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00442A - 광마우스용 센서 - Google Patents

광마우스용 센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00442A
KR20010000442A KR1020000057476A KR20000057476A KR20010000442A KR 20010000442 A KR20010000442 A KR 20010000442A KR 1020000057476 A KR1020000057476 A KR 1020000057476A KR 20000057476 A KR20000057476 A KR 20000057476A KR 20010000442 A KR20010000442 A KR 200100004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use
light receiving
lenses
optical mouse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574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84539B1 (ko
Inventor
전장식
Original Assignee
이방원
주식회사 애트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방원, 주식회사 애트랩 filed Critical 이방원
Priority to KR10-2000-00574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84539B1/ko
Publication of KR200100004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004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845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84539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04Detection arrangements using opto-electronic means
    • G06F3/0317Detection arrangements using opto-electronic means in co-operation with a patterned surface, e.g. absolute position or relative movement detection for an optical mouse or pen positioned with respect to a coded surfa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3Mice or pu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초점길이가 다른 복수개의 렌즈를 이용하여 수광센서에 초점이 맺히도록 함으로써 초점심도를 증가시킨 광마우스용 센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수광센서를 갖는 베이스 플레이트 위로 렌즈가 고정된 커버가 얹혀지는 구조를 갖는 광마우스에 있어서, 커버의 윗면으로 초점길이가 상이한 복수개의 렌즈를 구비하여 초점심도가 커지도록 하고, 플레이트의 윗면으로 고정된 PCB에 구비된 복수개의 수광센서로 이루어짐으로써 광마우스를 구성하는 기계적인 구조물의 정밀도를 낮추어 제품의 가격을 낮추도록 하고 아울러 투명한 바탕을 갖는 물체에서도 정확한 동작이 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광마우스용 센서{a sencer used in light mouse}
본 발명은 광마우스용 센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초점길이가 다른 복수개의 렌즈를 이용하여 수광센서에 정확한 초점이 맺혀지도록 함으로써 광마우스를 구성하는 기계적인 구조물의 정밀도를 낮추어 제품의 가격을 저렴하게 하고 아울러 투명한 바탕을 갖는 물체에서도 정확한 동작이 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마우스용 센서(1)는 일측과 중앙으로 위치결정 돌기(2) 및 사각장공(3)을 갖는 베이스 플레이트(4)와, 베이스 플레이트(4)의 중앙에 형성된 사각장공(3) 위로 안착된 렌즈(5)와, 베이스 플레이트(4)의 위치결정 돌기(2)에 일측단이 고정됨과 동시에 렌즈(5)위로 얹혀진 보강 PCB(6) 및 PCB(6) 윗면에 전기적으로 접속, 고정되는 수광센서(7) 및 발광 LED(8) 그리고 충격 진동으로 인한 흔들림을 막는 고정클립(9)으로 이루어져 LED(8)로 부터 발생된 빛은 렌즈(5)의 경사면과 베이스 플레이트(4)로 반사되고 이어 마우스 패드(10)를 통해 마우스 표면에 위치한 수광센서(7)에 초점이 집광되도록 구성 되었다.
이러한 광마우스의 원리를 갖는 마우스(11)는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면(A)의 화상은 커버(12)에 고정된 렌즈(13)를 통해 베이스 플레이트(4)의 PCB(14)에 있는 수광센서(15)로 맺히게 되며 수광센서(15)에 맺힌 화상은 화상취득부(16)를 통해 그 정보가 분석되고 마우스 움직임 감지부(17)를 통해 마우스의 움직임이 감지된다. 그리고 마우스 움직임 감지부(17)와 접속된 움직임 신호 전달부(18)를 통해 마우스의 움직임 정보가 신호로 변환된 다음 컴퓨터(19)로 전달되도록 구성 되었다.
그러나 광마우스용 센서를 갖는 마우스는 제작시 기계적인 공차와 더불어 사용시 발생되는 환경적인 요인으로 인해 마우스가 놓이는 표면이 멀리있는 경우(도 3a)와 표면에 가까이 있는 경우(도 3b)를 생각할 수 있다.
즉 표면의 초점이 일치하지 않아 수광센서에 맺혀지는 화상이 흐려짐으로써 모션 벡터(Motion vector)를 찾지 못해 마우스의 동작이 일시적으로 멈추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모션 벡터를 찾지 못할 경우에 허용되는 초점의 오차는 렌즈가 가지고 있는 초점심도와 마우스 움직임 감지부에서 사용되는 알고리즘에 의해 결정되나 오차를 줄이기 위해서는 정밀 가공을 해야함으로써 제조원가가 높아지는 또 다른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마우스가 놓인 표면 위로 투명한 유리와 같은 물체가 있게 되면 광마우스의 초점심도를 범위를 벗어나게 됨으로써 마우스의 동작이 정지되는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수광센서를 조립된 상태로 PCB 에 삽입되는 구조로 되어 있음으로써 제작 공정상 반도체 리드 프레임의 오차와 인쇄기판 삽입시 오차 등으로 인해 허용되는 초점 조정이 더욱 난해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광마우스를 구성하는 기계적인 구조물의 정밀도를 낮출수 있도록 초점길이가 다른 복수개의 렌즈를 이용하여 초점이 맺히도록 함으로써 투명한 바탕을 갖는 물체에서도 정확한 동작이 될 수 있도록 하고 아울러 광마우스를 구성하는 기계적인 구조물의 정밀도를 낮춤으로써 제품의 가격을 저렴하게 할 수 있도록 한 광마우스용 센서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수광센서를 갖는 베이스 플레이트 위로 렌즈가 고정된 커버가 얹혀지는 구조를 갖는 광마우스에 있어서,커버의 윗면으로 초점길이가 상이한 복수개의 렌즈를 구비하여 초점심도가 커지도록 하고, 플레이트의 윗면으로 고정된 PCB에 구비된 복수개의 수광센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광마우스에 설치된 광센서부의 종단면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광마우스의 원리를 간단하게 도시한 예시도.
도 3은 종래 기술에 따른 광마우스의 신호전달체계를 도시한 블록도.
도 4a,b는 종래 기술에 따른 기계적인 공차와 광마우스 사용시 발생하는 초점의 변화를 도시한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광센서부의 종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광센서부의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광센서부의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의 구조를 도시한 광센서부의 종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예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21:플레이트 22:PCB 23,24:수광센서
27:커버 25,26:렌즈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광마우스에 설치된 광센서부의 종단면도로서 광마우스(20)를 개략적으로 설명하면 하부에 구비된 플레이트(21)와 플레이트(21) 윗면으로 고정되는 PCB(22)에 부착된 수광센서(23)(24) 및 복수개의 렌즈(25)(26)를 갖는 커버(27)로 구성된다.
여기에서 상기 수광센서(23)(24)는 복수개의 렌즈(25)(26)를 통해 비치는 빛을 감지하기 위해 렌즈(25)(26)의 갯수와 동일하도록 PCB(22) 위에 구비되어 있다.
상기 커버(27)에 고정된 렌즈(25)(26)는 각각 그 초점길이를 다르게 구비하여 초점심도(Depth of focus)가 커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면에서 볼 경우에는 좌우로 복수개를 구비하여 사용할 수 도 있고,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렌즈(25)(26)를 사각형태로 배열시켜 사용할 수 도 있다.
이러한 광마우스(20)는 동작되는 초점의 길이가 길어 마우스을 구성하는 구조물의 정밀도를 필요 이상으로 정밀하게 가공할 할 필요가 없음으로써 마우스의 제작단가를 낮출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또한 투명한 바탕을 갖는 물체의 윗면에서도 정확한 동작이 되도록 되어 있다.
한편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초점길이가 상이한 복수개의 렌즈(25)(26)를 커버(27)에 대해 소정 각도를 갖도록 비스듬하게 설치하여 사용할 경우에는 플레이트(21)에 고정된 다른 하나의 수광센서(28)에 빛이 집광되도록 함으로써 수광센서(28)의 갯수를 줄여 제작비용을 낮출 수 있도록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렌즈(25)(26)를 비스듬하게 설치된 광마우스가 표면(B)에 놓여 있을 경우에는 좌측 렌즈(25)에 의해서 표면의 화상이 수광센서(28)에 정확히 잡히게 되는 반면 표면(B)에 놓일 경우에는 우측에 있는 렌즈(26)를 통해 맺혀지는 화상은 초점이 흩어지게 된다.
이런 두개의 화상이 수광센서(28)에 중복되어 잡히지만 광마우스의 응용에서는 단순히 초점이 잡혀진 화상의 움직임만을 찾음으로써 그 방향을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예시도로서 렌즈(26)(27)를 커버(27)과 일체가 되도록 구비함과 동시에 플레이트(21) 윗면에 또 다른 수광센서(28)(29)를 갖는 PCB(22)를 와이어 본딩(30)으로 직접 고정하고 또한 상기 커버(27)와 플레이트(21)가 맞닿는 부위에 실링부(31)를 갖도록 구비함으로써 외부로 부터 이 물질인 먼지와 습기가 유입되는 것을 막아 센서의 신뢰성을 향상시켜 사용 할 수 도 있다.
그리고 수광센서를 구비한 PCB를 와이어 본딩으로 고정하였으나 수광센서 뿐아니라 발광소자를 끼워 고정할 수 도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초점길이가 다른 복수개의 렌즈를 이용하여 수광센서에 정확히 화상이 맺혀지도록 함으로써 초점의 불일치로 인해 모션 벡터를 찾지 못해 마우스의 동작이 정지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고, 또한 마우스를 구성하고 있는 구조물의 정밀도를 낮추게 하여 제조원가를 낮추도록 한 이점이 있다.
또한 마우스가 놓인 표면에 투명한 유리와 같은 물체가 있어도 광마우스의 초점심도가 넓음으로써 마우스의 동작이 끊이지 않고 원활하게 이어지는 이점이 있다.

Claims (3)

  1. 수광센서를 갖는 플레이트 위로 렌즈가 고정된 커버가 얹혀지도록 구비된 구조를 갖는 광마우스에 있어서,
    커버(27)의 윗면으로 초점길이가 상이한 복수개의 렌즈(25)(26)를 구비하여 초점심도가 커지도록 하고, 플레이트(21)의 윗면으로 고정된 PCB(22)에 구비된 복수개의 수광센서(23)(24)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마우스용 센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27)에 구비된 복수개의 렌즈(25)(26)는 플레이트(21)에 구비된 하나의 수광센서(28)에 집광되도록 커버(27)의 윗면에 대해 소정의 각도를 갖도록 기울어져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마우스용 센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26)(26)를 커버(27)과 일체가 되도록 구비하며 플레이트(21) 윗면에 다른 수광센서(28)(29)를 와이어 본딩(30)으로 고정하고 상기 커버(27)와 플레이트(21)가 맞닿는 부위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실링부(31)를 갖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마우스용 센서.
KR10-2000-0057476A 2000-09-29 2000-09-29 광마우스용 센서 KR1003845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57476A KR100384539B1 (ko) 2000-09-29 2000-09-29 광마우스용 센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57476A KR100384539B1 (ko) 2000-09-29 2000-09-29 광마우스용 센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00442A true KR20010000442A (ko) 2001-01-05
KR100384539B1 KR100384539B1 (ko) 2003-05-22

Family

ID=196911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57476A KR100384539B1 (ko) 2000-09-29 2000-09-29 광마우스용 센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84539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14480A (ko) * 2001-08-11 2003-02-19 삼성전기주식회사 광마우스용 칩 온 보드
KR20030062032A (ko) * 2002-01-16 2003-07-23 조용호 디지털 펜 장치
KR100427356B1 (ko) * 2001-08-14 2004-04-13 삼성전기주식회사 광마우스용 서브 칩 온 보드
KR100463430B1 (ko) * 2001-09-05 2004-12-23 삼성전기주식회사 광마우스의 수광부 구조 및 이러한 구조를 갖는 광마우스
KR100491469B1 (ko) * 2002-06-12 2005-05-25 주식회사 애트랩 표시기능을 갖는 광마우스
KR100622404B1 (ko) * 2002-10-23 2006-09-13 주식회사 애트랩 광 이미지 검출기 및 이를 채택하는 광 마우스
KR101108438B1 (ko) * 2005-06-29 2012-02-08 레이저 유에스에이 리미티드 광학센서에 있어서 시계심도 조절방법 및 시스템
KR20230122723A (ko) 2022-02-15 2023-08-22 주식회사 산흥이지 음성 및 축광기능을 갖는 안내 표지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983140A (zh) * 2005-12-13 2007-06-20 邓仕林 笔形光鼠标的多透镜光路光学成像装置
KR200447764Y1 (ko) 2008-02-14 2010-02-18 (주) 아이.에스.브이. 광마우스용 수광센서 모듈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14480A (ko) * 2001-08-11 2003-02-19 삼성전기주식회사 광마우스용 칩 온 보드
KR100427356B1 (ko) * 2001-08-14 2004-04-13 삼성전기주식회사 광마우스용 서브 칩 온 보드
KR100463430B1 (ko) * 2001-09-05 2004-12-23 삼성전기주식회사 광마우스의 수광부 구조 및 이러한 구조를 갖는 광마우스
KR20030062032A (ko) * 2002-01-16 2003-07-23 조용호 디지털 펜 장치
KR100491469B1 (ko) * 2002-06-12 2005-05-25 주식회사 애트랩 표시기능을 갖는 광마우스
KR100622404B1 (ko) * 2002-10-23 2006-09-13 주식회사 애트랩 광 이미지 검출기 및 이를 채택하는 광 마우스
KR101108438B1 (ko) * 2005-06-29 2012-02-08 레이저 유에스에이 리미티드 광학센서에 있어서 시계심도 조절방법 및 시스템
KR20230122723A (ko) 2022-02-15 2023-08-22 주식회사 산흥이지 음성 및 축광기능을 갖는 안내 표지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84539B1 (ko) 2003-05-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5244974A (ja) 集積回路パッケージを形成する方法
US5208463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deformations of leads of semiconductor device
JP2004158855A (ja) レンズが一体に組み込まれた光学ナビゲーションセンサ
US20070090279A1 (en) System and method for an optical navigation device configured to generate navigation information through an optically transparent layer and to have skating functionality
JPH0656920B2 (ja) 基板組立方法,基板検査方法および装置
US20070057166A1 (en) Optical module
US20120037820A1 (en) Optical assembly and optical-information-reading device
KR100384539B1 (ko) 광마우스용 센서
JP2002132439A (ja) 単純化された設計を有する光学式マウス
JP3133147B2 (ja) イメージセンサ
US7615733B2 (en) Optical navig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making the apparatus
US20040149894A1 (en) Device for detecting movements of an object surface
JPH06318264A (ja) 光学的情報読取装置
US8279178B2 (en) System and method for performing optical navigation using horizontally oriented imaging lens
JPH07162586A (ja) 発光装置とそれを用いた密着型イメージセンサユニット
JP3617951B2 (ja) 光反射型センサ
WO2007106179A2 (en) Scan engine with guiding light beams
JP3058770B2 (ja) イメージセンサ
KR100326913B1 (ko) 촬상소자 유니트
JP3181012B2 (ja) 原稿読み取り装置
JPH09312414A (ja) 投光装置と受光装置及びそれらを備えた物体検出装置
JP2800172B2 (ja) フォトインタラプタ
JP2885443B2 (ja) フラットパッケージ集積回路のリード検査装置
JP3642692B2 (ja) 画像読取装置
JP2541533B2 (ja)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1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1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