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00348U - 현미경의 디지털카메라 화면 반사구조 - Google Patents

현미경의 디지털카메라 화면 반사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00348U
KR20010000348U KR2019990010158U KR19990010158U KR20010000348U KR 20010000348 U KR20010000348 U KR 20010000348U KR 2019990010158 U KR2019990010158 U KR 2019990010158U KR 19990010158 U KR19990010158 U KR 19990010158U KR 20010000348 U KR20010000348 U KR 20010000348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gital camera
screen
microscope
liquid crystal
conn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1015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연희
Original Assignee
김연희
주식회사 케이아이테크놀러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연희, 주식회사 케이아이테크놀러지 filed Critical 김연희
Priority to KR201999001015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000348U/ko
Publication of KR2001000034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00348U/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1/00Microscopes
    • G02B21/36Microscopes arranged for photographic purposes or projection purposes or digital imaging or video purposes including associated control and data processing arrangements
    • G02B21/361Optical details, e.g. image relay to the camera or image sensor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7/00Systems with reflecting surfaces, with or without refracting elements
    • G02B17/02Catoptric systems, e.g. image erecting and reversing system
    • G02B17/06Catoptric systems, e.g. image erecting and reversing system using mirrors only, i.e. having only one curved mirror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1/00Microscopes
    • G02B21/36Microscopes arranged for photographic purposes or projection purposes or digital imaging or video purposes including associated control and data processing arrangements
    • G02B21/362Mechanical details, e.g. mountings for the camera or image sensor, housing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1/00Microscopes
    • G02B21/36Microscopes arranged for photographic purposes or projection purposes or digital imaging or video purposes including associated control and data processing arrangements
    • G02B21/368Microscopes arranged for photographic purposes or projection purposes or digital imaging or video purposes including associated control and data processing arrangements details of associated display arrangements, e.g. mounting of LCD monito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Studio Devices (AREA)
  • Microscoopes, Condenser (AREA)

Abstract

본 고안에 따른 현미경의 디지털카메라 화면 반사구조를 이용하게 되면, 현미경의 삼안경통부 상에 멀티마운터로 연결부재를 연결하고, 연결마운터로 카메라연결부를 고정시키도록 하며, 이 디지털카메라의 액정모니터의 일측면에 고정부재에 고정되고 힌지에 의하여 회동하는 반사부재를 설치하여 액정모니터에서 발광된 화면을 수평으로 절곡시켜 볼 수 있도록 하므로 관찰시료의 촬영작업을 용이하게 하는 매우 유용하고 효과적인 고안이다.

Description

현미경의 디지털카메라 화면 반사구조 { Structure For Reflecting The Screen Of Digital Camera Of The Microscope }
본 고안은 디지털카메라의 화상을 수평으로 절곡시키는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현미경의 삼안경통부 상에 멀티마운터로 연결부재를 연결하고, 연결마운터로 카메라연결부를 고정시키도록 하며, 이 디지털카메라의 액정모니터의 일측면에 고정부재에 고정되고 힌지에 의하여 회동하는 반사부재를 설치하여 액정모니터에서 발광된 화면을 수평으로 절곡시켜 보므로써 관찰시료의 촬영작업을 용이하게 하도록 하는 현미경의 디지털카메라 화면 반사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현미경은 생물학 및 의학을 비롯한 다양한 과학분야와, 반도체관련분야, 다양한 재료공학 및 학교에서 학업의 도구 등과 같이 여러가지의 목적으로 사용되는 필수적인 실험기구로서, 미시세계를 관찰할 수 있는 확대장치이다.
도 1은 일반적인 현미경에 디지털카메라가 설치 상태를 보인 도면으로서, 종래의 구성은 현미경(5)의 구성은 사람의 눈이 접촉되는 대안렌즈(40)와; 관찰되는 시료(20)를 받쳐주는 시료받침대(10)와; 상기 시료받침대(10)의 관찰시료(20)를 직접확대하는 대물렌즈(30)와; 상기 대물렌즈(30)를 고정하는 회전판과 현미경 골격; 삼안경통부의 상부 연결부와 연결되는 어댑터(60)와; 상기 어댑터(60)에 고정되는 디지털카메라 (70)로 구성된다.
상기 디지털카메라(70) 대신에 아날로그 카메라, 폴라로이드 카메라 및 CCD카메라 등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종래의 장치는 현미경(5)의 대안렌즈(40)를 보면서 대물렌즈(30)를 관찰시료 (20)에 대고서 사물의 대상물체를 확대하여 관찰하게 된다.
그리고, 관찰되는 시료(20)의 동작을 촬영하기 위하여 디지털카메라(70)의 화면을 상부에서 응시하면서 연속되는 동작화면과, 정지화면을 촬영하도록 한다.
그런데, 상기한 바와 같이, 종래의 디지털카메라(70)는 어댑터(60)에 의하여 수직으로 설치되어져 있으므로 디지털카메라(70)로 관찰시료(20)의 연속화면 및 정지화면을 볼 때, 대안렌즈(40)를 수평방향으로 보다가 머리를 디지털카메라(70)의 수직 방향으로 이동시켜 디지털카메라(70)를 응시하여야 하므로 촬영 작업성이 저하되거나 번거로운 문제점을 지니고 있었다.
본 고안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현미경의 삼안경통부 상에 멀티마운터로 연결부재를 연결하고, 연결마운터로 카메라연결부를 고정시키도록 하며, 이 디지털카메라의 액정모니터의 일측면에 고정부재에 고정되고 힌지에 의하여 회동하는 반사부재를 설치하여 액정모니터에서 출력된 화면을 수평으로 절곡시켜 볼 수 있도록 하므로 시료의 관찰 및 촬영작업을 용이하게 하는 것이 목적이다.
도 1은 일반적인 현미경에 디지털카메라가 설치된 상태를 보인 도면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화면 반사구조를 갖는 디지털카메라를 현미경에 장착한 상태를 보인 도면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디지털카메라 화면 반사구조의 단면을 보인 도면이며.
도 4는 본 고안의 사용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5 : 현미경 10 : 시료받침대
20 : 관찰시료 30 : 대물렌즈
40 : 대안렌즈 45 : 삼안경통부
80 : 멀티마운터 85 : 연결부재
90 : 연결마운터 95 : 카메라 렌즈부
100 : 디지털카메라 105 : 고정부재
110 : 힌지 120 : 반사부재
122 : 고정플레이트 124 : 반사거울
본 고안의 목적은 대안렌즈 및 대물렌즈가 설치된 삼안경통부를 갖는 현미경에서, 상기 삼안경통부의 상부면에 멀티마운터에 의하여 고정되는 연결부재와; 상기 연결부재의 타단에 카메라렌즈부가 결합되어 디지털카메라를 연결하는 연결마운터와; 상기 디지털카메라의 상부면에 있는 액정모니터의 일측면에 형성된 고정부재와; 상기 고정부재에 형성된 힌지에 의하여 회전하고 액정모니터에서 보이는 화면을 수평방향으로 굴절시키는 반사부재로 구성된 현미경의 디지털카메라 연결구조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이하, 첨부도면에 의하여 본 고안의 구성을 상세하게 살펴보도록 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반사구조에 디지털카메라 장착된 상태를 보인 도면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디지털카메라 화면 반사구조를 보인 도면이며. 도 4는 본 고안의 사용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본 고안의 구성을 살펴보면, 대안렌즈(40) 및 대물렌즈(30)가 설치된 삼안경통부(45)를 갖는 현미경(50)에서, 상기 삼안경통부(45)의 상부면에 멀티마운터 (50)에 의하여 고정되는 연결부재(85)와; 상기 연결부재(85)의 타단에 카메라렌즈부(95)가 결합되어 디지털카메라 (100)를 연결하는 연결마운터(90)와; 상기 디지털카메라(100)의 상부면에 있는 액정모니터(125)의 일측면에 형성된 고정부재(105)와; 상기 고정부재(105)에 형성된 힌지(110)에 의하여 회전하고 액정모니터(125)에서 발생된 화면을 수평방향으로 굴절시키는 반사부재(120)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반사부재(65)는 상기 힌지(110)에 의하여 회전하고 사각 형상의 고정플레이트(122)와; 상기 고정플레이트(122)의 저면에 고정되어 액정모니터 (125)에서 노출되는 화면을 수평으로 굴절하여 반사시키는 반사거울(124)로 구성된다.
상기 디지털카메라(80)는 특히, 정지화면을 잘 나타낼 수 있는 디지털스틸카메라(Digital Steel Camera)를 사용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도면에 의하여 본 고안의 작용을 상세하게 살펴보도록 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미경(5)의 대안렌즈(40)를 통하여 눈을 접촉시킨 후 대물렌즈(30)를 시료받침대(10)에 안치된 관찰시료(20)에 초점을 맞추어서 관찰시료(20)의 동작을 관찰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관찰시료(20)의 화면은 연결부재(85)의 카메라 렌즈부(95)를 통하여 액정모니터(125) 화면에 노출되어지게 된다.
이 때, 상기 대안렌즈(40)를 통하여 관찰시료(20)를 관찰하던 관찰자는 액정모니터(125) 화면에 노출된 화면은 반사부재(120)의 반사거울(124)에 굴절되어서 관찰자의 시야에 액정모니터(125)의 화면이 반사되어지는 것이다.
그리고, 반사되어진 액정모니터(125)의 화면을 보면서 디지털카메라(100)의 내부에 내장된 촬상소자(130)에 정지화상 혹은 동화상을 촬영하도록 한다.
상기 대안렌즈(40)를 보면서 약간만 고개를 들게 되면 액정모니터 (125)의 화면을 보게 되고, 필요하다면 반사부재(120)인 고정플레이트(122)를 힌지(110)에 대하여 회전시키므로 반사되는 액정모니터(125)의 화면 반사각도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관찰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화면을 주시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현미경의 디지털카메라 화면 반사구조를 이용하게 되면, 현미경의 삼안경통부 상에 멀티마운터로 연결부재를 연결하고, 연결마운터로 카메라연결부를 고정시키도록 하며, 이 디지털카메라의 액정모니터의 일측면에 고정부재에 고정되고 힌지에 의하여 회동하는 반사부재를 설치하여 액정모니터에서 발광된 화면을 수평으로 절곡시켜 볼 수 있도록 하므로 관찰시료의 관찰작업 및 촬영작업을 용이하게 하는 매우 유용하고 효과적인 고안이다.

Claims (2)

  1. 대안렌즈(40) 및 대물렌즈(30)가 설치된 삼안경통부(45)를 갖는 현미경(50)에 있어서,
    상기 삼안경통부(45)의 상부 면에 멀티마운터(50)에 의하여 고정되는 연결부재(85)와;
    상기 연결부재(85)의 타단에 카메라 렌즈부(95)가 결합되어 디지털카메라 (100)를 연결하는 연결마운터(90)와;
    상기 디지털카메라(100)의 상부 면에 있는 액정모니터(125)의 일 측면에 형성된 고정부재(105)와;
    상기 고정부재(105)에 형성된 힌지(110)에 의하여 회전하고 액정모니터(125)에서 발생된 화면을 수평방향으로 굴절시키는 반사부재(12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미경의 디지털카메라 화면 반사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부재(65)는 상기 힌지(110)에 의하여 회전하고 사각 형사의 고정플레이트(122)와; 상기 고정플레이트(122)의 저면에 고정되어 액정모니터(125)에서 노출되는 화면을 수평으로 굴절하여 반사시키는 반사거울(124)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미경의 디지털카메라 화면 반사구조.
KR2019990010158U 1999-06-09 1999-06-09 현미경의 디지털카메라 화면 반사구조 KR20010000348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0158U KR20010000348U (ko) 1999-06-09 1999-06-09 현미경의 디지털카메라 화면 반사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0158U KR20010000348U (ko) 1999-06-09 1999-06-09 현미경의 디지털카메라 화면 반사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00348U true KR20010000348U (ko) 2001-01-05

Family

ID=547638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10158U KR20010000348U (ko) 1999-06-09 1999-06-09 현미경의 디지털카메라 화면 반사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000348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904735B (zh) 基于快速倾斜镜的宽视场共焦扫描显微镜
US11681133B2 (en) System and method for macroscopic and microscopic imaging ex-vivo tissue
JP6987493B2 (ja) 顕微鏡
JP6945533B2 (ja) 走査顕微鏡における使用のための、対象物を走査する走査装置
TWI303321B (en) Examined apparatus
JP2020535456A (ja) 広領域の共焦点及び多光子顕微鏡で用いる動的フォーカス・ズームシステム
CN202256863U (zh) 可方便观看的显微镜
KR20010000348U (ko) 현미경의 디지털카메라 화면 반사구조
JP2003270537A (ja) 高安定性光学顕微鏡
KR20010000347U (ko) 현미경의 디지털카메라 연결구조
KR200321786Y1 (ko) 생물 영상 현미경
JP2002131655A (ja) 顕微鏡システム
WO2022097104A1 (en) Digitization module for microscopes to enable sample viewing on a smart device
JP2000039567A (ja) 双眼顕微鏡と双眼顕微鏡による撮像方法
IE20120495A1 (en) A viewing device
KR0130889Y1 (ko) 현미경
RU2488126C2 (ru) Сканирующий зондовый микроскоп, совмещенный с оптическим микроскопом
JPH07236081A (ja) 撮像装置
CN1825165A (zh) 二次放大近眼大视角成像装置的设计方法
JP2004286855A (ja) 実体顕微鏡
JPH1062712A (ja) 観察光学系および観察方法
KR20060007333A (ko) 영상 현미경
JPH09130664A (ja) 撮像装置
JP2000275544A (ja) Ccdカメラを使った単レンズ型の顕微鏡観察装置とその付属品
US20190121109A1 (en) Reflected image macroscopy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