 전자빔중 R 전자빔의 미스 콘버어젼스 상태가 상대적으로 큰 경우에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플렛링(51)을 시계방향으로 소정의 각도로 회전시킴과 아우럴 제2플렛링(52)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제1착자부(51a)와 제6착자부(52d), 제4착자부(51d)와 제5착자부(52a), 제3착자부(51c)와 제8착자부(52d), 제2착자부(51b)와 제7착자부(52c)가 상호 근접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제1,2플렛링(51)(52)의 회전으로 B 전자빔을 이동시키기 위한 자속의 밀도가 상대적으로 낮아지고, R 전자빔을 이동시키기 위한 자속의 밀도는 상대적으로 높아지게 된다. 따라서 스크린면 주변부에서 B 전자빔과 R 전자빔의 미스 콘버어젼스 조정에 따른 R,B 전자빔의 이동량을 다르게함으로써 이들 전자빔이 G 전자빔에 대한 회전으로 발생되는 미스랜딩량을 줄일 수 있게 된다.
그리고 R 전자빔과 B 전자빔중 B 전자빔의 미스 콘버어젼스 상태가 상대적으로 큰 경우에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플렛링(51)을 반시계방향으로 소정의 각도로 회전시킴과 아우럴 제2플렛링(52)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제1착자부(51a)와 제8착자부(52d), 제4착자부(51d)와 제7착자부(52c), 제3착자부(51c)와 제6착자부(52b), 제2착자부(51b)와 제5착자부(52a)가 상호 근접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제1,2플렛링(51)(52)의 회전으로 B 전자빔을 이동시키기 위한 자속의 밀도가 상대적으로 높아지고, R 전자빔을 이동시키기 위한 자속의 밀도는 상대적으로 낮아지게 된다. 따라서 스크린면 주변부에서 B 전자빔의 이동량은 크고 R 전자빔의 이동량은 작아지게 되어 미스 콘버어젼스 조정에 따른 R,B 전자빔의 회전량을 상대적으로 줄일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R/B전자빔의 미스 콘버어젼스 조정에 따른 회전으로 전자빔의 미스랜딩량을 대폭 줄일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미스 랜딩량의 축소는 하기 실험예에 의해 더욱 방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실험예 1
R,G,B 세 전자빔의 R/B 조정전 전자빔의 미스 랜딩량이 각각 -13, -9, -5마이크로 미터인 상태에서 종래 R/B마그네트 조립체를 이용하여 미스 콘버어젼스를 조정하게 되면 R,G,B 전자빔의 미스 랜딩량이 각각 -5,-9,-15로되어 R전자빔과 B전자빔의 미스 랜딩량이 각각 +8 마이크로 미터와 -10 마이크로미터로 R,B 전자빔이 심하게 회전변형됨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R,B 전자빔의 이동량은 상대적으로 동일하게 조정할 수 밖에 없으므로 미스 랜딩량의 보정이 용이하지 않다.
그러나 본 발명에 같이 착자량이 서로 다른 제1,2플렛링(51)(52)를 이용하여 상기와 동일한 조건의 미스 콘버어젼스를 조정하는 경우 전자빔의 미스 랜딩량이 각각 +1,-9,-10 마이크로 미터가 된다. 따라서 R전자빔과 B전자빔의 콘버어젼스 보정량에 따른 미스 랜딩량은 각각 +14마이크로 미터와 -5마이크로 R,B 전자빔의 조정에 따른 여유로를 크게 할 수 있다. 즉, R,B 전자빔의 이동량을 서로 다르게 조정할 수 있으므로 전자빔이 형광막에 정확하게 랜딩되지 못하게 되는 미스랜딩량을 줄일 수 있게 된다.
실험예 2
R,G,B 세 전자빔의 R/B 조정전 전자빔의 미스 랜딩량이 각각 +2, +5, +12 마이크로 미터인 상태에서 종래 마그네트 조립체를 이용하여 미스 콘버어젼스를 조정하게 되면 R,G,B 전자빔의 미스 랜딩량이 각각 -7, +1, +22로되어 R전자빔과 B전자빔의 미스 랜딩량이 각각 -9 마이크로 미터와 +12 마이크로미터로 R,B 전자빔이 심하게 회전변형됨알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같이 착자량이 서로 다른 제1,2플렛링(51)(52)를 이용하여 상기와 동일한 조건의 미스 콘버어젼스를 조정하는 경우 전자빔의 미스 랜딩량이 각각 -13,-2,+17 마이크로 미터가 된다. 따라서 R전자빔과 B전자빔의 콘버어젼스 보정량에 따른 미스 랜딩량은 각각 -12마이크로 미터와 +5마이크로 R,B 전자빔의 조정에 따른 여유로를 크게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R/B 마그네트 조립체와 이를 구비한 칼라 음극선관은 전자빔의 콘버어젼스 조정에 따른 전자빔의 미스 랜딩량을 줄여 스크린면 주변부에서의 화이트 밸런스 특성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나아가서는 화상의 색순도를 높일 수 있는 이점을 가진다.
본 발명 음극선관의 전자빔의 이동경로를 조정하기 위한 마그네트 조립체는 상술한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지 않고 본원 발명의 기술적 범위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변형 가능함은 물론이다.

Claims (5)

  1. N 극과 S극이 교번하여 상호 소정의 각도 간격으로 적어도 4극이 착자된 착자부들을 가지며 이들 착자부들중 동일 자극의 착자부들은 상호 다른 세기로 착자된 적어도 한쌍의 플렛링을 포함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R/B마그네트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마그네트 링의 중심을 기준으로 하여 좌우 또는 상하로 양분되는 위치에 있는 착자부들의 세기가 서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R/B 마그네트 조립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강한 착자부에 착자량에 대한 약한 착자부의 착자량이 30 내지 50%인것을 특징으로 하는 R/B 마그네트 조립체
  4. 스크린면을 가진 패널과, 패널과 봉착되며 네크부와 콘부를 가진 펀넬과, 상기 네크부의 내부에 장착되는 전자총과, 상기 콘부에 장착되는 편향요오크와, 상기 네크부의 외주면에 설치되는 콘버어젼스 퓨리티 마그네트와, 상기 편향요오크 또는 이와 인접되는 네크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N 극과 S극이 교번하여 상호 소정의 각도 간격으로 적어도 4극이 착자된 착자부들을 가지며 이들 착자부들중 동일 자극의 착자부들은 상호 다른 세기로 착자된 적어도 한쌍의 플렛링을 가진 R/B 마그네트 조립체를 포함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 음극선관.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마그네트 링의 중심을 기준으로 하여 좌우 또는 상하로 양분되는 위치에 있는 착자부들의 세기가 서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 음극선관.
KR1019990020477A 1999-06-03 1999-06-03 R/b마그네트 조립체와 이를 구비한 칼라 음극선관 KR1005730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20477A KR100573095B1 (ko) 1999-06-03 1999-06-03 R/b마그네트 조립체와 이를 구비한 칼라 음극선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20477A KR100573095B1 (ko) 1999-06-03 1999-06-03 R/b마그네트 조립체와 이를 구비한 칼라 음극선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01333A true KR20010001333A (ko) 2001-01-05
KR100573095B1 KR100573095B1 (ko) 2006-04-24

Family

ID=195898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20477A KR100573095B1 (ko) 1999-06-03 1999-06-03 R/b마그네트 조립체와 이를 구비한 칼라 음극선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7309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96115A (ko) * 2000-04-17 2001-11-07 이형도 편향요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96115A (ko) * 2000-04-17 2001-11-07 이형도 편향요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73095B1 (ko) 2006-04-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375389A (en) Adjustable convergence magnets
KR100573095B1 (ko) R/b마그네트 조립체와 이를 구비한 칼라 음극선관
JPH1167123A (ja) カラー受像管
KR100325878B1 (ko) 콘버어젼스퓨리티마그네트조립체와이를이용한음극선관
KR100496272B1 (ko) 컬러 음극선관의 콘버어젼스 마그네트 조립체
KR100389544B1 (ko) 음극선관용 마그네트 결합체
US6518697B2 (en) Display device comprising a deflection unit, and a deflection unit for a display device
EP0901147A2 (en) Color cathode ray tube
US6060824A (en) Color cathode ray tube with specific placement of magnetic plate
JPH0142931Y2 (ko)
EP0843333A2 (en) Color cathode ray tube provided with a beam convergence adjustment device
KR100303928B1 (ko) 칼라브라운관의컨버전스장치
JP3041946B2 (ja) コンバージェンス・ピュリティ補正装置
KR200360755Y1 (ko) 컬러음극선관의할로보정장치
KR100345339B1 (ko) 전자총을 갖는 음극선관용 마그네트에 자력을 공급하기 위한착자요크
US7129628B2 (en) Velocity modulation coil apparatus and cathode-ray tube apparatus
KR20000041356A (ko) 음극선관용 마그네트 결합체
KR20020074926A (ko)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
JP2000323065A (ja) カラー陰極線管およびその電子ビーム調整装置
KR20040067111A (ko) 칼라음극선관의 컨버젼스 보상장치
KR19980060844A (ko) 음극 선관
KR20030067062A (ko) 음극선관용 편향 요크
KR20010027425A (ko) 칼라브라운관의 컨버전스장치
JPH10255687A (ja) マグネットリング機構
JPH11176351A (ja) カラー陰極線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326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