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00079U - 자동변속기의 토크컨버터 - Google Patents

자동변속기의 토크컨버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00079U
KR20010000079U KR2019990009649U KR19990009649U KR20010000079U KR 20010000079 U KR20010000079 U KR 20010000079U KR 2019990009649 U KR2019990009649 U KR 2019990009649U KR 19990009649 U KR19990009649 U KR 19990009649U KR 20010000079 U KR20010000079 U KR 20010000079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tor
torque converter
automatic transmission
pump impeller
cha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0964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70619Y1 (ko
Inventor
김홍식
Original Assignee
정몽규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몽규,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몽규
Priority to KR201999000964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70619Y1/ko
Publication of KR2001000007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0007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061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0619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41/00Rotary fluid gearing of the hydrokinetic type
    • F16H41/24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41/00Rotary fluid gearing of the hydrokinetic type
    • F16H41/24Details
    • F16H2041/243Connections between pump shell and cover shell of the turbin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41/00Rotary fluid gearing of the hydrokinetic type
    • F16H41/24Details
    • F16H2041/246Details relating to one way clutch of the stator

Landscapes

  • Control Of Fluid Gearing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변속기의 토크컨버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터빈 러너에서 나오는 오일의 흐름 방향을 변화시켜 펌프 임펠러의 회전을 돕는 스테이터와, 상기 스테이터의 출구부에 장착되어 스테이터의 출구각을 변경시키는 가이드베인을 포함한 자동변속기의 토크컨버터를 제공함으로써 기존의 스테이터를 교체하는 방식보다 토크컨버터의 성능 및 특성을 효과적으로 변경할 수 있음은 물론, 적은 비용으로 성능 및 특성이 향상된 토크컨버터를 제작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자동변속기의 토크컨버터{Torque converter of automatic transmission}
본 고안은 자동변속기의 토크컨버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스테이터의 출구부에 장착된 가이드베인에 의하여 상기 스테이터의 출구각을 변경할 수 있는 자동변속기의 토크컨버터에 관한 것이다.
자동변속기는 엔진에서 전달되는 회전속도 및 회전력을 변화시켜서 구동륜에 전달하는 변속기의 작용이 변속 패턴(Shift pattern)에 의해 자동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즉, 클러치 작용과 트랜스미션의 작용을 자동적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한 자동변속기는 일반적으로 토크컨버터와 유성기어식 변속기를 조합한 것이 많이 사용되고, 이외에는 유체 커플링과 자동변속기를 조합한 형식이 있다.
종래 기술에 따른 자동변속기의 토크컨버터는 자동 클러치로 작용하는 것 외에 토크의 증가 작용을 하는 것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펌프 임펠러(1), 터빈 러너(3), 스테이터(5) 등의 3개의 날개차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펌프 임펠러(1)는 엔진의 크랭크축에 의해 구동되고, 상기 터빈 러너(3)는 자동변속기의 입력축에, 상기 스테이터(5)는 일방향 클러치(One way clutch)(7)를 거쳐서 하우징에 각각 설치되며, 내부에는 자동변속기유가 들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자동변속기의 토크컨버터에서는, 엔진이 회전하면 펌프 임펠러(1) 내의 오일에 원심력에 의한 흐름이 발생되어 펌프 임펠러(1), 터빈 러너(3), 스테이터(5), 펌프 임펠러(1) 순으로 흐르는 순환류가 발생하게 된다.
이때, 상기 펌프 임펠러(1)로부터 터빈 러너(3)로 유입되는 부분에서의 오일은 펌프의 주속과 상기한 순환류가 합성된 방향을 가지고 있다. 상기 터빈 러너(3)의 베인은 그 오일에 부딪쳐 그 충격력으로 상기 펌프 임펠러(1)의 회전방향으로 밀리게 되고, 이로써 상기 터빈 러너(3)는 회전력을 전달받게 된다.
이후, 상기 터빈 러너(3)에 동력을 전달한 오일은 원주 방향의 속도를 잃고, 터빈 러너(3)의 베인을 따라 흘러 상기 스테이터(5)를 거쳐서 펌프 임펠러(1)로 되돌아온다.
이때, 상기 스테이터(5)는 터빈 러너(3)에서 나오는 오일이 펌프 임펠러(1)의 베인 뒷면을 밀어 주도록 상기 오일의 방향을 바꿈으로써 상기 펌프 임펠러(1)의 회전을 도와 토크의 증대를 도모한다.
이와 같이 스테이터(5)가 터빈 러너(3)에서 나오는 오일의 흐름 방향을 바꾸는 동안 상기 스테이터(5)에는 펌프의 회전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반력이 작용하게 되는 데, 이러한 반력은 일방향 클러치(7)를 거쳐서 하우징이 받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토크컨버터는 펌프 임펠러(1), 터빈 러너(3), 스테이터(5)의 입구각 및 출구각으로 그 성능이 결정되며, 특히 상기 스테이터(5)의 출구각은 소량의 각도를 수정하는 것만으로도 토크컨버터의 성능 및 특성을 크게 변화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한 토크컨버터의 성능 및 특성을 변화시킬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펌프 임펠러(1)의 출구부 형상을 변경하여 상기 펌프 임펠러(1)의 출구각을 수정하거나, 다른 날개각을 가진 스테이터(5)로 교체하여 상기 스테이터(5)의 출구각을 수정하는 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토크컨버터의 성능 및 특성을 변화시키기 위하여 펌프 임펠러(1)의 출구부 형상을 변경하는 방식은 형상 변경량에 비하여 특성 변화량이 아주 작기 때문에 토크컨버터의 성능 및 특성을 변화시키는데 한계가 있으며, 상기 펌프 임펠러(1)의 출구부 형상 변경량이 비교적 크기 때문에 오일 유로의 급격한 변화가 발생하여 유동적으로 큰 손실 요인이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스테이터(5)를 교체하는 방식은 스테이터(5)의 사양이 복잡, 다양해짐은 물론, 상기 스테이터(5)가 다이 캐스팅 또는 플라스틱 사출품이기 때문에 고가의 금형비가 요구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터빈 러너에서 나오는 오일의 흐름 방향을 변화시켜 펌프 임펠러의 회전을 돕는 스테이터의 출구부에 장착되어 상기 스테이터의 출구각을 변경시키는 가이드베인을 구비함으로써 기존의 스테이터를 교체하는 방식보다 토크컨버터의 성능 및 특성을 효과적으로 변경할 수 있음은 물론, 적은 비용으로 성능 및 특성이 향상된 토크컨버터를 제작할 수 있도록 하는 자동변속기의 토크컨버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자동변속기의 토크컨버터가 도시된 구성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변속기의 토크컨버터가 도시된 구성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자동변속기의 토크컨버터에서 스테이터의 날개 단면 형상과 가이드베인이 도시된 구성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1 : 펌프 임펠러 53 : 터빈 러너
55 : 스테이터 57 : 가이드베인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의한 자동변속기의 토크컨버터의 특징은, 터빈 러너에서 나오는 오일의 흐름 방향을 변화시켜 펌프 임펠러의 회전을 돕는 스테이터와, 상기 스테이터의 출구부에 장착되어 스테이터의 출구각을 변경시키는 가이드베인을 포함한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부가적인 특징은, 상기 가이드베인은 비행기 날개의 플랩과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기존의 스테이터를 교체하는 방식보다 토크컨버터의 성능 및 특성을 효과적으로 변경할 수 있음은 물론, 적은 비용으로 성능 및 특성이 향상된 토크컨버터를 제작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변속기의 토크컨버터가 도시된 구성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자동변속기의 토크컨버터에서 스테이터의 날개 단면 형상과 가이드베인이 도시된 구성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자동변속기의 토크컨버터는 터빈 러너(53)에서 나오는 오일의 흐름 방향을 변화시켜 펌프 임펠러(51)의 회전을 돕는 스테이터(55)와, 상기 스테이터(55)의 출구부에 장착되어 스테이터(55)의 출구각을 변경시키는 가이드베인(57)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베인(57)은 비행기 날개의 플랩과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며, 프레스 가공을 이용하여 제작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자동변속기의 토크컨버터에서는, 스테이터(55)의 출구부에 장착된 가이드베인(57)에 의하여 상기 스테이터(55)의 출구각이 α에서 α'만큼 변경된 효과를 볼 수 있다.
이때, 참조부호 α는 가이드베인(57)이 장착되기 전의 스테이터(55)의 출구각을 나타내고, 참조부호 α'는 가이드베인(57)에 의한 스테이터(55)의 출구각 변경량을 나타낸다.
이와 같이 상기 가이드베인(57)에 의해 스테이터(55)의 출구각이 커지면 상기 스테이터(55)에 의해 터빈 러너(53)의 회전력(출력 쪽)과 펌프 임펠러(51)의 회전력(입력 쪽) 사이에 생기는 차이가 커져 토크의 변환이 증대되게 되고, 이로써 토크컨버터의 성능 및 특성이 향상된다.
상기에서 미설명된 참조번호 59는 스테이터(55)와 하우징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스테이터(55)가 오일의 흐름을 변화시킬 수 있도록 도와주는 일방향 클러치를 나타낸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고 동작되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변속기의 토크컨버터는, 스테이터(55)의 출구부에 장착된 가이드베인(57)에 의하여 상기 스테이터(55)의 출구각이 변경되므로 기존의 스테이터(55)를 교체하는 방식보다 토크컨버터의 성능 및 특성을 효과적으로 변경할 수 있음은 물론, 적은 비용으로 성능 및 특성이 향상된 토크컨버터를 제작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2)

  1. 터빈 러너에서 나오는 오일의 흐름 방향을 변화시켜 펌프 임펠러의 회전을 돕는 스테이터와, 상기 스테이터의 출구부에 장착되어 스테이터의 출구각을 변경시키는 가이드베인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변속기의 토크컨버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베인은 비행기 날개의 플랩과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변속기의 토크컨버터.
KR2019990009649U 1999-06-02 1999-06-02 자동변속기의 토크컨버터 KR20027061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9649U KR200270619Y1 (ko) 1999-06-02 1999-06-02 자동변속기의 토크컨버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9649U KR200270619Y1 (ko) 1999-06-02 1999-06-02 자동변속기의 토크컨버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00079U true KR20010000079U (ko) 2001-01-05
KR200270619Y1 KR200270619Y1 (ko) 2002-04-03

Family

ID=547636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09649U KR200270619Y1 (ko) 1999-06-02 1999-06-02 자동변속기의 토크컨버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70619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5748B1 (ko) * 2001-11-01 2004-06-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자동변속기의 토크컨버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5748B1 (ko) * 2001-11-01 2004-06-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자동변속기의 토크컨버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70619Y1 (ko) 2002-04-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S6338585B2 (ko)
KR200270619Y1 (ko) 자동변속기의 토크컨버터
US6996978B2 (en) Torque converter stator
US4180977A (en) Torque converter with variable pitch stator
CA1098417A (en) Torque converter with internally reversible turbine shaft
KR20040055634A (ko) 토크 컨버터
US5120196A (en) Impeller for a torque converter
KR100435748B1 (ko) 차량용 자동변속기의 토크컨버터
JP3295990B2 (ja) トルクコンバータ装置
CN208417442U (zh) 一种发动机变速箱液力变扭器
JP3188665B2 (ja) トルクコンバータ及びその調整方法
US2353060A (en) Hydraulic transmission and differential gearing
JP3028499B2 (ja) トルクコンバータの調整方法
CN1971092B (zh) 降低失速负载量的液力变矩器
RU2125196C1 (ru) Гидротрансформатор
US2511135A (en) Reaction and fluid lock rotary hydraulic driving unit
KR20030049212A (ko) 자동차의 토오크 컨버터
SU1038597A1 (ru) Герметичный центробежный электронасос
GB2071765A (en) Centrifugal Pump
RU2166139C2 (ru) Гидротрансформатор
WO2001094753A3 (de) Strömungskraftmaschine zur nutzung geringer druckdifferenzen
KR20080041319A (ko) 자동변속기의 분리형 스테이터 구조
SU947506A1 (ru) Гидродинамическа муфта
CN111197644A (zh) 提高流体加速效率的转矩变换器
KR950029625A (ko) 자동 변속기용 토오크 컨버어터의 스테이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